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플립러닝을 기반으로 한 '뮤지컬 활동' 수업지도방안연구 : 중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정소라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을 바탕으로 미래 사회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해 현재 대두되고 있는 교육방법인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을 음악 교과에 적용한 음악 수업 지도방안을 개발하였다.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정보통신기술이 발전하면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교육방법으로 플립러닝이 주목받고 있다. 플립러닝은 기존의 수업 구조를 뒤집은 ‘역진행 수업 방식’으로 수업 전 온라인을 통해 선행학습을 한 후, 교실에서는 토론, 실험, 실습 위주의 협동학습 및 심화학습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수업 구조는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전달중심의 강의식 학습이 아닌 학습자 중심의 참여형 수업을 가능하게 한다. 플립러닝의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정보가 많지 않아 현장에서 높은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플립러닝을 음악 교과에 적용한 음악 수업지도방안을 개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플립러닝의 개념과 수업 설계, 플립러닝의 교육적 효과를 탐구하고 이를 ‘뮤지컬 활동’에 적용하기 위해 뮤지컬의 정의와 역사 및 형식, 교육적 효과에 대한 선행적인 이론 배경을 제시한다. 그리고 플립러닝을 활용한 음악 수업 은 총 5차시로 구성되며 수업 설계는 1차시에는 뮤지컬 이론, 2차시에는 뮤지컬 감상 및 장면 선정, 3차시에는 해당 장면의 가창연습, 4차시에는 해당 장면의 안무 창작, 5차시에는 해당 장면 실행 및 평가로 모든 차시의 구성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설계하여 수업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한다. 총 5차시로 구성 된 본 수업은 온라인 수업과 교실 수업으로 분리되어있는 플립러닝의 특성상 차시 별로 2개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한다. 대상은 중학교 3학년으로 설정하였으며 대상을 중학교 3학년으로 설정한 이유는 고등학생보다 활동적이고 대학입시로 인한 스트레스와 학업적 부담감이 낮아 음악 수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수업에 대한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본 수업은 스마트 기기를 통한 온라인 강의로 수업에 필요한 이론적인 지식을 사전에 학습하고 이후 교실에서 감상 활동, 실기 및 실습활동 등의 협동 학습 중심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6가지 핵심역량을 계발하는 데에 교육 목적이 있다. 수업의 목표는 뮤지컬에 대한 이론적 학습을 통해 종합무대예술에 대해 이해하고, 이론적 지식을 바탕으로 주크박스 뮤지컬 ‘맘마미아(Mamma Mia!)’의 한 장면을 선정하여 모둠 별로 실행해보고 최종 차시에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인 수업의 내용은 1차시에는 종합무대예술의 종류와 오페라와 뮤지컬의 차이점 등 이론적인 지식을 학습하고 2차시에는 ‘맘마미아’의 뮤지컬 및 영화 감상을 통해 전체적인 뮤지컬 내용을 이해하고 모둠 별로 발표할 장면을 선정하며 3차시에는 선정한 장면의 가창연습, 4차시에는 선정한 장면의 안무를 창작 및 연습 후 5차시에는 연습한 것을 바탕으로 모둠 별로 발표를 실행하고 평가하는 것으로 한다. 본 수업의 특징은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자 스스로 이론적인 개념을 이해하고 교실에서는 다양한 활동 중심의 심화학습을 통해 능동적 학습과 자기 주도 학습이 실현되도록 한다. 나아가 전체적인 수업의 흐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수업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이론, 감상, 가창, 안무, 실현을 중점으로 하여 체계적인 수업이 되도록 구성하였으며 차시 별 모둠 활동을 통해 타인과의 소통을 통한 협동력 향상과 자신의 의견과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발표하는 과정에서 자신감과 자아효능감 증진을 기대할 수 있다.

