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화를 통해 본 서양 역사에서의 여성 : 중등학교 여성사 수업의 실제

        정윤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동안 학생들은 역사 속에서 여성이 역사의 한 부분이라는 점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리고 설사 역사 속 여성을 알더라도 남성에 필적할 만한 뛰어난 여성 영웅이거나 왜곡된 이미지의 여성인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상황에서 현재 역사 교육에서는 여성사 수업이 제대로 실천되지 못하고 있다. 이 점에 주목하여 역사 속 여성의 삶과 역할에 대해 학생들이 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안 개발이 본 논문의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2차시 연속의 특집 형태의 여성사 수업을 기획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낯설고, 어려울 수 있는 여성사를 보다 쉽고, 효과적으로 소개하기 위한 방편으로 영화를 활용하였다. 역사 속의 실존 인물과 영화 및 문학작품 속의 등장인물이 수업의 주제가 되었다. 1차시 수업에서는 여성사의 연구 동향을 간략히 소개하고, 고대·중세의 지배층 여성과 유명한 여성의 활약을 담은 영화를 감상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은 개인별 일기쓰기를 통해 스스로 영화 속 주인공이 되는 경험을 하였다. 이어서 2차시 수업에서는 근·현대 일반 여성의 경험을 주제로 한 영화를 감상하였고, 이후 모둠별로 주어진 주제에 대한 의견을 공유하는 토의 활동을 전개하였다. 수업 후 본 연구자는 학생·교사 대상의 설문 내용, 학생들이 제출한 답안, 그리고 별도의 focus group과의 면담 내용 등을 분석하여 다음의 사실을 확인하였다. 첫째, 본 수업으로 학생들은 고대-중세-근대-현대의 시대별 여성의 모습을 파악 하면서 적어도 여성의 역사에 대해 관심과 필요성을 가졌다는 사실이 고무적이다. 둘째, 학생들이 ‘과거의 여성이 누구였는가?’ 라는 의식에서 한층 발전하여 ‘여성이 어떤 모습이었는가?’ 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학생들의 역사 속 여성은 그동안 주로 억압적인 지위에 놓인 수동적인 존재에 불과했다. 그러나 수업으로 학생들의 이러한 인식이 전환되면서 여성의 주체적이고, 적극적인 삶의 면모를 깨달을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활동지의 답안을 작성하고, 글쓰기 및 토의 활동을 전개하면서 스스로 역사 해석의 주체가 되면서 자기 성찰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Many students have often overlooked and misunderstood historical females because history education has focused on distinguished male heros in history. Also, despite knowing historical women, students think that they were extraordinary female who is comparable to great male heros or typical woman in the past who has traditional quality to be a good mother and wife. In this situation, current history education has some limits on giving exact and unbiased information on women's history to students. So this study finds the way to encourage students to have right views about historical females not man- focused views in histo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women's history teaching model through films, which can offer an opportunities to recognize the lives and roles of women in history. The subjects were 200 girl students who attended academic high schools at Seoul. Recently various history teaching models through films have been attempted and they have shown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history more effectively through films. As many students were unfamiliar with women's history, in this study, films were a teaching material used to help students understand women's history easily and effectively. The theme of lessons was people of existing in history and characters of literatures and films. After seeing the films, the subjects were supposed to answer some questions on the worksheet which I had prepared in advance, to keep a diary individually and to be under discussion as a group. In class, students' thoughts and opinions were expressed by research tools like questionnaires and writing activitie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showed us that students cam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need of learning women's history and have their own views of the women's history. Secondly, the students enlarged and deepened their knowledge acquired earlier classes by applying it to the theme through films. Their knowledge and thought of women in history are expanded from 'who were women in history?' to 'what women were like in history?'. At first, the students considered women in the past as passive existence in repressed status in male-focused society. But from this study, the students can begin to accept women as active existence put on her ego. Thirdly, the students can take the initiative in doing for interpreting history and have an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mselves as women. Consequently it is also proved that this teaching method is effective in helping students understand not only the subject itself but the different aspects of historical events. On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the majority that took part in the research are girl students. To understand the history correctly, a class that focuses on boy students should be needed. Various lesson models, teachers' interests, and active particip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concerning women's history are also vital.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eachers' constant efforts and interests in the education of the women's history should be reflected in actual lesson. This education is expected to play a vital role in advancing new history education.

