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헐외사시 환자에서 Optec 6500®으로 측정한 눈부심

        정승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55

        간헐외사시 환자에서의 눈부심은 54~90%의 환자가 호소할 정도로 흔하지만 이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져 있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굴절교정수술과 백내장수술 전후 눈부심 측정에 이용되고 있는 Optec 6500?으로 간헐외사시 환자의 눈부심을 측정하고자 하였다. 간헐외사시로 수술예정인 환자 58명과 정상 대조군 34명을 대상으로 Optec 6500?의 대비감도 검사를 이용하여 눈부심을 측정하고 이를 비교하였다. 눈부심은 일정한 조도 조건에서 눈부심을 일으키는 빛 조건을 추가하였을 때 저하되는 대비감도의 차이로 정의하였다. 측정된 눈부심과 관련된 임상인자를 조사하였고, 사시수술 3개월 후 반복 측정하여 수술 전과 비교하였다. 간헐외사시군의 대비감도는 명소시 저 공간 주파수에서, 박명시에는 저중간 공간 주파수에서 대조군에 비해 저하되어 있었다. 또한 눈부심을 일으키는 빛 조건을 주면, 박명시 중간 공간 주파수에서 간헐외사시군의 대비감도가 감소되었고, 이러한 변화는 양안 검사시에만 나타났다. 이 측정된 눈부심은 수술 3개월 후 의미있게 호전되었다. 눈부심은 술전 사시각, 굴절이상, 억제정도, 유병기간, 나이, 성별과는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술전 원거리 입체시가 좋을수록, 그리고 환자가 눈부심을 호소할 경우 강하게 측정되었다. 간헐외사시 환자의 눈부심을 정량화할 수 있었으며, 이는 간헐외사시의 상태를 평가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The) effectiveness of game coding education in mitigating problematic internet gaming

        정승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서론: 청소년들의 문제적 인터넷 게임 사용은 낮은 자존감, 우울증, 불안감, 주의력 문제 등 다양한 부정적인 결과와 관련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존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게임 코딩 교육이 게임 리터러시 교육보다 문제적 인터넷 게임 사용의 개선에 효과적일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방법: 게임문화재단이 운영하는 '찾아가는 게임 교실' 사업의 게임 코딩 교육 및 게임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에 자발적으로 신청한 청소년 126명이 참여했다. 모든 참여자를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에 대한 긍정적 또는 부정적 인식, 우울증, 불안감, 자존감 등의 심리상태, 인구통계학적 데이터, 게임 패턴 등을 조사했다. '문제성 인터넷 게임 집단'은 ‘영의 인터넷 중독 척도(YIAS)에서 40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청소년’으로 정의됐다. 결과: 게임 코딩 교육 그룹과 게임 리터러시 교육 그룹 간 연령, 성별, 교육 시간, 인터넷 사용 시간 등에서 차이가 없었다. 게임 코딩 교육만이 인터넷 사용시간 감소, 우울증 증상 감소, 자존감 향상에 크게 효과가 있었다. 계층적 로지스틱 회귀 분석에서는 더 많은 교육시간, 코딩 교육, 게임에 대한 부정적 인식, 높은 자존감 등이 문제 인터넷 게임 참여자의 문제 인터넷 게임 개선의 예측 변수가 될 수 있었다. 결론: 게임 코딩 교육은 청소년의 자존감 향상을 통해 문제적 인터넷 게임 사용 개선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향후 게임에 대한 교육시간을 늘리고, 청소년들의 심리상태를 고려한 맞춤형 게임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는 것이 유용할 것이다. Introduction: Problematic internet gaming in adolescents is associated with various negative outcomes, such as low self-esteem, depression, anxiety, and attention problems. We hypothesized that game coding education, by improving adolescents’ self-esteem, would be more effective than game literacy education in mitigating problematic internet gaming Methods: A total of 126 adolescents who voluntarily applied for the game coding education and game literacy education program of the “Visiting Game Class” project operated by the Game Cultural Foundation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collected data on demographics, gaming patterns, and psychological status, including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of online games, depression, and anxiety. We designated those with scores higher than 40 on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as the “problematic internet gaming” group. Results: Only game coding education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decreasing internet use, lowering depressive symptoms, and improving self-esteem. In the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more frequent education time, coding education, stronger negative perceptions of gaming, and high self-esteem predicted decreased internet gaming among participants exhibiting problematic internet gameplay. Discussions: Game coding education effectively mitigates problematic gaming by improving adolescents’ self-esteem. Thus, it may be beneficial to increase education time and devise game education programs tailored to adolescents’ psychological status.

