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오바 쓰네키치(小場恒吉)의 한국 고적 조사 활동과 모사도 제작

        전소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process of Korean historic remains of Tsunekichi Oba (小場恒吉), known as a famous Japanese designer and craftsman, an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replicas produced at the time of the investigation. Th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of the Korean historic remains in the modern period was conducted by Japanese researchers from 1902 to 1945. The reports and replicas they researched and organized help to grasp the contents of the currently damaged tomb murals, and are of value for research since these contain reconstructed prototypes of excavated articles. In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the majority of the drawings in the Goguryeo historic remains and the Nakrang excavation report published by Tsunekichi Oba participated in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were created by Tsunekichi Oba himself. In this point, his position in the research of remains and artifacts at that time was very important. In previous studies, Tsunekichi Oba's investigation activity career has been interpreted in terms of raising the status of imperial culture in modern Japan, rather than trying to understand Korea. However, according to the reports and personal papers he wrote, h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ctivities as a Japanese researcher, but he found the origin of Japanese painting patterns by examining the patterns of Goguryeo's tomb murals, and he was extremely interes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painting. In particular, this study tried to focus on surveyed maps, replicas, and restoration drawings he made during th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and to pay attention to the motifs of patterns of his personal interest. Looking at the time-varying changes in the investigation of historic remains of Tsunekichi Oba, in the investigation of the Goguryeo tomb in the early 1910s, he was a member of the Sekino Tadashi (關野貞) investigation team. His role was limited to making replicas. However, he expanded his role in Nakrang tomb investigation since 1916, not only producing replicas, but also leading th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as well as writing excavation logs and reports. Since 1916, he has participated in the excavation of Nakrang tomb around Jeongbaek-ri, Oya-ri, and Namjeong-ri near Pyongyang, and has written most drawings of excavated articles. He also showed his specialty by devoting himself to the measurement of the artifacts and the lacquerware excavated during the investigation. In particular, in the process of cleaning up the lacquerware excavated from the tomb of the No. 9 tomb in Seokam-ri in 1916, he first discovered Chilban (漆盤), which Chinese name of the era was written. In the case of the lacquerware, which is the name of the term, it has a great significance because it is used as a standard for determining the time period of Nakrang tomb and is used as an indicator of the time period of Nakrang tomb that is still valid. In 1924, he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s of Seokam-ri No. 20 tomb (Boon), No. 52 tomb (Boon), No. 194 tomb (Boon), No. 200 tomb (Boon), and afterwards he participated in the investigations of No. 205, Wangwoo tomb (Myo), and the excavation of Chaehyup-tomb (Chong) and Wangwang-tomb (Myo) to draw surveyed maps and restoration drawings of important excavated artifacts. In 1941, Tsunekichi Oba investigated hundreds of places sacred to Buddha (佛蹟) in Namsan, Gyeongju, such as Buddha statues, Ma-ae Buddha, Pagoda, and Budo. Afterwards, these have been used as important data of Korean art history, and his distribution was also evaluated as important data that informs the distribution of remains of