      • 보육교사와 영아의 애착안정성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정윤주 韓國外國語大學敎 敎育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아들에게 보육교사와의 애착안정성 정도가 또래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울시 도봉구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에서 만 1세와 만2세의 영아를 지도하는 33명의 담임교사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영아의 또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114명의 영아를 지도하는 교사들이 또래상호작용 설문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보육교사가 응답한 결과에 따르면 영아의 안정애착 비율은 73.7%, 불안정애착 비율은 26.3%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개인적 변인에 따른 응답을 요약하여 살펴보면 연령이 34세 이하이고, 학력이 대졸이나 대졸이상이며, 경력이 6년 이상에, 기혼이며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다면 애착안정성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정도로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애착안정성에서 또래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지를 알아본 결과 영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 상호작용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애착안정성이 또래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방해적 상호작용(F=6.96, p<.001)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긍정적 상호작용인 친사회적 상호작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와의 애착안정성이 높을수록 영아의 또래상호작용 능력이 빠르거나 정상 발달 범위 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넷째, 보육교사-영아간 애착안정성과 또래간 상호작용의 하위범주와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보육교사에 대한 영아의 애착안정성은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에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부정적 상호작용인 방해적 유형에서도 매우 낮은 정적상관을 보였다. 이는 아마도 응답 보육교사들이 방해적 상호작용도 영아의 사회성 및 심리 발달과 관련이 있는 일종의 중요한 상호작용으로 간주하고 응답한 결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에 따라 본 연구는 보육교사-영아의 애착이 사회ㆍ정서적 문제행동과 긍정행동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준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육서비스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자 한다. 또한 보육교사-영아의 안정애착이 또래상호작용에 지대한 영향을 주기에 영아들이 안정적이고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을 하도록 보육교사는 부단한 노력을 기울여야 함이 마땅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보육교사는 영아들과의 생활에서 단지 직장인으로서 하루하루 영아를 대하는 것이 아닌 영아의 성장과 발달에 큰 영향력을 끼치는 자로써의 막중한 사명감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degree of attachment stability to childcare teachers on peer interaction. To accomplish this purpose, 33 homeroom teachers who were teaching infants aged 1 and 2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survey at the day care center in Dobong-gu, Seoul.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peer interaction of infants, 114 infant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peer interaction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responses of the child care teachers, the stable attachment rate of infants was 73.7% and the unstable attachment rate was 26.3%.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stable attachment among the groups, favoring the group of people who were 34 years or less, graduated from colleges or graduate schools, had more than 6 years career experiences, were married and worked in national institutes. Thir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er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gender of the infan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disturbing interaction (F = 6.96, p <.001), which is a subcategory of peer interac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prosocial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igher the attachment stability to the child care teachers, the faster the development of child's peer interaction ability. Fourt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attachment stability and the subcategories of peer interac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achment stability and the negative type of disturbance peer interaction. It may be inferred that the teacher-respondents in this study might have regarded the disturbing interaction as a kind of important interaction related to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of the inf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ttachment of childcare teacher has the strongest influence on infant’s problematic and positive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s. Therefore, in order to activate the functions of the child care service and improve the quality level, the government needs to support childcare teachers. In addition, it can be said that the childcare teachers should make every effort to ensure stable and positive peer interaction of the infant. In conclusion, the childcare teachers should have a great sense of duty as a person wh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infant.

