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n Empirical Study on the Investment Behavior of Investors in the Real Estate Tax : - Focus on the Psychological Factor -

        정성훈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47

        There have been difficulties for collecting actual trading data of real estate investors that caused problems in the study of the real estate investment psychology and the behavioral tax. This study solves the data collection problems by using the certificated copies of the real estate register. In the process of research, following data from January 2005 to July 2014 are used; 2,245 data of actual transactions, regional monthly real estate price indices, national monthly real estate price indices, composite stock price indices, and construction industry indices. This study explains the behavioral investment and psychology of investors throughout the four main subjects; the reactions of the real estate market after the tax policy, the disposition effect followed by the change of tax policy, the relation between the change of tax policy and the cognitive bias of decision making, and the influence of the real estate transaction tax on real estate property. The outcomes of the study show that the real estate market sometimes works in inefficient ways resulting from the cognitive bias of the investors. Among the cognitive bias that possible can be the cause of the market inefficiency, this research verifies the disposition effect appearing on market as a cause of the inefficiency. Also, according to the outcomes of the research on the change of tax rates, it is confirmed that the investors’ cognitive bias decreases except the special cases when transfer income and acquisition tax has increased. Along with that, the reverse disposition effect is also confirmed. In the situation, if investors show the certainty effect or the recency prejudice, it is impossible to reduce cognitive bias even though tax rate is increased. Therefore, the disposition effect as one of the cognitive bias should be consistently researched on the other cognitive bias and reactions of real estate tax rate. An implication of this research is the unique way of approaching. It tried to investigate the change depending on trade price in real estate, which has not been done before in the field of behavior taxation. In addition, there is an academic meaning because it refutes the previous conclusion in the perspective of investment psychology that assum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quisition and the transfer income tax effect is imperceptible. Moreover, it has an academic suggestion because the reverse disposition effect is revealed through this study, which was difficult to be proved in previous researches. Besides, this research has practical implication because it suggests an empirical reason about the governmental decision making. Finally, it verifies that transfer income tax rate increase could reduce investors’ cognitive bias, and also clarifies that the investors react significantly to DTI. 본 연구는 기존 부동산투자심리연구와 행동세무연구에서 제기되던 문제점 중 하나인 부동산 투자자들의 실거래자료 수집의 어려움을 등기부등본을 활용하여 해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의 기간은 2005년 1월부터 2014년 7월까지이며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연구기간 중 2245건의 실거래데이터, 지역별 월별 지가지수, 전국 월별 지가지수, 종합주가지수, 건설업종지수를 이용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4가지의 주제(조세정책에 따른 부동산 시장의 반응, 조세정책 변화에 따른 처분효과, 조세정책 변화와 의사결정의 인지적 편의, 부동산 거래세가 부동산자산에 미치는 영향)를 이용하여 부동산 조세정책에 따른 투자자들의 투자행태와 심리에 관한 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부동산 시장은 간혹 비효율적인 면이 나타날 수도 있으며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투자자들의 인지적 편의에서 온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장의 비효율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인지적 편의 중 본 연구가 중요하다고 판단한 처분효과가 시장에 나타나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세율변화에 따른 연구결과,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 양도소득세율 또는 취득세율을 상승시킬 경우 투자자들의 인지적 편의의 정도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역 처분효과의 존재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투자자들에게 확실성 효과 또는 최근성 편견 등이 나타난다면 세율인상을 통해서도 인지적 편의를 줄일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처분효과는 인지적 편의 중 하나로써 추후 다른 인지적 편의에 대한 연구 및 부동산 시장의 세율반응에 대한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기존의 행동세무학의 연구에서 잘 이루어지지 않던 부동산 관련 거래세의 변화에 따른 연구를 시도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기존에 연구되었던 선행연구들이 밝혔었던 취득세와 양도소득세의 효과가 미미하다는 결과에 대해 투자심리관점에서 판단하였을 때 기존의 결과와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시사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연구를 통해 확인하기 힘들던 역 처분효과의 형태를 본 연구를 통해 밝혀내면서 학문적인 시사점이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들은 정부의 의사결정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인 시사점이 존재한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양도소득세율의 인상의 경우 투자자들의 인지적 편의를 줄일 수 있다는 것을 밝혔으며, 추가적으로 투자자들은 거래세 이외의 정책인 DTI에도 큰 반응을 나타낸다는 것도 밝혔다.

