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만관련 지표에 해양천연소재가 미친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전하연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 비만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비만을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현대인들은 계속해서 과체중과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으로 건강에 위협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체 친화적인 비만치료제의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최근 세계적인 환경오염에 의한 자원 고갈의 문제로 인해 해양자원의 연구개발에 대한 중요성 또한 대두되고 있다. 현시점에서 상업적으로 개발된 해양천연소재는 1% 미만에 그쳐, 해양천연소재는 그 개발 가능성이 무한하다. 해양천연소재는 해양동물, 해양식물(해조류), 해양 미세조류, 해양 미생물 등으로 분류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만 관련 지표에 해양천연소재, 그중에서도 해조류가 미친 영향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를 하여, 추후 비만 관련 식품원료로서의 해조류 소재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해조류 섭취가 비만 관련 지표에 미친 효과 크기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난 약 10년간(2020년 7월∼2011년 1월) 발표된 관련 선행연구 20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논문들에 대해, 세부적으로 비만과 관련된 중재변인을 신체측정 지표로 체중, 제지방 무게, 근육무게, BMI, 허리둘레, 팔둘레를, 지방관련 지표로 갈색지방량, 흰색지방량, 피하지방량, 복부지방량, 내장지방량, 체지방량, 복부지방율, 체지방율, 내장지방율을, 장기관련 지표로 심장무게, 신장 무게, 간 무게, 폐 무게, 이자 무게, 비장 무게를, 혈중 지질 지표로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그 외에 혈당, 동맥경화지수, 심혈관 위험지수, 자유 지방산과 같은 혈액성상 및 렙틴, 인슐린과 같은 비만관련 호르몬 등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연구 기간, 해조류 처리물 급여량, 실험동물의 종류, 해조류의 분류에 따른 영향도 알아보았다. 해조류 분류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모두 중간 효과크기였으며, 사례 수와 오차범위를 모두 고려할 시, 갈조류에서 0.706으로 효과크기가 가장 컸다. 신체 조성에선 모두 중간 효과크기이며 지방 관련 지표가 0.480으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혈액성상은 대체로 중간의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총 콜레스테롤에서 0.891, HDL-콜레스테롤에서 0.820으로 큰 효과크기를 보여 해조류의 비만뿐만 아니라, 심혈관 질환 관련 수치 개선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비만 관련 호르몬인 렙틴과 인슐린에 대한 효과크기는 모두 1을 넘는 매우 큰 효과크기를 보여, 해조류 시료 급여 시 비만뿐만 아니라 혈당 관련 수치 개선에서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실험기간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7주 이상의 경우에서 0.994로 큰 효과크기였으며, 해조류 시료의 급여량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10 g 이상의 급여군에서 0.961로 큰 효과크기였다. 실험동물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한 결과, 랫드에서 0.774로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해조류 섭취가 비만 관련 지표에 미친 효과크기를 통합적으로 분석했다는데 그 의의가 크다. 그러나 해조류 분류 중 가장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확인된 갈조류에 대해 세부적인 하위분류의 분석을 진행하지 못하였는데, 이는 갈조류 관련 선행연구 사례가 메타분석을 하기엔 아직 미비했기 때문이다. 본 연구가 해조류를 이용한 항비만 제품개발을 하는 연구자들에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revalence of obesity continues to increase. Despite various efforts to prevent it,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obesity, such as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remain as a public health concern. Accordingly,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plant based natural products as antiobesity therapeutics have emerged. In addition, due to resource depletion caused by global environmental pollution, studies on marine resources have gained prominence. Currently, commercially developed natural marine materials account for less than 1% of natural marine materials as a whole. suggesting an infinite potential for further development. Natural marine materials can be classified as marine animals, plants(sea algae/seaweed), microalgae, and microorganisms. In this meta-analysis,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ea algae on obesity related indicators to identify potential sea algae materials as obesity related food ingredients. We analyzed 20 relevant studies published over the past decade(January 2011–July 2020) to determine the effect size of sea algae intake on obesity related indicators. The moderating variables related to obesity were divided into anthropometric, fat-related, organ-related, and blood lipid indicators. In addition, the effects according to study period, the effect size according to the sea algae treatment feed amount, type of experimental animals, and sea algae classification. We found that all samples exhibited medium effect size(0.724) according to sea algae classification. Considering the number of cases and the margin of error, brown algae showed the largest effect size of 0.706. With respect to body composition, all showed medium effect size. Of which, fat-related indicators had the largest effect size of 0.480. Blood characteristics mostly showed a medium effect size, with total cholesterol(0.891) and HDL-cholesterol(0.820) showing large size effect, indicating that sea algae may improve not only obesity, but also indicators rela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Obesity related hormones leptin and insulin showed very large effect sizes of >1, suggesting that feeding sea algae samples may improve not only obesity but also blood glucose related levels. In addition, a large effect size of 0.994 was obtained for ≥7 weeks of experimental period, whereas a large effect size of 0.961 was obtained in the group fed with ≥10 g sample. Meanwhile, a large effect size of 0.774 was calculated when rats were used. This study provided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 size of sea algae intake on obesity related indicators. However, detailed subclass analysis was not conducted on brown algae, which was found to have the largest effect size among sea algae classifications. Our findings serve as a theoretical basis for future studies aiming to develop antiobesity products using sea algae.

