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STT기법을 응용한 지상전술C4I체계(ATCIS)의 제대간 연동자료 우선순위 결정 연구

        정남희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래전은 어디에서든 적시에 적합한 정보를 획득하여 활용하고, 관련된 부대(서)와 상호 협조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보의 유통에 기반을 둔 네트워크 중심전(Network Centric Warfare)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지상전술C4I체계인 ATCIS체계는 운용을 위한 가장 중추적인 기반체계인 전술통신체계(SPIDER) 에서 지원하는 통신 대역폭의 용량과 통신의 품질(BER)으로 인하여 요구된 각종 전장상황에서 발생하는 정보의 공유를 위한 제대간 데이터 유통이 제한됨에 따라, 많은 개발된 기능 중 일부기능의 사용을 제한(메뉴 비활성화) 하였으며, 제대간 자료 공유를 위하여 연동되는 자료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구현하였으나, 자료 우선순위의 결정에 있어서 자료의 중요도를 몇 개의 개략적 기준을 선정하여 군사전문가 및 관련 실무자에 의한 직관적인 방법으로 각 자료항목의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사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제대간 연동자료 우선순위를 좀 더 과학적이고 정량화하여 결정하기 위하여 계층적 분석기법(AHP) 및 전략목표지향 임무분석법(STT)을 응용한 체계 임무목표의 계층구조의 설정, 조사·분석을 위한 설문지 개발 및 설문활동, 설문결과를 분석하여 중요도를 계량화하는 방법의 우선순위 결정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안은 지상전술C4I체계의 임무수행 목표(최상위 계층)로부터 체계목표 달성을 위한 각 연동자료(최하위 계층)까지의 계층구조를 구축하고, 최상위계층의 중요도는 AHP 기법의 쌍비교를 활용하여 산출하고, 이하는 상위계층에 기여도하는 정도에 따라 하위계층 각 항목의 중요도를 산출하는 방식으로서 최종적으로 최하위 계층인 제대간 연동자료에 대한 각각의 중요도를 산출하는 방식으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우선순위 결정 방법의 실제 적용가능성 확인을 위하여 체계 개발 참여자를 중심으로 제시된 설문지에 따라 설문활동을 수행하였으며, 설문 결과를 제시한 모델을 적용하여 중요도를 산출하여 기존의 직관적으로 결정한 우선순위와 비교한 결과 그 유사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개인의 주관적 관점이 아닌 다수의 참여자로부터 더욱 객관화하여 정량적으로 우선순위를 결정 할 수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되었다. Future Warfare is being changed into the Network Centric Warfare based on the information circulation which to carry out cooperative missions with the relevant units by obtaining and using the appropriate information in any war environments. The Ground tactical C4I system known as ATCIS has its limitations on data circulation for information sharing in various required battlefield due to the capacity of network bandwidth and the quality of communication(BER) offered by the fundamental base system for management, SPIDER. Thus the ATCIS has set a limit to use some of its developed functions and materialized the program in order of priority to share information among units. To determine priorities, several rough figures are used by military experts and officials. To make a more scientific and quantitative decision for priorities of the linking data, this thesis proposes a decision making model for determining priorities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and STT(Strategy to task), settlement of level structure of systematic mission goal, a questionnaire development for research and analysis and a priority decision making model according to analysis of result of the survey. The suggested model builds a level structure from a mission performance goal of the ATCIS (the highest level) to the each linking data for the achievement of systematic goal (the lowest level). Priorities of the highest level is calculated using a pair comparing of AHP method and priorities of the lower level are determined using a method calculating each one's priority for the linking data among echelons according to the level of contribution to a higher level. This thesis uses the survey based on related system developers to confirm practical applicability of the suggested priority decision model. The result, comparing calculated priority according to the suggested model with intuitive priority, proves the similarity of both cases. As a result, it is certain to state that the priority can be objectively determined not only by an individual’s subjective point of view but by quantitative method with various participants.

