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결혼이주여성의 초(超)국가적 자녀돌봄 경험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정영미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55

        결혼이주여성의 초(超)국가적 자녀돌봄 경험에 관한 근거 이론적 접근 정영미 한국학과, 다문화· 디아스포라 전공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자녀돌봄 경험을 개인, 가족, 지역사회, 국가, 초국가적 수준에서 총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 이들은 어떻게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활용하는지를 근거 이론적 접근을 통해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종합적으로 묘사할 수 있는 ‘초국가적 자녀돌봄’ 이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수행을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자녀돌봄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자녀돌봄 과정에 이들은 어떠한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활용하는가? 셋째, 초국가적 자녀돌봄에 사회자본의 역할은 무엇이며 어떠한가? 이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인 남성과 결혼한 아시아권 여성 중 한국 거주 3년 이상으로 영유아기부터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자녀를 키우며 모국가족과 주기적인 연계를 통해 자녀에게 모국문화를 접촉할 기회를 준 13명의 자발적인 결혼이주여성들이다. 자료수집은 2023년 4월부터 2023년 9월까지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Strauss & Corbin(1998)의 분석 방법에 따라 면담내용을 전사하고 개방코딩하여 범주를 추출 후 축코딩에서 패러다임에 따른 범주분석과 과정분석이 이루어졌다. 선택코딩에서는 핵심범주를 중심으로 이야기 윤곽을 작성한 뒤 유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상황모형을 설정하고 귀납적으로 이론을 통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방코딩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자녀돌봄 경험을 분석한 결과 98개의 개념과 38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9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혼이주여성이 초국가적 자녀돌봄을 수행함에 있어 가장 큰 어려움과 갈등의 원인이 되는 인과적 조건은 신뢰하지만 자녀돌봄에 보수적이고 소홀하여 서운한 남편, 도움을 주지만 일방적으로 자녀양육을 강요하며 간섭으로 불편한 시부모, 그리고 한국사회 내 존재하는 차별과 편견이었다. 맥락적 조건은 중심 현상에 영향을 주는 상황들로 초국가적 가족의 형성, 양국의 이중문화에 노출된 자녀, 한국의 돌봄서비스와 제도로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자녀돌봄에 어려움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서 나타나는 중재적 조건은 자조모임, 모국 공동체, 종교 공동체 등에 참여와 양국 가족들의 사회적 자원을 통한 초국가적 자녀돌봄을 위한 지원이었다.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는 자녀들에게는 인정받는 엄마가 되기 위해 고군분투하며 사회자본 네트워킹을 자녀돌봄에서 적절히 활용하며, 자녀돌봄을 위해 가족과의 갈등에서 협상하는 모습들도 나타났다.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자녀돌봄의 어려움을 극복한 결과로 자녀에게 인정받는 엄마가 되었고 사회적 차별에 대한 대처능력을 키울 수 있었다. 자녀는 이중언어 능력을 향상시켜 한국과 모국을 넘어 글로벌 인재로 성장시키며, 스스로 초국가적 자녀돌봄의 주체적 행위자로서 성장하는 모습들이 나타났다. 축코딩을 통해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자녀돌봄 경험을 분석한 결과로 초국가적 자녀돌봄 과정 중 어려움과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사회자본을 찾는 탐색단계, 형성단계 그리고 활용단계로 나아가는 모습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발견된 핵심범주는 ‘초국가적 돌봄에 사회자본을 활용한 자녀 글로벌 인재 키우기’로 설정하였다. 이에, 결혼이주여성들이 자녀를 글로벌한 인재로 키우기 위하여 사회자본을 활용한 정도에 따라 이들의 초국가적 자녀돌봄을 ‘적극형’, ‘안주형’, 그리고 ‘소극형’의 세 가지로 유형화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 가족, 사회, 국가, 초국가적 수준으로 상황모형을 제시하였다. 결혼이주여성들은 초국가적 자녀돌봄을 위한 사회자본의 형성과 확장 및 활용을 미시적 수준의 개인과 가족으로부터 거시적인 초국가적 단계로까지 넓히며 자녀를 글로벌 인재로 키우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결혼이주여성은 한국과 모국가족의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뢰와 호혜성의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활용하여 초국가적 자녀돌봄을 실천하고 있었다. 이들은 자녀돌봄에 자연스럽게 양국의 가족과 사회적 자원과 서비스를 활용하여 자녀들에게 이중문화 정체성을 형성하게 하며 양국의 발전에 기여하는 인재로 성장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자조모임이나 모국 공동체를 통해 초국가적 자녀돌봄의 과정에서 스스로 연대하고 본인들의 자원을 활용하고 상호 호혜성을 통한 자녀돌봄을 실천함으로서 삶에 주체적인 존재임을 보여주었다. 또한, 자신의 가치를 끌어올리며 사회자본을 확장시키고 당당한 엄마로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를 표출하였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은 초국가적 자녀돌봄 경험에서 초국가주의의 세 영역을 모두 실천하고 있었다. 국경을 넘는 모국가족 방문과 영상통화 등을 통해 지속적인 네트워크로 사회 영역의 초국가적 가족 돌봄을 실천하였다. 자조모임이나 이주민 공동체를 형성하고 귀화나 이중국적을 취득하며 정치 영역의 초국가주의 실행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족에게 송금이나 소셜 네트워크 활용한 경제활동, 모국식당 운영, 자녀를 모국으로 유학 보내기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경제 영역의 초국가주의를 실천하는 모습들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결혼이주여성은 한국에 거주하고 생활하면서 자녀를 글로벌 인재로 키우기 위해 국경을 초월한 초국가적 자녀돌봄을 수행하며 다양한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활용하는 초국가적 자녀돌봄의 주체적인 실천가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결혼이주여성의 초국가적 자녀돌봄을 지원하기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이 모국을 방문할 수 있는 비자제도나 가족 초청비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결혼이주여성이 모국인 공동체나 자조모임에 적극 참여하며 자녀돌봄에 필요한 사회자본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와 지자체를 통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신뢰가 바탕인 가족들에게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인식개선을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넷째, 결혼이주여성이 그들의 사회자본을 형성하고 발전시켜 초국가적 자녀돌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결혼이주여성의 역량을 개발하고 지원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적 기회와 제도적 개선이 요청된다. 다섯째, 정부의 국가 지원금이나 제도적 서비스는 결혼이주여성이 자녀돌봄을 실천하는데 매우 중요한 자원이므로, 이를 확대 개선하여 다문화가정 자녀를 진정한 글로벌 인재로 육성할 수 있게 도와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초국가주의, 사회자본, 결혼이주여성, 자녀돌봄, 근거 이론

      • 자연요소를 활용하여 개발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 향상에 기여한 효과

        정영미 충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rest healing programs using natural factors on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ego-resilience in forest environment of urban natural park. The subjects are 20 male and female students’ in Grade 4 of elementary school that applied for a forest experience program at a youth center located in OO-dong, Incheon.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12 sessions, once a week from September 2 to November 18, 2017, with each session lasting for 90 minutes. The forest healing program included elements stimulating the five senses such as vision, hearing, touch and scent; forest landscape elements such as seasonal changes, mystery of nature, and beauty of forest landscapes; topographical elements such as walking and exploring; and ecological and natural element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questionnaire about academic stress and ego-resilience was conducted and analyzed by SPSS 22.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quantitative effect was verified. Language, behavior and facial expression were observed and recorded through interviews to verify the qualitative effect. The result of study First, the effect of academic stres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decreased statistically (p<.05) in the "homework" and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 domains.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in "test/grades" and "learning contents" areas. However, overall school stress has decrease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forest healing program were significantly improved (p<.000) in the ego-resilience in all sub-domai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optimism" and "emotion control and curiosity". Third,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and ego-resili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499). Students’ with higher ego-resilience felt less academic stress and students’ with lower ego-resilience had higher academic stress. Therefore, academic stress is lowered when ego-resilience is increased through forest healing program. As a result, the forest healing program is effective not only for reducing the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causing school maladjustment and uneasiness but also for improving ego-resilience to cope well with stress situations. The forest healing program was useful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특성화고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혁신행동,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

