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아시아사 교과서와 한국사 교과서의 서술 비교 분석 : 동아시아사 대단원 II 동아시아 세계의 성립을 중심으로

        전소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21세기의 시대적 흐름 속에서 동아시아 공동체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제기되기 시작하였다. 우리의 역사교육에서도 동아시아사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깨닫고 <2007개정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선택 과목으로 「동아시아사」를 신설했다.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갈등을 극복하고 안정된 정치·경제의 발전을 위해서, 그리고 기존의 역사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라도 「동아시아사」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동아시아사에 대한 학계의 중요성이 인식된 것이 최근의 일이다보니,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과목으로 선정되었다. 「동아시아사」가 교육과정에서 등장한 것은 2007년이지만, 학교 현장에 적용된 시기는 2012년이다. <2007개정 교육과정>과 <2009개정 교육과정(총론)>에 따라 검정을 통과한 2종의 교과서가 2012년에 출판되었다. 그런데 2007개정 「동아시아사」교과서가 검정 중이던 2011년에 교육과정이 다시 한 번 개정되었는데, 이것을 <2009개정 교육과정(각론,2011)>이라 한다. 2007개정「동아시아사」교과서에 대한 연구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2년 만에 2009개정「동아시아사」교과서가 새롭게 출판되었기 때문에 그 특징과 시각, 관점에 대한 연구는 더욱 부족하다. 본고에서는 2009개정「동아시아사」교과서만의 정체성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대단원Ⅱ의 한국사 서술을 분석하려 하였다. 2007개정「동아시아사」교과서 2종과 비교를 통해 2009개정「동아시아사」교과서 3종이 과목의 성격과 목표를 잘 드러내는 방향으로 수정이 되었는지, 변화의 의미는 무엇인지를 알아보았고, 「한국사」교과서에서 같은 한국사 내용의 서술 비교를 통해 2009개정「동아시아사」교과서만의 관점과 특징을 알아보았다. 다만 교과서 전체를 살펴보는 것이 아니고, 「동아시아사」교과서 대단원Ⅱ의 한국사 서술 부분만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는 것을 미리 밝힌다

