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홍상수 영화의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정경화 단국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홍상수 영화의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문예창작학과 정경화 이 논문은 홍상수 감독의 영화를 장소성의 변화 지점에 따라 3기로 나누고, 이 변화와 맞물려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스토리텔링 기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홍상수 감독의 영화는 대부분 중층 구조의 형식을 지니고 있으며, 표층에는 반복되는 연애 서사가 심층에는 새로운 형식에 대한 시도가 끊임없이 이루어진다. 표층과 심층 구조는 따로 분리되어 있지 않고 서로 밀착되어 상호작용하는 구조이다. 이같은 구조를 자크 라캉(Jacques Lacan)의 욕망 이론을 통해 분석했다. 라캉은“초월적 의미로 승화되는 은유를 만드는 것은 오로지 환유다. 결핍으로 인해 촉발된 욕망은 끊임없이 미끄러지고 의미화의 연쇄 작용 속에서 은연중에 다른 차원의 의미로 승화된다. 이 가운데 초월적 기표(대상)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라캉의 이 구조는 홍상수 감독의 각 영화 안에서 자리 옮김을 하는 욕망에, 장소성에, 그리고 서른한 편의 영화 전편의 큰 흐름에 모두 작용한다. 본고에서 3기로 나눈 장소성의 분기점이 되는 영화들도 변화 지점일 뿐, 그 영화가 결정적으로 초월적 의미를 지닌 영화(기표)가 아닌 의미화 과정 속에서 작용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 논문은 총 3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선행연구 검토, 연구 방법 및 범위를 제시했다. 홍상수 영화를 심적으로는 욕망의 구조 서사로, 형식적으로는 장소성의 형식 변주에 초점을 맞추어, 결과적으로 이 모든 것들이 스토리텔링이라는 예술의 총체성 안에서 어떻게 상호 작용하는지를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기존의 연구와의 변별점은 무엇보다 홍상수 영화 전반의 흐름을 연구 범위로 하고 있다는 것과 더불어 어느 한 시기의 특성들에서 머무르지 않고, 홍상수 영화의 예술론을 장소성 변화 지점을 맥으로 하여 연계성과 함께 짚어냈다는 것이다. 제2장 본론에서는 홍상수 감독 영화 속에서 확연하게 드러나는 장소성 변화를 포착하여, 3기로 구분하고, 각 기수마다의 대표작을 선정하여 이론을 토대로 집중 분석하였다. 본론의 각 절마다 적용 이론을 제시하고, 대표작 이후 작품들도 함께 검토하여 장소성의 변화지점 포착에 대한 설득력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 본론의 1절에서는 <강원도의 힘>으로 대표되는 1기 영화들을, 욕망과 밀착된 환유로 흐르는 장소성에 따라 분석하였다. 무의식의 장소와 욕망의 무대로 점철된, 라캉의 욕망 이론 구조 안에서 작동하는 형식을 탐구하고, 2기로 들어가기 전에 플롯의 명확한 변화 전조도 포함시켰다. 2절에서는 분명하게 깨어진 장소성으로부터 촉발된 욕망의 분리와 스토리텔링의 변화를 <풀잎들>을 필두로 하여, 수전 손택(Susan Sontag)의 영화 평론 이론들을 등장시켜 밀도 있게 분석했다. 그리고 본론의 3절에서는 새로운 미장아빔으로 등장한,‘빛’의 출현과 함께 의도적으로 소멸된 장소성이 서사의 성질을 어떻게 급변시켰는지 <소설가의 영화> 분석을 통해서 또, 이후 영화들의 행보까지 아울러서 연구했다. 결론에서는 이 논문의 논조인 홍상수 영화 전반의 장소성 변화지점 포착과 더불어 이루어진 스토리텔링 기법의 방향 전환에 대해 분석하였다. 주제어: 홍상수, 장소성, 욕망의 환유, 형식주의, 파편화 · 해체, 스토리의 융합

      • 테이핑요법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 및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정경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완화와 일상생활 수행 향상을 위한 자가 관리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테이핑요법이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과 신체기능에 미치는 지속 효과를 파악하기 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사전 사후 설계이다. 연구기간은 2006년 5월 1일부터 10월 30일까지였으며, 대상자는 G시 1개 노인복지관 및 3개 노인정과 3개 경로당의 복지 프로그램에 참여한 자 중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통증과 일상생활 수행에 불편감을 갖고 있는 노인을 편의 표집(실험군 30명, 대조군 33명) 하였다. 연구자는 테이핑요법의 지속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험군에게 주 2회씩 4주 동안 총 8회 실시한 후 2주 동안은 관찰하였다. 측정 방법은 통증(5 문항)과 신체기능(17 문항)은 5점 척도인 KWOMAC-KNEE(배상철 등, 2001)를 사용하였고, 사전측정과 테이핑요법을 실시한 4주 동안 주 1회씩 4회(처치 1주, 2주, 3주, 4주), 종료 후 2주 동안 1회씩 2회(종료 1주, 2주) 총 7회 반복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12.0을 이용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질병 관련 특성, 종속 변수의 동질성 검정은 빈도, 백분율, χ²-test, t-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를, 가설검정은 Repeated measures ANOVA를 하였다. 