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특발성 폐섬유증과 동반된 폐암에서 PET/CT의 유용성 연구 : Incremental Advantage of PET/CT over CT alone for Mediastinal Nodal Staging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 Comparison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전태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서 론 18-F FDG PET/CT는 비소세포폐암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 평가에서 CT 단독 검사보다 더 나은 특이도와 정확도를 보여준다. 이 연구에서는 특발성 폐섬유증에 동반된 비소세포폐암에서 특발성 폐섬유증이 없는 비소세포폐암보다,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진단에 있어서, PET/CT가 CT 단독 검사보다 추가적인 진단능이 더 있는지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42명의 특발성 폐섬유증에 동반된 비소세포폐암 환자에 대한 대조군으로 168명의 특발성 폐섬유증이 없는 비소세포폐암을 선정하였다. 환자군과 대조군은 모두 PET/CT와 조영증강 CT를 시행 받았으며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진단은 조직병리학적으로 확진되었다. 결 과 특발성 폐섬유증이 동반된 환자군에서 PET/CT는 CT 단독 검사와 비교하여 특이도(91% vs. 47%; P=0.0002)와 정확도(83% vs. 50%; P=0.001)에서 우월하였다. 특발성 폐섬유증이 없는 대조군에서 PET/CT는 CT 단독 검사와 비교하여 특이도(96% vs. 84%; P=0.0002)와 정확도(88% vs. 73%; P< 0.0001)에서 우월하였다. PET/CT의 추가적인 정확도는 환자군에서 33%이며 대조군에서는 15%로 환자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P=0.0041), 주된 이유는 특이도의 향상이었다. 결 론 PET/CT는 비소세포폐암에서 종격동 림프절 전이의 평가에 있어서 CT 단독 검사보다 정확한 검사인 것은 알려져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PET/CT는 특발성 폐섬유증에 동반된 비소세포폐암에서 더 많은 추가적인 정확도를 제공하는 검사이므로 특발성 폐섬유증에 동반된 비소세포폐암에서 술전 검사에 더욱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18F-FDG PET/CT provides better specificity and accuracy than standalone CT for mediastinal nodal metastasis prediction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NSCLC). I aimed to compare the incremental advantage of PET/CT over CT alone for the prediction of mediastinal nodal metastasis between patients with NSCLC and 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and those with NSCLC but without IPF. Methods: Forty-two patients (mean age, 66 years) with NSCLC and IPF were matched to those with NSCLC (168 patients mean age, 65 years) without IPF. Patients underwent both integrated PET/CT and enhanced CT. Histopathological nodal assessment served as reference standards. For statistical analyses, McNemar and Chi-square test were used. Results: On a per-patients basis, PET/CT was better than CT alone for specificity (91% [29 of 32 patients] vs. 47% [15 of 32]) and accuracy (83% [35 of 42] vs. 50% [21 of 42]) in patients with IPF; P = .0002 and P = .001, respectively. In patients without IPF, PET/CT was better than CT alone for sensitivity (62% [26 of 42] vs. 40% [17 of 42]), specificity (96% (121 of 126)vs. 84% [106 of 126]), and accuracy (88% [147 of 168] vs. 73% [123 of 168]) P = .0067, P = .0002, and P < .0001, respectively. Thus, the incremental accuracy of 33% (14 of 42) in patients with IPF at PET/CT as compared to 15% (24 of 168) for patients without IPF (P = .0041, chi-square test) was mainly due to improved specificity. Conclusions: Although it is better than stand-alone CT for mediastinal nodal staging in NSCLC, PET/CT is more advantageous in patients with IPF than in patients without the disease mainly due to improved specificity.

