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삼성분계 전해질 용액에서 리튬 이온 이차전지의 저온 특성 연구

        정명우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성분계 전해질 용액을 이용한 리튬 이온 2 차 전지는 carbon 전극표면에 compact 한 film 을 형성시켜 리튬과의 반응을 억제시킴으로서 실온에서 우수한 에너지 밀도와 cycle 성능을 갖는다. 그러나 이들 전해질 용액은 저온에서 용량 손실과 cycle 수명을 저하시키는 단점을 안고 있다. 왜냐하면 사용하는 전해질 용액의 녹는점에 의존하는 저온에서는 이들 전해질 용액의 전도성이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저온에서 방전용량과 cycle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EC 와 DEC 용매에 3^rd 용매 EA를 첨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전해질 용액으로는 1 M LiPF_6/EC:DEC(4:6, 부피 비)로 제조한 이성분계 용액과 3^rd 용매 EA를 첨가한 1 M LiPF_6/EC:DEC:EA(4:3:3, 부피 비) 용액을 사용하였다. 부극으로는 이흑연화성 탄소질 재료로 알려진 KMFC를 사용하였으며 리튬 금속과 함께 Half cell을 구성하였다. 저온 특성에 대한 실험은 chronpotentiometry, cyclic voltammetry, impedance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그리고 IR spectroscopy 를 통하여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EC:DEC:EA 는 상온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 우수한 방전 용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3^rd 용매로 선택된 EA가 낮은 녹는점을 갖기 때문에 이온 전도성을 향상시켰고 전해질 분해로 형성된 표면 film 이 리튬 이온이 원활히 충방전 되도록 부극을 보호 해주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결국, EC:DEC:EA는 실온 뿐만 아니라 저온에서 우수한 cycle life를 가져다 줄 것으로 생각된다. The commercialized lithium ion secondary batteries using binary mixtures as cosolvent of electrolyte have an excellent energy density and cycle performance at room temperature due to undergo a limited reaction with lithium to form a compact solid electrolyte interface films on the carbonaceous anodes. However, one of disadvantages related to the use of the binary mixtures as co-solvents of electrolyte is capacity fade and cycle life loss of the battery at low temperature. Because conductivities of these mixtures fall rapidly during charge/discharge at the temperature of under melting point. And so, we examined the effect of adding ethyl acetate 3^rd solvent being selected on melting point, low viscosity, and appropriate liquid range to further enhance excellent discharge capacity and cycle life at low temperature. The binary mixture in 1 M LiPF_6/EC:DEC(4:6, volume ratio) electrolyte was used as a comparative baseline system. The ternary mixture was prepared as 1 M LiPF_6/EC:DEC:EA(4:3:3, volume ratio) by adding ethyl acetate as 3^rd solvent. Half cell consisted of a KMFC containing anode as a known graphitezable carbon material. Studies of low-temperature properties were investigated by using chronpotentiometry, cyclic voltammetry, impedance spectroscop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d IR spectroscopy. EC:DEC:EA displayed excellent discharge discharge capacity, especially at low temperature. It is evident that EA as 3^rd solvent enhances ionic conductivity due to low melting point and the surface film by electrolyte decomposition provides the anode with adequate protection, while permitting charge transfer. Overall, we believe that EC:DEC:EA will have good cycle life at low temperature as well as room temperature.

      • In situ strain development of Pt nanocrystal during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정명우 서강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Platinum nanoparticles play vital role in catalytic oxidation, such as catalytic reforming, hydrogen evolution, complete combustion, and fuel cell. Such a process entails the oxidation and reduction of platinum catalyst. The study was done in chemical point of view [1-3] in various way yet, above catalytic process in strain dynamics view was not conducted. In this study, we measured internal strain development of Pt nanocrystals under hydrogen peroxide decomposition process. We performed in situ time resolved Bragg coherent diffraction imaging with Pt nanoparticles using liquid flow cell with flow adjustable pump. Pt nanoparticles are grown in Al2O3 substrate by dewetting method. The result shows change in internal phase map as well as oscillatory response of platinum nanoparticles during H2O2 contact. We expect this work gives important clue of the understanding of the evolution of internal strain field of Pt nanoparticle during H2O2 decomposition process which are one of the important oxidation catalytic reactions. This clue can help to design efficient nanoparticle and to understand degradation process during oxidation reaction.