교호작용이 있을 때는 측정시기별 두 집단 간의 점수 비교를 t-test를 하였고, 집단 내 시간경과에 따른 점수 비교는 ANOVA를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설 1: ‘테이핑요법을 받은 실험군의 시간 경과에 따른 통중 점수 변화는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측정시기별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으며(t=-10.42, p= .001), 실험군의 시간경과에 따른 통증점수는 유의하게(F=66.7, p= .001) 감소하여 지지되었다. 가 설 2: ‘테이핑요법을 받은 실험군의 시간 경과에 따른 신체기능 점수 변화는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측정시기별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으며(t=-6.60, p= .001), 실험군의 시간경과에 따른 신체기능 점수는 유의하게(F=36.38, p= .001) 감소하여 지지되었다. 가 설 3: ‘테이핑요법 종료 후 실험군의 시간 경과에 따른 통증 점수 변화는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 는 측정시기별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높았으며(t=-2.37, p= .022), 실험군의 통증점수는 시간경과 에 따라 대조군과 달리 유의하게(F=6.87, p= .009) 증가하여 가설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통증완화 효과는 없었다. 가 설 4: ‘테이핑요법 종료 후 시간 경과에 따른 실험군의 신체기능 점수 변화는 대조군과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측정시기별 실험군의 점수가 대조군보다 낮았으며(t=-0.96, p= .339), 실험군의 신체기능 점수는 시간 경과에 따라 대조군과 달리 유의하게 증가하여(F=4.60, p= .034) 가설이 지지되었다. 따라서 지속적인 신체기능 향상 효과는 없었다. 이상 연구 결과, 4주 동안의 테이핑요법은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의 통증 완화와 일상생활 수행 정도에 효과적이었다. 따라서 테이핑요법은 퇴행성 슬관절염 노인들이 통증이 있을 때 가정에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가 관리 방법이 될 수 있으나 효과의 지속성은 나타나지 않아 2-3일 간격으로 테이핑요법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사료된다. --------------------------------------------------------- 주요용어 : 테이핑요법, 퇴행성 슬관절염, 통증, 신체기능

      • 성역할 고정관념이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성 분리 지각과 여성리더에 대한 평가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

        정경화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r effects of sex role stereotype on gender segregation i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The second one was to examine effects of subordinate's sex role stereotype, leader's sex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on evaluation of female leader's effectiveness and subordinates' satisfaction of female leader. To answer these questions hypotheses were suggested as followers: Hypothesis 1. Person who is higher of sex-role stereotype will be tend to have a gender segreg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than lower on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may be include both male and female elements. Specifically, charisma, idealized influence, and spiritual motivation are male elemen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ut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intellectual stimulus are female one. Generally, subordinate who is higher of sex role stereotype would perceive leaders' transformational behavior as female factor. Hypothesis2. Subordinate who is higher of sex-role stereotype will tend to have more bias in evaluation of leader's effectiveness in that there is sex-role segregation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Subjects for study 1 were 200 males and 200 females from various organizations including middle schools, military organizations, social sport centers, and so on. 400 questionnaires were administrated to these subjects and 350 ones were returned finally. For study2, 400 subjects of militaly organizations, industries, middle & high schools, and social sport centers participated in national-wide field survey by questionnaire. Thus finally data for analysis was collected from 350 subjects. Instrument for this survey consisted of ‘sex-role stereotype scale', 'Korean MLQ Form 5-45'(Kim, 2009), and demographical items of response. 