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건설기업 효율성의 변화와 주가와의 상관관계 연구

        정세도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산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55

        한국의 건설산업은 국가의 경제발전을 이끌며 꾸준히 성장하였다. 그러나 현재는 산업수명 주기상 절정기를 지나 성장이 둔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세계적인 경기 침체로 인해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건설산업의 발전방안을 모색할 필요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각 기업의 효율성을 산출하여 각 기업들의 주가 수준과 비교한다. 이를 통해 효율성이 주가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려고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비모수적 측정방법인 DEA(Data Envelope Analysis : 자료포락분석)모형으로 분석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CRS(Constant Returns to Scale : 규모에 대한 수익불변) 효율성 측정치는 VRS(Variable Returns to Scale : 규모에 대한 수익가변) 효율성 측정치에 비해 작게 나타나고 있어 CRS 효율성 측정치에서 건설회사간의 상대적인 효율성의 차이가 크게 측정되었다. 둘째, 건설기업들의 조사기간이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로 갈수록 DRS(Descreasing Return to Scale : 규모에 대한 수익체감)가 많아지고 있는데, 이는 기업의 규모가 커질수록 규모에 대한 수익이 감소하는 현상을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효율성이 전반기에 높았다가 이후 낮아지는 기업들이나, 반대로 낮았지만 이후 높아지는 기업들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효율성이 크게 변화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건설기업들의 주가와 효율성 사이에 상관관계는 비교적 낮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반해 연도별 각 건설회사의 효율성의 순위와 주가수준의 순위는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has steadily grown, leading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nowadays, growth is slowing after the peak of the industrial life cycle. Moreover, the deterioration continues due to the global recession, since the 2008 financial crisis. In order to escape from this crisis, there is a need to find ways to develop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paper, the efficiency of each company is calculated and compared with that of each company. We will examine the effect of efficiency on the stock price level. Data envelope analysis (DEA) model was used as a non - parametric metho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CRS (Constant Returns to Scale) efficiency measure is smaller than the VRS (Variable Returns to Scale) efficiency measure, so in the CRS efficiency measure, the difference in the relative efficiency between construction companies was measured. Second, DRS (Descreasing Return to Scale) is increasing as the survey period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went to the latter half of the first half, this is interpreted that the larger the size of a company, the smaller the profit. Third, efficiency shows a significant change over time in terms companies whose efficiency was high in the first half but then declining, on the other hand, there are a lot of companies that are low but increase afterwards. Fourth, the correlation between stock price and efficiency of construction companies is relatively low. On the contrary, the ranking of the efficiency and the stock price of each construction company by year is similar.

      •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효율성측정과 그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정세도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55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began in the US financial market in 2008, had as much of an impact on the global economy as the Great Depression of 1929. In the 2000s, the U.S. economy deteriorated due to the collapse of the IT bubble, the 9/11 terrorism, and the war, and this led to an ultra-low interest rate policy.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ies need to secure competitiveness that can increase management efficiency along with differentiated strategies for sustainable growth and competitive advantage in an environment of slowed growth and intensified competition. Basically, the construction industry must efficiently operate the labor force together with the assets it possesses, and furthermore, efforts by the entire enterprise to increase the total factor productivity through improvement of construction technology and expansion of high-quality manpower will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changes in efficiency and efficiency using statistical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Statistics from 2008 to 2018, and further analyze the determinants of efficiency. As a result, first, in the sales model, the efficiency of most construction industries was very