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효율적인 해안경계를 위한 해무제거 및 해안에서의 미확인 물체 탐지 방안

        정민욱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효율적인 해안경계를 위한 해무제거 및 해안에서의 미확인물체 탐지 방안 정민욱 인공지능 전공 국민대학교 소프트웨어 융합대학원 한반도는 지리적 특성상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으며, 해안경계의 관리는 국가 안보와 직결된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노후화된 군 장비와 군 인력 감소 문제로 인해 해안경계 작전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현상이 존재하는 데, 이러한 배경 아래, 해당 논문은 해안경계 작전에 있어 인력 부족을 보완하고자 딥러닝 기반의 자동화 기술 방안을 도입하였다. 특히, 해안지역의 기후 특성상 발생하는 해무로 인해 저시 정 현상이 생기는 데, 이러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해무 제거 기술을 도입하여 기 존의 객체 탐지 기술과 결합, 기존의 해안 객체 탐지 기술에 대한 성능을 보다 효 율적인 방안으로 개선할 수 있는 부분에 초점을 맞췄다. Yolo, DCP, Segmentation 등 다양한 최신 알고리즘을 활용하였으며, 실험에 사용된 데이터셋은 해무 데이터 셋을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해무 제거 전 후 이미지 비교를 통해 해무 제거 후의 객체 인식률이 더 높아지는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는 미확인물체 탐지의 정확 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었다. 하지만, 여러 복합 모델을 통합하여 사용함으로써 계산량이 높아지는 점과 해무 제거에 사용된 U-net 네트워크의 복잡하고 무거운 특성 때문에 실시간 처리 속도면에서 비효율적인 결과도 도출이 되었다. 향후 연구 에서는 객체 탐지의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과 실시간 객체 탐지가 가능한 방향에 대해 연구하여 해안경계 작전에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국가 안보 측면에 중요한 진전을 이루는 것을 목표로 할 예정이다.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Peninsula,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make the management of coastal boundaries a crucial factor directly related to national security. However, due to outdated military equipment and a reduction in military personnel, there are challenges in coastal border operations. Against this backdrop, this paper introduces a solution to complement the manpower shortage in coastal border operations by employing deep learning-based automation technology. In particular, addressing the phenomenon of low visibility caused by sea fog in coastal areas, the paper focuses on improving the efficiency of existing coastal object detection technology by introducing fog removal technology in conjunction with conventional object detection techniques. Various state-of-the-art algorithms such as YOLO, DCP, and Segmentation were utilized,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a dataset containing sea fog data. Through a comparison of images before and after fog removal, the study revealed that the object recognition rate improved after fog removal, contributing to enhancing the accuracy of detecting unidentified underwater objects. However, the integration of multiple complex models led to increased computational complexity, and the use of the U-net network for fog removal resulted in inefficiencies in real-time processing speed. Future research will focus on improving the precision of object detection and exploring directions for real-time object detection, aiming to enhance efficiency in coastal border operations and make significant advancements in national security.

