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그룹 음악치료가 농촌 소규모 중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정윤아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목적은 그룹 음악치료가 농촌 소규모 중학교 학생의 자기효능감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의 참여자는 충청북도 옥천군에 소재한 I 중학교 1학년 및 2학년 전체 학생 35명이다. 실험집단은 2학년 전체 학생 18명, 통제집단은 1학년 전체 학생 17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실험집단에는 2020년 7월 24일부터 8월 6일까지 각 회기 90분씩 악기 연주, 노래 심리치료 기법 위주로 구성된 총 5회기 그룹 음악치료를 시행했으며, 통제집단에는 사전-사후 검사만 동일하게 진행하고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연구 도구로는 김아영, 차정은(1996)의 자기효능감 척도, 김여진(2004)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척도를 사용하였다. 가설에 따라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두 집단 간 점수를 비교한 결과 자기효능감 전체 및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변화량에도 차이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집단 내 실험 전후의 점수 비교 결과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전체 및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 자기조절 효능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며 통제집단에서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 두 집단 간에 변화량에도 차이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두 집단 간의 점수를 비교한 결과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전체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 영역인 정서 완화적, 소망적 사고, 문제 중심적, 사회적 지지 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집단의 각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정서 완화적, 소망적 사고, 문제 중심적, 사회적 지지 추구에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집단 내 사전-사후 점수를 비교한 결과로 실험집단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전체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하위 영역인 정서 완화적, 소망적 사고, 문제 중심적, 사회적 지지 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통제집단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점수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기효능감의 하위 영역인 자신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모든 하위 영역인 정서 완화적, 소망적 사고, 문제 중심적, 사회적지지 추구 및 스트레스 대처 방식 전체점수에 상관관계가 성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 소규모 중학교 학생들이 그룹 음악치료에서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향상된 결과를 탐구하였으며, 그간의 선행연구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았던 농촌 청소년이 지닌 사회심리적 요인을 분석하여 그들의 욕구와 문제에 초점을 두고 그룹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연구의 결과는 농촌 청소년을 위한 음악치료 중재에서 활용될 수 있는 치료전략 관련 방안들을 제시하며 대상자의 필요에 따른 치료적 접근과 대상자의 변화에 이해를 돕는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미술시장과 미술품 경매에 관한 연구 : 경매의 사회적 역할을 중심으로

        정윤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미술시장과 미술품 경매의 역할에 대한 연구이다. 이에 본고는 오늘날과 같은 순수예술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한 18세기 중엽 이후부터 최근까지 미술시장의 전개 과정과 구조적 측면을 살펴보면서 경매의 사회적 위상 변화 및 부상의 배경과 원인을 검토한다. 이를 통해서 경매의 역할과 기능, 경매에 대한 사회학적 관점의 비판 및 제도적 문제점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고찰한다. 이로써 미술시장의 대중화에 기여해 온 경매가 향후 더욱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실천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social ramifications and the role of art auctions. It studies background causes of the rapid growth of art auctions by examining the systematic structure and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art market since the mid-18th century when the social conception of ‘fine art’ as today was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this study addresses the positive functions of art auctions in the market and grasps their institutional problems including the sociological critiques on them. As a conclusion, this thesis will suggest practical remedies to improve these problems and at the same time how to enhance their positive influences in popularizing the art market.

      • 임상경력에 따른 음악치료사 발달수준과 소진의 관계 : 적응유연성의 조절효과

        정윤아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음악치료사의 임상 경력에 따라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과 적응유연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임상 경력에 따라 경험하는 소진의 차이와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에서 적응유연성을 변인으로 하여 조절효과를 가져오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음악치료학회에 등록된 음악치료사 151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척도, 소진척도, 예술치료사 발달수준척도, 적응유연성 척도를 사용하여 변인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 변인간의 차이와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의 영역 및 음악치료사의 적응유연성 영역과 음악치료사의 소진 경험과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별 음악치료사의 소진, 적응유연성, 발달수준을 살펴본 결과 경력 1-3년 미만인 경우에 소진을 가장 높게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미만이거나 5년 이상 경력의 치료사 집단의 적응유연성이 경력 3-5년 미만의 집단 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발달수준의 경우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발달수준과 적응유연성은 소진과 유의한 부적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발달수준 변인과 전체 음악치료사 집단에서는 치료관계 영역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3년 미만의 경력을 가진 음악치료사 집단에게 역전이 관리가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응유연성과 음악치료사 전체집단에서는 대인관계효용성과 낙관적 태도가 소진에 유의미한 부적상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력별 집단에서는 1년 미만의 경우 대인관계효율성이 소진에 부적 상관의 영향을 보이며 1-3년 미만, 3-5년 미만의 경우에서는 낙관적 태도가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체집단에서 적응유연성이 발달수준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경력별 집단에서는 1년 미만의 경력집단에서만 유의한 조절효과를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음악치료사가 지각하는 발달수준이 임상경력에 따라 소진에 차이가 있음을 세부적으로 밝혔으며 경력 1년 미만의 집단에서는 발달수준과 적응유연성이 소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사들의 소진을 예방하고 대처하도록 교육과 전략의 필요성을 점검하였다는 데에서 의의가 있다.

