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보성녹차의 선호도 향상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제안

        전효진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보성녹차의 선호도 향상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 시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고찰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보성녹차 선호도 향상을 위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를 도출하기 위해 디자인 목표와 컨셉을 구상하고 보성녹차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에 대한 3가지 시안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디자인 시안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존 보성녹차 브랜드의 연상 느낌은 고전적이고, 친근하다는 것이었으며, 보성녹차통합브랜드 로고 디자인에서 느껴지는 키워드는 촌스럽고 고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70%이상의 응답자들이 현 브랜드 로고, 색상, 디자인은 기억이 용이하지 않으며 향후 이용의향이 없다고 하였다. 따라서 현재 보성녹차통합브랜드 로고 디자인은 소비자들의 선호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보성녹차 브랜드 선호도 향상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기존의 로고 디자인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디자인으로 변경하는 것이며 아울러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매체를 통해 광고와 홍보를 강화하는 것이었다. 본 연구가 제안한 보성녹차 플렉서블 아이덴티티 디자인은 향후 보성녹차의 선호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보성녹차의 플렉서블 아이덴티티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도 지속적이고 활발하게 진행되어 보성녹차 인지도와 선호도 향상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study suggests Flexible Identity design tentative plan for preference elevation of Boseong green tea. For this, I conducted survey with theoretical investigation. Contents of these study and sequence are as following. First, I embodied design objectivity and concept to draw Flexible Identity to increase Boseong green tea preference. And I suggested 3 tentative plan about Boseong green tea Flexible Identity design and conducted survey about proposed design tentative plan. This study investigated Flexible Identity preference about proposing in this research. Result of investigation is as following. The feeling of existing Boseong green tea brand is traditional and intimate, the keyword of Boseong green tea integrating logo design is both countrified and traditional. And respondents of more than 70% said that it is difficult to memorize present brand logo, color, design and there is no use intention hereafter. Therefore, at the present Boseong green tea integrating logo design did not make positive effect to preference of consumers. And the most needed thing to increase Boseong green tea preference is to change existing logo design to consumer′s preferring design. In addition, Advertize it’s brand in advertisement and public information through consumer preferring media. Boseong green tea Flexible Identity design that this study proposes give positive effect in preference elevation of Boseong green tea hereafter. Finally, study about Flexible Identity of Boseong green tea that is proposed in this research expects to proceeds as continuous and lively hereafter and is used effectively in Boseong green tea awareness and preference elevation.

      • 한국의 정보격차 해소방안에 관한 연구

        전효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의 물리적인 접촉에 기반한 사회에서 정보매체를 통한 공간과 물리적인 접촉을 초월한 접근은 우리의 생활을 바꾸어 놓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생활을 좀더 편리하게 바꾸었으며, 온라인을 통한 정보의 개방성으로 인해 누구든지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모든 사람이 온라인 접속을 통한 편리함을 향유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정보사회의 역기능 중의 하나인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문제가 있다. 정보사회에서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정보획득은 앞으로 다만 선택사항이 아니라 필수적인 요건이 될 것이다. 정보사회의 진입에 따라 기존의 서비스 제공도 그 수단을 정보통신기술을 매개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정보소외계층의 문제는 단지 정보통신상의 문제가 아니라 앞으로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측면의 문제로 확대될 것이다. 우리가 누리고 있는 정보사회의 산물은 정보매체를 통한 접근과 이용에 의해서만 가능하다. 따라서 정보사회에서 정보매체는 정보를 획득하고 이용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이다. 그런데 이러한 매체에 접근하거나 이용할 수 없는 사람은 자연히 정보사회에서 낙오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아직까지 정보격차에 관한 정의는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고 정보격차를 보는 관점, 학자, 국가마다 약간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디지털 정보를 얻기 위한 정보매체에 대한 접근과 이용에 있어서 격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정보격차는 개인의 소득, 학력, 연령, 수용자의 태도 등과 같은 사회경제적, 개인적 요인이 정보매체에 대한 접근과 이용에 영향을 주어 나타난다. 