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DHD 성향을 가진 아동들의 음악적 치료에 대한 연구

        전재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10명의 주의력결핍과 과잉행동 장애를 동반한 아이들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이용해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알아 보기위한 논문이다. 이 실험의 목적은 두 가지이다. 첫 번째는, 음악치료가 ADHD 아동들에게 주의력 결핍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두 번째는, 음악치료가 ADHD 아동에의 과잉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가? 이두가지의 질문을 가지고 12개의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회당 30분의 시간을 주고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의 측정도구는 FAIR 주의집중력검사 (주의력결핍 측정도구)와 KPI-C 한국아동인성검사(과잉행동 측정도구)를 사용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적용으로 프로그램 실시 이전의 주의력집중력 검사 결과는 아동들의 평균이 FAIR의 9간 규준점수결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아동으로 진단학적으로 분류될 수 있는 수준이었는데 프로그램 실시 후 FAIR 9간 규준점수결과가 평균에 해당하는 구간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과잉행동 감소에도 효과가 있었다.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적용으로 프로그램 실시이전의 과잉행동 검사의 수치는 ADHD아동으로 진단학적으로 분류 되지는 않았지만 비교적 높은 수준의 61점이었으나 음악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58점의 비교적 안정적인 상태로 나타났다. 이 실험에서 보아지듯이 ADHD 성향을 가진 아동들의 음악치료를 통해 문제 행동들을 감소시켰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effects of the music therapy program for ten children with ADHD. This experiment has two objectives. First, it is to see what kind of effect the music therapy has on the children's attention deficit disorder. Second, it is to see what kind of effect the music therapy has on the children's hyperactive disorder. With these two objectives in mind, twelve 30 minute-long music therapy programs were carried out with tests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ools used for the test were FAIR(Frankfurter Aufmerksamkeits-Inventar, an attention deficit disorder testing tool) and KPI-C(Korean Personality Inventory for Children). From carrying out the music therapy program, it showed that children's average was a FAIR standard of 9, categorizing them as having attention deficit disorder, but after the therapy the FAIR standard of 9 was just an average and nothing more. Hence, there was a decrease in the hyperactivity of children. From carrying out the music therapy program, it was visible that the result of 61 of the hyperactivity test before the therapy, quite high, wasn't enough to categorize the children as having ADHD. Thus, the result decreased to 58 after the therapy was carried out. As it is available from this experiment, the music therapy program helped to reduce the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ADHD.

      • 궁중정재‘가면무용’의 상징성 연구

        전재은 대진대학교 문화예술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가면이나 탈을 쓰고 춤추는 행위는 가면이 가진 상징성을 표현한다. 이에 본 논문은 궁중정재 ‘가면무용’의 상징성에 대한 연구로써 처용무, 학무, 사자무를 중심으로 각종 문헌자료들을 통한 고찰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가면무용의 특성에 중점을 두어 궁중정재 ‘가면무용’의 상징성을 찾아보는데 목적을 설정하고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동양의 예악사상과 가면, 정재의 의의에 대해 작성하였다. 2. 궁중정재 가면무용 '처용무', ‘학무’, ‘사자무’에 대한 발생 및 시대적 변천사, 특성을 분석하였다. 3. 궁중정재 가면무용의 상징적인 요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내용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처용무, 학무, 사자무는 모두 궁중정재에서 연희되었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며 모두 가면무용이다. (여기서 가면무용은 ‘탈’ 을 포함한다) 처용무는 신라 헌강왕 때부터 전해진 향악정재로 궁중무용가운데 가장 오랜 전승 역사를 가지고 있다. 신라시대의 풍월도적 세계관에서 전승된 ‘처용가’는 고려시대에는 ‘처용희’로 줄타기와 같은 곡예놀이와 함께 가무백희로 인식되었다. 조선시대에 이르러 계승된 처용무는 1인 처용무와 쌍처용무로 전승되며 나례의식 등에서 연행되었다가 세종 대에 궁중정재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성종 대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형태로 변화된다. 이 때는 나례의식 성격이 두드러지며, 후대로 내려올수록 처용무의 기능과 역할은 점점 약화된다. 2. 학무는 궁중정재로서의 사료는 1493년 편찬된 『악학궤범』의 기록이다. 연행은 공간(궐밖,궐안)과 목적에 따라 달라진다. 궐밖에서의 연행하는 경우 거가환궁행사의 하나로 다른정재들과 연행된다. 궐안에서 연행되는 경우는 각종 진연, 진찬등에 진행되며 나례의식과 함께 연행되는 학무는 연화대무, 처용무와 함께 연행되어 ‘학연화대처용무합설’의 형태의 대형화로 이루어진다. 3. 사자무는 긴 세월을 가지면서 모습과 형식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궁중정재의 사자무는 일반 사자무와 달리 궁중의 의례규정 때문에 춤의 형식과 내용사의 많은 변화가 있다. 근래의 사자무는 민속극 가면무용으로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그 중 북청사자놀이는 독립된 사자무로 계승된다. 4. 궁중정재의 처용무, 학무, 사자무 모두 민간에서 먼저 연희되었다가 궁중으로 유입되며 연희되는 목적과 의도가 뚜렷하고 음악, 무복, 의물은 물론 무원의 역할 등이 구분되고 있으며 엄격한 형식과 격식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궁중으로 유입되기 전의 처용무, 학무, 사자무는 놀이에 가깝고 연극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있었으나, 궁중정재로 편입되며 연극적인 요소 보다는 무용의 요소들이 강화되었다. 명칭에서도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이것은 궁중으로 유입되며 내용상, 형식상의 엄격한 규칙을 따르고, 놀이라는 개념보다는 무용이라는 개념이 더 강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戱에서 舞로 명칭이 변경이 이루어진 것이라 생각된다. 5. 인간은 퇴치 불가능한 강자들을 모방하거나 굿이나 의식을 통한 신격의 초월한 힘을 이용해서 자신의 안전을 기원하기 위해 벽사적 의미로 가면무용을 연행하였다. 