      •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후어휘 음운현상 분석

        정윤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People have studied English for about 10years or more. However, They have a difficulty communicating in English. One of the reasons is that English teachers and students in Korea are not accustomed to post-lexical phonological phenomena which occur in native speakers' normal speech. These phenomena include linking, constraction, palatalization, and assimilation, etc.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lexical and post-lexical phenomena of middle school English textbooks. This study develops as follows: in chapter 2.1, It researched lexical phonology focusing on strata of lexicon. The model of the lexicon in lexical phonology of kiparsky(1982) is composed of some levels and phonological processes and morphological processes that interact each other within each level. It also analyzed lexical phonological rules and post-lexical phonological rules connected with prosodic strata. Voicing, devoicing, nasal assimilation, palatalization, sibilation, insertion, deletion, flapping, and dentalization are analyzed in terms of lexical phonological rules. Glottalization, Soundthern Paiute, l-velarization, aspiration, v-deletion, s/z -palatalization, linking-r, intrusive-r are analyzed in terms of post-lexical phonological rules. In chapter 2.2, post-lexical phonological rules in English textbooks and CD-Roms are analyzed by Praat, which is a free scientific computer software program for the analysis of speech in phonetic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post-lexical phonological phenomena can be expected and taken place. Therefore, to improve English conversation, EFL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learn lexical phonology and post-lexical phonology on the basis of phonetic and phonological knowledge. 한국인은 10년 혹은 그 이상 영어를 공부한다. 그러나 우리는 영어로 의사소통 하는데 있어 어려움을 겪는다. 주요한 이유 중 하나는 한국의 영어교사들과 학생들이 원어민이 이야기할 때 나타나는 후어휘적 음운현상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음운현상에는 연음, 축약, 구개음화, 동화 등이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중학교 영어교과서의 어휘 음운현상과 후어휘 음운현상을 분석하는데 있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전개된다. : 제 2장 1절에서는, 어휘부의 층위에 중점을 둔 어휘음운론을 연구하였다. Kiparsky의 어휘음운론에서 어휘형태론/음운론 모델은 3층위로 구성되어 있으며 동일 층위에 속하는 형태규칙과 음운규칙들은 순환적이며 서로 상호작용한다. 본 논문은 또한 어휘 음운현상과 운율 층위와 연계하여 후어휘 음운규칙의 적용영역에 대해 알아보았다. 어휘적인 측면에서는 유성음화, 무성음화, 비음동화, 구개음화, 치찰음화, 삽입, 탈락, 조동사 축약현상, 탄설음화, 치음화를 분석하였다. 후어휘적인 측면에서는 성문음화, 공명음의 무성음화, l-연구개음화, n-동화현상, 기식음화, 이중모음 단음화, v-삭제, s/z 구개음화, 단음절 규칙, 탄설음화, r-연결과 삽입을 분석하였다. 제 2장 2절에서는 중학교 3학년 5종교과서(교학사, 동화사, 중앙, 지학사, 천재)의 구개음화, 조음위치 동화, 탄설음화, 무성음화, 비음동화, 탈락 등 후어휘 음운현상을 Praat를 이용하여 스펙트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후 후어휘 음운현상 적용 여부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음향 분석 결과, 예상되었던 음운 현상이 실제로 발생하였음을 스펙트로그램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자연스러운 의사소통을 위해서 음성, 음운적 지식을 바탕으로 어휘 음운현상과 후어휘 음운현상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이 중년기위기감에 미치는 영향 : 은퇴태도의 매개효과

        정윤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urden of supporting adult childr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the middle-aged crisi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middle-aged men and women based in Seoul and Gyeonggi-do. The survey was conducted online for about a week from October 19 to October 25, 2022. The subjects conducted a survey of 380 people aged 50 to 64 and with adult children. A total of 380 copies of the data were collected. There were no non-responses and no responses were omitted in the survey. Therefore, a total of 380 copies of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6.0 program.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urvey,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Process Macro Model 4, and bootstrapping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sults was as follows.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middle-aged crisis, and retirement attitude which are the main variables of this study, was analyzed. As a result, first of all, the burden of supporting adult childr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the middle-aged crisi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Ne t, the economic support burden, instrumental support burden, and emotional support burden, which are sub-factors of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l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middle-aged crisis. In addition,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retirement attitu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However, the economic support burden and retirement attitude, which are sub-factors of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were not significant. The instrumental support burden and retirement attitu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The