      • 일본어 청취 학습 전략에 관한 연구

        정남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With the recent growing emphasis of overwhelming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communicative language skills are largely needed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listening skills as comprehensive competency that highly regards practical values are emphasized. Listening is the essential means in order to receive many kinds of information so that listening skills should be firstly learned in foreign language learning. Moreover, the importance of listening skills should be stressed in terms of its easiness to be transferred into other language skills. However, for the importance of listening skills, it is not performed well by teachers with effective and intensive listening teaching skills in a real classroom. Furthermore, learners show inactive and passive attitudes toward their language class. To overcome this problem regarding learner's inactive and passive attitudes, Whole Learning Method, a concept of a strategy, that learners use to comprehend contents of their listening, is adapted and applied. It is proved that learners who effectively use various strategies in each stage of their foreign language level are more likely to produce better results than the students who do not. However, precedence studies have demonstrated only the effects of learning strategies but have not present specific and manifold strategies that can be applied to improve listening skills. Thus, this study presents various learning strategies that are essentially needed and effectively applied to enhance Japanese listening skills, by seeing different types of problems. This study also suggests strategies and methods for learners to solve the problems easier and faster so that help learners to use the strategies and methods in self listening skill study. Furthermore, this study deals with lesson plans for teachers to use and to increase learner's participation in a Japanese classroom. The details of the content of this study are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listening and then to reveal its role and importance, as well as to examine the specific abilities of listening based on which listening strategies are applied, and also the process of listening. Learning strategies are divided into six strategies: strategy to understand sound features, strategy to understand scenes and situations, strategy to understand pictures, maps, and letters, strategy to comprehend information given by listening, strategy to understand purposes, and strategy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a story, and each strategy is presented with its own sub- classifications. The strategy to understand sound features is explained with listening to interval geminates, vowel omissions, カタカナのことば, and voiceless vowels. The strategy to understand scenes and situations is mainly divided into comprehending of decision required problems and understanding of questions, and then understanding of questions is explained with finding out 'times, numbers, places, objects, and causes or reasons.' The strategy to understand pictures, maps, and letters means that learners get to know about the pictures, maps and letters by listening, and is presented in different kinds: people, places, objects, graphs, and amounts. The strategy to comprehend information given by listening presents selection questions, blank questions, and questions asking sentence level answers. The strategy to understand purposes is manly divided into pre-listening stage and post-listening stage, at the pre-listening stage predicting content and understanding relevant vocabulary are suggested, and at the post-listening stage making sure of the vocabulary listened, examining the genuineness of the content, answering questions, and arranging are presented by order. The strategy to