처용무는 가면의 힘을 빌려서 액을 물리치고 복을 기원하는 악귀퇴치의 벽사적인 무용이며, 거가환궁 시 잡귀를 쫓아 보내는 의미의 벽사적 기능의 학무를 연행하였으며, 또한 사자무는 오랜 옛날부터 벽사의 능력을 가진 동물로 인정되는 사자를 이용하여 벽사진경 외에도 민중의 소망과 행복을 기원하는 수단으로 삼았다. The act of dancing in a mask or a tal(Korean traditional mask) expresses the symbolism of the mas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ymbolism of the mask dance as a part of Gungjung Jeongjae by examining the literary materials regarding Cheoyongmu, Hakmu, and Sajamu, the there major repertories of the mask dance. The present study aims to find the status of the mask dance in Gungjung Jeaongjae by interro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sk dance. The conten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examines the Ye-ak philosophy (the philosophy of manners and music), which originated from the East, and meanings of mask and Jeongjae. 2. It reviews the origin, historical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Cheoyongmu, Hakmu, and Sajamu, the mask dance repertories of Gungjung Jeongjae. 3. It analyzes the symbolic elements of the Gungjung Jeongjae mask da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heoyongmu, Hakmu, and Sajamu are all mask dances that were played as repertories of Gungjung Jeongjae. (Here, the mask dance includes tal.) Among them, Cheoyongmu is classified as a Hyangak Jeongjae whose origin traces back to King Heonkang of the Shilla Dynasty: it is the oldest among the court dances. Cheoyongga(Cheoyong music) had arisen based on the world-view of chivalry upheld in the Shilla Dynasty and developed into Cheoyonghee(Cheoyong play) during the Gorye Dynasty, making itself a repertory of the state-sponsored entertainments which included tightrope and acrobatic feats. By the time of the Joseon Dynasty, Cheoyongmu became divided into the one-man Cheoyongmu and the double Cheoyongmu. While it was normally played for ghost-repelling ceremonies, Cheoyongmu became designated as an official repertory of Gungjung Jeongjae during the reign of King Saejong and later transformed into Hakyeonhwa-daecheoyongmu-hapseol in the King Seonjong period. By this time, Cheoyongmu maintained the strong characteristics of ghost-repelling ceremony, but gradually lost the role and function as such in the subsequent periods. 2. The earliest historical record of Hakmu as a repertory of Gungjung Jeongjae is found in Akhakguebeom published in 1493. The style of Hakmu shifts along with the changes of the space in which it is performed (within or without the palace) and the purpose of the dancing. In case that it is played outside of the palace, it is performed with other court dances making an event for the king's return to palace ceremony (Geoga-hwangung-haengsa). When played within the palace, Hakmu is shown for the celebration parties(jinyon or jinchan). If is performed with ghost-repelling ceremony, it is played with Yeonhwadaemu and Cheoyongmu, making a large-sized dance performance dubbed Hakyeonhwadaecheoyongmuhapseol. 3. Sajamu has gone through many changes in the course of long time. Different from ordinary Sajamu, Sajamu as a part of Gungjung Jeongjae had to suffer a number of changes in its form and content because of the court regulations on ceremony. Nowadays, Sajamu performances are conducted across the country as a traditional mask dance: among them, Bukcheong Saja-nori is regarded as a distinctive form of Sajamu. 4. Cheoyongmu, Hakmu, and Sajamu, all of which belong to Gungjung Jeongjae, had originally been played among the people and flowed into the court. Each dance has its distinctive goal and purpose of playing, while the roles of music, costume, properties, and dancers are clearly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And all of them have rigorous forms and formalities. Although the three dances had maintained attributes of play before being imported into the court, the elements of dance were reinforced when they became the repertories of Gungjung Jeongjae. Even the names changed. It is presumably because in the court the performance of the dances had to follow rigorous regulations in form and content, so that the notion of dance prevailed over that of play in the court. This is why the appellation changed from "play"(戱) to "dance"(舞). 5. Humans invented and performed mask dance in order to protect themselves by imitating the unbeatably powerful or by resorting to the supernatural entity evoked through exorcism and ritual. Cheoyongmu is a ghost-repelling dance in which the power of mask is believed to drive away evils and bring in luck. Hakmu had also a evil-subjugating function when played for the king's return to palace ceremony (Geogahwangung). Sajamu made use of the lion, which had long been believed to be able to conquer the evil, for the purpose of ghost repelling and as a way to pray for the people's hope and happiness.