정보사회에서 정보격차는 사회경제적, 구조적 불평등을 야기하여 궁극적으로 사회통합과 국가경쟁력 강화를 저해하는 파급효과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정보소외계층에 대한 정보매체의 접근과 이용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정보화가 급진전되면서 확대되고 있는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방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크게 두 가지 차원에서 접근할 수 있다. 첫째, 정보접근격차의 측면에서 정보매체에 대한 접근과 둘째, 정보매체를 이용하여 실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정보이용능력이다. 국가, 상황마다 차이가 있는 상대적인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먼저 우리나라의 정보격차 현황과 문제점, 현재까지의 정책에 대해서 알아볼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의 정보격차를 접근과 이용의 측면으로 나누어 보았을 때, 정보접근을 인터넷 망의 구축과 컴퓨터 보급률 측면에서, 정보이용을 인터넷 이용률을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정보접근 측면에서 지역, 소득과 학력에 따른 접근격차가 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인터넷 이용률 측면에서는 성, 연령, 학력, 소득, 직업에 따른 정보격차를 볼 수 있었다. 성별 이용격차를 제외한 다른 이용격차는 계속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2001년에 「정보격차해소에 관한법률」과 「정보격차해소종합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체계적인 정책 추진체계와 현실적인 정책마련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정보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 추진체계와 정책에 대한 개선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먼저 범부처 차원의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부처간 사업을 조정할 수 있는 추진체계가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정부중심의 일방적인 정책을 제시하기보다 정부가 정보소외계층의 실질적인 필요를 조사하고 그에 따라 기업, 비영리 단체와 협력을 통해 정보격차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정책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정책은 정보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두었으나 최근 조사에 따르면 정보접근보다는 이용격차가 크게 부각되고 있기 때문에 정보접근과 이용에 관한 정책이 균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Change is taking place on a global level, and the pace of change is accelerating. Change includes the expansion of Internet and the network economy, increasing business and individual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s, access devices and new ICTs. These changes are transforming all areas of individual lives, society, work, and government. We are facing a digital divide in which technology deepens and intensifies the socio-economic divisions among the people. The digital divide takes various forms, and impacts different individuals regions and nations differently. What is most alarming is that the chasm of the Digital Divide is widening rather than narrowing. The administration has attempted to narrow the digital divide through the policies. However significant divides still exist between the electronically connected and disconnect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digital divide and suggests how we can overcome the digital divide in Korea. Internet access is strongly correlated with income and with the education of the household head. Internet use is also correlated by age and labor force status. The digital divide becomes more crucial as an issue as overall access grows. because that's when lack of access will be not just an inconvenience but a true barrier in information society. But just providing physical access to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frastructure alone is insufficient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oreover, giving people access to a computer attached to the Internet does not itself eliminate the digital divide. The problem is not a mere lack of access. The growing information underclass lacks computer literacy, the motivation necessary to integrate digital tools into their lives. Access and use of technologies are different. In some cases the gap in use is very significant and attempts to improve access alone are necessary but may not be sufficient. The dimension of both access and use needs to be considered when identifying policy objectives and devising policies. IT training is set to cater to the needs of people participating at all levels of development from school leavers, not leaving out housewives to people who want to study an high level cours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total management system which makes a policy and presides over. and to overcome the digital divide, the government should make a partnership with non-profit organization and private sector, build an infrastructure, educate the information poor and give people more chance to access the ICTs.