'sex-role stereotype scale' items were selected from 'Korean Gender Equalitarianism Scale(Kim & Jeong, 2000). This scale included four sex-role stereotype categories: family, education, occupation, and social-culture. Korean MLQ 5-45 was designed to measure transactional leadership,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aisser-faire leadership,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leader, and extra effort. High and low group of sex-role stereotype were divided by mean(2.263 in 5 point Likert type scale) of total sample, difference of means of both group was statistically meaningful. Frequency, mean, inter-correlations of variables, Student's t - test to compare mean score between groups were calculated. And to test effects of subordinates' sex-role stereotype, leaders sex,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on subordinates' perception of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female leade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llowings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there are not gender segregation in sub-factor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by subordinates' sex-role stereotype. Subjects regarde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elements as bi-sexual rather than male or female one. The cause of this result may be seems that theses subjects' level of sex-role stereotype is too low. But when deleted bi-sexual responses from data, there are some trends of gender segregation. Charisma, idealized influence, and spiritual motivation are segregated as male element, but idealized influence, and spiritual motivation are regarded as female one. And this trend found in higher group of sex-role stereotype than the lower one. Second, Leaders transformational behaviors are correlated positively with both effectiveness(r = .805, p<.001) and satisfaction(r = .789, p<.001) of leader. And sex-role stereotype a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factor of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revealed that leade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s a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leader. And there is interaction effect of leader's sex an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on effectiveness of leader. Male subordinates' perceived effectiveness of leader was more lower than female's one when the lev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is low. Concludingl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ome skewed sample in aspect of sex-role stereotype. Thus the interpretations of these results for this study must not be conclusively. This is the major limits of this study. Further study on this subject should be designed well through large-range sampling for sex-role stereotype. And further effort about the mediating roles of gender in the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behavior will be needed.