Buddhism at the time. In addition to making replicas, he left active activities and many achievements as a member of the historic remains investigation team. Therefore, in Chapter II of this paper, these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surveyed maps were organized by time, and the finding achievements of Tsunekichi Oba were reviewed. Tsunekichi Oba returned to Japan in 1942 after completing the investigation and excavation of Korean historic remains. At this time, the patterns of replicas produced during the investigation of Korean historic remains were compiled, and a pattern book was published and used as a teaching material.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pattern book he made, he was interested in the decorative patterns of ‘Indongdangchomun’ and ‘Yunhwamun’. His interest in a specific pattern is found in that after replicating the entire mural, he only replicated the decorative patterns. In chapter Ⅲ of this paper, the record was focused that he found the source of Japanese painting in Korean tomb in his reports. The motives that he paid attention to in particular decorative patterns were considered. Furthermore, by examining his replica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made after returning to Japan, the 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of Korean historic remains in the production of Japanese replicas was discussed. Through this works, in this paper, his replicas were organized from produced during his student time to replicas produced after his excavation and investigation in Korea and returned to Japan. Also, in this paper, the significance of the importance of his replicas was discussed. In addition, his role was re-examined in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of Korean historic remains, which have been studied mainly by Japanese scholars Sekino Tadashi and Yatsui Seiichi (谷井濟一). In addition, his complex position was discussed as a producer of replicas and an excavator, and at the same time, the significance of his investigation activities and the meaning of the production of replicas in art history were discussed. This study had been to cover the Tsunekichi Oba’s investigation of Korean tombs in Chapter Ⅱ, but Oba's participation position at the time was just helping Sekino Tadashi, the main researcher, so it was hard to find his research record directly. Therefore,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of the Korean tomb described in Chapter II are limited in that the investigation activities of the Japanese historic remains to which he belonged are comprehensively contained.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rough more specific investigation and analysis, further discussion is proceeded regarding the relationship and connection between the decorative patterns of ancient Korea and Japan. 본 논문은 일본 근대의 유명한 도안가(圖案家)이자 공예가로 알려진 오바 쓰네키치(小場恒吉)의 한국 고적 조사 발굴 과정을 정리하고 조사 당시 제작된 모사도의 특징과 의의를 논했다. 근대기 한국 고적 발굴 조사는 1902년부터 시작되어 1945년까지 일본인 연구자들에 의해 진행되었다. 이들이 조사하고 정리한 보고서 및 모사도는 현재 훼손이 진행된 고분 벽화의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며 출토품의 복원한 원형을 담고 있어 연구 가치가 있다. 일제강점기 오바 쓰네키치가 발굴 조사에 참여하여 출간된 고구려 고적 조사 보고서와 낙랑 발굴 보고서에 실린 대다수의 도면은 오바 쓰네키치(小場恒吉)가 직접 작성한 것으로 당시 유적 및 유물 조사 연구에 있어서 그의 위치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앞선 선행연구에서는 오바 쓰네키치의 조사 활동 내용은 한국 자체를 이해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근대 일본의 제국주의 문화의 위상을 높이기 위한 관점에서 해석 되어왔다. 하지만 그가 작성한 복명서와 개인 기록을 살펴보면 그는 일본인 연구자의 입장으로서 조사활동에 참여했지만 고구려 고분 벽화의 문양을 조사하면서 일본 회화 문양의 원류를 찾아내었고 한국과 일본 회화의 관계성에 대해 지극한 관심을 가지고 조사작업에 참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그가 발굴 조사 시 작성한 실측도와 모사도 및 복원도 등을 살펴보고 이들을 바탕으로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문양의 주제에 대해 주목하고자 하였다. 오바 쓰네키치의 고적조사활동의 시기별 변화상을 살펴보면, 우선 1910년대 초의 고구려 고분 조사에서 오바 쓰네키치는 세키노 타다시(關野貞)의 조사단의 일원으로 그 역할은 모사도 제작에 한정되어 있었다. 