      • 교사들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정윤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started from the awareness that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is perceived as a simple project or a village-experience program at most educational sites because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was promoted as a top-down project without consensus or agreement within the educational field. Precedent researches also recognized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as a village-based program, so they focused on the village rather than the students and evaluated whether the village-based program was well conducted at the education site. This study defines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as an educational community where teachers and volunteers together reconstruct the curriculum for the learning and growth of the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eachers’ experience of running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The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reasons,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eachers' experience of running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Second, what are the difficulties that teachers have experienced in running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Third,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teachers’ experience running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In order to answer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qualitative case study. The teachers' concerns and complaints about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were not simple phenomenon but due to the context and situation experienced by the teachers.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explore the teachers' experiences deeply. Two cases were selected. One was a case of restructuring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with volunteers and the other was a case of restructuring the paractical curriculum with par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featured that they were restructuring their curriculum with villages in order to provide students with diverse and rich experiences by enriching their curriculum. Kang Hee-yeon, a teacher with six volunteers in the middle school Korean language class, drew the theme of the 21st century female figure to link the lives of students living as women in our society. Volunteers conducted board games, creative works, and movie appreciation. The students were able to get a chance to think about women's human rights and their lives again. Community was the educational subjects that broadened the learning horizons of students' in a more creative way. On the other hand, Lee Soo-yeong, a teacher who reconstructed the curriculum with parents, gave children a long board and tools such as saws and hammer for lessons based on the children’s spontaneity. Children were able to get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 constant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based on the philosophy of children spread to the whole school philosophy through this class. However, the teachers experienced the following three difficulties. First, the teachers were burdened with the tasks and responsibilities related to the villages such as various administrative tasks and village events, not to the class. Second, there was a risk of a superficial experience if the village did not have sufficient content, and concerns and mistrust about the lessons taught by volunteers. Third, teachers' sympathy and understanding about reconfiguring the curriculum with volunteers were different in the situation where the third person' s voice about the class could be heard as an attack.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implications for the operation and diffusion of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needs preparation and competence. Some criticize the stubborn attitude of the school that does not open the door, saying that it must overcome the obstacles created by professionalism. However, because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is ultimately a class for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community to raise the level and capacity of the village. In addition, in the reality that all the responsibilities, roles, and tasks of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are given only to the school, we should not blame school alone. It is also necessary to prepare a community that can shar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given only to the school. Second, it must change from support for village businesses to student-centered and field-centered support. In a situation where the local education community has fallen into a project to share the school's budget with the village, the conflicts in the education field are intensifying and the students' learning is drifting. Moreover, community is not created by conducting a project like a village festival. Therefore, it is not a form to drive the projects devised by the Office of Education, but rather to help each school and community voluntarily form a local education community, and to support students when they ask for school and village needs.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operation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was ultimately for the learning of the students, so the students were not alienated.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could enrich their classes based on the curriculum. In addition, the community showed that it is the foundation that can enrich the curriculum and that it is the educational subject who takes charge of the education together with the teacher. This study emphasizes that teachers and community make efforts to establish a lasting relationship so that the local educational community can be a daily life of school and community. 