      • Wavelet Transform을 이용한 시청각 학습시의 전두부 뇌파 활성도에 관한 연구

        정소라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55

        학습 행동에서의 뇌파 측정은 실시간으로 두뇌 기능 상태를 연구하는데 유용한 연구 방법이며, 대뇌의 부위 중 전두엽은 새로움에 대한 지향 반응과 사고 활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2학년 학생에게 새로운 시청각 학습 자료를 제시하여 5회의 반복학습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의 전두부(Fp1,Fp2)의 뇌파를 측정하고 Fourier, Wavelet 변환을 하여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의 집중, 정서 등 인지와 관련지어 특정파의 조절 능력 및 파의 특성을 이용한 여러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들을 종합해보면 기억력, 주의지속과 연관되어 알파파, 베타파와 세타파가 발생되는 것을 볼 수 있다.이 중 알파파는 기존의 뇌 상태를 동기화시키고 주의나 기억의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증명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신호 처리에 높은 효율을 보이는 Wavelet 변환을 이용하여, 학습이 됨에 따라 변화하는 EEG 신호 가운데 알파파의 패턴과 활성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 무선 애드 혹 환경에서의 UPnP의 SSDP 기능 향상을 위한 서비스 발견 및 광고 기법

        정소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UPnP(Universal Plug And Play)는 홈 네트워크 기술인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에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서로를 인식 가능하도록 하는 미들웨어(middleware)이다. UPnP는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을 기반으로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기기가 제공하는 서비스 발견(Service Discovery) 및 광고(Advertisement) 기능을 제공한다. SSDP는 네트워크상에 서비스 검색 요청 메시지를 멀티캐스트 기반으로 전달하고, 탐색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서비스 검색 요청 기기에게 유니캐스트한다. 일반적으로 기존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은 유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동적으로 상태가 변화하는 노드에 따라 예측 불가능한 무선 애드 혹 환경에서는 최적화되어 있지 못하다. 이에 따라 무선 애드 혹 환경에 적합한 서비스 발견 프로토콜 제안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SSDP도 기본적으로 유선 환경을 기반으로 하며,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노드에게 메시지가 전송되는 멀티캐스트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플러딩(flooding)에 의한 메시지 오버헤드를 가진다. 본 논문은 해당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무선 애드 혹 환경에 적합한 P2P 기반의 flexible SSDP(fSSDP)를 제안한다. fSSDP는 멀티캐스트 대신에 브로드캐스트 기반으로 동작한다. 광고 메시지의 브로드캐스트 영역은 서비스 발견 요청의 뎁스와 비교를 통해 업데이트되고, 광고 통지 주기에 따라 광고 전송 영역이 변경된다. 이에 따라 서비스 발견 요청 메시지의 전송 범위는 동적으로 축소가 된다. 무선 애드 혹 네트워크 상에서 fSSDP는 서비스 발견 요청에 따라 발생하는 메시지 플러딩(flooding)을 감소시킴으로써, 전체적인 메시지 오버헤드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UPnP(Universal Plug and Play) is a middleware of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services a home network. UPnP supports the connections between each other devices in networks and also provides service discovery and advertisement with SSDP(Simple Service Discovery Protocol), which is generally designed for wired networks. SSDP operates on multicasting discovery request and advertisement and unicasting a reply in networks. It is a challenge issue for service discovery protocol such as SSDP to provide a stable and effective service in wireless ad-hoc networks. Wired based service discovery protocol does not consider the dynamics of wireless ad-hoc network. In that case, the nodes are freely in or out.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a flexible SSDP(fSSDP) which is a peer-to-peer(P2P) discovery protocol adopted for wireless ad-hoc Networks. It is implemented on the extension of SSDP. fSSDP supports a functionality that the broadcast area of service discovery dynamically changes with the periodically updated area of advertisement. It is good for reducing messaging overhead caused from the broadcast flooding of service discovery in wireless ad-hoc network.