      • 생물학적으로 향상된 비강투여를 위하여 Lys34위치에 특이적으로 PEG를 접합시킨 GLP-1의 제조와 특성연구 :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Lys34-amine specific PEGylated glucagon-like peptide-1 (GLP-1) for improved biological potency via intranasal route

        전재은 성균관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Glucagon-like peptide-1 (GLP-1 (7-36)) has become a widely investigated peptide treatment for type-2 diabetes. This study was accomplished to increase the nasal permeability and the proteolytic stability of GLP-1 by the site-specific PEGylation technique, and ultimately to improve in vivo biological efficacy via intranasal route. GLP-1 was prepared by the condensation reaction of GLP-1 with either PEG-SMB (MW 1K) or PEG-SPA (MW 2K, 5K, and 10K) using a 0.3% TEA/DMSO solution. Among the heterogeneous PEGylated GLP-1 species, Lys34-PEGylated GLP-1s were separated and collected by using RP-HPLC, and its modification site was further confirmed by MALDI-TOF MS analysis followed by endoproteinase Lys-C digestion. The proteolytic stability of GLP-1s attached with various sizes of PEG (1K, 2K, 5K, and 10K) was conducted in a rabbit nasal homogenate and dipeptidyl peptidase IV (DPP-IV) enzyme. In order to evaluate the biological activities, their insulinotropic actions of these PEGylated GLP-1s on isolated rat pancreatic islet and MIN-6 (Mouse insulinoma 6) cell line were examined. The released insulin concentrations were quantified by using a commercial enzymeimmunoassay kit. Glucose tolerance profile was examined to assess the in vivo biological potency of the GLP-1 derivatives in type-2 diabetic db/db mice. The GLP-1 derivative solutions (2 μL) were administrated onto the nostril of anaesthetized db/db mice with ether using a Hamilton-microsyringe. At predetermined time points, their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a tail vein of a mouse, and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s were calculated by using glucometer. PEGylated GLP-1s led to the significantly increased absorption and proteolytic stability after nasal administration versus unmodified GLP-1. Their insulinotropic activities of Lys34-PEG1K or 2K-GLP-1 were nearly same with that of GLP-1, but the activities decreased by increasing the PEG size. The degradation half-life of Lys34-PEG1K-GLP-1 against DPP IV enzyme was 8-fold higher than that of GLP-1. Particularly, all of these Lys34-amine specific PEGylated GLP-1 displayed prominently sustained biological potency in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 db/db mice. This research demonstrates that the Lys34-specific PEGylation not only improve the absorption via intranasal route but also increase the proteolytic stability in nasal enzyme complex. Therefore, it is strongly expected that these Lys34-PEGylated GLP-1s would be a good candidate for type-2 diabetes in peptide nasal delivery field.