      • 청소년의 개인적 요인과 부모양육태도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민욱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Youth smartphone addiction has lately emerged as one of social issues, which gives rise to physical and mental problems. Adolescents are very curious and prone to addiction. They are vulnerable to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family or school circumstances, emotionally sensitive and lack self-control. In a word, they are quite impressionable. Specifically, they face a lot of difficulty in terms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in this period, and they have a tendency to immerse themselves in something like smartphones. They are still under the heavy influence of their parents, and it could be inferred from the fact that their smartphone addiction would be affected by personal factors including gender, grade of school, family economy, economic activities of parents, hours for smartphone use and family rules related to smartphone use, and that their vulnerability would closely be bound up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refore, to examine the possible impact of the dissatisfaction of adolescents with the parental attitude of their parents on smartphone addiction When related theories were analyzed, it's found that the personal factors of teens and parental attitude that is important in their relationship with parents are linked to smartphone addi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teens who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from the students who were in their 4th to 6th grades in elementary schools, who were in their first to third years in middle schools and who were in their first to third years in high schools. All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were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To test the hypothesis of the study,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sample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personal factors, hours for smartphone use exerted a positive influence on smartphone addiction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ir smartphone addiction was not affected by gender, grade of school, family economy, economic activities of parents and family rules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Regarding parental attitude, parental inconsistency and parental intrusiveness had a positive impact on smartphone addiction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ut parental supervision, parental overexpectation, parental affection and parental rational explanation didn't affect smartphone addiction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e findings of the study ascertained that the personal factors and parental attitude exercised a partial influence on youth smartphone addiction, and suggest that necessary measures should be taken such as the development of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s to raise awareness of the risks of addictive smartphone use, to improve the self-directed time management of teens for smartphone use and to change negative parental attitude. Finally,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Only cross-sectional data that were obtained by making a quantitative research were analyzed, and nonprobability sampling was used. Parental attitude perceived by the teens was investigated without reflecting actual parental attitude, and 91 percent of the respondents belonged to the general user group that scarcely found themselves to be addicted to smartphones. Therefore follow-up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as to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it's first required to set up a close smartphone addiction diagnosis system before that. 최근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중독에 대한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으며, 스마트폰 중독은 신체적, 정신적인 문제 등을 야기한다. 특히 청소년의 경우 호기심이나 중독성이 매우 높고, 외부환경에 취약하고 정서적으로 예민하며, 자기통제력이 부족하여 가족 집단과 학교집단 등의 외부 환경에 쉽게 영향을 받고, 중독이 되기 쉽다. 이 시기에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많이 겪는 시기로 스마트폰을 비롯한 다른 대상에 몰입하는 경향이 있다. 청소년은 부모로부터의 영향을 여전히 많이 받고 있으므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은 성별과 학교급별, 가정경제수준과 부모님의 경제활동여부, 스마트폰의 사용시간과 가정 내 스마트폰 사용관련 규칙 등의 개인적 요인 등이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는 것과 청소년의 취약성과 부모와의 관계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추론하여 청소년이 부모의 양육태도에 대해 불만족스러움을 느낀다면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영향을 미치게 될 수 있다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청소년의 개인적 요인과 청소년과 부모와의 관계에서 중요한 부모 양육태도의 이론적 검토를 통하여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가설의 검증을 위해 서울 및 수도권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4~6학년, 중학교 1~3학년, 고등학교 1~3학년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여 유의표집 하였으며, 가설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인적 요인과 관련하여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성별, 학교 급별, 가정경제수준, 경제활동여부, 규칙여부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의 양육태도와 관련하여 부모의 비일관성 양육태도와 과잉간섭 양육태도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부모의 감독, 과잉기대, 애정, 합리적 설명 양육태도는 청소년 스마트폰 중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개인적 요인과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일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스마트폰의 중독적 사용으로 인한 위험성의 인식, 청소년들의 자기주도적인 적절한 스마트폰 사용시간 관리, 부정적인 부모 양육태도의 개선 등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등 방안 마련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양적 연구로써 일회성 횡단자료를 바탕으로 한다는 점과 비확률 표본추출방식을 활용하였다는 점, 청소년들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를 조사하였기 때문에 실제 부모의 양육태도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점, 응답자의 91%가 스마트폰 중독을 거의 느끼지 못하는 일반 사용자군이 91%로 나타난 점에서 한계를 지닌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와 관련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그 이전에 스마트폰 중독과 관련한 면밀하고 자세한 진단체계 확립을 위한 연구가 선행되어야할 필요가 있다.