하지만 그는 1916년부터 이루어진 낙랑 고분 조사에서는 모사도 제작뿐만 아니라 발굴 조사 전체를 지휘하고 발굴일지를 기록하고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그 역할이 확대 되었다. 1916년부터 평양 인근 정백리, 오야리, 남정리 일대의 낙랑 고분 발굴에 참여했으며, 발굴한 출토품의 도면 대부분을 작성하였다. 조사 과정에서 출토된 유물과 칠기의 실측작업을 전담하며 자신의 특기를 충분히 발휘하였다. 특히 1916년 석암리 9호묘에서 출토된 칠기를 정리하는 과정에 중국 연호가 기록된 칠반(漆盤)을 처음 발견하였고 기년명 칠기는 낙랑 고분의 편년을 정하는 기준을 마련하여 지금도 여전히 유효한 낙랑 고분 편년 지표로 활용되기 때문에 그 의의는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는 1924년 석암리 20호분, 52호분, 194호분, 200호분의 조사에 참여하였고 이후에도 석암리 205호(왕우묘)와 채협총, 왕광묘 발굴에 참여하여 중요 출토 유물의 실측도와 복원도를 작성하였다. 1941년에 이루어진 오바 쓰네키치의 경주 남산의 불적(佛蹟) 조사는 불상, 마애불, 탑, 부도에 이르기까지 수백 건에 달하는 불교 유적을 조사하여 이후 한국미술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었고, 그가 작성한 분포도 또한 당시의 불교 유적 분포상황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 받고 있다. 이처럼 그는 모사도 제작 외에도 고적 조사 단원의 일원으로써 활발한 활동을 하였고, 많은 업적을 남겼다. 따라서 본 논문의 Ⅱ장에서는 이러한 발굴 조사 활동과 실측도를 시기별로 정리하여 오바 쓰네키치의 발굴 성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오바 쓰네키치는 한국 고적 발굴조사를 마친 후 1942년 일본으로 귀국하게 된다. 이때 한국 고적조사를 진행하며 제작한 모사도의 문양들을 정리하여 문양집으로 편찬하였고, 이를 강의의 교재로 사용하였다. 그가 만든 문양집의 내용을 살펴보면 장식 문양인‘인동당초문’과‘연화문’에 관심을 가졌고 전체 벽화 모사 작업 후 장식 문양만 모사할 정도로 특정 문양에 대한 그의 관심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논문 Ⅲ장에서는 그가 작성한 복명서에 한국 고분에서 일본 회화의 원류를 찾아내었다는 기록에 주목하여 그가 특정 장식 문양에 주목하였던 동기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나아가 한국 조사 이후 일본으로 귀국 후 제작한 모사도와 활동 및 업적을 살펴봄으로써 일본 모사도 제작에서 나타나는 한국 고적조사활동의 영향 관계를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 같은 작업을 통해 본 논문에서는 오바 쓰네키치의 학생시절부터 제작한 모사도부터 한국 발굴 조사를 마친 후 일본에 귀국 후 제작한 모사도까지 오바 쓰네키치의 모사도 전체를 정리하고 그의 일생에 걸친 전체적인 발굴 활동 업적과 제작한 모사도의 중요성이 지닌 의의를 조명하였다. 그동안 일본의 관학자인 세키노 타다시와 야쓰이 세이이치(谷井濟一)중심으로 연구되어져 왔던 한국의 고적 조사활동에서 오바 쓰네키치의 역할을 재조명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한국 고분 조사 활동에서 모사도 제작자이자 발굴가였던 그의 복합적인 위치를 살펴보고 동시에 오바 쓰네키치의 조사활동과 모사도 제작이 미술사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를 논의 하고자 하였다. 오바 쓰네키치의 한국 고분조사를 Ⅱ장에서 다루고자 하였으나 당시 중심학자이던 세키노 타다시의 조사를 돕는 입장에서 주로 참여하여 오바의 직접적인 조사활동에 대한 기록을 찾기가 어려웠다. 이에 Ⅱ장에서 서술하는 한국 고분조사 활동은 오바가 소속되어있던 일본 고적조사단의 활동을 포괄적으로 서술하게 되어 아쉬움이 있다. 향후 보다 상세한 조사와 분석을 통해 고대 한국과 일본의 장식문양의 연관성과 문양의 변천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 스파 관리가 여성의 체형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소현 건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글초록: 본 연구는 최근에 이슈가 된 웰빙(Well-being)과 함께 에스테틱 업계의 많은 방향 전환을 가져온 스파(Spa) 관리가 여성의 체형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서울 시내 A피부 관리실을 이용하는 여성고객 8명을 실험 대상자로 선정하여 스파 관리 방법을 충분히 설명한 후, 대상자의 BMI, 체중, 체지방, 신체 둘레를 측정한 후 8주간 스파 관리를 실행하였다. 8주 후 대상자의 BMI, 체중, 체지방, 신체둘레를 측정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 인해 스파 관리가 여성의 체형 관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후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 스파 관리 후 체형 변화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스파 관리를 피부 관리실내에서 대상자를 늘려 연구 데이터를 근거로 체형 관리에 활용을 했으면 한다. 스파 관리 후 더 나은 상승 효과를 위해 대체 의학으로 열거된 아로마 테라피, 스톤 테라피, 딸라소 테라피 등을 병행한다면 더욱 더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초록:This research looks into the slimming effect related to each part of women's body. The slimming effect particularly depends on the spa treatment, which is a turnaround for aesthetic businesses with the current well-being trend. In U.S.A,Europe,and Southeast Asia, the type of spas which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western bath culture, is various. Focusing on the disease treatment and relaxing effect, this research impedes the type of the spa treatment, the current American style Day-spa, from developing into a high class cultural image in Kore an skin care salons and encourages the spa treatment for esthetic effec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water, spa treatment takes effect, and it results in effects on blood circulation, perspiration, muscles, and massage. Before the spa treatment, one should know any disorders of the body, hypertension and diabetes because the temperature, timing and treatment of the spa water is applied differently. 