      • Dewey와 Peters의 도덕교육론에서 인지와 정서의 관계

        정경화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wide range of recent studies criticizes that most of the moral education theories have given too much attention to the cognitive aspects of morality while neglection its emotional aspects. Moral development needs the balanced growth of cognition, emotion and behavior. This critiques are in line with the contemporary thoughts such as postmodernism and feminism, raising the doubts about modernitys belief in reason. Both of cognition and emotion are main modes of understanding of human life, and it is hard to divide exactly each operations of them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herefore, in order to establish the valid goal and process of moral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properly interpret the relations of cognition and emotion.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relation of cognition and emotion through comparing theories of Dewey and Peters. It also criticizes and reconstructs, from the standpoint of integrating cognition and emotion, the main theories of moral education such as cognitive development approach, virtue eduation approach and ethic of care approach. Peters and Dewey understand that cognition and emotion contains the other as its own part. Peters explains that emotion has appraisal as the core trait, which is a mode of cognition. Dewey clarifies that we cannot understand the world without emotion. He define qualitative thinking as an important mode of thinking to recognize things and situations, which is neither the way of rational nor logical thinking. Emotion has cognitive aspect according to Peters, while cognition has emotional aspect according to Dewey. Both Peters and Dewey focus on the integration of cognition and emotion. Yet Peters supposes that emotion is a kind of cognition, whereas Dewey supposes that cognition, emotion, and action are melted in 도덕성과 관련하여 인간은 인지, 정서, 행동적 측면의 조화로운 성장을 필요로 하지만, 지금까지의 도덕교육이 이점에 유념하지 않고 인지적 측면만 중요시하였다는 비판이 최근에 제기되고 있다. 이런 비판은 근대철학이 이성에 대한 절대적 믿음 아래 정서의 역할을 인정하지 않았던 것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는 새로운 철학적 사조에 의해 뒷받침된다. 비판을 넘어 대안적 이론 생산을 위해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그동안 인지와 정서의 이분법적 이해 속에서 왜곡되었던 인지와 정서의 관계를 다시 설명하는 일이다. 인지와 정서 모두는 우리가 삶을 살아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인식의 유형이며, 서로 상반되어 날카롭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다. 인지와 정서의 관계를 타당하게 이해하는 것이 전제되어야 도덕교육의 적절한 방향과 구체적 방법이 고안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덕교육에서 인지와 정서가 적절하게 통합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대표적 도덕교육이론을 비판하고, 대안으로서 Dewey와 Peters가 제안하는 정서와 인지의 통합적 관계를 검토하여 더 적절한 도덕교육의 방향과 방안을 제시할 수 있도록 도덕교육이론을 재구성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도덕교육이론 중 유력한 이론인 인지발달적 접근, 덕목교육적 접근, 돌봄의 윤리학의 접근을 차례로 검토하여 기존의 도덕교육이론에서 인지와 정서의 관계가 어떻게 이해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인지발달적 접근은 Kohlberg의 이론이 중심이 되며, 정의(justice)를 보편적 도덕원리로 보고, 원리에 따라 판단 또는 추론하는 인지능력을 발달시키는 것을 도덕교육의 핵심으로 보는 접근이다. 하지만 이 접근은 도덕적 추론능력이 도덕적 행동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필요성을 간과하는 한계를 갖는다. 이러한 인지발달적 접근이 도덕성과 도덕발달의 문제를 인지의 문제로만 다루고, 정서를 인지에 종속되는 요소로 보는 데서 기인한다. 인지발달적 접근에 대한 비판과 함께 정서와 행동 등을 주목하는 입장으로서 덕목교육적 접근이 있다. 