본 연구는 마을교육공동체가 교육현장 내의 공감이나 합의 없이 탑다운(top-down) 방식의 사업으로 추진된 탓에 대부분의 교육현장에서 마을교육공동체가 마을 탐색 혹은 마을 체험 프로그램으로 인식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기존의 선행연구들 역시 마을교육공동체를 마을 연계 프로그램으로 인식한 채 학생보다는 마을에 중심을 두고, 마을을 담은 프로그램이 일선 교육현장에서 잘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평가하고 있었으며, 더욱이 마을 탐색 혹은 마을 체험 프로그램이 교육과정 안으로 들어와야 한다면서 교육과정을 수단화하거나 이에 공감하지 못하는 교사들을 개혁의 대상으로 삼고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마을교육공동체를 학생의 배움을 위해 교사와 마을이 함께 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며 공교육의 경계를 확장해가는 교육공동체라 정의하고, 이를 실천하고 있는 교사의 관점에서 마을교육공동체의 실제를 심층 탐구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이 마을교육공동체를 운영하게 된 동기 및 방법,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교사들이 마을교육공동체를 운영하는 과정에서 경험한 어려움은 무엇인가? 셋째, 이것이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및 확산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마을과 함께하는 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우려와 불만은 단순한 현상이 아닌 교사들이 경험하는 교육 현장의 맥락과 상황 속에 기인하는 것이기에 교사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구해 볼 필요가 있었다. 이에 마을과 함께 교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교사 경험을 사례로 선정하였으며, 마을이 전담하는 형태의 학교 밖 체험활동이나 교과가 아닌 마을이 교육내용인 마을 탐색 혹은 마을 체험 프로그램과 같은 운영 형태는 사례에서 제외하였다. 사례가 가진 구성단위를 고려해 마을 전문가와 국어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사례와 학부모와 함께 실과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사례를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는 교사들의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경험의 특징과 난점, 이것이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및 확산에 줄 수 있는 시사점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먼저 교사들은 자신의 교과 교육과정을 풍성하게 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하고 풍부한 경험을 제공해주고자 마을과 함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있었다는 점을 특징으로 하였다. 중학교 국어 교과 시간에 여섯 명의 마을 전문가들과 함께 한 강희연 교사의 경우, 우리 사회에서 여자로 살아가는 아이들의 삶과 연결 짓고자 박씨전을 소재로 21세기 여성상이라는 주제를 도출하였고, 여성상과 관련한 만화, 보드게임, 창작, 영화감상 등의 프로그램을 마을 전문가들과 함께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여성의 인권 문제나 자신의 삶에 대해 다시금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었고, 교사에게 마을이란 더 창의적인 방식으로 학생들의 배움의 지평을 넓혀주는 교육주체였다. 한편 초등학교 창의적체험활동 시간에 학부모 목공 전문가와 함께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이수영 교사의 경우, 아이들의 자발성에 바탕을 둔 수업 진행을 위해 긴 판재와 톱, 망치 등의 공구를 주어 학생들이 6가지의 작품 중 하나를 선택하여 만들 수 있도록 하였다. 아이들은 주어진 목재를 조립하는 식의 키트 수업 대신 자기에게 주어진 긴 판재를 가지고 자신의 능력껏 작품으로 만들며 성취감을 얻을 수 있었다. 아이에 대한 철학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교사와 학부모 간의 끊임없는 소통과 관계는 이번 수업을 통해 학교 전체의 철학으로 확산되었다. 하지만 이를 실천한 교사들은 다음 세 가지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첫째, 교사들은 수업 외적으로 지워진 각종 행정업무나 마을 행사 등 마을 관련 업무 및 책임에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마을의 충분한 컨텐츠가 전제되지 않을 경우 자칫 피상적인 체험으로 그칠 위험이 있었고, 마을 전문가가 가르치는 수업에 대한 우려와 불신은 이 같은 수업을 추진하는 것조차 어렵게 하기도 했다. 셋째, 수업에 대한 제3자의 목소리가 자칫 공격으로 들릴 수 있는 상황에서 마을과 함께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일에 대한 교육현장 내 교사들 간의 공감 수준이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운영 및 확산을 위한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마을의 준비와 역량이 필요하다. 일각에서는 전문가주의가 만든 폐쇄성을 극복해야 한다며 학교의 문을 개방하지 않는 학교의 완고한 태도만을 비난한다. 하지만 마을교육공동체는 결국 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업이기에 마을의 수준과 역량을 높이기 위한 마을의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마을교육공동체를 진행하는 모든 책임과 역할, 업무가 학교에만 주어져 있는 현 상황에서 학교만 비난할 수 없다. 학교에게만 주어진 역할과 책임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마을의 역량 또한 필요하다. 둘째, 사업을 위한 지원에서 학생 중심, 현장 중심의 지원으로 변화해야 한다. 마을교육공동체가 학교에 지원되는 예산을 마을과 함께 나눠 쓰기 위한 사업으로만 전락한 상황에서, 교육현장 내 갈등은 심화되고 있으며 학생들의 배움은 표류하고 있다. 더욱이 마을축제와 같은 사업 하나를 진행한다고 해서 공동체가 만들어지는 것 역시 아니다. 따라서 교육청 차원에서 구상한 사업들을 학교 현장에서 추진하도록 하는 형태가 아니라, 각 학교와 마을이 지속적인 관계맺음 속에서 자발적으로 마을교육공동체를 결성할 수 있도록 돕고, 학생들의 배움을 위해 학교와 마을이 필요한 것들을 요청하면 지원해 줄 수 있는 행정지원체제로의 변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위한 학교와 마을의 협력이 궁극적으로 학생의 배움을 위한 것이었다는 점에서 학생이 소외되지 않고, 교사는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자신의 수업을 풍성하게 할 수 있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 뿐만 아니라 마을은 교육과정을 풍부하게 해줄 수 있는 기반이자 교사와 함께 학생의 교육을 책임지고 실천하는 교육주체임을 보여주었다. 이에 학생을 중심으로 학교와 마을이 교육주체로 서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것이 학교와 마을의 일상이 될 수 있도록 둘 간의 지속적인 관계맺음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바이지 애착전략의 조절효과

        정윤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betwee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69 play therapists who have worked in the area of play therapy in Korea. For this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Counselling Self-Estimate Inventory(COS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Scale(SASS), and Burnout Inventory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efficacy, th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burnout. As a result, th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psychological burnout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efficacy. Th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and psychological burnout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between the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otal score of the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y and rejection attachment strategy had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of play therapist's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s of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between self-efficacy and psychological burnout among play therapists. This confirms the importance of self-efficacy and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affecting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play therapists, and suggests that interventions considering supervisee attachment strategies in the supervision relationship can be effective to reduce the psychological burnout of play therapists.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서 수퍼바이지 애착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전문아동상담센터, 병원 및 복지 내 놀이치료실, 대학부설 놀이치료실 등에 근무 중인 놀이치료자 169명을 대상으로 자기효능감 척도(COSE), 수퍼바이지 애착전략 척도(SASS), 심리적 소진 척도를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수퍼바이지 애착전략,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은 수퍼바이지 애착전략 총점과 하위요인인 거절애착전략, 심리적 소진과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수퍼바이지 애착전략 총점 및 하위요인은 심리적 소진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바이지 애착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퍼바이지 애착전략 총점과 하위요인인 거절애착전략이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이 본 연구에서는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바이지 애착전략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특히 놀이치료자의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에서 수퍼바이지 애착전략이 위험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검증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효능감과 수퍼바이지 애착전략의 중요성을 확인하였고, 놀이치료자의 심리적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수퍼비전 관계에서의 수퍼바이지 애착전략을 고려한 개입이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조건부가치측정법에 의한 예술매개 도시재생 프로그램의 가치 분석: 청주시 사례를 중심으로