      • Grasshopper를 활용한 파라메트릭 포장 패턴 설계 기법 개발

        전소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조경에서 바닥 포장은 시설물과 식재 면적을 제외한 설계 공간의 대부분을 이룬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포장은 이용자 시야에서 부감으로 인식되며 보행 쾌적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이다. 이외에도 표면 배수를 통해 도심 열저감 효과, 홍수 예방 등 도시 문제를 완화하는 투수 기능을 수행하기에 기능적 측면에서도 다양한 포장 기법이 주목받고 있다. 서울시에서는 도시환경 개선의 측면에서 투수 포장을 권장하고 있으며, 이에 관해 포장의 색채 및 재료를 통한 패턴 설계에 대한 고민은 지속해서 이루어졌으나 기능적 측면과는 독립적으로 고려되었다. 보행 쾌적성과 배수 기능은 상충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포장 패턴 설계에 있어 배수 기능을 확보하는 고려는 미흡하였다고 보았다. 근대 이후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라 새로운 디자인 접근방식이 가능해지면서 최근에는 기존 설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법이 주목받고 있다. 기술의 발전은 3D Print, CNC 기법과 같은 공법에서 새로운 재료를 탐색하도록 만들었고 재료 활용의 확장과 동시에 다양한 형태, 패턴 형성, 디자인과 기능 간의 연계 가능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다. 조경 설계 분야에서 파라메트릭 디자인은 수목 배치, 시설물 등 일부 수직적 요소에 국한되어 활용되어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포장설계에 있어 파라메트릭 기법 도구인 알고리즘 설계 기법 개발에 초점을 두고 정량적 수치인 투수율과 접목해 주변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생성되는 공극 포장 패턴을 제안하고자 한다. 알고리즘에 따라 상호작용하는 설계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투수율과 같은 정량적 수치를 목표 달성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는 논리적 설계 방식을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으로는 파라메트릭 디자인에 범용적으로 활용되는 도구로, 명령어 알고리즘 흐름에 따라 직관적 사용이 가능한 Rhino3D 플러그인 Grasshopper를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Grasshopper의 주요 기능을 형태 생성과 주변 환경 분석으로 보았다. 포장설계에 적용 가능한 방법으로써 각각 형태를 활용한 패턴 생성과 주변 환경 요소를 반영하는 포장 기능과의 연계로 유형화하여 해당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파라메트릭 디자인 기법을 활용한 포장설계 프로토타입을 제안한다. 프로토타입은 기존 블록 포장에서 벗어났을 때 포장 패턴의 다양화와 설계 전반과정에서 형태에서부터 환경적 기능을 내포하는 투수율까지를 포함하는 통합적 설계를 실험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종 결과물로는 서울대학교 정문 광장을 시범대상지로 하여 서로 상충할 수 있는 보행 환경과 배수 기능 두 가지를 융합한 공극 포장 패턴 설계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도출된 설계안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이전에 시도되지 않았던 투수 공간의 확보를 위한 수단으로써 파라메트릭을 활용한 공극 포장 패턴 디자인을 통해 포장의 주요 기능과 연계하는 설계를 구현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론으로는 사용자와 직접적 관련이 있는 보행 기능과 배수 기능을 고려하는 환경적 요인이 함께 상호작용하며 도출된 디자인 대안을 제시하며, 포장설계에 있어 Grasshopper를 활용한 알고리즘 설계 방식의 활용에 기초자료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aving is essential in landscaping that forms most of the site except for facilities and planting areas.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aving is a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s walking comfort. Also, various paving techniques are considered in terms of functionality because it performs water permeability functions such as urban heat reduction effect and flood prevention through surface drainage. Seoul recommends permeable paving to improve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design of patterns through the color and materials of the paving was continuously considered. However, it was considered independent of the functional aspect. Walking comfort and drainage function can act as conflicting factors, and it was considered that securing the drainage function in the paving pattern needed to be improved. As new design approaches have become possible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since modern times, parametric design techniques have recently attracted attention as a wa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designs. Technology advancements have led to the exploration of new materials in construction techniques such as 3D Print and CNC etc. As the utilization of materials has expanded, interest in linking various shapes, patterns, designs and functions has increased. In landscape design, the parametric design was limited to some vertical elements such as tree layout and faciliti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lgorithm design techniques, which are tools of parametric techniques in paving design, and proposes void paving patterns generated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y combining them with quantitative water permeability. It is to study logical design methods that can also be used to achieve goals, such as quantitative figures, by proposing design methods that interact according to algorithms. As a research method, Grasshopper, a Rhino 3D plug-in that can be used intuitively according to the flow of command algorithms, is used as a tool commonly used in parametric design. The main functions of Grasshopper were viewed as two types: shape generation and surrounding environment analysis. The algorithm was constructed by categorizing them according to pattern generation and paving functions. This study proposes a paving prototype using parametric design techniques to experiment with an integrated design that includes the diversification of paving patterns and the permeability of environmental functions in the overall design process. As the final result, Seoul National University's main gate square was set as a pilot site to build a void paving pattern. The paving design algorithm combines two functions conflicting walking environments and drainage.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implemented a design that links with the main functions of paving, like drainage through a void pattern using parametric to secure a pitching space that has not been attempted before. In conclusion, environmental factors that consider walking and drainage, which are directly related to users, interact together to present design alternatives derived. It is expected to serve as primary data for algorithm design methods using Grasshopper in paving design.

