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Program Annotation : D. Scarlatti 『Sonata K. 380』, 『Sonata K. 141』 L. v. Beethoven 『Sonata No. 21 in C Major, Op. 53』 F. Chopin 『Andante Spianatoet Grande PolonaiseBrillante, Op. 22』 L. Liebermann 『Gargoyles, Op. 29』

        정서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본인의 석사 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연주 프로그램인 D. Scarlatti의 『Sonata in E Major, K. 380 / L. 23』, 『Sonata in d minor, K. 141 / L. 422』, L. v. Beethoven의 『Piano Sonata No. 21 in C Major, Op. 53』, F. Chopin의 『Andante Spianato et Grande Polonaise Brillante, Op. 22』, 그리고 L. Liebermann의 『Gargoyles, Op. 29』에 대해 각 작곡가의 생애와 작품에 대해 그 배경과 특징을 연구한 것이다. 도메니코 스카를라티(Domenico Scarlatti, 1685–1757)의 『Sonata in E Major, K. 380』은 2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페르마타(fermata)가 사용된 서주부를 포함하고 있어 서주부를 지닌 2부 형식이라고 볼 수 있다. 『Sonata in d minor, K. 141』는 전형적인 2부 형식의 곡으로 스페인의 기타 주법 요소가 잘 드러난 작품이다. 이 작품의 리듬은 스페인 춤곡인 사파테아도(Zapateado)와 폴로(Polo)를 연상시킨다. 루드비히 반 베토벤(Ludwig van Beethoven, 1770-1827)의 『Sonata No. 21 in C Major, Op. 53』은 3악장으로 이루어진 중기 소나타이다. 제 1악장은 고전시대의 전형적인 소나타 형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느린 3부형식의 제 2악장은 론도인 제 3악장으로 휴지 없이 연결되는 특징을 보인다. 이 소나타는 이전에 작곡되었던 작품에서 볼 수 없었던 화려한 기교와 방대한 규모로 만들어졌고, 낭만주의 양식의 요소를 예견하는 중요한 작품이다. 프레데릭 쇼팽(Frédéric Chopin, 1810-1849)의 『Andante Spianato et Grande Polonaise Brillante, Op. 22』는 성격이 다른 ‘Andante Spianato’와 ‘Polonaise’의 두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쇼팽의 아름답고 서정적인 선율과 폴로네이즈 리듬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다. 쇼팽은 전통적인 장르와 다양한 폴란드의 민속 춤곡 양식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음악 세계를 구축하였다. 로웰 리버만(Lowell Liebermann, 1961- )의 『Gargoyles, Op. 29』은 화려하고 기교적인 테크닉과 급격하게 변하는 다이나믹들이 많이 나타난다. 제 1번과 제 4번 곡은 빠른 템포의 리듬과 급격한 악상 변화로 기교적인 성격이 나타난다. 제 2번과 제 3번 곡은 느린 템포로 안정적이게 진행되며, 인상주의 음악에서 즐겨 쓰는 반음계와 온음계, 병행 3도와 병행 8도, 페달 포인트 등이 나타난 『Gargoyles, Op. 29』은 리버만이 추구하는 리듬과 화성을 적절히 사용하였고 음악적 아이디어가 함축적으로 잘 표현되어 많이 연주되는 작품이다. This thesis studies the program of my graduation recital for master’s degree. The program includes D. Scarlatti’s 『Sonata in E Major, K. 380 / L. 23』, 『Sonata in d minor, K. 141 / L. 422』, L. v. Beethoven's Piano Sonata No. 21 in C Major, Op. 53』, F. Chopin's 『Andante Spianato et Grande Polonaise Brillante, Op. 22』, and L. Liebermann's 『Gargoyles, Op. 29』. This program annotation entails the life of each composer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works. Domenico Scarlatti’s(1685-1757) 『Sonata in E Major, K. 380』which is in two-part form has a lyrical and elegant melody. 『Sonata in d minor, K. 141』which uses the Spanish rhythmic elements is in two-part form. Ludwig van Beethoven’s(1770-1827)『Sonata No. 21 in C Major, Op. 53』is a middle period sonata consisting of three movements. The first movement is composed of typical sonata form in Classical period. The second movement is characterized by slow three-part form that introduces to the third movement without pause. This sonata was composed in brilliant techniques and massive scales, which could not be found in Beethoven’s previous works. In addition, it is a very important position to link between Classical style and Romantic style. Frédéric Chopin’s(1810-1849)『Andante Spianato et Grande Polonaise Brillante, Op. 22』 consists of two parts, 'Andante Spianato' and 'Polonaise', with beautiful, lyrical melodies and Polonaise rhythms. Chopin built his own music world based on traditional genres and Polish folk dance styles. Lowell Liebermann (1961-) shows brilliant, artistic techniques and dynamic changes in 『Gargoyles, Op. 29』. This work is consisting of four pieces. The first and the fourth works have rapid tempi, repeated rhythms and sudden changes of dynamics. The second and the third works express the impressionistic mood via slow tempo, harmony based on modal scales, chromaticism, and the texture caused by pedal point. Liebermann created the best work by skillfully combining the rhythm and harmony.

