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공간의 열환경 특성과 효율적 제어에 관한 연구

        정성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민의식 및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편리나 안전이라는 기능적인 만족을 넘어 생활을 보다 쾌적하고 문화적으로 하고자 하는 욕구가 나타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경제적, 사회적 변화에 따라 외부조건에 영향을 받지 않고 쾌적한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스포츠나 이벤트 등의 행사를 진행할 수 있는 대공간의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의 대공간은 건설기술이 발달되어 감에 따라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기존의 실내에서 행해지는 일반적인 행사 이외에도 야구, 축구 등의 각종 실외 스포츠 경기를 개최하기 위해 대형화, 다목적화 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대공간의 다양한 행사에 적합한 실내온열환경조성을 위한 실내환경 제어기술 개발에 대한 요구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대공간의 실내온열환경 실측평가를 통하여 대공간의 열환경 특성과 분포상의 문제점을 정량적으로 파악하였으며, 국내외 주요 대공간에 대한 사례조사도 병행하였다.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효율적 대공간 설계를 위한 설계상의 유의점과 제어기술을 정리함으로서 향후 본격적인 국내 대공간 건설에 즈음한 설계지침으로 참조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코자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기존 대공간의 수직온도 실측데이터를 분석함으로서 경기장내 온도성층 발생정도와 영향범위 및 분포상의 문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로 인해 대공간은 운영유지측면에서 에너지 다소비형 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대공간 계획시 건물의 배치 및 형태에 의한 자연환기와 자연채광을 증대시키는 계획, 여름철 냉방부하 피크 컷을 위한 빙?수축열의 이용, 지중 덕트 및 열교환기를 통해 외기부하를 줄이는 방법 등 다양한 에너지 절약 계획이 반영되어야 한다. (2) 대공간의 객석온도 실측데이터를 분석함으로서 대공간 냉방시의 경우 낮은 곳에 위치한 가변형 객석은 상대적으로 높은 곳에 위치한 2층 객석부보다 비교적 낮은 온도분포를 나타내었다. 또한, 급기구 위치보다 높은 곳에 위치한 2층 객석상부의 경우 취출기류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 못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난방시의 경우는 가변형 객석과 2층 객석의 온도차가 5℃전후로 크게 나타났다. 이는 고온의 급기류가 취출직후 강한 부력에 편승하여 공간상부로 상승함으로서 하부 거주역의 온열환경조성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거주역의 분포상 문제를 해결하고 쾌적한 열환경 조성하기 위해서는 대공간 계획시 좌석취출 공조, 객석바닥 공조 등 거주역 공조 시스템의 적용과 관람객의 유무에 따른 영역별 냉난방제어가 고려되어야 한다. 3) 실측 대공간에 설치된 기류유인팬 작동에 따른 온도 분포를 분석한 결과 공간상부에 형성된 온도성층 완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선회류가 도달하는 영역에서는 상하온도차가 크게 경감하였다. 기류유인팬은 대공간 내부에 폭넓게 형성된 온도성층 완화에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거주역의 온도는 기류유인팬의 선회류 확산성상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사료되므로 대공간의 온도균일화와 냉난방 에너지 절약을 위해 기류유인팬의 배치 및 선회류의 확산성상, 운전조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4) 대공간은 넓은 천장면과 큰 용적의 형태적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유지관리 측면에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대공간 계획시 큰 면적의 천장면과 외벽면을 이용하여 자연채광과 자연환기를 도입함으로서 조명 에너지의 저감효과와 중간기의 냉난방 에너지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자연환기를 유도하여 하계실측에서 나타난 상부에 정체된 고온의 공기를 배출함으로서 하부 거주역의 열환경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5) 대공간의 난방설계시 고려할 점은 공간의 상하 온도차가 크게 나타나고 특히 낮은 곳에 위치한 경기장과 객석영역은 급격한 온도저하가 발생되는 것이다. 따라서 지붕과 벽면의 단열성능을 강화하여 외부의 냉기 침입을 최소화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한다. 사례에서와 같이 대공간 시설을 지하화 함과 동시에 천장면을 흙으로 덮어 천장 및 외주부 벽체의 단열성능과 열관류를 저감시킴으로서 난방 부하의 감소와 그에 따른 에너지 저감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난방시 온도 성층화에 의한 에너지소비를 줄이기 위해 대상공간에 직접난방을 공급하는 방식이 고려되어야하며 실측에서 그 효과가 평가된 기류유인팬을 사용하여 고온의 상부공기와 저온의 하부공기를 혼합하여 난방에너지를 절약하는 방안이 고려되어야 한다. 대공간의 냉방설계시 주요 냉방부하 요소로는 관객과 조명 등의 실내부하요소와 외부의 높은 온도에 의한 천정면과 외주벽에 발생하는 복사열이 있다. 이는 사례조사에서와 같이 별도의 자연환기 시스템과 연동하여 축적된 열을 방출함으로서 거주역 냉방에 최소한의 영향을 미치게 계획되어야 한다. 또한, 대공간은 하부영역에 거주역이 집중되어 있으므로 실내공간 전체를 냉방대상으로 하지 않고 냉기류의 부력을 이용하여 대상공간에만 기류흐름을 유도하는 공조 시스템의 적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As the citizens' awareness and living level have improved, the demands for more pleasant and cultural life, more than functional satisfaction, such as convenience or safety, have emerged, and these economical and social changes also have caused the need for Larger space to increase, in which sports can be played or events held in a pleasant environment with stability without being affected by outward conditions. Recently, the size of Large Space has been gradually enlarged, owing to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because they’re used not only for general indoor events, but also for various outdoor sports, for example, baseball or soccer, and it make them become Larger-sized and used for multiple purposes. Therefore, there are more demands for developing indoor environment control technology to establish indoor thermo-environment which is proper for different events held in Large Space.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heat environment and problems of the distribution of Large Space in quantity by the actually measuring the existing indoor thermo-environment of Large Space, and also researched the examples of main Large Space inside or outside of Korea. This study aims at offering some basic data which can be referred to as the construction guide for the full-scaled construction of Large Space in Korea afterwards, by arranging the matters to be attended to in designing, and controlling technologies for efficient Large Space design,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the followings. (1) When the existing actual data of vertical temperature of Large Space, actually measured, were analyzed, the degree of temperature layer development inside the stadium, the