      • 고조파 전압이 저압 전원용 바리스터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정성훈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교류 누설전류의 측정을 기반으로 한 산화아연(이하 ZnO) 바리스터의 전기적 특성에 관한 것으로 고조파 전압이 산화아연 바리스터의 전기적 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가전압의 크기와 주파수에 따른 20D431 바리스터의 전기적 파라미터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ZnO 바리스터의 누설전류를 60~540 [Hz]인 주파수범위에서 최대출력이 40 [W] 이고, 최대전압 1 [kV]까지 공급하는 전력증폭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바리스터의 누설저항은 인가전압의 주파수와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ZnO 바리스터의 누설저항은 인가전압의 주파수와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ZnO 바리스터의 정전용량은 인가전압의 크기에는 관계없으며, 인가전압의 주파수의 증가함에 따라 약간 감소하였다. 또한 ZnO 바리스터의 전력손실은 인가전압의 크기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전압서지에 대하여 전기전자장비를 보호하는 우수한 성능을 가진 ZnO 바리스터의 전기적 수명은 전원계통의 기본파 전압에 중첩된 고조파에 의하여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 고용량 리튬이차전지용 Nickel rich 양극 표면의 잔류리튬을 이용한 다기능성 표면개질

        정성훈 인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세먼지를 비롯한 환경오염, 잦은 유가변동 등으로 인하여 친환경적인 전기차(Electric Vehicle)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배터리의 양극 활물질(active material)로 사용되는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2)은 이론적으로 280 mAh g-1 의 상대적으로 큰 이론 용량을 가지나 리튬의 산화 환원 potential 대비 4.2 V 이상 충전 되면 구조 내 절반 이상의 리튬 이온이 빠져 나오게 되고 Hexagonal에서 Monoclinic으로 상 전이가 발생한다. 상 전이가 발생하게 되면 더 이상 리튬 이온과 가역적으로 반응할 수가 없기 때문에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은 이론용량의 절반인 140 mAh g-1 으로 제한된다. 따라서 현재 사용되는 리튬 이차전지를 전기차에 적용할 경우, 에너지 밀도가 낮아서 한 번 충전으로 갈 수 있는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전기차를 일상 생활에 적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지속 가능한 에너지원으로부터 생산되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고 에너지를 공급함에 있어 밤과 낮의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Energy storage system)의 중요성이 매우 부각되고 있다. 이러한 대용량 전지 시스템을 우리의 일상생활에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켜야 한다.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에너지 밀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리튬 코발트 산화물 을 대체할 수 있는 소재로 상대적으로 에너지 밀도가 큰 Nickel rich 양극재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Nickel rich 양극재의 경우, Li+ 이온과 Ni2+ 이온의 반경이 비슷하여, Li 층으로 Ni2+ 이온이 치환되는 Cation disorder가 발생하게 된다. Cation disorder이 발생하게 되면 충/방전 과정에서 Li이온의 확산을 방해하여 저항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Cation disorder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양극재를 합성할 때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합성하고, 그 결과, 양극 입자 표면에 Li 불순물이 남게 된다. Li 불순물(impurity)은 충/방전 과정에서 분해되어 가스를 발생시켜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수명 및 안정성에 문제가 된다. 이에 Nickel rich 양극 제조 후 수세척을 통하여 Li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Nickel rich 양극재 표면에 존재하는 Li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한 수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영향을 규명하고 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동시에 MnSO4를 물에 용해시킨 코팅 용액을 이용하여 Nickel rich 양극재 표면에 존재하는 Li 불순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Mn(OH)¬2를 침전시키고 이 후 열처리 과정을 통해 Nickel rich 양극재 표면에 Li2MnO3 코팅층을 형성 및 제어함으로써 효과적으로 Li 불순물을 제거함 하면서 Nickel rich 양극재의 수명 특성과 율속 특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 모금활동에 있어서의 동태적 균형과 warm-glow의 영향