      • 3주기 대학기본역량진단에 대한 대학의 대응전략 사례연구

        정승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55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대학의 재정위기 악화와 4차 산업혁명으로 미래 인재 양성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깊어지는 가운데 대학 중 특히 지방대학, 전문대학의 위기가 가속화되고 있다. 정부는 향후 학령인구 감소에 대한 선제적 대응과 고등교육의 질적 제고를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2015년 1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를 시작으로 2021년 3주기 대학구조개혁평가까지 고등교육 평가정책을 시행하였다. A 전문대학은 3주기 평가를 준비하는 과정과 평가 종료 이후 현재의 학교 모습을 비교해보았을 때, 정부가 제시한 평가의 목적대로 교육의 질 제고를 달성했는지 여부와 평가가 대학에 어떤 영향력을 끼쳤는지를 분석하고자 A 전문대학의 3주기 TF 팀 위원 일부를 선정하여 면담을 수행하고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평가 대응단계에서는 A 전문대학의 3주기 평가 TF 팀 운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TF 팀원은 어떻게 구성되었으며 그들의 역할과 참여계기를 분석했다. 면담대상자 9명 중 4명은 직원, 5명은 교원으로 직원은 정량적 항목의 데이터를 정리하고 수집하며 그들이 작성한 내용의 근거가 되는 증빙자료를 수집했고, 교원은 담당 파트를 집필하는 역할을 맡았다. 대부분의 TF 팀 위원은 맡은 직무별로 항목을 맡았기 때문에 당연직으로서 TF 위원으로 위촉되었다. TF 팀 위원별 직무와 평가 담당 항목의 유사성 정도에 따른 평가 수행 처리 역량을 살펴본 결과 직원들은 담당 직무와 담당 평가항목이 동일하였으나 교원의 경우 직무와의 적합성이 부족한 사례가 많았다. 평가과정에서의 경험은 크게 한계와 성장으로 구분되며 다양한 유형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한계에서는 개인적, 조직구조적, 조직문화적 차원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각각의 요소별로 개인적 차원에서는 1) 고유업무 과중, 2) 평가준비 부담감, 3) 체력적인 어려움을 도출할 수 있었다. 조직 구조적 차원에서는 1) 경영진의 하향식 의사소통, 2) 실적 부풀리기로 두 가지로 나타났다. 조직 문화적 차원에서는 1) 효율성을 저해시키는 조직문화, 2) 비협조적인 학과에 대한 답답함, 3) 불충분한 재정적 지원으로 도출 할 수 있었다. TF 팀원들은 평가 대응 단계 중 한계를 겪기도 했지만 동시에 성장하기도 했다. 3주기 평가를 통해 학교 특성화와 비전을 정립할 수 있었다. 기존에는 혼재되어 있던 A 전문대학만의 특징들이 평가를 수행하면서 정리되었고, 앞으로 학교가 생존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작용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교직원 역량강화, 조직 운영의 효율화가 이루어졌으며 각각의 요소별로 교직원 역량강화에서는 1) 거시적인 안목 생성, 2) 보고서 작성 능력 향상, 3) 능동적인 자세 함양, 4) 인맥 형성 등 네 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조직의 운영의 효율화에서는 1) 체계성 강화, 2) 행정부서와 학과 간 원활한 소통, 3) 학교 운영의 원동력을 경험할 수 있었다. 평가 종료 이후 평가가 대학에 미친 효과는 크게 긍정적, 부정적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긍정적인 효과로 1) 학생 역량 강화, 2) 풍부한 재정지원이 있으며 재정지원은 학생지원비 확대와 학교 시설 개선으로 세부적으로 나눌 수 있었다. 부정적인 효과는 1) 보고서상에만 존재하는 허상의 교육, 2) 복잡한 이해관계, 3) 학생들에게 전달되지 않는 혜택, 4) 소모성이 큰 평가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3주기 평가가 평가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고등교육의 질적 제고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평가 TF 팀 위원을 구성할 때 자발적 참여를 독려한다. 둘째, 정치적 이념을 떠나 학교 구성원으로서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만 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 윤대녕 초기 소설에 나타난 인물 갈등 양상 연구

        정승아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55

        윤대녕은 1988년『대전일보』신춘문예에 단편소설 「원(圓)」과, 1990년 『문학사상』신인상에 단편소설 「어머니의 숲」이 당선되어 문단에 나왔다. 윤대녕은 사회적 변혁의 열망을 구체적으로 표현하던 80년대 문학과 다르게, 개인의 내면에 대한 성찰을 주된 관심사로 다루었다. 이로써 그의 작품은 90년대 문학의 새로운 경향으로 주목받았다. 즉, 욕망의 진실과 대중문화, 허무주의, 탈역사주의, 포스트모더니즘, 시원(始原)과 근원에 대한 관심들을 윤대녕만의 문체로 묘사한다는 평을 받았다. 이에 본고는 윤대녕의 작품에 나타나는 인물들이 겪는 갈등 양상과 그것의 회복을 위한 현실 대응 방식을 살펴보았다. 우선, 1990년대 한국문학의 시대적 배경과 특성 속에서 윤대녕 소설의 배경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90년대는 후기 자본주의와 단편적인 이미지들만이 불연속적으로 나열된 도시 분위기 속에서, 작중인물들이 일관성 있게 자아를 정립하고 안정적으로 존재론적 자아를 규정할 수 없는 시대였다. 윤대녕은 이러한 정체성의 혼란을 겪는 인물군상들을 소설 속으로 끌어와, 작중인물들의 갈등을 통해 사회비판적인 시선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어린 시절 경험을 통해 윤대녕이 겪은 심리적, 정서적 혼란이, 작중 인물이 겪는 정체성의 혼란이나 현실 대응 방식과 연관되어 있음을 고찰할 수 있었다. 또한 단편 「은어낚시통신」, 「불귀」, 「국화 옆에서」, 「남쪽계단을 보라」를 통해 자아와 자아의 갈등양상을 살펴보았다. 평범한 일상을 사는 인물들은 우연하게 겪게 되는 낯선 경험을 통해서 내면적 갈등을 겪게 된다. 「은어낚시통신」에서는 청미로부터의 갑작스런 엽서, 「불귀」에서는 여동생 여진의 사라짐, 「국화 옆에서」는 남도남천으로 돌아가길 원하는 자경의 행동, 「남쪽계단을 보라」에서는 ‘하늘색 원피스의 그녀’가 비일상을 야기하는 소재들이다. 비일상을 야기하는 소재들로 인하여, 작중인물들은 현실과 불화를 겪으며 존재에 대해 불안감을 느낀다. 따라서 작중인물들은 존재불안의 해결책으로 근원에 대한 그리움을 가지게 되고, 환상을 통하여 근원회귀에 도달하고자 욕망하며 이로써 자아회복을 시도한다. 한편 단편「지나가는 자의 초상」, 「낯선 이와 거리에서 서로 고함」그리고 중편 「천지간」을 통해서 자아와 타자와의 갈등양상을 살펴보았다. 「지나가는 자의 초상」과 「낯선 이와 거리에서 서로 고함」에는, 도시 공간 속 소외와 단절을 통해서, 작중인물의 갈등양상이 드러난다. 가속화되는 현대 사회에서 타자와 관계 맺기는 쉽지 않다. 「지나가는 자의 초상」속 세 명의 작중인물들은 타자와의 관계 맺기에서 실패함으로써 결국 자신 내면의 정체성 불확실에 이유가 있었다는 것을 인식하게 된다. 