      • BGT 정서지표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차이 연구

        전효진 대구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BGT 정서지표에 따른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차이를 알아보고 BGT 정서지표가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써 변별력을 가지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함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 중구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 1학년 학생 55명을 대상으로 개별적으로 BGT를 실시한 뒤 Koppitz에 의한 BGT 정서지표 상위 30% 학생과 하위 30% 학생을 선정하여 각각 17명씩 34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삼아 학교생활적응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GT 정서지표에 따라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전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BGT 정서지표가 많을수록 학교생활적응 전체 점수는 낮게 나왔고, BGT 정서지표가 적을수록 전체 점수는 높게 나왔다. 둘째, BGT 정서지표에 따라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 BGT 정서지표가 많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 친구관계에 대한 적응,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학업성취도도 낮으며, BGT 정서지표가 적을수록 학교생활적응의 하위요인인 담임교사에 대한 적응, 친구관계에 대한 적응, 학교공부에 대한 적응, 학교규칙에 대한 적응에 대해 원만하게 적응하고 학업성취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정서지표 수가 3개 이상의 상위 30% 집단은 학교생활부적응 집단으로 해석하고, 정서지표 수가 1개 이하인 하위 30% 집단은 학교생활적응 집단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BGT 정서지표에 따른 학교생활부적응 집단 아동과 학교생활적응 집단 아동의 반응 특성에는 차이가 있다. 학교생활부적응 집단 아동은 BGT 도형을 모사하는 데 있어 10개의 정서지표 중 8개의 정서지표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도형 배치의 혼란, 파선, 가중묘사 및 강한 선의 3개의 정서지표 항목에서 틀리게 모사하는 경향이 있다. 위의 결과를 통해 BGT 정서지표가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진단도구로서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며, 아동의 심리적인 상태를 이해하고 도움을 주는 자료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생의 주거만족도 및 원룸주택 주거선호도에 관한 연구

        전효진 목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1993년부터 우리나라에 본격적으로 선을 보이면서 큰 인기를 얻게 된 것이 원룸주택이며 입지의 특성에 따라 아파트, 오피스텔, 연립주택, 다가구주택 등의 형식으로 도입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큰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 원룸형 다가구주택이다. 원룸형 다가구주택은 건물의 규모가 작고, 주로 소규모 지주들에 의해 임대전용으로 지어진다. 또한 아파트나 오피스텔보다는 경제적이며, 젊은 신세대들이 선호한다. 과거에는 자취나 하숙의 형태인 대학가 주거유형이 현대에는 자취, 하숙, 고시원에 비래 편리한 시설을 갖추었고, 독립생활이 가능한 원룸형 다가구주택으로 젊은 신세대층 거주자인 대학생들이 밀집해 있는 대학주변을 중심으로 대학가 주거의 한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대학생 위주의 원룸형 다가구주택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원룸주거환경은 대학생들의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편리성과 독립성이 보장되어야 할 원룸이 불편하고, 위생상, 보안상 여러 가지 허점을 드러내고 있으며, 사생활의 침해를 받는 경우도 있어 원룸 본래의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상을 살펴보고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주거선택 만족도와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전효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play belief affect child’s playfulnes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307 mothers with children in 18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surveys, using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measure child’s playfulness, the Children's Playfulness Scale(CPS) developed by Barnett(1990), translated by Ae-yeol Yoo(1994), revised by Mi-sook Kim(2001), and modified by You-Jin Jhon(2019) for parental evaluation was used. To measure the maternal emotional expressiveness, short form of Self-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SEFQ) developed by Halberstadt, Cassidy, Shifter, and Fox (1995), revised by Eun Jin Yeo(2009) with the validation test, was used. To measure mother’s play belief, The Parent Play Belief Scale(PPBS) developed by Fogle(2003), and revised by Hyeon Ji Lee(2016) was used. The quantitativ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8.0.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minimum, maximum,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each measurement tool. In addition, t-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child’s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sibling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among measurement variables. Finally,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belief on child’s playfulnes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iblings in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one with siblings showed better expression in physical spontaneity and enjoyment of child's playfulness.Second, the correlation among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mother's play belief, and child's playfulness showed that all subfactors were correlat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the child's playfulness sub-factors appeared; the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positively correlated to all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but the mothe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negatively correlated to all sub-factors of the playfulness. There was also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other's play belief and the sub-factor of the child's playfulness; mother's play-support belief positively correlated to all sub-factors of the child's playfulness and the mother's learning-centered belief negatively correlated to all sub-factors of the child's playfulness.Third, as a result of the study, mother's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play belief affect to overall child’s playfulnes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considering the effect of mother's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play belief on child's playfulnes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can be used in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child's playfulness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veness and mother's play belief.