      • 비대면 연극치료에서의 몸의 인식과 활용에 관한 연구

        정소라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non-face-to-face drama therapy to utilize them. Of the characteristics of non-face-to-face theater therapy, the most characteristic feature is the inability to meet in person.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the body revealed on the screen to find out whether the meeting of the therapist and participant is possible for the treatment through the-body in non-face-to-face drama therapy. To this end, Merlo-Fonty's body philosophy was reviewed in terms of 'The intertwining of the body and the world (Chiasme),' 'Experienced space,' 'The reversibility of the duality of the body,' 'New Body schema,' 'Tactile experience through the gaze, and the study of body perception in theatrical therapy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eeting through the body,' 'Relationship between dramatic space and body,' and 'Role expressed through the body.' Based on this, the findings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screen, body-space, and body-bodyinnon-face-to-facedrama therapy areasfollows. First, non-face-to-face drama therapy features 'meeting through a two-dimensional screen,' 'screen composition equally divided into N,' 'drama therapy in each individual's private space,' and 'connection throughdigitaldevices.' Second, the reality of meeting through the screen should be recogni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mutual exchange of body information on the screen. At this time, the reality of the meeting is possible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body, and the recognition of one's own body through the screen is related to Merleau-Ponty's 'reversibilityofthedualityofthebody.' Third, the treatment space of non-face-to-face drama therapy is a personal space and screen, which is essential to set boundaries to recognize it as a safe space. Awareness of 'here and now'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the screen effectively promotes spontaneity, and recognizing and utilizing each person's personal space as an 'experienced space' in which to live becomes a unique strength of non-face-to-face drama therapy. In the meantim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s body, personal space, and the screen was examined in the context of Merlo-Fonty's 'space experiencedbythebody.' Fourth, essential factors in therapeutic encounters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participant's body on the screen include resonance due to the therapist's dynamic body expression, 'chia sme' as 'l'etretre aumonde' by the therapist's gaze, and 'visual touch' as sensorystimulation byimagin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rapists and participants who experienced non-face-to-face drama therapy to verify this consideration.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therapist was confirmed because the therapist's body expression and gaze quality, personal space image, and location on the scree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articipants, showing the same recognition as the researcher's consideration in terms of reality and interchangeability. The safety of the personal space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separated screen composition were perceived negatively, and creating a unique treatment environment was an essential factor because it was indispensable to enhancing the participants' spontaneity and setting the therapeutic boundary. In addition, the awareness of the experience of sensory stimulation by imagination was low, indicating that the development of a non-face-to-facedrama therapy programwasmorenecessary. Based on the multilateral consideration and survey results, the unique strengths of non-face-to-face drama therapy were derived. They are 'equal presence due to equal screen composition,' 'self-directed selection of therapeutic environment,' 'body and space in a new context,' 'more powerful internalization,' 'a net function of self immersion, 'exploration and transformation of personal space.'