predict the development of a story deals with listening carefully to the simultaneous expressions, accents, rhythm, tempo of the whole story, understanding the content of the story, based on vocabulary listened, and predicting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story. Lastly, in order to practically use these strategies, lesson plans that can be applied to a real Japanese classroom are suggested in this study. To perform effective listening activities, various kinds of listening abilities should work together, therefore, this study specifies the listening abilities and divides them, sets strategies for the each listening ability, and suggests specific methods. What is more, the strategies mentioned in this study should not be applied separately, bu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liberate practical communication of learners in their real life by learning integrated listening abilities from strategies with which learners develop and practice their specific listening abilities. This study is also expected to help learners solve their listening problems easily and immediately by performing the strategies, and to develop listening activities that felt passive and difficult by limited listening strategies. In spite of the limitations that these strategies are not verified in an actual classroom setting, suggesting listening learning strategies and their specific methods could be a small contribution to the filed of Japanese Education that seldom has studies in learning strategies. (초록) 최근 세계화․정보화의 물결로 외국어 교육에서 의사소통능력 배양이 절실히 필요해짐에 따라 실용적 가치를 중시하는 이해 기능의 청취 분야가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청취력은 다양한 정보를 수용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수단이므로 외국어 학습 시 가장 우선적으로 습득되어야 할 기능이고, 다른 언어 능력으로의 전이가 잘 이루어진다는 점에서도 그 중요성은 강조된다. 그러나 실제 교실 현장에서 청취는 그 중요성에 비해 교사들이 효과적인 청취 수업을 집중적으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고, 학습자 역시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소극적이고 수동적인 청취 학습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방법으로, 학습자가 듣는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든 학습 방법이라는 전략(strategy)의 개념을 청취 학습에 적용시켜 활용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런 다양한 전략들을 각 단계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학습자들은 그렇지 못한 학습자들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는 것이 많은 연구를 통해 입증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이 학습 전략의 효과를 입증하는 데 그쳤을 뿐 청취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이고 다양한 전략을 제시하지는 못했다. 이에 본 연구는 일본어 청취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청취 학습에서 기본적으로 필요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 전략을 문제 유형별로 제시하고, 그 문제들을 보다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는 전략과 방법을 제시하여 일본어 학습자들이 자율적인 청취 학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교사들이 일본어 수업에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참여를 높이는 수업이 될 수 있도록 지도 방안도 함께 모색해 보았다.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먼저 청취의 개념을 살펴보고, 이어 언어 학습에 있어서의 청취의 역할이나 그에 따른 중요성 밝혔다. 또한 청취 학습 전략을 고안하는 토대가 된 청취력 세부 능력과 청취의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청취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전략들을 고안하여 제시하였다. 학습 전략은 크게 음성의 특징을 파악하는 전략, 장면․상황을 파악하는 전략, 그림․지도․문자를 파악하는 전략, 필요한 정보를 듣고 파악하는 전략, 대의를 파악하는 전략, 이야기의 전개를 예측하는 전략 이렇게 6가지로 나누고, 다시 각 영역을 하위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음성의 특징을 파악하는 전략으로는 촉음 듣기, 모음탈락 알아듣기, 가타카나로 표기되는 단어 알아듣기, 모음의 무성화 알아듣기로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장면․상황을 파악하는 전략으로는 크게 판정요구 질문 파악하기와 의문사형 질문 파악하기 두 부분으로 나누고, 다시 의문사형 질문 파악하기는 시간․숫자 파악하기, 장소 파악하기, 대상 파악하기, 원인․이유 파악하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림․지도․문자를 파악하는 전략은 듣기 내용을 듣고 해당하는 그림․지도․문자를 파악하는 전략으로 사람, 장소, 시간, 대상, 그래프․수량으로 종류를 나누어 제시하였다. 필요한 정보를 듣고 파악하는 전략으로는 선택형 문제, 빈 괄호 채우기 문제, 문장으로 답하기로 세 가지 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의를 파악하는 전략으로는 크게 듣기 전의 단계와 듣기 후의 단계로 나누고, 듣기 전의 단계로는 내용 예측하기, 관련 단어 파악하기를 제시하였고, 듣기 후의 단계로는 들은 어휘 확인하기, 내용의 진위 파악하기, 질문에 답하기, 정리하기의 순으로 단계별로 제시하였다. 