        정성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Giving behavior is the one of important factors in modern economics. However, technical approaches to the giving behavior have not been accomplished as its importance. Specially, fund-raising part, the demand side of giving behavior is just on elementary level.This thesis is for proposing a strategy that can raise fund more efficiently. We checked, first, whether the seed money from leadership group which is suggested by Andreoni(1998) can drive efficient fund or not, based on the Marx and Mattews’ model(2000). According to Andreoni, as long as a leader group donates more than a certain level, it is a Nash equilibrium that the public donates the rest of the money voluntarily. However, as we put the conclusion into Marx and Mattews’ model and extended to a dynamic surrounding, the seed money played no role unless donations make additional benefit jump at the last stage, where the fund is completed.A strategy this thesis suggests is to make a benefit jump using seed money. Namely, any fund-raisers can give incentive in that a leadership group will donate a certain amount of money provided that the public donates the rest of the money, then the seed money itself can play a role as a benefit jump so that Nash equilibrium can be accomplished.Another thing that we have analyzed is how the fund-raising strategy can be changed under the condition that people have warm-glow preference. If some people have warm-glow preference so that they donate money regardless of the size of direct benefit, fund-raisers can gather the money and use it as seed money, which means Nash equilibrium in fund-raising can be accomplished again by the same logic. 현대 경제학에서 기부행위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그러나, 기부행위와 관련된 학문적인 접근은 그 중요성만큼 이뤄지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기부의 수요측면인 모금(fund-raising)은 아직도 초보단계에 불과하다.본 논문의 목적은 보다 더 효율적이고 많은 액수의 돈을 모금하기 위한 하나의 전략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ndreoni(1998)가 제시한 전략인 리더그룹(leadership group)의 종자돈(seed money)이 실제로 효율적인 모금을 이끌어 낼 수 있는지를 Marx and Mattews(2000)의 모형을 토대로 검토하였다.Andreoni(1998)에 따르면, 리더그룹에서 일정액 이상을 기부하게 되면, 나머지 금액은 대중(Public)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채우는 것이 내쉬균형이다. 그러나, 그 결론을 Marx and Mattews의 모형에 넣어서 동태적인 상황으로 확장분석한 결과, 모금이 완성되는 마지막 기에서 추가적인 이윤의 점프가 발생하지 않으면 종자돈은 아무런 기능을 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마지막 기에서 추가적인 이윤의 점프가 없는 상황에서 종자돈이 그 역할을 해 내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전략은 종자돈을 활용하여 이윤의 점프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내자는 것이다. 즉, 종자돈은 대중 모금이 시작되기 전에 쓰지 말고, 대중들에게 일정액 이상 모금하면 종자돈으로 나머지 금액을 채우겠다는 식의 인센티브를 이 종자돈 자체가 이윤의 점프 역할을 해서 모금을 완성하는 균형을 달성할 수 있다.또 한 가지 검토한 것은 사람들에게 warm-glow가 있다면 모금전략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관한 것이다. 만약 사람들이 warm-glow를 가지고 있어서 자신에게 돌아오는 직접적인 이윤의 크기에 상관없이 기부를 한다면, 이 기부금을 모아두었다가 종자돈으로 활용할 수 있고, 따라서 같은 논리로 모금을 완성할 수 있다.

      • 보 이론을 이용한 복합재 풍력 블레이드의 구조해석

        정성훈 경상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s about structural analysis of composite wind turbine blade based on beam theory. The general idea of wind turbine blade including design process, coordinate system, material property, laminate plan, structural concept and load applications were studied to analysis wind turbine blade. The classical laminated plate theory, modulus weighted centroid and Euler's beam theory were investigated to get a section property and structural analysis of wind turbine blade. The calculated section properties and structural analysis results by the developed code were verified and compared with commercial structural analysis code, PATRAN as a pre/post processor and ABAQUS as a solver. Flapwise stiffness and deflection which is critical to wind turbine design showed good agreement with commercial software. However, there are some deviations in edgewise stiffness and deflection, especially in inboard section due to the geometrical shape. Stress results showed similar stress distribution tendency along the blade length as the commercial software but stress level had some differences.

