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ffect of thermoelectric module-based energy harvesting blocks arrangement and resistance on power generation

        정재원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Effect of thermoelectric module-based energy harvesting blocks arrangement and resistance on power generation Jae-Won Joung Dep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Energy can be harvested from various energy sources within a building. A thermoelectric generator-assisted energy harvesting block was proposed in this study, with the goal of utilizing the waste heat source of the building's outside wall. A thermoelectric generator and phase change material are used in the energy harvesting block to convert waste heat from the building envelope and heat flux from the outside into electricity. An energy collecting block wall requires the use of multiple energy harvesting blocks. Thus, the electrical configurations of several energy harvesting blocks, as well as their impacts on external resistance, were investigated. A series array, parallel array, and combination array were used in the layouts. Experiments with a total of nine examples were carried out by connecting 1.6, 15, and 60 with the same external resistance as the internal resistance of each array. In December, the temperature and closed-circuit voltage were monitored using the sol- air temperature profile. As a result, the external resistor connected had a greater effect on voltage and current than the array type. When 60 was linked to the series arrangement, the highest generated energy was 0.837Wh/day. The series structure was the most advantageous in terms of generated energy.

      • 도시공간구조위계를 고려한 가구에너지 소비요인 분석 연구

        정재원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후변화는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이슈이며, 우리나라에서도 관련 정책들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 소비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서울시 에너지 소비량에서 가구가 소비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따라서 서울시에 거주하는 가구가 소비하는 에너지의 소비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에너지를 주택 내에서 소비하는 건물에너지와 주택을 벗어나 도시 내에서 소비하는 교통에너지로 구분하고, 그 둘을 합산한 가구에너지까지 각 에너지에 대한 소비요인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가구에너지를 구성하는 각 에너지의 소비패턴은 도시공간 위계별로 다르게 나타나며, 같은 요인이더라도 도시공간구조위계에 따라 영향력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시의 도시공간구조를 분석하여 행정동별로 위계를 나누고, 위계에 따라 에너지 소비요인을 분석하여, 가구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통합적으로 살피는데 목적이 있다. 우선, 서울시의 현재 도시공간구조 위계를 살펴보고자 통근목적의 통행과 여가·쇼핑 목적의 통행 O/D 데이터로 사회연결망분석을 수행하고, 도출된 위세중심성지수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수행하여 서울시의 행정동을 도심과 비도심으로 구분하였다. 분석한 서울의 현재 도시공간구조위계를 대상으로 가구부문의 건물에너지와 교통에너지, 가구에너지 소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변수로 삼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가구특성은 에너지별로, 도시공간구조 위계별로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경제특성은 에너지 소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도시공간특성 중 압축도시의 특성으로 정의되는 인구밀도, 직주근접, 복합적 토지이용은 가구의 에너지 소비 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력은 에너지별, 도시공간구조위계별로 차이가 있었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같지만, 기존의 연구는 도시단위로 분석하며 정책을 수립·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분석의 단위를 행정동으로 하여 정책의 수립과 적용에 있어 현실성을 높이며, 가구에너지 소비 저감의 순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한다. The climate change caused by the global warming is an important issue over the world. Korean government has also planed related policies and the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accounts for very high proportion of a total of energy consumption in the Seoul. Therefore, the energy consumed by household is divided into building energy in the house and transportation energy outside the house, and then such consumption factors including even the household energy which is sum of both of them need to be analyzed. However, each consumption pattern of energy constituting household energy varies by urban structure hierarchy, and even the same factor may have a different effect, according to the urban hierarchy.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vide the hierarchy by administrative dongs by analyzing the urban structure of the Seoul, examine the energy consumption factors by the hierarchy and integratively investigate measure to minimize the consumption of household energy. At first, the social network analysis is conducted with the passage O/D data for the purpose of leisure/shopping and commuting to examine the current urban spatial structure hierarchy in Seoul. On the basis of the resulting power centrality index, a cluster analysis is implemented to divide the administrative dongs in Seoul into central and non-central area.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current urban spatial hierarchy of Seoul is conducted by us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onsumptions of building, transportation and household energy of household sector, as the variables.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are varied by energy, urban spatial structure hierarchy, and economic one i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increase of energy consumption. Population density, job-housing proximity, complex land use, all of which are defined as the features of compact city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patial seem to affect the reduction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however, the effects can be varied by energy or urban spatial structure hierarchy. Although the findings are same with those from the existing studies, it was difficult to establish and apply policies and conduct an analysis by city unit in the latter. However, this study increases the feasibility of establishment and application of policies by using administrative dongs as the unit of analysis, and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the net effect of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reduction.