      • 半夏厚朴湯이 학습된 무기력 생쥐의 우울 증상 개선에 미치는 영향

        정서윤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631

        半夏厚朴湯이 학습된 무기력 생쥐의 우울 증상 개선에 미치는 영향 정 서 윤 동신대학교 대학원 한의학과 (지도교수 김경옥) 목적 노력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으로 실패를 경험하면 만성적인 무기력 상태에 빠지게 되는데, 무기력에 빠진 사람들은 새로운 상황에 도전을 하지 않으며 무관심과 흥미 저하를 보이는 등 우울증과 유사한 증상들이 생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학습된 무 기력 상태를 개선하기 위한 약물로 칠정상 등으로 인한 정서불창에 사용하는 반하 후박탕을 선정하여 우울 증상으로서의 무기력 상태 개선에 대한 효과와 그 기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쥐를 회피할 수 없는 전기자극에 노출시켜 학습된 무기력을 유발시켰으며 반하후 박탕의 효과를 검사하기 위해서 반하후박탕 열수추출물(Banhahubak-tang extract, BHT) 투여 후 회피할 수 있는 전기자극에 노출시켜 이에 대한 쥐의 능동적 회피 능력을 평가하였다. 이 외에도 Western blot analysis와 Immunohistochemistry를 통해 BHT의 작용 기전을 연구하였고,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 분석을 통해 BHT 의 항산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결과 BHT는 학습된 무기력 쥐의 무기력 패턴을 농도 의존적으로 개선시켰으며, 이는 양성대조군인 이미프라민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Immunohistochemistry 결과, BHT를 투여한 학습된 무기력 쥐의 해마에서 신경 재 생 개선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특히 BHT300 그룹은 정상군과 유사한 정도로 회복 되었다. Western blot analysis 결과, BHT에 의한 학습된 무기력 쥐의 행동 개선은 p-ERK와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BHT는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작 용을 나타내었다. 결론 BHT는 학습된 무기력 쥐의 무기력 행동 개선에 영향을 미치며, 이는 해마의 신 경가소성과도 연관이 있다. 따라서 무기력 행동이 누적되어 생기는 우울증에 항우 울제를 대체할 수 있는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주제어 반하후박탕, 학습된 무기력, 항우울 효과 Effect of Banhahubak-tang on improving depressive symptoms in learned helplessness rats Seo-yun Jeong Department of Korean Medicine Graduate School, Dongshin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Kyeong-ok, Kim K.M.D., Ph.D.) Purpose If you repeatedly experience failure despite your efforts, you will fall into a state of chronic helplessness state. People who are in helplessness state do not try new situations and show depression-like symptoms, such as indifference and loss of interest. This study selected Banhahubak-tang as a drug to improve this learned helplessness state and investigated its effect and mechanism in improving the state of helplessness. Methods Learned helplessness was induced by exposing rats to inescapable electic shock. To test the effects of Banhahubak-tang, the rats' active avoidance ability was evaluated by exposing them to escapable electrical shock after drug administration. In addition, the mechanism of action of Banhahubak-tang was studied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stry, and the antioxidant effect of Banhahubak-tang was evaluated through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alysis. Results Banhahubak-tang improved the learned helplessness states of rats and it was dose-dependent. This showed meaningful results when compared to the Imipramine group, a positive control group. As a result of immunohistochemistry, an improvement in nerve regeneration was observed in the hippocampus of learned helplessness rats administered Banhahubak-tang, and in particular, the BHT 300 group recovered to a similar extent as the normal group. As a result of Western blot analysis, it appears that the improvement in behavior of learned helpless rats by Banhahubak-tang is related to p-ERK. In addition, Banhahubak-tang showed antioxidant activity in a dose-dependent manner. Conclusion Banhahubak-tang has an effect on improving the behavior of learned helpless rats, and this is also related to the neuroplasticity of the hippocampus. Therefore, it has the potential to be a safe and effective treatment that can replace antidepressants for depression caused by chronic accumulation of helplessness state, but follow-up study is needed. Key Words Banhahubak-tang, Learned helplessness, Anti-depressive effect