이야기의 전개를 예측하는 전략으로는 호응하는 표현에 주의해서 듣기, 문 전체의 억양 ․리듬․속도에 주의해서 듣기, 들은 어구를 중심으로 내용을 이해하고 다음 전개를 예측하기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이런 청취 학습 전략을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고안하여 제시하였다. 효과적인 청취 활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청취 능력이 복합적으로 작용되어야 하는 것이므로 본 연구는 청취 능력을 세부적으로 나누어 각각의 전략을 세우고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각 전략들은 각각의 전략들을 전부 따로 적용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 전략들의 세부적인 연습을 통해 각각의 능력을 키우고, 이런 능력들이 합쳐져서 복합적인 능력을 이루어 학습자들의 현실 생활에 효과적인 의사소통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청취 활동에 활용되는 제한된 청취 방법으로 수동적이고 어렵게 느껴진 청취 학습의 개선을 위해, 다양하고 유용한 청취 전략들을 소개해 줌으로써 학습자들이 여러 가지의 청취 과업을 수행할 때 그 전략들을 활용하여 청취 문제를 쉽고 빠르게 해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비록 이런 전략들을 실제 현장에서 검증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으나, 학습 전략을 활용한 연구가 거의 없는 일본어 교육에서 청취 학습 전략과 방법 제시는 일본어 청취 학습에 작은 기여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한ㆍ중ㆍ일 의성어ㆍ의태어 비교연구 :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정남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소학교 국어 교과서와 한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初학교 語文 교과서에 사용된 의성어․의태어를 가지고, 의음어․의태어의 일반적 특징과 구성 형식, 음운 대조 비교, 감각 분류 및 사용 용례를 검토해 보았다. 일본어 사전 『広辞林』에서 의성어란「사물의 음성이랑 자연의 음향을 흉내낸 말」, 의태어는「음향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는 사물의 상태 등을 묘사하는 말」이다. 『浅野辞典』(角川書店)에서는 의음어를「외계의 음을 옮겨놓은 말」, 의태어는「소리 나지 않는 것을 음에 따라 상징적으로 표현한 말」로 설명되어 있다. 중국어 사전으로 『現代漢語詞典』(1999)에서는 의성어를 또 象聲詞라고 한다. 전문적으로 소리를 모방하는 단어를 가리킨다. 그리고 의태어란 象形语라고도 한다. 상징적으로 현실의 소리 이외에 사람이나 사물의 몸짓과 상황을 표시하는 단어이다. 한․중․일 삼국의 표준어에서의 의성어․의태어를 분석한 결과, 다음의 네 가지 정도로 그 문법적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일본어의 의태어는 조사「と」,「に」를 동반하는데, 한국어는 아무것도 붙지 않으며, 간혹 ‘이’ ‘히’ ‘짝’ ‘쩍’ 등과 같은 접미어가 붙는다. 중국어의 의성어는 狀語로 ‘의성어 + 동사’ , ‘의성어 + 地 + 동사’의 형식을 취한다. 둘째, 일본어의 의태어는 조사「に」를 동반하여「する」「なる」에 연결되며, 한국어는 ‘거리다’ ‘이다’ ‘대다’ 등을 붙여 상징동사로 전성된다. 중국어는 의성어가 동사로 바꾸어지는 방법은 성조의 바꿈에 의한다. 셋째, 일본어의 의태어는「た」의 형태로 형용동사로 전성되나, 한국어는 ‘하다’를 붙여 상징 형용사로 전성된다. 중국어는 의성어가 定語로 ‘의성어 + 명사’ , ‘의성어 + 的 + 명사’의 형식을 취한다. 넷째, 일본어에는 존재하지 않지만, 한국어의 의성어․의태어에는 ‘이’가 붙어 명사로 전성된다. 한․중․일 언어의 구성형식을 보면 한국어의 경우는 AB型이 일본어에 비해 많다. 중국어는 AA型이 AB型보다 많음을 알 수 있다. 한․중․일 언어의 구성 형식에서 유사점은 4음절에서 한국어, 일본어는 ABAB형과 같은 첩어형이 많고, 중국어는 ABAB형보다 AABB형이 많음을 알 수 있다. 의성어․의태어의 모음과의 의미 관계를 살펴보면, ①살금살금 < 슬금슬금 ②대굴대굴 < 데굴데굴 ③호호호 < 후후후와 같이 한국어의 모음에서 강약관계가 존재한다. 또, 자음에서는 덜거덕 < 떨거덕 < 털거덕과 같이 강약이 나타난다. 의성어․의태어의 음운면에서, 일본어에서 모음 음소를 다르게 하는 음 상징어로는 キーカラカラ ー キークルクル,らんらん ー るんるん,わくわく ー わいわい,ぼつぼつ ー ぶつぶつ 등이 그 예로 살펴볼 수 있으며, 한국어에서 모음 음소를 다르게 하는 음 상징어로는 방글방글 - 벙글벙글, 대구르르 - 데구르르 , 따끔따끔 - 뜨끔뜨끔 등을 들 수 있다. 중국어의 의성어․의태어는 운모의 변환에 따라서 어감이 달라진다. ①哈哈哈(hahaha) - 呵呵呵(hehehe) - 嘻嘻嘻(xixixi) ②白花花(baihuahua) - 白莹莹(baiyingying) - 白乎乎(baihuhu) ③ 濕嗒嗒(shidada) - 濕淋淋(shilinlin) - 濕漉漉(shilulu)과 같이 모음의 순서(a, o, e, i, ü)에 따라서 어감이 약해진다. 일본어에서 자음음소를 다르게 하는 음 상징어는 きらきら ー ぎらぎら,ぐんぐん ー どんどん,ぐつぐつ ー ぶつぶつ,じっくり ー こっくり,カチカチ ー ガチガチ 등을 들 수 있다. 한국어에서 자음음소를 다르게 하는 음 상징어는 뎅뎅뎅 - 뗑뗑뗑, 싱긋 - 씽긋, 보글보글 - 뽀글뽀글 등을 들 수 있다. 중국어에서 중국어 상징의 의미는 성모(자음)에 따라서 달라진다. 성모(자음)를 분류해보면, 「b」「p」「m」「f」「d」「t」「n」「l」「z」「c」「s」「zh」「ch」「sh」「r」「j」「q」「x」「g」「k」「h」의 21개이다. 중국어의 의성어․의태어는 성모(자음) 유기음과 무기음에 따라서 어감이 달라진다. 성모(자음)의 유기음을 가지는 의성어․의태어는 가볍고 부드러운 느낌 을 주고 무기음을 가지는 의성어․의태어는 혼탁하고 무거운 느낌을 준다 감각 분류를 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분포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한·중·일 국어 모두 1.시각에 의한 것이 거의 50%에 가깝고, 중국어는 거의 70%에 가깝고, 2.청각적인 것이 그 다음 순서이다. 일본어는 의성어․의태어 가운데 촉각에 관한 것, 인간의 감정에 관한 것이 한국어의 의성어․의태어보다 많음을 알 수 있다. 