      •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기준 및 조사평가지표 개발

        전태연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아토피, 천식 등 알레르기 질환이 환경오염으로 인해 증가되고 있으며, 또한 유기농에 대한 관심과 선호도가 높아지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녹색상품과 녹색기업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조화, 환경보호를 우선으로 생각하는 유기농 패러다임으로 변화되고 있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산후조리원은 건축자재 및 부적절한 위생관리로 인해 호흡기질환, 감염사고 등이 발생되고 있으며 환경오염도 증가시키고 있다. 이렇듯 환경보호와 산후조리원 내 질병 예방을 위해 지속가능한 친환경 경영이 필요하며 또한 이를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평가개발을 통해 산모와 신생아의 생태적 삶의 향유를 목표로 하는 유기농 산후조리원 규정을 제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프랑스, 미국, 북유럽 등 4개의 유기농 및 친환경산업 인증기준 조사와 국내 친환경호텔서비스 인증기준을 비교ㆍ분석, 고찰하였다. 자원관리 및 친환경 경영 부분은 LEED의 인증기준을 참고하여 도출하였으며, 평가항목은 환경 및 정책, 유기농 산업 경영자, 인증조사원, 유기농협회위원 등 전문가들의 회의와 산후조리원 운영자를 통해 체계적인 개발과정으로 평가항목을 선정하여 국내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기준을 개발하였다. 또한 소비자들 대상으로 유기농 산후조리원의 속성에 대한 인식과 이용여부에 대한 의견 등을 통해 향후 유기농 산후조리원 이용 여부를 알고자 하였다. 국내ㆍ외 유기농 및 친환경 산업 인증기준에 대한 문헌고찰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유기농 산후조리원 평가분야를 기본 틀로 하여 ① 유기농 식ㆍ음료 ② 유기농 제품 구매 ③친환경 자원관리 ④ 유기농 교육 ⑤ 유기농 시설관리 ⑥ 위생관리 영역으로 총 6개 평가영역과 38개의 평가항목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100점으로 필수기준을 만족해야하며 선택기준은 획득 점수에 따라 인증등급이 정해진다. 필수항목은 10개, 선택항목은 28개로 구성되었다. 유기농 산후조리원 평가항목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조사 결과에서는 유기농 산후조리원에서 청소 및 위생 관리, 실내 환경 준수를 잘해야 하며 분리수거와 화학품, 화학비료, 농약 사용을 금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에 대한 교육과 정보를 받기를 원하며 유기농 식품 및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조사 결과가 나타났다. 유기농 산후조리원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친환경 경영 실천과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환경 및 유기농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신뢰를 바탕으로 건강과 유기농을 연계하면 교육적 효과뿐만 아니라 유기농 산후조리원에 대한 인식전환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업체의 자발적 참여를 위한 방안으로 정부의 세금감면, 포상 등의 재정적 지원과 유기농 및 환경에 관한 홍보, 교육 실시의 제도적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증제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산후조리원 자체의 자가 체크와 인증 후 사후관리를 통해 효율적 경영으로 비용절감 및 이윤창출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인증업체의 사례 분석을 함께 병행하여 더 나은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해야 한다. 또한 직원의 적극적인 참여와 동기유발이 중요하며 유기농 산후조리원 이용자 및 지역사회 주민들에게 지속적인 교육과 홍보를 통해서 환경부하를 저감하는 유기농 산후조리원 인증 서비스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뽕잎현미설기의 재료배합비에 따른 관능적·텍스쳐 특성