influence range and distribution problems can be sorted out. These problems cause Large Space to have the feature of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in terms of management and maintenance. Accordingly, when a plan is being made for Large Space, different energy saving plans should be included, such as the plan to extend natural ventilation and lighting by the allocation and forms of buildings, use of freezing?contracting heat for peak cut of air cooling load in the summer, decrease of external air load through in-the-earth duct and heat exchanger, and etc. (2) The analysis of the actually measured data of the temperature of seats in a Large Space revealed that the changeable seats located on the lower level had lower temperature, compared to the seats located on the second level, in case of Large Space air cooling. Also, the upper part of the seats on the second floor, located higher than the air supplier were proved not to be affected directly by the exiting air flow. On the other hand, in case of heating,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changeable seats and the seats on the second floor was big by around 5℃. This is because the fast air flow of high-temperature took a lift on the strong buoyancy and ascended to the upper part of the air right after exit, and therefore it didn’t work effectively to create a thermo-environment in the lower part of residence area. In order to solve these distribution problems of the residence area and to create more pleasant thermo-environment, during planning a Large Space, the application of the mutual assistance system of residence area, such as mutual assistance for seat exit and the seat floor, and heating and cooling control of each area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audiences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3) The analysis result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air flow inducement fan, set up in Large Space, proved that they worked effectively to decrease temperature layer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air, and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s dropped a lot in the area where circling flow reached. Since it was confirmed that the air flow inducement fans were functioning to ease the temperature layers formed broadly inside the Large Space, and since it seemed like the temperature of residence area was affected by the air flow inducement fans' circling flow diffusion, follow-up researches are necessary on the arrangement of air flow inducement fans, circling flow diffusion, and operating conditions, in order to make the temperature in Large Space even and to save energy for heating and cooling. 4) The features of the shape of Large Space, wide ceilings and big capacity, make it difficult to manage and maintenance it. Therefore, when Large Space is being designed, natural lighting and ventilation, using the big-sized ceiling and outside walls, can be introduced for the effect of saving lightning energy and cooling and heating energy. In addition, it’s expected that natural ventilation can be induced, which will help emit the hot air staying in the upper part, which was checked in the actual measurement, and the thermo-environment of the lower part of the residence area can be improved. 5) Another consideration for the designing of heating of a Large Space is that the vertical temperature difference of the space is big, and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drops sharply at the stadium and seats located in the lower part. Accordingly, the way to minimize the intrusion of cool air from outside needs to be considered by strengthening the insulation function of roofs and walls. As the examples show, when the Large Space facilities are built underground, and simultaneously, when the ceiling is covered with soil, and therefore when the insulation function and heat pipes of the ceiling and external wall are decreased, it can be expected that the heating load also decreases, and energy can be saved. Furthermore, the method to supply heating directly in the object space to save energy spent by thermal stratification in heating, and the measures to save heating energy by using air flow inducement fan, whose effect has been proved by actual test, and by mixing the hot upper part air and the cool lower part air, also have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Main cooling load elements in case of cooling design of a Large Space are indoor load elements, such as audiences and illumination, and the radiant heat generated on the ceiling and external wall caused by high outside temperature. In relation to this, it should be designed that the influence on the cooling of the residence area can be minimized, by interlocking a separate natural ventilation system, and by emitting the accumulated heat, as the example researches display. Besides, because the lower part of Large Space is centered on the residence area, the application of mutual assistance system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where cooling is not for all indoor space, but only the air flow is induced only for the target space using the buoyancy of cool air flow.