high, over 0.9, the technology efficiency value of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 was 0.986,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construction industry, and “facility maintenance construction business” was 0.899 The furnace efficiency was low. In terms of net technical efficiency, the net technical efficiency of all construction industries was very high, above 0.9, and the net technical efficiency value of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project” was 0.988,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construction industry, and “indoor construction and building finishing construction project” The efficiency was the lowest at 0.914. In terms of scale efficiency, the efficiency of all construction industries was higher than 0.9, the scale efficiency value of “civil facility construction business” was 1.000,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construction industry, and “facility maintenance construction business” was the lowest with an efficiency of 0.916. In the economic analysis of scale, from 2008 to 2018, the “building facility installation construction project” showed the characteristic of increasing profits of scale (IRS). Second, in the value-added model, the efficiency of most construction industries was found to be more than 0.6, the technology efficiency value of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project” was 0.924,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construction industry, and “specialized construction project related to infrastructure and facility construction” was 0.366. Technology efficiency was very low. In terms of net technology efficiency, the efficiency of most construction industries was found to be more than 0.6, and the net technology efficiency value of “electricity and communication construction business” was 0.929,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construction industry, and “specialized construction business related to infrastructure and facility construction” was 0.440. The net technical efficiency was the lowest. In terms of scale efficiency, the efficiency of most construction industries was higher than 0.9, and the efficiency value of the scale of “non-residential building construction industry” was 0.997, which was the most efficient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facility maintenance construction project” was the most efficient at 0.797. Was the lowest. In the economies of scale analysis, for 11 years from 2008 to 2018, the “ground construction construction industry” showed an increase in profits of scale (IRS). Third, looking at the efficiency trend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from 2008 to 2018, the trend of technical efficiency and net technology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year for the sales model almost coincided, and efficiency has been increasing since 2012, and the efficiency of scale is 2011. It has been on a decline since 2010. In the value-added model, the trend of technology efficiency and net technology efficiency almost coincided and has been rising since 2013, and the efficiency of scale was constant from 2008 to 2016. Fourth, the technical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as analyzed from 2008 to 2018. Therefore, factors influencing technology efficiency were analyzed, and log(raw material cost/construction cost), log(labor cost/construction cost), log(welfare benefit/construction cost), log(outsourcing construction cost/construction cost), log(outsourcing construction cost/construction cost), log(percentage of companies with more than 1 billion), log(real wage per person), log(unemployment rate), year, and the first half of the year.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industrial characteristics, the industry debates the construction industry except for the residential building construction industry. Added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technology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the sales model, log(raw material cost/construction cost), log(outsourcing construction cost/construction cost), and log(unemployment rate) influenced the technology efficiency. That is, as the raw material cost/construction cost and outsourcing construction cost/construction cost increase, the technology efficiency decreases, and as the unemployment rate increases, the technology efficiency increases.