      • 물류산업 내 플랫폼 비즈니스모델 사례연구

        정명우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관과 이동이라는 물류의 본원적 기능이 플랫폼을 통해 새롭게 변화하는 현상을 연구하며, 플랫폼의 분업화 과정을 다양한 형태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대표적으로 전자상거래 산업, 전통적 물류산업 그리고 ICT산업 내부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존재하는 물류의 형태를 살펴본다. 현재 물류는 이종사업 간의 융합(Convergence)을 통해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물류산업은 플랫폼을 통해 사업의 다각화를 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변화의 중심에 있는 대표 업체의 사례연구를 통해서 서비스 역량을 분석하고, 향후 물류 플랫폼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차량 익명성을 보장하는 그룹서명 기반 차량용 결제 프로토콜 설계

        정명우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CV(Connected Vehicle) 기술은 크게 차량에 안전 관련 서비스와 사용자 편의성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안전 관련 서비스는 차량 운행에 관한 정보들을 지속적으로 주변 차량 혹은 기지국에 전송하므로 프라이버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에 안전 관련 서비스는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해서 차량 익명성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나 결제 서비스와 같은 편의성 관련 서비스가 차량 익명성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 안전 관련 서비스와 관련된 개인정보 또한 보호받을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BU(Backward Unlinkability)-익명성과 추적성(traceability)을 제공하는 그룹 서명을 기반으로 결제 프로토콜을 설계하였다. 제안하는 결제 프로토콜은 결제 시스템 구성요소의 역할을 분리하여 거래내역으로부터 차량을 추적할 수 없게 하였다. 또한 차량용 결제 프로토콜이 만족해야하는 보안 요구사항들을 정의하고 제안한 프로토콜이 이를 만족함을 보였다.

      • 그리드 컴퓨팅 환경하에서 CFD를 위한 Cactus의 모듈 개발

        정명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그리드 환경을 위한 PSE인 Cactus를 사용하여 3차원 wedge 충격파의 모사를 하였다. 기존에 개발되어진 Cactus환경을 전산유체 역학에 적용하기 위해 3차원 Euler방정식을 사용하였으며, 작성된 쏜의 검증을 위해 병렬 컴퓨팅 환경과 그리드 컴퓨팅 환경에서 계산을 실행 해 보았다. 사용되어진 수치기법으로는 Roe's FDS와 AUSMPW+ 기법을 사용하여 플럭스를 계산하였다. 시간 적분법으로는 외재적 방법인 Euler Explicit 기법과 내재적 방법인 LU-SGS 기법을 도입하였으며, 격자계로서는 현재 Cactus에서 제공되고 있는 격자계의 제한으로 인해 카테시안(Cartesian) 격자계를 사용 하였다. Cactus의 프레임에 맞추어 기존의 순차적인 CFD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변환시키기 위해, CFD코드의 알고리듬의 모듈화에 관한 가능성을 조사하였으며 Cactus에서 지향하는 객체지향적인 성격을 갖도록 코드를 분할하고, 쏜(thorn)이라는 모듈을 만들었다. 개발되어진 쏜으로는 유동장의 초기조건, 격자계의 메트릭과 볼륨, 국소 시간전진, 플러스 계산, 경계조건의 적용 등을 위한 쏜 개발이 이루어 졌다. Cactus의 실행 환경을 위해 그리드 환경 구축을 위한 미들웨어인 글로버스(Globus), MPICH-G2등을 설치하였다. This paper shows the simulation of 3-dimensional wedge shock using Cactus as a PSE(Problem Solving Environment) for the Grid Computing. 3-dimensional Euler equations as governing equations are applied to Cactus frame. The written thorns using CFD code are verified in local parallel computing and Grid computing environment. The numerical methods used Roe's FDS and AUSMPW+ for flux schemes and Euler explicit and LU-SGS method for time integrations. And the used grid system is a cartesian coordinate because of restriction of grid serviced by Cactus. To transform a serial CFD code into Cactus frame, it is investigated possibilities for modularity of CFD code. So it wrote thorns like Euler3DBC, Euler3DIdata, Euler3DMetric, Euler3DTime, Euler3DEvolve, Euler3DJacoMat and Euler3DScheme as modules for the 3-dimensional Euler solver. The thorns are developed for initial conditions of flow field, metrics and volume, local time stepping, flux, boundary conditions and jacobian matrix over components of a serial 3-dimensional Euler code. To build the computing environment to execute Cactus in Grid, it is installed Globus and MPICH-G2 on linux parallel machi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