      • 기후변동을 반영한 계절 기후예측 및 홍수기 다목적댐의 탄력적 운영방안 연구

        정재원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수개월 규모의 계절예측 정보는 가뭄이나 홍수와 같은 자연재난에 대응하고 댐 및 저수지의 안정적인 수자원 확보와 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정보이다. 특히 계절예측을 통해 미래의 댐 유입량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면 보다 효율적인 댐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온 및 강수의 수개월 선행 계절 예측력을 개선한 모형을 개발하고, 예측자료를 기반으로 유입량의 계절 갱신을 통해 탄력적인 댐 운영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대상유역으로는 금강유역의 대청댐을 선정하였으며 2013년부터 2016년의 홍수기인 6월부터 9월까지의 기간에 대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즉, 통계적 및 역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여름철 기온 및 강수를 수개월 선행 예측하는 계절예측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방법의 예측력을 개선하기 위해 엘니뇨 및 라니냐 발생기간의 기후변동성을 고려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또한 예측 월 기온 및 강수자료를 일 자료로 상세화하고 SWAT 모형을 통해 대청댐의 미래 유입량을 모의하였다. 예측된 미래 유입량 정보를 이용하여 홍수기말 목표저수량을 충족할 수 있도록 방류량을 조절하는 계절예측 정보 기반의 탄력적 댐 운영방안을 제안하였으며 기존 운영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기온의 경우 기존의 계절예측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더 적절하였으며 강수의 경우 엘니뇨 및 라니냐 발생기간을 구분하여 계절예측 모형을 적용하였을 때 예측력을 더 높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출한 계절 기후예측 자료를 SWAT 모형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댐 유입량을 모의한 결과, 5개월 이내의 선행기간 예측에 대한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댐 유입량 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홍수기말에 댐 수위가 상시만수위 조건을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댐 운영방안을 제시하였고, 2013년~2016년의 실제 초기저수량을 기준으로 연도별 댐 운영을 모의하였다. 모든 모의 결과에서 홍수기말에 상시만수위의 95%에 해당하는 저수량 확보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모의 기간 중 홍수기 제한수위인 상시만수위를 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기후변동을 고려한 계절예측 기반의 홍수기 탄력적 댐 운영방안은 극한 기상 상황에 수개월 전부터 대응이 가능한 방안이라고 판단되며, 매월 말, 월간 댐 운영계획을 수립할 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seasonal forecast is essential for responding to natural disasters such as droughts or floods, and for securing and managing water resources of dam and reservoir stably. In particular, more efficient dam operation will be possible if seasonal forecasts can be accurately predicted for the future dam inflows. Therefore,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model that improves the predictability of seasonal forecasting fo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several months in advance. Then, we suggested a flexible dam operation through the seasonal updating of inflow based on the seasonal forecasts. For this study, Daecheong Dam of the Geum River Basin, Korea was selected, and the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period from June to September in 2013-2016. In other words, seasonal forecasting of summe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was performed by applying statistical and dynamical methods. In addition, a model was developed to consider the climate influence of El Nino and La Niña to improve the predictability of the existing methods. The forecasted monthly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were disaggregated into daily data and the future inflow of Daecheong Dam was simulated through the SWAT model. We proposed a flexible dam operation plan based on seasonal forecasting information that can regulate the discharge to meet the target storage of a reservoir at the end of flood season and compared it with the current dam operation simulation. As a result, we have found that, in case of temperature, it is more appropriate to apply the current seasonal forecasting method, however, in precipitation, the predictability can be improved when the seasonal forecasting model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El Niño and La Niña is used. Also, we confirmed the applicability of the climate data from seasonal forecasting model for forecasting the preceding period within five months by simulating dam inflow using the climate data as the input of SWAT model. In addition, we proposed the dam operation method to ensure that the dam water level meets the normal high water level at the end of the flood season by using the dam inflow forecasting results and simulated the dam operation based on the actual initial storage of the reservoir between 2013 and 2016. So, we have found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orage equivalent to 95% of the normal high water level, and that it does not exceed the normal high water level, which is the restricted water level in flood season. In this study, the flexible dam operation method during the flood season based on the seasonal forecast results considering climate variability of El Niño or La Niña phenomenon was suggested. This operation method will be capable of responding to extreme weather conditions for several months ahead, and is expected to be utilized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onthly dam operation plan at the end of each month.