        정영미 신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of the principal of vocational high schools recognized by the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Specifically, the research issues establish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Research question 1. Research question 1. Is there a difference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an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depending on teacher background change and school background change?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an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appropriateness of a structural model in which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does not meet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by means of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medium effect of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This study conducted on teachers of vocational high schools across the country over a five-week period from July 15, 2019 to August 18, 2019 to gather data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novation behavior an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s. The sample group was set up at least 763 students, and only 763 teachers who voluntarily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purpose, content, method, and significance of the study. Out of 763 respondents, 747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subjects of the study, excluding 16 who responded insincerely. The measuring tools of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was used based on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Bass and Alvio(MLQ) by Roh Jong-hee(1996), Park Ok-sun(2015), and Jeong Hoe-sang(2019), the measuring tool for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the questionnaire developed by Janssen(2000),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was modified and us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research by Choi Yeon-in(2005), Park Kyun-yeol(2008), Park Hee-kyung(2014) and Park Ji-hoon(2016), measuring tools developed by Shin Jae-um(2002) and measuring tools developed by Kim Hee-kyu et al(2014), Jeong Hoe-sang(2019) and Jang Jong-geun(2019). For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SPSS 22.0, AMOS 22.0 was used to statisticalize the data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dure, and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determined based on a significance level of 5%. First, to analyze the feasibility of measurement tools, we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analyzed the reliability of the items that make up the factors using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Seco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arget and technical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level of the research variable. Third, Pearson's correla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among research spokespeople. Fourth,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Scherpe were performed to determin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research variable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target. Fifth,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observational variables comprising the potential variables,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convergence and judgemental feasibility were verified. Sixth,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performed to ver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between variables, and a bootstrap analysi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s Through these data investigations and analysis method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eachers of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 innovation behavior,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and among the three potential variables, 3.92 was the highest awareness of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3.75 was the lowest. Among the sub-paramete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y gender, male teachers were statistically found to have higher differences in individual consideration than female teachers, while the difference in teacher majors was higher in teacher innovation behavi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employment status and the job performance of innovation ideas of teachers an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non-commissioned teachers, while the difference between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ing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at of school principals for all seven years and 8 to 15 years from 16 to 24 years. Differences in school property were found to be higher in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than in middle and small cities and towns, and in developing ideas for innovation in teacher innovation behavior, the difference between large cities and small and medium cities was higher than in urban and cotton areas, while the difference in school principals' major subjects was higher than the average principal. Seco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 innovation behavior,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r=.714, p<).001,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correlation with teacher’s innovative behavior(r=.764, p<).001), in addition,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r=.569, p<).001). Third, the χ2(df=41) value in the conformance plot of the measurement model is 202.976(p<.001) appears, but RMSEA=.073, RMR is suitable for 022 and GFI=.953, NFI=.970, TLI=.968, CFI=.976, AGFI=.924 All were found to be in good condition and the research model was deemed suitable. Fourth, verification of the significance of the direct impact relationship between potential variants in the structural model has shown that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eacher innovation behaviour(β=.615, p<.001), which has been shown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β=.442, p<.001). It was also shown that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β=.571, p<.001). Fifth, indirect effect analysis through bootstrap shows that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indirectly affects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β=.351, p<.001).