emotional support burden and retirement attitude also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Finally, it showed that retirement attitude and middle-aged crisi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Ne t,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middle-aged crisis, and retirement attitude. The analysis results was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the middle-aged crisis had a positive effect. The economic support burden, a sub-factor of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middle-aged crisis. However, the instrumental support burde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iddle-aged crisis. The burden of emotional suppor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middle-aged crisis. Ne t,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retirement attitude had a negative effect. However, the economic support burden and instrumental support burden, which are sub-factors of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retirement attitude. The burden of emotional support showed a negative effect on retirement attitude. Finally, it was found that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ttitude and middle-aged crisis had a negative effect. Finall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retirement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and the middle-aged cri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retirement attitud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bootstrapping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comprehensively considered the situations of adult children and middle-aged parents by defining the adult child support burden perceived by middle-aged parents. It is also meaningful by deriving results on the relationship with the middle-aged crisis and the impact of retirement attitudes. Through this study, it is e pected that basic data can be provided for the middle-aged generation e periencing crisis due to the burden of supporting adult children, thereby forming evid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afety net systemdue to policy development by counseling institutions and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Through this study, it is e pected that basic data can be provided for the middle-aged generation e periencing crisis due to the burden of supporting adult children, thereby forming evidence for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afety net system due to policy development by counseling institutions and related government departm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중년기위기감과의 관계에서 은퇴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서울·경기 지역 소재의 중년 남녀를 대상으로 실시했다. 대상자들은 만 50세 이상 만 65세 미만이며 성인자녀가 있는 38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했다. 설문은 2022년 10월 19일부터 10월 25일까지 약 일주일간 온라인을 통해 실시되었으며 총 380부의 자료를 수집했다. 무응답 및 응답 누락은 없었기 때문에 총 380부의 자료를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Process Macro Model 4모델과 함께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주요 변인인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 중년기위기감, 은퇴태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우선,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중년기위기감은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지원부담과 도구적 지원부담, 정서적 지원부담 모두 중년기위기감과 정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또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은퇴태도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지원부담과 은퇴태도는 유의하지 않은 결과가 나타났다. 도구적 지원부담과 은퇴태도는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정서적 지원부담과 은퇴태도 또한 부적상관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은퇴태도와 중년기위기감은 부적상관을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 중년기위기감, 은퇴태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중년기위기감은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지원부담은 중년기위기감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도구적 지원부담은 중년기위기감과 관계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정서적 지원부담은 중년기위기감에 정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은퇴태도의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의 하위요인인 경제적 지원부담과 도구적 지원부담은 은퇴태도에 유의하지 않은 영향을 나타내었다. 정서적 지원부담은 은퇴태도에 부적 영향을 나타내었다. 마지막으로 은퇴태도와 중년기위기감의 영향관계는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적으로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과 중년기위기감과의 관계에서 은퇴태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은퇴태도가 부분 매개효과를 가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매개효과의 통계적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해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중년 부모가 지각한 성인자녀지원부담을 정의하여 성인자녀와 중년 부모의 상황을 포괄적으로 고려하였다. 또한 중년기위기감과의 관계 및 은퇴태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결과를 도출해냄으로써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성인자녀지원에 대한 부담감을 느낌에 따라 위기를 경험하는 중년세대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상담 기관 및 관련 정부부서의 정책 개발을 통한 사회적 안전망 시스템 구축에 근거자료를 형성할 수 있음을 기대한다.