      •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사회참여활동 확대방안에 대한 연구

        전재은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realities and problems of the youth's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examine the obstacles of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expected to accompany the five-day class week system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various literatures, preceding reports and a survey in order to activate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s part of the education of civil participation on the five-day class week system and eventually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help establish education policies for the youths with the purpose to improve the welfare and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of the youths and activate such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of whi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youth's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similarly to the findings of existing researches, there was not sufficient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due to the lack of effective prior education at schools or social participation agencies about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s it is important to help the youths correctly understand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encourage their voluntary participation, an effective and appropriate prior education o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various participation programs are necessary for this purpose. Secondly, concerning the status of the youth's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students were not very active with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Only 11.5% replied that they voluntarily joined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while the majority of 63.5% said they participated by the guidance of the schools or teachers, to demonstrate that the rol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is more important than that of any other environment. Meanwhile, as per the obstacles of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the lack of the youth's will to perform and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tion methods were found to be the most serious problem. About the prior education o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t school, 41.2%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do not remember the contents of the education, which shows that the absence of an effective education results in the inefficient participation. Moreover, the schools fell behind social service centers or agencies in recording and keeping the contents of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s the institution in charge of the matter of records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the interest level and response of teachers or parents to guide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ppeared positive, which shows that the obstacles in the expansion of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re not generated by the lack of interest around the students but by the lack of will to perform and understanding of the participation methods due to the absence of effective and appropriate prior institutional education and management at school which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Thirdly, the result of the review of the youth's recognition of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related to the five-day class week system is; students are expecting that the hours of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will increase if the five-day class week system is introduced. And to the question about the future necessity of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ccording to the new five-day class week system, the majority of 52.9% of the respondents replied that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re necessary. Though the participation rate is low i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the satisfaction level of participators is high which makes it possible to expect the expansion of participation through the researches on the expansion of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 of the five-day class week system. A practical education program to provide motives to the youths to participate i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a meaningful and satisfactory social participatory activity program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meet their high expectation o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in the environmental change into a five-day class week system. Fourthly, it was learned through the plans to expand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of the youths according to the five-day class week system that while it is important to reflect the performance of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of the youths to their study grades, it can also be a negative factor. Meanwhile, to the question if they are willing to joi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voluntarily in case the performances are not reflected to their study grades, the positive and unsure answers represented 41.6% respectively, which seems to hav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so far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have been done involuntarily with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importance of the participation i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Considering that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grades-oriented education