덕목교육적 접근은 전통적으로 중요시되었던 덕목(virtue)의 개념을 다시 주목하여, 인지뿐만 아니라 정서와 행동을 도덕성의 구성요소로 보고, 전통의 권위를 인정하는 공동체적 삶을 중요시한다. 이 접근은 인지발달적 접근과 달리 정서를 도덕성의 요소로 보고 교육에 있어서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나 정서가 인지와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떻게 도덕발달에 작용하는가에 대한 충분한 섦영르 하지 못한다. 인지발달적 접근을 대표하는 Kohlberg의 이론이 성편견을 담고 있다는 Gilligan의 비판으로부터 출발한 돌봄의 윤리학은 도덕성의 핵심으로 돌봄을 제기하였다. Noddings는 돌봄을 도덕 일반원리로 확장하고 도덕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제안을 하였다. 돌봄의 윤리학은 관계 형성과 유지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정서와 태도 등의 정의적 측면을 강조하여, 도덕성이 정서, 인지, 그리고 행동의 상호 관련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다. 그러나 돌보는 이의 일방적 희생을 간과하거나, 정서를 부각시킴으로써 정서가 이성과 어떻게 통합되어 돌봄이라는 도덕적 실천을 하게 되는지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위 세 접근에 대한 대안으로 인지와 정서에 관계에 대한 대안적 통찰이 포함되어 있는 Peters의 정서에 대한 인지주의 관점과 Dewey의 경험중심주의 관점을 비교하였다. 두 연구자에 의하면 정서와 인지는 서로를 부분으로서 포함하는 통합적 관계에 있다. Peters에게 정서는 평가(appraisal)라는 인지 특성을 제외하고 설명될 수 없는 것이며, Dewey에게 세계 이해는 정서의 측면을 제외한 지적 사고만으로는 불가능한 것이다. 다시 말해, Peters에게 정서는 인지적 측면을 가지는 것이며, Dewey에게 인지는 정서적 측면을 가지는 것이다. Peters와 Dewey 모두 인지와 정서를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있지만 Peter는 인지를 중심으로 정서를 통합하는 반면, Dewey는 인지와 정서 그리고 행동을 경험 속에서 완전히 융해된 총체로 본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런 차이는 각 이론에서 대응되는 개념에 대해 다른 입장을 취하는 것에서 나타난다. 두 연구자의 논의 속에서 대응되는 개념이나 강조점 등은 평가와 질성적 사고, 언어의 중요성과 한계, 반성적 단계의 전체성과 부분성, 정서의 수동성과 능동성, 합리적 열정과 계속 배우려는 열망, 객관성과 주관·객관의 상호작용으로 요약될 수 있다. Peters와 Dewey의 이론을 검토하여 인지와 정서를 통합을 통합할 수 있도록 기존의 도덕교육이론을 재구성하여 도덕교육의 방향과 방안을 제안한다. 정서와 인지를 통합할 수 있는 도덕교육은 실제 상황에서의 경험, 공동체의 도덕적 문화 형성, 교호적 상호작용을 장려하는 질성적 만남과 관계 형성, 경험에 근거한 반성, 그리고 계속 배우려는 열망의 중요성을 강조해야 한다. 이를 통해 실천적 도덕성이 함양되고, 전통에 대한 성찰이 이루어지며, 다양한 전통과의 대화가 촉진되고, 돌봄의 관계가 확장될 수 있다. 도덕교육은 단순히 도덕적 원리나 지식을 아는 사람을 기르는 것을 목적으로 해서는 안 된다. 스스로 도덕적 실천을 하고, 사회를 도덕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그동안 간과되어 왔던 정서의 중요성이 주목되는 것은 당연하나 정서는 인지와 분리되어 교육될 수 없으며, 특히 정서적 측면에 대한 고려 없이는 교육 자체가 불가능하다. 본 연구는 인지와 정서의 통합적 관계의 가능성을 제공함으로써 도덕교육의 방법, 내용, 구조를 새롭게 구성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도덕교육 영역 확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생명체 모델 시스템에 대한 연구

        정경화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생물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모든 화학 법칙을 따르고 서로 상호작용 함을 보여준다. 또한 살아 있는 계의 순환(탄생-발달-재생-죽음)을 살펴보면, 생명의 출현이 바로 무질서로부터의 질서 를 의미하며, 이후 이러한 생명의 유지를 위해 질서로부터의 질서가 나타난다. 즉, 에너지와 물질의 흐름이 열려 있는 계(살아 있는 계)에서, 평형에서 멀리 끌고 가기 위해 외부로부터 저항하여 자기 조직화 과정들을 수행하고 흩어지기 구조가 나타난다. 이는 외부 환경 변동에도 세포는 평형과 멀리 떨어진 동적 평형 상태로 스스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가 살아있다는 것은 바로 동적 평형 상태를 유지(엔트로피 증대의 법칙과 타협)하는 것이며, 생명은 그런 균형을 위해서 나타나는 효과이다. 본 연구에서는 살아 있는 반응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많은 학생들이 간단하고 만들기 쉬우며, 진동 반응에 대해서 쉽게 이해하고, 실험 할 수 있도록 CSTR(Continuous flow Stirred Tank Reactor)의 원리를 이용하여 실험 장치를 만들었다. 이 장치는 용액을 다 소비할 때까지 주기적 진동이 계속 됨을 보여주었다. 주기적 진동 운동을 한다는 것은 물질이 생명 현상을 유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는 반대로 에너지를 모두 소비하게 되면 얼마 후 평형에 이르게 되는 확산 실험을 통해 최대 엔트로피 상태를 확인하였다. 이는 생명에서의 죽음을 의미한다. 이 두 실험을 통해 과학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의 목적인 생명의 논리를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물리학과 화학의 상호 작용으로 지속 가능한 화학적 진화의 생명체 모델 시스템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아직 풀지 못한 남은 과제에 대해 본 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되길 기대한다.

