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업자 환경 전략 조직이 소프트웨어 벤처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전재수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기업이 지속가능한 기업으로서 영위하기 위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창업자 특성, 환경 특성, 전략 특성, 조직 특성이 재무적 성과와 제품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를 기초로 하여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분석 하였다. 연구가설에 대한 실증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재무적 성과에는 창업자의 경력특성이 영향력이 가장 크며, 다음으로 심리동기능력과 경영능력 순으로 파악 되었다. 첫째, 창업자의 경력특성 중 창업자의 연령과 학력이 높으며 기업경험이 있는 경우에 재무적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능력 중 조직화사업능력과 고객지향성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지향성이 조직화사업능력보다 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특성 중 산업성장률이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경영전략 중 경쟁전략과 가격유통전략이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으며 가격유통전략이 경쟁전략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특성 중 위계적 특성과 위임적 특성, 조직문화중 개방적 문화가 높을수록 재무적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창업자의 심리동기능력이 영향력이 가장 크고, 경력특성과 조직특성 순으로 파악 되었다. 첫째, 창업자의 경력특성 중 연령, 학력이 높을수록 제품 성과가 높으며 기업 경험이 있을수록 제품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창업능력 중 위험감수성은 낮을수록, 창업능력 중 조직화사업능력과 관리능력이 높을수록 제품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지향성이 조직화사업능력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환경특성 중 경쟁 진입장벽이 높을수록 제품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경영전략 중 시장화전략, 경쟁전략과 가격유통전략이 많을수록 제품 성과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으며 경쟁전략이 시장화전략보다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특성의 위계적, 위임적 특성과 조직문화의 개방적, 개인적 문화 모두 제품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ow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 environment, strategies and organizations can affect financial achievement and product performance of software ventures, and ultimately lead them into successful corporations. In order to accomplish the research objective, the hypothesis was formed based on theoretical insights and preceding studies,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analysis. The past career of an entrepreneur influences on financial performance most, and follows psychological motivation ability and management ability.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s career, financial performance is high when he has maturity, strong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xperience in company management. Second, among the ability of entrepreneurship, organization ability, following customer orientation,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an industrial growth rate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Forth, among the strategies of management, price distribution strategy, following competition strategy, influences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Fifth, hierarchical and delegatory characteristic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ation and open culture among the organization cultur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financial performance. The psychological motivation ability of an entrepreneur influences on product performance most, and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career and an organization.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n entrepreneur's career, product performance is high when he has maturity, strong academic background and the experience in company management. Second, among the ability of entrepreneurship, low risk-taking and high organization ability and high customer orientation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performance. Third,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high barriers to entry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performance. Forth, among the strategies of management, marketing strategy, competition strategy and price distribution strategy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performance. Fifth, hierarchical and delegatory characteristics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an organization and open and personal culture among the organization culture influence on the improvement of product performance.

      • 한국의 국가, 자본, 노동관계의 변화에 관한 연구 : 개방형 경제체제에 따른 사회적 합의 모델 창출을 위한 기초연구

        전재수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jor theme of this study is to bring out the change point of the relations of state, capital and labour in Korea about the time of 1987 when June Democratic Struggle and July, August, September Labour Struggle was happened and to suggest an alternative idea toward desirable ways of the relations of state, capital and labour. Especially I tried to get out of the existing study trend concerning just domestic situation of state, capital and labour because existing studies had been ostracized by political economic power relations of domestic situation. Thus what I try to suggest is the open economic system concerned by the natures like limitation of markets and poorness of resources. Several studies executed for alternative study of korea about the relations of state, capital and labour was studied centering around power of labour class movements of German society and the experience of grasping political power of political party in social democratic states. But in this study I tried to deliberate not only about them but also about the conditions of their state like limitation of markets and poorness of resources and so on in Korea. The second chapter's discussions about european small states is to lead out an analogy between Korea and European Small States. So through this process I could make an analysis how they conquested unfavourable conditions like limitation of markets and poorness of resources and mapped out strategies for unfavourable conditions like limitation of markets and poorness of