      •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교사역할에 대한 서울시 특수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필요도 인식 및 실행도 비교

        정윤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은 장애아동의 성공적인 통합을 위해서 필수적인 요소로 강조되고 있다. 장애아동에 대한 통합교육은 법적, 사회·윤리적, 교육적 측면에서의 그 당위성이 주장되어 왔으며 현재는 장애아동이 통합학급의 수업시간에 단순히 함께 있는 물리적 통합이 아니라, 통합학급에서 일반아동과 상호작용하며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사회적 통합과 통합학급의 수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교수적 통합이 강조되고 있다. 이렇게 사회적·교수적 통합이 강조됨에 따라 장애아동의 통합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통합학급 교사와 특수학급 교사들이 전문적인 지식과 교수기술들을 보완하기 위해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할 필요성 또한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성공적인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에 대해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필요도 인식정도와 실제로 수행하는 정도를 조사하여 비교해봄으로써 현재 장애아동 통합교육에서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는 교사간 협력의 필요성을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으며, 특수학급 교사집단과 통합학급 교사집단 간에 필요도 인식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또한 그 필요성을 인식하는 만큼 실제 교육현장에서 교사들이 협력적인 역할들을 실행하고 있는지, 특수학급 교사집단과 통합학급 교사집단 간에 실행도에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간의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사간 협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 특수학급이 있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250명과 통합학급 교사 250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은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적인 교사역할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02부(80.4%)의 설문지가 회수되었으며, 특수학급 교사 189부, 통합학급 교사 177부를 합하여 총 366부의 설문지가 결과 분석에 사용되었다.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교사역할에 대한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 각각에 대해 특수학급 교사집단과 통합학급 교사 집단 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사용하였고, 특수학급 교사집단과 통합학급 교사집단 내에서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종속표본 t 검정을 사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에 대한 필요도 인식에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두 집단간 필요도에 대한 인식에서 특수학급 교사집단이 통합학급 교사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집단이 통합학급 교사집단보다 실제 수행정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두 교사집단 모두 대부분의 역할에 대한 실제 수행정도는 낮게 나타났다. 셋째,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집단 내에서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 수행의 필요도는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제 수행수준은 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집단 내에서 필요도 인식과 실행도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대부분의 통합학급 교사들 역시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역할 수행의 필요도는 비교적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제 수행수준은 그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 모두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협력적인 교사역할을 수행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필요성 인식보다는 낮은 수행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교사역할의 수행정도를 높이기 위한 구체적이고 적극적인 방법들이 제시되어야 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적절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통합교육 실행의 협력적인 교사역할 수행을 위한 지원이나 프로그램 등을 계획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compare the perceptions of a sample of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elementary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 regard to perception and actual performance of collaborative roles for including students with disabilities. 189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177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cited the majority of collaborative roles as being ones that should be performed often or alway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nded to assign higher ratings to collaborative roles than should be general education teachers. Second,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formed higher ratings to collaborative roles rather than general education teachers.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cited the majority of collaborative roles as being ones that performed seldom. Third, the major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all roles as being ones that should be performed often or always, but they performed seldom. Forth, the majority of general education teachers indicated that all roles as being ones that should be performed often or always, but they performed seldom. In conclus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bo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general education teachers cited all roles as being ones that should be performed often or always, but in actually they performed seldom. Likewise, items that received relatively higher ratings on the actual scale also tended to receive relatively higher ratings on ideal sca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a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wher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nd where they would like to have been at least in terms of the collaborative roles included in this study.