      • 외식조리교육기관 교육생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

        정경화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외식산업의 발전으로 외식산업체 현장에서는 다양하고 전문화된 인재를 원하고 있어 직업능력개발이 중요해 지면서 관련된 전문기관과 조리 관련 교육생들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교육생들에게 교육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직업훈련기관이 크게 성장하면서 교육경쟁력이 증가되어 기능 인력 양성과 학교 교육의 보완 및 연장을 하기 위해 개설된 외식조리교육기관들은 교육생들의 풍부한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다양한 학습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외식조리교육기관과 관련된 교육생의 학습동기,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감에 대한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되어 외식조리교육기관의 재학 중인 외식‧조리 관련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생의 학습동기가 실제 학습과정에서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하고자 한다. 서울‧경기 지역 내 외식조리교육기관의 외식‧조리 관련 교육생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전체 표본 300(100%)부 중 유효표본 245(81.6%)부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첫째, 학습동기유형에 따라 학습몰입의 정도의 차이에 영향을 주므로 학습동기의 세부요인들은 학습몰입의 정도를 높일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교육생의 학습동기유형에 따라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도록 외식조리교육기관의 역할수행이 필요하다. 둘째, 학습동기의 유형에 따라 교육생들의 학업성취감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생들에게 지도자의 효과적인 강의법과 교육생과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지도록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학습몰입을 위해 외식조리교육기관에서는 교육생들이 학업에 대한 흥미를 갖도록 도와주고 학업성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연구를 해서 교육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외식조리교육기관의 교육생들의 학습동기가 학습몰입과 학업성취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외식조리교육기관의 교육방법과 운영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사료되며 학습동기유형에 따른 학습몰입의 정도와 학업성취감 자체를 높여줄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줄 수 있도록 구체적이고 지속적인 지원 프로그램 또한 요구된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diverse and specialized talent is required in the site of food service industry. As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competencies is emphasized, there have been more and more interest in relevant specialized institutions and cooking-related trainees. With the huge growth of vocational training institutions providing educational service to trainees, the educational competitiveness has been increased. Food service coo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newly established to cultivate functional manpower and to complement/extend school education provide opportunities of plentiful learning to trainees, and also meet their desire for diverse leanings. In spite of such increase of interest,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correlations between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achievement of trainees related to food service coo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Thus,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on the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achievement in the actual learning process, targeting trainees related to food service/cooking of food service coo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Conducting a survey targeting trainees related to food service/cooking of food service coo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Seoul/Gyeonggi region,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focusing on 245(81.6%) questionnaires as effective samples out of total 300(100%) questionnaires. First, as the degree of learning commitment is influenced by the pattern of learning motivation, the detailed factors of learning motivation could increase the degree of learning commitment, so that it would be necessary for food service coo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to play roles in inducing trainees' active particip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of learning motivation. Second, in order to increase trainees' academic achievement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of learning motivation, it would be needed to have efforts for instructors' effective lecturing methods and great communication with trainees. Third, for the learning commitment, food service coo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give positive effects to trainees by researching diverse methods to induce trainees' interest in study, and also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analyzing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on the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achievement of trainees of food service coo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it would be necessary to improve the educational methods and operating system of food service cook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also to provide concrete and continuous support programs that could establish the environment where the degree of learning commitment and learning achievement could be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pattern of learning motivation.