8 customers of A skin care salon in Seoul were chosen as testers, and they fully understood the spa treatment. Circumference of each part of their body, their weight and their body fat ratio were measured. Then they participated in the spa treatment. After 8 weeks of the treatment, their weight, body fat raio, and circumference of each part of their body were measured again. The spa treatment took effect on slimming related to each part of their body. Compared with weight loss, circumference of their body, especially, circumference of their calf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indicates that many people are contented with the slimming effect after the spa treatment.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that more spa treatment is made full use of for the slimming care in many skin care salons. To take synergetic effect, if the spa treatment goes side by side with alternative medication such as aroma therapy and stone therapy, and other mechanical care, better effect is expected

      • 주사기 테스트: 액체연하식이의 객관적 점도 평가

        전소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International Dysphagia Diet Standardisation Initiative(IDDSI)에서 제시한 Syringe Test 즉, 주사기 테스트를 소개한다. 주사기 테스트를 소개하고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한 만족도와 견해를 조사함으로써 작업치료사와 환자 및 보호자들에게 객관적이며 실용성 있는 액체연하식이 점도 검사 방법을 소개하고자한다. 이는 연하장애 환자들에게 변형된 액체식이 제공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치료실에서의 객관적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작업치료사 10명, 일반인 10명이였으며,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와 면담을 시행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t-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치료사들의 액체식이 제조법의 숙지 방법이 일관성이 없었고, 점도 증진제를 사용 하지 않고 있는 대상자도 있었다. 액체식이 단계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숟가락 테스트가 많이 쓰이고 있었으며 단계를 확인하지 않고 액체식이를 이용하여 직접치료(음식물을 실제 삼킴하며 진행하는 치료)를 시행하는 치료사도 있었다. 두 집단 간의 주사기 테스트 방법의 이해소요시간을 보면 치료사가 일반인에 비해 이해속도가 빨랐고, 두 집단의 대상자 모두 추후에 액체식이 점도검사를 필요할 일이 생겼을 시 주사기 테스트 사용 의향이 있음으로 응답하였다. 만족도에서는 일반인보다 치료사가 높기는 하지만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두 집단 전체의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사기 테스트에 대한 치료사의 긍정적 견해는 (1)액체의 양 확인가능, (2)치료 등급화(grading) 가능, (3)치료 전문성 향상, (4)간편함, (5)객관성, (6)편리함, (7)의료인들의 용어 통일성이 있었다. 부정적 견해로는 (1)해당 병원의 모든 치료관계자의 동의 필요, (2)추가 비용 발생, (3)시간 소요, (4)번거로움, (5)주사기의 굵기 차이, (6)위생 우려가 있었다. 셋째, 주사기 테스트에 대한 일반인의 긍정적 견해로는 (1)간단함, (2)정확함, (3)신뢰성이 있었다. 부정적 견해로는 (1)관리감독 필요, (2)추가 비용 발생, (3)시간 소요, (4)주사기의 구멍 차이, (5)위생 우려, (6)번거로움, (7)식이의 일정량 소비, (8)어려움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연구대상자들의 주사기 테스트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실용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주사기 테스트에 관한 여러 견해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주사기 테스트 활성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간을 확보하고 주사기 테스트를 의료현장에서 직접 시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개선안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축적된 연구들이 작업치료사의 전문성과 치료의 질을 발전시킬 수 있기를 바라며 조금 더 신뢰성과 실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과 교수 실행에 대한 탐색

        전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 세계적으로 학생들의 학습에 대해 학습의 결과에 초점을 맞춘 평가(Assessment of learning)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또는 학습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를 강조하는 평가로 변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교육부(2011)에서도 학습결과를 상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소하고자 교과목별 학업성취 도달 수준을 평가하는 절대평가의 성취평가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구현 방식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중심으로 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서 성취평가제에 관한 인식, 성취평가제가 교사의 평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취평가제 운영으로 인해 변화되거나 개선된 점 등에 대한 본인의 