      • O2O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부동산 앱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정재원 강남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 시대에서 모바일 시대로 전환됨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제공하기 위한 환경을 갖추는 것보다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환경을 갖추기가 더욱 쉬워짐에 따라 인터넷을 이용하면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던 것들이 모바일에서 가능․해결되었고, 모바일 서비스 시장도 급격하게 성장하였다. 또 인터넷에서 제공되던 콘텐츠들이 모바일에서도 제공됨은 물론 사용자의 이용에 최적화되면서 인터넷보다 더욱 편리한 환경이 만들어졌다. 콘텐츠의 다양화와 발전으로 사용자는 인터넷보다 더욱 고도화된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게 된 것이다. 모바일 서비스의 질이 크게 발전되고 향상되면서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려는 사용자의 수 또한 매우 증가하면서 더욱 쾌적한 환경에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는 곳을 찾아다니는 ‘와이파이 유목민’까지 생겨났다. 이제는 모바일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면 일상생활에서 불편함을 느끼는 수준에 이를 정도로 모바일이 우리들의 삶에 굉장히 밀착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를 반영하여 부동산 분야에서도 소비자에게 고도화된 부동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오프라인에서 이루어지던 기존의 거래 방식에서 벗어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의 연결 또는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의 연결이 모두 가능한 O2O 서비스와 결합하여 새로운 거래 방식인 부동산거래 전자계약 서비스, 모바일 부동산 거래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되었다. 그리고 모바일을 통한 이용에 최적화된 하나의 서비스 및 수단으로 모바일 부동산 앱까지 등장하게 되었다. 하지만 정부에서는 이처럼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O2O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부동산 앱과 관련한 법과 제도가 구축되지 못해 범죄 행위를 한 사용자에게 강력한 처벌을 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되지 못하고 있어서 선량한 소비자에게 피해가 발생하고 있음에도 이를 구제할 수 있는 방안 및 피해에 상응하는 보상 대책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O2O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부동산 앱의 현황을 파악하여 모바일 부동산 앱을 이용하면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O2O 서비스를 이용한 모바일 부동산 앱의 활성화를 위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데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O2O 서비스 및 모바일 앱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통해 O2O 서비스 및 모바일 앱에 관한 기초적인 이론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모바일 앱과 관련한 법․제도와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 현재 운영 중인 공공․민간의 모바일 부동산 앱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모바일 부동산 앱과 관련하여 앞서 분석한 내용을 정보, 운용 구조, 법․제도적 관점에서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으며, 최종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 부동산 앱을 활성화시킬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changes from the Internet to Mobile age has made a more favorable environment to mobile services fulfilling the necessary conditions for the Internet, and the service market using mobile has rapidly increased all over the society. Not only the contents that were provided on the Internet has been offered, but also they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than the Internet. More diversified and advanced contents made users get much more advanced services than the services provided by the Internet. Along with the increasement of mobile users, ‘Wi-Fi nomads’ are looking for places where mobile services can be provided freely in a more pleasant environment. The mobile is becoming very close to our lives. The real estate sector also experiencing such a drastic change. The existing offline-oriented trading is transferring to electronic contract transactions. A mobile-oriented real estate transaction, so called mobile real estate apps based on O2O services is becoming a service and means that optimizes mobile environment. They are making offline-to-online or online-to-offline transactions commonplace. However, the government has not kept up with this rapid change, and individual legal systems have not checking directions with regard to mobile real estate apps using O2O services. In addition, measures to help victims and compensation plans for damages due to the insufficiencies of the system have not been prepared. Apart from this, strong punishment is necessary for users who commit criminal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rovement plan to revitalize mobile real estate app using O2O services through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mobile real estate app and analyzing the problems that are occurring when using mobile real estate app. For doing this, this study reviewed the fundamentals of O2O services and real estate mobile apps. Then analyzed the current real estate apps with regard to the information, the operation structure and the legal system. Lastly, this study suggests the revitalization plan of mobile real estate apps to solve and alleviate the current hurdles of the mobile real estate apps from the view point of real estate market .