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that affect the technology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for the value-added model, log (benefit benefits/construction cost) and log(unemployment rate) affected the technology efficiency, and the benefits/construction cost increased. If so, technology efficiency decreases, and as the unemployment rate increases, technology efficiency increases. In the dummy variable, “electricity and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 work”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and “electricity and telecommunication construction work” is interpreted as having higher efficiency than other industries. 2008년 미국에서 발생된 금융시장부실화로 인한 세계경제의 금융위기는 1929년 대공황이래 세계 경제에 가장 심대한 타격을 입혔다. 2000년대 들어서면서 등장한 미국의 IT버블 붕괴와 911테러 및 이라크 전쟁 등으로 인해 경기침체가 더욱 악화되었으며, 이를 계기로 선진국을 중심으로 양적완화정책에 따르는 초저금리 정책이 전개되었다. 이러한 변화과정 속에서 국내 건설산업은 경쟁이 심화된 환경 속에서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 경영효율성을 증대시키고 경쟁력을 확보할 필요성이 점증해왔다. 건설산업은 그 어느때보다도 효율성 증대를 통한 경쟁력확보가 최대의 과제가 되고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2008년부터 2018년까지 통계청 자료를 활용하여 효율성 을 측정하며, 나아가 효율성 결정요인 분석하여 효율성의 영향요인과 영향정도를 파악하여 건설산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얻어진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매출액 모형에서 대부분 건설 산업의 효율성은 0.9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기 및 통신 공사업”의 기술효율성 값이 0.986으로 가장 효율적인 건설 산업이었으며, “시설물 유지관리 공사업”이 0.899로 효율성이 낮았다. 순기술 효율성에서는 모든 건설 산업의 순기술효율성이 0.9이상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전기 및 통신 공사업”의 순기술효율성 값이 0.988로 가장 효율적인 건설 산업이었고, “실내건축 및 건축마무리 공사업”이 0.914로 효율성이 가장 낮았다. 규모의 효율성에서는 모든 건설 산업의 효율성은 0.9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토목 시설물 건설업”의 규모 효율성 값이 1.000으로로 가장 효율적인 건설 산업이었으며, “시설물 유지관리 공사업”은 0.916의 효율성으로 가장 낮았다. 규모의 경제 분석에서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건물설비 설치 공사업”은 규모에 따르는 수익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쥬었다. 둘째, 부가가치 모형에서 대부분 건설 산업의 효율성은 0.6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전기 및 통신 공사업”의 기술효율성 값이 0.924로 가장 효율적인 건설 산업이었고, “기반조성 및 시설물 축조관련 전문공사업”는 0.366으로 기술효율성이 매우 낮았다. 순기술 효율성에서는 대부분 건설 산업의 효율성은 0.6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전기 및 통신 공사업”의 순기술효율성 값이 0.929로 가장 효율적인 건설 산업이었고, “기반조성 및 시설물 축조관련 전문공사업”는 0.440로 순기술효율성이 가장 낮았다. 규모의 효율성에서는 대부분 건설 산업의 효율성은 0.9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비주거용 건물 건설업”의 규모의 효율성 값이 0.997로 가장 효율적인 건설 산업이었고, “시설물 유지관리 공사업”는 0.797로 규모의 효율성이 가장 낮았다. 규모의 경제 분석에서는 2008년부터 2018년까지 11년 동안, “지반조성 건설업”은 규모에 따르는 수익이 증가하는 특성을 보여 주었다. 셋째,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건설 산업의 효율성 추세를 보면, 매출액 모형에 대한 년도별 건설 산업의 기술효율성과 순기술효율성 추세는 거의 일치하며 2012년부터 효율성이 승상하고 있었으며, 규모의 효율성은 2011년부터 감소추세를 보이고 있었다. 부가가치 모형에서는 기술효율성과 순기술효율성 추세는 거의 일치하며 2013년부터 승상하고 있었으며, 규모의 효율성은 2008년부터 2016년까지 일정하였다. 넷째, 2008년부터 2018년까지 건설 산업의 기술효율성을 분석하였다. 이에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으며, 효율성 영향요인으로 log(원재료비/공사비용), log(인건비/공사비용), log(복리후생/공사비용), log(외주공사비/공,사비용), log(10억이상사업체비율), log(일인당실질임금), log(실업률), 년도, 전후반기로 나누었으며, 산업별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주거용 건물 건설업을 제외한 나버지 건설 산업에 대해 산업더비변수를 추가하였다. 매출액 모형에 대한 건설 산업의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log(원재료비/공사비용), log(외주공사비/공사비용), log(실업률)이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쳤다. 즉, 원재료비/공사비용, 외주공사비/공사비용이 증가하면 기술효율성이 감소하며, 실업률은 증가할수록 기술효율성은 증가하였다. 다섯째, 부가가치 모형에 대한 건설 산업의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log(복리후생/공사비용), log(실업률)이 기술효율성에 영향을 미쳤으며, 복리후생/공사비용이 증가하면 기술효율성이 감소하며, 실업률은 증가할수록 기술효율성은 증가하였다. 더미변수에서는 “전기 및 통신 공사업”는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쳤으며, “전기 및 통신 공사업”은 다른 산업에 비해 효율성이 높은 것으로 해석된다.

      • Muzigrapher; 음악을 그리는 사람

        정세 서울장신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음반의 주제는 ‘Muzigrapher; 음악을 그리는 사람’이다. 여기에 쓰인 ‘Muzigrapher’라는 단어는 필자가 탄생시킨 합성어이다. 인간이 들을 수 있는 영역의 음과 소음을 소재로 하여 박자, 선율, 화성, 음색 등을 일정한 법칙과 형식으로 종합해서 사상과 감정을 나타내는 예술을 음악이라 한다. ‘음악, 곡’이라는 뜻의 Music과 ‘쓰는 사람, 그리는 사람, 기록자‘라는 뜻의 -grapher 라는 연결형 단어의 조합이다. 이 Music-grapher라는 단어에서 발음과 느낌을 위해 s를 z로 바꾸고 두 단어를 붙여서 최종적으로 ‘Muzigrapher’라는 단어를 만들게 되었다. 새로운 영어단어를 만들어가며 필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이 음반의 기획 의도는 앞서 설명한 단어의 의미이자 부제이다. ‘음악을 그리는 사람’이라는 단어에서 음악감독이라는 필자의 전공을 통해 음악감독으로서 필자가 만들어낼 수 있는 음악의 다양성과 창의성을 보여주고자 했다. 음반에 수록된 곡들은 2017년부터 2018년 사이 전부 다른 계기로 지어지고 다듬어진 곡들이다. 그래서 다양한 모습을 가지고 있는 것이 어쩌면 당연한 결과겠지만 필자라는 한 명의 작사가이자 작곡가이자 편곡가가 만들어내고 연주해냄으로써 필자의 색이 입혀지고 필자가 만들어낼 수 있는 다양한 스펙트럼의 곡들이 창작되는 것을 보여주고자 했다.