      • 무용전공 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공연자신감의 관계

        정성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무용전공 학생들이 자신의 신체만족도가 무대 공연상황에서 개인차 변인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규명하고, 무용전공 학생들이 신체만족도와 공연과제에 대한 자신감과의 구체적인 상호관계를 파악함으로써, 공연의 최상수행에 필요한 최적의 심리상태를 알아보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첫째, 배경적 특성과 신체만족도의 관계, 둘째, 무용성취 · 무용참가와 신체만족도의 관계, 셋째, 무용성취 ? 무용참가와 공연자신감의 관계 , 넷째, 배경적 특성과 공연자신감의 관계, 다섯째, 신체만족도와 공연자신감의 관계 간의 인과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신체만족도와 공연자신감에 관련되어 있는 여러 요인들의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이 연구는 신체만족도를 독립변인으로, 공연자신감을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배경변인으로 개인적 특성, 인지된 무용능력, 중요타자의 지원을 설정하였으며,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관계에 개입하는 의미 있는 매개변인으로 무용성취와 무용참가를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각 대학의 무용수업 시간 및 무용발표회의 공연에 참가한 무용전공 학생들을 조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설문 조사에 참가한 학생수는 총 340명이 표본으로 수집되었다. 수집한 자료 중 무응답 내용이 10문항을 넘는 응답자 20명의 표본은 분석 시 제외하여 최종적으로 자료 분석에 사용된 인원은 총 320명이었다. 수집된 자료 중 분석 가능한 자료를 이용하여 신체만족도가 배경변인, 무용성취, 무용참가,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얻어진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특성, 중요타자의 지원은 신체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인지된 무용능력은 신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성취와 무용참가는 신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성취와 무용참가는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적 특성 중 부모의 교육수준, 가정수입은 공연자신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된 무용능력은 공연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요타자의 지원 중 부모의 관심과 친구의 관심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신체만족도는 공연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지된 무용능력과 신체만족도는 공연자신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결론을 종합하여 보면 공연상황에서 자신감은 무용전공 학생들의 신체만족도와 무용성취, 무용참가 변인들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무용입상 횟수나, 무용경력이 많은 학생일수록 공연 시 무대에서의 자신감도 높다. 한편, 인지된 무용능력 수준이 높을수록 신체에 대한 만족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공연자신감 또한 높게 나타나 공연자신감에는 인지된 무용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how one's physical-contentment and stage confidence can be influenced to one's performance of a dance and to investigate what mental factors can make one's dance ability maximize.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parts: 1.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background and physical-contentment, 2.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the number of given prizes and participation of performances) and physical-contentment, 3.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physical-contentment and stage confidence, 4.the relationship between one's background and stage confidence, 5.the relationship among the all the factors above. For this study, 320 students (originally,340, however, those who didn't give answers more than 10 questions were not counted) whose major were in dance or had performed on the stage were asked to answer some sampling questions to analyze how physical-contentment, one's background and stage confidence can be influenced in one's performance. From the collected data, I analyzed how physical-contentment can have an effect on one's background, career( the number of given rizes and participation of performances), and stage confidence. On the basis of the results analysed,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ings; 1. Their age, family′s income, parent′ job, and perceived dance abilities don′t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Physical-contentment. 2. The more they won the prizes and participate performances, the higher they can get stage confidence. 3. Physical-contentment is significant positively in stage confidence of students. 4. Sex, age, parents′ job, and perceived dance abilities has significantly influences on stage confidence. Parents′ and friends′ concern can give positive affect to students. 5. There were significant causal relationships among physical-contentment and stage confidence of students.