      • G?rard Grisey의 작품 《Vortex Temporum》 1악장 분석 : -배음렬 음악과 미니멀 음악의 결합-

        정서윤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프랑스 출신의 배음렬 음악 작곡가 제라르 그리제이(Gérard Grisey, b.1960)의 후기 작품 《Vortex Temporum》(1994-6)의 1악장을 분석한 연구이다. 총음렬주의를 거쳐 우연성 음악, 불확정성 음악, 음향 음악, 배음렬 음악, 미니멀 음악 등의 다양한 음악 양식이 발전되어 온 1990년대 중반, 작곡가는‘acoustic-sound’에 의한 배음렬의 화성과 음색에 관심을 가지며 여러 작품에 배음렬 음악 기법을 적용하였다. 특히 작품 《Vortex Temporum》에는 서로 다른 양식의 혼합이 포용되는 시대적 양식에 영향을 받아 배음렬 음악 기법과 미니멀 음악 기법의 접목이 드러나고 있다. 배음렬 음악이나 미니멀 음악 성향의 작품을 분석한 기존의 연구들은 작품 자체에 대한 분석보다 음악 양식 위주의 거시적인 악보 분석을 주로 다루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배음렬 음악과 미니멀 음악 양식의 성향과 기법이 작품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되었는지 악보 분석을 통해 세부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먼저 《Vortex Temporum》1악장과 밀접하게 연관된 사조인 배음렬 음악과 미니멀 음악의 정의·탄생 배경·어법 및 기법·주요 작곡가와 대표 작품에 대한 자료를 조사한다.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작곡가의 작품《Vortex Temporum》에 배음렬 음악과 미니멀 음악이 어떠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적용되었는지 악보를 통해 분석한다. 특히, 배음렬 음악에서 핵심이 되는 음고, 음색 및 음향과 미니멀 음악의 주요 기법인 음형, 그리고 반복 및 변화와 같은 각각의 음악 구성요소가 이 작품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여러 가지의 조합으로 어떻게 어우러져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이로써 다양한 음악 양식이 한 작곡가의 음악 어법 안에서 어떻게 결합하여 나타나는지 고찰한다. This thesis is an analysis of the piece 《Vortex Temporum》1st movement, which is composed during 1994-6 by French Spectral Music Composer Gérard Grisey(b.1960). 《Vortex Temporum》 could be acknowledged as a graft of spectral music and minimal music, while the composer created the piece during the period when varieties of musical styles had already been emerged in mid and late 1990s, Since Serialism, which is also developed to Total Serialism, had ruled over the musical trends in the early and mid 1900s, every musical materials such as pitch, dynamic, register, etc, were getting into a strict order to make a perfect form. However, it was so tight that some composers felt doubt on a style which was too mathematical. Therefore, they had begin to seek an ‘way out’ so that they created a lot of styles such as Chance Music, Klangkomposition, Spectral Music, Minimal Music, etc. These various forms of music were not only limited to one style but also appeared in various styles as the age developed. Gérard Grisey, one of the composers who sought to mix various styles, began to pay attention to tone and music techniques in the early 1970s, and especially devised a composition of harmony and tone based on the harmony. Furthermore, his work 《Vortex Temporum》 appears to be mixed with spectral music and minimal music by the influence of pluralism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existing works of interpretating spectral music and minimal music were mainly analyzed on musical styles, rather than a specific analysis of the score itself. Thus, the thesis will be the specific analysis of how spectral music and minimal music were conjoined by their techniques based on a score. For a research, there will be a process of collecting dates such as definitions, derivation, techniques, symbolic composers and their works, which are highly related to the piece 《Vortex Temporum》 1st movement. Thereafter, the analysis, of how 《Vortex Temporum》 is musically formed, will be carried out by score based on those particular datas. Especially, the piece shows a coexistence of how pitch, timbre, and sonore are cooperated, either individually or together, with rhythms, repetition and transitions in one certain piece. Hence, the piece 《Vortex Temporum》 is worthwhile as it can be interpreted in many aspects.

      • 초심상담자의 불안정 성인애착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 : 정서조절 양식의 매개효과

        정서윤 한양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burn out in expert counselors, not many studies have yet investigated burn out in novice counselors and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sty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f emotion regulation styl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burn out. In this study, 263 novice counselors were recruited to complete the Experience in Close Relationship-Revised (ECR-R), Maslach Burnout Inventory(MBI), and Emotion Regulation Style (ERS) in order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burn out. All respondents answered by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scales of emotion regulation style consist of three parts: support seeking, avoidance/distraction, and active problem solving. Findings suggest that emotion regulation style may be an important mechanism to consider when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burn out in novice counselors. Although support seeking cannot be concluded, active problem solving is the important role that decreases burnout. In addition, novice counselors are encouraged not to use avoidance/distraction style to decrease burnout. 본 연구는 초심상담자의 성인애착과 정서조절 양식 및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살펴보고, 성인애착과 심리적 소진 간의 관계를 정서조절 양식이 매개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소재 심리학회 및 협회, 심리연구소 등에 등록된 현직 상담 인력 중 상담 경력이 3년 미만인 263명의 초심상담자를 대상으로 성인애착유형, 심리적 소진, 정서조절 양식을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SPSS 25.0과 AMOS 24.0을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분석을 위해서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타당성을 각각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심상담자의 불안정한 성인애착(회피차원과 불안차원)과 정서조절 양식 및 심리적 소진과 모두 유의하게 관련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불안정한 성인애착은 능동적 정서조절 양식에 부적으로 관련되었고, 능동적 정서조절 양식은 심리적 소진에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성인애착은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양식에 유의하게 정적으로 관련되고, 회피분산적 정서조절은 심리적 소진에 유의하게 정적으로 관련됨을 나타냈다. 넷째, 성인애착은 지지추구적 정서조절 양식에 유의한 상관을 나타내지 않음으로서 지지추구 양식의 매개역할에 대한 가설은 본 연구에서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논의하였다.