        정윤아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Cities repeat growth and decline constantly due to inflow and outflow of population, and development and decline of industries. Though efforts to solve the problem of city's decline were made constantly in such a process, solutions until now have mainly focused on urban renewal programs which only improve simply physical environment excluding social and cultural parts. Such solutions approach the problem only from an aspect of increasing efficiency of land use in urban areas and cannot reflect the local identity enough. However, under a situation wher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dvances and both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process at the same time, as status of cities shows a different aspect from before, it requires a new concept which can reflect the situation of the times from a comprehensive viewpoint, rather than a concept of urban renewal. Urban renewal promotes vitalization of a city from a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aspect as well as improves the city's physical environment. Urban renewal through culture and arts can be said to be a plan for vitalizing the city by improving the devastated city's physical appearance, maintaining the life of residents in existing city space and unique city culture and changing the declined city into cultural spa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value of urban renewal programs by means of arts through residents' participation using a contingent valuation method and to figure out the level of contributing to the region's social and cultural urban renewal in declined areas. For doing this, it selected Naedeok-2-dong, Sangdang-gu, Cheongju-si and Sajik-2-dong, Heungdeok-gu as the study subjects where there is art-mediated space, and in order to deduct the value of the urban renewal program by means of arts, it analyzed the monetary value by apply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e result of analysis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the intention to pay for the urban renewal program by means of arts, as for Naedeok-dong, art festival programs showed the highest intention of 58.4% while children's flying party program showed the lowest intention of 29.4%. As for Sajik-2-dong, street puppet project program showed the highest intention to pay for the program (41.7%) while a program to make resident's autobiography showed the lowest intention of 19.4$. As for the reason for showing the intention to reject paying for the program, the answer saying that 'I cannot afford it financially' accounted for about 50% of total answers. Second, when examining distribution of the amount of money paid for the urban renewal program by means of arts, as for Naedeok-2-dong, the most respondents suggested the amount between 5,000 won and 10,000 won, and as for Sajik-2-dong, the most respondents suggested the amount between 10,000 won and 30,000 won. The average of the amount of money paid for the urban renewal program by means of arts varied from 1,173 won to 4,603 won in Naedeok-2-dong, and the average amount of intented to pay for 6 programs was 2,934 won. The average of the amount of money paid for the urban renewal program by means of arts varied from 1,272 won to 2,966 won in Sajik-2-dong, and the average amount of intented to pay for 4 programs was 2,221 won. Third, the study conducted a correlation analysis of each variable based on the survey result, an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whether they recognize art-mediated space and programs, whether they visit art-mediated space, intention to participate in art-mediated urban renewal programs and average of monthly house income were persuasive variable to have influences on the value of art-mediated urban renewal programs. It estimated the payment function model by applying the linear regression model to selected variables and calculated the final amount of money intented to pay for. Through th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alue of art-mediated urban renewal programs, the value of art-mediated urban renewal programs in Naedeok-2-dong was deducted to be average 2,935 won per month and when changing it into annual value, it was estimated up to 35,219 won. The value of art-mediated urban renewal programs in Sajik-2-dong was deducted to be average 2,221 won per month and when changing it into annual value, it was estimated up to 26,652 won. Through this study, it was shown that it was possible to contribute to urban renewal through preparation of art-mediated space in the region by letting residents give the value to art-mediated urban renewal programs direct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s that it used survey data for analysis due to the study's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t did not suggest an objective standard for respondents to evaluate the value in this study and the effect factors which have influences on value evaluation of art-mediated urban renewal programs. Based on this, next matters are remained as a future study subject. In order to enhance reliability of the analysis result, an objective standard should be prepared for respondents to evaluate the value of target goods exactly, and it should estimate payment intention model by preparing the exactness of variables through more careful selection of variables.