「낯선 이와 거리에서 서로 고함」에서 주인공 ‘나’는 일상적이고 반복적인 삶을 살아가던 중 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게 된다. 그 이후 ‘나’는 존재의 회복을 위한 방법으로 걷기를 선택한다. 또 한 명의 남자는 아내가 사라지는 시간 동안 극심한 격리감과 박탈감에 시달리게 된다. 이 소설은 두 인물을 통해서 현대인들이 겪는 존재 상실감과 존재에 대한 불안, 그로 인한 갈등을 조명하고 있다. 다음「천지간」에서 ‘나’는 죽음을 품은 여자를 따라 구계등으로 가게 된다. 어린 시절 친구에게 죽음을 빚진 경험이 있는 ‘나’는 헤어진 남자의 아이를 배에 품은 채 죽음을 결심한 생면부지의 여자를 죽음에서 살린다. 그로인해 ‘나’는 친구에게 갖고 있던 생명의 부채의식을 해소하게 되고, 자신의 정체성을 바르게 인식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January 9, 1993 미아리통신」과 「피아노와 백합의 사막」을 통해서 자아와 세계와의 갈등양상을 살펴보았다. 「January 9, 1993 미아리통신」에서는 의식과 무의식을 통째로 저당 잡힌 세 젊은이들이 타인의 죽음을 빌어서야, 혹은 주술에 의지해서야 자신의 현 삶의 위치를 확인할 수밖에 없는 세계와의 갈등양상을 보인다. 윤대녕은 이 소설을 통해 이들이 이렇게 무기력하게 살아 갈 수밖에 없는 시대를 비판하고 있다. 「피아노와 백합의 사막」의 ‘나’는 어린 시절 지녔던 사막에 대한 동경을 떠올리며 사막여행을 가게 된다. ‘나’는 사막에서 실재라고 믿었던 일상적인 자아의 존재가 하나의 환영일 수도 있다는 깨달음을 통해 존재의 혼란을 체험한다. 존재의 허무와 공허함에 사로잡혀 있던 ‘나’는 사막에서 가져온 백합의 발화를 확인하는 순간 자본주의 사회에서 관리되는 자아에서 벗어나 본래의 새로운 자아에 대한 기대를 품게 된다. 이처럼 윤대녕은 독특한 개성으로 90년대 현실에 대한 새로운 문학적 대응을 보여주는 데 성공한 작가이다. 그의 작품 대부분에서 추구하는 정체성 찾기의 갈등양상은 물질만능주의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중요한 화두로 작용한다. 또한 본고에서 다룬 윤대녕의 초기 소설들은 후기 자본주의 사회의 비판, 풍부한 상상력, 전통 사상의 회복, 미학적 감수성과 문체 등 80년대 소설과는 다른 패러다임을 형성한 부분에서 그 의의가 있다.

      • Salvador Dali의 二重 이미지와 偏執狂的 彫刻作品의 分析

        정승아 大邱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855

        The art been transformed to find the way to the new spirit on the basis of the criticism and reflection upon the mankind itself. And it has been developed variously by the everlasting volition of artists that excludes the traditional measure of value and searches for the revolutionary formative arts. Surrealism, founded in 1924 in Paris, was a means of reuniting conscious and unconscious realms of experience so completely that the world of dream and fantasy would be joined by the everyday ration world in an absolute reality, a surreality. The surrealist believed that logic had failed humankind, so they turned to the unconscious and dreams in an attempt to transcend the boundaries of reason. Heavily influenced by the writings of Sigmund Freud, they dedicated their movement to the expression of the imagination as revealed in dreams, free of the conscious control of reason. The movement represented a reaction against what its members saw as the destruction worked by the "rationalism" that had guided European culture and politics in the past and had culminated in the horrors of World War I. Although several critics concluded that surrealism was a failed movement, a lot of artists consider that the movement has enormously influenced the modern art. It is because surrealism embraces the proposition of the human liberation that is the ultimate purpose of artistic activities. Dali truly created a new movement in art, but it was his own unique brand. Through his transitional surrealist works he expressed nakedly the agony, anxiety, fear, contradiction, sorrow and despair which exists inside the moderner. And as a surrealist, he explored the possibilities of ripping the barriers between the inner world of a hidden dimension out into daylight and let them dance and parade through his works. Dali created images defining a glimpse of the vast vocabulary swirling beyond consciousness. The reason why he had advocated liberation from the world of logic and the passiveness of traditional art which suppresses the human creativity is to save the isolated mankind out of the deluge of images and to restore the unlimited human imagination. Under the influence of the surrealist movement, Dali's artistic style crystallized into the disturbing blend of precise realism and dreamlike fantasy that became his trademark. His paintings combined meticulous draftsmanship and detail with a unique and stimulating imagination. Dali often described his pictures as 'hand-painted dream photographs', and had certain favorite and recurring images. He described the theoretical basis of his paintings as "paranoiac-critical": the creation of visionary reality from elements of visions, dreams, memories and psychological or pathological