      • 이주 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정책 연구

        정서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look in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on migrant background youth who have been of more importance in terms of policy, to discuss limitations, and to propose improvement plans.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looks into the language education policy on children of immigrants and related general theories, analyzes the laws, systems, and policy case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migrant background youth in Korea, discusses limitations, and proposes an improvement in reference to cases in main foreign countries.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 chapter 1, the necessity and purpose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and its scope and method are described. Related works were researched to find the existing education polic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on migrant background youth. In chapter 2,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explained. In other words, theories and policies on international migration, multi-cultural society, and language education that immigrants have in learning a second language are described. In chapter 3, the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for migrant background youth, related laws and systems, policies of main institutions, and their achievements are analyzed. In addition, limitations are discussed. In chapter 4, language policies on migrant background youth in main foreign countries are described in terms of historical changes in the policies and main policy cases. The applicable points in Korean situation are suggested. In chapter 5, based on the aforementioned theory discussion, actual analysis, and analysis of foreign cases, improvement plan are proposed. In chapter 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presented comprehensively. This study proposes five improvement plan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 background youth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set objectiv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as the sub policy of national education policy, language policy and immigration policy. Even though migrant background youth’s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o be achieved through learning is different depending on individuals, it is possible to set the level necessary for academic performance. Nevertheless, it is important to share the perception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individuals’ Korean language ability in the late adolescence and adulthood. Seco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the system for perform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migrant background youth and to mobilize national resources. Provid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 background youth requires cooperation between departments. To do so, it is necessary to designate or newly establish a control tower or actively operate a consultive group. This study proposes the operation of a consultative group as a realistic plan. In this way,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plan, to use available resources efficiently, and to create synergy in association of various activities. Third, it is necessary to perform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migrant background youth as a part of the education to raise the talented for a future. It can be performed in two ways. One is to perform the knowledge education using content-based instruction in parallel. The other is to raise global talented persons with the use of their skills of mother tongue and mother culture. Fourth, it is required to built the system to enhance educational professionalism continuously and to evaluat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of migrant background youth. It is highly meaningful that KSL course and KSL textbook were developed after the advancement plan for education of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n 2012. Nevertheless, there are poor achievements for professionalism factors, such as teacher factor and teaching factor, and no evalu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s for the evaluation system, it is required to perform the Junior TOPIK that is known to be developed completely. Fifth, in order to guarantee the environment where migrant background youth keeps their mother tongue while learning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d apply the concept of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as a second language and bilingual part. The education to learn a second language needs to be aimed at letting them have language ability and learning ability as most as possible in consideration of learners’ language acquisition and adaptation to society. It is necessary to set a direction of policy and seek a plan for applying the policy in order for a certain level of mother tongue of migrant background youth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ir skills to learn a second language (Korean language) or bilingual skills. This study is exploratory research based on the analysis of laws, systems, and cases. Its limitation is that no fields related to the policies were surveyed. Nevertheless, the contents discuss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a reference to the discussion to improv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y on migrant background youth. 본 연구는 최근 정책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이주 배경 청소년의 한국어 교육 정책을 살펴보고 한계를 논한 후 개선 방안을 제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민자 자녀에 대한 언어 교육 정책과 관련한 일반 이론을 살펴보고 한국 내 이주 배경 청소년에 대한 한국어 교육 정책과 관련한 법, 제도, 정책 사례를 분석하여 한계를 논한 후 세계 주요 국가의 사례를 참고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고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기술하였다. 또한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 기존 이주 배경 청소년 대상 교육 정책과 한국어 교육 정책을 살펴보았다. 제2장은 이론적 배경으로서 국제적 이주와 다문화 사회, 그에 따른 이민자들이 제이언어를 습득하는 데에 있어서 시행되는 언어 교육의 이론과 정책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3장은 이주 배경 청소년 대상 한국어 교육 정책의 목표와 관련 법령 및 제도, 주요 기관의 정책 등을 살펴보고 성과 분석과 함께 한계에 대하여 논하였다. 제4장에서는 세계 주요 국가에서 이주 배경 청소년에 대한 언어 정책을 역사적 변천과 주요 정책 사례 중심으로 살펴보고 한국 상황에 적용할 만한 시사점을 정리하였다. 제5장에서는 앞에서 진행한 이론 논의, 실제 분석, 외국 사례 분석 등을 바탕으로 하여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제6장에서는 앞 장에서의 연구 내용에 대한 결과를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이주 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의 개선 방안은 다음의 다섯 가지이다. 첫째, 국가의 교육 정책, 언어 정책, 이민 정책의 하위 정책으로서 한국어 교육 정책의 목표를 설정해야 하며, 이주 배경 청소년이 한국어 학습을 통하여 도달해야 하는 한국어 능력은 개인별 차이는 있겠지만 학업 수행에 필요한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개인에 따라서는 후기 청소년 시기, 성인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한국어 능력을 키울 수 있는 인식의 공유가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이주 배경 청소년의 한국어 교육 실시를 위한 추진 체계를 정립하고 국가 자원을 동원해야 할 것이다. 이주 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실시는 부서 간 협력 체계를 필수적으로 요구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컨트롤 타워를 지정 또는 신설하거나 협의체 방식 운영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협의체 운영 방식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종합 계획의 수립, 가용 자원의 효율적 활용, 다양한 활동의 연계에 의한 시너지의 창출 등이 가능해질 것이다. 셋째, 이주 배경 청소년에 대한 한국어 교육을 미래 인재 육성 교육의 일환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는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데 하나는 한국어 교육을 통한 지식 교육의 병행이고 다른 하나는 모어와 모문화 자질을 활용하여 글로벌 인재로 키워나가는 방안이다. 넷째, 교육 전문성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이주 배경 청소년의 한국어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체계의 구축이다. 2012년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 선진화 방안의 실시 이후 KSL 과정의 개발과 KSL 교재의 개발 등이 실현된 것은 의미가 크다. 그러나 여전히 교사 요인, 교수법 요인 등에서 전문성 구축 성과는 미흡하며 평가 체계도 구축되지 않았다. 특히 평가 체계의 구축과 관련해서 기존에 개발을 완료한 것으로 알려진 Junior TOPIK의 실시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다섯째, 이주 배경 청소년이 제이언어인 한국어를 습득하면서 모어 사용을 유지할 수 있는 환경을 보장할 수 있도록 제이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과 이중언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다. 제이언어 습득을 위한 교육은 학습자의 언어 습득에서부터 일반 사회로의 적응까지 고려하여 언어 능력과 학습 능력을 최대한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하지만 이주 배경 청소년이 갖추고 있는 일정 수준의 모어 배경이 제이언어(한국어) 습득 또는 이중언어 능력 발달에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의 방향이 정립되고 정책적 수단이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문헌 연구와 법·제도·사례 분석을 통한 탐색적 연구로 진행하였다. 정책 현장을 대상으로 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지 않은 한계를 갖지만 본 연구에서 논의한 내용이 이주 배경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 정책의 개선 논의에 참고가 될 수 있으리라고 기대한다.