      • 기관 차원의 긍정적 행동 지원이 장애 위험 유아의 문제행동 및 교사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경화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통합 보육기관에서 기관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을 실행하여, 장애위험 유아의 문제행동과 유아 교사의 자기효능감, 그리고 기관문화에 미친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장애통합어린이집에 소속된 장애위험 유아 1명과 전체 유아교사이이다. 대상 유아에게는 개인차원의 문제행동 중재를 위해 기능적 행동평가(functional behavior assessment)을 실시하고 개인차원의 긍정적행동지원 중재를 개발하여 실행하였다. 그리고 전체 유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화된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기관의 물리적 환경 구성을 유아의 기능적 요구에 반응하여 수정하였다. 개인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수행한 대상 유아의 경우, 연구 참여를 위해 우선적으로 대상 유아의 부모로부터 동의서를 받았다. 그리고 연구자와 대상 유아의 담임교사가 함께 기능적 행동평가를 통해 문제행동의 기능을 규명하고, 이를 위한 대체행동 지도를 포함한 긍정적 행동지원 절차를 수립하였다. 목표행동의 기능평가를 위해 A-B-C관찰에 의한 기능분석을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중재는 각 문제행동의 목표행동에 대해 배경 및 선행사건 중재와 대체행동 중재, 그리고 후속결과 중재 후 장기적 지원 중재를 실행하였다. 아울러 중재 종료 후에도 문제행동에 대한 중재의 효과가 유지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자료는 어린이집 일과 중 오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동영상 촬영을 하여 수집한 후 사건 발생 빈도수를 측정하였고, 자료 분석은 시각적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기관 소속 전체 유아 교사를 대상으로 한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 교육 프로그램은 이론의 강의뿐 아니라 소그룹 토론으로 이루어지는 10회기의 프로그램이었다. 더불어 개인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를 받고 있는 대상 유아의 실제 사례를 교육자료 삼아 함께 토론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병합하여 교사 교육의 질적 수준을 최대화하였다. 그 과정에서 기관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부분적 수정이 이루어지면서, 이론과 실제간의 연계를 직접 경험하는 교육을 제공할 수 있었다. 이에 기반하여 기관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본 장애통합유아교육 기관문화에 대해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와 함께 참여한 유아 교사들의 자기효능감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장애위험 유아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적 행동평가를 통해 개발한 개인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는 문제행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중재가 종료된 이후의 그 효과가 유지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기관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이 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기관문화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체계화된 인권중심 긍정적 행동지원 교육과 실제 사례를 탐색하고 분석하는 활동을 통해서 유아 교사의 문제행동 지도에 대한 자기효능감과 기관문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통합교육기관의 기관장 및 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체계적이고 질적인 긍정적 행동지원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의 한 장애유아통합어린이집에서 수행된 것으로 모든 장애유아와 유아교사들에게 연구결과를 일반화할 수 없다는 제한을 갖는다. 장애유아통합교육현장을 위한 제언으로는 유아교육 현장 특성상 정기적인 시간을 할애한 교사교육의 실행에 어려움이 있으나, 실제적인 교육적 성과를 얻기 위해서는 일회성의 현장 편의를 중심으로 한 형식적 교육이 아닌 체계적으로 계획된 교육 프로그램과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실습할 수 있는 현장연구와 연계하는 형태의 교육을 제공하도록 해야 한다. 더불어, 개인차원의 행동지원만이 아닌 기관차원의 긍정적 행동지원의 도입을 통해 기관문화의 개선으로 시작하여 실제 개인 유아들의 문제행동과 생활지도에 지속가능한 긍정적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실행할 필요가 있다.