중국어는 한국어, 일본어보다 상대적으로 의성어․의태어가 훨씬 적음을 알 수 있다. As a result of this study concerning onomatopoeic and mimeses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following distributions are gained. <List1>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List2>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By means of classifying and screening Onomatopoeic and mimetic words by sense, the differences are resulted as follows. First, there are few similarities between onomatopoeics and mimeses from Japanese textbook, and Korean textbook, and those from Chinese textbook in each elementary school. Second, while Japanese gives the differences of linguistic sense resulting from a surd and a sonant, Korean presents the distinction of feeling for words by positive vowel and a negative vowel. According to change of vowel, Chinese has different nuance. Finally In Japanese there are no mimic sounds that can be imagined by the names of the animals But in Korean we can make mimeses of animals from the names of the animals such as cuckoo, a cicada and a mugpie etc. Chinese expresses the melody of singing bird in Onomatopoeia, such as 'jiji , jijizhazha, jiujiu' but It is not certain whose bird these Onomatopoeic words are. This study which shows these differences on onomatopoeics and mimeses between Japanese textbook, Chinese textbook and Koreans might be helpful to all Japanese learners, all Chinese learners in Korea.

      • 유아 국악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법 연구

        정남희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유아 국악교육의 효과적인 지도법을 연구했다. 동시에 유아기 음악교육의 중요성과 우리나라 유아 국악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았으며, 유아기의 성장 발달 단계에 적합한 음악적 특징 및 능력을 통해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오늘날 유치원에서의 국악교육은 체계적인 교수법이나 교육 방법론으론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 의거, 유아 국악교육현장에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교육여건과 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유아들에게 리듬, 노래, 율동을 종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국악 수업의 지도법과, 유아 교육 현장에서 더욱 흥미롭고 효율적인 수업이 되기 위한 지도법과 수업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유아들에게 흥미롭고 효율적인 국악교육이 되기 위해,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경상북도 청도군 ‘ㄱ’ 유치원에서 교육과정 프로그램 중 직접 수업한 곡을 중심으로 흥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내용은 유아 만 3∼5세의 총 32명에게 각각 5곡을 제시하여, 흥미도가 가장 높은 순으로 각 2곡씩 선별하였으며,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만 3세 유아들은 느린 장단인 중모리장단이나 굿거리장단의 곡보다, 빠른 세마치장단이나 자진모리장단의 곡에 흥미로워 했으며, 이는 수업에 더 용이했다. 만 5세 유아들은 지금까지 접해오던 민요나 전래동요가 아닌 판소리와 같은 새로운 분야에 흥미가 많았다. 또한 다양한 음높이와 좀 더 복잡한 리듬으로 구성 된 곡도 소화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반주 역시 장구가 아닌 북을 바탕으로 하여, 국악 수업의 질을 향상시켰다. 주의집중 시간은 만 3세 유아들에게 20분의 수업 시간이 적당하였으나, 만 4, 5세의 유아들에게는 20분의 수업 시간이 부족했다. 결국 곡의 난이도에 따라 수업 시간 배분을 보완했을 때, 좀 더 향상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오르프(Carl Orff) 교육방법을 적용함에 있어 율동은, 유아들 자신의 표현 욕구를 실현하는데 중요한 교육 수단이다. 이는 장구나 소고, 한삼 등을 이용해, 가사에 어울리는 신체 표현 활동이 좀 더 자유로워져 표현력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국악 수업에 대한 유아들의 관심도와 성취도는 개인차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연구방법을 통한 실행 연구가 시도되어야 한다. 최근 들어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 국악 수업이 진행되고 있으나, 음악활동 수업이 아닌 발표회와 같은 형식적인 목적이 대부분이다. 여기서 유아들은 국악과 친해지기도 전, 선입견을 먼저 가지게 되어 국악 시간을 지겨워하고, 교사도 즐거움을 주기에 다소 어려움을 느낀다. 유아들에 있어 소리와 율동을 통합한 국악 수업은, 흥미를 유발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유아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율동이나 장단, 노래 습득을 용이하게 하고 창의적인 활동을 하는데 도움을 준다. 때문에 교사는 유아의 선입견 해소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유아들이 앞으로 자연스레 국악에 대한 자부심을 가져 성장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국악 수업을 연구하고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본 논문을 통해 오늘날 유아 국악교육현장에서, 우리 음악을 좀 더 흥미롭고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his study looked into the importanc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then groped after the utilization strategy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focusing o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that were appropriate for the stage of early childhood growth and