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iveness of game coding education in mitigating problematic internet gaming

        정승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서론: 청소년들의 문제적 인터넷 게임 사용은 낮은 자존감, 우울증, 불안감, 주의력 문제 등 다양한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게임 코딩 교육이 게임 리터러시 교육보다 문제적 인터넷 게임 사용의 개선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방법: 게임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찾아가는 게임 교실' 사업의 게임 코딩 교육 및 게임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신청한 청소년 126명이 참여했다. 모든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인식, 우울증, 불안감, 자존감 등의 심리상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게임 패턴 등을 조사했다. '문제성 인터넷 게임 집단'은 ‘영의 인터넷 중독 척도(YIAS)에서 40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청소년’으로 정의됐다. 결과: 게임 코딩 교육 그룹과 게임 리터러시 교육 그룹 간 연령, 성별, 교육 시간, 인터넷 사용 시간 등에서 차이가 없었다. 게임 코딩 교육만이 인터넷 사용시간 감소, 우울증 증상 감소, 자존감 향상에 크게 효과가 있었다. 계층적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는 더 많은 교육시간, 코딩 교육,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 높은 자존감 등이 문제 인터넷 게임 참여자의 문제 인터넷 게임 개선의 예측 변수가 될 수 있었다. 결론: 게임 코딩 교육은 청소년의 자존감 향상을 통해 문제적 인터넷 게임 사용 개선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향후 게임에 대한 교육시간을 늘리고, 청소년들의 심리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게임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Introduction: Problematic internet gaming in adolescents is associated with various negative outcomes, such as low self-esteem, depression, anxiety, and attention problems. We hypothesized that game coding education, by improving adolescents’ self-esteem,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game literacy education in mitigating problematic internet gaming Methods: A total of 126 adolescents who voluntarily applied for the game coding education and game literacy education program of the “Visiting Game Class” project operated by the Game Cultural Found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on demographics, gaming patterns, and psychological status, including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of online games, depression, and anxiety. We designated those with scores higher than 40 on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as the “problematic internet gaming” group. Results: Only game coding education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decreasing internet use, lowering depressive symptoms, and improving self-esteem. In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ore frequent education time, coding education, stronger negative perceptions of gaming, and high self-esteem predicted decreased internet gaming among participants exhibiting problematic internet gameplay. Discussions: Game coding education effectively mitigates problematic gaming by improving adolescents’ self-esteem. Thus, it may be beneficial to increase education time and devise game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status.

      • 돼지 유사 배아줄기세포의 집락 형성률에서 새로운 체외 배아 배양 시스템의 영향

        정승아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Genetically modified pigs have a great potential as organ donors for xenotransplantation, as well as a model for human diseases, and the porcine embryonic stem cells (pESCs) could be also applied to the translational medicine for the disease models. On their purpose,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establish pESCs using in vitro produced blastocysts such as in vitro fertilization (IVF) and parthenogenesis (PA). However, in vitro derived porcine blastocyst is no obvious inner cell mass (ICM) or they eventually contain only few cells. Therefore, to improve in vitro derived blastocyst’s quality and then establish pESCs, I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in vitro produced blastocyst quality and colonization efficiency of pESCs. In experiment, the control group was produced using M199 media in in vitro maturation (IVM) and porcine zygote medium-3 (PZM3) in in vitro culture (IVC). The novel system is produced using M199 with 2 μM resveratrol (RES) in IVM and PZM5 with 10 ng/mL porcine granulocyte-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pGM-CSF), 2 μM RES and 10 μM β-mercaptoethanol (β-ME) in IVC.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7.0 using Duncan’s multiple range test or Student T test. As results, overall blastocyst quality was increased. The blastocyst formation rates were significantly higher (P < 0.05) in the novel system (54.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3.4%) in PA and hatched blastocysts rates in day 6 and 7 were also increased significantly. Total cell numbers of blastocyst were significantly higher (P <0.05) in the novel system (55.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45.6). In IVF, hatched blastocysts rates in day 7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too. After seeding porcine blastocyst, the attachment rates were higher in the novel system (36.2% in IVF and 32.2% in PA) than the control group (26.6% in IVF and 19.5% in PA). Also, colonization rates and cell line derivation rates were higher in novel system than control group. Colonization rates of control group were 10.8% in IVF and 2.4% in PA, but novel system were 17.75% in IVF, and 13.1% in PA. The cell line derivation rates were 4.2% (IVF) and 2.4% (PA) in control group. In novel system, they were 10.0% (IVF) and 7.2% (PA). We established 3 cell lines from PA blastocysts (1 cell line in control group and 2 cell lines in novel system). All cell line has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express pluripotent markers and differentiation markers. In conclusion, the novel system of IVM and IVC (the treatment of RES during IVM and RES, β-ME, and pGM-CSF during IVC) increased quality of porcine blastocysts produced from in vitro, subsequently increased derivation rates of porcine putative ESCs