distortions through the use of familiar objects. As noted above, the art realm of Dali is so very unique and a little different from other surrealists. The strong sensation arised from his works is rarely found not only in other surrealist works but also in the art history of twentieth century. Because the existence of Dali is strongly embossed not only on the art works but also on the field of literature, politics, diplomacy, drama and screendom, I want to comprehend his art world deeply and broaden the constructive recognition and eyesight on the time and space through this study. To begin with, I want to survey the background and the development of surrealism and analyze how Dali expressed his surrealist characteristics, "double-image" technique and "paranoiac-critical" in a concrete way on his works.

      • 백워드 매핑에 기반한 미래 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탐구

        정승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The desire to achieve success in education and improve one's socioeconomic status, which started during the last industrial era, have recently turned into a demand for safety valves for future lives due to increasing uncontrollable risks. However, our education system still falls short of expectations to imbue students with such safety valves for their futures. Such expectations have led to long-standing and ongoing discussions about curriculum issues found in the Korean school system. Discussions are very volatile due to the diversity of the parties involved, with numerous stories always emerging. When the time for revision of the curriculum approaches in particular, theoretical and practical fronts are formed and reflective and exploratory discussions are more active. However, even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voice of the field to which the curriculum should ultimately pay heed to, has very critical tendencies. Among these criticisms, the most prominent one is that the school curriculum is not moving away from the formality and bureaucracy of the national standard. In other words, although the curriculum is documented, it is not an effective medium for educators and although the curriculum is practiced for the year, it is very generous in evaluating the results and verifying objective quality. In another way, despite the fact to the contrary, the curriculum is still seen as “comprehensively working” in a silent combination with the mentality of bureaucracy. This study started with sympathy toward the real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se sites with a focus on designing school curriculum based on backward mapping as an innovative method for student learning and growth who will live in a future society. Through literature studies, we examined the problems and possible alternatives of the school curriculum and critically diagnosed the existing design, presenting the composition of the school curriculum design theory through concepts and compliance, models and types as well as trends. Furthermore, we explore the significance of backward mapping as a combination of backward design and curriculum mapping for school reform and present the framework of theoretical inquiry in this work. We also critically analyze existing cases for future school curriculum design based on backward mapping and establish design directions and grounds based on them. Furthermore, we explore the underlying theory for the design proposal and devise a practical design to derive design methods and application significance. The results are organized accordingly around the research problems set up in this work to achieve the goal of exploring future curriculum design methods based on backward mapping and are as follows: First, we identify and analyze specific problems in current school curriculum design and present a theoretical basis for direction exploration in this work for solving diagnosed problems. To begin, if you look critically at the problem of current school curriculum design, the purpose and goals of the school curriculum