      • 미술과 수업에서 자화상 그리기 지도방안 연구 :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정성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입시경쟁 속의 고등학교 학생들은 ‘나는 누구인가?’ 라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자문할 여유도 없이 살아간다. 이로 인해 가치 판단력이 흐려지고 자신이 진정 무엇을 원하는가에 대한 자기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다. 청소년기인 고등학생들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과 내면적 갈등이 높아지는 시기로써 인격형성에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따라서 이시기의 미술교육은 자신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도록 접근과 방법이 필요하다. 이런 미술활동 중 자화상 그리기는 마치 일기를 적는 것과 같이 자기반성과 함께 여러 화가들에 의해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져 왔으며 미술과 수업에서는 위와 같은 맥락에서 지도하고자 하였다. 현행 미술과 수업에서 자화상은 인물묘사의 사실적인 관찰에 의한 표현을 중시하고 있어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자기표현이 결여될 가능성이 크다. 이런 문제를 본 연구는 의미 있는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삼고자 ‘미래의 자화상그리기’를 제시해 보았다. 자신의 모습과 미래에 대한 상상을 그리는 미래의 자화상 그리기는 청소년기 학생들의 자아정체감 확립과 함께 긍정적인 가치관 형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지금까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화상의 대표적인 작가들의 작품 감상수업이 이루어졌으며, 막연할 수 있는 작품의 계획을 마인드맵(Mind map)을 제시 하여 자기표현에 있어서 보다 쉽고 자신감을 갖고 접근하도록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자기 탐색과 막연하게 느껴졌던 자신의 내면을 시각적으로 구조화 시킬 수 있는 시간을 마련하였다. 또한 사실적인 인물묘사 위주의 수업이 아닌 다양한 재료와 기법을 활용한 개성적인 자화상을 제작하도록 하여 흥미와 적극적인 미술활동 참여의 기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표현과정 후에는 자신이 그린 자화상에 대한 감상과 함께 느낀 점 등을 발표함으로써 서로에 대한 이해가 더욱 깊어지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미술의 근본적인 목적을 조화로운 인간의 성장을 돕고, 의미 있는 자기표현의 수단으로 삼고자 했다. 자화상 그리기를 통하여 표현의 즐거움뿐만 아니라, 미래의 상상을 통해 자신을 되돌아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생각되며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긍정적이며 건전한 가치관 형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These days, high school students in the competitive entrance examinations have lived without being able to afford to ask themselves their own identity, 'Who am I?' As a result of this, it is the actual circumstances that students are increasingly losing their judgement and have a lack of self-awareness on what they really want. High school students belong to adolescence when they have the increasing inner conflicts and feelings of uneasiness about their future. This period is the very critical one for the formation of character. Therefore, art education in this period require the approaches and ways for students to have a correct awareness of themselves. Of all these art activities, drawing a self-portrait has been treated as one of the important materials by many artists, with self-reflection, just like writing a diary. In lessons in art, students will be guided in the above-mentioned context. In existing art lessons, there is the strong possibility that a self-portrait will have a lack of the creative and unique self-expression because it attaches importance to the expression by actual observation in representing a human figure. To regard this problem as a means of self-expression, this study presented 'drawing a future self-portrait.' It is thought that drawing a future self-portrait which draw one's own figure and imagination about one's own future can help students in adolescence form positive values as well as establish their self-identity. Until now, students have taken lessons in appreciating works by the representative self-portrait artists in order to attain the objects of this study, and they have been enabled to have confidence and approach self-expression more easily by presenting the mind map for plans for works that may be vague. This study prepared the time for students to visually structuralize self-inquiry and the inside of their own which was felt vague through this course. Moreov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have students draw their own unique self-portrait utilizing a variety of materials and techniques rather than represent a human figure realistically to provide them with the interest in art and the opportunity to take part in art activities actively. They were enable to have the deepe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by presenting the things they felt, along with the impressions of a self-portrait they drew on their own after the expression process. This study tried to regard the fundamental objects of art as a means of helping the harmonious growth of humans and expressing themselves. It is thought that drawing a self-portrait will serve as the momentum of reflecting on oneself through imagination about one's future as well as feeling the pleasure of expression. Also, it seems that it will have an effect on the positive and sound formation of values at present and in the future.

