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영어의 생략과 애매성의 고찰

        정부자 檀國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7631

        생략현상은, 화자와 청자사이에 이해가 공유된 항목을 누락시킴으로해서 시간과 노력을 줄여 경제성 및 간결성을 성취하고 새로운 정보에 관심의 촛점을 부여하여 강조함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명제(Proposition)를 명확히 하고자 하는 하나의 언어표현 양식이라 할 수 있다. Quirk는 생략을 순수한 표층구조에서의 현상으로 보고("ELipsis is purely a surface phenomenon. ") 표층구조에서 복원가능한 것만을 생략으로 다루었다. 따라서 어떤 항목이든 복원이 가능할 때에 한해서 생략이 가능하다고 했다. 복원가능성은 문장경계 내에서나 문장경계를 넘어서나 문맥에 의존되며 생략요소의 복원은 문맥과 분리되어서는 이해되기 어렵다. 즉, 생략현상이 발생하면 언어적, 비언어적, 상황적 문맥이 생략된 항목의 이해를 위한 출처가 되며 더 나아가서 언어사용자의 상상력, 지각력, 추론 및 인지기능, 그리고 언어체계에 대한 지식이 표현되지 않은 부분을 복원하는데 있어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체로 전통문법의 입장에서 언어적문맥과 비언어적 문맥으로 나누어 제반 생략현상을 살펴보았으며 생략현상을 규명하는��통사론적 접근 뿐 만 아니라 의미론적 접근 및 화용론적 접근 방법이 동시에 시도되어야 함을 부기하는 바이다. 이러한 애매성을 줄이는 중요하고 유용한 장치들을 생각해 보았다. 그리하여 일선 영어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이 생략과정을 이해하고 이로 인한 애매성을 파악하여 구문 및 독해력 함양에 도움이 되고자 했다. 생략현상이 일어나면 간결한 반면 애매성이 수반될 가능성이 많다. 본 논문에서는 생략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애매성을 살펴보고 Ellipsis is a device for omitting some parts of long, clumsy sentences. An elliptical part can be one or more than one grammatical category, or can be a predicate or an argument which constitutes a proposition. A major use of ellipsis is the avoidance of repetition, and where it is a motivating factor, ellipsis is usually anaphoic. But occasionally it is cataphoric.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llipsis phenomena and ambiguities by ellipsis in English. This paper also aims at studying the problems of ambiguities and tries to propose some useful devices to avoid ambiguities resulting from ellipsis chiefly in line with traditional grammarians' view. The starting point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ellipsis, like all other linguistic operations, operates in the context of communication. For ellipsis to be mutually understood, some degree of cooperation Is needed between the speaker and the hearer. In short, ellipsis is controled by all the contrxts--linguistic, non-linguistic, and situational. That includes all the oricesses, those of linhuistic, psychological, and perceptual All cases of ellipsis can be divided into two groups:one is dependent in linguistic context and the other, dependent on non-linguistic context. The view on ellipsis adopted in this paper is that of Quirk & Greenbaum:Quirk sees that an ellipsis is purely a surface phenomenon. So ge warned ellipsis should not be confused with the concept of deletion postulated in transformational grammar except some cases of optional deletion. In Chapter II, the definition and the nature of ellipsis are examined and in Chapter III, the most common and easily understandable types of ellipsis are dealt with instead of a detailed description of ellipsis. In Cahpter IV, a survey of ambiguous sentences resulting from ellipsis is made to find some devices to make them unambiguous. Here are some of them suggested:(1) through context, (2) world-order change, (3) substitution or adding some explanation, (4) rearrangement of sentence elements, (5) insertion of some appropriate words, (6) use of some signals, (7) to avoid excessive ellipsis, (8) through contrast between animate and inanimate nouns, (9) through agreement In number, (10) by signaling the subject function or the object function, (11) by marking the relation between the modifier and the modified 1(12) paraphasing, (13) Pronominalization or/and pro-verb,(14) using punctuation to mark the major clause boundary, etc. In Chapter V, in conclusion, all the previous study is summarized briefly; furthermore it is also attempted to find a good way of how those findings and conclusions can be related to the practical teaching of English.