development. Current Korean music education at kindergarten has not been carried out on the basis of systematic teaching methods or educational methodologies. In this vein, this study examined current educational conditions and statuses, focusing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music in the actual scene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In addition, the investigator groped after the teaching method of Korean music education with which young children could be taught with rhythms, songs and rhythmic movements, comprehensively, together with teaching methods and lesson plans for interesting and efficient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ctual scen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for the interesting and efficient Korean music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the investigator examined the degree of interest, focusing on the songs actually used by the investigator at ‘ㄱ’ Kindergarten in Cheongdo-gun, Gyeongsangbuk-do, as a curricular program, from 2010 to 2012. And 32 children in their 3∼5 years of age were proposed with 5 songs, respectively and then 2 songs of which degree of interest was higher were selected from each of them, respectively.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Children in their 3 years of age took a more interest in a slow jungmori jangdan or gutgeori jangdan than in a fast semachi jangdan or jajinmori jangdan. And the latter jangdans were easy for them to learn. Children in their 5 years of age took a more interest not in folk songs or traditional children’s songs they accustomed to, but in new areas of music, such as pansori. In addition, they could perform songs that were composed of various pitches and more complex rhythms. Therefore, accompaniment was carried out not by janggu but by buk (a drum), thus enhancing the quality of Korean music education. As for attention-concentration, 20 minutes were appropriate for children in their 3 years of age, but it was not enough for children in their 4∼5 years of age. Eventually, class hours were rearranged according to the level of difficulty of songs and thus a more improved lesson could be realized. In the application of Carl Orff’s educational method, rhythmic movements are important educational means of young children’s realization of their expressive desires. When janggu, sogo (a small drum) and hansam were used, physical expressions that harmonized with lyrics were more unconstrained and expressiveness was improved. However, since young children’s interest and achievement in Korean music education vary by individual differences, a practice study must be carried out based on diverse study methods in the future. In recent times, kindergartens or child care centers carry out Korean music education, but most of them aim not at a musical activity but at a formal event, such as a recital. On this account, young children get a biased view of Korean music, even before they are familiar with it. And they are bored with the Korean music class and teachers also get some troubles in making the class interesting. Korean music education that integrates sounds and rhythmic movements can induce young children’s interest. In addition, when young children take part in it voluntarily, they can learn rhythmic movements, jangdans or songs more easily and carry out activities more creatively. In this vein,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grope after strategies to get rid of young children’s biased view and carry out researches and studies on a variety of Korean music genres, in order to make young children be proud of Korean music naturally and achieve a proper growth. The investigator hopes study findings will be the data for more interesting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traditional music in the actual scene of early childhood Korean music education.