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에 위치한 18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307명을 대상으로 자료 수집을 하였으며 질문지 방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 Barnett(1990)이 개발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Children’s Playfulness Scale: CPS)를 유애열(1994)이 번안한 이후, 김미숙(2001)이 보완한 도구를 전유진(2019)이 부모평정용으로 수정한 유아의 놀이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Halberstadt, Cassidy, Shifter, Parke, Fox(1995)가 제작한 Self- Expressiveness in the Family Questionnaire(SEFQ)의 간편형 척도인 ‘Short Form of the SEFQ’를 여은진(2009)이 타당화 검사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놀이신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Fogle(2003)이 제작한 부모용 놀이신념 척도(The Parent Play Belief Scale: PPBS)를 이현지(2016)가 번안하고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양적 자료들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고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최소값, 최대값,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했으며 각 측정도구의 내적 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의 형제유무에 따른 유아 놀이성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고, 측정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유아의 놀이성에 대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어머니의 놀이신념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변인 중 유아의 형제유무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형제아가 있는 경우 유아의 놀이성 중 신체적 자발성과 즐거움의 표현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어머니의 놀이신념, 유아의 놀이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요인이 상관관계를 보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요인 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놀이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 상관관계를, 어머니의 부정적 정서표현은 유아의 놀이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유아의 놀이성의 하위요인 간에도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는데, 어머니의 놀이지지 신념은 유아의 놀이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정적 상관관계를, 어머니의 학습중심 신념은 유아의 놀이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중 긍정적 정서표현과 어머니의 놀이신념 중 놀이지지 신념이 유아의 놀이성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및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려해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유아의 놀이성 증진을 위해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증진, 어머니의 놀이신념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 Wolfgang Amadeus Mozart의 《Piano Sonata in D Major, K. 576》에 관한 연구

        전효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는 18세기 고전주의 음악을 서양 음악사 통틀어 최고의 반열에 오르게 한 오스트리아의 음악가이다. 그는 35년의 짧은 생애에도 불구하고 600여 편이 넘는 작품들을 남겼으며, 오페라, 교향곡, 협주곡, 실내악, 독주곡, 종교음악 등 거의 모든 장르에 통달하였다. 일찍이 음악에 두각을 나타냈던 까닭에 모차르트는 유년 시절 아버지의 손에 이끌려 유럽 각지를 돌아다니며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할 수 있었는데, 이러한 경험은 그의 창작 활동에 있어 중요한 밑거름이 되었다. 피아노 연주자로서도 탁월한 재능이 있었던 모차르트는 자신의 연주나 제자들의 교습을 위해 피아노를 위한 독주 작품들을 썼다. 그중 가장 대표적 작품인 18개의 피아노 소나타는 고전주의 소나타 형식의 확립에 상당한 기여를 했을 뿐만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널리 연주될 만큼 피아노 음악사에서 매우 중요한 유산으로 평가된다. 18개의 피아노 소나타는 작곡 시기와 장소 그리고 작품 경향에 따라 다양한 양식상의 변화가 나타나며, 그 내용이 다채롭고 풍부하다. 18개의 피아노 소나타 중에서도 가장 마지막에 작곡된 《Piano Sonata in D Major, K. 576》은 정교한 대위 기법과 모차르트 말년의 원숙한 음악성이 적절하게 어우러진 작품으로, 그의 피아노 소나타 레퍼토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K. 576》은 3악장의 구성으로 빠르게 – 느리게 – 빠르게의 악장 배열을 따르며, 제1악장은 소나타 알레그로 형식, 제2악장은 3부 형식, 제3악장은 론도 형식으로 전형적인 고전 소나타의 모습을 갖추고 있다. 전 악장은 조성, 주제, 짜임새 등의 대비를 통해 구조적인 균형감과 조화를 이뤄냈으며, 주제의 반복과 강조를 통해 간결하면서도 명료하게 전개된다. 또한 《K. 576》은 과거의 유산인 대위법을 고전주의 음악어법으로 재해석하여, 전통적 가치를 재조명하고 다음 세대 음악으로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교량적 작품으로 본다. Wolfgang Amadeus Mozart (1756–1791) is an Austrian musician who elevated 18th century Classical music to the pinnacle of Western music. Despite his short life of only 35 years, he left behind over 600 pieces of music and mastered almost all genres including opera, symphony, concerto, chamber music, solo, religious music, etc. As Mozart showed a great aptitude for music from a young age, he was able to have varied musical experiences in his youth while travelling to various places in Europe led by his father. These experiences becom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his creative activities. As he also possessed a great gift as a piano performer, Mozart wrote solo pieces for the piano for his own performances or to teach pupils. The most representative of those pieces were 18 piano sonatas which not only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establishing the classical form of sonata, but are also considered to be important pieces of heritage in the history of piano music that is still widely played to this day. Mozart’s 18 piano sonatas demonstrate changes into various styles based on the time and place they were composed and the disposition of the piece, making their contents diverse and extensive. 《Piano Sonata in D Major, K. 576》, the last of the 18 piano sonatas,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Mozart’s piano sonata repertoire as it deftly harmonizes sophisticated counterpoint techniques and Mozart’s mature musicality in his later years. 《K. 576》 is composed of three movements that follow the movement sequence of fast—slow—fast, and has the typical form of a classical sonata, with the first movement employing a sonata allegro form, the second employing a ternary form, and the third employing a rondo form. All three movements achieve a structural balance and harmony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tonality, theme, and composition. The piece unfolds concisely yet clearly through repetition and emphasis of the theme. In addition, 《K. 576》 reinterprets the past legacy of counterpoint using classical musical language, and is seen as a work that bridges the past and the present by shedding new light on traditional values while presenting a new direction for the next generation of music.