. These are strengths resulting from the unique therapeutic environment of non-face-to-face drama therapy, the personal space of the participant, and the effect of immersion, and non-face-to-face drama therapy can have strengths at different points from a face-to-facemethod. In addition, program development and metaverse drama therapy were suggested to utilize and expand the strengths of non-face-to-face drama therapy. In the program using body recognition, first, boundaries are set for creating a therapeutic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non-face-to-face method. Second, increase spontaneity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screen, and space. Third, the fixed body image is easily transformed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digital media that are easy to transform. Fourth, through this, alternative and positive self-images are discovered. On the other hand, in programs that utilize stories and digitalmedia, First, a therapeutic trust relationship is formed using the digital medium's sensory stimulation elements. Second, a fantasy narrative structure suitable for non-face-to-face is used. Third, the role experience of the story satisfies the fundamental need. Fourth, one finds the power to transform our everyday reality through this. Finally, by recording and watching the drama scene, one becomes an audienceandreflectsonhimselfagain. Another possibility of non-face-to-face drama therapy is metaverse drama therapy. Drama therapy combined with Virtual Worlds can experience maximized freedom of imagination and reflect on reality, recognize it anew, and transform it based on experience in the virtual world. Metaverse drama therapy combines drama therapy with augmented reality, which is most suitable for body recognition and utilization. In augmented reality drama therapy, reality can be viewed anew with an amplified sense as images of virtual and real overlap, which allows one to react differently than usual and change the way one'sbodyandtheworldrelatetoeachother. In order to prepare for the ever-evolving digital culture, this study carefully analyzed various factors reveal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space, and each other on the screen to explore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strengths of non-face-to-face drama therapy in detail, suggesting an expansion plan for non-face-to-face drama 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연극 치료의 특성과 강점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비대면 연극치료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직접적인 만남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비대면 연극치 료에서도 몸을 매개로 하는 치료사와 참여자의 치료적 만남이 가능한가 를 알아보기위해화면에서 드러나는몸의인식과활용에관해주목하였 다. 이를 위해 메를로-퐁티의 몸 철학에서는 ‘몸과 세계의 상호 얽힘(키 아즘, chiasme)’ ‘체험된 공간’ ‘몸의 이중성이 갖는 가역성’ ‘새로운 신체 도식’ ‘시선에 의한 촉각적 경험’의 관점에서 살펴보았으며 연극치료에서 의 몸의 인식 연구를 ‘몸을 통한 치료적 관계 형성’ ‘몸과 극적 공간의 관계’ ‘몸으로 표현하는 역할’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비 대면 연극치료에서 몸-화면, 몸-공간, 몸-몸이 맺고 있는 관계를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째, 비대면 만남의 특성은 ‘2차원 화면을 통한 만남’, ‘N분할의 동등 하게 나누어진 화면 구도’, ‘각 개인의 사적 공간에서의 연극치료’, ‘디지 털기기를통한연결’이라고할수 있다. 둘째, 몸과 화면의 관계에서 인식해야 하는 것은 화면을 통한 만남의 실재성과 화면을 통해 보이는 상호간의 신체 정보 교환성이다. 이때 만 남의 실재성은 몸의 특성에 의해 가능하며 화면을 통해 보이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인식은 메를로-퐁티의 ‘몸의 이중성이 갖는 가역성’과 연관 이있다. 셋째, 몸과 화면의 관계를 탐색하여 ‘지금 여기’를 자각하는 것은 자발 성 증진에 효과적이고 각자의 개인 공간을 ‘체험된 공간’으로 인식하여 활용하는 것은 비대면 연극치료의 고유한 강점이 된다. 또한 메를로-퐁 티의 ‘몸이 경험하는 공간’의 맥락에서 치료사의 몸과 개인 공간, 화면이 맺고있는관계를 고찰하였다. 넷째, 화면에서 보이는 치료사와 참여자의 몸을 통한 치료적 만남에서 중요한 요소는 치료사의 역동적인 신체 표현으로 인한 공명, 치료사의 시선에 의한 ‘세계-에의-존재(l’être au monde)’로서의 ‘상호 얽힘(chia sme)’,상상작용에의한감각자극으로서‘시각적 촉각성’이있다.이와 같은 고찰을 검증하기 위해 비대면 연극치료를 경험한 치료사와 참여자에게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 실재성과 상호 교환성의 측면에서 연구자의 고찰과 동일한 인식을 보였으며 치료사의 신체 표현 과 시선의 성질, 개인공간이미지, 화면상 위치가 참여자에게 미치는 영 향이 크다고 하여 치료사 역할의 중요성을 확인했다. 개인 공간의 안전함과 구분된 화면 구도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다소 부정적으로 인식했으 며 참여자의 자발성 증진 및 치료적 경계 설정이 매우 필요하다고 하여 고유한 치료 환경 조성이 중요한 요소임을 검증했다. 또한 상상에 의한 감각자극의경험에 대해서도인식이낮게나타나비대면연극치료 프로 그램개발이 더욱 필요함을알았다.다각도의 고찰과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비대면 연극치료의 고유한 강점을 도출하였다. ‘동등한 화면 구도로 인한 동등한 존재감’, ‘치료적 환경의 자기주도적 선택’, ‘새로운 맥락의 신체와공간’, ‘보다더 강력한 내면화’, ‘자기 몰입의 순기능’, ‘개인적 공간에 대한 탐색과 변형’이다. 이 는 비대면 연극치료 고유의 치료적 환경, 참여자 개인공간,몰입으로 인 한 효과에서 기인하는 강점으로 비대면 연극치료는 대면 방식과는 다른 차별화된지점에서 강점을가질수있다.비대면 연극치료의 강점을 활용하고 확장하기 위해 프로그램 개발과 메타버스 연극치료 제언을 하였다. 몸의 인식을 활용한 프로그램에서는 첫째, 비대면 방식에 맞는 치료 환경 조성을 위한 경계 설정을 한다. 둘 째, 몸과 화면, 공간이 맺고 있는 관계를 탐색하여 자발성을 높인다. 셋 째, 변형에 용이한 디지털 매체 특성을 활용하여 고착된 신체 이미지를 손쉽게 변형한다.넷째,이를통해 대안적․긍정적 자아이미지를 발견한 다. 한편 디지털 매체와 이야기를 활용한 프로그램에서는 첫째, 디지털 매체의 감각 자극 요소를 활용하여 치료적 신뢰 관계를 형성한다. 둘째, 비대면에 적합한 환상서사구조를 활용한다. 셋째, 이야기의 역할 경험을 통해근원적욕구를충족한다.넷째,이를통해 일상현실을변형할힘을 찾는다. 마지막으로 극 장면을 녹화하여 시청함으로써 관객이 되어 자신 을다시한 번 성찰한다. 비대면 연극치료의 또 다른 가능성으로서 메타버스(Metaverse) 연극치료가 있다. 가상세계(Virtual Worlds)와결합한연극치료는 극대화된 상 상의 자유를 경험하며 가상 세계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현실을 돌아보고 새롭게 인식하며 변형할 수 있다. 몸의 인식과 활용에 가장 적합한 메타 버스 연극치료는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과 결합한 연극치료이다. 증강 현실 연극치료에서는 가상과 실재의 이미지가 중첩되면서 증폭된 감각으로 현실을 새롭게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평상시와 다른 반응을 할 수 있고 몸과 세계가 관계를 맺는 방식이 바뀔 수 있다. 다시 말해 ‘다감각적 정보 제공’, ‘현실의 감각 증폭’, ‘새로운 신체도식의 가능성’, ‘가상의 콘텐츠와사용자간에 직접적이고 직관적인 상호작용’의측면에서 강점을가질것으로 예상하였다.본 연구에서는 날로 발전하는 디지털 문화에 대비하기 위해 화면상에 드러나는 몸․공간․상호간의 관계에서 드러나는 다양한 요인을 면밀하게 분석하여 비대면 연극치료 고유의 특성과 강점을 상세히 밝히고 이를 활용하여비대면 연극치료의 확장방안을 제언하였다.