      • 표면 핵 생성의 준 안정영역 동적 거동에 근거한 최적 냉각 곡선 : KCl 회분 냉각 결정에서의 응용

        정재원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cooling crystallization process, it is important that we get an adequate cooling scenario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is final crystal product.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predict the dynamics of meta-stable limit and to present the optimum cooling strategy in given conditions. We confirmed dynamics of meta-stable limit of KCl from related experiments through proposed meta-stable limit dynamic model and we could predict the variation of concentration in solution and crystal growth through the model of crystal growth rate. From this fact, the operation region which does not violate meta-stable limit in order to grow the injected seed would be established and optimal parameter of model for crystal growth is estimated. So, we obtained optimum cooling curve in the form cooling rate or temperature through proposed model. The fact that the performance of this optimum cooling strategy which is calculated using the solution of optimization problem is more effective than any other cooling strategies is verified through application for each cooling strategy. 냉각 결정화에 있어서 냉각 전략은 최종 결정 생산물의 특성에 많은 영향을 주게 되며, 그로 인하여 냉각 전략은 냉각 결정화 공정에 있어서 고려되어야 할 매우 중요한 인자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주어진 계 내에서의 준 안정영역 동적 거동을 예측하고, 주어진 조건에서 가장 최적화된 냉각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고안된 준 안정영역 모델을 제안하여 실험을 통한 KCl의 준 안정영역의 유동성향을 파악하고 결정 성장 모델을 통하여 용액 내부의 농도 변화 및 결정 성장을 예측하였다. 이로부터 준 안정영역을 침범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결정을 성장 시키기 위한 공정의 운전 영역을 확립시킬 수 있었으며, 또한 농도변화 예측에 따른 결정 성장 형태의 예측에 대해서도 정해진 모델의 최적 매개변수 값을 구하고 제안된 모델들을 이용하여 최적화된 형태의 운전 방법을 냉각 곡선의 형태로 제시할 수 있었다. 이렇게 구한 최적 냉각 곡선을 실제 반응기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다른 냉각 곡선 및 냉각 전략들과 비교하여 최적 냉각 곡선의 성능이 다른 냉각 전략들에 비해 좋음을 검증하였다.