의견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내신 석차 등급 미표기 이후 성취평가제가 기대하는 교육적 의미가 현장에 반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성취평가제로 인해 ‘변별’에서 벗어난 과학수업을 실현할 수 있었으며, 학생의 성취에 주목함에 따라 과학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결과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남으로써 과학과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과학 교과의 본질적 목표에 집중할 수 있게 된 점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 뿐만 아니라 학생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진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적정 성취수준을 교사 스스로 설정하지 못하거나, 학생 활동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평정하는 과정에서 난해함으로 인하여 성취평가제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기고 하였다. 또한, 내신 석차 등급이 산출되지 않은 이후, 학생들이 수업에서 보이는 의욕과 열의가 현저히 떨어지는 현 상황에서 수업의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the implem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SA) in science teaching. To achieve the aim,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science teachers who had implemented ASA.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asked to share their opinions of the ASA implemtation, the effects of ASA on the changes of their teaching, and students’ reactions to ASA.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nitial intention to the ASA implementation only began to be acutalized in schools after subject rankings were not requried to be indicated. Some teachers felt that ASA let them pay attention to the student's progress, rather than ranking students by their achievment scores. It also helped them find students having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support them. In addition, they admitted that they were able to reorganize their science lessons following the essential goals of science subjects in the curriculum, and to provide more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achievement. However, some teachers expressed difficulties in seting an appropriate level of achievement for their lessons or in evaluating students’ progress by qualiative manners. In addition, the teachers expressed concern about the remarkably lower motivation and enthusiasm of some students for learning science after the indication of class rank was not required.

      • 분노에 대한 정서조절 전략이 기분과 혈압에 미치는 영향

        전소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사람들은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를 조절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들을 사용한다. 그리고 어떤 전략은 다른 전략보다 부정적인 기분을 감소시키는데 더 효과적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 연구를 통해 분노에 대한 정서조절 전략(반추, 주의전환, 긍정적 재평가)이 기분과 혈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피험자는 44명의 대학생들로 반추 집단 14명(남자 8명, 여자 6명), 주의전환 집단 15명(남자 8명, 여자 7명), 긍정적 재평가 집단 15명(남자 8명, 여자 6명)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피험자는 실험 보조자와 함께 과제를 실시하는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실험 보조자에 의해 불이익을 받는 상황을 통해 분노가 유발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분노를 유발시킨 후 반추, 주의전환, 긍정적 재평가 전략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사람들이 분노를 경험한 뒤 기분과 혈압에 어떠한 변화를 보이고, 분노에 효과적인 정서조절 전략이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실험 결과 피험자들은 분노 유발 후 분노 기분이 증가하고 긍정적 기분은 감소하는 기분 변화를 보였다. 하지만 혈압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반추, 주의전환, 긍정적 재평가 전략을 실시한 집단 모두 분노 기분이 감소하였고 긍정적 기분은 증가하였다. 분노 기분 감소에 있어서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긍정적 기분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가 있었다. 즉 반추, 주의전환, 긍정적 재평가 전략 모두 분노 기분을 감소시켜 주었고, 특히 주의전환 전략은 다른 전략보다 긍정적 기분을 더 증가시켜 주었다. 혈압 변화에 있어서 수축기 혈압은 집단 간 차이나 정서조절 전후의 시기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이완기 혈압은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정서조절 전후의 시기별 차이는 유의하였다. 즉 반추, 주의전환, 긍정적 재평가 전략이 이완기 혈압을 감소시켜 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정서조절 전략들이 분노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시사한다.