      • Tuberostemonine, an active compound isolated from Stemona Tuberosa, suppresses cigarette smoke induced lung inflammation in mice

        정경화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Tuberostemonine (TS), anti-inflammatory on acute lung inflammation in models of cigarette smoke (CS) exposure in mice. C57BL/6 mice were whole-body exposed to mainstream CS or fresh air for 7 days. TS is an alkaloids-type phytochemical from Stemona Tuberosa. 1 hour prior to CS exposure, the treatment groups was administered TS via an i.p. injection. To examine the effects of TS, we counted the numbers of macrophages, neutrophils, lymphocytes, and total cells in the bronchoalveolar lavage (BAL) fluid, and measured several chemokines (MCP-1, GCP-2, MIP-3α and KC) in lung tissue. Furthermore, hematoxylin and eosin (H&E), and periodic acid-Schiff (PAS) stains were evaluated for histologic analysis. In result, cellular profiles and histopathologic analysis demonstrated that infiltration of peribronchial and perivascular inflammatory cel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S treated groups when compared to the CS exposure group. The airway wall thickness induced by CS exposure was significantly ameliorated by TS treatment. Al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TS has anti-inflammatory effects against lung inflammation. Therefore, TS may represent a novel therapeutic agent for lung inflammation.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이란 유해한 입자나 가스의 흡입에 의해 폐에 비정상적인 염증 반응이 일어나면서 이로 인해 비가역적인 기류 제한이 점차 진행되어 폐기능이 저하되고 지속 반복적인 기침 가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한다. 유발인자 중 가장 위험한 요소는 흡연이 대표적으로 알려져 있다.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원인 4위에 이르는 주요 질환으로 인구 고령화 및 늘어나는 위험요소로 인해 사망률은 더 늘어 날것으로 보인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약물들에는 비가역적 기류제한을 늦추거나 소기도 또는 폐 실질의 염증을 직접적으로 막아주는 만족할 만한 약물이 없는 실정으로 따라서 COPD 환자의 질병 경과를 향상시키고 지속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좀 더 효과적이고 안전한 천연약물의 개발이 필요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폐염증에 효과적으로 알려진 백부근의 추출 화합물 Tuberostemonine(TS) 의 급성 폐 염증에 항 염 효과의 관한 연구이다. 급성 폐염증모델은 C57/BL6 수컷 쥐를 담배연기에 노출시켜 급성 폐염증을 유발했다. 담배연기 노출 2시간전 약물처리군 TS(1,5 그리고 10mg/kg) 과 양성대조군 Roflumilast 5 mg/kg을 각각 복강투여 와 구강투여로 7일간 매일매일 진행하였으며, 2시간후 담배연기 노출 기계를 이용해 하루에 5개비씩 네 번 에 나누어 하루에 총 20개비의 담배연기에 노출을 시켰다. 급성 폐 염증 은 기관지 폐 포 세척 액 내의 전 체 염증 세포 수 와 각기 다른 세포 수 측정, 폐 실 조직의 chemokine 분비량 측정, 폐 조직의 기관지 벽의 두께 그리고 goblet cell 의 증식 을 관찰 하였다. 결과적으로, 약물처리군 TS 모든 농도군 에서 전체 염증 세포 수, 호 중구, 림프구 그리고 대식세포의 수 가 담배 노출 군에 비해 성 있게 감소함을 보였고, 폐 조직의 단백질 에서의 MCP-1 와 KC 그리고 mRNA에서의 GCP-2 와 MIP-3α의 chemokine 분비량 도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보였다. 폐 조직에서 기관지 주변의 염증세포 수 증가, 기관지 벽의 두께, goblet cell의 이상증식이 담배노출 군에 서 보였고, TS 약물처리군 에서는 감소 함을 보였다. 본 실험을 통해 백부근 추출 화합물인 TS가 담배연기 노출에 의한 급성 폐 염증에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이것은 단순 급성 폐 염증뿐 아니라, COPD 환자에게 동반되는 급성 폐 염증 에 염증억제 효과의 잠재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