      • 주민자치센터 운영 현황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정성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민자치센터가 주민참여 부족과 지역별 획일성, 그리고 주민자치위원의 인식 부재로 인하여 원래의 설치 목적인 주민참여의 활성화를 통한 자치의식 및 공동체의식의 향상이라는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과연 본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어떤 문제들이 개선되어야 할 것인가를 탐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주민자치센터의 특성을 조사하고 도출된 요인들과 주민자치센터의 긍정적인 역할에 대한 기대수준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이들 간의 영향관계를 도출함으로써 어떤 요인이 주민자치센터의 긍정적인 역할에 실질적으로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형성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주민자치센터 순기능에 대한 기대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자치회관 향후 이용 여부와 동 특화프로그램 인지도, 주민자치위원회 대응성, 학력이 유의미한 변수로 확인되었으며, 자치기구의 필요성과 기능성, 주민자치센터 이용 경험 여부, 주민자치위원회 인지도 및 자치위원 구성의 투명성과 공정성 등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 못하고 있음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 주민자치센터가 주민간의 교류와 만남의 장을 제공하고 주민간의 공동체 의식을 향상시키는 구심체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주민자치센터 이용자들의 만족도 수준 향상과 주민자치위원회 의사결정 과정에서 적극적인 주민 의견 수렴 및 주민자치능력 제고를 위한 동 특화프로그램 운영이 중점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제기된 주민자치센터 개선 방안에 대한 주민들의 우선순위를 분석한 결과는 주민자치센터 기능 재정립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관련 주민의견 조사 실시, 주민자치위원회 구성기준과 선출방법 개선, 자치활동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이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사항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주민자치센터의 기능정립과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이용자인 주민들의 인지도 및 만족도의 제고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과제임을 확인하고 있으며, 또한 나열식으로 제안되어왔던 개선방안의 우선순위를 주민들의 인식을 통해 조명함으로써 향후 정책방향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한국의 공항슬롯(Slot)정책개선에 대한 연구 : 항공종사자 및 전문가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정성진 한국항공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airline industry is temporarily faltering due to the corona virus pandemic, the demand for air travel, which has been suppressed, is expected to explode if mass immunity through vaccination becomes a reality. On June 17, 2021. Incheon International Airport began the era of four runways. As the number of runways increases, airport capacity will increase, but the peak capacity will still be limited. Therefore, it is time to improve airport capacity through improvement of slot policy because it is not possible to expand the capacity of airport facilities indefinitely, although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apacity of airport facilities.- 86 - With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 not providing unified guidelines for slots,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IATA), a collection of airlines, has established a slot guideline to classify airports around the world as level 1, 2, and 3 airports. However, the increase in air traffic initiated by the U.S. Open Sky policy to leave air transportation to supply-demand-based market functions has made it difficult for new airlines to enter due to existing airline vested interests. As a result, the UK, the US, and Europe began to introduce a market mechanism system, and the study found that slot exchanges and slot transactions led to a dramatic increase in supply seats, which in turn helped stable airport operations around the clock. An important fact that can be found in the literature study of this paper is that it is time to change.