      • 사회경제적 특성, 불평등에 대한 인식, 그리고 기부

        정서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소득 불평등의 문제는 전 세계적으로 여전히 다양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주제이며, 한국도 예외는 아니다. 본 논문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사회적, 경제적 특성이 경제적 불평등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며 불평등 인식이 기반이 되는 기부 행위와는 어떤 관계가 나타나는지 분석하였다. 2022년 실시된 연세-용운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노동소득이 높은 사람은 불평등 인식이 높은 반면 기부할 의향은 낮고, 자산소득이 높은 사람은 불평등 인식이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난다. 정치 이념에 따라 상대적으로 진보적인 성향을 가진 사람들은 불평등 개선 의지가 높은 반면, 보수적인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개선 의지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해당 결과는 여러 검증에도 강건하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The rise in income inequality has been dealt with much attention in many parts of the world, including South Korea. This paper explores how different individual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impact their perceptions of economic inequality and actions of giving. Using the 2022 Yonsei-Yongwoon survey data, I find that individuals with high labor income tend to be more aware of prevailing economic inequality while willing to donate less. Those who possess one or more residential properties are less aware of inequality. Political ideology also effects perception differently, in that individuals having relatively progressive views believe income should be more equalized, while the opposite is observed for those with conservative views. These findings are robust throughout various robustness checks.