      • 한국인을 위한 신체활동분류표의 타당도 및 이를 이용한 성인의 신체활동량 평가

        전하연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physical activity classification table(PACT) based on total energy expenditure(TEE) measured by the doubly labeled water method(DLW) for Korean adults, and to compare physical activity levels and physical activity patterns of men and women. Methods: A total of 69 healthy Korean men and women aged 20 to 49 year-old. TEE was measured by the DLW method and PACT, and PALDLW was calculated from TEEDLW divided by resting energy expenditure(REE). Also, PALStudy was estimated by PACT, and TEEStudy was calculated by multiplying PALStudy by REE. Physical activity energy expenditure(PAEE) and physical activity patterns were analyzed for the spent time of each activity by using the PACT. Resul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EEDLW and TEEStudy were observed(male p=0.207, female p=0.913). TEE by DLW and estimated by PACT were correlated (male r=0.533, female r=0.578). The percentage of time spent on sedentary behavior was the highest among the remaining active hours excluding sleep time. The estimated PAL in PACT was ‘low activity’ with male 1.55 and female 1.50.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validity of the PACT and to compare PAEE and physical activity pattern of Korean adults by sex and age group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for Korean adults to reduce sedentary time, and to improve their health, behavioral habits that increase physical activity should be improved. Key word: adults, physical activity diary, physical activity level

      • 정신지체인 보호작업시설 근무에 대한 부모만족도 연구

        전하연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우리나라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신지체인의 부모를 중심으로 현재 정신지체인 자녀가 근무하고 있는 보호작업시설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보호자의 일반적 특성요인,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요인, 보호작업시설 근무환경 특성요인들이 정신지체인 보호작업시설 근무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고, 보호작업시설의 근무조건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사전 전화연락을 통해 협조요청을 하여, 연구자의 인터뷰가 가능하거나, 연구자의 교육 후 시설종사자의 인터뷰 조사협조가 되는 곳을 이용하는 부모가 있는곳을 알아보고, 이를통해 서울시역 보호작업시설 10곳, 경기인천지역 보호작업시설 7곳, 총17곳을 선정하여 총200부를 배포하여 160부(회수율 80%)를 회수하였다. 이 중 부실 기재된 10부를 제외한 총 150부의 자료가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SPSS 13.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설문내용의 모든 항목에 대하여 빈도분석(Frequency)을 사용하고, 일반적 특성과 근무 형태에 따른 보호작업시설 근무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T검증(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하게 된 주된 동기는 친구, 친척, 학교선생님 등의 소개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근무하는 중요이유로는 직업재활서비스와 취업도움을 위해서임을 알 수 있다.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함으로써, 장애인 가족들에게는 심리적, 정서적 안정을 얻었다가 가장 많았으며, 보호작업시설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정부의 지원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보호작업시설 부모 만족도는 4점 만점 척도로서, 평균 2.9458로 중간치보다는 높은 점수를 보여 보호작업시설을 이용하는데 만족함을 나타냈다. 특히 보호작업시설의 프로그램 만족도가 2.9713로 높게 나타났으며 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2.9067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부모 만족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부모의 일반적 특성에서 보호작업시설 근무 만족도 중 하나인 직원에 대한 만족도와 부모의 연령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부모의 직업유무에 대해서도 근무만족도 중 하나인 환경에 대한 만족도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장애인의 일반적 특성에서 장애인의 성별은 보호작업시설 이용 만족도 중 하나인 직원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장애인의 학력은 보호작업시설 근무 만족도 중 하나인 환경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근무 형태가 보호작업시설 근무 만족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근무 형태 중 입사 후 근무기간, 최대근무기간, 교통수단과 소요시간은 서비스이용 만족도의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보호작업시설의 근무조건을 개선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보호작업시설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장애인에 대한 보호고용제도는 헌법에 보장된 국민적 권리(근로권과 생활권)이기 때문에 국가가 의무와 책임을 가지고 국가 책임주의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당연하다. 보호작업시설 활성화를 위해서는 정부의 지원을 따라서 중증장애인의 보호고용 강화 및 다양화를 위한 정책적?