      • 障碍人에 대한 敎會의 役割 硏究

        정부자 朝鮮大學校 政策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People with disability have existed anywhere and anytime with the history of mankind, but they have been treated discriminatingly and isolated and their rights of man have been outraged. As the movement of respect for the man has been begun in the 20th century, view of people with disability who are assumed to occupy about 10% of the whole population has been changed with a new vis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but governmental policies have been developed indiscreetly with the lack of basic consciousness and understanding of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 policies related to people with disability remain ostentatious, exhibitory and formal level. Moreover, Korean society has unchanged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people with disability in spite of such a governmental policy for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 world trend for people with disability. Stereotype,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of people with disability have been rooted deeply in our society and people with disability have been disregarded, discriminated and isolated from our society. And people with disability of Korea have not enjoyed national right and human right prescribed by the Constitutional Law and they are forced to give up their employment and survival. Korean churches which have achieved the distinguished quantitative growth have offered the affirmative influences and achievements to our society, but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ir problems are beyond the concerns of churches. And today's Korean churches have met missionary boom in concerns and fever for missionary work and under such a circumstance, the missionary work for people with disability has been isolated. This study fosters the churches' concerns on people with disability and deals with the problems related to people with disability for establishing and practicing the right recognition and attitude of church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ir problems, tries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people with disability and their problems from the multiple sides, examines and arranges the problems related to people with disability and is to seek roles and way of churches. This study hopes to achieve a true welfare state which ensures the sound participation and equality of people with disability as a member of our society with social welfare activities based on Christian love beyond missionary IC.

      • 사회복지관 자원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정부자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5년부터 본격적인 지방자치시대를 맞이하여 주민참여에 의한 지역사 회복지관으로서 복지관의 역할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으며 사회복지관의 설치 운영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인 조치, 민간기업의 사회복지관 사업에 대한 지원으로 사회복지관의 수는 급격히 증가하여 1984년 24개소에 불과하던 것이 1998년 4월 현재 303개소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이와 같이 오늘날 사회 복지관의 양적 확대와 국민들의 다양한 복지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사회복지비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국방비의 지출이 지대하며 경제계획 수행을 최우선으로 하여 사회복지분야에 투입되는 재원은 매우 제한적이었으며 IMF 국제금융기에 처하여 예기치 못한 사회문제가 속출하고 있는 현실에서 정부(지방 정부)의 현실적인 사회복지비 예산 편성을 기대할 수 없는 실정이다. 대부분의 사회복지관들이 당면하고 있는 가장 심각한 문제가 재원부족이다. 따라서 끊임없이 막대한 인력과 자원이 소요되는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을 좀더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하게 되었다. 더욱이 21세기를 앞둔 현 시점에서 좀더 발전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준비해야 하는 것은 차치하더라도 어려운 시기를 극복하면서 지역사회 복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재정과 지역사회 자원을 확보하는 것이 주요 과제이다. 1997년 전국의 사회복지관에서 활동하고 있는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들의 현황 조사서에 나타난 문제점을 근거로 이들을 개발·육성·유지하기 위한 과학적인 관리체계 방안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써 각 복지관들이 자원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의의와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 목표는, 첫째,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중심으로 한 자원활용과 관리의 현황을 알아 보고, 둘째, 이와 관련해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관리의 문제점을 제시하며, 셋째, 원활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확보·유지하기 위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개선방안들을 제시하려고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복지관 운영 관계자들의 의견과 본 연구자의 경험을 기초로하여 위의 연구 목적을 갖고 전국의 "사회복지관 현황 조사서"에 나타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현황과 문제점을 위시하여 복지관 운영 규정과 관련된 선행연구 논문과 문헌, 관련 기관의 간행물 및 세미나 자료집 등을 분석한 문헌연구이다. 