resources. By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have a conclusion that Small Open European States have been carrying on domestic compensation strategy, flexible industrial adjustment strategy, international liberalization strategy -being expressed as diffusing dependence- matching the excessive demand change which could approach to them exposed to world market. Small Open European States achieved satisfactory results 'by these strategies. They could obtained a domestic and equivalent relation amid state, capital and labour. They also brought run of welfare facilities as well as state's political stability. In different angle, the strategy promoted by Small Open European States made possible unprecedented domestic political stability and activation of domestic economy by securing that labour class could participate in a economic policy decision and gaining a spontaneous agreement. Therefore, the conclusive contents of second chapter is to understand that Korea shoud gain the upper hand in competitive power as existence strategy and explore an alternative idea of state, capital and labour relation in Korean situation. The major porpose of the third chapter is to look into the change of state, capital and labour relation on and after June Democratic Struggle and July, August, September Labour Struggle in 1987. Korean capitalism protected and supported by political authoritarianism on and after liberation set in new phase(aspect) going through June Democratic Struggle and July, August, September Labour Struggle sucessively in 1987, the most noticeable change in such conversion an aspect of affairs is that labourers became a central force of social movement in Korea. Thus, all of the revolut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policy have no choice but set labour class up basic element. And that's the why the year of 1987 has the great significant to classify a period. State, capital and labour relation before the year of 1987 was a special situation that state-singular oppressive labour control and stagstate of labour movement were in gear each other in the pattern of anti-labour's state-initiated capitalism. But the situation like this after June Democratic Struggle and July, August, September Labour Struggle in 1987 would pass through exorbitant changes and it could be said that the changes were progressed in the big frame of order democracy lacking the uncertanity of the political courses. Thus, the accumulation system of Korea founded on surplus value production through the existing oppressive and exclusive labour control; namely low pay and long working hours. This represents that the existing relation of state; capital and labour have became exacted a new conversion and this situation demanded a new conversion from previous opressive and exclusive labour control to liberal and paternal labour control pattern, and what is more, regular changes were accompanide in the labour control method of state level and the relations of labour-capital in management level as damage capacity of labour class riled. In the former case, the change of labour control pattern was accomplished by revised labour laws and in the latter case, unobstructed power and influence of capital couldn't be carried through like before the year of 1987, the ability of negotiation of labour class extended and labour's damage capacity toward capital was improved rapidly. The major object of chapter 4 is to analyse the foundation of resetting and a precondition in state, capital and labour relations of Korea. Korean economy needs to disperse a dependence and extend a market for domestic demand because the economic distinction of Korea is a open economic system and in limitation of markets and poorness of resources. The most importent thing in open economic system for live strategy is to disperse dependence market to cope with rapid demand changes. Open economic system needs political stability which can be swayed by the structure of the relations of state, capital, and labour for securing interstateal competitiveness, so Korea need to convert state, capital, labour relation to democratic and equivalent relation. Therefore Korea which has the elements of open economic system needs to transfer the relations of state, capital, and labour to democratic and equal relations. Korea society met the conditions of transforming given suppressive and exclusive relations of state, capital, and labour into the democratic and equal relations through the percept of consensus between The Federation of Korea Trade Unions and The Federation of Korea Industries on April 1, 1993, and Social Consensus in 1994 and the change of political situations which was characterised by the first change of regime in the history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These change made importance of the role of state as a mediatory actor and the centralized organizations of capital and labour. Also, institutionalization of the relations of state, capital and labour must be emphasized. All of Korean society are faced with hardship of IMF situation after the first change of regime in the history of constitutional government. The difficulty is the result of oppressive and exclusive state, capital and labour system and reflects the limit of Korean development strategy. Powerful state-initiated capitalistic development-strategy and state-initiative having been formed by the absence of capital accumulation's foundation should be resetted necessarily to conquest the present difficulties and it should be accomplished through not one sided change's flowing of state but both solving-intention and discuss among three main groups(state, capital and labour). Thus, we could get a democratic and equal relations of state, capital and labour and also democratic solidity on the level of order and the relations of state, capital, and labour could co-exsit in korea.