제도적 보완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신지체인이나 가족들이 잘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이나 기관들을 확충하고 연계하여 근무를 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지속적이며 체계적인 지원이 요구된다. 둘째, 보호고용을 제공하는 보호작업시설에서도 근무장애인 및 부모에게 긍정적인 보호작업시설 인식을 유도하여야 한다. 특히나 정신지체인은 본인 스스로가 나서서 문제를 제시하고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이들과 함께하는 부모나 가족 또는 전문인력이나 사회구성원들이 서로 상호작용하여 보호고용의 질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시설운영에 있어서도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하는 장애인을 둔 부모들의 욕구에 최대한 부응하기 위해 근무기간을 최대한 확대하도록 하고, 급여 증대를 위하여 생산품의 확대, 판로 촉진 등의 경제 활동을 보장해야 할 것이다. 특히, 장기간의 고용상태를 보장하여 중증장애인들이 직업을 통한 자아실현의 계기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셋째, 근로장애인이 최소한 근로자로서의 권리를 통하여 근로복지의 혜택을 누려야 할 것이다. 「2007 장애인복지사업안내」에 따르면 근로를 통해 발생하는 이익금은 근로장애인에게 보다 많은 임금을 지급하거나 복리후생을 개선하는데 우선해 사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근로장애인의 3분의 2이상에 대해 최저임금의 50% 이상을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보호작업시설 보다는 장애인생활시설이나 지역사회 재활시설의 한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도록 지침을 내리고 있다. 그러나 보호작업시설에서 근무하고 있는 대부분의 정신지체인이 최저임금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임금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침과는 별개로 장애인 보호작업시설이 유지되고 있는 실정인 셈이다. 이는 보호작업시설이 아직도 재활이나 생산시설이 아닌, 보호나 복지시설의 역할을 하는 시설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보호작업시설에 대한 근무시간, 월평균임금, 근무기한등의 근로조건과 운영 현황을 세밀히 파악해 시설의 설립목적에 부합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가를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넷째, 근무 장애인을 자녀로 둔 부모들의 당사 주의적 입장에 의해 적극적인 참여를 요구한다. 정신지체인의 경우 장애특성으로 인해 부모들이 실질적인 이해당사자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부모들이 장애자녀들이 지역사회 내 직업과 근무를 통한 고용상태를 유지하고, 적극적인 의미에서 생산적 시민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정부나 유관기관에 요구함과 동시에 보호작업시설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함께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present conditions of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in Korean through the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mentally retarded children's working in such facilities. It examined how the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changes with regard to parents' general characteristics, mentally retarded worker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protection work facilities. Through such examinations, the study intended to generat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of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In order to collect data, the researcher made some phone calls to find out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whose staff can be interviewed and whose services were used by mentally retarded children's parents. Then the researcher selected 17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10facilities in Seoul, 7facilities in Gyeonggi and Incheon area) and distribute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and collected 160 questionnaires(80% return rate). After discarding 10 incomplete questionnaires, the researcher used a total of 150 questionnaires for the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3.0. Frequency analysis was applied in all content of the questionnaires. In order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parents' satisfaction regarding their children's working in the protection work facilities with respect 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orking type, T-test and One-Way ANOVA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 To the question how mentally retarded children began working in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the most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ir accepted friends, relatives and children's school teachers recommended. The main reason why their children worked in the facilities was that it helped their vocational rehabilitation service and employment. In addition, lots of respondents said their children's working in the facilities, gave their families psychological and sentimental comfort. When asked about the way to facilitate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the most respondents answered 'government support'. Overall, mentally retarded workers' parents displayed high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children's working in the protection work facilities. Parents' satisfaction scale score was an average of 2.9458, well above 50%. Especially, their satisfaction score for the program of the facilities was 2.9713, a little higher than their satisfaction score for the environment of the facilities. Specific results of the examination of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ere as follows. First,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otection work facility staff, one of the factors that decide parents'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mentally retarded children's working in the