본 연구의 주요 매개체는 지역사회의 다양한 인적자원과 물적자원 중에서도 자원봉사자와 후원자를 중심으로 다루었으며, 이들 각각의 현황과 실태 파악 및 문제제기 그리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부분에서는 자원활용의 중요성과 지역사회의 원활한 자원활용을 위한 개선방안을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용자원의 파악이다 즉, 잠재적 자원시장의 분석을 통해서 지역사회내의 인적·물적자원은 물론 각종 기관, 단체 정보 등을 파악하고 지역사회 외적기관 및 용역에 관한 자원도 파악하여 파악된 자원들을 활용가능 정도별로 정리해 두었다가 필요에 따라 개발 활용한다. 둘째, 자원의 개발과 조직을 위한 설계를 체계적으로 연구·개발하고 실행할 수 있는 사회복지관내에 전담부서와 전담직원의 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왜냐하면 지역사회내에 잠재되어 있는 제자원을 발굴·개발·육성·교육·훈련·관리하는 운영체계가 확립되어야 원활한 지역사회 자원의 활용이 가능할 것이며 발굴된 자원을 확보하고 유지할 수 있게 하므로써 자원이 계속 증대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자원 개발을 위한 목표설정 및 전략을 결정하는 단계로, 자원봉사자와 후원자의 성별·연령·직업·능력별 등과 또한 시기와 기간 등 제여건을 고려하여 체계적인 모집과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방법 및 기술개발이 필요하다. 한 예로, 모금은 연말연시가 대체로 참여율이 가장 많은 시기이고 방문일이나 시간때 등도 고려하는데 따라 효과의 차이가 많기 때문에 세심한 주의가 따라야 한다. 또 비영리조직에서도 이제는 전문경영방법과 마아켓팅기법이나 모금에 대한 전문지식의 도입이 필요하며 특히 홍보에 관해서 좀더 깊은 관심과 연구가 되어져야 할 것이다. 넷째, 자원의 개발 활동을 전개하는 단계로 직원들의 정규적인 교육·훈련은 물론 참여하는 자원들의 역량에 맞추어 교육의 기회와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모임이 제공되어야 한다. 사회복지관 뿐만 아니라 많은 비영리조직들이 보다 많은 지역사회자원을 발굴·확보·유지하는 업무가 기존의 무계획적·즉흥적으로 이루어지던 틀에서 벗어나 보다 전문화된 관리체계를 구축하여 실행하므로써, 자원봉사자와 후원자 관리의 가장 문제시되고 있는 이들의 중도탈락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여야 한다. 지역사회자원을 활용하는 과정에서나 활용 후에는 수시로 평가를 실시하여 목적 및 목표달성의 정도, 자원 활용과정에 있어서 문제점 등을 분석하고 결과를 새로운 계획수립 및 실행 과정에 순환적으로 반영해야 한다. 왜냐하면 평가를 통하여 발전적인 계획수립과 관리체계 유지 방법을 계속 보충하게 되는 과정에서 기술이 개발될 수 있으며, 또 지역사회로부터 신임을 얻게 되면 자원활용이 용이하게 될 것이다. 여섯째, 주민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법적, 세제상의 혜택 등 제반 제도적 장치도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한 예로 인정과 보상체계를 통하여 동기부여함으로써 지속적으로 자원을 개발·유지·확보할 수 있게 된다. 제언으로, 원활한 지역사회 자원활용 방안을 강구하기 위해서 원론적인 것이나 방법론에서는 지금까지의 문헌이나 논문에서 충분하리 만치 많은 이론과 대안이 제시되었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위와 같은 개선방안을 실천에 응용하려는 의지이다. 관리책임자는 물론 전담직원이나 관련 사회복지사가 자원활용에 대한 인식을 새롭게 하고, 항상 단정한 용모와 친절한 마음가짐으로 자원에 가깝게 다가가는 태도 여하에 따라 나타나는 효과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고 본다. 또 하나 중요한 것은 의식의 전환이다. 무엇보다도 고착된 의식은 전환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특히 민주시민의식으로서 자원봉사나 후원활동에 자연스럽게 스스로 참여할 수 있는 문화조성을 위해서는 장기간에 걸친 교육과 환경을 제공하여야 하며, 가능한 조기교육에서부터 시작되어져야 할 것이다. The role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since 1995 when the local autonomy was fully implemented in Korea. The increasingly important role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s reflected in the dramatically increased number of welfare centers in the last 15 years: 24 centers in 1984 have risen to 303 centers as of April, 1998. The increased number of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is due to the combined efforts of the activ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s and the raised interest in the welfare centers by the private business sectors. The radically increased number of welfare centers, however, necessitates the commensurate amount of financial support to meet the raised awareness of the public's needs and service the sheer number of centers. The recent ecomonic situation of Korea, however, is not very favorable to the financing of the welfare centers in many respects. Most of all, the exorbitant financial outlays for national defence makes it very difficult to finance welfare-sector investment. In addition to this, recent foreign exchange crisis, which has resulted in the emergency foreign exchange loan fro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MF), makes it almost impossible for the local government to invest in welfare centers. In this context, the financing of the welfare centers has become a very crucial problem. To solve this problem, ways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community resources should be actively studied and implanted, not only to prepare for the coming 21st century but also to tide over the impending financial crisis facing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The purpose of this thesis, therefore, is to find ways to utilize the resources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acting