      •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정세 동의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인간중심돌봄, 도덕적 고뇌, 임파워먼트 및 간호근무환경을 파악하고,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7월 24일부터 8월 31일까지였으며, B 광역시 8곳의 요양병원에서 3개월 이상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제 특성 16문항, 인간중심돌봄 28문항, 도덕적 고뇌 21문항, 임파워먼트 16문항, 간호근무환경 30문항의 총 111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홈페이지에 공표된 자료를 통해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2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은 평점평균 3.44±0.38점, 도덕적 고뇌는 총점 평균 77.24±63.44점, 임파워먼트는 평점평균 3.67±0.52점, 간호근무환경은 평점평균 3.35±0.42점이었다. 2. 요양병원 간호사의 제 특성에 따른 인간중심돌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은 도덕적 고뇌(r=-.18, p=.048)와 음의 상관관계로 나타났고 임파워먼트(r=.52, p<.001), 간호근무환경(r=.46, p< .001)과는 양의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즉, 도덕적 고뇌가 약할수록, 임파워먼트가 높을수록,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인간중심돌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파워먼트와 간호근무환경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 .42, p .001). 즉, 지각하는 간호근무환경이 좋을수록 임파워먼트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22.29, p<.001).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파워먼트(β=.42, p<.001), 간호근무환경(β=.26, p=.002)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3.5%였다. 본 연구결과을 통해 요양병원 간호사의 인간중심돌봄을 강화하기 위해서 임파워먼트 증진 프로그램 개발과 요양병원의 간호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erson-centered care among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and to examine moral distress, empowerment,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s factors that could affect their person-centered care as well as other factors affecting it.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uly 24 to August 31, 2018 and the participants were 128 nurses working in 8 hospitals in B city for more than three months.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of 111 items, consisting of 16, 28, 21, 16, and 30 items on general characteristics, person-centered care, moral distress, empowerment,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respectively, as well as from data published on the web site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Statistics 22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person-centered care was 3.44±0.38, total mean score of moral distress was 77.24±63.44, mean score of empowerment was 3.67±0.52, and mean score of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was 3.35±0.42. 2.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centered care b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working atlong-term care hospitals. 3. The person-centered care of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moral distress (r=-.18, p=.048)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empowerment (r=.52, p<.001)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r=.46, p<.001).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moral distress, the higher the empowerment, and the better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and person-centered care. 4.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son-centered care of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and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22.29, p<.001).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son-centered care of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were empowerment (β=.42, p<.001) and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β=.26, p=.002), and the explanatory power was 33.5%. 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strengthen the person-centered care of nurses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to enhance their empowerment as well as a plan to improve the nursing practice environment.

      • 해저지형 모델 구축기술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정세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상세한 해저지형 모델의 구축은 해상교통의 안전 확보 및 연안개발, 해양관련 정책수립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해저지형 모델을 구축하는 기술은 선박을 이용한 방법인 MBES(Multi Beam Echo Sound)와 항공기를 이용하는 방법인 ALB(Airborne LiDAR Bathymetry)가 대표적이다. MBES는 선박에 탑재되어 데이터를 취득하기 때문에 천소지역, 해안절벽, 간출암이 있는 지역과 같이 선박의 접근에 위험성이 상존하는 경우에는 수심취득이 어렵다. 반면 ALB의 경우는 항공기를 탑재체로 사용하기 때문에 접근에 제약 없이 수심자료를 취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위 두 가지 기술은 개별적인 검증과정을 거쳐서, 두 데이터를 융합하여 수심모델의 구축이 가능하지만, 데이터를 융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원시데이터 취득형태와 데이터의 점밀도를 고려하여, 좌표체계를 통합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현재까지 이러한 통합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검증이 이루어진 바가 없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BES와 ALB의 정확도 검증을 수행 하고, 각각 다른 방법으로 구축된 수심데이터를 융합하여 통합모델을 구축하기 위하여, ALB 데이터에 여러 가지 보간법을 적용하여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정확도 검증을 위한 대상지역은 취득한 수심데이터가 중첩되는 지역과 해저지형 변화가 큰 곳, 작은 곳 을 선정하여, 수심오차를 기준으로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정확도 기준은 IHO(International Hydrographic Organization) 에서 규정한 특 등급 수심별 허용오차 기준을 적용하였다. 하나의 통합 수심모델을 위한 보간은, 모델 간 오차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모색하였으며, IDW(Inverse Distance Weight), Kriging, Spline 등의 3가지 방법을 적용하였다. 정확도 검증 결과 오차는 0.19m로 IHO의 수심별 허용 오차기준을 만족 하였고, 이로서 두 가지 데이터를 융합하여 해저지형 모델 구축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통합모델을 위한 보간의 경우, 2x2m 격자를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IDW, Kriging 방법에 의한 보간이 Spline을 적용한 경우보다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주변의 값을 이용하여 알고자 하는 값에 대해서 추정하는 보간법에 있어, 보간 방법의 차이보다는 보간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의 분포와 밀도에 따른 Sampling에 더욱 의존적이라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해상 수심모델의 통합모델 구축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MBES와 CZMIL 데이터에 육상 LiDAR 데이터의 정확도 검증까지 이루어진다면, 향후 해상과 육상데이터의 통합모델 구축도 가능하리라 기대한다. ABSTRACT A detailed seabed terrain model is very important data for marine policy, ocean traffic safety, and coastal development. Two main approaches such as MBES(Multi beam echo sounder) mounted on the ship and ALB(airborne LiDAR bathymetry)on the aircraft are used to construct the seabed terrain model. As MBES is installed under the ship, it has limited accessibility to the area close to coast, shallow sea, coastal cliffs, and dry rock. On the other hand, the ALB has no