      • 저강도 초음파가 수소 암발효 성능 및 미생물 군집에 미치는 영향

        정민욱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Hydrogen is prospective energy for next generation. In this global warming age, many efforts to stop global warming is carried out in many field. Especially, hydrogen energy is a best clean energy. Because hydrogen emit no carbon dioxide after combustion but only emit H2O, and have high specific energy. There are two ways to produce hydrogen energy,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fermentation. physicochemical method consume too much energy, so it has no advantage from the point of view of environment. There are two ways of fermenting hydrogen biologically. one is photo-fermentation, and the other is dark-fermentation, that is anaerobic hydrogen ferment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dark fermentation has sustainability. There were many attempts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the anaerobic reactor through changing reactor’s form or applying pretreatment substrate. UASB reactor and EGSB reactor are two of them. And there are some research for appliance of effluent recirculation for rapid formation of granules. Microbial granule can enhance performance of UASB and EGSB reactor because of high concentration of microbes with high settling velocity. And some research that applied low-strength ultrasonication into the anaerobic methane producing reactor so that enhancing microbial activity. This research applied low-strength ultranosication and effluent recirculation on the EGSB reactor. Four reactor were named contingent on whether appliance of recirculation of effluent and low-strength ultrasonication. Each reactor named as Control (C), Control + Recirculation (CR), Ultrasonicated (U), Ultrasonicated + Recirculation (UR). In result, low-strength ultrasonication enhances the hydrogen production in the aspect of not only biogas production and hydrogen partial pressure, but also hydrogen yield per mole glucose. The effluent recirculation has few enhancement. But UR has less performance than U. The reason is expected that recirculation of effluent in the EGSB reactor makes granules expanded. But the ultrasonication vibrator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eactor. So the effect of ultrasonication is diluted by expanded microbial granules. The effluent VFA was analysed. There was no obvious difference of the composition of VFA among the reactors. But there was a one clear feature that the propionic acid was few exist in U reactor. It considered that ultrasonication degassed hydrogen from the reactor, and it induced microbial pathways thermodynamically not to ferment propionic acid. We calculated mass balance through COD recovery. There was difference of COD recovery rate between reactors. U reactor has almost 99% recovery of SCOD, but C and CR reactor has only 85.5% 89.9% recovery of COD respectively. There was a physical difference among granules size. recirculated reactors granules (CR, UR) are bigger than not recirculated one, both ultrasonicated or not (C, U) respectively. And the ultrasonicated (U, UR) is bigger than the other one both recirculated or not (C, CR) respectively. In brief, ultrasonication and effluent recirculation make microbial granules bigger. Recirculation induces more shear strength to microbes, and reduces Gibb’s Energy between cells, and they have more chance to contact other microbes. Consequently recirculation makes bigger granules. And ultrasonication is seen to make microbes excrete more Extracellular Polymer Substances (EPS), therefore granules are bigger than not ultrasonicated one. We can conclude that through VP-SEM image of each granule. High magnification of VP-SEM, the microbial community seems to have different colony. So we carried out High-throughput sequencing analysis to discuss from the view of molecular analysis. As a result, microbial community was different. Diversity of microbial community of seeding sludge reduced after running of each reactor. It seem that adaptation of microbes. The short HRT is harsh condition because short HRT accumulates produced acids, consequently lowers pH of reactor. And U reactor is more dominated by Clostridium pasteurianum than other reactors. This species is known to produce molecular hydrogen, butyric acid and acetic acid. So it is seen that the result of enhanced hydrogen production would be affected by bacterial community. other bacterial dominant genus was Enterobacter which is known to ferment lactic acid. The Volatile Fatty Acid (VFA) result also showed that lactic acid is the most dominant VFA.