      • 조선시대 사호도(四皓圖) 연구

        전효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the Shihaotu(Sihao Painting, 四皓圖), the painting style based on the story of Shihao(four luminaries, 四皓) from QianHan(Former Han, 前漢) Dynasty, which remained extremely popular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t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Shihaotu seen in Joseon Dynasty documents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existing Shihaotu’ iconography, expression, and style while affirming its significance in art history. The story of Shihao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history books of the Han(漢) Dynasty and, later, Daoist-hermit text from the Wei-Jin(魏晉) dynasties. Shihao in the story were hermits who secluded themselves in a mountain to avoid the tyranny of the Qin(秦) Dynasty, were Confucian luminaries who attended the royal court for the sake of the Han Dynasty’s crown prince to stabilize the government, and were spiritually enlightened Daoist immortals. The oldest dated Shihaotu in existence, Shangshansihaotu(The Four Luminaries of Mount Shang, 商山四皓圖) painted by Mayuan(馬遠) in the Song(宋) Dynasty, depicted three old men playing Go and the other leaving to grub up herbs. Shihaotu composition of this nature continued to emerge in the Ming-Qing(明·淸) dynasties. Further, the daily dress of Chinese writers, placement of people in 3-1 composition, tall mountains and secluded valleys as background, and the game of Go under a pine tree becam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hihaotu in East Asia. Meanwhile, the preface of Mayuan’s Shangshansihaotu indicates that Shihaotu can be interpreted in two ways, regardless of the icons in it, according to the Shihao story displaying the contradictory concepts of seclusion and attendance to the government. In Chinese Shihaotu, an icon of acceptance which describes the story of serving the crown prince and attending the royal court have appeared since the Yuan(元) Dynasty. Shihaotu from the Ming-Qing dynasties, added an icon of unworldliness representing the dual identity of hermit writer and Daoist immortal. Further, sometimes Shihaotu was drawn to depict Daoist immortals for the purpose of wishing for long life, not to depict a character in a story. Even in the absence of Shihaotu from the Goryeo Dynasty, it is believed Shihaotu existed because poems were composed under the Shihaotu theme during the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dynasties. Writers from royal families and novels from Joseon praised both the fidelity to seclusion and attendance to the government depicted in Shihao, and made it a model of noble man’s virtue. Shihaotu in the Joseon Dynasty used it as a picture of instruction praising both seclusion and attendance at the royal court or strengthening one side of it. There was some degree of criticism of Shihao’s attendance at court, as shown in some poems on Shihao. The existing Shihaotu from the Joseon Dynasty displays the iconography of playing Go and gathering herbs, a common feature shown at Shihaotu from the Ming-Qing dynasties and the origin, Mawon’s Shangshansihaotu. It sometimes included a picture that only showed Go playing – something not common in China – an icon of a young boy preparing tea or an icon of sleeping