limits on accessibility, because it flies over the sea for collecting sea depth data. Obviously, those two data can be integrated for the seamless seabed terrain modeling. For the integration, one ha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raw data, density and accuracy of the measurement, and the coordinate system. In this study, the accuracy of the MBES and ALB is analyzed for the integration of MBES and ALB data. In addition, the interpolation method which is required on the process of the data integration is investigated. The area where both data is available is selected for the accuracy analys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terrain variations on the accuracy, flat and rough areas are selected and a couple of the cross sections are used for the analysi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relative accuracy between the MBES and ALB is about 19 cm that satisfies the required accuracy regularized from IHO. The effect of the terrain variations is minimal although a flat area slightly shows better accuracy.Three interpolation methods such as IDW, Kriging, and Spline interpolations are applied in data integration and the results are analyzed. It is shown that IDW and Kriging methods generate better results than that of Spline. Furthermore, it is found that the data density and distribution are more important in interpolation rather than the kind of interpolation method.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construct a unified terrain model including land and sea areas through the verification of the terrestrial LiDAR.

      • 청년의 다중 불리(multiple disadvantage)와 안정 노동 이행 : 첫 일자리의 딜레마와 사회복지 대응

        정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1823

        사회복지학은 빈곤과 노동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태동하였으나 오늘날의 불평등과 노동 문제에 대한 관심은 타 학문에 비해 미흡하다. 특히, 청년의 불평등과 노동의 문제는 급격한 산업구조와 사회변화로 야기된 신사회문제로 사회복지영역에서 마땅히 다루어야 할 엄중한 연구 주제임에도 불구하고 그 논의의 양과 깊이는 다른 주제에 비해, 그리고 인접학문들에 비해 부족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청년의 노동을 사회복지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정책적, 실천적, 학문적 대응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개인의 정체성이 하나의 범주로 구성될 수 없으며, 동시에 하나 이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보는 교차성(intersectionality)의 시각에서 분석하고자 하였다. 일상에서 우리는 하나의 조건이나 지위를 가지고 살아가지 않으나 대부분의 청년 노동을 다룬 연구들은 하나의 축(single axis), 단일(unitary)의 접근 방식을 통해 연구를 수행하고 있어 다중 불리가 안정 노동 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다루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는 청년의 다중 불리가 안정 노동 이행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 사회복지적 대응방안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 특성을 주요 노동 이론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고찰하였다. 청년의 안정 노동은 고용 안정성의 측면에서 정의하였으며, 다중 불리의 세 축은 불안정 노동 경험, 성별, 사회경제적 여건으로 설정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2014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자료(GOMS)’를 활용하였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시가변 변수(time varying variable)를 고려할 수 있는 Cox 비례해저드 모형을 적용하였다. 최종 분석에 활용된 사례 수는 15,279개였다. 먼저, 개별 불리가 청년의 안정노동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연구 과제 1)에 따르면, 불안정 노동 경험과 성별, 사회경제적 여건은 청년의 안정 노동 이행에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정 노동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남성에 비해 여성이,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에 비해 안정 노동으로 이행할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된 것이다. 또한, 영향의 크기는 불안정 노동 경험 >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 > 성별의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중 불리가 청년의 안정 노동 이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연구 과제 2)에 따르면, 사회경제적 여건과 불안정 노동 경험이 안정 노동 이행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은 남성 청년의 안정 노동 이행에는 부적 영향을 미치지만, 여성 청년의 안정 노동 이행과는 관계가 없는 것으로 확인된 것이다(연구 과제 2-1). 그러나 불안정 노동 경험은 남성 청년과 여성 청년 모두의 안정 노동 이행률을 낮추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연구 과제 2-2), 불안정 노동 경험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 유무와 관계없이 안정 노동 이행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연구 과제 2-3). 연구 과제 3은 연구 과제 1과 연구과제 2를 통해 청년의 안정 노동 이행을 저해하는 주된 다중 불리를 찾아내고, 주요 불리의 조합에 따라 안정 노동 이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성별과 불안정 노동 경험의 교차에 따른 안정 노동 이행과(4.3.1)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과 불안정 노동 경험의 교차에 따른 안정 노동 이행(4.3.2)을 살펴보았다. 우선, 성별과 불안정 노동 경험의 교차에 따라 안정 노동 이행 양상이 어떠한지를 살펴본 결과, 불안정 노동 경험이 없는 남성을 기준으로, 불안정 노동 경험이 없는 여성 > 불안정 노동 경험이 있는 여성 > 불안정 노동 경험이 있는 남성의 순으로 안정 노동 이행률이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불안정 노동 경험과 성별이 중첩될 때는 특히 남성이 안정 노동 이행에 불리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다음으로, 불안정 노동 경험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의 교차에 따라 안정 노동으로의 이행이 어떠한지를 살펴본 결과에 따르면, 네 집단의 안정 노동 이행률은 불안정 노동 경험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이 없는 청년 > 불안정 노동 경험은 없으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이 있는 청년 > 불안정 노동 경험은 있으나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은 없는 청년 > 불안정 노동 경험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 모두 가지고 있는 청년의 순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불안정 노동 경험과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한 휴학 경험의 중첩은 청년의 안정 노동 이행에 각각의 어려움이 더해진 만큼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 일자리가 불안정 노동일 경우에는 어떠한 조건하에서도 안정 노동으로의 이행이 어려워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의 함의와 제언은 실천적, 정책적, 학문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실천적 측면에서는 다중 불리가 청년의 안정 노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남에 따라 청년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서비스와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대가 필요하며, 불평등과 불안정 노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한 사회복지 실천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불안정 노동경험이 안정 노동 이행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난 바, 1) 첫 일자리의 딜레마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 정책적 노력과 2) 청년 지원 정책의 설계에 있어 다중 불리의 고려가 필요하며, 궁극적으로는 3) 보편적 사회 정책의 확대가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학문적 측면에서, 이 연구는 하나의 정체성에 초점을 두는 단일, 단축 접근을 벗어나 교차된 정체성이 청년의 노동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했다는 함의를 가진다. While social welfare studies began with an aim to address the issues of poverty and labor in society, its interest in those issues these days