      • 업무환경 시스템가구의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 연구 : 선정된 글로벌 제품의 비교분석

        정재원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난 20세기는 산업화와 자본주의의 시대로서 대량생산을 위한 규격화와 평균화, 획일화와 다수를 위한 가치만이 중시되어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단순히 평균적인 디자인이었다. 반면 21세기는 정보화와 세계화로 인해 다양한 지역과 계층, 문화가 서로 공존하며 살 수 있는 소수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의 조건이나 요구, 개성까지도 수용하면서 편의성을 고려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것들을 모두 수용한 디자인이 바로 유니버설 디자인이다.유니버설 디자인은 인간의 존엄성과 다양한 사용자를 포용할 수 있는 21세기의 사용자 중심적인 창조적 패러다임으로써 인간의 삶을 보다 인간 중심적으로 이끈다는 의미를 새롭게 부여하고 사용자 요구를 만족시키는 환경디자인과 제품디자인의 개발을 위해 필수 불가결한 디자인 흐름이다. 현대의 모든 사람들은 환경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즉, 일시적 장애상황에 처한 일반인, 또는 장애를 지닐 가능성이 언제나 있는 잠재인으로서의 일반인을 포함하여 이러한 신체적 능력을 특수한 상황으로 보는 것이 아닌 사람마다 가지고 있는 개별적 특성으로 보는 시각에 기인하여 다양한 신체크기와 능력, 그에 따른 나이,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일시적 장애까지를 그대로 넓게 수용하고 인간을 평등하게 포용하는 사회적, 문화적 인간 진위적인 평등을 실현하는 ‘문화적 부흥운동’의 흐름으로 진행이 되어가고 있다. 21세기는 이로부터 인간성을 다각적으로 회복하고 그 가치를 재발견하며 증진시키는 문화적 흐름을 기대, 예상하게끔 한다. 현대의 사무 근로자는 하루 활동 시간의 70-80%를 업무공간에서 보내고 있다. 그러므로 업무 공간에서는 이제 다양한 연령과 다양한 신체 조건을 가진 사람들이 공존하게 되었고 그들의 요구 및 행위 등도 또한 전례 없는 다양성을 보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다양성을 고려하여 그들이 쾌적하고 효율적인 공간에서 최대한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의 필요성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문제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업무공간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은 아직은 미약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리의 개발을 위한 보다 심층적인 노력을 통해 발표된 Lee’의 원리를 근거로 세계화시대에 맞게 세계적인 글로벌제품을 업무환경 시스템가구와 의자를 통하여 포괄적으로 비교 분석해보고, 유니버설 디자인 발전의 흐름에 보다 잘 적응하여 사용자 스스로 그들이 사용하고 있는 가구에 대한 전반적 평가를 통한 글로벌적 제품의 개발을 유도하며, 또한 근무자들이 쾌적하고 효율적인 공간에서 최대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전보의 지식기반을 위한 정리작업이 필요했다. 그 제품의 디자인 특성들을 포괄적으로 파악하여 이들의 디자인 특성을 구조적 틀에 맞추어 문헌적으로 고찰하고, 사용자의 사용 후 평가조사를 통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측조사 대상으로는 글로벌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서울시내의 4개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방식을 통해 Lee의 최근 9가지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인 Universal의 U, N ,I, V, E, R, S, A, L 의 9자, 즉, Usable(사용하기 쉬운), Normalizing(차별화가 아닌 정상화를 도모하는), Inclusive(다양성을 포용하는), Versatile(다국면성을 지닌), Enabling(가능성을 진작시키는), Respectable(존중심을 느끼게 하는), Supportive(활동을 지원하는), Accessible(접근이 용이한), Legible(이해하기 명료한)의 원리를 중심으로 각 원리를 세부항목으로 나누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글로벌 제품의 사용자 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 하에 제시된 연구결과로 업무공간 속 제품에서 나타난 유니버설 디자인적 종합적 특성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업무환경의 시스템 가구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 개발된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잦은 업무변화에 따른 이동을 원활히 수용하고 빠른 재조합을 통해 업무를 신속하게 대처하게하는 (Versatile) 디자인으로 스틸케이스사의 번들 콜렉션은 이러한 기능성을 잘 살린 제품으로 다양한 업무에 따른 새로운 레이 아웃을 신속하게 창출하기 쉽게 고안되었다. 간단한 컴포넌트의 재조합으로 리셉션과 같은 새로운 업무영역을 구축할 수 있는 (Inclusive), 높낮이 조절기능과 신체적 조건에 맞추어 탈•부 착하기 쉽게 재조립함으로 업무를 증진시키는 (Enabling), 그리고 조명장치나 작업대의 기울기 조절, 각종 사무용 액세서리등을 통해 활동을 지원해주는 (Supportive) 그리고 판넬과 다리를 통해 전선의 처리 방식(Legible), 작업대 어디서나 보이스 데이터, 전원의 아웃렛과 수납공간 접근이 용이한 (Accessible)을 중점적으로 개발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고 있는 실정이다. Usable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사용이 편리하나 Legible의 항목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힌트는 아직 전반적으로 미약하나 허먼밀러사의 리졸브 시스템은 자신의 자리를 명기하는 악세서리가 잘 고안되어져 있다.둘째, 업무환경의 의자에서 가장 중점을 두어 개발된 유니버설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면 신체적 사이즈에 맞추어 크기를 선택할 수 있는 허먼밀러사의 에어론 체어와 아쿠아 체어의 사용자 중심적 특징, 신체적 조건에 맞게 의자의 깊이와 높이조절장치, 팔걸이 각도와 높이 및 좌판의 폭조절 (Normalizing), 업무능력을 배양해주는 좌판각도조절 (Enabling), 허리의 지지기능과 장력조절장치를 통한 사용자의 움직임을 원할히 지원하고, 공기의 순환적인 면을 고려하여 오랜시간 지속적인 업무를 쾌적하게 지원해주며 (Supportive), 작업이나 휴식시,. 