      •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주제 및 어휘 연구

        정윤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비즈니스 한국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업무 경험이 없거나, 혹은 경력 초기의 일반 사무직에 종사하는 직장인을 대상으로 현재 국내에 출간된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 필요한 학습 주제와 어휘, 나아가 주제별 어휘를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연구의 필요성을 밝히기 위해, 국내에 취업을 위해 출입한 외국인의 수, 해외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수와 그 기업에서 현지 고용을 한 외국인의 수 통계 자료를 살피고, 비즈니스 한국어 연구의 선행 연구를 연구 주제별로 검토하였다. 비즈니스 한국어 선행 연구 동향 분석 결과, 교재 개발이 가장 많이 이루어진 점에 착안하여, 비즈니스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제시할 주제와 어휘를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삼고자 하였다.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우선 비즈니스 한국어의 개념에 대해 살펴본 후,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서의 내용과 어휘 이론을 각각 살펴보았다. 비즈니스 한국어의 내용은 보통 업무와 관련된 내용이 많았고, 비즈니스 한국어의 어휘는 선행 연구가 거의 어휘 선정 연구에 편향된 바, 어휘의 개념을 상위의 개념인 특수 목적 어휘, 직업 목적 어휘의 개념으로 대신하여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를 중심으로 한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용 주제와 어휘를 알아보기 위해, 세부적인 분석 대상 선정과 절차, 분석 방법을 기술하였다. 주제 분석은 크게 일반적 주제 분류와 비즈니스 내용적 주제 분류 두 가지로 진행하였는데, 일반적 주제 분류는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주제를 기준으로 삼고, 비즈니스 내용적 주제 분류는 정명숙(2003)의 비즈니스 내용을 중심으로 일부 다른 선행 연구 내용을 보충한 주제틀을 기준으로 삼았다. 어휘 분석은 교재의 ‘목표 어휘’만 가지고 기본 분석을 한 후, ‘목표 어휘’ 중에서도 실질 내용어만 골라 개별 어휘의 교재 간 중복도 분석 및 등급별 난이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끝으로 주제와 어휘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한 주제별 어휘 목록을 도출하기 위해, 주제 분석에서 일반적 주제 분류를 통해 도출한 주제 중 가장 많이 나타난 주제에 해당하는 어휘를 난이도 분석과 연결하여 최종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서의 주제별 등급별 어휘 목록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크게 주제, 어휘, 주제별 어휘의 상관성 3가지로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였다. 첫째,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주제 분석 결과, 일반적 주제 분류에 따르면 <일과 직업>, <전문 분야> 주제 범주가 가장 많이 다루어짐을 확인하고, 세부 주제 항목으로는 “업무”가 가장 많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비즈니스 내용적 주제 분류에 따르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들은 <취직 후 - 업무> 주제 범주가 가장 많이 다루어진 반면, 개별 주제 항목으로는 “직장 내 일상 대화”가 가장 많이 나타나, 주제 범주와 주제 항목 간 비율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비즈니스 한국어 어휘 분석 결과는 크게 어휘 기본 분석과 교재 간 중복도 분석, 등급별 난이도 분석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어휘 기본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에서 교재별 제시하는 ‘목표 어휘’ 수의 차이를 살펴보았으며, ‘목표 어휘’가 제시되는 구분에 따른 차이도 살펴보았다. 또한 교재 간 중복도 분석을 통해서는 여러 교재에서 많이 제시된 어휘일수록 중요한 어휘임을 가정에 따라 교재 간 중복 어휘를 여러 번 중복된 순으로 정리하여 살펴보았다. 이어진 등급별 난이도 분석에서는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들이 어떤 등급의 어휘를 많이 제시하는지 살펴보고, 앞의 중복도 분석을 통해 도출한 한 번 이상 중복하여 이루어진 어휘 목록에 추가로 등급을 매김으로써 비즈니스 한국어 교재의 등급별 중요 어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셋째, 비즈니스 한국어 주제별 어휘의 상관성 분석에서는 우선 본고의 일반 주제 분류를 기준으로 주제 항목별 등급별 어휘 목록을 추출하였고, 이를 통해 총 4가지의 특징을 발견하였다. 이후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국립국어원 한국어교수학습샘터의 어휘 목록과 비교하여 중요 어휘를 다시 한번 살펴보고, 없는 어휘에 대해서는 추가 보완하고자 하였다. 5장에서는 앞선 연구를 전체적으로 요약하고, 4장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주제 항목별 어휘 제시보다는 <취직/취업 전>과 <취직/취업 후>로 나누어 최종 비즈니스 한국어 교육에서의 주제별 등급별 어휘 및 중요 어휘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갖는 한계점을 살피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덧붙였다.