      •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경험수용과 자기자비의 순차매개효과

        전소현 한양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일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수용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성인 남녀 396명을 대상으로 사회부과 완벽주의, 폭식행동, 경험수용, 자기자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중 유의한 373부는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Version 3.5)를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경험수용,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을, 폭식행동과는 정적상관을 나타냈고, 경험수용은 자기자비와 정적 상관을, 폭식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으며, 자기자비는 폭식행동과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일반 성인 남녀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수용과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경험수용과 자기자비 모두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일반 성인 남녀의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수용과 자기자비는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하여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험수용과 자기자비는 주요한 변인이 될 수 있으며 경험수용이 자기자비를 선행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자기자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심리적인 매개 변인으로 경험수용의 영향이 확인되었다. 경험수용이 자기자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가 미비한 상황에서 본 연구가 그 관련성을 검증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주로 여성을 대상으로 한 기존 폭식행동 연구와 달리 성별의 구분 없이 남·여 모두를 대상으로 그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연구의 결과가 성별의 차이 없이 일반화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또 다른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폭식행동에 이르는 심리적인 경로를 확인함으로써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인하여 폭식행동 경향을 보이는 성인이 이를 극복하여 발전할 수 있도록 돕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실증적인 자료의 기초가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사회부과 완벽주의로 인하여 폭식행동 경향을 보이는 성인의 상담 개입 및 교육적 접근에 있어서 경험수용과 자기자비를 주요하게 다룰 것을 시사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갖는 제한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dual mediation effects of Experiential-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Behavior. Participants were 396 individuals. A total of 373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 To analyze the data, SPSS 25.0 program and SPSS PROCESS macro were used as well as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method. The main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Experiential-Acceptance, Self-Compassion and Binge Eating Behavior al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to prove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econd, between th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Behavior, Experiential-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each showed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Binge Eating Behavior, a doubl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tial-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has been confirmed. Finally, the implication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in addition to the suggestion for the further study. Considering that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s stable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get changed easily,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Experiential-Acceptance and lower the Self-Compassion for effective therapeutic intervention of the job applicants who show Binge Eating Behavior.