      • 여성의 성차별경험과 여성혐오 인식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

        정소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미혼여성의 성차별경험과 여성혐오 인식이 결혼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향후 미혼여성들이 결혼을 긍정적으로 제고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본 연구는 실질적으로 결혼의향을 고려할 수 있는 25세 이상 34세의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 수집은 2020년 1월 20일부터 4월 20일까지 14주간 온라인 설문으로 이루어졌다. 온라인 설문은 다음, 네이버 카페(여성, 반려동물, 취업 관련 커뮤니티)에 배부하였고 총 200부가 회수되어 최종분석으로 200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기술통계, Cronbach’s α계수,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사후분석으로 Scheffé 검증, pearson 상관분석, 로지스틱의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win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인 25세-34세의 미혼여성의 결혼할 의향이 있는 비율이 19.5%로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둘째, 학력수준과 종교유무에 따라 여성혐오 인식에 차이를 보였다. 고졸이하인 경우와 종교가 있을 경우 여성혐오 인식의 평균이 높았는데 성차별경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부모와의 동거 유무, 직업집단은 성차별경험과 여성혐오 인식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성차별경험과 여성혐오 인식은 서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넷째, 미혼여성의 인구학적 특성, 성차별경험, 여성혐오 인식이 결혼의향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결과 직업과 성차별경험, 여성혐오 인식은 결혼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업이 없을수록, 성차별경험이 많을수록, 여성혐오 인식이 높을수록 결혼의향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한나 아렌트의 정치적 다원주의

        정소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행위’ 개념에 주목하여, 아렌트 철학의 ‘다원주의적’ 성격을 밝히는 데 있다. 현실의 정치 현상에서 사유를 전개하는 아렌트의 철학은 하나의 가치를 수호하는 방식의 폭력성을 지양하고, 정치적 소외를 우려하며, 다양한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는 다원주의적 입장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렌트는 전체주의와 냉전체제를 몸소 경험했으며, 현실적인 정치 현상을 사유하는 데서부터 철학적 사고로 넘어간다는 것이 특징적이다. 그녀의 사유의 출발점은 어떤 철학적 전통에도 기대지 않았으나, 사유를 점차 섬세하게 전개해 가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불안정한 일관성은 그러한 점을 반영한다. 그녀는 유대인을 피해자라고 규정하기보다는 그들의 정치적 책임에 대해서 고민하고, 그 결과 정치적 행위를 주요한 인간의 조건으로 강조한다. 이 정치적 행위는 언어 행위를 바탕으로 하며, 이 언어 행위는 인간의 다원성을 드러내고 실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활동이다. 공동체를 위해 개인이 무가치하게 희생되는 전체주의 체제에서 인간의 존엄성은 전혀 존중받지 못한다. 아렌트는 절대 불변의 객관적인 가치를 지향하는 것은 경계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허무주의적인 상대주의적 논변을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녀가 직접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유로운 정치적 행위 개념 속에서 최소한의 제약 가능한 ‘경험적 공공성’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렌트의 이론이 성공적인 다원주의가 되기 위해서 해결해야 할 문제는 바로 허무주의적 상대주의가 되지 않기 위한 제약을 제시하는 것이다. 그녀의 다원주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행위 개념은 사실 아무런 제약이 없이 열려 있는 개념은 아니다. 김선욱은 아렌트가 직접 제시한 것은 아니지만 그녀의 철학에서 ‘실천적 보편성’을 발견할 수 있다고 말한다. 이 개념은 아렌트의 후기 저작으로 갈수록 더욱 강화되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그녀가 다원주의를 제약할 수 있는 기준의 필요성을 의식하고 있었다는 반증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아렌트의 철학은 과연 무엇으로 제약할 수 있을지에 대한 물음이 남는다. 