      • 가야금산조 中 중중모리 비교 연구 : 최옥삼, 김병호, 김죽파, 신관용, 성금연, 황병기 여섯 류파를 중심으로

        정윤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mparatively examine the Jungjungmori of Gayageum Sanjo, which has the shortest melody of Sanjo, but has a lot of variations in jangdans and rhythms, among such 6 Gayageum Sanjo Schools as Choe Ok-sam, Kim Byeong-ho, Kim Juk-pa, Shin Gwan-yong, Seong Geum-yeon and Hwang Byeong-gi, which are currently widely played, focusing on its tones and rhythms.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The tone of Jungjungmori of six schools was calculated as a percentage. The School of Choe Ok-sam consists of 38 jangdans in 4 paragraphs and all of them (100%) are pyeongjo-gil. The school of Kim Byeong-ho consists of 18 jangdans in 2 paragraphs and they are 27.8% of gyemyeon-gil and 72.2% of pyeongjo-gil. The school of Kim Juk-pa consists of 43 jangdans in 2 paragraphs and they are 18.6% of gyemyeon-gil and 81.4% of pyeongjo-gil. The school of Shin Gwan-yong consists of 33 jangdans in 7 paragraphs and all of them (100%) are gyemyeon-gil. The school of Seong Geum-yeon consists of 31 jangdans in 5 paragraphs and they are 83.9% of gyemyeon-gil and 16.1% of pyeongjo-gil. The school of Hwang Byeong-gi consists of 71 jangdans in 6 paragraphs and they are 74.6% of gyemyeon-gil and 25.4% of pyeongjo-gil. As the results show, the Jungjungmori of Gayageum Sanjo of Choe Ok-sam School consists of 100% of pyeongjo-gil, whereas Shin Gwan-yong School consists of 100% of gyemyeon-gil. In Kim Byeong-ho School and Kim juk-pa School, pyeongjo-gil is more frequently used than gyemyeon-gil, while in Seong Geum-yeon School and Hwang Byeong-gi School, gyemyeon-gil is more frequently used. The rhythm of Jungjungmori of six schools was calculated as a percentage. The School of Choe Ok-sam consists of a total of 38 jangdans, with 47.4% of the 3-minor-bak type (18 jangdans), 2.6% of the 2-minor-bak type (1 jangdan), and 50% of the mixed minor-bak type (19 jangdans). The School of Kim Byeong-ho consists of a total of 18 jangdans, with 55.6% of the 3-minor-bak type (18 jangdans), 11.1% of the 2-minor-bak type (2 jangdans), and 38.9% of the mixed minor-bak type (6 jangdans). The School of Kim Juk-pa consists of a total of 43 jangdans, with 67.4% of the 3-minor-bak type (29 jangdans) and 32.6% of the mixed minor-bak type (14 jangdans), and this School characteristically does not use the 2-minor-bak type. The School of Shin Gwan-yong consists of a total of 33 jangdans, with 63.6% of the 3-minor-bak type (21 jangdans), 12.1% of the 2-minor-bak type (4 jangdans), and 24.2% of the mixed minor-bak type (8 jangdans). The School of Seong Geum-yeon consists of a total of 31 jangdans, with 45.2% of the 3-minor-bak type (14 jangdans), 9.7% of the 2-minor-bak type (3 jangdans), and 45.1% of the mixed minor-bak type (14 jangdans). The School of Hwang Byeong-gi consists of a total of 71 jangdans, with 