on the advice provided by the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c¢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Korea in th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elfare centers. The specific objectives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1) the present status of resources-utilization of welfare centers, (2) problems in utiliza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welfare centers, and (3) effective ways to improve the attraction and reten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To accomplish the above-mentioned objectives, the writer used a "Social Community Welfare Center Survey" on the status and problems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throughout the country. In addition, the writer made use of the previously published theses and dissertations, publications, seminar literature and relevant materials. The writer has also utilized her own experience and other staffs of welfare centers in writing this thesis. The main focus of this thesis is placed on the material and human resources utilization, especially the utilization of volunteers and sponsors of the welfare centers in the communities concern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ccurat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resources. Accurate collection of information on the available resources on the available resources is prerequisite to the effective and maximized utilization of resources. The resources, in this case, covers material, human, and services. 2. Systemiza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nel for utilization of resources. To effectively utilize the resources, the systemization and development of personnel is very important. The personnel has as its main responsibility to find out, educate, develop, and manage the potential resources in the community so that they can be utilized to the maximum. 3. Planning a strategy for the resources utilization. Planning a strategy is also important in this area of resources utilization as in other fields. In this respect marketing and managerial expertise is also necessary to maximize the resources utilization. For example, fund-raising event should be planned around the year-end to be most effective. 4.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staff as well as the participants for the maximum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To make the most use of the available human resources,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staff and the center program partcipants as well is essential. This is more so in view of the fact that in the past there has not been much planning to seek out and retain the available resources in the community. Training and education will be most effective in lowering the drop-out rate of the program participants. 5. Regular evaluation of resources utilization status. Evaluation of the resources utilization is very important to see how well the set goals are met. Evaluation is also important to plan ahead and get support from the community. 6. Finding out the ways to get the community members involved voluntarily. To accomplish this goal, establishment of proper mechanism for the members to get privileges is essential. Proper mechanism, for example, would include tax breaks for donation. Recognition and compensation would be a good way for raising the resident participation. In reviewing the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commendation can be offered. 1. First of all, what is most needed is not more theory and research but putting into practice theories and researches conducted so far to maximize the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resources.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directors and staffs should have a very positive and active attitude in developing community resources. 2. Consciousness-raising is crucial in utilizing the resources. Without consciousness-raising not much can be expected. The raised consciousness is the basis for volunteering and sponsoring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enters. Everybody who should realize that the consciousness-raising of the community members will take the form of education and improvement of the atmosphere for volunteering.