at schools are the biggest obstacles of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education on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appropriate institutional compensation for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will have be achieved. Though the methods for the activation of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have been proposed as above to prepare for the five-day class week system, institutional complement in policies seems necessary due to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and grades-oriented education. In conclusion, records management and effective prior education at school, encouragement of voluntary participation through various and meaningful social participatory activity programs, and preparation of institutional compensation system reflecting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to study grades are necessary to solve the problem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social participatory activities. 본 연구는 주5일 수업제에 대비한 청소년들의 사회참여활동 확대방안에 대해 청소년 사회참여활동의 실태 및 문제점을 유형별로 분석하고 주5일 수업제에 따를 것으로 예상되는 사회참여활동의 장애요인을 규명하여 주5일 수업제에 대해 시민참여교육의 일환인 사회참여활동을 활성화시키고, 궁극적으로는 청소년 복지와 사회참여활동 증진 및 사회참여활동 활성화를 위한 청소년 교육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여러 문헌과 선행자료 및 설문조사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구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기존 연구에서와 같이 학교나 사회참여기관의 사회참여 활동에 관한 효과적인 사전 교육이 없었기 때문에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가 부족한 바,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올바른 이해를 돕고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사회참여 활동에 대한 효과적이고 적절한 사전 교육 및 다양한 참여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 참여 현황을 살펴본 결과, 사회참여활동에 참여에 대해 소극적인 편이었다. 사회참여활동에 참여하게 된 계기로는 자발적인 참여가 11.5%에 불과한데 반해 대부분의 경우인 63.5%가 학교나 선생님의 안내로 참여하게 된 것으로 나타나 교육 환경의 역할이 여타의 어떠한 환경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 참여 활동의 장애 요인으로는, 청소년들의 수행 의욕 부족과 참여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이 가장 큰 문제점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사회참여활동 사전 교육에 대해 응답자의 41.2%가 교육내용이 기억나지 않았다고 응답해 효과적인 교육의 부재는 효과적인 참여를 창출해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 참여활동 내용의 기록 관리 주체로서 학교가 사회봉사 센터나 기관들과 비교했을 때 기록 및 관리에 있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참여 활동을 지도하기 위한 선생님이나 부모님의 관심도 및 반응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사회 참여 활동 확대에 대해 장애요인은 주위의 관심 부족보다는 사회참여활동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학교에서의 효과적이고 적절한 제도적 사전 교육 및 관리의 부재에 기인한 수행의욕 부족과 참여 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이었다. 셋째, 주5일 수업제와 관련하여 청소년의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주5일 수업제가 될 경우 사회참여활동 시간이 늘어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었고, 주5일 수업제제도 변화에 따른 사회참여활동의 향후 필요성을 살펴본 결과, 과반수 이상인 52.9%의 응답에서 사회참여활동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참여율은 낮은 편이나 참가자들의 만족도는 높은 편이어서 주5일 수업제 환경 속에서 사회참여활동 확대 방안 연구를 통한 참여의 확대를 기대해 볼만 하다. 주5일제 환경변화에 따른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청소년들의 높은 기대감에 부응하기 위하여 사회참여 활동의 참여에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육 프로그램과 청소년들에게 의미있고 만족스러운 사회참여활동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주5일 수업제에 따른 청소년 사회참여활동 확대방안을 살펴본 결과, 학생들의 사회참여활동을 확대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참여 활동을 학업성적에 반영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는 오히려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사회참여 활동이 성적에 반영되지 않았을때 자발적으로 사회참여활동에 참여할 의사를 물어본 결과, 긍정적인 대답과 모르겠다는 대답이 각각 41.6%로 나타났다. 이는 아직까지 사회참여활동이 학교중심으로 비자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사회참여 활동 참여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이해 부족과 성적 위주의 학교교육이 사회참여 활동의 가장 큰 걸림돌이라는 것을 감안해 볼 때 사회참여활동에 대한 교육과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사회 참여 활동에 대한 적절한 제도적 보상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주5일 수업제에 대비한 사회참여 활동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였으나, 사회참여 활동에 대한 이해와 성적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정책적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여 진다. 결론적으로 사회참여 활동에 대한 이해의 부족을 해소하기 위해 학교에서의 기록관리 및 효과적인 사전교육, 다양하면서 의미가 있는 사회참여 활동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자발적인 참여 유도, 그리고 사회참여 활동이 성적에 반영되는 형태로의 제도적인 보상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Preventive effect of GV1001 on gemcitabine-induced pancreatic cancer cachexia

        전재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GV1001 derived from the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hTERT) sequence is a peptide vaccine for the treatment of pancreatic cancer. The preclinical data clearly showed immunogenicity of GV1001 in patients with pancreatic cancer supported by the synergy of gemcitabine with cancer vaccines and the other positive immunomodulatory effects of gemcitabine. Even though it is reported that GV1001 may block weight loss of cancer patients and improve general condition after treatment of gemcitabine, but there are insufficient evidences so far. For this reason, we evaluate the preventive effect of GV1001 on gemcitabine-induced weigh loss in xenograft animal model. There was definite body weight loss and muscle weight loss of tumor-bearing mice by the treatment of gemcitabine. However, it was recovered by the treatment of gemcitabine with GV1001. In addition, we compared skeletal muscl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upon the treatment of gemcitabine with or without GV1001. When skeletal muscle cells were treated with gemcitabine only, the decrease of myogenesis was observed. The decrease is ameliorated by the co-treatment of GV1001. Upon investigation,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GV1001 effectively prevents the loss of weight and the decrease in skeletal muscle proliferation and regeneration by gemcitabine.