      • 간호사의 영적안녕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인식과의 관계

        전재수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죽음에 대한 태도, 호스피스 인식의 정도를 파악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하는 대학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16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연구도구로 영적안녕 측정도구는 Paloutzian과 Elloson(1983)이 개발한 영적 안녕 척도를 최상순이 번역하여 강정호(1996)가 수정•보안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죽음에 대한 측정도구는 Thorson과 Powell(1983)이 개발한 Death Orientation 측정도구를 박석춘(1992)이 번안하고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호스피스 인식 측정도구는 김정희(1990)와 이은자(1998)의 호스피스 인식 측정도구를 김명숙(2007)이 수정 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영적 안녕 정도는 4점 만점에 2.59점이었고 점수 범위는 최소 1.98점, 최대 3.08점이다. 이를 영역별로 살펴보면 종교적 영적 안녕 정도는 2.28점, 실존적 영적안녕 정도는 2.90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죽음에 대한 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61점이었다. 3) 대상자의 호스피스에 대한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3.19점 이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영적안녕의 정도는 대상자의 종교(F=2.79, p<.001), 신앙 비중(F=3.49 p<.001), 삶의 만족도(F=5.45 p=.005), 성격(t =-2.90, p=.004), 지인사망 경험 (t =2.58, p=.011), 호스피스 교육 경험(F=2.03, p=.044)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죽음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대상자의 현 근무 기간(F=2.86, p=.025), 근무형태(t=-3.33, p<.001), 종교(F=1.53, p=.042)에 따라 죽음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 인식의 차이는 대상자의 결혼상태(t=-3.06, p=.003), 임상경력(F=9.83, p<.001), 직위(t=2.61, p<.001), 호스피스 인식여부(t=4.95, p=.008) 호스피스 교육 경험(t=3.50,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영적 안녕의 하위영역인 실존적 영적안녕정도와 죽음에 대한 태도는 양의 상관관계(r=.161, p=.041)를 보였고, 실존적 영적 안녕과 호스피스인식도 양의 상관관계(r=.264, p=.001)를 보였다. 호스피스인식, 주관적 건강상태(r=-.008, p=.921), 그리고 삶의 만족도(r=.309, p<.001)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죽음에 대한 태도와 호스피스인식(r=.101, p=.205), 삶의 만족도(r=.116, p=.142)도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호스피스인식은 삶의 만족도(r=.309, p=<.001)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도(r=.255, p=<.001)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볼 때 간호사의 영적안녕 정도가 높을수록 죽음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이며 호스피스 인식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앞으로 간호사들의 영적 안녕을 향상시키고 죽음에 대한 태도를 긍정적으로 가질 수 있도록 간호사들을 위한 심리영성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영적 안녕을 높이고 긍정적인 죽음태도를 가짐으로 말기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들이 질적인 임종간호를 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대구시 다문화청소년의 학업 및 진로 발달 경험에 대한 해석학적 연구 : 사회적 장과 상징적 의미 구조의 맥락을 중심으로

        전재수 계명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현재 한국의 다문화정책과 교육은 사회통합을 위한 조화로운 다문화사회의 건설을 정책적 목표로 삼고 있다. 따라서 다문화교육은 사회구성원 모두가 타 문화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바탕으로 사회적 장에 공존하고 있는 여러 하위문화에 대한 존중을 추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청소년들의 학업과 진로발달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여, 이들이 위치한 사회적 장에서는 어떠한 실천적 메커니즘이 발현되고 있으며 그것이 이들의 학업과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무엇인지를 사회학적 관점에서 조망해 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회적 공간에서의 다면적인 관계적 맥락에 대한 상징적 의미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청소년 8명을 대상으로 ‘학업과 진로발달의 실재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외버만(Oevermann)의 객관적 해석학의 방법론적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수집된 각각의 사례는 분석 절차에 따라 먼저 연구관심사를 명확히 설정한 다음 분석하려는 자료의 텍스트 유형을 확정하고, 그에 따른 자료의 연속분석과정을 통해 확장적 의미해석으로 이끌었다. 이러한 분석 절차에서 가장 설득력 있고 합리적인 구조가설을 도출하였으며 다문화청소년이 위치한 사회적 장에서 발현되는 특수 및 보편적 삶의 공통된 경험구조를 비교분석을 통해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다섯 가지의 상징적 의미 구조를 도출하였다. 첫째, 긴급한 필요의 삶에 매몰된 위치: 다문화청소년의 미래는 존재하는가? 다문화청소년들은 사회·경제적 삶의 긴급한 필요성에서 자유롭지 못한 공간적 위치에 속해 있다. 스콜레(skholè), 즉 여가는 학업의 장에서 순수 사유 혹은 지적 사변를 자유롭게 향유할 수 있는 여타의 조건들 중에서도 가장 첫 번째의 결정적 조건이 된다. 때문에 학업의 장에서 가장 근본적 조건으로 요구되는 것은 제도화된 면학적 스콜레(skholè)가 모든 학생에게 동등하게 제공되고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다문화청소년이 위치한 학업의 장은 위장된 공정성이란 이름으로 평등성을 논하고 있을 뿐 각각의 개별 행위자가 속한 사회적 공간에서의 차이와 특수성에 대한 형평성을 환대하고 있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런데 다문화청소년들은 이러한 사회적 장에서의 불리한 입장의 변화에 의해 ‘위치-취하기’을 스스로 구체화하면서, 한국사회가 인위적으로 규정한 정당화된 상징적 메커니즘의 오인된 계급적 속성을 체화해야만 생존할 수 있는 환경에 처해 있다. 