      • 초등학교 저학년과 중학년 일반아동의 파생어 형태인식 발달 및 예측 변인 탐색

        정부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학령기에 이르면 단어를 습득하는 전략이 학령전기와는 사뭇 달라진다. 학령기 아동은 반복적인 읽기를 통해 단어에 친숙해지기도 하고, 문장의 맥락으로부터 낯선 단어의 의미를 유추하기도 한다. 또한 형태적으로 복잡한 단어의 경우에는 어근과 접사의 의미를 바탕으로 그 뜻을 분석하여 이해하거나 이미 알고 있는 어근과 접사를 조작하여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기도 한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과정을 형태인식(morphological awareness)이라고 지칭하면서, “단어의 형태소 구조를 의식적으로 인식하고, 그 구조를 고려하며, 의도적으로 조작하는 능력”(Carlisle, 1995, p.194)이며 메타언어적 지식(Tong, Deacon, & Cain, 2014)이라고 정의하였다. 학령기에 접하는 어휘의 상당수가 형태적으로 복잡한 단어이며(Nagy & Anderson, 1984), 다양한 파생 및 굴절형태에 관한 지식이 읽기를 촉진하고(Apel & Thomas-Tate, 2009, Beringer et al., 2010; Carlisle & Stone, 2005), 형태소는 ‘의미’를 지닌 최소단위로서 음운적 요소보다 더 ‘자연스러운’ 언어의 경계(cut)이기 때문에(Flowler & Liberman, 2004) 단어의 내부구조에 관한 형태적 인식의 발달과정과 특성은 지속적으로 탐색되어야 할 영역이다. 그러나 음운인식이나 기타 언어처리과정에 대한 연구들은 지금까지 상당수 지속되어 왔지만, 어휘나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형태적 측면에 관한 분석은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이었다. 형태인식은 아동이 언어형식과 의미의 복잡한 관계를 ‘의식적’으로 이해하기 시작하면서 비로소 구체적으로 발달하기 때문에, 선행연구들은 형태인식의 명백한 첫 신호는 초등학교시기에 나타난다고 설명하였다. 국내에서는 형태소들이 모여 단어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살펴보면서 단어의 내부구조를 설명하는 단어형성(word-formation)이라는 방식으로 초등학교 이후의 형태인식과정을 다루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어형성의 유추적 과정(송원용, 2002; 채현식, 2003)이 아동의 형태인식과정을 설명하는 개념적 틀로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으리라 보았다. 이는 형태인식과정이 단어를 형성하는 데 관여함으로써 어휘력의 증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면, 어휘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문해력에도 간접적으로 관련되므로 학령기의 평가와 중재과정에 적용될 수 있는 유용한 변인의 하나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Kieffer & Lesaux, 2012; Nagy, Beringer, Abbott, 2006).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어형성능력의 관점에서 형태인식을 고찰하여 형태인식이 어휘력과 어떠한 관련을 보이는 지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에서 형태인식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다루어진 음운인식, 음운기억, 그리고 단어재인 및 비언어지능과 같은 관련 변인들과 어휘력이 형태인식을 얼마나 예측하는 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이러한 결과가 어떠한 변화와 경향을 보이는지가 분석의 초점이었다. 연구의 대상은 광주지역 소재 3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학년에서 4학년 일반아동으로, 남학생 120명, 여학생 126명 총 246명이었다. 사용된 검사도구는 본 연구를 위하여 제작한 파생어 형태인식검사와 비언어 지능검사(K-CTONI-2), 수용 어휘력 검사(REVT), 표준화되거나 표준화과정에 있는 검사들의 하위검사를 사용한 음운인식, 음운기억, 의미 및 무의미 단어재인검사였다. 연구대상아동은 학년에 따라 저학년(1, 2학년, 총 114명)과 중학년(3, 4학년, 총 132명) 집단으로 나누었으며, 이 학년집단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파생어 형태인식은 의미파생어와 무의미파생어로, 어휘수준은 미숙한 어휘, 정상 어휘, 우수한 어휘의 세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파생어 형태인식이 학년집단과 어휘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 지 분석하기 위해 학년집단×어휘수준×파생어 의미유무의 혼합삼원분산분석과 사후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파생어 형태인식에 대한 예측변인을 분석하기 위해 상관분석과 단계선택법을 사용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교 저학년과 중학년 집단이 보이는 파생어 형태인식은 학년이 증가함에 따라, 어휘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생어 의미유무에 따라 무의미파생어보다는 의미파생어를 형태적으로 인식하는 과제에서 더 나은 수행을 보였으며, 이러한 수행의 경향은 학년이나 어휘수준과 상관없이 전 학년에서 꾸준히 발견되었다. 의미 및 무의미 파생어 형태인식과 비언어 지능, 수용어휘, 음운인식, 음운기억, 의미 및 무의미 단어재인과 같은 관련 변인과의 상관은 저학년 집단과 중학년 집단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다. 학년집단에 걸쳐 파생어 형태인식과 수용어휘는 큰 상관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음운인식, 음운기억, 의미단어재인은 저학년보다 중학년에서 그 상관이 낮아지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 저학년에서는 음운인식, 음운기억과 수용어휘가 파생어 형태인식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나, 중학년에서는 수용어휘의 설명력이 다소 높아지고 음운인식을 앞서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초등학교 저학년과 중학년의 학년집단이 높아짐에 따라 파생어에 관한 형태인식이 발달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지속적으로 어휘수준과 의미 있는 관련을 보였다는 점을 확인했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형태인식과 어휘력과의 관련성은 다른 변인들과 달리 학년이 변화하여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경향을 보여 형태인식이 어떤 방식으로든 어휘력의 신장에 관여하며, 학령기에 걸쳐 지속적으로 발달하는 언어적 과정이라는 선행연구들과 그 맥을 같이 한다. 향후에는 형태인식과 읽기이해와의 직접적인 관련성 및 매개변인으로서의 어휘력에 관한 심도 깊은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Morphological awareness is defined as “children‘s conscious awareness of the morphemic structure of words and their ability to reflect on and manipulate that structure(Carlisle, 1995, p.194).