      • 냉전기 한일 협력 동인 연구 : 한일 간 위협인식 대칭성을 중심으로

        전재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냉전기 미국은 공산권 안보위협에 대비한 한미일 안보협력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가장 약한 고리인 한일 관계의 개선을 요구했다. 21세기 미중 경쟁 시대를 맞아, 다시 국내와 미국에서 한미일과 한일 안보협력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최인접국으로서 적지 않은 외교·안보적 협력 유인을 가지고 있지만, 본고의 연구 대상인 냉전기 동안 한일 협력을 저해하는 요인들이 지속해서 나타나며, 협력과 갈등이 번갈아 나타났다. 그렇다면 한일 간 객관적이고 이론적인 안보협력의 필연성에도 불구하고, 지속적인 안보협력이나 동맹관계로 발전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언제 그리고 왜 한일 안보협력과 갈등이 발생하는가? 냉전기 동북아 안보 환경에서 현실주의와 자유주의 국제정치 이론가들은 일관되게 한일 안보협력의 필연성과 당위성을 분석하고 처방했다. 현실주의 이론가들은 세력균형 이론의 연장선에서 한미일 및 한일 안보협력의 필연성을 제시하고, 자유주의 이론가들은 반공산주의, 반전체주의를 위해 자유주의국가들이 연대할 것을 전망했다. 그런데 이런 현실적인 안보협력 요구와 합리적 국가를 전제하는 동맹이론의 설명에도 불구하고, 한일 간 안보 관계는 정식 동맹으로 발전하지 못했고 협력과 갈등을 오가며,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관계를 정립하지 못했고 현실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지 못했다. 한일 간 과거사와 정체성 갈등, 안보위협 비대칭성, 동맹연루의 두려움, 자율성 상실의 두려움 등 ‘동맹 장애 요인’으로 안보협력이 지속되지 못했다. 빅터 차의 ‘유사동맹 모델’은 미국의 안보 공약에 따라, 한일의 방기 두려움이 나타날 때 양국이 협력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또한 잘못된 인과관계 설명으로 예측과 처방의 오류가 발생하며, 동맹 이론에서 동맹 결성의 핵심 이유인 ‘안보위협 인식(적대게임)’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일 안보협력과 갈등을 설명하는 이론으로 학계에서 많이 통용되는 ‘유사동맹 모델’을 비판적으로 토론하고, 현실주의 ‘위협균형 이론’에 기반한 ‘준동맹 모델’을 활용하여 한일 안보협력과 갈등 관계의 변동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서방 지역 사례와 냉전기 동북아 사례 사이에서 나타난 안보위협 인식의 차이를 주목한다. 유럽에서는 하나의 압도적인 안보위협 세력(소련)이 있었지만, 동북아에서는 소련·중국·북한 등 3개 적대세력이 있었다. 더욱이 한국과 일본이 각 공산권 국가들에 대해서 갖는 안보위협 인식이 시기별로 서로 달랐다. 양국의 안보위협 인식 차이에 따라, 한일 대응 방식도 상이했다. 그리고 이러한 안보위협 인식과 이에 대한 대응의 차이는 한일 관계에 반영되었다. 본 연구는 한일 간 안보위협 인식의 대칭성을 한일 협력과 갈등의 최대 동인이자 구조적 원인으로 보고, 이를 현재화하는 근접 원인으로 미국의 안보 공약에 따른 개입 정책으로 보았다. 즉, 한일 간 안보위협 인식이 대칭적일수록 한일 간 협력이 나타나며, 미국이 개입하고 안보 공약을 이행할수록 협력이 촉발되었다. 냉전기 한일 협력 사례(60년대와 한일 수교, 1965-1969년)와 한일 갈등 사례(데탕트, 1972-1974년)를 통해 이를 검증했다. ‘60년대와 한일 수교’ 시기에는 한국과 일본 모두 동아시아 공산 세력의 공세 급증으로 안보위협이 높아졌다. 특히 한국은 북한의 직접적인 무장 도발로 안보위협 인식이 높아졌으며, 일본은 중국의 핵실험 성공으로 안보위협 인식이 높아져 대칭을 보였다. 또한 ‘한국조항’을 통해 이러한 안보위협 인식을 공유하고 있다는 것은 확인했으며, 양국이 협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데탕트’ 시기에는 한국과 일본의 비대칭적인 안보위협 인식을 볼 수 있다. 북한이 일시적으로 감소했던 무장 도발을 재개하면서, 한국은 높은 안보위협에 노출되었다. 반면 일본의 경우, 중국·북한과 관계 개선을 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이며, 중일 수교와 남북 등거리 외교를 펼쳤다. 그 결과 한일 간 안보위협 인식 차로 인해 양국 간 갈등이 다시 심해졌다. 본 연구는 기존 국제정치학의 안보 연구가 주로 서방의 강대국 간의 관계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 아시아 지역에서 비강대국 간 안보협력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기여를 한다. 이 연구는 한일 간 갈등과 협력의 역사를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일 안보협력과 갈등을 설명함으로써 전통적으로 서방과 강대국 중심의 동맹이론을 동아시아와 비강대국 간 관계로 확장하는 의미도 있다. 또한 한일 간 협력과 갈등 관계의 동인을 파악함으로써 한일관계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처방을 제시하는 실천적 의미도 있다. 나아가 미중 전략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미국이 요구하는 한일관계 개선을 위한 방안을 강구하는 데에도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During the Cold War era, the United Stat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US-Korea-Japan trilateral cooperation against the communist security threats, and asked to have the weakest link- the Korea-Japan relationship- to be strengthened. In the 21st century, the need for US-Korea-Japan trilateral and Korea-Japan bilateral cooperation has once again been raised due to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Korea and Japan have many diplomatic and security cooperation incentives to cooperate, but many alliance hindrance factors constantly appeared hindering both the consistent cooperation and conflict. Then why cannot Korea and Japan develop a stable security cooperation or alliance despite the objective and theoretical inevitability of security cooperation? When and why do Korea-Japan security cooperation and conflict occur? Realist and liberalist theorists have consistently argued the inevitability and imperativeness of the Korea-Japan security cooperation. Focusing on historical, psychological animosity, and identity factors, some scholars have attributed the animosity from the colonial past to the reason behind the friction, and were pessimistic about potential cooperation. In reality, however, Korea and Japan have exhibited a volatile relationship, failed to establish a formal and stable alliance, and failed to theoretically explain the dynamics and continuous changes between cooperation and conflict.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motives for cooper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and why conflicts occur. Based on two case studies- each a Korea-Japan cooperation case and conflict case-, I suggest that the symmetry of the two states’ threat perception decid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When the two states’ share symmetric security threat perceptions, they tend to cooperate. When the threat perceptions are asymmetric, the two states develop conflict. For instance, if State A considers State C a big threat, while State B considers State C a potential partner or not a threat, despite being outnumbered, State A will also have conflict with State B.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ole of U.S. involvement as a proximate cause to the structural cause, threat perception symmetry. These findings help understand the dynamics of Korea-Japan cooperation and conflict. It also contributes to the existing literature by explaining the alliance behaviors to non-Western and weaker and smaller states. It also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as the US-China strategic competition continues and pressure is built for a stronger Korea-Japan or US-Korea-Japan trilateral relationship.