facilities, display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parent age, one of parents' general characteristics. In addition, parents' satisfaction regarding environment of protection work facilities, one of the factors that decide parents' overall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children workings' in the faciliti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whether parents have a job or not. Second,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otection work facility staff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ir mentally retarded children's gender, one of mentally retarded worker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oreover,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environment of protection work fac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mentally retarded workers' academic level. Lastly,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type in the protection work facilities and parents'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ir children's working in such facilities was examined. Parents' satisfaction showed little difference with regard to the length of children's employment in the facilities, transportation and commuting tim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offered for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of protection work facilities First, the principles of state responsibility need to be applied. As employment protection for the disabled constitutes people's rights(labor rights and living rights) guaranteed by Korean constitution, the government has a duty and responsibility to provide support for the disabled employment protection. Therefore, it should take a variety of systematic measures to enhance protection employment for the disabled. It also needs to increase and connect facilities and institutions which can be used by the mentally retarded and their families and offer continuous and systematic support for the convenient use of such facilities. Second, protection work facilities which offer disabled people protection employment should lead the disabled and their families to have positive perception of protection work facilities. Especially, the mentally retarded are not able to address and resolve problems, their parents and families, professional experts and society members work together to improve protection employment for the disabled. Thus, responding to demand of patents whose mentally retarded children work in the facilities, protection work facilities should extend the length of the disabled employment as long as possible. In addition, they also need to enhance economic activities though product diversification and sales channel facilitation to increase wages for the disabled. Moreover, they should guarantee long term employment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the disabled to pursue self-actualization. Third, disabled workers should receive the benefits of labor welfare through workers' rights. According to 「2007 Welfare Service for the Disabled」, profits created through the disabled workforce should be used for wage increase for the disabled or the improvement of welfare services for them in the fist place. It also said that if a protection work facility fails to pay two thirds of the disabled workers more than 50% of minimum monthly wage set by the government, a disabled life facility or a community rehabilitation facility can operate the disabled employment program instead of the disabled protection work facility. However, in reality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are still being maintained, although most mentally retarded workers in the facilities are being paid less than 50% of minimum monthly wage. This indicates the disabled protection work facilities are still being considered as protection or welfare facilities rather than rehabilitation or production facilities. Thus, consistent research should be carried out to see whether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are being operation according to its establishment objectives through detailed examination of facilities' working conditions such as work hours, monthly wage, and the duration of employment Fourth, the parents whose children works in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are required to work actively for the protection employment for the disabled. As their children can not handle problems in the facilities due to their retarded mentality, parents should resolve the problems instead of their children. Therefore, parents should demand that the government and other similar organization provide various supports to help their disabled children to maintain employment and to become productive citizens. At the same time, they also need to work for the development of disabled people protection work facilities.