      • 단백질 구조 정보를 활용한 서열-구조 관계 분석 및 응용

        정성훈 상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단백질의 3차원 구조는 해당 단백질의 기능과 역할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그러나 실제로 단백질 구조를 밝히는 과정은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통해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퓨전 프로 인슐린의 서열 정보를 이용하여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실험적 결과와 비교하여 인슐린 생합성 시 인슐린 수율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구조를 예측하여 당뇨병 치료에 기여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추가적으로, 동일한 서열임에도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들을 대상으로 원인 분석을 실시하여 단백질 구조 예측 시 구조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파악하였다. 퓨전 프로 인슐린은 재조합 단백질을 만드는 방법을 이용하여 N-terminal 지역에 서열을 추가하여 생성하였으며 총 13개의 퓨전 프로 인슐린을 이용하여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였다. 예측 된 퓨전 프로 인슐린 구조들을 이용하여 1ns 동안 MD(Molecular Dynamics)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 N-terminal에 10개의 서열(MTMITDSLAK)을 추가한 퓨전 프로 인슐린이 에너지 측면에서 안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실험 결과와 비교 하였을 때 N-terminal에 29개의 서열(MTMITNSPEISHHHHHHHHHHHQLISEAR)와 10개의 서열(MTMITDSLAR)을 추가한 퓨전 프로 인슐린 실험을 실시한 퓨전 프로 인슐린 중 가장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RMSD 값은 29개(MTMITNSPEISHHHHHHHHHHHQLISEAR), 14개(MTMITDSLAVVLQK), 6개(MTMITK)를 추가한 퓨전 프로 인슐린이 안정적으로 구조를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Gromacs를 이용하여 실시한 3ns 결과는 N-terminal에 18개(MTMITDSLAVVLQGSLQR), 10개(MTMITDSLAK)의 서열을 추가한 퓨전 프로 인슐린이 안정적으로 확인되었으며 29개의 서열(MTMITNSPEISHHHHHHHHHHHQLISEAR)을 추가한 퓨전 프로 인슐린은 1ns와 비슷한 에너지를 나타냈다. 트립신에 의한 퓨전 프로 인슐린의 절단을 확인하기 위해 InterEvDock을 이용하여 Docking을 실시한 결과 SOAP_PP score에서는 29개의 서열(MTMITNSPEISHHHHHHHHHHHQLISEAK)을 추가한 퓨전 프로 인슐린이 가장 좋은 결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FRODOCK score에서는 10개의 서열(MTMITDSLAR)을 추가한 프로 인슐린이 가장 좋은 결합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3가지 score를 종합하여 확인하였을 때 29개의 서열(MTMITNSPEISHHHHHHHHHHHQLISEAR)을 추가한 퓨전 프로 인슐린이 가장 안정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MD, Docking 실시하여 나온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29개의 서열(MTMITNSPEISHHHHHHHHHHHQLISEAR)을 추가한 퓨전 프로 인슐린이 상대적으로 다른 퓨전 프로 인슐린에 비해 안정적인 구조로 예측되어 높은 인슐린 수율을 나타낼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 후 퓨전 프로 인슐린 구조 중 하나의 서열 차이로 인해 다른 결과 값을 나타내는 것을 토대로 PDB(Protein Data Bank)상에 존재하는 단백질 중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들에 대한 원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구조를 가지는 단백질들을 대상으로 구조 정렬을 실시하여 얻은 RMSD 값 중 ≥4 Å에 포함되는 단백질들을 확인한 결과 단백질 간 구조 내 단백질 분자 내 결합한 이온, 분자의 차이 또는 유무와 아미노산 서열의 번화가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구조가 밝혀질 당시에 환경 조건에 따라 단백질 구조가 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도토리의 에어로스팅 조건별 항산화성분과 활성 및 감각기호특성