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plays a role in the impact of school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Finally, after analyzing the modifier effect of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betwee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s a direct effect on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β=442, p<.001) and indirect effects(β=.351, p<.001) because both have been shown to be significan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eacher’s innovative behavior play a partial role between the principal’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resident and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Accordingly, the principal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consider way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by activating non-statement and intellectual stimulation, which are sub-changes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t the same time to induce the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through teachers' work and class innovative behavior. 이 연구의 목적은 특성화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한 특성화고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혁신행동,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혁신행동, 학교조직효과성은 교사 배경 변인 및 학교 배경 변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연구 문제 2.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혁신행동, 학교조직효과성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3.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 혁신행동을 매개로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구조모형의 적합도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4.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교사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 혁신행동, 학교조직효과성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자료 수집을 위해 2019년 7월 15일부터 8월 18일까지 5주간에 걸쳐 전국의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단순무선표집(simple random sampling)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표본 집단을 763명 이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연구의 취지 및 목적과 내용, 방법, 유의 사항 등을 설명한 후 자발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교사에 한하여 응답을 받았다. 응답한 763명 중 무성의하게 응답한 질문지를 제외하고 747명을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의 측정도구는 Bass & Avolio가 개발한 질문지(MLQ)를 바탕으로 노종희(1996)의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질문지(PTLQ), 그리고 박옥선(2015)과 정회상(2019)의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교사 혁신행동의 측정도구는 Janssen(2000)이 개발한 질문지를 바탕으로 여동춘(2019)의 혁신행동 질문지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학교조직효과성은 최연인(2005), 박균열(2008), 박희경(2014), 그리고 박지훈(2016)이 사용한 척도와 신재흡(2002)이 개발한 측정도구, 그리고 김희규 외(2014), 정회상(2019), 장종근(2019)의 측정도구를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 분석을 위해 SPSS 22.0, AMOS 22.0을 활용하여 다음의 절차에 따라 통계 처리하고, 유의수준 5%를 기준으로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타당성 분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문항 내적신뢰도(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여 요인을 구성하는 항목들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둘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연구 변인의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연구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 분석(Pearson's correlation)을 실시하였다. 넷째,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연구 변인별 차이가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é의 사후검정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잠재변수를 구성하는 관측변수들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고, 수렴타당도, 판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여섯째, 연구변인들의 관계 검증을 위해 구조모형을 설정하고, AMOS 22 프로그램으로 모형의 적합도 및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간의 직․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Structural Equation Model)을 실시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부트스트랩(Bootstrap) 분석을 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조사와 분석방법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교사 혁신행동,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특성화고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서는 배경 변인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3개의 잠재변인 중 학교조직효과성에 대한 인식(3.92)이 가장 높았고, 교사 혁신행동(3.75)이 가장 낮았다. 성별에 따른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변인중 개별적 배려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남교사가 여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교사 전공에 따른 차이는 교사 혁신행동에서 전문교과 교사가 보통교과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보직유무에 따른 차이는 교사 혁신행동의 업무혁신 아이디어 개발과 학교조직효과성의 직무성과에서 보직교사가 비보직 교사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는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전체와 비전제시에서 7년 이하와 8년~15년이 16년~24년보다 높게 나타났다. 학교소재지에 따른 차이는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에서 대도시가 중·소 도시와 읍·면 지역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교사 혁신행동의 업무혁신 아이디어 개발에서 대도시와 중·소 도시가 읍·면 지역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장 전공 교과에 따른 차이는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에서 전공교과 교장이 보통교과 교장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 교사 혁신행동, 학교조직효과성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r=.714, p<.001), 교사 혁신행동과 학교조직효과성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r=.764, p<.001), 또한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 혁신행동은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r=.569, p<.001). 셋째, 측정모형의 적합도에서 χ2(df=41) 값은 202.976(p<.001)으로 나타났으나, RMSEA=.073, RMR=.022로 적합했으며, GFI=.953, NFI=.970, TLI=.968, CFI=.976, AGFI=.924로 모두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연구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넷째, 구조모형에서 잠재변인 간의 직접적인 영향 관계의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교사 혁신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β=.615, p<.001), 학교조직효과성에도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442, p<.001). 그리고 교사 혁신행동 또한 학교조직효과성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571, p<.001). 다섯째, 부트스트랩(Bootstrap)을 통해 간접효과 분석 결과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은 학교조직효과성에 간접적으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β=.351, p<.001) 학교장 변혁적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 혁신행동은 매개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끝으로,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사이에서 교사 혁신행동의 매개효과를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분석한 결과,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직접효과(β=.442, p<.001)와 간접효과(β=.351, p<.001) 모두 유의하게 나타났기에 교사 혁신행동은 학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 사이에서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특성화고등학교 교장은 변혁적 리더십의 하위변인인 비전제시와 지적자극을 활성화하여 학교조직효과성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교사의 업무 및 수업에 관한 혁신 행동을 통해 학교조직효과성을 유도하는 방안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대한지적공사를 중심으로