        전태연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뽕잎현미설기는 멥쌀현미가루에 뽕잎가루와 설탕, 올리고당, 물을 첨가하여 찐 떡이다. 본 연구는 멥쌀현미가루에 2%, 4%, 6%의 뽕잎가루와 설탕과 올리고당으로 당의 종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뽕잎현미설기의 관능검사와 texture 특성, 수분함량, 색도를 측정하여 최적의 배합비를 선정하여 건강식품으로 개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량적 묘사분석 결과 MB2S(멥쌀현미가루 196g, 뽕잎가루 4g(2%), 설탕 30g)이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으며 멥쌀현미가루에 뽕잎가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씁쓸한 맛, 삼킨 후의 느낌이 강하다고 평가되었으며 뽕잎가루 첨가량이 적을수록 부드럽고, 촉촉하며, 쫄깃하다고 평가되었다. 설탕을 첨가한 군이 올리고당을 첨가한 군보다 부드러운 정도, 촉촉한 정도, 쫄깃한 정도가 좋다고 평가되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향기, 전반적으로 바람직한 정도는 MB4S(멥쌀현미가루 192g, 뽕잎가루 8g(4%), 설탕 30g)가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 Texture 특성 검사 결과 멥쌀현미가루에 뽕잎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견고성, 부착성, 점착성, 씹힘성은 설탕 첨가 군이 낮았고 올리고당 첨가 군이 높았다. 응집성은 뽕잎가루 첨가량이 많을수록 낮았다. 수분함량은 멥쌀현미가루 28.0%, 뽕잎가루의 수분함량은 6.6%, 설탕의 수분함량은 5.0%, 올리고당의 수분함량은 25%였다. 뽕잎현미설기의 수분함량은 35.60%~43.60%였으며 기호도가 가장 좋은 MB4S(멥쌀현미가루192g, 뽕잎가루 8g(4%),설탕 30g)의 수분함량은 43.60%였다. 색도 측정결과 뽕잎가루의 첨가량이 많을수록 명도는 낮아 어두워졌으며 적색도는 높았고 황색도는 낮았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얻은 뽕잎현미설기의 가장 바람직한 배합비는 멥쌀현미가루 192g, 뽕잎가루 4%(8g), 설탕30g, 소금 1%(2g), 물 35ml 이었으며 수분함량은 43.60% 였다. Bbongniphyunmisulgi is steamed rice cake made with brown rice flour, mulberry leaves powder, sugar, oligosaccharides, salt and water. In this study, Bbongniphyunmisulgi was prepared by varying the amount of mulberry leaves powder-2%, 4%, and 6%- and the type of sugar-sugar or oligosaccharides with brown rice flour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texture, moistness, and color were evalua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lect the optimal combination of the ingredients for Bbongniphyunmisulgi in order to develop a health foo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which MB2S(brown rice flour 196g, mulberry leaves powder 4g(2%), sugar 30g) was evaluated to be the best combin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ddition of mulberry leaves powder was the more, feeling of bitterness after swallowed was the stronger. And the amount of mulberry leaves powder was more decreased, taste was softer, moister and chewier. The rice cake with sugar was evaluated to have better softness, moistness, and chewiness than the rice cake with oligosaccharides. The results from the hedonic analysis of flavor showed that MB4S (4% of mulberry leaves powder and 30g of sugar) was evaluated to be the best for overall goodness. The analysis of texture characteristics revealed that as the amount of mulberry leaves powder added to brown rice flour increased, hardness, adhesiveness, gumminess and chewness decreased in the sugar group but increased in the oligosaccharides group. Cohesiveness was evaluated to be decreased as the amount of mulberry leaves powder increased. The moisture contents in brown rice flour, mulberry leaves powder, sugar and oligosaccharide were 28.0%, 6.6%, 5.0% and 25% respectively. The moisture contents in Bbongniphyunmisulgi were 35.60% ~ 43.60% and those of MB4S (brown rice flour 192g, mulberry leaves powder 8g(4%), sugar 30g), the best combination of ingredients, were 43.60%. The evaluation of color showed that with more mulberry leaves powder added, the brightness and yellowness decreased whereas redness increas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best combination of Bbongniphyunmisulgi is 192g of brown rice flour, 8g(4%) of mulberry leaves powder, 30g of sugar, 2g (1%) of salt, and 35ml of water. The moisture content is 43.60%.

      • Clinical Implications of Diffuse Excessive High Signal Intensity at Near-Term MR Images of High-Risk Preterm Infants: 2-Year Follow-up Study : 고위험 미숙아의 만삭에 가까운 나이에 시행한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보이는 미만성의 과도한 고신호 강도의 임상적

        전태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neurodevelopmental outcomes between preterm infants with diffuse excessive high signal intensity (DEHSI) and those without DEHSI, in association with other white matter lesions. High-risk preterm infants (n=126) who underwent screening brain MRI at near term-equivalent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DEHSI. Bayley scales, presence of cerebral palsy, and neurosensory impairment at 2 years of age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he associations of MR findings of other white matter lesions (cystic encephalomalacia, punctate lesions, loss of volume, ventricular dilatation, and delayed myelination) and subsequent outcomes were also analyzed. Outcome data were evaluated by using exact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and Fisher’s exact test. DEHSI was present in 75% (95 of 126) of infants. Subsequent neurodevelopmental outcom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 two groups. Severe motor delay and cerebral palsy were more common in infants with both DEHSI and other white matter lesions as compared with infants with normal white matter (P =.001 and P <.001, respectively). Among other white matter lesions, cystic encephalomalacia (odds ratio, 19.6;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1.3-333.3) and punctate lesions (odds ratio, 90.9; 95 percent confidence interval, 6.4-1000)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erebral palsy. Although the incidence of DEHSI was high (75%) in preterm infants at near term-equivalent MRI, DEHSI did not predict following adverse outcomes. Cystic encephalomalacia and punctate lesions were mo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erebral palsy.

      • 전력최적화기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시스템 실증 연구

        전태연 경상국립대학교 융합과학기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focuses on investigating equipment failures in photovoltaic systems and conducting a practical study on photovoltaic generation by developing a panel level Distribute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DMPPT) system. As solar energy gains popularity as a renewable energy source,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the photovoltaic systems are maintained and operated effectively. The study explores the common problems associated with photovoltaic systems an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new system in preventing and addressing these issues. The study uses a qualitative approach, drawing on literature review and new technology develop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common issues with solar power systems include wiring faults, module damage, and inverter failures. To prevent these issues, regular maintenance is essential. System performance monitoring is essential for maintenance activities. The developed system enables remote monitoring of individual panels, allowing for more precise and efficient operation compared to traditional string level monitor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to facility mangers, PV system owners.