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s (IATA) slot guidelines and European Union regulations 95/93 were both created before air transport liberalisation was activated and airports became as congested as they are now. Since then, a large number of new entrants, including low-cost airlines, have entered the market with new business models, lowering air travel prices, and increasing passengers significantly. Existing operators have also been able to operate more efficiently, partly thanks to alliances, mergers, and joint venture businesses. Despite these many changes, we are still facing the year 2030 with a vested slot policy that was established 28 years ago. Theref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o keep pace with international trends, rather than just complacent with existing guidelines, this researcher proposes that Korea's airport slot allocation and coordination procedures are as follows. As 87.6% of the surveyed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improvement in slot policy and agreed with the introduction of congestion pricing, slot trading, and slot lease schemes, they propose to change policies so that slots can move efficiently. 87.6% of the surveyed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to improve their slot policy and supported the introduction of congestion pricing, slot trading, and slot lease systems. In particular, I propose the introduction of Congestion Pricing for stable airport operation through air traffic mitigation in peak hours. 공항은 특성상 매시간 많은 항공기가 진·출입한다. 그 중 제3종 공항이 라는 혼잡 공항은 주기장 부족 등 시설용량 부족이나 기상악화 등 비정상 상황 발생 시 항공기 운항이 제한됨에 따라 에어사이드 혼잡도가 극에 달 하기도 하여, 슬롯정책 개선이라는 주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인천공항 제2터미널이 개장하기 전 2017년 상반기 슬롯 초과운용 횟수 는 82회에 달해 항공기 지연운항이 일상적으로 발생하는 것을 보고 정책 의 문제인지 운영절차의 문제인지에 대한 의문점을 가지게 되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 세계에 180개의 제3 종 슬롯통제공항이 존재하는데 그중 50곳이 아시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고 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로 가동되는 항공기 운항 특성상 각 국가의 슬롯정책은 타 혼잡공항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전반적인 검토와 연구가 필요하 다. 현재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슬롯에 대한 통일된 지침을 제시하 지 않는 상황에서, 유럽연합은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에서 수립한 슬롯 가이드라인(WSG)을 초안으로 1993년 유럽위원회 슬롯규정(EEC No 95/93)을 공표하여 유럽공항 및 전 세계 공항의 비행지연을 합리적인 수 준으로 억제하는 데 활용하여 왔다. 그러나 이 제도는 항공교통량이 혼잡 하지 않을 때 설계된 모델이라 2000년대 들어 항공교통량이 대폭 증가한 현 상황을 반영하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슬롯배정시스템의 기득권 조항이 저비용항공사들에 대해 기존 항 공사에 유리하게 작용해 항공사 간 경쟁을 억제해왔다. 그로 인한 해결책으로 영국, 미국, 유럽의 항공선진국들은 시장 친화적 시스템 도입을 시작하였고, 가장 먼저 시작한 런던 히드로 공항은 모범적 으로 시장 매커니즘적 시스템을 도입하여 안정적으로 활용하고 있어 슬롯 정책의 발전방향을 유추해 볼 수 있다. 영국의 경우 정부 주도로 슬롯을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독립법인인 ACL(Airport Coordination Limited)에 의해 슬롯조정을 담당하게 함으로 써 투명성과 공정성을 기하고 있다. 또한 슬롯의 이차거래(Secondary Trading)을 허용하여 슬롯의 교환, 매 매, 리스(lease) 가능하도록 ACL의 웹포탈 "slottrade.aero"를 개설하여 슬 롯거래완료 정보와 각 항공사 간 한 주간 거래된 슬롯의 수 등 구체적 정 보를 제공 함으로써 모든 이해 관계자가 쉽게 슬롯에 접근하도록 하여 각 항공사 별 최적화된 슬롯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영국 민간항공국(CAA)에 따르면, 2016년 런던 히드로공항의 경우 슬롯 풀(pool)에는 22개의 슬롯만 있었지만, 이차 거래시장의 활성화로 10배인 224개의 슬롯이 거래되었다고 한다. 미국의 경우 대부분의 공항은 공역의 제한이 없는 관계로 선착순 (First-come, First-served)기반으로 공항접근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뉴욕 JFK, 뉴왁(Newwark) 공항 등 소수의 공항만 제3종 공항으로 지정되어 있어 영국처럼 활성화 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연방항공청 (FAA)도 Buy&Sell 규칙을 수립하여 적용하여 왔고 슬롯경매 제도 도입 을 추진하는 등 이차거래제도 도입에 적극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항공선진국들은 선제적으로 시장 매커니즘 적 시스템을 도입하여 실증적으로 운용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우리나 라도 곧 도래할 메가 교통량 시대를 대비하여 기존의 기득권 슬롯과 더불 어 시장매커니즘적 시스템 도입을 주장하고자 항공종사자 및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그 선호도를 조사한 후 발전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조사결과, 설문대상자 중 87.6%가 슬롯정책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 였다. 세부 변수로 혼잡가격제, 슬롯매매, 슬롯리스 제도 도입에 찬성하는 지 문의한 결과 제도 개선을 하자는 응답이 다수의 의견으로 나타났으므 로, 기득권 및 슬롯 풀(pool)제도를 기반으로 하고, 슬롯 교환, 양도, 매매, 리스 제도와 혼잡가격제(Congestion Pricing)를 도입하여 슬롯의 24시간 고른 분산효과를 이끌어 내고 효율적이고 안정적 자원관리를 통한 슬롯정 책이 도입되길 기대해 본다.