        정영미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Customer satisfaction of the enterprise could be decided by a strategy of service quality. After measure service quality provided from the enterprises, If find its impact on service satisfaction and suggest solutions of improvement in service quality, the service satisfaction would be moving a step further.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in this study, a method of literary and demonstrative study was conducted in parallel. The literary study is necessary for constituting a model and the demonstrative study is necessary for analyzing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literary study, conducted the theoretical investigation into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of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on the basis of an academic thesis and writing in order to procure a theory of the study. In the demonstrative study, conducted questionnaires toward the customers of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and analyzed the impact of service quality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results procur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an result was found that an image of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has an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Namely, the image of the enterprise has an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us, it is found that the image of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improvement i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 was found that service quality has an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 degree of promptly response to customer demand and sympathy in thinking customer's situation have importantly an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 improvement in service quality is directly linked to customer satisfaction. Third, the result was found that service quality has an impact on an intention of re-use. A constitution of service quality has an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s well as the intention of re-use, thus, service quality of the enterprise is important. It is found that the customers who are satisfied with service quality provided from the enterprise visit the enterprise again. The enterprise strives to provide the high quality service for reserving the present customers. Fourth, the result was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an impact on the intention of re-use. The customers who are satisfied with a service of the enterprise have the intention of re-using the enterprise. At last, it is found that customer satisfaction should be conducted for reserving the customers who are using the enterprise. Consequently, the image of the enterprise has an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has an impact on customer satisfaction as well as the intention of re-use. An implication of the resul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First, it was enabled that a strategy of customization that is to reserve the re-visited customers was effectively established by assessing service quality of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Second, it was realized that an importance of the enterprise image was realized. Third, the importance of settling the management in customer satisfaction was realized.

      •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비합리적 신념의 관계 연구

        정영미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버지의 양육태도보다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에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이 높기는 하지만 아직은 어머니의 경제활동 참여도에 비해 아버지의 경제활동 참여도가 높고, 자녀 양육의 많은 부분을 어머니가 담당하고 있어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부모-자녀 간의 긍정적인 관계를 도모하고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위하여 자녀 양육에 아버지의 보다 적극적인 참여가 요구된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대부분의 요인에서 남자 아동이 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자 아동보다 여자아동이 부모가 자신의 학교생활이나 교우관계에 대해 더 많이 알고 있으며,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지각하고 있으며, 남자 아동은 과도한 기대와 간섭, 학대와 방치를 보다 높게 지각하고 있어, 부모가 아동을 양육함에 있어 아들과 딸에 대하여 다른 양육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셋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긍정적인 양육 태도는 4학년이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5학년이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발달단계상의 특성과 조사대상 학생들의 특성과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아직 사춘기의 특성을 높게 보이지 않는 4학년의 경우에는 유순하고 학업성취도가 높아 부모와 아동의 교류가 타 학년에 비하여 보다 긍정적으로 일어나고 있다고 하며, 5학년의 경우, 학교 생활태도가 산만하고 학업성취도가 타 학년에 비하여 낮은 학생이 많은 것을 교사들이 지적하고 있는 점으로 보아 부모와 아동 간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것이 시사되는 부분이다. 넷째,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은 전체 10개 하위요인 중 3개 요인에서 남자 아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남?여 아동별로 다르게 나온 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부모가 남?여 아동에게 다른 양육태도를 취하고 있는 것으로 유추할 수 있으며, 그것이 원인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판단된다. 다섯째,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은 10개 하위요인 중 5개 요인은 5학년이, 1개 요인은 6학년이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비합리적 신념을 가장 높게 지각하고 있는 5학년이 타 학년에 비해 학업성취도가 부족하고, 자기통제 능력이 부족하여 지적을 당하는 경우가 많은 학년으로, 조사대상의 특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여섯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비합리적 신념에는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긍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부적 상관 보였으며, 부정적인 부모의 양육태도는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정적 상관을 보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볼 때,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긍정적인 양육태도는 아동의 비합리적인 신념 형성에 저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부정적인 양육태도는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유추할 수 있다. 이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사고체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부모가 자녀에게 관심을 가지고 합리적인 설명을 하며 애정을 표현함으로써 아동에게 합리적인 신념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긍정적인 양육태도의 중요성이 시사되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최근 조기교육과 영어교육에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우리나라 교육의 경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일본의 아동정신과 전문의 사사키 마사미(2006)는 과도한 조기 교육 역시 학대로 볼 수 있다고 하며, 부모에 의해 억지로 조기교육을 시킨 경우, 아동이 교육에서 뛰어난 성과를 보여주기를 기대하게 되고 부모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아동의 경우에는 학대로 지각한다는 진단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 밖에 우리나라 아동학대의 유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방치(방임)의 경우, 아동의 비합리적 신념과 관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부모의 이혼이나 경제적인 빈곤의 문제도 있지만 그와 관계없이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가 늘어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아동 양육에 있어서의 질적인 측면에 보다 관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이며 방과 후 아동의 양육에 대해 보다 체계적인 사회적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하지만 부모의 양육태도 역시 아동의 특성과 태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부모-자녀 간의 보다 지지적이고 안정된 관계를 위하여 서로에 대한 이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하여 자녀의 발달단계상의 특성 뿐 아니라 아동의 개인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그에 대한 바람직한 지도 방법을 찾을 수 있는 효과적인 부모교육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부모는 자녀와 친밀하고 개방적인 교류의 기회가 될 수 있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녀의 바람직한 성장을 도와야 할 것이다. Parents, who exercise a great deal of influence over children, are fosterers as well as educators. Therefore,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regarding children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exercises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children's lifelong growth and mental development, builds the future for children and determine the character of the children with different environmental factors and heredities combined. While children have support by their parents, they have a highly organized thought that finds a solution to the problem and deals with it. This organized thought continuously repeats and develops into a unfailing belief, it results in the