      • 베트남 뚜엔꽝성 농촌지역 공중보건 증진을 위한 보건소 역량강화

        정윤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베트남 농촌 뚜옌꽝성 3곳의 보건소에서 외래환자의 의료이용률을 조사하고, CMS의 인프라, 전문 기술 및 서비스 태도 측면에서 만족도 분석하였다. 외래 환자에 대한 CMS의 의료 인력. 단면 연구는 베트남 Tuyen Quang 지방의 농촌 지역(Binh Yen, Vinh Loi 및 Thang Long communes)에 있는 3개의 CMS에서 만족도 평가를 위해 총 300명의 설문조사(각 CMS에서 100명 참여)를 하였다. 조사방법은 CMS 건물의 시설에 대한 외래 환자의 만족도, 환자 및 의료 서비스에 대한 CMS 의료진의 전문 기술 및 서비스 태도와 관련하여 설문지를 사용한 대면 인터뷰를 하였다. 신축 건물 CMS와 관련된 외래 환자 만족도 인식, CMS에서 제공되는 외래 환자 및 의료 서비스에 대한 역량강화 프로그램 추진 후 CMS 의료진의 전문 기술 및 서비스 태도를 알아보기 위해 기술 분석을 수행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90%가 신축건물 CMS에 매우 만족하고 86%가 외래 환자에게 의료를 제공하는 전문 기술에 만족했으며 응답자의 88.6%가 서비스 태도에 매우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래환자에게 진료 및 진료를 제공하는 CMS 의료진 중 85.3%가 CMS에서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에 만족했으며, 84.3%가 CMS 건물을 신축한 후 기존 CMS와 비교하여 의료 서비스에서 차이를 느끼며 CMS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의료 장비 만족도는 84.6% 이었다. KOICA 및 베트남 보건부와 협력하여 "베트남 Tuyen Quang 지방 농촌 개발 프로그램"을 시행한 역량 강화 후 베트남 Tuyen Quang 지방 농촌 지역 CMS의 공중 보건을 향상시킨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 프로그램이 완료된 후 의료 시설에 대한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키워드: 의료 서비스, 공중 보건소, 외래 환자 만족도, 뚜옌꽝, 베트남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를 위한 참여형 개선기법(PAOT) 적용 효과

        정윤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본 연구에서는 뇌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 PAOT)을 적용한 뇌심혈관질환 관리 효과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A지역 근로자건강센터의 ‘요양보호사를 위한 건강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중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인자를 가지고 있고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도를 평가결과 ‘최저위험군’이상인 51명에 대하여 참여형 개선기법(PAOT)의 원리를 적용하여 뇌심혈관계질환 예방 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같은 기간 동안 동일조건과 동일 프로그램에 참여한 요양 보호사 중 참여형 개선기법을 적용하지 않은 82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인자 및 발병 위험도 평가 결과를 프로그램 전∙후 및 대조군과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참여형 개선기법(PAOT)은 임상검사와 생활습관 설문을 통하여 뇌심혈관질환 위험인자 및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도 평가를 평가하며, 체크리스트 작성을 통한 본인의 문제 인지, 담당간호사와의 토의식 면담, 개선 계획의 작성, 개선 개획 실천에 대한 격려, 개선 계획의 실천 확인, 프로그램 결과 평가로 구성되어있다. 임상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본인의 유험요인에 대해 확인하도록 하였고, 생활습관 설문(체크리스트)을 통해 ‘잘하고 있는 점’과 ‘개선이필요한 점’을 인지시켰다. 결과 : 프로그램에 참여한 51명이 작성한 개선 계획은 총 146개로 1명당 2.9개의 개선계획을 세웠고, 3개월 후 개선계획의 실천여부를 확인한 결과 총 85개의 개선계획을 실천하고 있어 58.2%의 실천율을 보였다. 프로그램 후 대상자의 흡연율은 13.9% 감소하였고, 규칙적인 운동습관은 37.3% 증가하였으며, 과음주군은 17.6%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프로그램 후 대상자의 허리둘레는 1.2cm감소하였고, 수축기 혈압(SBP) 9.3mmHg, 이완기 혈압(DBP) 4.6mmHg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공복시 혈당은 8.67㎎/㎗감소하였고, 중성지방 수치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도 평가 결과 중제군에서 개선된 경우는 23명(45.1%)이었으며, 대조군은 18명(22.0%)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51명을 대상으로 참여형 개선기법(PAOT)을 적용한 뇌∙심혈관계 질환 예방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흡연, 음주, 신체활동 지수가 개선되었고, 이를 통해 뇌심혈관질환 위험요인인 혈압, 혈당, 중성지방, 허리둘레가 개선되어 45.1%의 대상자의 뇌심혈관질환 발병 위험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었다. Effects of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PAOT) on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 for Elderly Caregivers in Elderly Nursing Car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by administering the principles of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PAOT) for the elderly caregivers in elderly nursing care facilities with risk factors for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1 elderly caregivers in elderly nursing care facilities with risk factors for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 The program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 using the participatory improvement technique(PAOT) evaluates the risk of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 risk and cerebrovascular disease risk through clinical examination and lifestyle questionnaire. Knowing your health problems through the creation of checklists, discussion with the nurse in charge, creating a lifestyle plan, support for action, planning practice verification, and program evaluation. After three months, we checked whether changes in lifestyle such as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were changed and blood pressure, blood sugar, blood cholesterol, obesity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measured. The risk level was re-evaluated and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 total of 146 