대화시 다양한 행동을 유연하게 수용해 줄 수 있는 각도 조절 (Inclusive), 사용조절장치에 대한 접근이 용이하게 디자인 된 (Accessible), 그리고 사용하기 쉬운 (Usable)에 대한 개발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개인업무나 협력업무에 관한 변용사용이 가능한 (Versatile)과 사용시 호감을 느끼는 (Respectable)과 특히,사용방법의 이해가 명료한 (Legible)등에서는 헤이워스의 룩체어에서 나타나는 손잡이 부분의 양각 지어진 버턴을 통해 시각장애인까지도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도운 측면의 디자인을 찾아 볼 수 있다. Global Total Office Seating사의 의자에서는 연속적 장력조절이 되는 장치 (Synchro Tilt Adjustment)의 개발로 사용자의 움직임의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수용하도록 디자인 되었다. 이러한 제품에서 나타난 특성을 살펴보면 각 사마다 특징지어지는 면이 있으나 고루 사용자의 편의에 중점을 두어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시 불편을 최소화하여 업무시간에 지속적인 업무의 효율을 극대화 하기위해 개발되어짐을 알 수 있다. 세째, 사용자를 통한 사용후 평가의 결과는 연구의 분석기준이 되는 아홉가지 원리중 두드러지게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항목은 Versatile과 Inclusive항목으로 조사되어 현사용자들이 사용함에 있어 Versatile면에서 높은 만족도를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결과에 반해 Accessable, Supportive는 시급한 보완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사용후 평가를 통해 사용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시된 업무환경에서의 사무실 근무자들이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그들이 근무시 정상적인 근무가 될 수 있게 업무환경 기기를 보다 정확히 인지하여 다양한 기능을 원할히 사용할 수 있는 것과, 다양한 업무환경의 변화로 인한 협력 업무와 개인업무로의 회기를 순발력있게 수용대처하는 업무환경의 레이 아웃의 원할한 변형 가능 기능, 그리고 그들이 하고자 하는 일에 대한 가능성을 진작시키는 항목, 그들이 좋은 환경에서 일하고 있다는 자부심, 업무환경을 통한 그들의 활동을 지원 받는일, 그들이 사용 하고자 하는 제반 기기들에 대한 접근의 용이함, 사용하고자 할 때 사용을 명확히 알 수 있는 이해의 명료성 등이 모두 중요하다고 사용자 스스로 그들의 사용자에 대한 충분한 인지를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추후 사용자 스스로 그들이 원하는 사양을 선택하고 나아가서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개발시 중요한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요인으로 작용 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사회에 다변화에 따른 양상으로 문화와 디자인적 흐름에 새로운 필요성이 대두된 이래 유니버설 디자인 이론의 중요성을 업무공간 가구에 국한하여 그 제품의 기능에 따른 유니버설 디자인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 연구자를 통한 제품의 분석은 다분히 주관적인 분석이었음을 인정하나 그 분석의 틀에 준하여 제품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자 했다. Lee의9가지 원리는 서로서로가 수용 가능하고 배타적이지 않음을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각 항목에 의해서 간과 될 수 있었던 제품 안의 기능과 특성을 찾아보고 분석 함으로서 그 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예비 사용자나 기 사용자에게 그들의 필요에 따른 제품을 선정하거나 사용 할 때 필요에 따른 기능을 사용자 중심적으로 인지함으로써 사용할 때 그 기능등으로 인하여 업무적 지원을 받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실제 조사된 제품들은 최근 개발된 Lee’의 9가지 원리에 의해 개발되어진 설정틀에 의해 제품의 특성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얻어진 노력의 결과물 들이며 조사된 사례들이 나타내는 특성을 통해 제품디자이너나 사용자를 포함한 일반인에게 그들이 원하는 제품에 대한 이해를 보다 효율적으로 돕게 될 것이며 유니버설 디자인을 업무환경 시스템 가구에 의해 이해하는데 있어서 참고적인 틀이 될 것을 기대해 본다. 이에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다양한 사용자를 수용하며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제품들이 업무환경가구 뿐아니라 공공, 주거, 제품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된다면 보다 진정한 유니버설의 이해 아래 보다 낳은 환경이 우리 곁에 있게 됨을 확신한다. As the 20th century was an industrialization and capitalism epoch, the design has been just mere and average which has not reflected various user’s needs for, but made much account of the merit of majority for mess production. However, since the 21st century is an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era, people can coexist with people with different cultural or social backgrounds, and this created a demand for Universal Design, which accommodates minority’s conditions, requirements or individuality, considering its convenience at the same time. Universal Design is an indispensable design movement for environmental and product design that grant a new meaning of leading human life to more human oriented way, and satisfy user’s needs as a creative and user oriented paradigm of the 21st , that embraces human dignity and various users. It is being progressed as a ‘Cultural Revivalism’ and actualizes the social and cultural genuine human equality which embraces human-being equally and adapts different physical size, ability, age, temporary handicap that changes depending on situation. From this, the 21st century makes us to expect a diversified recovery of humanity, and rediscover and enhance the value of it. Workers in modern society spend 70~80% of their working time. Therefore, there are people in various age and physical condition coexist at the same time, and their request and behavior show distinctive variety which have no precedent. The needs for creation of pleasant