      • 가상 공간으로 나타낸 초현실적 표현 연구

        정성진 성신여자대학교 문화산업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도시의 공간을 해석하고 3차원 그래픽 기반의 가상 공간에 재구성하는 과정을 다룬다. 공간을 바라보는 인식과 태도가 무의식을 거쳐 꿈의 공간에서 재현되는 과정을 초현실주의적 표현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도시의 건축물과 구조를 바라보고 이를 카메라를 통해 기록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다시 응시하는 과정에서 말로 설명하기 어려운 주관적이고 감정적인 푼크툼 이미지를 발견했다. 본인은 그러한 마음속 울림의 원인을 도시의 삶과 거주형태, 공간과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심리적 요인으로 파악하였다. 과거의 기억과 감정들은 무의식 안에 억압되어 있다가 꿈을 통해 해방되며 심리적 공간으로 구현되었으며, 이러한 꿈의 공간을 해석하기 위해 초현실주의자들이 주로 사용했던 자동기술법이나 데페이즈망, 그리고 살바도르 달리의 편집증적 비평 방식을 도입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공간을 해석하고 초현실적인 가상의 세계를 구축하는 과정을 작업의 동기와 제작 과정 및 표현 효과에 집중하여 크게 세 단계로 분류하고 있다. 먼저 도시의 삶 속에서 본인과 연관된 도시의 건축물과 구조를 바라보고 본인만의 장소를 발견하며 이를 기록한다. 그 과정에서 기능과 역할에 따라 제도화된 공간을 개인의 관점에서 무관심하고 낯선 시선으로 바라보며 이는 푼크툼 이미지의 발견으로 연결된다. 그러한 심리적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요소들을 찾아내고 데페이즈망의 방법론에 따라 원래의 공간에서 이탈하고 변화시키며 새로운 방식으로 배치한다. 다음으로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새롭게 배치된 이미지를, 가상 공간 위에 3차원 그래픽 기반의 모델링 데이터로 재구성한다. 현실의 구조와 공간은 디지털 데이터로 옮기는 과정에서 감정과 태도가 결합하여 낯설고 환상적인 꿈의 공간으로 변형된다. 마지막은 가상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현실의 물리적 조각의 형태로 재구성하는 과정이다. 가상 공간은 스크린의 프레임을 통해 제한된 이미지와 영상으로 표현되지만, 조각은 현실 공간과 관객과의 관계를 고려한 새로운 방식의 미장센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조명에 의한 빛과 그림자의 효과를 강조하였다. 가상 공간에 구현된 초현실적 세계는 무의식의 세계를 파악하기 위해 불필요한 요소들이 제거되었으며, 낯설고 이질적인 관계들의 집합으로 구현되었다. 본인의 욕망과 감정이 투영되어 복합적인 성격을 가지게 된 새로운 가상의 세계는, 현실이 가진 리얼리티를 덜어낸 다소 가볍고 유동적이며 불안정한 형태로 드러나며, 무의식의 탐구를 통해 현실을 대안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분석하며, 보이지 않는 도시 공간의 이야기를 표현하고자 한다.

      • 전신마사지가 광선요법 중인 신생아의 경피 빌리루빈치, 수유량, 배설상태에 미치는 영향

        정성진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전신마사지가 광선요법 중인 신생아의 경피 빌리루빈치, 수유량, 배설상태에 미치는 영향 정 성 진 지도교수 : 박미경 간호학박사 남부대학교 보건경영대학원 간호학과 본 연구는 간호사가 광선요법 중인 신생아를 대상으로 전신마사지를 적용하고 신생아의 경피 빌리루빈치, 수유량 및 배설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설계를 활용한 유사실험설계이며, 연구기간은 2016년 6월 14일부터 2016년 10월 20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시 소재 일개 산부인과병원 신생아실에 입원하여 광선요법을 하는 신생아로, 선정기준에 적합한 실험군 16명, 대조군 17명으로 총 33명이었다. 실험처치기간 동안 두 집단은 모두 광선요법과 일상적인 간호를 제공받았으며, 실험군에게는 간호사가 전신마사지를 하루 2-3회, 1회 10분 정도, 2일 동안 총 5-6회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경피 빌리루빈치(이마, 서혜), 수유량, 배설상태(소변량, 배변횟수)를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PC+ 21.0 for Windows program을 사용하여 전산통계 처리를 하였으며, Kolmogorov-Smirnov test, x2-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를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 가설 1‘전신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경피(이마, 서혜) 빌리루빈치가 낮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신생아 이마에서 측정한 경피 빌리루빈치는 입원 2일째와 입원 3일째의 결과에서 두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서혜에서 측정한 경피 빌리루빈치는 입원 2일째(t=-1.76, p=.044)와 입원 3일째(t=-2.60, p=.007)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측정치가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가설 1은 부분 지지되었다. ∙ 가설 2‘전신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수유량이 많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수유량이 많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어 가설 2는 기각되었다. ∙ 가설 3‘전신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배설상태(소변량, 배변횟수)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중 부가설 1인 ‘전신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소변량이 많을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소변량이 더 많았으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어 부가설 1은 기각되었다. 