      • 간편식 고구마죽 제조를 위한 연구

        전재은 群山大學校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Food consumption pattern has been changed by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ing couples and single-person households. People prefer convenient foods that can be eaten simply and quickly, and they want them to be nutritious and healthy. In particular, working mothers with children and seniors leaving alone are interested in the convenient foods, the quality of its nutrition is becoming more important. porridge is a popular liquid food due to good to chew and swallow. Also, it can be developed into a variety of nutritional foods with the addition of sub-materials. Sweet potato is a high nutritional food because it contains dietary fiber, various vitamins and minerals. In addition, various phenolic substances and beta-carotene contained in sweet potatoes are expected to do bioactive acts such as anti-cancer, antioxidant activity,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and stress control.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product convenient sweet potato porridge in line with people’s health-oriented consumption trends and food preferences. First, to select suitable rice cultivar and particle sizes, rice porridges were prepared by two different rice cultivars(Jinsumi and Samkwangmi) and two particle sizes(halved rice and rice flour). And the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m were analyzed. Secondly, sweet potato porridges were prepared by replacing sweet potato powder with 0%, 15%, 30%, and 45% of rice. It was analyzed the effects of the replacement ratio of sweet potato powder on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porridges. The results of two studies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convenient foods. 1.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porridge made of different rice cultivars and particle sizes The results on proximate composition in different rice cultivar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L-value, a-value, and b-value of Jinsumi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amkwangmi(p<0.01). Water absorp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nd water binding capacity of Jinsumi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Samkwangmi(p<0.05). Solubility of Jinsumi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Samkwangmi(p<0.05), and swelling power show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value and b-value of porridges made of Jinsumi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made of Samkwangmi. Viscosity of JS-f showed significantly higher value than SK-f(p<0.001).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of rice cultivars and particle sizes with sensory attributes of rice porridges showed that JS-hc and JS-f were classified as relatively sweet taste, savory flavor, and transparency based on PC1. SK-hc and JS-hc were classified as chewiness, cohesiveness, and moistness based on PC2. Appearance and aroma of the rice flour porridg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e halved rice porridges(p<0.001).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halved rice porridg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than those of the rice flour porridges, and porridges made of Jinsumi showed higher score than those made of Samkwangmi(p<0.001). As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acceptabi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porridges, overall acceptabi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ppearance, aroma, flavor, and texture(p<0.001). 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porridge made of different ratio of sweet potato powder As the results on proximate composition in sweet potato by steaming, raw sweet potato showed significant higher moisture content than steamed sweet potato(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ude protein, crude fat, and crude ash. Raw sweet potato showed significant higher pH value and lower sugar contents than steamed sweet potato(p<0.001). L-value, a-value of steamed sweet potat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raw sweet potato(p<0.001). Steamed sweet potato showed significant higher water binding capacity than raw sweet potato(p<0.05). Raw sweet potato showed significant higher Solubility and swelling power than steamed sweet potato(p<0.01). As results of analyzing sweet potato porridges, L-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ntrol group than the others(p<0.001). As the ratio of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a-value and b-value of sweet potato porridge increased(p<0.001). As the ratio of sweet potato powder increased, pH of sweet potato porridge decreased(p<0.001) and sugar contents of sweet potato porridge increased(p<0.001). Viscosity of sweet potato porridg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sweet potato powder(p<0.001). Viscosity of sweet potato porridge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sweet potato powder(p<0.001). Spreadability of sweet potato porridge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sweet potato powder(p<0.001). Principal component analysis(PCA) of the ratio of sweet potato powder with sensory attributes of sweet potato porridges showed that SP-30 and SP-45 were classified as relatively yellowness, sweet potato aroma, pumpkin flavor, sweet potato flavor based on PC1. SP-45 was classified as sweet flavor, aftertaste, and moistness