      • 고려시대 別祈恩의 성격과 祭行 형태

        정서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article dealt with the Byeolgieun(別祈恩)'s ritual aspect that was practiced in the whole Goryeo dynasty. Byeolgieun was a ritual ceremony held by government and royal family in the various Gibokcheo(祈福處; a place for invoking a blessing) such as the palace, temple, mountains, rivers, and shrines etc. As Byeolgieun was the ritual representing the Goryeo Dynasty, which recognized the existence of various divinities, Byeolgieun was performed on the basis of several ideological grounds throughout the Goryeo Dynasty.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it showed each ideological tone depth progressed and so Byeolgieun's Buddhistic·Taoistic ceremony shaped in the early, middle Goryeo period, while Shamanistic tendency was stronger in the Late Goryeo period. There seems that the first Byeolgieun recording can be discovered in Byeolryegije(別例祈祭) of SImu 28, Choe Seung Ro(崔承老)'s Sangsomun(上疏文) when King Seongjong(成宗) period. Byeolgieun had already an established interpretation, that is 'Eumsa(淫祀)', means different from ritual processes and rites. But it could figure out that rites aspect regarding to the early Goryeo period Byeolgieun through trying to a new interpretation of exceptional rites such as Byeolryeyeondeunghoe(別例燃燈會) · Teukseolinwanghoe(特設仁王會). Hereafter under the unstabl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onditions, Byeolgieun, which was gradually becoming more formationed and prevailed as national ritual after the establishment of a national organization related to ritual practice, GIeunsaek(祈恩色)·Byeolryegieundogam(別例祈恩都監), then from the word ‘Byeolgieun’ being called to Gieun (contracted form) started to expand, not only in the capital town and palace but conducted ceremony in local area. As entered Yuan(元) intervention period, through the dispatch of those who are in charge the officer, Oesangieunbyoelgam(外山祈恩別監) and Gieunsa(祈恩使), Byeolgieun started to be performed in local Myeongsan(名山; authorized mountains) and temples. Oesanjegosa(外山祭告使), who performed confucianstic Sancheonje(山川祭; rites of authorized mountains and rivers), concurrently served as Oesangieunbyoelgam. When they went to the local Myeongsan for performing rites, they conveyed a decree of amnesty of the king to the local prisoners and they did lots of bad activities by using the high position as national rites officials. These Sancheonje style of Byeolgieun, Oesangieunbyoelgam conducts in the temple of the Myeongsan, can regard as the transition period before type was fixed from Buddhistic·Taoistic ceremony to Shamanistic ceremony in the Late Goryeo period. From the early 13th century, gradually appearing the Mudang(巫堂; shaman)'s ceremony much more prevailed by shamanistic trend since Yuan intervention period. In the Late Goryeo period, Mudangs participated in the politic issues directly or indirectly and using these current situation, Mudangs' descendants and relatives took the higher status. Therefore Mudangs' positions were much higher and Byeolgieun was fixed Shamanistic ceremony. Because Mudangs, who charged in GiuJe(祈雨祭; ritual for rain) and several private rituals in and out of the royal family, conducted the national rituals much more than ever, preventing Shamanism theory appeared. And In this circumstance, in order to distinguish ‘Gieun’ in the previous system and separate Shamaniistic ritual formation, ‘Byeol’ was added again then named ‘Byeolgieun’. Confucian scholars' intense criticism against Shamanistic Byeolgieun, carried over Joseon, continued. Moreover several Confucian transformation made an attempt, but still remained Shamanistic ceremony. The fact that, Gukmudang(國巫堂), Byeolgieuncheo(別祈恩處; place for Byeolgieun), was located in Songak(松岳), and Gukmudang that was chief shaman(homonym of preceding thing), belonged to Seongsucheong(星宿廳), was public officer grade 2, as sort of Jong 2 Poom(official rank), copper and hoses presented to the king, and the aspect that was used the king's clothes and ornaments in the Gieun march are evidents that performers in Byeolgieun's power was as strong as king's authority in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period. 본고에서는 고려 全 시기에 걸쳐 제행되었던 別祈恩 의례의 제행 양상을 살펴보았다. 별기은은 국가와 왕실의 주체로 宮內, 寺社, 山川, 神祠 등 다양한 祈福處에서 제행된 제의이다. 다양한 신격의 존재를 인정하였던 고려의 시대상을 대표하는 의례였던 만큼, 별기은은 고려 全 시기에 걸쳐 여러 사상적 기반을 토대로 제행되었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각 사상적 색채의 농도에 추이를 보이고 있으며 이에 대해 고려 초·중기에는 별기은의 佛·道祭식 제행 모습이, 고려 후기에는 巫祭식 제행의 모습이 짙다고 정리할 수 있다. 별기은으로 보이는 최초의 기록은 성종 대, 최승로의 시무 28조의 ‘別例祈祭’에서 찾을 수 있는데, 이를 ‘법식과 다른 기도와 제사’ 즉, 淫祀로 보는 기존의 해석이 있지만 ‘예외의례’라는 새로운 해석 시도를 통해 別例燃燈會·特設仁王會 등 고려 전기 별기은으로 보이는 의례의 모습을 파악할 수 있다. 이후 불안했던 국내외 상황 속에서 祈恩色·別例祈恩都監 등의 제행 관련 국가기구가 설치되며 점차 체계성을 갖추어가던 별기은은 국가제사로서 편제되고 성행하게 되자 ‘別祈恩’에서 축약된 형태인 ‘祈恩’으로 불리우며, 중앙과 궁내뿐만 아니라 무대를 넓혀 지방에서 제행되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다. 원 간섭기에 들어서면서 담당 祭官이었던 外山祈恩別監과 祈恩使의 파견을 통해 지방 名山의 神祠에서 별기은 제행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다. 유교식 山川祭를 지내던 外山祭告使가 겸임하였던 外山祈恩別監은 각 지방의 名山에 祈恩을 지내러 갈 때 지방에 있는 죄인에 대한 왕의 사면령을 전달하였으며, 그들은 國行祭 의례자라는 높은 지위를 통해 많은 폐행을 일삼기도 하였다. 이러한 外山祈恩別監이 名山의 神祠에서 山川祭식 별기은을 제행하는 모습은 이전까지의 佛·道祭식 의례에서 고려 말 巫祭식 의례로 고착화되기 전의 과도기적 형태로 볼 수 있다. 13C 초부터 서서히 등장하던 무당의 별기은 제행 모습은 원 간섭기 전후로 성행하게 된 巫風으로 인해 더욱 만연해지게 된다. 고려 말, 무당들의 직간접적인 정국 운영 참여와 이러한 시세를 틈타 무당의 후손이나 친척들이 고위관직에 오르는 상황을 통해 무당들의 입지가 더욱 높아지게 되면서 별기은은 巫祭로 고착화된다. 왕실 내외로 祈雨祭와 사적인 의례를 책임지던 무당의 國行祭 성행으로 禁巫論까지 나오는 상황 속에서, 기존의 제도 속 ‘祈恩’과 구별하기 위해 다시금 ‘別’자를 붙여 ‘別祈恩’이라고 칭하는 것에서 祈恩의 ‘무속적’ 제행 형식을 구분하려는 시도를 찾아 볼 수 있다. 조선으로 이어진 巫俗化된 별기은에 대한 유학자들의 강한 비판은 계속되었으며 나아가 몇 번의 유교화 시도가 이루어지지만 무당들의 별기은 제행은 여전히 잔존하였다. 게다가 國巫堂이라는 別祈恩處가 송악에 위치해 있다는 사실과 더불어 星宿廳 소속 제행자 國巫堂이 정·종2품에 해당하는 品銅과 馬匹을 진헌하고, 그들의 祈恩행렬에 국왕의 의장구가 사용되는 모습 등은 여말선초 별기은 제행자의 위세가 국왕권과 견줄만큼 대단하였음을 방증한다.