부가설 2인 ‘전신마사지를 제공받은 실험군은 제공받지 않은 대조군보다 배변횟수가 증가할 것이다.’를 검증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배변횟수가 입원 2일째에 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며, 입원 3일째(t=2.46, p=.001)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더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서 부가설 2는 부분 지지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광선요법 중인 신생아에게 제공된 전신마사지는 신생아의 서혜 경피 빌리루빈치를 낮추고, 배설상태 중 배변횟수에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전신마사지가 신생아의 혈액순환을 도모하여 빌리루빈 배출을 도모하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광선요법 중인 신생아에게 전신마사지를 제공하는 것은 신생아의 황달 치료를 위한 간호중재로 적합하다는 근거를 일부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요어 : 신생아, 광선요법, 마사지, 빌리루빈, 배설

      • 냉간 변형-재결정을 이용한 p-형 Bi-Sb-Te 열전 반도체 제조 공정

        정성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근래에 맞이할 에너지 고갈 위기에 대처하기 위해, 현재 대체 에너지 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중 폐열을 이용한 열전 발전 기술은 신재생 에너지 기술 개발 수요와 맞물려 신에너지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Bi-Te계 합금은 다양한 열전 재료 중 상온 영역에서 가장 우수한 열전 특성을 가지며, 그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오랜 기간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실용화된 열전 소자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열전 소재의 열전 특성을 향상 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한 열전 재료를 합성하는 방법으로는 단결정 성장, 이종 원소 첨가, 분말 소결법 등이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을 이용해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최근에는 나노 분말을 소결하여 나노 구조를 가진 열전 재료를 제작하여 열전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하였다는 보고가 발표되고 있다.나노 구조체를 가진 벌크 열전 소재를 제작하는 방법은 나노 분말을 제작한 후 가압 소결이나 SPS (Spark Plasma Sintering)법을 이용하여 그 분말의 나노 구조를 유지하면서 결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고온에서 짧은 시간 동안 소결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므로 재료의 생산 단가가 상승하고, 나노 분말을 제작하는 과정에서 재료가 쉽게 산화되며 이물질의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환경오염 가능성도 매우 높아지게 된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벌크 형 열전 재료 합성에 대한 새로운 공정이 필요하다.본 연구에서는 냉간 변형된 재료를 열처리하였을 경우 회복 및 재결정이 일어나는 현상을 착안하여, 이를 p-type (Bi,Sb)2Te3 열전 재료에 적용하여 저온에서의 분말의 소결 가능성과 물성 변화의 거동을 파악하였다.Bi-Sb-Te를 적정 조성으로 잉곳을 제작 후 0 회에서 최대 20 회의 냉간 변형을 하고 저온에서 열처리를 하였다. X-선 회절 분석법(XRD)과 후방 산란 회절 분석(EBSD) 법을 이용하여 미세구조를 관찰하였을 때, 기존의 공정보다 비교적 낮은 저온에서 열전 물질의 합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냉간 변형 과정에서 발생한 인자들을 파악하여 열처리 시 미치는 영향을 예측하고, 열처리 시 재료의 열적, 전기적 특성과 미세구조의 변화를 분석하여 열전 특성과 미세구조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열전 물성을 분석하였을 때, p-type 22.5 %Bi2Te3? 77.5 %Sb2Te3를 10 번 변형한 후 300 °C 에서 열처리를 하였을 경우, 성능지수가 3.0 x 10-3/K으로 기존의 공정으로 제작한 열전 재료의 열전 특성과 대등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궁극적으로 열전 재료에 인위적으로 내부에너지를 인가하여 열처리하는 방식으로 저온 결정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저온 결정화 방법이 나아가 이종 원소 첨가에 의한 모상과의 계면 형성을 최소화하며 저비용, 고효율의 열전 재료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