      • 피드백 활용한 고쳐쓰기 연구 : 중학교 1학년 고쳐쓰기 활동을 중심으로

        정남희 아주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피드백을 활용한 고쳐쓰기가 중학생 쓰기 향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쓰기는 공동체 안에서 이루어지는 소통으로서 개인과 사회의 상호작용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의미에서 학습자는 사회 구성원들과 원활한 소통을 위해 보편성을 기준으로 글을 쓰고, 자신의 글에 책임감과 반성적 태도로 고쳐쓰기를 진행해야 한다. 이는 학습자가 쓰기 과정에서 자신이 쓴 글의 문제점을 인식하고 점검하는 고쳐쓰기와 반성적 행위가 곧 쓰기 능력이 되기 때문이다. 쓰기 교육에서도 고쳐쓰기가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지만, 쓰기 목표에 따른 교육 활동으로 결과 중심의 활동이 진행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소통 없이 이루어지는 결과 중심의 활동은 학습자 스스로 자신이 쓴 글에 문제점을 인지 못하여 고쳐쓰기 활동을 부담스럽게 여기고, 글이 향상되지 못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쓰기 향상을 위해 과정 중심의 피드백을 활용한 고쳐쓰기 활동을 제안하였다. Ⅱ장에서는 고쳐쓰기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사회 구성주의 이론을 기반으로 정하고, 피드백 선행 연구에서는 동료 피드백의 보완적 방법으로 교사 피드백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피드백 결합의 중요성을 시사하였다. 또한 고쳐쓰기에 대한 학습자 인식 결과에서 학습자는 고쳐쓰기에 대한 부담감, 기술적 전략 부족, 타인과의 소통 거부, 자기중심적 글쓰기 등의 이유로 주도적으로 글을 점검하지 못하고 있기에 고쳐쓰기 내적 동기를 형성하여 의미 있는 활동이 진행될 수 있는 대안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고쳐쓰기 활동 분석에 필요한 연구 내용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 방법, 과정, 평가 기준, 활동 모형 등을 정리하였다. Ⅳ장에서는 피드백 고쳐쓰기 활동 모형에 따라 피드백을 활용한 소집단 고쳐쓰기 활동을 진행하였으며, 활동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여 동료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의 효과와 한계점을 제시하고, 동료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 결합의 고쳐쓰기 활동이 학습자 쓰기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탐색하여 그 효과를 밝혔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료 피드백만 진행된 경우에는 또래 친구들과의 소통으로 쓰기 흥미와 정서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었지만, 구체적인 반응이 없어 고쳐쓰기에 변화가 없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 피드백만 진행된 경우에는 구체적인 반응으로 쓰기 개선에 도움이 되지만 교사와의 면담을 부담스럽게 여기고 서면 피드백을 기계적으로 베껴 쓰는 행위로 인식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동료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모두 이루어진 경우에는 친구들과 교사의 소통으로 다양한 계층의 언어 습득, 피드백 반응과 수용 범위 확장, 고쳐쓰기에 대한 인식 변화, 지식 네트워크 성립 등의 효과를 통해 쓰기가 개선되는 양상이 보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의 피드백을 활용한 고쳐쓰기 활동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중학교 1학년 학습자의 쓰기 변화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고쳐쓰기 활동에서 동료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활용되고 있지만, 그 효과가 미흡하여 피드백을 결합하여 그 효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다만 중학교 1학년 이외 모든 학년에서 피드백을 결합한 고쳐쓰기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평가 매뉴얼, 암시적 피드백, 학습 수용 능력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이 활동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