      • 組織에 따른 織物의 구조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에 관한 硏究

        전태연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15

        Using geometry equations of Piece’s model and energy method, the structur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woven fabrics were predicted. The geometrical parameters were obtained from the density of woven abrics, crimp and yam count in order to predict the properties of woven fabrics. The experimentally obtained values of the yarn diameter were observed to b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calculated by Peirce’s equation that can be used to predict the diameter from the yarn count. This observation required modification of the Peirce’s equation. The structure of woven fabrics was obtained by utilizing the yam diameter estimated by the modified Peirce's equation. The structural parameters based upon the modified Peirce's equation were very close to the experhentally obtained values. The mechanical behavior was also predicted from the structural parameters by applying the energy method. The load-extension relation was calculated by substituting the initial modulus and bending rigidity into the equation describing the structure of fabrics. In case of plain fabrics, the load-extension relations for cotton, wool and polyester fabric systems as a function of relaxation state of fabrics were in good accord with experimental data. Furthemnore, some fundamental s t r u c u parameters for Z/Z mat, 2/1 twill, 3.4 twill, satin and rib fabrics were also calculated by using both the Peirce‘s equation and the modified one and the calculated parameter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data. The load-extension curves obtained by calculation showed similar tendencie3 observed in plain fabric systems.

      • Vitamin A, as an immune response regulator : nutritional, immunological, and biochemical studies

        전태연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1993 해외박사

        RANK : 247615

        비타민 A는 동물의 저상정인 T 임파구 활동에 절대 필요한 영양소다. 항원을 비타민 A가 결핍된 쥐에 주사할 경우 저하된 항체 반응을 볼 수 있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적정량의 비타민 a를 결핍된 쥐에 섭취시켰을 경우 항체 반응이 정상으로 돌아옴을 알 수 있다. 비타민 A를 시험관 상에서 보충시켰을 경우 여러 레티노이드 중 레티노익산이 저하된 항체 면역 반응을 정상으로 올릴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레티노이드임이 나타난다. 저하된 항체 반응은 비타민 A가 결핍된 T 임파구에서 분비되는 항체반응 방해자인 다량의 감마 인터페론이 요인일 수 있다. 실제 레티노익산을 시험관 상에서 첨가할 경우 감마 인터페론의 분비가 저하되며 항체반응이 정상으로 돌아온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처음으로 레티노익산이 T임파구에 직접적인 영향으로 감마 인터페론 분비를 방해하여 이러한 현상을 생하학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시험관상 모델을 설립하였음을 보여준다. 비타민 A가 결핍된 배양조건에서 MD13- 10 T 임파구 클론은 비타민 A가 결핍된 쥐의 T임파구와 같은 형태의 반응을 보여준다. 이 세포들은 자극에 의해 감마인터페론을 분비하며 첨가된 레티노익산은 감마 인터페론 분비를 억제한다. 반응후반에 레티노익산을 첨가할 경우도 감마 인터페론의 분비를 억제시키며 이는 곧, 억제조절은 RNA 합성과정이나 단백질 합성과정에서 일어남을 보여주고 있다. 레티노익산 분 아니라 합성 레티노이드인 ch55도 감마 인터페론 분비를 억제하여 이는 곧 레티노익산의 감마 인터페론에 대한 영향은 레티노익산 리셉터 (RAR-alpha)의 관여로 나타남을 보여준다. T 임파구에서의 RAR-alpha 발현을 RNA와 단백질 수준에서의 분석을 해보면 흉선 T세포, MD13-10 T 세포 그리고 표면 T 세포들이 모두 RAR-alpha의 원형 RNA인 2.5kb와 3.4kb 형태를 발현시키는 외에 5' 끝이 잘린 1.9kb의 새로운 RNA도 발현함을 알 수 있다. 항체에 의한 단백질 분석은 모든 림프 조직이 55kDA의 원형 RAR-alpha 단백질이외에 새로운 38kDA 형태의 단백질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흉선 T 임파구는 28-30 kDA 형태만 지니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눈문에서는 RAR-alpha의 감마 인터페론의 발현조절 및 1.9kb RAR-alpha RNA와 작은 형태의 RAR-alpha 단백질의 생리학적 의미를 토론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