seems lagging behind that of other disciplines. The challenge of inequality and employment facing young adults, which is growingly serious due to rapid changes in industrial and social structures, is an important research topic that needs due attention in social welfare studies. However, the depth and width of discussion regarding the issue is insufficient compared to other disciplines. This research attempts to view the issue of work among young adults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welfare and to identify policy, practice, and academic measures. It will also take a perspective of intersectionality, believing that one’s identity comprises a number of elements. Even though we experience multiple conditions and multiple status in our daily lives, most studies about youth labor take a unitary, single-axis approach, failing to determine how multiple disadvantage affects stable work transition among young adult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ple disadvantage among young adults and their stable work transition in order to seek appropriate social welfare responses. For this, the characteristics of work transition among young adults were reviewed based on major labor theories and previous studies. Stable work for young adults was defined in terms of job security, and the three axes of multiple disadvantage consisted of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gender, and socioeconomic condition. The 2014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was used for analysis. The Cox proportional hazard model, which allows time-varying variables, was used as a research method. A total of 15,279 cas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Upon examining the impact of an individual disadvantage on stable work transition (research question 1), it was found that each of the three axes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gender, and socioeconomic condition) affected stable work transition. The chance of transitioning to stable work was lower among those with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women, and those who experienced temporary leave from school due to economic difficulty, compared to their counterpart groups. The relative scale of impact was greatest with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followed by the experience of temporary leave from school and gender. Next, the impact of multiple disadvantages on stable work transition among young adults was examined (research question 2).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oeconomic condition and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influenced stable work transition differently by gender. The experience of temporary leave from school due to economic difficulty had a negative impact on stable work transition among male young adults while it was irrelevant for their female counterparts (research question 2-1). However,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lowered the rate of stable work transition for both male and female young adults (research question 2-2).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compromised stable work transition regardless of the experience of temporary leave from school (research question 2-3). Built upon the findings from research questions 1 and 2, research question 3 aimed to identify major multiple disadvantages that negatively affect stable work transition among young adults and to determine how the different combinations of major disadvantages influence stable work transition. For this, the combined effect of gender and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4.3.1) and that of the experience of temporary leave from school and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4.3.2) were examined in regard to stable work transition.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rate of stable work transition was low among women with no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women with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and men with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in the order they appear, when viewed relative to men without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When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and gender were combined, it was particularly disadvantageous to men. Next, it was investigated how the combination of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and the experience of temporary leave from school was correlated to stable work transition. The rate of stable work transition was greatest among those having experienced neither precarious work nor temporary leave from school, followed by those having experienced temporary leave from school but not precarious work, those having experienced precarious work but not temporary leave from school, and those having experienced both precarious work and temporary leave from school. Furthermore, the impact of the combined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and temporary leave from school equaled the added value of the impact of each disadvantag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suggest that if the first job is precarious work, it negatively influences transition to stable work in any case.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Regarding research applicability, it proved that multiple disadvantage influences stable work transition among young adults, indicating a need to develop and expand social welfare programs targeting young adults and a need for social welfare practice critically reflecting upon inequality and precarious work. In terms of policy aspect, this research showed that the experience of precarious work has significant impact on transitioning to stable work among young adults in the South Korean context. This leads to the following suggestions: 1) there is a need for policy efforts to address the first job dilemma; 2) multiple disadvantage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hen planning support policies for young adults; and 3) there needs to be an expansion of universal social policies. In terms of academic aspect, this research examined the impact of intersectional identities on stable work transition among young adults, rather than a unitary, single-axis approach.