stereotype and has a strong influence on children's As a result emotion and bearing. This study seeks to know any irrational belief to be built by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For this study, I carried out a survey of fourth-, fifth- and sixth-year students in S elementary school in ChunCheon. I used the questionnaire of the irrational belief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Junho Song(1993) which was adapted from the questionnaire on the rearing Attitudes of the parents made by Meoyon Heo(1999) and the questionnaire on the irrational belief made by Jaehwang Park(1989). I conducted the discrepancy verification and mutual relation analysis based on the details in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shows that children perceive mother's rearing Attitudes better than father's. Second,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shows meaningful difference and male perceive all the factors better than female except for the factor of superintendence. Third,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children's academic years on the whole, among which fourth-year students perceive positive factors better, while fifth-year students perceive negative factors better. Fourth, children's irrational belief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in part and male has more irrational belief than female. Fifth, children's irrational belief shows meaningful differences. The fifth-year students have more irrational belief than any other student. Sixth,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 irrational belief are that the positive factor, restrains the irrational belief, on the contrary, the negative factor is likely to form the irrational belief. According to this study, So far as, the parents' positive rearing Attitudes exercises influence on children's irrational belief, it is parent's positive rearing Attitudes that is necessary.

      • 유아의 기질과 적응에 관한 연구

        정영미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유아의 정서와 사회적 행동의 발달을 설명하고 이해하려는 노력의 한 일환으로 유치원에 다니는 유아의 기질과 적응, 부적응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특히 선행 연구에서 지적된 기질 연구의 방법론상의 문제점을 보완 개선하고, 유아의 적응 지표를 다양하게 선정함으로써 기질의 어떠한 영역이 적응, 부적응과 연관되어 있는지 보다 심도 있게 밝히고자 하였다. 덧붙여 유아의 개인적 변인 특히 성과 연령, 출생 순위에 따른 기질과 적응의 차이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의 기질은 성, 연령, 출생 순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의 적응은 성, 연령, 출생 순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1) 적응 행동은 어떠한가? (2) 부적응 행동은 어떠한가? 3) 유아의 기질과 적응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1) 기질과 적응 행동과는 어떠한가? (2) 기질과 부적응 행동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시내 6개 유치원에서 표집된 만 4, 5, 6세 남녀 아동 총 157명이었다. 대상 아동의 부모는 이들의 기질 측정 도구를 완성하였으며, 유치원의 담임 교사는 아동의 적응행동과 부적응 행동을 평가해 주었다. 배부된 자료는 교사편으로 회수되었으며,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빈도와 백분율,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 상관관계를 사용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기질이 이들의 성과 연령, 출생 순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성과 연령이었다. 특히 기질 영역 중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인 하위 영역은 주의집중이었는데, 남아가 여아보다 주의집중 능력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인 영역은 달랠 수 있는 정도였는데, 연령이 어린 유아보다 조금 더 나이든 유아의 경우 쉽게 달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유아의 적응이 이들의 성과 연령, 출생 순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성이었으며, 이것은 또래 역량을 제외한 모든 적응 하위 영역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특히 전체적으로 남아보다 여아가 적응성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여아가 남아보다 친사회적 행동과 긍정적인 정서, 자아 강도, 유치원 일과에서의 적응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셋째, 유아의 부적응 행동이 이들의 성과 연령, 출생 순위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변인은 연령이었다. 특히 나이가 어린 만 4세 유아가 만 5세, 6세 유아보다 적대성과 공격성, 불안과 공포, 과잉 활동성과 산만성 모든 영역에서 부적응 행동을 더 많이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유아의 기질과 적응과의 연관성을 알아본 결과, 유아의 기질과 적응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활동성과 달랠 수 있는 정도보다는 사회성과 정서성, 주의집중 하위 영역이 유아의 적응과 보다 많은 연관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유아의 기질은 부적응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정서성과 주의집중 하위 영역이 부적응과 보다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What is temperament? Although researchers use differing definitions of temperament, the term 'temperament' is often used to refer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behavior style, and the concept of temperament has been used to acknowledge the child's contribution to social relations and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is context,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a hypothesized link between early child temperament and adjustment (maladjustment).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early child temperament and adjustment(maladjustment) according to children's individual variables, for instance, sex, age, and birth order, was analyzed. For these purpose, the study questions were as follows. 1. What is the difference in child temperment according to sex, age, and birth order? 2. What is the difference in child adjustment(maladjustment) according to sex, age, and birth order? 3. What relation is there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adjustment (maladjustment)? The subject for this study were 157 children(4, 5, and 6 years old) who were attending 6 kindergartens in Seoul, and data on the children were provided by their parents and kindergarten teachers. Temperament was assessed in 157 children with use of the Colorado Childhood Temperament Inventory(CCTI) developed by Rowe and Plomin(1977), the adjustment of children were assessed with the Preschool Adjustment Questionnaire(PAQ) developed by Jewsuwan, Luster, and Kostelnik(1993), and the Preschool Behavior Questionnaire(PBQ) developed by Behar and Stringfield(1974). In addition, to analyze the data gathered, Frequency, Percentage, One-way ANOVA, Scheffe Post Test and Correlation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t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child temperament according to sex, age, and birth order, boys was more attentive than girls and the older more soothabile than the younger. Second, at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child adjustment according to sex, age, and birth order, girls were more adaptable than boys and was evaluated higher than boys in Prosaical Behavior, Positive Affect, Ego Strength, Adjustment to Preschool Routines. Third, at the result of the difference in child maladjustment according to sex, age, and birth order, the younger(age 4) were estimated higher than the older(age 5 or 6) in maladjustment, especially, Hostile-Aggressive, Anxious-Fearful, and Hyperactive-Distractible. Fourth, at the result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adjustment, i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especially, dimension of Sociability, Emotionality, and Attention had much relation to child's adjustment than Activity and Soothability. In contrast, at the result of the relation between child temperament and maladjustment it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especially, dimension of Emotionality and Attention had much relation to child's maladjustment.