      • 古文獻에 記錄된 꿩(雉) 調理의 考察과 藥膳 메뉴개발

        전하연 대구한의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오늘날의 경제발전에 따른 식생활의 서구화, 간편화로 영양불균형과 성인병 발생이 증가되는 것과 같이 조선시대 왕가나 사대부에서도 물질적 풍요와 스트레스, 유교적 영향에 따른 운동부족으로 소갈, 종기, 심병 등의 병이 발생되었다. 이에 선인들은 병의 치료와 예방에 관심을 가져 밥상 위에 약이 있다는 ‘약식동원(藥食同原)’의 사상으로 음식의 맛을 살리면서 식재 및 약재의 기능성과 본초학적 효능을 조화시킨 보양식을 즐겼다. 조선시대 고문헌에 꿩은 식재료로 많이 쓰였다는 기록이 있고, 『본초강목(本草綱目)』에 의하면 ‘보중익기(補中益氣)’, ‘생진지갈(生津止渴)’의 효능이 있다고 하였으며, 조선시대에 기록 된『쇄미록』에는 꿩이 동물성 식품 중에서 소비가 가장 많고, 주재료와 부재료로 다양하게 쓰였다고 한다. 본 연구는 1400년대부터 1900년대 초까지의 고조리서 원본, 한글번역본 및 재현도서에서 꿩 조리를 고찰하고, 약선평가 및 메뉴개발를 통하여 약선으로서 꿩 조리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한다. 그 결과, 14권의 고문헌에서 꿩 조리 빈도는 『음식디미방(飮食知味方)』 16회, 『시의전서(是議全書)』 14회로 가장 많았고, 조리방법은 찜, 누르미, 국(탕)ㆍ전골, 숙채, 편육ㆍ순대, 전ㆍ적, 구이ㆍ장조림, 포, 장, 김치, 떡, 떡국, 만두, 국수, 수제비, 식해, 회의 방법으로 총 116회 기록되어 다양하게 조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중에서 국(탕)ㆍ전골이 28회 및 만두가 19회로 가장 높은 조리 빈도를 보였다. 꿩을 주재료로 한 경우, 단독으로 통째 사용하거나 부위별로 잘라서 또는 뼈 째 다져서 사용하였고, 쇠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어패류와 같이 섞어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국물 육수로도 사용되었다. 고명으로는 익힌 꿩고기를 다져 올린 것으로 조사되었다. 고문헌에서 기록 된 조리 중에서 국, 만두의 조리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므로 조선시대 최초의 식이요법서인 『식료찬요(食療纂要)』에 기록된 꿩국(雉羹)과 꿩만두(野鷄餛飩)를 활용하여 메뉴를 개발하고 약선평가 하였다. 그 결과 꿩국(탕)의 개발메뉴 중에서 잔대, 둥굴레, 메조, 찹쌀을 넣은 메뉴 C가 관능평가 결과 다른 메뉴에 비하여 구수한 맛, 시원한 맛, 색 및 외관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소갈(消渴)에 좋은 꿩국(탕)의 원방은 선상치가 +300에서 +400 사이였으며, 메뉴 C의 선상치는 +359로 원방의 효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비위(脾胃)의 기가 허약하여 장활(腸滑)이 있고 음식을 내려 보내지 못하는 것을 치료하는 꿩만두(野鷄餛飩)는 개발메뉴 중 쇠고기, 인삼, 양파를 넣은 꿩만두(野鷄餛飩) D가 맛, 이취, 조직감, 외관 및 냄새에서 평가 수치가 가장 높았으며, 색과 전반적인 기호도도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다. 꿩만두 원방의 약선평가 결과 선상치가 +400에서 +500 사이였으며, 메뉴 D의 선상치는 +446으로 원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아 원방의 효능이 그대로 유지되면서도 기호도가 가장 높았다. 주효재료인 꿩에 보허(補虛), 보기(補氣), 보양(補陽), 이기(理氣), 활혈(活血), 이수(利水), 청열(淸熱),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는 부효재료 및 양념인 조효재료를 적절하게 가미하여 현대인의 기호를 충족시킬 수 있는 다양한 꿩 메뉴 개발은 약선메뉴에서 꿩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s our diet has become more westernized and simple along with economic development, the occurrence of nutritional imbalance and adult diseases have increased. Likewise, the royal family and the gentry of the Joseon Dynasty suffered from diseases, such as diabetes, abscess, and heart diseases, due to lack of exercise caused by material affluence, stress, and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For this reason, our ancestors were interested in the treatment of diseases and prevention, trying to eat health food that stayed true to the original flavor while the functionality of food ingredients and medicinal ingredients was in harmony with the efficacy of herbal medicine, based on the idea that the roots of "food" and "medicine" are the same. According to the Chinese herbalist's manual entitled "Bonchogangmok", pheasant has the characteristic property of 'bojungikgi' and 'Sengjinjigal'. There is a record of writing in ancient literature of Joseon that pheasant was commonly used for food ingredients. The book called "Swaemirok" written in the Joseon Dyansty also records that pheasant was most frequently consumed among