따라서 다문화청소년에 대한 교육과 정책은 이러한 비대칭적인 불리한 상황적 맥락을 충분히 고려하여 접근해야 할 것이다. 둘째, 동굴 속 그림자 투쟁: 공모된 문화 감추기 투쟁의 실재는 무엇인가? 다문화청소년이 위치한 사회적 장은 플라톤이 국가론에서 비유한 동굴 속 그림자 투쟁과 유사한 현상이 발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마치 눈앞에서 흔들리는 그림자만이 세계의 실체인양 인식하게 하거나 생존을 위해 반드시 문화 감추기 게임에 공모해야만 하는 모순된 현상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말하자면 한국사회에서 다문화배경은 생활세계 속에서 생존을 위해 필연적으로 감추어져야할 그 무엇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다문화사회는 이질적인 다수의 문화가 하나의 사회공간에서 여러 개의 하위문화를 형성하며 조화롭게 공존하는 것이 기반이 되었을 때 바람직한 사회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학업의 장에서 은밀한 문화 감추기 게임의 공모현상이 성립되고 있다는 것은 제도화된 교육의 공간에서 역설적인 사회적 동질성과 분리주의적 측면의 정당화된 인위적인 질서가 상징적으로 구조화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다문화사회로의 변화가 피할 수 없는 세계적 흐름이라 믿는다면 다문화배경을 감추기 위한 동굴 속 그림자 투쟁의 공모현상에서 벗어날 필요성이 있다. 그리하여 사회적 공간을 다면적 측면에서 이해하고 각각의 다양한 하위 문화체계들 사이의 유기적 소통과 상호이해를 바탕으로 한 열린 텍스트로서의 장이 형성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셋째, 굴절된 거울 속 다문화 정책의 민낯: 누구를 위한 다문화 정책인가? 다문화사회에서 귀결될 수 없는 전시성 정책이 다문화교육의 장 내에서 실현되고 있다. 청소년기는 성인기 바로 이전의 단계로서 장래 안정적이고 성공적인 사회에서의 정착을 위해 가장 일반적이고 직업적인 능력이 형성되는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때문에 안정적인 노동시장으로의 지속적인 진입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성공적인 직업훈련 참여와 노동에 대한 긍정적인 동기부여로 이어질 수 있는 실질적인 진로교육이 제도화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나날이 성장하여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청소년들의 진로에 관한 세부 시행계획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정책결정자는 정책 수혜자의 요구와 상황적 맥락 그리고 변화하는 환경을 충분히 반영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정책결과로 이끌어낼 필요가 있다. 넷째, 의도하지 않은 결과의 법칙: 비슷해지려는 행위 안에 내재된 역설적 타자화의 진실은 무엇인가? 다문화교육의 공간 내에 내재된 상징적 메커니즘이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서의 타자화로 발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문화청소년과 교사 또는 학교가 공동체 사회에서 보다 나은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한국인 되기’ 라는 게임에 공모해야만 가능할 수 있을 것이라는 오인과 환상으로 각인된 공동생활의 규범양식이 암묵적으로 정당화되고 있다. 이것은 다시 말해 우리 사회의 저변에 보이지 않는 ‘뒤섞임에 대한 공포의 맥락’이 강하게 자리하고 있음을 뜻한다. 결국 학업의 장에서 실천되고 있는 은밀한 문화 감추기 게임의 실재는 ‘우리’ 라는 감정에 배태된 유사성과 동질성의 체계화된 욕망의 표현이다. 이러한 억견의 자발적인 행위의 실천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로서의 타자화를 생성하고 있다. 다섯째, 유실된 징검다리: 다문화청소년의 미래로 향한 징검다리는 안전한가? 다문화청소년들은 사회적 지지체계와 정보망의 부재로 인해 장래 진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결정하는데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청소년기는 진로발달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시기로 논의된다. 따라서 다문화청소년이 위치한 사회적 장에서의 중층적인 사회적 속성과 위치 요인(민족, 경제, 종교, 성별, 학력, 지지체계 등)은 진로발달 및 진로정체성을 논의함에 있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므로 다문화청소년들의 사회적 지지체계가 정상적으로 가동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서는 이들이 위치한 복합적인 장의 속성을 충분히 파악하고 반영함으로써, 근원적인 부분에서의 접근을 통한 보다 실질적이고 효율적인 수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Korean multi-cultural policy and education is to build the harmonious multi-cultural society for the social integration.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have purpose all members of society to pursue the respect to subculture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and knowledge about other 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multi-cultural adolescent's education and their experiences in career development in depth to find the practical mechanism in their social field and the effect on their learning and career development from a social standpoint. From this findings, we will identify the structure of symbolic meaning about multi-dimensional relational context in social field. Total eight multi-cultural adolescents who are high school students in Dae-gu were interviewed by Narratives of Real-Life Moral Conflict and Choice and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he process of Oevermann's objective hermeneutics. The interests for study were established from each cases collected and the type of test was finalized followed by multiple analysis process to generate expanded interpretation of meaning. The most persuasive and rational hypothesis was generated from this analysis and common structur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s were re-arranged by comparative analysis. First, position buried in life with urgent needs: Does the