“ As a metalinguistic knowledge, morphological awareness can be used to analyze and derive meaning of complex words and to fomulate new words using base words and affixes(Tong, Deacon, & Cain, 2014). Researchers have focused on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and other linguistic processes since the abilities appeared related to vocabulary growth and reading. Morphology has received considerably less attention. However, there has been increasing number of researches on an awareness of morphemes as an important component in vocabulary acquisition and reading success. Especially, significant association has been found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across the elementary school years(Bower & Kirby, 2010; Flowler & Liberman, 1995; Kieffer & Lesaux, 2012; Nagy, Beringer, Abbott, 2006; Spark & Deacon, 2015; Wolter, Wood, & D’zatko, 2009). Much of the researches on morphological awareness in Korean have centered on derivations. Researchers also assumed Korean morphological awareness as analogical word-formation process and suggested that analogy should be a valid device in conceptually explaining the metalinguistic skill(Song, 2002; Chae, 2003). According to estimates, children at the end of Grade 2 comprehend about 6,000 word meanings and learn about 10,000 word by the end of Grade 6(Anglin, 1993). Vocabulary knowledge in school year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ademic achievement through literacy development. Successful readers are exposed to more knowledge because they read more. Biemiller and Boote(2006, p.44) criticized “Current reading instruction is apparently premised on the view that children can build the vocabulary they need after learning to read(decode) fluently, as little of no vocabulary instruction occurs during the primary grades”. The current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morphological awareness across grade 1 through 4. This study was motiva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y the previous evidence and from the perspective of word-formation for an association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knowledge.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which variables predicted the awareness of morphemes among nonverbal intelligence, receptive vocabulary,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word recognition, and nonword recognition. The tendencies of changes on those related variables across two grade groups were also intended to investigate. The participants were 246 children from 1st grade to 4th grade from four public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City. The children were consisted with 120 males and 126 females and divided into two grade groups, low grade group(1, 2 grades) and middle grade group(3, 4 grades). The measures using were Korean-Comprehensive Test of Nonverbal Intelligence-2(K-CTON-2).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receptive vocabulary subtest.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word and nonword recognition subtests were also assessed using the subtests from KOLRA and KOLPAC. The morphological awareness was measured with two types of analogy tasks and a production task. The task involved two types of words based on the meaning of words such as derived words(real stem and real affixes) and pseudo-derived words(pseudo-stem and real affixes). Vocabulary levels were also divided into 3 levels based on competencies(low level, medium level, high level) and analyzed using them.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mixed three-way ANOVA of grade group × vocabulary level × word meaning and post-hoc tes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morphological awareness helped vocabulary growth across the school ag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hildren from 1st grade to 4th grade improved their performances on morphological awareness. Gains in morphological awareness also showed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gains in vocabulary. While the correlations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of both derived and pseudo-derived words and vocabulary were sustained through two grade groups, the correlations with morphological awareness and other variables were substantially lowered. The results were also supported by regression data. In relation to vocabulary, children across three vocabulary levels made significant differences of morphological awareness. The gaps between low levels and high levels of vocabulary from both two grade groups were especially significant. Another interesting finding was the higher achievement of derived words compared to peudo-derived words. Prior researches with school-age children have consistently reported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Carlisle, 2000; Nagy et al., 2006). Thinking of that the vocabulary from lexicon have ‘meaning’ and the meanings of derivations could facilitate morphological awareness, the results could be explained. The current study provides the basis for hypotheses about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growth.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also raise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 settings to assess and intervene at-risk school-age children. Although it remains limitations for the reciprocal contributions of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the results provided an initial step toward understanding the nature of relationship between morphological awareness and vocabulary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