이에 필자는 마지막으로 경험적 영역의 공공성으로 제약을 제시하는 자연주의적 관점을 제안한다. 그녀의 이론이 적극적으로 자연주의적 흐름을 취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자연주의와 충분히 양립 가능한 다원주의로 제약에 관한 보완적인 논의가 가능하다는 것을 밝힌다. 이러한 근거는 듀이의 ‘경험의 공공성’ 개념에서 찾고 있다. 필자는 아렌트가 인간의 본성을 선험적인 어떤 것으로 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실제 조건을 관찰하고 해명하려 한다는 점에서 아렌트의 다원주의가 자연주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김선욱이 실천적 보편성으로 보고 있는 아렌트의 제약 지점은 사실 아렌트가 경험적 영역에서 찾고 있는 공공성에 관한 것이다. 그녀는 정치를 우리의 일상적 활동이라 할 수 있는 언어적 행위로부터 찾고 있는데, 이것은 ‘삶으로서의 정치’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에 핵심 역할을 하는 행위들은 도덕이나 어떤 진리를 통한 규제를 요구받는 것이 아니라 결국 타인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범위에서의 공공성을 침해하지 않는 방식으로 작용한다. 그녀가 도덕보다 더 중시하는 것은 인간의 다원성을 자발적이고 자율적으로 발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내용 타당도 분석 : 고등학교 과학, 물리Ⅰ,물리Ⅱ 교육내용을 중심으로

        정소라 창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급속한 과학 기술 발전 속에서 현대과학은 더 이상 과학자의 전유물이 아니라 국민 모두가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필수 소양이며, 현실 생활에서 일상적으로 직면하게 되는 과학적 문제를 충분히 이해하고 합리적으로 판단 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그러나 이공계 기피 현상과 맞물려 학교 현장에서의 과학교육은 크게 위축되었을 뿐만 아니라 경직된 교육과정과 공급자 위주의 교과 편성 방식으로 창의적인 인재 양성이 어렵다는 비판이 계속되어왔고, 사회적 과학목표나 학습자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으며, 교육내용의 일정 틀을 벗어나지 못한 문제점들이 지적 되어 왔다. 따라서 과학교육 내용의 재구조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교육 과학 기술부에서는 이러한 의견을 수렴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육과정에서의 논제 및 문제점을 준거로 분석틀을 설정하여 ‘2009 개정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물리 내용요소만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융합과학의 여부에서는 적절한 수준에서 1개 이상의 교과들이 균형을 이루면서 자연스럽게 융합되도록 구성 되었으며 과학을 거시적이고 통합적으로 학습하도록 구성되었다. 둘째, 물리 내용요소의 추가 여부에 관하여 과학 교과의 경우 ‘2007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비교하여 물리 내용이 75% 추가 되었고, 물리Ⅰ과 물리Ⅱ의 경우 각각 48%와 37%의 내용이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현대 과학 기술의 반영 여부의 경우 교과의 특성 상 과학 교과에 가장 많은 내용이 포함 되어 있고 물리Ⅱ의 경우 물리학의 기본 개념을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기에 3교과 중 가장 적은 반영 결과가 나왔다. 넷째, 과목별 내용의 연계 분석 결과 과학 과목의 물리 관련 내용요소중 약 70%가 물리Ⅰ과목과 연계 되어 있고 물리Ⅰ의 약 80%가 물리Ⅱ과목과 연계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수준과 난이도의 경우, 수준을 내용요소의 증감, 난이도를 내용요소의 이해도로 설정하였는데, 세 교과 모두 수준은 상승하였지만 난이도의 경우 과학 교과는 하향, 물리Ⅰ 교과는 동등, 물리Ⅱ 교과는 상향 설정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탐구 활동의 적절성 여부의 분석결과는 대부분 간단하고 탐구력을 신장 할 수 있는 예시들로 구성 되어있지만 몇몇의 예시를 살펴 본 결과 학교 현장의 여건이나 실험 기구 구비 여부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탐구 활동들이 포함 되어 있었다. 분석 결과 학교 현장에서 교사에 따른 난이도 조절문제와 탐구활동의 여건과 장비의 문제가 있지만 융합성과 현대성 및 시대성은 잘 반영된 것으로 분석 되었다. 이러한 연구는 본 연구자가 차후 교사가 되었을 때 학생들을 지도하는 교수방법에 있어서 교육내용에 대한 이해를 도울 것이고, 나아가서 차 시 개정 교육과정에 활용 가능한 자료로 제공 될 수 있을 것이다.