future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exist? Multi-cultural adolescents are not free from social and financial urgent needs. Skholè, known as leisure is the first factor for pure thinking or intellectual perspectives in the field of study. Educational skholè should be provided to all students since it is a fundamental requirement in the field of learning. However, the study field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is in camouflaged justice and social differences and each characteristics were not considered. Multi-cultural adolescents specify 'position-having' by themselves in these social field and they can survive only if they accumulate the class properties in Korea. Therefore, the education and policy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uld consider these asymmetric unfavorable situation. Second, shadow struggle in the cave: what is the truth of conspired struggle of culture hiding? Social field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has similar phenomenon with shadow struggle in the cave which was compared in the Plato's theory of the state. The shadow wavering before our eyes is cognized as if it is a real world or people should participate in the hiding game for surviving. It means that multi-cultural background is considering something to hide to survive in Korea. However paradoxically, multi-cultural society could lead desirable social unification when different cultures exist with subcultures in harmony in on society. Confidential hiding game of culture means that paradoxical social homogeneity and artificial order in separatism aspects are structured in the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space. If you believe that the change to multi-cultural society is inevitable trend, you need to get out of the conspiracy from shadow struggle in cave to hide multi-cultural background. It is needed to understand the world in a multi-dimensional aspects and to make institutional policy to open the field based-on the organic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among the various subcultures. Third, the truth of multi-cultural policies in distorted mirror: For whom is this multi-culture policy intended? The exhibitional policy unsuitable for multi-cultural society is processing in multi-cultural education. Adolescent period is very important to form a general and professional capability to settle successfully in society in the future. Therefore, the policy for vocational training and practical career education is needed to enter to the labor market continuously. However, detailed plan is not considered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s career at all. Policy decision maker should lead the effective and efficient policies to reflect the requirement of recipients, situational context and changed environment. Fourth, the law of unintended result: What is the truth of paradoxical becoming others in the similar actions? Symbolic mechanism in multi-cultural space is expressed as an unintended result of becoming others. It is justified that multi-cultural adolescents should participate in the game of 'becoming Korean' to live successfully in Korea. It means there is a fear for mixing under our society. The truth of hiding game of their different culture is the expression of systemic desire for similarity and homogeneity. This active practice generates unintended result of becoming others. Fifth, lost stepping-stones: Is the stepping-stone safe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s future? multi-cultural adolescents experience difficulties in planning and deciding their future plan because they don't have support system and information network. Adolescents period is discussed as an important period related to career development. So. their social characteristics and position (nationality, economy, religion, sex, academic background and support system) should be considered in discussing their career development and career identity. Fundamental and practical support is needed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on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complex field they are in to support their social support syst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