      • 치매환자 가족의 적응과 관련된 영향요인

        정영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number of people with dementia is rapidly increasing in South Korea. Dementia is a disease that due to abnormal changes in cerebral blood vessels cause a decrease in daily life performance and social activity ability. Therefore, people with dementia require continuous observation and support by their families. As a result, the level family adaptation may be reduced due to stress on care, insufficient social support, and negative family resilience.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aime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stress, social support,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level of families of people with dementia,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family adaptation. Between March 1, 2022 and August 30, 2022, 133 subjects who had been caring for people with dementia, that were registered at two dementia care centers and four dementia day care centers located in Gyeongsangnam-do, for at least 6 months were enrolled in the current study and wrote out a survey sheet. Categorical variables are described as frequency and percentage. Continuous variables are described as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ata was analyzed by using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ppropriate.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28.0.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emale gender accounted for 73.7% of the subjects and people in their 50s accounted for the most at 30.8%. As for the level of education, 39.9% were college graduates. As for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two people were the highest at 39.1% while 91.7% of the respondents were married. In terms of family relations, the daughter was the main caregiver with 40.6%, and the cost of supporting people with dementia was less than 500,000-700,000 KRW at 41.3%.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moderate" with 62.4% and the support period was less than 1 year in 35.3%, and 55.6% of responders answered that they had at least one back-up caregiver. Second, the family stress of the subjects was 2.94±0.61, the family relationship 2.95±0.68, economic problem 3.12±0.57, household problem 3.09±0.59, interpersonal relationship 2.71±0.71, health and loss 2.82±0.73, and the social support was 3.29±0.73, specifically, emotional/informational support 3.2.3±0.73, tangible support 3.24±0.79, affectionate support 3.39±0.83, and positive social interaction 3.36±0.81.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subject was 2.89±0.39, family strength 3.11±0.39, family resources management 2.82±0.39, and family problem solving and corresponding strategies 2.84±0.39, and the direct influence of family adaptation was 3.40±0.53. Third, as for subject general characteristics, family adapt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t=-2.35, p=.020), marital status (t=-2.79, p=.006), education level (F=3.55, p=.031),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F=5.92, p<.001), age (F=3.00, p=.033), family relationship (F=4.91, p=.003), the period of support (F=5.52,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F=3.94, p=.022), the presence of a back-up person (t=2.38, p=.019). Fourth, family adapt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trong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support (r=.72, p<.001) and a significant intermediate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 resilience (r=.57, p<.001). In contrast, family adaptation level wa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amily stress (r=-.05, p=.551). Fifth, the results of multivariable analysis demonstrated that family adaptation level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ocial support (β=.44, p<.001) and family resilience (β=.39, p<.001) after adjustment for potential biasing effects from confounding variables. Family adaptation was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β=-.20, p=.020), education level (β=.18, p=.013), marital status (β=.33, p=.018), and the presence of a back-up person (β=.20, p=.019). In conclusion, we found that sufficient social support and high family resilience are important for the adaptation of families of people with dementia. Therefore, strategies to increase social support and family resilience should be developed. 치매는 뇌혈관의 비정상적인 변화로 인한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사회활동능력 등의 감소로 지속적인 관찰과 부양이 필요한 질환으로 국내에서도 치매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치매환자 가족은 돌봄에 대한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게 되지만 적절한 사회적 지지와 긍정적인 가족탄력성으로 성공적인 가족적응을 이끌어 낼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한 중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치매환자 가족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가족탄력성과 가족적응의 수준과 변수 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경남에 소재하는 치매안심센터 2개소, 주간보호센터 4개소를 이용하고 있는 경증의 치매환자를 6개월 이상 돌보고 있는 치매환자 가족 주부양자 133명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3월 1일부터 8월 30일까지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식으로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통계프로그램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Scheffé's test,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73.7%로 남성보다 많았고 연령은 50대가 30.8%로 가장 많았다. 