      • 증여론의 관점에서 본 효도보험의 교환기제에 관한 연구

        정승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한국 사회에서 특징적으로 존재하는 효도보험에 대한 연구를 선물 증여 이론의 관점으로 심층적인 고찰을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급속한 고령화의 진행에 따라 보험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되고 있는 시대에 등장한 효도보험은 그간 논의되었던 보험 상품의 시장원리에 따른 이론적 쟁점에서 벗어나 사회학적 논의로서 설명력을 가지는 것을 보여 준다. 효도보험을 둘러싼 상호 주관적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심층면접과 표적집단면접으로 이루어지는 질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그 결과 부모와 자녀 간에 교환이 이루어지는 효도보험은 단순한 경제 원리에 따르는 교환 관계를 넘어선 선물 교환 관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역학 관계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선물 증여의 특성이 효도보험에도 여실히 드러나 효도보험의 애매모호함, 강제성, 호혜성 등의 특성이 면접을 통해 결과로 도출되었다. 또한, 효도보험의 교환 관계는 결국 경제적인 목적에 더하여 비경제적인 목적이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효도보험은 단순한 시장 경제 원리에서 머무르지 않고 증여론의 관점에서 선물 경제 원리로 설명하는 새로운 접근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우리 사회의 효도보험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선물 경제에 대한 연구의 확장이 의미있음을 시사한다. 주제어: 고령화, 효도보험, 선물, 증여 이론, 사회 교환

      • 의약분업에 따른 약국 소매업의 입지 변화에 관한 연구

        정승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855

        지난 2000년부터 시행된 의약분업 정책은 약국의 매출, 유통관계와 소비자 행태 등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정책 실시 후 약국 소매업의 입지는 기존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을 바탕으로 근린시설이었던 약국 소매업이 정책실시 후 그 입지에 어떠한 변화가 발생했다는 가정 하에, 정책 전과 후의 입지가 어떻게 달라졌으며, 정책의 영향으로 약국 소매업 입지에 어떤 변화가 나타났는지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춘천시를 대상지역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실증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설문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교차분석,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면저, 의약분업 전에 춘천시의 약국 소매업은 근린시설로서 주거지역을 중심으로 입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가 많은 지역에 약국 점포가 상당수 입지하고 있었고, 지리적으로 비교적 고르게 분포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의약분업 후에 춘천시의 약국 소매업은 병의원 근처에 과반수 이상이 입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0년에서 2001년 사이에 개업한 약국의 대부분이 병의원 주변에 입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결론적으로 의약분업 후 약국 소매업의 변화는 크게 약국 점포의 입지이등, 규모확장, 고객수의 증감 등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 전체의 1/3정도가 의약분업 실시로 인하여 병의원 옆으로 입지를 이동하였으며, 그 결과 매출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약국의 규모 측면에서 처방전 처리에 따른 시설의 필요로 병의원 주변 약국 상당수의 면적이 증가하였으며, 업무의 증대로 직원수가 증가하였다. 셋째, 병의원 주변의 약국은 대부분 고객수가 증가하였으며, 특히 주거지 지역의 고객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병의원 주변 약국의 매출은 증가하였으며, 의약분업 전 중요시되었던 주거지 지역 약국의 매출은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앞으로 계속 전개될 약국 소매업의 공간 패턴 변화가 병의원 중심으로 더욱 집중될 것을 암시하며, 이후에 약국 소매업의 입지를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administration policy on the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which was implemented from 2000 has influenced in great deal over the sales of drug stores, distribution system, behavioral pattern of consumers, etc.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the location of drug stores has changed showing different pattern from previous due to these elements. This study has attempted to analyze how the location of drug stores has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policy and what kinds of changes have appeared in the location of drug stores after the policy under the assumption that,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on the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some kind of change in the location of drug stores which were neighboring facilities of residential area must have happened. To accomplish this, we have conducted a survey for the area of Choon-chun city and performed positiv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ross-tab analysis and anova analysis were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before the separation, retail drug stores were located around residential area as neighboring facility. More drug stores used to be located in larger population area and geographic distribution of the stores were relatively even. Secondly, after the separation, more than a half of retail drug stores have appeared to be nearby hospitals and clinics. Especially those drug stores which were opened during 2000 to 2001 are heavily located around hospitals and clinics area. Lastly in conclusion, after the separation three major changes occurred in retail drug stores are change in locations, size expansion and change in number of customers; Firstly, more than one third of total retail drug stores have changed their location to nearby hospital and clinic area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separation of dispensary from medical practice. Secondly, from the scale aspect, the size of drug stores around hospital and clinic have increased due to space need to handle prescription slips and accordingly the number of staff in the drug stores has increased. Thirdly, the number of customers of most drug stores around hospital and clinic has increases and in residential area the number of customers has clearly decreased. Accordingly sales of the drug stores around hospital and clinic have increased and that of the drug stores around residential area which were important to residents before the separ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changes in space pattern of retail drug stores which is likely to keep on occurring ing the future will be concentrated toward hospital and clinic area, and this result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to study on the location of retail drug stores in the future.