        정성훈 세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도토리를 열처리 가공방법 중 열 전달율이 뛰어난 에어로스터를 활용하여 다양한 시간과 온도조건: A(207℃, 60s), B(214℃, 90s), C(221℃, 165s), D(230℃, 220s)에서 처리한 도토리 추출물의 이화학 특성 및 항산화성분과 활성 변화를 조사하고, 감각기호특성을 조사하여 최적의 에어로스팅 조건을 탐색하였다. 도토리의 수분함량은 에어로스팅 처리를 하지 않았을 때 13.10%로 가장 높았고, 로스팅 강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여(p<0.05) D군에서 가장 낮았다(2.73%). 조단백, 조회분은 에어로스팅 강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p<0.05), 조지방은 에어로스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추출수율은 에어로스팅 처리하지 않았을 때 13.62%로 가장 낮았으며 에어로스팅 강도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환원당 함량은 A군(459.11 mg/g)이 가장 높았다. 도토리 열수 추출물(90℃, 10 min)의 pH는 5.69-5.91로 에어로스팅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당도는 에어로스팅 강도가 높을수록 유의적 증가하여(p<0.05) D군에서 가장 높았다(0.50 Brix°). 색도는 로스팅 강도가 높을수록 L(lightness)값은 감소하였고, a(redness), b(yellowness)값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총 폴리페놀과 탄닌 함량은 A군 142.02±2.06 mg GAE/g, 5.13±0.03 mg TAE/g 에서 가장 높았고 에어로스팅 강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반면에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D군(52.13 mg QE/g)이 가장 높았으며 에어로스팅 강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도토리 열수추출물의 항산화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다.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항산화활성을 검증한 결과 에어로스팅 강도가 가장 낮은 A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농도별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12.53-88.86%,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18.57-99.23%,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pH 1.2에서 16.60- 74.70%, 환원력은 0.240-1.680 이였다. 반면에 tyrosinase 저해활성은 로스팅 강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여 D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56.30%). 도토리 2 g을 90℃ 열수에서 5분간 추출하여 도토리차를 준비하고, 에어로스팅 강도별 기호도를 순위법으로 조사하였다. 세 가지 조건가운데 A군이 모든 기호도 항목에서 우수하였다(p<0.05). 이에 A군과 도토리말차에 대한 관능속성 및 기호강도를 비교한 결과 A군이 색, 떫은맛, 후미가 상대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서 종합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결론적으로 도토리의 항산화성분 및 활성의 우수성을 확인하였고, 에어로스팅 조건에 따른 환원당, pH, 당도, 색도의 변화를 알 수 있었다. 항산화활성과 함량은 207℃, 60s 에어로스팅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감각기호평가에서 에어로스팅 도토리 차는 높은 기호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최적화된 에어로스팅 조건에 대한 기초자료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에어로스팅 도토리를 여러 가지 식품 및 바이오식품 소재로 그 활용가치가 기대된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tioxidant components and activity changes of acorn extracts treated at various time and temperature conditions of A(207℃, 60s), B(214℃, 90s), C(221℃, 165s) and D(230℃, 220s) by using an air roaster with relatively greate heat transfer among heat treatment processing methods. In addition, it examined sense and preference characteristics to explore the optimum air roasting condition. The moisture content of acorns was highest (13.10%) without air roasting treatment, and decreased significantly(p<0.05) and lowest in group D(2.73%). Crude protein and crude ash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higher air roasting intensity(p<0.05),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fat by air roasting. The extraction yield was the lowest at 13.62% without air roasting treatmen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ir roasting strength. Reducing sugar content was highest in group A(459.11 mg/g). The pH of hot water extract from acorns(90℃, 10 min) was 5.69-5.91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air roasting. The sugar conten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higher air roasting intensity(p<0.05) and was highest in group D(0.50 Brix°). L(lightness) 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roasting intensity, and a(redness) and b(yellowness) values ​​increased significantly (p<0.05). Total polyphenol and tannin contents were highest at 142.02±2.06 mg GAE/g, 5.13±0.03 mg TAE/g in group A, and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ir roasting intensity(p<0.05). On the other hand, total flavonoid content was the highest in group D(52.13 mg QE/g) and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air roasting intensity(p<0.05). The antioxidant activity of hot water extract from acorns was concentration dependent.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nalyzed in various ways an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A which had the lowest air roasting intensity. That is,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12.53-88.86%,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18.57-99.23%,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16.60-74.70% at pH 1.2, and the reducing power was 0.240-1.680. On the other h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roasting intensity and was highest in group D(56.30%). 2 g acorns were extracted from hot water at 90℃ for 5 minutes to prepare acorn tea. Among the three conditions, group A was excellent in all preference items (p<0.05). The sensory characteristics and preference intensities of A group and acorn powder tea were compared and as the result, group A showed the highest preference in general because the color, acerbity and backwater of group A were significantly lower. In conclusion, the excellence of antioxidant components and activity of acorns were identified, and the changes of reducing sugar, pH, sugar content and chromaticity according to air roasting conditions were found. Antioxidant activity and content were the best at 207℃ and 60s air roasting, and air roasting acorn tea showed high preference in sensory and preference evaluation. Therefore, it could obtain basic data about optimized air roasting conditions, and it is expected that air roasting acorns will be utilized as various food and bio food materials.