교육수준은 대졸 이상이 39.9%, 혼인상태는 배우자 있음이 91.7%, 가족구성원 수는 2명이 39.1%로 가장 많았다. 가족관계는 40.6%가 딸이였고, 치매환자 부양비용은 매월 50-70만원 미만이 41.3%로 가장 많았다. 주관적인 건강상태는 ‘보통이다’가 62.4%였고, 부양기간은 1년 이하가 35.3%로 많았고, 교대자 유무는 ‘도와줄 수 있는 교대자가 있다’가 55.6%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가족스트레스의 합계는 5점 만점을 기준으로 2.94±0.51점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관계가 2.95±0.68점, 경제문제가 3.12±0.57점, 가사문제가 3.09±0.59점, 대인관계가 2.71±0.71점, 건강 및 상실은 2.82±0.69점으로 나타났고, 사회적 지지의 합계는 5점 만점 중 3.29±0.73점이며, 구체적으로 정서적/정보적 지지가 3.26±0.77점, 물질적 지지가 3.24±0.79점, 애정적 지지가 3.39±0.83점, 긍정적 상호작용이 3.36±0.81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의 합계는 5점 만점 중 2.89±0.39점으로, 가족강인성이 3.11±0.39점, 가족관리자원이 2.82±0.39점, 가족문제해결 및 대응전략이 2.84±0.39점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가족적응은 5점 만점을 기준으로 3.40±0.53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적응의 차이는 성별(t=-2.35, p=.020), 혼인상태(t=-2.79, p=.006), 교육수준(F=3.55, p=.031), 가족구성원 수(F=5.92, p<.001), 연령(F=3.00, p=.033), 가족관계(F=4.91, p=.003), 부양기간(F=5.52, p<.001), 주관적 건강상태(F=3.94, p=.022), 교대자 유무(t=2.38, p=.019)에서 집단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가족탄력성, 가족적응의 상관관계에서 가족적응과 유의미한 변수는 사회적 지지와 가족탄력성으로 가족적응은 사회적 지지(r=.72,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강한 정(+)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분석되었으며, 가족탄력성(r=.5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중간정도의 상관관계에 있다고 분석되었다. 그러나, 가족적응과 가족스트레스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05, p=.551).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가족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성별(β=-.20, p=.020), 교육수준(β=.18, p=.013), 혼인상태(β=.33, p=.018), 교대자 유무(β=.20, p=.019)로 나타났다. 여성이 남성보다, 대졸 이상이 중, 고졸의 학력보다, 기혼자가 미혼자보다, 교대자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것보다 가족적응에 대한 영향력이 컸다. 가족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사회적 지지(β=.44, p<.001), 가족탄력성(β=.39, p<.001)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상자의 가족적응을 위하여 충분한 사회적 지지와 높은 가족탄력성이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즉, 치매환자 가족의 가족적응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며, 특히 치매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사회적 지지와 가족탄력성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의 다양한 간호 서비스를 통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교육 및 지지 프로그램의 마련이 필요하다.

      • 공연예술의 저작권보호에 관한 연구 : 연극연출을 중심으로

        정영미 상명대학교 대학원(천안캠퍼스) 2010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thesis purposes to urge comprehension of copyright law associated with performing arts in these days of cultural industry. There are status and issue of copyright law in the view of performing arts in this study. Especially, I suggest that creative theatre directors have copyright ownership and we make them create high-quality of theatre direction. In chapter Ⅱ, preferentially, I research the definition of 'dramatic works' of U.S.A and Korea. We need to define clear meaning and the term of ‘dramatic work'. Courts has opinions that musical plays or operas are 'combined work'. However, 'combined work' is no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Courts must examine the process of perfoming arts to clarify characteristics of works in every cases. Also, I suggest we redefine 'dramatic works', 'theatrical works', and 'works of performing arts'. There are a few cases that theatre directors are able to have copyright in other countries. Copyright of creative theatre directors was started in France and German in 1970's or 1980's and has been protected. There are lots of controversy around copyright of theatre directors in America for a decade. We have little judicial precedents about theatre directors, no artistic examination related theatre direction. Theatre directors are performers who have neighboring rights,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won't have the exclusive right of making derivative works in this country. Others will make creation (such as cinemas, animations, novels) based on theatre direction without permission, because theatre directors don't have exclusive right of making derivative works. Theatre directors are sincere creator of the theatre stage today. Chapter Ⅲ says the creativity of theatre directors according to directing styles. Copyright law can't protect the concept of theatre directors and building blocks of them which are drama text, actors and theatre space, because copyright law don't protect idea based on idea/expression dichotomy. The expression of theatre direction are belong to five fundamentals which are composition, picturization, movement, rhythm, pantomimic dramatization that are come from Dean & Carra's work. Directors' work