are ambiguous. As the school curriculum does not have its own flavor and focuses solely on the appropriateness toward the standards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vision, mission, purpose and goal of the school have unsystematic and contradictory problems. Curriculum was also designed and operated based on what should be taught to students, and even curriculum mapping remained within the first and second generation curriculum mapping, which excessively emphasized content enumeration and achievement standards. It is pointed out that the evaluation is still biased toward existing sub-disciplinary evaluations rather than competencies, making it inappropriate to evaluate the super-textual educational effects such as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We then identified the concept and compliance of curriculum design through the composition of school curriculum design theory to create a foundation for design and explore the central focus through model inquiry of curriculum design. Meanwhile, we looked at recent trends in curriculum design. Here, we can see that both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d the BC Curriculum and the 21st Curriculum Model emphasize deep understanding and transition in the real world based on learners' knowledge to respond to an uncertain future. Finally, as a framework for the theoretical inquiry of this work, we use an integrated research method that synthesizes several different research results along with theoretical inquiry and critical inquiry. These were borrowed from the actual Short (1991) curriculum inquiry methodology, which was eventually explored in The Research Synthesis form that aggregates them all. Second, existing cases for school curriculum design are analyzed, aggregated and the direction and basis of the design are established and explored. As an existing example, the curriculum of the two schools leading the innovation in curriculum in Korea were examined and its strengths and weaknesses were critically analyzed. Although it has advantages such as running a super-academic-themed inquiry program or using inquiry strategies well, it wa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school's vision, mission, and educational goal setting. A school district in New York state, USA, analyzed among the best overseas cases, was characterized by a comprehensive essential question rather than focusing on tasks and contents while guiding missions and educational goals in the region. A school in NSW, Australia, was already operating based on a backward mapping-based school curriculum, giving a glimpse of the feasibility of the study. Based on these examples, we orient the design to backward mapping and explore the design steps. First, we utilize the Input-Output-Impact (IOI) framework together as we go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chool's future-oriented vision and materializing it as a viable mission. The second stage of backward mapping design starts at the end of the first stage of backward mapping design, where curriculum blueprint design and educational effect-oriented mapping take place. The second stage will design a new evaluation system. In particular, this step is to determine evidence of success and requires consideration of various ways to effectively evaluate and secure evidence based on reliability. In addition, five types of learning objectives: knowledge, function and process, understanding, propensity and transition required different approaches in evaluation and class. In particular, we present the use of cornerstone tasks that lead us to reveal valuable and useful knowledge and functions of the world beyond schools as a new assessment for the super-textual educational effect. This assignment served as an assessment that held the curriculum firmly together.