Shihao while the three playing go. However, the icon of preparing tea and sleeping did not appear in Chinese Shihaotu. It is believed that these two images, used in Chinese art books, were drawn to emphasize unworldliness and seclusion of Shihao. After the eighteenth century, the sale of paintings and calligraphic works among commoners increased due to the proliferation of luxurious trends and collecting paintings andcalligraphy, plus the development of commerce in Seoul and advent of shops that sold them. Shihaotu in the nineteenth century was actively produced thanks to thes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hihaotu in the nineteenth century appeared on various objects such as folding screens, single-panel paintings, the walls of temples, closets, pottery, and other craftworks. This popularity of Shihaotu in the era was heavily indebted to the prevalence of historical novels from the Chu-Han(楚漢) dynasties. Especially as Xihanyanyi(historical novels of the West Han Dynasty, 西漢演義) which was transmitted both orally and through translation spread to various social classes in addition to male writers, preference for the Shihaotu also gained steam. Character pictures with Shihaotu and modern period’s folding screens with paintings of fables depicting Shihao show the influence of a novel with a historical theme on the perception and iconography of Shihaotu. In the nineteenth century, Shihaotu gradually transformed into a picture of a lucky omen for longevity as the craze for pictures of Daoist immortals and a tendency toward extravagance and blessings were added to the original identity which combined hermit writers with Daoist immortals. In the Shihaotu of those days, which had been changed into images of Daoist immortals for longevity from an instructive painting of characters in the story, icons of a crane, a gourd bottle, and a long-lived man emerged. This kind of Shihaotu was used to decorate indoors. Templ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ose topics for their murals from pictures popular with the public, interpreted as an endeavor to propagate Buddhism and increase finance of temples by changing temples into comfortable places for believers and visitors as well as indicate a secularized aspect of Buddhism. Among Shihaotu drawn on the walls of temples, those from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re believed to have been selected because they were not only popular among the public as the icon of characters in the story but also a very familiar topic of Sijo(traditional Korean poetry). Shihaotu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like others from the same period, decorated the walls of temples both as pictures of popular fictional characters and as lucky images of Daoist immortals in order to wish for a long life. 본 논문은 조선시대 전반에 걸쳐 애호된, 前漢시대 四皓 故事를 제재로 하는 四皓圖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문헌에 기록된 조선시대 사호도의 의미와 현전하는 사호도의 도상과 표현, 양식적 특징을 정리하고 이것이 나타내는 바에 대해 미술사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호 고사는 漢代의 역사서와 魏晉時代의 隱逸·道家 문학을 거치며 형성되었다. 고사 속 사호는 秦나라 때부터 暴政과 亂世를 피해 산으로 숨은 逸民이자 漢나라 태자를 위해서는 入朝하여 조정을 안정시킨 儒家의 문인이며, 한편으로는 修道하여 得仙한 道家의 신선이다. 현전하는 最古의 사호도인 宋代 馬遠의 <商山四皓圖>에는 사호가 세 명은 함께 모여 바둑을 두고 나머지 한 명은 지초를 캐러 가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러한 圍棋와 採芝像 유형의 사호도는 明·淸代에도 계속해서 그려지며, 중국 문인의 일상복식, 3 對 1의 인물 배치, 深山流谷의 야외 산수 배경, 松下圍棋像은 이후 동아시아 사호도의 전형적인 특징으로 자리한다. 