      • 어르신전담 체육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소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elderly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and to provide research data for improving the job environment of these instructors as they are playing a more important role due to a growing elderly population. In order to meet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arried out from August to September 2008 on 345 elderly physical education instructors in the Republic of Korea. Out of the 345 surveys, 193 or 60% was submitted for the study. The data was analyzed except for 14 surveys which had unreliable data. In order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 12.0 version for Window and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used to examine the data of this study. The Scheffe method was used for after test analysis of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s was performed.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been deduced through the methods mentioned above. First, after analyzing the difference of job stress factor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meaningful associations between certain stress factors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The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in the categories of age with job environment, marriage status with the relationship of co-workers, marriage status with the job environment, and income brought ou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relationship with boss.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sociological factors were analyzed. Sense of achievement and career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regards to sex. Training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regards to salary. Income factor was also related with job satisfaction in regards to salary. Third, to examine how job stress affected job satisfaction, a regression model was used. The results were that job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job satisfaction. There were two factors that affected job satisfaction in regards to salary, working characteristics and job environment.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atisfac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boss and elderly clients. Results from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demographical-sociological effects on job stress levels of instructors who run the elderly athletic training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 age, marriage status, and income variables were significant factors that affected those levels. Second, when the factors of job satisfaction of those instructors were examined, sex, training experience, and income were significant statistical factors. Thir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job stress levels and job satisfaction of those instructors, a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negative relationship. That was, as the job stress level becam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went lower. Reversely, as the job stress level was lower, the job satisfaction level got higher. 본 연구의 목적은 급속도로 고령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들의 신체활동을 통한 여가를 책임지는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구명하여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직무만족 향상을 위한 근무환경 개선과 처우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1.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차이 2.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차이 3.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료 수집은 2008년 국민생활체육협의회 소속 전국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로 활동하고 있는 345명 전원을 모집단으로 설정 하였으며, 총 345부의 설문지를 배부 하였다. 345명 중 208명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60%)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193부 이었다. 자료 분석을 위한 주요 통계기법은 SPSS/PC V1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요인분석(factor analysis), 기술 통계분석(descriptive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첫째,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결혼여부, 월수입에 따라 직무스트레스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직무환경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혼여부에서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직장동료와의 관계와 직무환경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월수입에서는 직무스트레스 요인 중 상사와의 관계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요인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 지도경력, 월수입에 따라 직무만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별에서는 직무만족 요인 중 성취감과 경력관련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지도경력에서는 직무만족 요인 중 보수 관련 요인과 직무적성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월수입에서는 직무만족 요인 중 보수 관련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어르신전담체육지도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스트레스 수준이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보수 관련 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직무특성과 직무환경요인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경력관련 직무만족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은 직무환경인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직무적성에 미치는 직무스트레스 요인으로는 상사와의 관계요인, 어르신과의 관계요인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어머니가 지각한 조부모 온라인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

        정소라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조부모의 온라인 양육 참여 실태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수준을 알아보고 그 관계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부모의 온라인 양육 참여 실태는 어떠한가?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의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조부모의 온라인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내 위치한 5개 지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0∼5세 영·유아 자녀를 양육하고 있으며 조부모와 육아에 대해 소통을 하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부모들의 온라인 양육 참여도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양육 참여 중 컴퓨터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책임감 공유’가 가장 높았고 ‘손자녀교육’, ‘일상 및 여가 생활’, ‘자기 성장 노력’, ‘기관과의 의사소통’은 참여도가 낮은 편이었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높은 편이었으며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 중에서는 ‘자녀를 건강하게 양육하는 능력’과 관련 효능감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셋째, 조부모의 온라인 양육 참여가 높을수록 어머니의 양육효능감도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조부모의 온라인 양육 참여와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조부모의 온라인 양육 참여를 통한 어머니의 양육효능감 함양 프로그램 개발 등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