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lan the evaluation with a focus on the cornerstone tasks to check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and plan various learning experiences so that students can perform their abilities and functions in real situations as well as in evaluations. The third phase of backward mapping design is a class blueprint for future learning, where the class' backward design is applied, cornerstone tasks are utilized, and various teaching methods, programs, and tools such as personalized learning or thinking tools and learning tools are used. Notification of future learning will also be presented by including curriculum and super-textual educational effects unlike those used before, with innovation in future evaluation notifications being presented through the use of digital dashboard to track real-time performance. Along with this orientation, we have established evidence for the design and synthesized it based on the concepts and compliance of the curriculum design we discussed earlier, design models, existing examples and design directions, respectively. Third, the school curriculum design proposal was devised by analyzing implications in the underlying theory of the design and aggregating them with the established design direction, and the implications and significance were derived by comparing them with existing designs. The underlying theory of the design was divided into Constructivism, understanding-based curriculum(UbD), concept-based inquiry and IB curriculum with each of their implications critically analyzed. Constructivism suggests that students need to reconstruct curriculum that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lives and lead to classes and evaluations, and understanding-based curriculum emphasize their importance in classes and evaluations with learners' understanding and transition centered on the curriculum. In concept-based inquiry, the cornerstone and task maps, which are the core of backward mapping design, are attractive as a way to realize them in real-world classrooms. In the IB curriculum parts, learning approaches and teaching approaches that already utilize concept-based inquiry to focus on student understanding and transition can be useful in school curriculum design. We also explored the problems of existing curriculum designs by dividing them into task-oriented, content-based, achievement-based, and simple mapping, and we devise school curriculum design based on task-oriented backward mapping by combining the results with the previously reviewed implications and design directions. The significance of the design proposal was divided into the possibility of introducing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changing classes and evaluations, convergence of backward mapping and edutech, and strengthening curriculum expertise through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The conclusions made by combining the results of the above research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future schooling, the current curriculum needs innovative changes. Looking at the problems and existing cases of the current school curriculum, drastic innovation is needed or supplemented by school education for the future. For students' true learning and growth, rapid innovation rather than long-term worries needs to be achieved. Second, in future education, students should increase their learning experience to help them understand and transfer based on their knowledge as subjects of learning. Existing education has emphasized what students should do more than they can. Now,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opportunity to apply students' knowledge in their lives by bringing it out rather than putting it in. Third, school curriculum design based on backward mapping centered on curriculum blueprints and cornerstones can be a solution for innovative schools and students who can lead the future. In particular, the curriculum blueprint centered on educational effects and the cornerstones that penetrate them play a major role in bringing about changes in schools and students, which can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educational innovation for the future.