사호도는 사호 고사에 담긴 은거와 입조라는 이중적 행보로 인해 도상과 무관하게 중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그림이었다. 마원의 <상산사호도> 題跋文은 이러한 사호도의 특징을 보여 준다. 元代부터 중국 사호도에는 圍棋像과 함께 사호의 입조와 太子羽翼의 고사를 표현한 應聘像이 등장하기도 하며, 명·청대에는 오랜 壽를 누린 문인 은거자인 사호의 脫俗的 풍모를 강조하는 도상이 추가되거나 사호도가 故事人物畵가 아닌 祝壽 의미의 神仙畵로 그려지기도 한다. 한편 麗末鮮初 시기 문인들이 지은 사호도 제시는 비록 현전하는 고려시대 사호도는 없지만, 조선시대 이전부터 사호도가 유입 또는 제작되었을 가능성을 알려주며, 이 시기 사호도가 사호의 은일에서 감흥과 감계를 얻는 목적으로 감상되었음을 알려 준다. 조선시대 왕실·사대부 문인들은 사호의 隱居志操와 太子羽翼의 공로 모두를 칭송하였고, 사호의 이중 행보에서 군자의 道가 있는 出處를 되새겼다. 따라서 조선시대 사호도는 유가적 進退觀의 본보기가 되는 고사 인물에게서 교훈을 얻는 그림이었고, 때로는 은거와 입조 중 하나의 측면만을 강조하여 모범을 삼는 鑑戒畵였다. 한편 일부 문인들은 安劉策이 오히려 여후의 전횡을 초래하였다고 평가하여 사호의 입조를 비난하였으며, 사호도 감상에도 그러한 인식이 나타난다. 그러나 문헌 기록의 양과 내용으로 볼 때 전체 사호 인식에서 입조를 비난하는 입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미미하여, 조선시대 사호도가 사호의 出處의 부적절함과 안유책이 실책이라는 부정적인 의미에서 교훈을 얻는 감계화로 활용되는 경우는 드물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현전하는 조선시대 사호도는 중국에서는 드문 圍棋像만 등장하는 유형, 마원의 <상산사호도>에 나타나는 도상의 특징을 본받은 圍棋와 採芝像이 함께 그려진 유형, 위기상과 함께 사호 중의 한 명이 잠을 자는 睡眠像이 나타나는 유형으로 나뉜다. 중국 사호도에는 등장하지 않는 煎茶像과 수면상은 사호의 탈속과 은일을 보다 돋보이게 하기 위해 새로이 삽입한 도상으로 보인다. 18세기 이후 서화 수집 계층의 확산 및 서울의 상업 발달과 서화 가게의 등장으로, 閭巷 市井에서의 서화 유통이 활발해진다. 사호도는 19세기 서화 시장의 변화 속에서도 큰 인기를 누려, 시정에서 제작된 대형 채색 병풍, 단폭 그림, 문자도와 공예품, 사찰 벽면 등 다양한 화면에 등장한다. 이 시기 사호도에 대한 애호는 楚漢歷史小說의 유행에 힘입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西漢演義』가 번역과 구전 유통을 통해 문인 남성 이외의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에게 퍼져 나가면서, 사호도의 인기도 함께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사호가 등장하는 문자도와 근대기 설화병풍은 사호도의 인식과 도상에 미친 연의소설의 영향을 잘 보여 준다. 19세기 이후 사호도는 본래 사호 고사가 지니는 문인 은거자이자 신선이라는 복합적인 정체성에 祈福豪奢 풍조와 신선화의 범람이 덧입혀져, 점차 祝壽吉祥畵로 변모한다. 감계적 고사인물화에서 축수길상적인 신선화로 변화한 사호도에는 白鶴, 호리병, 壽老人 도상이 등장하며, 이러한 성격의 사호도는 20세기 초까지 실내를 장식하는 용도로 활용된다. 조선 후기에는 시정에서 유행하는 그림이 사찰 내 전각의 내·외부 벽면을 장식하는 벽화로 그려지기 시작한다. 이것은 세속화된 불교의 한 단면이자 사찰을 친근한 공간으로 변화시켜 포교 및 사찰의 재정에 도움이 되게 하려는 노력으로 해석된다. 사찰 벽화로 그려진 18세기 후반의 사호도는 시정에서 인기리에 판매된 고사인물도이자 시조로도 널리 불린 익숙한 화제로서 선택되었다. 반면 19세기 이후 사찰 벽화에 등장하는 사호도는 인기 있는 소설 인물 그림이자 축수를 기원하는 길상적인 신선화의 성격으로 사찰 벽면을 장식하여, 동시기 시정에서 판매한 사호도에 나타나는 변화와 동일한 양상을 보여 준다.

      • 소집단 협동놀이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전효진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소집단 협동놀이가 자폐성 장애아동들 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한 J 초등학교에 통합되어 있으며 Y 아동발달센터에서 개별교육을 받고 있는 아동 3명을 대상으로 주 4회의 총 20회기동안 관찰과 중재가 시행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 소집단 협동놀이 활동이 실시되었을 때 사회적 상호작용은 증가하였는데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집단 협동놀이를 통해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시작행동이 증가하였다. 둘째, 소집단 협동놀이를 통해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반응행동이 증가하였다. 셋째, 소집단 협동놀이를 통해 증가한 사회적 상호작용은 중재가 종결된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넷째, 소집단 협동놀이를 통해 자폐성 장애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 행동의 형태가 변화하였다. 위의 결과와 같이 협동놀이는 자폐성 장애아동들 간의 사회적 시작행동과 반응행동을 증가시킴으로써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가와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론을 통하여 소집단 협동놀이는 도움반이나 특수학급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통합을 준비하기 위한 사회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데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