      • EVA 및 거시경제변수와 주가간의 상관관계 분석

        정성훈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relevance of EVA and macroeconomic factors to stock market prices. Especially, this paper emphasize direct effects of macroeconomic factors(M2, Call-Rate, Dollar Exchange Rate and Producer Price-Index) to stock market prices, with multiple regression.Stock prices and EVAs are selected from listed companies which have been in operation between 1981 and 2003.Consequently I figure out that M2 and EVA have positive effects on stock prices. Moreover Call-Rate, Producer Price Index and Dollar Exchange Rate have negative effects on stock prices. However, Dollar Exchange Rate have turned to positive effect after opening domestic capital market. Generally Stock Prices are elucidated macroeconomic factors than EVA. 일반적으로 주식의 가격은 다양하고도 불확실한 여러 요인에 의해 결정될 뿐만 아니라 그 요인에 따라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정도도 매우 다양해 주가변동의 근원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러나 일반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주가는 본질적으로 당해 기업의 자산가치, 수익가치 등 본질가치를 중심으로 형성되며 이러한 본질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정보가 시장에 유입되어 당해 주식의 수급상황에 반영됨으로써 새로운 시장가격을 형성하게 된다. 기업의 내재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정보를 크게 거시적 정보(경제적 요인)와 미시적 정보(기업내적 요인)로 구분하는 경우 주가는 기업의 내적요인 못지않게 기업의 경영여건을 결정짓는 거시경제변수와도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게 된다. 본 논문은 거시경제변수의 변화가 시차를 두고 기업 가치에 영향을 주어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을 제외한 시장참여자들의 기대에 의한 주가에 대한 경제변수들의 동시적인 영향에 대해 분석해 보았다. 주가와 거시경제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한 대부분의 국내연구에서는 시차변수를 포함시킨 다중회귀분석모형이나 VAR 모형 그리고 VECM 모형 등이 실증분석에 사용되고 있다. 이는 주가와 거시 변수들 간에 아직 체계적으로 정립된 이론이 없다는 점을 나타내고 있다고 본다. 본 논문에서는 변수들의 안정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단위근 검정을 실시하고, 변수 간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이분산성 검정을 한 후에 다중 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변수들은 주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는 경제변수로 생산자 물가지수, 통화량(M2), 콜금리, 원달러 환율, 외국인 순매수 실적과 기업 내재가치를 나타내는 경제적 부가가치(EVA)를 변수로 사용하였으며, 개별 기업의 주가와 EVA는 1981년부터 2003년까지 영업을 지속했던 상장기업 148개사의 연도별 EVA와 연도별 경제변수들을 자료로 사용하였다. 전체 기간과 금융시장 개방 이전과 이후를 구분하여 3 기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M2와 EVA는 주가와 정의 관계를, 콜금리, 생산자물가지수, 대미환율은 부의관계를 보여주었다. 금융시장 개방 이후 대미환율은 정의관계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환차익을 고려한 자금 유출입이 미치는 부의 영향보다는 장기적으로 대외 수출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정의 효과가 금융시장 개방 이후에 보다 더 커진 것으로 해석 하였다. 경제적 부가가치의 경우 거의 모든 모형에서 전체 분석기간과, 금융시장 개방 이전에는 유의적이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모형 7에서 한기 앞의 경제적 부가가치만이 유의적인 정의 관계를 보여준다. 한기 앞의 경제적 부가가치와 현재기, 그리고 한기 전의 경제적 부가가치 중 금융시장 개방 이후에 가장 주가에 대한 영향이 큰 것은 현재의 경제적 부가가치이며, 다음은 한기전의 경제적 부가가치 마지막이 한기앞의 경제적 부가가치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기업의 내재가치보다는 거시경제변수들의 변화에 의해 주가 변화가 설명되고 있으며, 거시경제변수들 중에서는 물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내재가치는 금융시장 개방 이전에는 주가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못하다가 금융시장 개방 이후로 명백한 유의적인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