      • 창업자의 교육만족도와 경영마인드 요인이 창업브랜드 선정 및 성공창업에 미치는 영향

        정승아 광운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본 논문은 창업자 자신이 창업을 위한 교육을 수료한 후 그 교육에 대 하여 얼마나 만족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경영마인드 구축이나 창업의 브랜 드 선정 및 성공창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분석의 연구를 진행하였 다. 본 연구를 위하여 창업자들이 창업이후 계속적인 성공창업으로 유지, 존속해 나가야 함은 마땅한 일이지만 도중에 실패하는 사례가 많이 있었 다. 특히 선행연구들의 갖가지의 변수들을 적용한 다양한 연구들이 있어, 이미 창업에 대한 많은 노하우와 관련의 연구 자료들이 있었음에도 불구 하고 크게 성공하지 못하고 경기의 흐름 탓이나 자신의 경험부족, 실력부 족, 자본능력의 한계 등 이루 말할 수 없는 조건들을 제시하면서 창업의 실패를 사회와 교육 및 환경에 떠맡기는 일들이 비일비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 창업이나 재 창업자들이 창업에 성공하기 위한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창업자의 교육에 대한 만족도 정도에 따라 자신이 충분히 창업에 대한 이해와 자료들을 잘 준비한 다음, 창업 에 임하면 보다 높은 창업의 성공을 가져올 것이라는 전제하에 창업자들 이 각종의 지원이나 교육제도에서 만족을 추구한 다음, 경영자 즉, 창업자 자신만이 갖는 노하우와 자본이나 경험이 아니라 사업에 대한 성공의 자 세를 갖추는데 필요한 마인드요인을 강화해 주는 변수를 적용하였다. 창업자들은 갖가지의 자격이나 요건을 갖추었다 해도 크게 성공하지 못한 점을 감안하여 우선적으로 교육에 임하고 그 교육에 만족을 추구함 으로써 자신감을 가지고 혁신성이나 위험감수성 및 창업의 아이템 등으로 브랜드 선정을 통하여 자신만이 할 수 있는 차별화된 브랜드의 선택이 이 에 따른 선택의 요인들을 종합하여 성공창업에 이르게 될 것이라고 보았 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창업자의 자세와 교육 및 브랜드 선정에 따른 또 다른 변수의 적용하여 창업자의 실패요인들을 성공요인으로 바꾸 어 보는 좋은 연구가 될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가 거주하는 서울 과 지방의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설문에 소요 된 시간은 대략 6개월 정도로 설문에 대한 압박감을 줄이고 충분한 모집 단을 통한 보다 실증적인 자료의 준비와 분석에 임하기 위하여 준비하였 다. 그러나 막상 설문을 실시하여 받은 설문은 전체 350부 가운데 300부 정도를 회수하여 이 가운데 적절하지 못한 설문을 제외한 187부를 가지고 본 연구에 사용하였다. 통계는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에 따른 해석과 분석은 사회과학적인 분석방법에 준하여 해석하였다. 첫째, 창업자들의 창업 자세와 교육에 대한 연구에서 선행연구들은 나 름대로의 교육기관이나 교육의 내용을 신뢰하고 있었다. 특히 정부와 관 련 기관의 교육을 통하여 교육을 실시한 후 실제로 창업에 임하는 예비창 업자나 기존의 창업자들이 전환하여 창업하는 자들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 한 결과 창업에 대한 교육의 정도는 창업자 자신이 교육한 내용을 실제로 창업에 적용하기 보다는 교육을 통하여 나름대로 교육한 내용을 적용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교육에 대한 추가적인 사항들을 자세히 파악해 볼 필 요성을 가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일차적으로 독립변수에서 창업자의 교육이 경영마 인드를 구축하는데 큰 영향력을 나타낼 것이라는 연구와 내용과 일치하고 있으며, 선행연구와의 상당부분 일치하는 내용들이 많았다. 특히 창업자들 이 교육이 부재하여 창업에 실패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창업자 자신 들이 갖는 노하우와 자본을 결합하여 창업에 성공할 것이라는 차원으로 생각한 경영의 마인드는 단순히 창업자의 자격이나 조건을 가지고 창업에 성공하자는 연구의 내용이 아니라는 점이다. 창업자는 자신이 가진 갖가지의 요소 중에서 창업을 위한 교육을 받고 받은 교육을 통하여 자신만이 할 수 있다는 자부심과 위험요소에 대한 대 처능력 그리고 새로운 것들에 대한 도전의식과 무엇인가를 해 내겠다고 하는 창의성을 바탕으로 창업자 자신이 경영에 대한 마인드를 갖추고 계 속적으로 그 마인드를 계발시켜 나감으로써 창업에 성공적으로 이끌러 낸 다는 연구결과를 얻었다. 둘째, 가설의 검증에서도 기존의 선행연구에서 보여준 경영자의 마인드 와 창업자 자신들의 기본적인 요건 준비에 따라 창업의 질과 내용 및 창 업이후 지속적인 창업을 유지해 나가는 쪽에 좀 더 심도 깊게 작용할 것 이라는 점에서 이론고찰과 선행연구의 내용과 매우 밀접한 관련성을 보이 고 있다. 