is to make theatrical works based on literary works. Therefore, theatrical works are derivative works which based on drama texts. When theatrical works are able to be joint works. In the case of theatre directors write drama text and create stage direction, they have to own authorship of both works. We need shift of the definition of theatrical works which are derivative works or joint works to preotect theatre directors' creativity. Hereafter, the special legal section for dramatic(theatrical) works including the flexible legal definition for performing arts should be established, and 'contract form' for theatre directors should be made. Acting edition(literary works) should be published to grant creative directors compensation. There are a few considerable points to protect theatre directors' copyright. There could be double creation of stage when they show their stage expressions based on the same drama text. Merger doctrine should not apply theatre directors' works strictly like any other functional works because theatre directors usually create noble expression which have been not before. There could not be applied to copyright infringement and copyright protection in hommage which has come from preceeding famous directors, and common or typical expressions which are applied of scènes à faire doctrine. In conclusion, I emphasize to grant ownership of copyright to creative theatre directors, encourage directors' creativity. Copyright law will be support for development of cultural arts institutionally. Also, 'The society for performing arts copyright' should be founded. Appendix shows the introduction of copyright law related to artists belong to performing arts and judicial report about performing arts of this country. 이 논문의 목적은 다가오는 문화산업의 시대에 공연예술과 관련한 저작권법의 이해를 도모하고, 공연예술계의 입장에서 바라본 우리 저작권법의 실태 및 바람직한 방향을 조망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별히 연극연출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저작권보호 범위를 검토함으로써 합당한 수준에서는 저작자적 위상을 요구하기 위한 논의를 전개하고 있으며, 연극연출에 있어서 정당한 법적 지위의 모색과 이를 통해 수준 높은 작품창작의 동기를 부여하길 원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해 예비적 연구로 ‘연극저작물’의 저작권법적 개념을 살펴보았는데, 주로 경험 많은 나라인 미국의 'dramatic works'의 개념과 비교하여 용어 및 대상에 대하여 명확한 재정립이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첫째, 극적저작물 또는 극저작물은 ‘dramatic works’로, 드라마적 구성을 갖는 모든 종류의 허구적 저작물이면서 어문저작물을 의미한다. 둘째, 연극저작물은 ‘theatrical works’로, 무대적 표현인 연극 장르자체를 의미한다. 셋째, 공연예술적 저작물은 ‘works of performing arts’로, 무용과 무언극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공연예술을 의미한다. 또한, 우리나라 법원에서 뮤지컬·오페라를 일관되게 ‘결합저작물’로 바라보는 관점을 지양하고 각 경우마다 유동적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음도 논의하였다. 이어지는 예비적 고찰로서 연출자의 저작권에 관한 국내외 상황을 검토하였다. 프랑스나 독일의 경우는 이미 30·40년쯤 전에 독창적인 연출작업은 보호해주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근 10여 년간 연출자의 저작권을 둘러싼 논쟁이 활발히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미국의 논쟁을 타산지석 삼아 검토함으로써 우리의 사회적 에너지 소모를 감축하려한 데 의의가 있고, 예상될 수 있는 논점을 선취해봄으로써 곧바로 우리나라의 경우 연극연출에 관한 법적 위상을 검토하려 함이다. 국내의 경우 아직은 연출작업에 대한 저작권 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제기되지 않는 상황이나, 그나마 있는 한 두 사례에서는 연출자의 창작성을 인정하지 않는 상황이다. 또한 현행법상 연출자가 실연자로서 저작인접권을 갖고, 2006년 저작권법 전면개정시 실연자의 권리가 대폭 확대되었지만 여전히 문제가 되는 것은 실연자는 2차적저작물 작성권이 없다는 것이다. 연극공연을 토대로 다른 장르로 창작될 경우(예를 들면 영화화, 만화화, 소설화) 그 권리가 희곡작가에게만 주어지는데, 연출자는 무대공연을 창작한 자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본격적인 ‘연극저작물’의 저작자로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서 법에서 아이디어/표현의 이분법에 따라 아이디어는 보호하지 않고 표현을 보호하는 원칙을 생각했을 때, 연극연출에 있어서 아이디어와 표현을 어떻게 구분하여 살펴볼 것인지 고찰하였다. 연출자의 아이디어에 해당하는 것은 공연을 이끌어가는 개념(concept)과 연출자의 창작도구인 희곡, 배우, 공연공간으로 보았고, 이 세 가지 요소에 전적으로 속하는 부분은 저작권에서 아이디어에 해당될 것이다. 법에서 저작권보호의 대상이 되는 연극연출의 표현부분은 장면연출의 5대요소인 구성(composition), 시각화 (picturization), 동작(movement), 리듬(rhythm), 무언의 극화(pantomimic dramatization)에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았다. 연극연출의 저작권 보호를 위해서는 창작성에 관한 기준과 정도를 정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연출자의 작업유형별로 창작성이 나타나는 방식에 따라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이것은 공연예술에서 분명하게 인정되고 있는 저작자인 극작가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그 창작의 세계가 독립되는 정도에 따른 것이다. 첫째, 연극연출의 창작성에 관한 최소한의 기준이 되는 ‘실연’의 경우는 재현적 연출로서, 희곡을 충실하게 무대에 그대로 표현하려고 의도한 작업으로, 그의 실연에 대해서는 현행법상 인정되는 저작인접권자의 지위에서 도출되는 실연자의 권리로 생각해볼 수 있겠다. 둘째, 연극연출이 구성상의 창작성을 갖는 경우는 희곡을 그대로 재현할 것을 의도하되, 다른 무대적 요소로 창작성을 더하여서 표현된 경우에 해당하며, 법상의 논리로는 ‘편집저작물’에 대응될 수 있겠으나 공연예술의 작업의 성격상 정확하게 대입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므로, 이런 경우는 2차적저작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 셋째, 희곡이 그 자체로 해석의 다양성을 내포하고 있는 고전의 경우나 전통적인 희곡의 형식이 아닌 경우는 희곡의 해석 시점에서 창작성이 발휘되는 경우로 보아야 하며, 이러한 연극연출은 희곡의 해석을 충실히 하려고는 의도하였으되, 그 해석의 다양성과 표현의 창작성이 드러날 수 밖에 없는 가능성을 품고 있으므로 여기서의 연극저작물은 2차적저작물로서 인정되고, 연출자는 그 저작자가 되어야 옳을 것이다. 넷째, 연출자가 희곡에서 최소한의 부분만 취하려고 의도하여 극작가의 작품세계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무대상에 실질적인 개변으로 표현된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작업도 역시 2차적저작물의 저작자로 인정되어야 옳을 것이다. 다섯째, 공동창작의 경우는 창작자들의 의도, 단일한 저작물의 창작, 창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