      • 무용예술강사의 특성과 자기의식 및 직무 만족도 관계

        정서윤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무용예술강사의 특성과 자기의식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중요성을 인지하고, 그 상호관계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09년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파견 무용예술 초ㆍ중ㆍ고등학교 강사를 대상으로 총 232명의 무용예술강사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정상적으로 분석이 가능한 설문지 218부만을 연구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수집을 위한 측정도구로 사용한 ‘자기의식과 직무만족도 관계를 위한 설문지’에서 자기의식을 구성하는 설문 문항은 Fenigstein(1975)의 연구를 번안한 김지혜(1991)의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를 구성하는 설문문항은 한상희(2003)의 연구에 기초한 조유진(2008)의 설문지를 본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게 수정ㆍ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를 통해 연구대상자로부터 얻은 응답내용은 기술통계분석(Dscriptive statistics)ㆍ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ㆍ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등을 활용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반으로 무용예술강사의 특성과 자기의식 및 직무만족도 관계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예술강사의 개인적 특성에 있어서 결혼여부, 소득수준, 무용강사경력 등은 무용예술강사의 자기의식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적 특성 중 무용예술강사의 자기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은 성별, 연령대, 학력, 경제수준, 무용경력, 예술강사경력, 예술강사활동영역, 수업유형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예술강사의 개인적 특성에 있어서 학력을 제외한 성별, 연령대, 결혼여부, 소득수준, 경제수준, 무용경력, 무용강사경력, 예술강사경력, 예술강사활동영역, 수업유형은 모두 무용예술강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용예술강사의 자기의식과 직무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의식의 구성요인 중 개인적 자기의식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의 구성요인인 자율성, 직업안정, 동료지원,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이 도출되었다. 또한 대중적 자기의식이 높을수록, 직무 만족도의 구성요인인 자율성, 직업안정, 동료지원,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이 도출되었다. 반면, 직무만족도의 구성요인인 자율성, 다양성, 승진요소가 결여될수록, 자기의식의 구성요인인 사회불안 요소가 더욱 가중되는 것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무용예술강사의 특성과 자기의식 및 직무만족도의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으로 규명ㆍ검증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dance art instructors' characteristics, self-awareness and job satisfaction and then looked into the relationship among them.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of 232 dance art instructors who were sent by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to prim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 2009 was carried out. Collected data of 218 instructors were used in study analysis, except data of 15 users of which reliability seemed to be problematic. As a measuring tool of self-awareness data collection for 'the questionnaire of relationship between self-awareness and job satisfaction' the investigator used that of Fenigstein (1975) which was adapted by Kim Ji-hye (1991). As a measuring tool of job satisfaction, the investigator used the questionnaire of Jo Yu-jin (2008)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study of Han Sang-hi (2003) after modifying and supplementing it. And as for the analytic techniques, the investigator used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o on.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dance art instructors' characteristics, such variables as marital status, income level and dance instructor career have a partial influence upon dance art instructors' self-awareness. Among dance art instructors' demographic features, gender, age, schooling, economical status, dance career, art instructor career, art instructor activity area and lesson type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dance art instructors' self-awareness. Second, among dance art instructors' demographic features, such variables as gender, age, marital status, income level, economical status, dance career, dance instructor career, art instructor career, art instructor activity area and lesson type, except schooling,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dance art instructors' job satisfaction. Third, there are correlations between dance art instructors' self-awareness and job satisfaction. When the personal self-awareness is high among the constituents of self-awareness, such job satisfaction constituents as self-control, job stability, workmate support and satisfaction are also high. In addition, when the public self-awareness is high, such job satisfaction constituents as self-control, job stability, workmate support and satisfaction are also high. However, when such job satisfaction constituents as self-control, diversity and promotion element are insufficient, the social anxiety element―a self-awareness constituent―becomes severe. As study findings show, close relationship among dance art instructors' demographic features, self-awareness and job satisfaction has been verified concretely and empirically in this study.