62% of the 3-minor-bak type (44 jangdans), 9.9% of the 2-minor-bak type (7 jangdans), and 28.1% of the mixed minor-bak type (20 jangdans). The results show that all the 6 schools use the 3-minor-bak type jangdan around 50% as the main jangdan in the main paragraph. Kim Juk-pa School uses no 2-minor-bak type jangdan, whereas other schools use it around 10% as making it play the role of presenting the sense of rhythms. Regarding the mixed minor-bak type, Choe Ok-sam School uses it 47.4%, whereas Seong Geum-yeon School, 45.1%; Kim Byeong-ho School, 38.9%; Hwang Byeong-gi School, 35.2%; Kim Juk-pa School, 32.6%; and Shin Gwan-yong School, 24.2%. As a result, the Jungjungmori rhythms mainly consists of the 3-minor-bak type and the mixed minor-bak type, and the 2-minor-bak type is occasionally used to present rhythmic changes. Jinyangjo, which belongs to man (慢), and Jungjungmori and Jajinmori, which belong to sak (數), are a representative 3-minor-bak type. And Jungmori, which belongs to jung (中), is a 2-minor-bak type. In this study, the author found out the fact that the rhythmic characteristic of Jungjungmori is to connect the 3-minor-bak type of Jinyangjo in a slow jangdan and the 2-minor-bak type of Jungmori with the 3-minor-bak type of Jajinmori in a fast jangdan. Although most characteristics of Sanjo appear in the test playing, the Jungjungmori of Gayageum Sanjo, of which number of jangdan is few, presents its characteristic of Sanjo with various musical tones and rhythmic types. In this vein, Jungjungmori is an indispensable material for studying Gayageum Sanjo. The author hopes study findings will be used as helpful data in the study of melodies and rhythms of Jungjungmori jangdans of Gayageum Sanjo. 본 연구는 현재 널리 연주되는 가야금 산조의 최옥삼, 김병호, 김죽파, 신관용, 성금연, 황병기 여섯 류파를 대상으로 산조 장단 중 가장 짧은 선율을 가지고 있지만 다양한 선율과 리듬의 변화가 많은 중중모리를 중심으로 악조와 리듬을 비교 연구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여섯 류파 중중모리에 나타나는 악조를 백분율로 계산한 결과. 최옥삼류는 총 4단락의 38장단으로 100% 평조길만으로 이루어졌으며, 김병호류는 총 2단락의 18장단 중 계면길이 27.8%, 평조길 72.2%로 나타났다. 김죽파류는 총 2단락의 43장단으로 계면길 18.6%, 평조길 81.4%로 보여졌으며, 신관용류는 총 7단락 33장단으로 100% 계면길만으로 나타났다. 성금연류는 총 5단락 31장단으로 계면길 83.9%, 평조길 16.1%로 보여졌으며, 황병기류는 총 6단락 71장단으로 계면길 74.6, 평조길 25.4%가 나타났다. 최옥삼류 중중모리는 100% 평조길로 이루어졌으며, 신관용류 중중모리는 100% 계면조로 보여진다. 김병호, 김죽파류는 평조길이 계면길보다 우세하게 보여졌으며 성금연, 황병기류는 계면길이 우세하게 보여졌다. 여섯 류파 중중모리에 나타나는 리듬을 백분율로 계산한 결과, 최옥삼류는 총 38장단으로 3분박형(18장단) 44.7%, 2분박형(1장단) 2.6%, 혼분박형(19장단) 50%로 나타났다. 김병호류는 총 18장단으로 3분박형(10장단) 55.6%%, 2분박형(2장단) 11.1%, 혼분박형(6장단) 38.9%로 보여졌다. 김죽파류는 총 43장단으로 3분박형(29장단) 67.4%, 혼분박형(14장단) 32.6%, 2분박형의 리듬은 나타나지 않은 것이 특징이다. 신관용류는 총 33장단으로 3분박형(21장단) 63.6%, 2분박형(4장단) 12.1%, 혼분박형(8장단) 24.2%로 보여졌다. 성금연류는 총 31장단으로 3분박형(14장단) 45.2%, 2분박형(3장단) 9.7%, 혼분박형(14장단) 45.1% 전개되었다. 황병기류는 총 71장단으로 3분박형(44장단) 62%, 2분박형(7장단) 9.9%, 혼분박형(39장단) 28.1% 보여졌다. 이를 통하여 3분박형 대마디대장단은 여섯 류파 모두 50%내외로 나타났으며, 2분박형은 김죽파류에서 전혀 나타나지 않았고 10%내외로 나타나 리듬감을 보여주는 역할을 하였다. 