animal foods, as diverse main and minor ingredients. This study considered the pheasant recipe that was used between the years 1400 and 1900 from the original version of ancient cookery book, Korean translation and the reproduced version, and attempted to make better use of pheasant cookery as medicinal food through medicinal evaluation and invention of menu. As a result, out of 14 ancient literature books, the frequency of using pheasant cookery was 16 times in the book called "Eumsikdimibang," and 14 times in the book "Sieujeonseo", the highest in number, with a total of 116 times being recorded as cooking methods, such as steamed dish, mung-bean pancake, stew (soup) and Jeongol, salad made with parboil vegetables (Sukchae), slices of boiled meat (Pyeonyuk) and Sundae, pancake, roasted food, beef boiled down in soy sauce(Jangsolim), jerky, sauce, kimchi, rice cake, rice cake soup, dumpling, noodles, dough flakes soup, sweet Korean rice beverage (Sikhye), or raw fish. Among all, stew (soup) and Jeongol used 28 times, the highest frequency, followed by dumpling at 19 times. In the case of using pheasant as a main ingredient, the whole or cut-up pheasant or the ground meat with bones were used, or it was occasionally applied with beef, pork, chicken, or fish. Also, it was used to make meat broth. Added to the cooked minced kkwonggo famous group was surveyed. Among the recipes recorded in the ancient literature, the frequency of cooking as soup and dumpling was the highest. Therefore, pheasant soup and pheasant dumpling, written in the first food-Therapy book of Joseon, "Sikryochanyo," were applied for the invention of menu and medicinal evaluation.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he newly invented menu of pheasant soup (stew), Menu C which included codonopsis lanceolata, Solomon´s seal, millet, and glutinous rice, was significantly high in the areas of savory taste, fresh taste, color and appearance in the sensory evaluation, as well as high in general flavor preference. The original prescription of pheasant soup (stew) to be good for diabetes was between +300 and +400, and the result of Menu C was +359, which stayed the efficacy of the initial prescription while the preference was the highest. Among the invented menus, Menu D, pheasant dumpling, that is good for those who has weak stomach and polonged dysentery, which includes beef, ginseng, and onion, showed the highest score in evaluation of taste, off-flavor, texture, appearance, and aroma, as well as significantly high in color and general preference. The original prescription of pheasant dumpling as a result of medicinal evaluation was between +400 and +500, and the result of Menu D was +446, which did not deviate the scope of the initial prescription but staying the efficacy of the original prescription, and the preference was the highest. The study suggests that when pheasant, the major effective ingredient, is well added with minor effective ingredients helpful for invalidism, breathing, recuperation, recovering energy, blood circulation, water digestion, defervescence, detoxication, and assistive ingredients as seasoning, and a variety of pheasant menus are developed that are able to meet the preference of people, pheasant cookery can be better used as medicinal food.