      • 글자 및 단어 단위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모션 API와 저작 인터페이스 개발

        정승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55

        단어나 글자 단위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PC 기반의 애니메이션 제작 도구를 사용하거나 웹 기반의 SVG를 사용하여 프로그래밍을 해야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전문적인 기술과 번거로운 제작 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단어나 글자 단위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쉽고 빠르게 제작하기 어렵다. 선행 연구에서는 함수 호출만으로도 간단하게 텍스트에 움직임을 더할 수 있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폰트 엔진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이는 다양한 움직임을 구성하는데에 목적을 두었기 때문에 여전히 단어나 글자 단위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제작에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이에, 키네틱 모션 API를 확장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확장 모션 API를 제안한다. 확장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폰트 엔진은 함수로 제공되는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모션 라이브러리를 포함하여 단어, 글자 단위의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제작 과정을 간소화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적용이 가능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모션 라이브러리의 구성이 용이하도록 키네틱 타이포그래피 저작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저작 인터페이스를 통해 문장 단위뿐만 아니라 단어와 글자 단위로 움직이는 다양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제작 할 수 있다. 문장, 단어, 글자 단위의 다양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쉽고 빠르게 만들 수 있으므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의 활용 분야와 범위가 넓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키네틱 확장 모션 API를 이용하여 모바일 인스턴트 메신저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마다 개인화된 다양한 키네틱 타이포그래피를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 기계체조 선수들의 정신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

        정승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연구는 국내 중·고등학교 기계체조선수들의 정신력 수준을 알아보고 나아가 정신력이 경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연구방법으로는 국내 중·고등학교 에 소속되어 있는 남녀 기계체조선수 226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응답한 설문지를 회수한 후 Window용 SPSS 17.0 Version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설문지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신뢰도 분석 (reliability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연구 대상자들의 정신력 하위수준과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t-검증, 일원분산분석(one wey ANOVA) 및 사후분석(post-hoc test), 단순회귀분석등의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계체조선수들의 배경변인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자신감, 각성조절, 주의조절, 긍정적 에너지 부분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상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신력의 모든 부분에서 중학생보다 고등학생이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에서 경력이 오래될수록 정신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나머지 요인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경기력에 따른 정신력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에서 우수선수가 비우수 선수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각성조절, 주의조절, 긍정적 에너지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유의한 차이를 보인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은 무두 비우수 선수보다 우수선수가 높게 나타났다. 셋째, 정신력이 경기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각성조절, 주의조절, 긍정적 에너지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해 중·고등학교 기계체조 선수들의 경기력은 정신력의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중·고등학교 체조선수들에게 있어 자신감, 시각화와 심상조절, 동기수준, 태도조절이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정신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며, 지도자 또한 선수들에게 이러한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심리기술훈련을 선수에게 충분히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러한 심리기술 훈련이 선수들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현장의 체육 지도자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 또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ntal toughness of secondary school artistic gymnasts and the impact of their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26 secondary school boys and girls who were artistic gymnasts.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answer sheets were analyzed with a SPSS/WIN Ver. 17.0 program. A reliabilit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check the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used in the study, and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ost-hoc test and simple regression procedures were utilized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background variables involving gender and mental toughness, the boys excelled the girls in confidence, awakening control, attention regulation and positive energy, and no gender gaps were found in the other factors. In terms of mental toughness, the middle school players were ahead of the high school players in every aspect of mental toughness. As to connections between career and mental toughness, a longer career led to better confidence, better visualization, better image control, higher motivation level and better attitude regul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ther factors. Second,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performance on mental toughness, the excellent players surpassed the nonexcellent ones in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and no significant gaps were found in awakening control, attention regulation and positive energ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and the excellent players outdid the nonexcellent ones in those regards. Third, as for the impact of mental toughness on performance, mental toughnes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but that exert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awakening control, attention regulation and positive energy.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ary school artistic gymnasts was under the influence of their mental toughness. Specifically, their performance was affected by confidence, visualization, image control, motivation level and attitude regulation. Therefore the kind of programs that aim at boosting mental toughnes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for players to undergo sufficient psychological training. Besides, P.E. instructors should receive systematic reeducation in order to provide superb psychological training to players.