      • Characterization of SiC nanowire synthesized by thermal CVD

        정민욱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dimensional nanosturctures such as nanowires and nanotube have been mainly proposed as important components of nano-electronic devices and are expected to play an integral part in design and construction of these devices. Silicon carbide(SiC) is one of a promising wide bandgap semiconductor that exhibits extraordinary properties, such as higher thermal conductivity, mechanical and chemical stability than silicon. Therefore, the synthesis of SiC-based nanowires(NWs) open a possibility for developing a potential application in nano-electronic devices which have to work under harsh environment. in this study, one-dimensional nanowires(NWs) of cubic phase silicon carbide(β-SiC) were efficiently produced by thermal chemical vapor deposition(T-CVD) synthesis of mixtures containing Si powders and hydrocarbon(CH4) in a alumina boat about T = 1400 ℃ SEM images are shown that the temperature below 1300 ℃ is not enough to synthesis the SiC NWs due to insufficient thermal energy for melting of Si Powder and decomposition of methane gas. However, the SiC NWs are produced over 1300 ℃ and the most efficient temperature for growth of SiC NWs is about 1400 ℃ with an average diameter range between 50 ~ 150 nm. Raman spectra revealed the crystal form of the synthesized SiC NWs is a cubic phase. Two distinct peaks at 795 and 970 cm-1 over 1400 ℃ represent the TO and LO mode of the bulk β-SiC, respectively. In XRD spectra, this result was also verified with the strongest (111) peaks at 2θ= 35.7°, which is very close to (111) plane peak position of 3C-SiC over 1400 ℃. TEM images are represented to two typical β-SiC NWs structures. One is shown the defect-free β-SiC nanowire with a (111) interplane distance with 0.25 nm, and the other is the stacking-faulted β-SiC nanowire. Two SiC nanowires are covered with SiO2 layer with a thickness of less 2 nm. Moreover, by changing the flow rate of methane gas, the 300 sccm is the optimal condition for synthesis of a large amount of β-SiC NWs.

      • Aerodynamic Effects of Longitudinal Strips on a Low Reynolds Number Airfoil : 종방향 스트립이 낮은 레이놀즈 수익형에 미치는 영향

        정민욱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 the aerodynamic effects of longitudinal strips on a two-dimensional, low Reynolds number airfoil (SD7003). The experiment is conducted in a wind tunnel at Rec = 0.6×10^5 and 1.0×10^5, based on the free-stream velocity U∞ and the chord length c. By varying the width (w), height (h), and spacing (s) of the longitudinal strips, we measure the lift, drag and velocity field near the airfoil surface. The longitudinal strips delay the stall by up to 3◦ in the ranges of 0.02 ≤ s/c ≤ 0.10 and 0.02 ≤ w/c ≤ 0.06. Delayed stall causes an increase in lift and decrease in drag, resulting in a significant increase of the lift-to-drag ratio, as compared to the airfoil without strips. Velocity measurements at AOA = 11.4◦ showed that separated flows reattach on the airfoil surface at the leading edge due to streamwise vortices. 본 연구에서는 종방향의 스트립이 이차원 SD7003 익형의 공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익형의 시위길이에 기반한 레이놀즈 수 과 에서 풍동 실험을 수행하였다. 종방향 스트립의 폭과 높이, 스트립 간의 너비를 조정해가면서 양력과 항력을 측정하였으며, 익형의 표면 근처에서 유동장도 분석하였다. 종방향의 스트립은 실속 받음각을 약 3도 정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이로 인하여 실속 받음각 근처에서 양력이 증가하고 항력이 감소하였다. 이로 인하여 양항비가 상당히 증가하였다. 실속 받음각 근처인 11.4도에서 속도장을 측정한 결과, 날개의 전연에서 발생하는 유동방향 와류로 인하여 유동이 재부착되어 실속이 지연됨을 확인하였다.

      • VDSLR을 이용한 디지털영상제작(NLE)에 관한 연구

        정민욱 세종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수년 전부터 방송현장에서 영상장비로 쓰이기 시작한 VDSLR 카메라 활용에 대한 것이다. VDSLR은 특유의 색감과 경제성으로 초기에는 소규모 프로덕션이나 개인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방송영상 전반에 걸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VDSLR은 이런 사용자의 확대를 넘어서 이제는 카메라 시장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키워드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특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무분별하게 사용하고 있다는 비판도 있다. 연구를 통해서 VDSLR의 기본 특성을 알아보고 또 기존 영상장비와의 차이점을 분석해 본다. 또한 VDSLR로 촬영된 영상을 최종 완성물로 이어주는 NLE 프로그램(이하 NLE)의 지원 검증으로 얼마나 방송장비에 가까이 접근해 있는 가를 알아본다. 이 연구를 통해 VDSLR 카메라를 활용한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제작 방법을 알아봄으로써 VDSLR을 이용한 프로그램 제작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 2,3 위치에 치환체가 붙은 1,1-디플루오르-1,3-부타디엔의 합성과 합성적 이용