      • 파파야를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 특성

        정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23

        In modern times, a healthy and long-lived life has become a culture, and interest in diet is increasing for a healthy life. This degree of interest is in the spotlight not only in essential food, clothing, and shelter, but also in the preference food market. With the popularity of low-grade liquor and alcohol with functional ingredients that can be enjoyed lightly around the MZ generation, consumers' awareness of health is also having a great influence on the traditional liquor market. In addition, consumers think about the compatibility with snacks when choosing alcoholic beverages, and based on this, papaya was added to makgeolli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ality of helping digestion during drinking along with snacks with high protein content. Due to rapid climate change, the production of subtropical crops in Korea steadily increased, and the number of farms that grow and produce papaya also steadily increas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using papaya were studied to help consumers who consider health and the increasing number of subtropical crop growers. In this study, the recipe of makgeolli was derived through literature survey and two preliminary experiments, and the added amount of papaya was 0 %, 5 %, 10 %, 15 %, 20 % to produce sweet liquor, and the alcohol content, sugar content, total pH, and acidity changed for 1, 2, 3, 4, 5, 6, 7, 21 days (aged 14 days at 4 °C after fermentation). In addition,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s, glass sugars, DPPH, and organic acids changed for 0 days, 3 days, 5 days, 7 days, and 21 days (14 days after fermentation) was measured,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rough total polyphenol, volatile fragrance, and sensory evaluation after fermentation for 7 days. The alcohol content of papaya makgeolli was 13.6 % in a sample with 20 % papaya added, which was 2.2 % lower than that of a sample without papaya added, and alcohol production decreased as the amount of papaya added increased. The sugar content of papaya makgeolli does not show much difference from the sample without papaya, so it is judged that the addition of papaya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sugar content. Makgeolli with 10 % papaya showed the highest value at 35.24 g/L, and makgeolli with 15 % papaya showed the lowest result at 27.42 g/L, and the addition of papaya is believed to have partially affected the reducing sugar. Two types of glass sugars, glucose and maltose, were detected in makgeolli to which papaya was added, and it is believed that the amount of added papaya is partially involved in the production of glass sugar. The pH did not show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amples, so the difference in the amount of papaya added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pH change. The total acidity showed a pattern that the content of the total acidity increased as the amount of papaya added during fermentation, and increased slightly after 21 day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order to find out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papaya-added makgeolli, the makgeolli with 5 % papaya added in the DDPH radical elimination activity showed the highest value at 61.41 %,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sample without papaya.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showed the highest value of makgeolli with 10 % added papaya, but it tends to decrease as the amount of papaya added increases, so it is considered that papaya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esults of antioxidant and total polyphenol content during the alcohol fermentation process. Four organic acids, mal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and acetic acid, were detected in makgeolli made by adding papaya, and as the amount of papaya added increased, the malic acid was decomposed to produce lactic acid. A total of 13 types of volatile fragrance components were detected in 4 types of alcohols, 1 type of acid, and 8 types of esters, excluding trace amounts of ingredients, and papaya is believed to have some influence on alcohols and esters that produce flower or fruit scent. In the gender sensuality evaluation of makgeolli made by adding papaya, both men and women had the highest overall preference for samples without papaya, and showed differences in preference between men and women in samples with high lactic acid content. In the age-specific sensory evaluation, people in their 60s and 40s showed low preferences in makgeolli, which showed high preferences in their 20s, and those in their 60s and 40s showed low preferences in papaya addition by age.