improvement plans were made by 51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2.9 improvement plans were made per one person, and 58.2% of them were implemented. three months later. After the program, the smoking rate of the subjects decreased by 13.9%, regular exercise habits increased by 37.3%, and the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decreased by 17.6%. In the clinical study, the waist circumference of the subject was decreased by 1.2cm, the systolic blood pressure(SBP) was 9.3mmHg, and the diastolic blood pressure(DBP) was decreased by 4.6mmHg, Fasting blood sugar decreased by 8.67mg/dl and triglyceride level was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Evaluation results of the risk of developing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 were 23(45.1%) in the intervention group and 18(22.0%) in the control group,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01). As a result of advancing a prevention and management program for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s applying participatory action oriented training(PAOT) to 51 elderly caregivers in elderly nursing care facilities, smoking, excessive drinking state and exercise life practice rate improved. And blood pressure, blood glucose, neutral fat and abdominal circumference, which are risk factors for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 were improved, and 45.1% of the subjects had the effect of reducing the risk of developing cerebral cardiovascular disease.

      • 부산지역 네일샵 이용 여성 고객의 네일관리 선호도 및 서비스 만족도

        정윤주 고신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Nail Care Preferences and Service Satisfaction of Feminine Customers Visiting to the Nail Salons in Busan Yun Ju Jeong Directed by Inchul Hwang Department of Health Sciences Graduate School, Kosin University The changed perception on the nail care and service quality satisfaction level for female customers visiting the nail salons in Busan area were surveyed using a total of 265 questionnaires for the period from November 5 through November 25, 201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terest in nail care by age was most high at the age of 24 or younger (score 4.27) and at the age of 40 or older was the lowest (score 3.86). 2. As to the interest in nail care by education level, it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3. The interest in nail care by occupation was the highest in the students' average score (4.19). The score of office worker or professionals (4.14) and the housewives (3.98) was similar, while the score of those working in the service industry 93.840 was the lowest. 4. Regarding the interest in nail care by monthly income, the average score of those with less than 2 millions Won was the highest - 4.23; those with 2-3 millions Won was 4.09; and those with more than 3 millions Won was the lowest - 3.94. 5. As to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by age, the average score at the age of both 30-34 and 35-39 was the highest - 3.55; those at the age of 25 to 29 was 3.53; those at the age of 40 or older was similar to them - 3.39; and those at the age of 24 or younger was the lowest - 3.22. 6. As to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by education, i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the average score of the junior college graduates was the highest - 3.51; the high school graduates was 3.52; and the university graduates 3.40. 7. As to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by occupation, the average score of the office workers or professionals was the highest - 3.59; next, they were in the order of those working in service industry - 3.37; the housewives - 3.35; and the students - 3.22. 8. Regarding the service satisfaction level by monthly income, the average score of those with less than 2-3 millions Won was the highest - 3.56; those with more than 3 millions Won was 3.44; and those with less than 2 millions Won was the lowest - 3.32.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female customers using nail salons, there appeared some differences - both in their interest in nail care and service satisfaction level. In order to improve service satisfaction level,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regular training, to enhance nail artists' skills and expertise, to meet customers' needs through systematic understanding and analysis in line with the customers' inclination and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service marketing to meet the customers' needs under specialized and differentiated strategies.