        정민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3,4,4,4-Tetrafluoro-2-phenylsulfonylbutene을 ether 용매 하에서 친핵체와 반응시킨 결과 2,3 위치에 동일 치환체가 도입된 화합물이 71-91 %의 수율로 합성되었다. Phenyllithium 유도체 중 전자를 밀어내는 치환체가 페닐기에 도입된 경우는 비교적 쉽게 반응이 진행되었으나, 전자를 당기는 치환체가 페닐기에 도입되어 있을 경우는 반응이 진행되지 않거나 소량만이 반응하였다. 반응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phenyllithium과 sodium phenylsulfide를 이용하여 낮은 온도에서 치환반응을 수행한 결과 phenyllithium 계열의 시약은 술폰기가 먼저 첨가-제거 반응을 거친 뒤 불소가 치환되는 현상을 보였으며 sodium phenylsulfide의 경우는 이와는 반대로 불소가 먼저 첨가-제거 반응을 하였다. 3,4,4,4-Tetrafluoro-2-phenylthiobutene에서 단계적으로 불소를 먼저 치환시키고, 산화반응을 거쳐 술폰기를 다른 친핵체로 치환시킬 경우 2,3 위치에 서로 다른 치환체가 도입된 위치이성질체를 65-71 %의 수율로 합성할 수 있었다. 이러한 2,3 위치에 치환기가 도입된 화합물을 이용하여 알릴 위치에 브롬이 도입된 화합물을 NBS를 이용해 일반적인 방법으로 82-92%의 좋은 수율로 합성하였다. 알릴브롬화 반응을 통해 얻은 화합물을 이용해 알릴 위치의 브롬과 반응할 수 있는 금속을 찾아보았다. 마그네슘 (Mg)을 썼을 경우 불소가 1,4-제거 반응이 일어나면서 디엔을 형성하였으며 이 방법으로 2,3 위치에 치환기가 도입된 디엔을 21-91 %의 수율로 합성할 수 있었다. 이중결합에 메틸기가 아닌 부틸기가 있을 경우는 β위치의 수소가 제거반응이 더 쉽게 일어나는 현상을 보였다. 이렇게 합성한 부타디엔의 합성적 이용도를 알아보기 위해 다양한 친디엔성 물질과 반응시켜 보았으나 일반적인 불소화 디엔처럼 반응이 진행되지 않았다. 브롬과 메탄올을 이용하여 친전자성 첨가반응을 통해 이중결합에 대한 반응성을 알아보려고 하였으나 분석 불가능한 물질을 얻거나 반응이 진행되지 않았다. 용매로 메탄올을 이용하여 NaH를 첨가해서 반응을 시킬 경우 첨가-제거 반응에 의해 불소가 메톡시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94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The reaction of 3,4,4,4-tetrafluoro-2-phenylsulfonylbutene with nucleo-philes in ether afforded symmetrical 2,3-disubstituted olefins in 71-91 % yields. In the case of phenyllithium derivatives included electron donating groups, the addition-elimination reaction occurred easily. However, phenyllithium derivatives included electron withdrawing groups provided a messy reaction mixture. The reaction of 3,4,4,4-tetrafluoro-2-phenylthiobutene with phenyllithium derivatives afforded β-substituted vinylsulfides, which were oxidized to provide β-substituted vinylsufones These compounds were further treated with other phenyllithium derivatives giving unsymmetrical 2,3-disubstituted olefins in 65-71 % yields. The reaction of fluorinated 2,3-disubstituted-2-butenes with N-bromo-succinimide afforded 1-bromo-4,4,4-trifluoro-2,3-disubstituted-2-butenes in 85-91 % isolated yields. When these compounds were reacted with magnesium in ether at reflux temperature for 1 hour, 1,1-difluoro-2,3-disubstituted butadienes were obtained in 21-91% isolated yields. The synthetic utilities of fluorinated butadienes have been examined. The cycloaddition reaction of fluorinated butadienes with various dienophiles did not occur at all. The addition reaction with bromine or methanol was not proceeded either. However, the addition-elimination reaction with methoxide could be accomplished.