      •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Optec 6500®으로 측정한 눈부심

        정승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간헐외사시 환자에서의 눈부심은 54~90%의 환자가 호소할 정도로 흔하지만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굴절교정수술과 백내장수술 전후 눈부심 측정에 이용되고 있는 Optec 6500?으로 간헐외사시 환자의 눈부심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간헐외사시로 수술예정인 환자 58명과 정상 대조군 34명을 대상으로 Optec 6500?의 대비감도 검사를 이용하여 눈부심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눈부심은 일정한 조도 조건에서 눈부심을 일으키는 빛 조건을 추가하였을 때 저하되는 대비감도의 차이로 정의하였다. 측정된 눈부심과 관련된 임상인자를 조사하였고, 사시수술 3개월 후 반복 측정하여 수술 전과 비교하였다. 간헐외사시군의 대비감도는 명소시 저 공간 주파수에서, 박명시에는 저중간 공간 주파수에서 대조군에 비해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눈부심을 일으키는 빛 조건을 주면, 박명시 중간 공간 주파수에서 간헐외사시군의 대비감도가 감소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양안 검사시에만 나타났다. 이 측정된 눈부심은 수술 3개월 후 의미있게 호전되었다. 눈부심은 술전 사시각, 굴절이상, 억제정도, 유병기간, 나이, 성별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술전 원거리 입체시가 좋을수록, 그리고 환자가 눈부심을 호소할 경우 강하게 측정되었다. 간헐외사시 환자의 눈부심을 정량화할 수 있었으며, 이는 간헐외사시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사교육 교재의 비교 분석

        정승아 성균관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appropriateness of English textbooks for public and private education an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and suggestions in developing for better English textbooks. To achieve this purpose, three different English textbooks ?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 5th grade, the Let?s Go series and the Playground series ? were chosen, analyzed and compared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this study focuses on external system, communicative function, topic and vocabulary.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the textbooks have Teacher?s Guide. However only textbook A and B include Work book and flash cards as a sub-material,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does not have them. In terms of organization of textbooks,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integrates four language skills through its level. But in case of textbook A and B, they emphasize two language skills at the same time, not one after another. Second, the three given series deal with only a limited number of communicative functions. The 7th National Curriculum suggests seven communicative functions which have thirty-four subcategor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However, 50%, 68.9%, and 41.5% of each book focus on the communicative function of exchanging factual information. Students need to be exposed to various situations in order to improve their communicative functions, and more diverse communicative functions should be included in English textbooks. Third, as for the topics, all of the three series present only a limited variety of topics. The topics presented most frequently are family, community and school. English textbooks for children should contain more various and interesting topics in their contests and present them in the spiral sequence according to levels. Fourth, regarding vocabulary, textbook A and textbook B contain two times or three times words more than the elementary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both the two textbooks use more words than the criteria suggested by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The number of vocabulary newly introduced in textbook A and B is 1,459 and 811. The fact that the number of basic vocabulary recommended by the 7th curriculum is 577 implies that most students will have a great difficulty in learning with the books. It seems to need to control the number of new words in the textbooks. As a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or the purpose that they can provide meaningful advice for developing good English textbooks for children. First, English textbooks for children must introduce various communicative functions. Students need to be exposed to a variety of situations related to their real lives to have interests and to develop their communicative competence. Second, good English textbooks should cover diverse topics and present them in the spiral sequence. Also, user?s needs, interests and cognitive abilities should be considered. Third, they should be controlled in terms of difficulty on the level of vocabulary. Vocabulary should include general words in common use for user?s real lives. Fourth, to achieve the goal that developing and using better textbooks, criteria for evaluating elementary English textbooks for private education must be established through ceaseless and activ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