      • 고등학교 중국어과 교육과정 변천 연구 : 『중국어Ⅰ』을 중심으로

        정서윤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에 이어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이 올해 2017년 초등학교 1~2학년에 적용되기 시작해서 내년 2018년부터는 중·고등학교 1학년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되게 된다. 본 논문은 곧 시행하게 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당면한 우리나라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에 있어서 그 간의 중국어과의 전반적인 교육과정을 큰 틀로써 점검하여 그 흐름과 특징을 분석해 보고, 현 진행되는 제4차 산업혁명의 시기에 고등학교 중국어 교육의 향방을 모색해보고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국가가 교육과정을 제정·공포하는‘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편성하고 문서로 고시하여 전체적인 교육의 방향을 반영하여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제1차 교육과정에서 제7차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7차례의 큰 교육과정의 개정이 있었고, 제7차 교육과정은 다시 2007년 개정 교육과정과 현행 교육과정인 2009년 개정 교육과정 그리고 2015년 개정 교육과정으로 수정 고시되었다. 이와 같이 교육과정이 수차례 개정되는 동안 우리나라 중국어 교육에 있어 연구 동향은 대부분 교육과정에 따른 발음, 문자, 어휘, 문법 등의 언어재료와 듣기, 말하기, 읽기 그리고 쓰기의 언어 기능, 그리고 문화 등의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내용에 대해 논의해 왔다. 그러나 교육과정 전반 있어서의 관련 연구는 대부분이 2007년 개정 교육과정까지의 연구로, 이후의 두 차례 더 개정된 2009년 개정 교육과정과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을 모두 포함한 중국어 교육과정의 포괄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1차 교육과정의 시기에서 제7차 교육과정의 시기를 거쳐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변천을 서술하고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 및 2018년부터 단계적으로 적용되는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중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비교·분석하여 중국어 교육과정의 방향을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으며, 또한 중국어 교육과정 관련 분야 연구에 대한 선행연구로서 기초자료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중국어교육, 교육과정 Following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the 2015 revised curriculum has started to be applied to Grade1-2 of elementary school in 2017, and from 2018, it will be gradually applied to Grade1 of middle/high school in order.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seek for the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education of high school in the period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analyzing the flow and characteristics of overall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of high school in Korea fac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ase of the curriculum of Korea, the state organizes/establishes/ proclaims 'the national-level curriculum', notifies it in document, and manages it by reflecting the overall direction of education. Korea has gone though total seven major revisions of curriculum. The 7th curriculum has been modified/announced in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Like this, though the numerous revisions of curriculum, most of the researches on Chinese language education in Korea have discussed the language materials such as pronunciation, letter, vocabulary, and grammar, language functions like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concrete/detailed contents like culture. However, most of the researches related to the overall curriculum were limited to the 2007 revised curriculum or before. There are not many additional researches on the comprehensive contents of Chinese language curriculum including both 2009 revised curriculum and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data as a preceding research on Chinese language curriculum, to understand the direction of Chinese language curriculum, by describing the transition of 2007 revised curriculum from the 1st curriculum to the 7th curriculum, and also comparatively analyzing the current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of Chinese language that will be applied in phases from 2018. keyword: Chinese langunge curriculum, Transitional Process

      • 소셜미디어 이용자의 이용동기와 고객경험이 관계품질과 상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서윤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emergence of web and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s enabled modern peopled around the world to overcome physical limitation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on the other side of the world to share knowledge and experience. Such trend has led most companies to recognize consumers as the proactive subject of participation and production. Accordingly, they are realizing the necessity of providing services where consumers directly participate in marketing development. Lee Ju-Young(2009) revealed that humans’ communication means created written language from limitations of vocal language and developed print media, broadcast media and communication media for not only communications but also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Such development was attributed to the fact that humans are naturally social animals, grow in social relationships and develop what is necessary according to the growth. When it comes to humans’ desire, the importance of humans’ social relationship is considered natural; what fulfills desire and thirst for social relationship today is social media, which is at the center of today’s human life. Social media is not a passing fad but an essential tool in the era of networks. With new information and various technologies, today’s social media is necessary for predicting how a number of companies will replace and evolve in the future. The existing unilateral network technology is not enough to meet important parts of social desire including people’s interaction such as service’s search engine or portals. On the other hand, emergence of social media has enabled bidirectional communications; it can be considered transitional technology that overcomes limitations of existing network technolog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 participation, etc. (Lee Bang-Hyeong, 2013). Social media controls daily life of a lot of people, and new phenomena occur in the social media market. Lee Bang-Hyeong(2013) revealed that interest especially in social media has significantly grown in the service marketing area, and advertising through existing media such as television or newspaper that delivers messages unilaterally has low possibility of development unless it further gives credibility to people. As information is provided from social media by companies centering on others who have similar interest as friends or surrounding people, it is more reliable; therefore, marketing activities through social media are gaining more attention. From such viewpoint, studies using social media marketing and empirical research on users’ responses are conducted. Mangold and Faulds(2009) also insisted that information from social media has integrity, and provision of information by contents is reliable so that social media users can build trust and have willingness to use continuously. Companies can realize that social media can be effective as a promotion tool, if users trust the system and consider important. Recently, social media provides technologically customized contents for users and have strengthened search functions, etc., which has led to expanded interaction among us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systemize the extensive social media market and try to improve the enterprise strategic level. Social media is all around us in our life, and the influence is overwhelming. It is essential to question what roles social media will play for the quality of each of our lives in the future. Kim Da-Young(2017) studied that social media have brought numerous changes and effects in human life in the era of digital society; YouTube creates views of 9.3 billion pages and shares them each month, and Facebook creates 700,000 new accounts a day, continuing threatening growth. The research considered that marketing through social media platforms accepted digital changes includes significant aesthetic values. This research showed that social media can play an important role as a marketing tool to achieve the marketing effects with continuous use in the future, and verified the relationship of “motivation of using social media and customer experience ⟶ quality of social media relationship ⟶ purchase intention” that can lead to positive effects. Based on the data, it is assumed that social media can provide customized service and increase elements that users can experience better social media service. By investigat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with purchase intention, which is intention of social media users to shop through social media, through quality of social media relationship, the research aims to suggest establish marketing strategy of social media and future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