      • 효율적인 재활운동 프로그램을 위한 뒤로 걷기의 운동역학적 분석

        전소현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backward walking as a rehabilitation exercise by analyzing the biomechanical differences between forward walking and backward walking. Total of 20 healthy male adults who had no experience of musculoskeletal injuries on lower extremities in the last six months (age:26.8±3.3 yrs., height: 174.6±3.8 cm., body mass: 73.6±7.6 kg., forward walking preferred speed: 1.31±0.11 m/s, backward walking preferred speed: 0.97±0.15m/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participants performed 20 times for forward and backward walking at a 10m distance. A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sis with eight infrared cameras and 6 channel EMG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kinematic and kinetic differences between forward and backward walking.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with the significance level set at α=.05.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referred speed, stance time, and swing time of backward walking were slower than forward walking. Also, the stride length of backward walking was shorter than forward walking. Second, the range of motion, maximum flexion angle, and maximum extension angle of the hip and knee joints in the stance and swing phase were lower in backward walking than forward walking. In addition, the maximum dorsal-flexion angle of the ankle joint in perspective and swing phase was higher in backward walking than forward walking. Third, vastus lateralis activation, vastus medialis activation, and medial gastrocnemius activation in the stance phase were higher in backward walking than forward walking. Moreover, gluteus maximus activation, vastus lateralis activation, vastus medialis activation, biceps femoris activation, and tibialis anterior activation in the swing phase were higher in backward walking than in the forward walking. Although backward walking shwoed smaller lower extremity joint's movement than that of forward walking due to the inconvenient and difficult to secure the field of view, the higher muscle activation was reveal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ly backward walking as a rehabilitation program for lower extremity musculoskeletal disorders that require strengthening the lower extremity muscles. 이 연구의 목적은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의 생체역학적 차이를 분석하여 재활운동으로서 뒤로걷기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최근 6개월 이내에 하지 근골격계 상해가 없는 건강한 20-30대 남성 20명(age: 26.8±3.3 yrs., height: 174.6±3.8 cm., body mass: 73.6±7.6 kg., forward walking preferred speed: 1.31±0.11 m/s, backward walking preferred speed: 0.97±0.15 m/s)이 연구대상자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대상자는 10m 길이의 보행로에서 앞으로 걷기 20회, 뒤로 걷기 20회를 실시하였으며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의 운동학 및 운동역학적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8대의 적외선 카메라, 6채널의 무선 근전도 측정 장비와 선호속도 측정을 위한 구간속도 측정기를 샘플링 율을 각각 100 Hz와 1,000 Hz로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 시 하지관절의 운동역학적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paired t-test를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α=.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 시 선호속도는 뒤로 걷기가 느리게 나타났고, 시공간적 보행 변인 중 디딤기 시간과 흔듦기 시간은 뒤로 걷기가 느리게 나타났으며, 활보장은 뒤로 걷기가 짧게 나타났다. 둘째,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 시 디딤기와 흔듦기의 엉덩관절과 무릎관절의 관절가동범위, 최대 굴곡각도와 최대 신전각도에서 뒤로 걷기가 작게 나타났다.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 시 디딤기와 흔듦기의 발목관절의 최대 발등쪽 굴곡각도에서 뒤로 걷기가 크게 나타났다. 셋째,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 시 디딤기의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 그리고 안쪽 장딴지근에서 뒤로 걷기가 크게 나타났다. 앞으로 걷기와 뒤로 걷기 시 흔듦기의 큰볼기근, 가쪽넓은근, 안쪽넓은근, 넙다리두갈래근, 그리고 앞정강근에서 뒤로 걷기가 크게 나타났다. 뒤로 걷기는 앞으로 걷기에 비해 불편하고 시야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하지 관절의 움직임이 작았지만 근육 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하지관절의 근육들을 강화시켜야 하는 하지 근골격계 질환의 재활프로그램으로 뒤로 걷기를 적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무용전공자들의 졸업 후 직업전환에 미치는 갈등요인 탐색