      • NLP 상담 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안녕감,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유아기 및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정윤주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사랑은 종종 무한하고 불변하며 조건 없는 사랑으로 빗대어지곤 한다. 그만큼 어머니의 삶에 있어 양육은 보편적으로 생각되어 지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니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어머니에게 양육이 보람과 기쁨을 주는 축복되고 가치 있는 일임에 틀림없지만, 현대사회의 급격한 환경적 변화에 부응하며 자녀를 키우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양육의 부정적인 측면은 어머니의 과도한 양육스트레스와 심리적 불만족, 부정적 양육태도를 포함할 수 있고 결국 자녀의 사회적, 정서적 발달을 저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권연희, 2002). 이에 본 연구자는 부모교육의 맥락 안에서 NLP(Neuro-Linguistic Programming)의 전제조건과 주요기법을 새롭게 구성하여, 어머니가 일상에서 경험하는 양육스트레스를 해소하고 본인의 심리적 안녕감을 증진하며 자녀에 대한 양육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주고자 NLP 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그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미국 오리건 주 유진 시에 거주하는 유아기 및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프로그램 참가 신청자를 모집하였고, 신청자 24명을 무선할당을 통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2명씩 배치한 후, 실험집단에만 1주일에 1회, 2시간씩 총 8회의 상담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모두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프로그램 종료 4주 후 실험집단에만 추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Abidin(1995)이 개발하고 정경미, 이경숙, 박진아(2008)가 표준화한 한국판 부모 양육스트레스 축약형 검사(Korean Parenting Stress Index-Short Form: K-PSI-SF), Ryff(1989)에 의해 개발되고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2001)가 번안하고 수정한 심리적 안녕감 척도(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PWBS), 국내 최초로 임호찬(2008)이 표준화 단계를 거쳐 개발한 부모 양육태도 검사(Parenting Attitude Test: PAT), 그리고 본 연구자가 선행연구를 토대로 새롭게 구성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으로서의 NLP 상담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의 3가지 측정도구별 사전, 사후, 추후 검사와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두 집단의 사전 동질성 검증을 위한 독립표본 t 검증,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반복측정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ments)과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그리고 프로그램 효과의 지속성을 검증하기 위한 대응표본 t 검증(Paired t-test)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둘째, 실험-통제 두 집단과 양육스트레스 검사의 사전-사후 두 검사시기간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특히 두 집단의 사후점수 차이와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셋째, 실험-통제 두 집단과 심리적 안녕감 검사의 사전-사후 두 검사시기간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특히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넷째, 실험-통제 두 집단과 양육태도 검사의 지지표현, 간섭, 처벌, 비일관성 4영역의 사전-사후 두 검사시기간의 상호작용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고, 특히 두 집단의 사후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다섯째, 실험집단의 양육스트레스 검사, 심리적 안녕감 검사, 양육태도 검사의 사후-추후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고, 사전-추후점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NLP 상담 프로그램이 유아기 및 학령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 심리적 안녕감 향상, 양육태도의 긍정적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고, 그 효과의 지속성 또한 검증하였다. 따라서 NLP 상담프로그램이 어머니의 내적변화를 통한 심리상담의 효과뿐 아니라 양육에 임하는 행동적, 정서적 변화를 통한 부모교육의 효과도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양육을 담당하는 어머니가 자신과 자녀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내적변화를 통한 양육태도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부모교육의 새로운 대안으로서의 NLP 상담 프로그램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