      • 황색과육 키위프루트에서 식물생장조정제 살포 횟수에 따른 과실 생장 및 품질의 반응

        전하연 제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pray number of the plant growthregulater (PGR, Benefits®PZ)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kiwifruit. Once, twice, and thricesprays from 2 weeks to 4 weeks after anthesis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for 'Sweet Gold'and 'Jecy Gold' which are major cultivars with yellow-flesh grown in Jeju. In both cultivars,as the spray number was increased, fruit size was increased along with the increase of fruitlength, diameter, and fruit weight and deterioration of fruit quality parameters such as drymatter and flesh color did not occur. The increase of fruit size was associated mainly with theenlargement of fruit core and outer pericarp tissues, which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both cell number and size of fruit core tissue, but with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mall cellsand the size of large cells from the outer pericarp tissue. There was little effect of plant growthregulator spray on fruit quality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and yellow-flesh coloration tended to be even higher in the treated than in the untreated. The starch contents were notaffected by plant growth regulator spray by 150 days after full bloom (DAA), at which starchaccumulation was maximized, in both cultivars, but thereafter started showing differencesbetween treatments and the extent of which was continuously enlarged. The content of solublesugars began to increase rapidly at 120 days DAA and showed differences between treatmentsaround 170-180 DAF, but the tendency of those responses was not distinct depending oncultivars. Consequently, this study indicated that PGR (Benefits®PZ) spray contributed to anincrease of fruit size affected in cell number and size, but there were no detrimental side-effectson fruit quality. The response of starch and soluble sugar contents to its spray was differentfrom cultivars and didn’t show a distinct tendency. 본 연구는 식물추출물인 생장조정제(Benefits® PZ) 살포 횟수에 따른 키위 과실의 생장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제주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황색과육의 국내 육성 키위 품종인 ’스위트골드’와 ‘제시골드’를 대상으로 하여, 식물생장조정제 살포 처리 1회, 2회 및 3회와 무처리(대조구)에 대해 비교하였다. 두 품종 모두 처리 횟수가 증가할수록 과실 종경, 횡경 및 과중이 증가하여 과실크기가 커졌고, 건물률, 과육색도 등 품질 요인의 저하는 나타나지 않았다. 과실 크기의 증가는 주로 과심과 과피 바깥 조직의 크기 증가와 관계되며, 과심에서는 세포수 및 크기 증가와 관계되나, 과피 바깥 조직에서는 소세포의 수적 증가 및 대세포의 크기 증가와 관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물생장조정제의 처리에 의한 상온저장에서 과실 품질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었고, 오히려 처리구에서 무처리에 비해 과육의 황색발현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전분 함량에 있어서 최고치에 이르는 만개 후 150일까지는 두 품종 모두 처리 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이후 처리 간에 함량 차이를보이기 시작한 후 계속 증가하였다. 가용성 당의 함량은 만개 후 120일에 급격히증가하기 시작하였고, 만개 170-180일 경에는 처리 간 함량 차이가 커지는 경향이었으나, 처리에 따른 품종 간 반응이 일정하지 않았다.본 연구 결과 식물추출물인생장조정제 살포가 과실의 세포 수와 크기에 영향하여 과실 생장을 증가시켰으며,다른 품질 요인의 저하 영향은 없었다. 전분 함량 및 가용성 당 함량에 대한 영향에있어서는 품종 간 반응이 달랐으며,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 팩트체크 뉴스의 검증 방식과 판정 결과 일치 여부가 이용자의 판단 변화와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에 미치는 영향

        전하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의 미디어 환경에서는 허위 정보나 주장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하나의 통합된 팩트체크 방식’의 필요성이 제기되었음에도, 팩트체킹의 검증 방식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차 검증’에 초점을 맞추고, 팩트체킹의 검증 및 판정 방식이 이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이해를 확장하고자 한다. 교차 검증이 팩트체크 현장에서 적잖이 발생함에도 불구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조사한 연구가 상당히 드물다는 점에서 그 이용자 효과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 역시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팩트체크 검증 방식(단일 검증 vs 교차 검증)과 판정 결과 일치 여부(일치 vs 불일치)에 따른 이용자의 판단 변화,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를 실증적으로 검토했다. 또한, 언론사에 대한 신뢰도의 조절 효과도 분석했다. 이를 위해 단일 검증(신뢰 조건 vs 불신 조건), 판정이 일치하는 경우(신뢰 조합 조건 vs 혼합 조합 조건 vs 불신 조합 조건)와 불일치하는 경우(신뢰 조합 조건 vs 혼합 조합 조건 vs 불신 조합 조건)의 교차 검증을 포함한 총 8개 조건에 피험자 내 설계를 적용한 온라인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 단일 검증 상황에서 언론사의 판정과 이용자의 기존 판단이 유사할수록 이용자의 판단 변화는 더 적게 나타났고,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는 더 높았다. 다만, 이 효과는 개별 언론사의 신뢰도에 의해 조절되지 않았다. 