        전소현 창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무용을 지속하고 활동하였지만 무용전공자로서의 생활을 중단하고 직업전환을 하게 되는 계기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직업전환 후 직면하게 된 여러 가지 요인과 현재 직업 미래지속의향여부를 이해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규명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를 경상남도와 부산 소재 한 4년제 대학 무용(학)과를 졸업 후 무용을 중단하여 다른 분야로 직업전환 한 대상자 5명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추가적인 질문이나 보충적인 부분은 E-mail이나 전화를 통해 추가 답변을 받아 분석할 수 있었다. 참여자들의 인터뷰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분석하고자 ‘귀납적 범주분석’을 통해 주제별 결과를 도출하여 결론을 얻었다. 첫째, 무용전공 대학 교육과정을 마치고 직업전환하게 된 요인은 총 두 가지 주제별 상위 범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경제적인 요인’과 ‘부상으로 인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생활을 하는 일반인들과 달리 고정수입이 발생하지 않을뿐더러 매 상황에 따른 수입이 변동으로 인하여 무용 활동을 지속하는 것과 다른 직업으로 전환하는 문제에 대해 갈등하여 결국 자연스럽게 무용을 중단하고 직업전환을 결정할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었고, 무리한 연습으로 인해 상해로 인해 무용을 잠시 중단 하였을 때, 스트레스는 높았으며, 재활치료를 받지 못함으로 상해로 인한 부상은 더 악화가 되어 중단을 할 수 밖에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무용전공 대학 교육과정을 마치고 직업전환 이후의 현재 삶은 어떤 모습인가 에 대해 참여자들 모두 각기 다른 직업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인 요인을 충족시키기 위해 시작 한 일이 안정적으로 자리를 잡음으로써 현재의 직업으로 진행 중이기도 하였고, 장래희망으로 다시 그 꿈을 실현시키기 위해, 다른 분야에 흥미를 느껴 직업전환을 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졸업 후 직업전환 결정함에 있어 직면한 어려움들에 대해 총 세 가지 주제별 상위 범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다. 타 방면에 대한 경험부족으로 인한 어려움과 직업 특성상의 고충, 현재 직업에 대한 재미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무용 외의 타 장르에 대해 경험도가 없을뿐더러 다른 사람들에 비해 기회가 적었으며, 직업전환에 대한 필요성을 갖지 않고, 여유가 없었으며 갑자기 찾아 올 직업전환에 대해 준비할 수 있는 교육과 정보가 많이 없어서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방향으로는 새로운 일에 대해 흥미와 재미를 느껴 지속하는 부분에 어려움이 없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직업전환 후 현재 삶의 모습에 만족하는지에 대해 연구 참여자들 모두가 현 직업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가졌으며 미래지속의향이 있음을 나타났다. 장래희망을 다시 실현시키기 위해 공부를 하고, 경제적인 부분에서 안정감을 느끼며 무직인 부분에서도 여유를 느끼며 현재 직업과 현재 모습에 대해 만족하는 삶을 사는 것으로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know why people , who were majoring in dancing, stopped their living as a dancer and changed their professions. Based on it, the research aimed to understand that they want to keep their jobs in the future and the difficulties they have after they changed their works. To defin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 gathered five volunteers ,who graduated the university in dancing and changed their professions, from B city, K providence. I applied a case study to volunteers and proceeded the in-depth interview. If I had needed other questions or feedbacks, I got the answers through e-mail or phone call. With this data, I could analyze the interviews. I brought to conclusion through ‘inductive analysis, ’ for deeper understanding of volunteers’ interviews. Firstly, there were two main reasons for changing professions after majoring in dancing. First main reason was economic factor. Other people could have stable salary from their job but they were not able to have stable income. So they started to conflict between keeping their major and changing their jobs. At the end, they naturally stopped dancing and chosen other ways. Another main reason was injury. When they had injured after hard exercise, they couldn’t do it anymore, this caused them to have lots of stresses and they couldn’t get appropriate treatments for their injury so it got worse, which made them to stop dancing. Secondly, each volunteers have different job after they stopped dancing. Two have continued their new job, which they chosen for economic factor, because it was settled down. One pursued her dream that she had in youth. One found her interests in other field and chosen it as a job. Thirdly, ‘Lack of experience of other fields, ’ ‘distress of a job, ’ and ‘interests in the current jobs’ were three upper categories for the difficulties they faced as they chosen other professions. Volunteers had no experiences in other fields, and had less opportunity to have them than other people. They didn’t need to change their professions, and they had no time to prepare for other jobs. Also they didn’t have enough information about other works and there were no education for them. On the other hand, one who find interests in a new job had no difficulties. Lastly, when I checked that they were satisfied by their current life, every volunteers gave a positive response and they intended to keep their current jobs. Two pursues her dream or interests, two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income, and one has no job. But all volunteers are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job and living, whatever they are doing in this current mo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