based on PC2. Color, aroma,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ratio of sweet potato powder(p<0.001). As results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overall acceptabi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sweet potato porridges, overall acceptability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color, aroma, flavor, and texture. As all results of two studies, it was suitable halved Jinsumi, and halved rice can be replaced by up to 45% with sweet potato powder in the production of convenient sweet potato porridge. In addition, it can improve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ridge that rice is replaced with sweet potato powder. The replacement of rice with sweet potato powder not only enhances sensory quality of porridge, but also improves the functional health. A study on development of convenient sweet potato porridge is expected to present data for more various products in the fast-growing convenient food market. 맞벌이 부부의 증가, 핵가족화로 인한 1인 가구 증가와 같은 사회구조의 변화는 현대인의 식품 소비 형태를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편리하고 간단하게 먹을 수 있는 간편식을 선호됨과 동시에 영양과 건강 등을 고려한 간편식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죽은 다양한 부재료를 첨가하여 영양 균형과 더불어 소비자의 기호에 맞춘 식사대용 식품으로 개발 가능성이 높다. 고구마는 식이섬유, 각종 비타민, 무기질 등 다양한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식품이다. 특히 고구마에 함유되어 있는 여러 가지 페놀성 물질과 베타카로틴은 항암 및 항산화 작용, 심혈관계 질환 예방, 스트레스 조절 등의 기능이 기대되는 생리활성물질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소비 트랜드와 식품 선호 추이에 따라 간편식 고구마죽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간편식 죽 제조에 적합한 쌀의 품종과 입자 크기를 선정하기 위하여 쌀의 품종과 입자 크기를 달리한 흰쌀죽을 제조하였다. 쌀의 품종과 입자 크기가 흰쌀죽의 이화학적 및 감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죽 제조에 적합한 품종과 입자 크기를 찾고자 하였다. 이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쌀의 품종과 입자 크기를 선정한 후 두 번째 연구인 고구마 가루의 대체 비율을 달리한 고구마죽을 제조하였다. 고구마 가루의 대체 비율이 죽의 이화학적 및 감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건강기능식품인 고구마를 활용한 간편식 제품 개발 연구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쌀의 품종과 입자 크기에 따른 흰쌀죽의 품질 특성 쌀 품종별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함량, 조단백질, 조지방, 그리고 조회분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쌀 품종별 색도 측정 결과, 명도(L)와 적색도(a), 황색도(b)는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측정되었다(p<0.01). 쌀 품종별 수분흡수율 및 수분결합력 측정 결과, 수분흡수율은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수분결합력은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다(p<0.05). 팽윤력과 용해도의 경우, 용해도는 진수미가 삼광미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p<0.05), 팽윤력은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흰쌀죽의 색도 측정 결과, 진수미로 제조한 죽이 삼광미로 제조한 죽에 비해 적색도(a)와 황색도(b) 모두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01). 흰쌀죽의 점도 측정 결과, 진수미 가루 죽이 삼광미 가루 죽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 값을 나타내었다(p<0.001).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외관과 향에 대한 기호도는 반쌀 죽이 쌀가루 죽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고(p<0.001), 쌀의 품종과 입자 크기에 따른 흰쌀죽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감각 특성 강도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외관, 향, 맛, 조직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01). 쌀의 품종 및 입자 크기와 흰쌀죽의 감각 특성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 PC1을 기준으로 할 경우 JS-hc 시료와 JS-f 시료가 상대적으로 단맛, 구수한 맛, 투명도가 강한 시료로 분류되었으며, PC2를 기준으로 할 경우 SK-hc 시료와 JS-hc 시료가 씹힘성, 응집성, 촉촉함이 강한 시료로 분류되었다. 맛과 조직감에 대한 기호도, 그리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반쌀 죽이 쌀가루 죽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진수미 반쌀 죽이 삼광미 반쌀 죽에 비해 높게 평가되었다(p<0.001). 2. 고구마 분말 첨가 비율에 따른 고구마죽의 품질 특성 조리에 따른 고구마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함량은 생고구마가 찐 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5).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은 시료 사이에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리에 따른 고구마의 pH 및 당도 측정 결과, 생고구마가 찐 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pH 값을 나타내었고(p<0.001), 찐 고구마의 당도가 생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조리에 따른 고구마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와 적색도(a)는 생고구마가 찐 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01). 조리에 따른 고구마의 수분결합력, 팽윤력 및 용해도 측정 결과, 수분결합력은 찐 고구마가 생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p<0.05), 팽윤력과 용해도는 생고구마가 찐 고구마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p<0.01). 고구마죽의 색도 측정 결과, 명도(L)는 고구마 가루 대체 비율에 따라 감소하였고(p<0.001), 적색도(a)와 황색도(b)는 고구마 가루 대체 비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01). 고구마죽의 pH 및 당도 측정 결과, pH는 고구마 가루 대체 비율에 따라 감소하였고(p<0.001), 당도는 고구마 가루 대체 비율에 따라 증가하였다(p<0.001). 고구마죽의 점도 및 퍼짐성 측정 결과, 점도는 고구마 가루 대체 비율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퍼짐성은 고구마 가루 대체 비율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p<0.001). 고구마 가루의 대체 비율과 고구마죽의 감각 특성 강도에 대한 주성분 분석 결과, PC1을 기준으로 할 경우 고구마 가루 대체 비율이 높은 SP-30 시료와 SP-45 시료가 노란 정도, 고구마 냄새, 호박 맛, 고구마 맛이 강한 시료로 분류되었으며, PC2를 기준으로 할 경우 SP-45 시료가 단맛, 후미, 촉촉함이 강한 시료로 분류되었다. 고구마죽의 소비자 기호도 검사 결과, 색, 향, 맛에 대한 기호도와 전반적인 기호도는 고구마 가루 대체 비율에 따라 높게 평가되었다(p<0.001). 고구마죽의 전반적인 기호도와 감각 특성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기호도는 색, 향, 맛, 조직감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 간편식 고구마죽 제조 시 쌀의 품종은 진수미, 입자 크기는 반쌀이 적합하고 고구마 가루는 반쌀 대신 45% 정도 대체 가능할 것이라 판단되었다. 더불어 고구마 가루 대체 시 감각 품질 특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고구마 가루 대체는 죽의 기호성과 기능성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써 이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연구가 미비한 고구마를 활용한 간편식 연구를 진행한 것에 의의를 둘 수 있으며, 꾸준히 성장하는 간편식 시장에서 다양한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