and efficient environment for the various different workers can show their maximum ability, is a matter that can not be overlooked. Though, the current application status of Universal Design in real work places is yet very feeble. Thereb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global work-place system furniture and chairs by literature examination method and questionnaire survey to evaluate the furniture which have been being used according to Lee’s 9 principles of Universal Design, Universal (U, N, I, V, E, R, S, A, L : Usable, Normalizing, Inclusive, Versatile, Enabling, Respectable, Supportive, Accessible, Legible, which was stated recently with a dedicated effort in depth.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done by using SPSSPC + Statistic Package to understand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After understanding basic analysis of the frequency and percentage based on the relation between items and the principles, F-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used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inciples. With above two investigation methods, needs for consolidation work for creation of nice and affective environment where people can maximize their ability, and for active induction of development of globalized products. As a survey result presented based on this study’s purpose, the specific character of Universal Design from products in working environment is as below. Firstly, with the users’ evaluation which was done by the furniture users with questionnaire, it showed that Versatile and Inclusive were highly appraised among the 9 principles, the basis of this study’s analysis. Hence, current furniture users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 Versatile aspect. Whereas it was possible to interpretate that there is an urgent requirement for complementary study for Accessable and Supportive aspects. Nextly, the summary of what the users consider important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post evaluation of the furniture usersis as follow. They are acknowledgement of work environment facility for their normal duty, flexibility to adapt converting task types between cooperative and individual task due to various changes of work environment, items which promote the potential of the task, pride of working in a nice place, granting supports for the users activities by the work environment, easy access to facilities the users intent to use, clarity of understanding level for the items to use Ever since a new requirement for cultural and design-wise movement was risen as an aspect of the social diversify, the importance of theory of Universal Design was studied by examining special value of universally designed products for the functions within office place furniture only. Although it’d be possible that the product analysis through researcher could be quite subjective, it was attempted to analyze the special characters of the products by following assessment method that decently reflects the principle. It was found that the 9 principles reflect each other without being exclusive through this study. However, by searching and assessing function and specific character within product, it is expected that future users would select the product for its function and be able to use enough of the function.The studied products are result of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products based on a method developed by Lee’s 9 principles, and with distinctive character from studied cases, it would help people including product designers and users to understand the products more effectively.Also, it is expected Universal Design would become a good reference method for future system furniture development with sufficient understanding of Universal Design in work places with various employees. Therefore, it is assured better environment would be around us if there were products for various users and diversify needs not only in work places, also public, residential environment via continuous study with a genuine appreciation of Universal Design..