선행연구에서 밝힌 수많은 연구들이 창업자 자신이 무엇인가의 내용이 부족하여 창업에 실패하거나 사업계획서가 없어서 창업에 실패하 는 등 갖가지의 요인들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으나 실제는 창업자 자신들 이 준비한 준비의 미흡이 문제가 아니라 창업을 시도하는 창업자 자신의 경영마인드의 부재와 마인드의 컨트롤이 부족하였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 여 창업자 자신이 해당의 교육을 이수하고 그 교육에 대한 만족도의 정도 에 따라 경영마인드의 구축이 달라질 것이므로 교육만족은 곧 경영마인드 의 준비와 함께 성공창업으로 연결될 것이라는 연구를 내 놓았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가 이러한 창업자들의 각종 창업의 준비요인들이나 창업과 관련된 부가적인 어떤 요인들이 충분히 갖춰져 있었음에도 창업을 지속적으로 이끌지 못한 점을 착안하여 창업자 자신이 창업교육을 이수하 고 그 교육에 대한 만족도의 효과정도에 따라 마인드를 갖게 될 것이라는 차원에서 창업은 창업자 자신이 어떤 마인드를 구축하느냐에 따라 성공과 실패가 나눠질 것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 바라보기 명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정승아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185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Baraboki meditation on the attention of school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2 children who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among fifth graders at M elementary school in the city of Changweon, south Gyeongsang province. They hop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with 16 each. The experimental group took part in Baraboki meditation in 20 sessions for four weeks, five times a week. Park Seok(2004)'s Baraboki Meditation Program was reconstructed based on earlier studies and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on the children. After the types of things that could draw attention from the children were selected, the program was implemented for four weeks. The instrument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the program was Oh Hyeon-suk(2002)'s adapted and standardized version of H. Moosbrugger and J. Oehlschaegel's FAIR Attention Inventory. To see if the two groups were equivalent to each other in terms of attention, t-test was utilized, and repeated measure ANOVA was employed to track any possible overall, intergroup and intragroup gaps in attention subfactors, including selective, controlled and sustained attent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Baraboki meditation program was effective in boosting the overall attention of the elementary schoolers. Second, the Baraboki meditation program had a good effect on improving the selective atten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youngsters. Third, the Baraboki meditation program contributed to enhancing the controlled attention of the school children. Fourth, the Baraboki meditation program served to develop the sustained attention of the elementary schooler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it's concluded that the Baraboki meditation program has a good effect on boosting the attention of schoo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