      • 해남 가사도 금광석의 분쇄 및 부유 선별 공정의 전산 모사에 관한 연구

        정민욱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해남 가사도 금광산 광석의 분쇄 및 계면 화학적 특성을 조사 및 분석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분쇄 및 부유 선별 공정의 전산 모사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분쇄 일지수를 이용하여 광석의 분쇄 특성을 파악 후, 선택 함수, 분쇄 함수 실험을 이용하여 각 입도의 광석이 특정 분쇄 조건에서 분쇄되는 확률 및 분쇄 산물의 입도를 측정할 수 있었다. 실험 조건에서의 결과를 Austin의 스케일업 함수를 활용하여 실제 금광산 플랜트에서 분쇄되는 조건에 맞춰 전산 모사한 후, 이를 플랜트에서 측정한 자료와 비교해 보았다. 전산 모사 결과와 측정된 플랜트의 자료가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볼밀에서 분쇄 매체 크기, 채움 비율, 회전 속도 관련 공정 변수를 전산 모사 한 결과, 80 mm와 50 mm 볼에서 80 mm 볼의 투입 비율이 1에서 0.5로 작아지면, 분쇄 산물의 누적 80 wt.% 입도(P80)가 31%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채움 비율이 0.5에서 0.4로 낮아지면, P80이 25%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회전 속도가 0.95에서 0.75로 임계 속도에서 벗어나면, P80이 39%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촉각 및 제타 포텐셜을 측정하여 가사도 금광석을 구성하는 광물의 계면 화학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실험실 규모의 Denvor 부유선별기를 이용하여 순수 광물 부유선별 실험을 수행하였다. 계면 화학적 특성을 입력하여 전산 모사한 결과를 실험 결과와 비교하니, 측정된 값과 전산 모사 값이 거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물의 접촉각과 입도를 바꾸어가며 전산 모사를 수행한 결과, 접촉각이 35―85 범위에서 증가하면 부유 선별 속도 상수가 8-10배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도가 25―180 ㎛ 범위에서 클수록 부유선별 속도 상수가 10배까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grinding and flotation process for the gold ore in Haenam Gasado gold ore was performed using grinding and interfacial characteristic analysis. Bond grindability test was utilized to characterize gold ore grinding properties. In addition, selection and breakage function were measured to quantify the probability of breakage and product size distribution. These experimental data was scaled up to the gold ore plant condition. The scale-up data was compared with the plant data and matched well. Ball mill process variables such as ball size, ball filling ratio, and rotation speed were investigated. As the 80 mm ball ratio to 50 mm, ball filling ratio, ball mill rotation speed to critical speed decreased from 1 to 0.5, 0.5 to 0.4, and 0.95 to 0.75 each, it was identified that P80 was reduced by 31%, 25%, and 39%. Minerals’contact angle and zeta potential constituting Gasado gold ore was measured to obtain interfacial characteristics. Denvor flotation machine was chosen to perform flotation experiment using pure minerals. Simulation result utilizing interfacial information was compaered with experimental data and matched well. Froth flotation process variables such as contact angle and particle size of minerals were investigated. As the mineral contact angle and particle size increase from 35 to 85 degree and 25 to 180 ㎛ each, it was identified that flotation rate increased 8―10 times and 10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