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ddition of papaya during alcohol fermentation hinders the production of apple acid and increases the production of lactic acid, which can be newly used in the food industry. In addition, due to the high preference for makgeolli, which used some papaya in their 20s and 30s, it shows the possibility of making and marketing makgeolli using papaya, and aims to be a basic data for subtropical crops to be used in making makgeolli. 현대인들은 건강하게 오래 사는 삶이 하나의 문화로 자리 잡히며 건강한 삶을 위해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관심도는 필수적인 의식주뿐만 아니라 기호식품 시장에서도 각광받고 있다. MZ세대를 중심으로 가볍게 즐길 수 있는 저도수의 술과 기능성 부재료가 사용된 술들이 유행하면서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인식이 전통주 시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소비자들이 주류를 선택 시 안주와의 궁합을 생각하게 되며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단백질 함량이 높은 안주와 함께 음용 시 소화를 돕는 기능성을 고려하여 막걸리에 파파야를 첨가하였다. 급격한 기후 변화로 인해 국내 아열대 작물의 생산은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파파야를 재배, 생산하는 농가 또한 꾸준히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건강을 고려하는 소비자의 관심과 증가하고 있는 아열대 작물 재배 농가에 도움이 되고자 파파야를 활용 막걸리의 품질 특성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 조사와 두 번의 예비실험을 통해 막걸리의 레시피를 도출하고 파파야의 첨가량을 0 %, 5 %, 10 %, 15 %, 20 %로 달리하여 단양주를 제조하였으며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7일, 21일(7일 발효 후 4 ℃에서 14일 숙성)동안 변화하는 알코올 함량, 당도, pH 및 총 산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0일, 3일, 5일, 7일, 21일(7일 발효 후 4 ℃에서 14일 숙성)동안 변화하는 환원당, 유리당, DPPH,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7일 발효 후 4 ℃에서 14일 숙성시켜 Total polyphenol, 휘발성 향기성분, 관능평가를 통해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파파야 막걸리의 알코올 함량은 파파야의 첨가량 20 %인 시료가 13.6 %로 파파야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에 비해 2.2 % 낮은 결과값을 보이며 파파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알코올 생성이 감소하였다. 파파야 막걸리의 당도는 파파야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와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아 파파야의 첨가가 당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환원당은 파파야를 10 % 함유한 막걸리가 35.24 g/L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며 파파야를 15 % 첨가한 막걸리가 27.42 g/L로 가장 낮은 결과값을 보이며 파파야의 첨가가 환원당에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파파야를 첨가한 막걸리에서는 glucose, maltose 2종의 유리당이 검출되었으며 파파야의 첨가량이 유리당 생성에 일부 관여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pH는 시료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파파야 첨가량의 차이가 pH변화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총 산도는 발효 중 파파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총 산도의 함량이 높아지는 양상을 보이며 21일 후에는 소폭 증가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파파야를 첨가한 막걸리의 항산화성을 알아보기 위해 DDPH 라디컬 소거활성에서 파파야를 5 % 첨가한 막걸리가 61.41 %로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파파야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와 큰 차이점을 보이지 않았다. Total polyphenol 함량은 파파야가 10 % 첨가된 막걸리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으나 파파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알코올 발효 과정 중 파파야가 항산화와 total polyphenol 함량 결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파파야를 첨가하여 빚은 막걸리에서 malic acid, succinic acid, lactic acid, acetic acid의 네 가지 유기산이 검출되었으며 파파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malic acid가 분해되어 lactic acid를 생성하는 결과를 보였다. 향기성분은 미량의 성분을 제외한 alcohol류 4종, acid류 1종, ester류 8종으로 총 13종의 휘발성 향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파파야가 꽃이나 과실향기를 생성하는 alcohol류와 ester류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파파야를 첨가하여 빚은 막걸리의 성별 관능평가는 남녀 모두 파파야를 첨가하지 않은 시료의 종합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젖산 함류량이 높은 시료에서 남, 여의 선호도 차이를 보였다. 연령별 관능평가에서는 20대가 높은 선호도를 보인 막걸리에서 60대와 40대가 낮은 선호도를 보였으며 60대와 40대가 높은 선호도를 보인 막걸리에서 20대가 낮은 선호도를 보이며 연령별 파파야 첨가량에 대한 기호도 반응이 다른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코올 발효 시 파파야의 첨가가 사과산 생성을 저해 시키고 젖산의 생성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식품산업에 파파야를 새롭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20대와 30대에서 파파야가 일부 사용된 막걸리의 선호도가 높아 파파야를 활용한 막걸리를 제조 및 시판 가능성을 보여 주며 아열대 작물이 막걸리 제조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