혼분박형은 최옥삼류(47.4%), 성금연류(45.1%), 김병호류(38.9%), 황병기류(35.2%), 김죽파류(32.6%), 신관용류 (24.2%) 순으로 3분박형과 혼분박형의 리듬으로 중중모리의 리듬이 주로 보여지며 2분박형 리듬으로 간혹 리듬의 변화가 나타난다. 만(慢)에 속하는 진양조와 삭(數)에 속하는 중중모리, 자진모리는 대표적인 3분박 형태로 되어있다. 그리고 중(中)에 속하는 중모리는 2분박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는 느린 장단의 진양조의 3분박형, 중모리의 2분박형 빠른 장단의 자진모리의 3분박형을 연결하는 중중모리의 리듬의 특징을 확인하였으며 짧은 장단 수에 비해 다양한 악조를 사용함으로써 산조의 성격을 보여주었다. 때문에 가야금 산조를 연구함에 있어 중중모리는 빼놓을 수 없는 자료로, 본 연구를 통하여 앞으로의 연구자들이 행할 가야금 산조의 중중모리 장단의 선율과 리듬 분석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숨; 결’의 이미지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정윤아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번 연구에서는 전통공예 및 장인정신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숨; 결’의 이미지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를 통해 한국의 고유한 특성이 반영된 소재 및 디자인에 대해 제안하고자 하였다. 우선, ‘숨; 결’의 의미를 분석하고 그 의미에서 연상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응용한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를 통해 소재, 색채, 표현기법 및 디테일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한글 단어인 숨결이 숨과 결의 합성어인 점을 고려하여 ‘숨; 결’을 숨, 결, 숨결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정의하였다. 실제로 숨은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쉬는 기운이나 행위를 의미하며, 결은 조직의 짜임새를 나타내거나 물체 표면에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문양이나 패턴을 의미하는데 대부분 선의 반복으로 표현되는 경향을 보인다. 한편, 숨결은 숨을 쉴 때의 상태, 또는 숨의 속도나 높낮이 어떤 형상의 기운이나 느낌 등을 의미하고 있어 한결 생동감을 느낄 수 있는데, 전통의 숨결이나 장인의 숨결 등과 연관하여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연결되는 전통적 혹은 수공예 작업과 현대적인 작업이 공존하는 이미지가 연상되었다. 연구자는 이러한 연상 과정을 통해 현대적 시각에서 과거의 전통적 요소를 재해석하여 활용한다는 의미로 숨결을 재정의하였다. 한편, 연구 주제인 ‘숨; 결’을 숨과 결, 숨결 및 패턴의 4가지 테마로 제안하였다. 수공예로 진행한 숨과 결, 그리고 현대적인 디자인 감각에 수공예 감성의 디테일이 추가된 숨결, 마지막으로 앞서 진행한 디자인을 단순화, 디지털화하여 상업화 및 대량생산을 고려한 테마인 패턴으로 나누어 디자인 및 작품 제작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주제 및 테마는 작품 제작에 있어 다양한 소재 및 표현기법을 반영하는 데 이바지하였는데 숨이 느껴지는 얇고 비치는 소재로는 삼베, 모시, 린넨, 거즈 등을 활용하였으며, 숨결에서는 천연 섬유 외에 합성 섬유인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 망사, 쉬폰, 메쉬 등의 소재를 추가하여 다양한 소재를 믹스 & 매치하였다. 표현기법에서도 결의 표현이 용이한 줄누비와 색동에서 보여지는 길게 덧대진 구조를 재봉질로 구현하였다. 또한, 시·촉각적으로 노출된 바느질이나 오버로크를 적용하였다. 시각적으로 연상된 ‘숨;결’ 의 이미지를 조형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전통 조각보에서 보이는 기하학적 면 구성을 활용하였는데, 이는 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적이고 추상적인 형태로 ‘숨; 결’의 이미지를 나타내는 조형적 형태로서의 좋은 짜임새 및 틀을 구성하였다. 반면, 숨과 결에서 연상되어 시각적으로 형상화된 이미지는 소재의 선택 시 촉감, 혹은 질감, 짜임의 구조 등에 영향을 미쳤으며 디지털 아트워크에서는 디자인의 패턴에 영향을 주었는데, 숨의 성긴 이미지와 결의 선적이고 반복적인 이미지를 활용하여 반복적인 선이 교차하여 겹쳐져 보이는 ‘숨; 결’의 패턴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작품 제작에 앞서 아이디어 전개단계에서부터 아트워크 샘플을 제작하고 섬유공예 기법의 응용을 통해 전통 수공예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따라서 숨과 결에 대한 이미지를 조형화한 수작업에서부터 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디지털 아트워크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통해 한국적 전통성과 독창성을 기반으로 한 고감성의 텍스타일 디자인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