      • 주택임대차보호법이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

        정재원 세종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인 주택정책이 주택임대시장인 서울아파트 전세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책효과를 실증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0년 2월∼2021년 1월의 정책 시행 후의 실험집단과 정책시행 이전인 2019년 2월∼2020년1월과, 2018년 2월∼2019년1월을 통제집단으로 구분하고, 사전사후 검증 설계방식에 더미변수를 사용한 이중차이분석법을 활용하였다. 이중차이분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정책적용집단과 미적용집단을 구분할 수 있어야하는데 개정된 주택임대차보호법은 전국적으로 동시에 시행됨에 따라 각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2020년과 2019년, 2020년과 2018년을 비교했을 때 서울 아파트 전세가격에 있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전세보증금 평균, 전세보증금/㎡ 평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20년과 2019년을 비교했을 때 아파트 전용면적은 집단 간 차이에서 실험집단이, 아파트 경과년수는 집단 간 차이에서 통제집단에서 평균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과 2018년을 비교했을 때 아파트 전용면적은 집단 간 차이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평균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파트 경과년수는 평균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2020년과 2019년을 비교했을 때 서울아파트의 전세보증금에 대한 이중차이분석결과 통제변수를 적용했을 때 평균 전세가격 차이가 더 큰 결과가 도출되었다. 2020년과 2018년을 비교했을 때 통제변수를 적용했을 때의 평균 전세가격 차이가 더 작게 나타났다. 넷째, 2020년과 2019년을 비교했을 때 서울 아파트 전세보증금/㎡의 이중차이분석에서 통제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 평균 전세보증금/㎡의 차이가 더 작게 나타났다. 구별로 보면, 강남구 ,마포구, 종로구가 전세보증금/㎡의 평균 차이가 없었고, 면적구분별로는 전세보증금/㎡의 평균 차이가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2020년과 2018년을 비교했을 때 서울 아파트 전세보증금/㎡의 이중차이분석에서 통제변수를 사용하여 분석한 경우 평균 전세보증금/㎡의 차이가 더 작게 나타났다. 구별로 보면 강서구, 은평구, 종로구가 전세보증금/㎡의 평균 차이가 없었고, 면적구분별로는 전세보증금/㎡의 평균 차이가 있는 결과가 도출되었는데 다만 60㎡미만에서는 평균차이가 같았다. 즉, 서울 아파트 전세 가격은 개정된 임대차보호법 시행으로 기타 요인과 상관없이 전세 가격에 양(+)의 영향이 나타났고, 통제변수(구, 면적)를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구별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지역도 있었다. 다른 통제변수인 면적별로 구분한 결과는 모든 면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 주택임대차시장에 주택정책 도입은 그 취지나 목적도 중요하지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우선 고려해야하고, 그 시기를 정확히 판단하여 정책시행을 해야 한다는 점을 연구의 시사점으로 도출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