판정이 일치하는 교차 검증 상황에서도, 언론사의 판정과 이용자의 기존 판단이 유사할수록 이용자의 판단 변화는 더 적게,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는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판정이 일치하는 교차 검증이 단일 검증에 비해 이용자의 판단 변화와 확신 정도에 더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해석됐다. 교차 검증에 참여하는 언론사의 신뢰도 조합도 유의한 조절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한편, 교차 검증 상황에서 판정의 일치와 불일치를 비교할 때, 이용자의 판단 변화와 확신 정도의 변화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주목할 점은, 판정이 불일치하는 교차 검증 상황에서 신뢰도가 높은 언론사의 판정과 이용자의 기존 판단이 유사할수록 이용자의 판단 변화는 더 감소하고, 나아가 판단에 대한 확신 정도는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차 검증의 이용자 효과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심층적으로 조사함으로써 교차 검증이라는 설계의 실제적인 영향력을 검토했다. 그 과정에서 이용자 효과와 관련한 심리적 기제를 기반으로 한 가설을 설정하고 변인 간의 관계성을 탐구하는 데 집중했다. 이는 검증 및 판정 결과 제공 방식의 측면에서 팩트체크 뉴스의 이용자 효과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이해를 제공함으로써 생산적인 논의를 촉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Currently, misinformation or false claims are repeatedly appearing in the modern media environment. Despite the necessity of an ‘Integrated fact-check method’ to respond to this issue, there is little empirical research on fact-checking verification method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focus on ‘cross-verification’ and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influence of fact-checking verification and judgment methods on the users. Although cross-verification frequently occurs to some degree in fact-checking sites, given that only a few studies have empirically investigated such a matter, the need for a study on the user effect is also raised. Thus, the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changes in user judgment and level of confidence in judgment according to the fact-check verification method (single verification vs. cross verification) and the correspondence of judgment result (correspondence vs. discrepancy). Moreover, the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reliability of the press. For analysis, the study conducted an online experiment with a within-subjects design for a total of 8 conditions, including the cross-verification of single verification (trust vs. distrust), case in which judgment result corresponds (trust combination vs. mixed combination vs. distrust combination) and the case of discrepancy (trust combination vs. mixed combination vs. distrust combination).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n the single verification setting, there were fewer changes in the user judgment as the press judgment and existing judgment of the users are similar. It had a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judgment. However, this effect was not controlled by the reliability of the individual press. In the setting where the judgment of cross-verification corresponds, as the press judgment and existing judgment of the users are similar, there were fewer changes in the user judgment and a higher level of confidence in judgment. However, it is interpreted that cross-verification with corresponding judgment had fewer chances to influence the changes of the user judgment and level of confidence further than single-verification. The reliability combination of the press participating in the cross-verification did not show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Meanwhile, in the cross-verification setting, when comparing the correspondence and discrepancy of the judgment, the changes in user judgment and the level of confidenc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cross-verification setting where the judgment is discrepant, the changes in the user judgment decrease as the judgment of highly reliable press and the existing judgment of the users are similar. Moreover, the level of confidence in the judgment increases. This study recognized the necessity to look into the user effect of cross-verification. By having an in-depth examination, the study examined the actual influence of cross-verification design. In the process, the study formulated a hypothesis based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related to user effect. It also focused on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By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user effect of fact-check news in terms of the method of providing verification and judgment results, the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moting productive discu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