      • 범불안 증상 완화를 위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의 효과

        전소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n Applied Relaxation Treatment Program(AR), which proved effective as Evidence-based treatment, on adults with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For this purpose, 40 adults with high levels of general anxiety were selected and randomly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N=20) and the waiting control group(N=20). The treatment program was performed non-face-to-face through face-to-face and online video conferencing(ZOOM), and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9 sessions(twice a week, 50 minute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7-item(GAD-7), Penn State Worry Questionnaire(PSWQ), State-Trait Anxiety Inventory(STAI-I), Worry Anxiety Questionnaire(WAQ), Center of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IU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and 10 days after the program. As a result of paired sample t-test and ANCOVA, the level of intolerance for GAD-7, PSWQ, STAI-I, WAQ CES-D and I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reatment group than in the waiting control group at the time of termination. At 10 days after the end, the treatme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 of WAQ, STAI-I, WAQ and IUS compared to the waiting control group,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vel of GAD-7 and CES-D. This study suggests that AR can improve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in adults with generalized anxiety symptom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application relaxation treatment program, generalized anxiety, worry, state anxiety 본 연구는 근거기반치료로서 효과성이 입증된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Applied Relaxation, AR)을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범불안 수준이 높은 성인 40명을 선별하여 치료집단과 대기 통제집단에 20명씩 무선할당하였다.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치료프로그램은 대면과 온라인 화상회의(ZOOM)를 통해 비대면으로 병행실시하였으며, 총 9회기(주 2회, 약 50분) 동안 진행되었다. 범불안 척도, 펜실베니아 걱정 질문지, 상태불안 척도, 걱정 불안 척도, 우울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를 프로그램 시작 전과 종료 직후, 프로그램 종결 10일 뒤 시점에 측정하였다. 대응표본 t 검증과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종결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 우울 그리고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그리고 종결 10일 뒤 시점에서 치료집단은 대기 통제집단 보다 걱정, 상태불안, 걱정 불안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범불안, 우울 수준은 집단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는 AR이 범불안 증상을 호소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걱정과 불안을 비롯한 범불안 증상을 개선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은 논의에서 다루었다. 주요어 : 응용이완 치료프로그램, 범불안, 걱정, 상태불안

      •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전소현 서울교육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method for fundamental work on software education. For this, the study is to develop new contents cohabiting with software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To attain the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urposed: First, how is the learning interest on maker educational activity of software education? Second, is it possible to complete to project for students by programming physical tool? Third, how is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this program? To find the answers to the research question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26 of fifth-grade students and 4 of sixth-grade students, 10 times at a elementary school in Gyeonggi city area. First of all, maker contents of software education were develop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scripts and questionnaires for participants, interviews, teacher’s field notes. After acquiring data, I analyzed in a qualitative manner. For this project, I selected Microbit as physical t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really getting exciting for the progress of the study and most participants had learning interest on this project. Although they showed a little different views on each activity, they generally took a deep interest in the project. Second, they finished the maker project by programming Microbit as they planned. They fixed their maker project subject related on their life. They’re learning function of Microbit and programming for this maker project centered on software education. They completed the project by applying various functions of Microbit and programming. Third, most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maker contents. I look forward to improve students’ satisfaction by developing various contents to utilize function of physical instrument and concern to gend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interesting to apply our program to more students. Also it is meaningful to provide more diverse contents. After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advancement of Software education. 글로벌 트랜스포메이션(Global Transformation)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이 시대를 살아갈 아이들의 역량을 기르기 위한 방법으로서 소프트웨어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우리나라 교육에 소프트웨어 교육이 도입된다. 소프트웨어 교육의 본질과 다르게 현재 우리나라는 코딩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소프트웨어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메이커 교육을 연계한 소프트웨어 교육이 이를 보완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교육 내용을 개발하기 위하여 메이커 교육을 접목한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근본적인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하나의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여 다루고자 한다. 첫째, 소프트웨어 교육 중심의 메이커 교육 활동에 대한 학습자의 흥미도는 어떠한가? 둘째, 문제해결력을 바탕으로 계획한 프로젝트를 적절히 프로그래밍하여 구현할 수 있는가? 셋째, 본 연구에서 다룬 교육 내용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에 위치한 A초등학교 5학년 26명과 6학년 4명 총 30명 학생을 대상으로 10차시에 걸쳐 소프트웨어 교육 중심의 메이커 교육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소프트웨어 중심의 메이커 교육 내용을 개발하고 30명 학생을 대상으로 10차시 프로젝트를 진행하였으며 자료의 수집은 사전 학생 설문조사 및 면담, 수업 관찰, 흥미도 조사 등으로 이루졌다.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 피지컬도구로서 마이크로비트를 선정하여 프로젝트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 중심의 메이커 교육 활동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학습자들의 흥미도가 점점 높아졌으며 대다수의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프로젝트에 참여하였다. 차시별 활동 내용에 따라 흥미도의 정도가 조금 차이가 있었지만 전반적으로 학생들의 흥미도가 점점 높아지고 많은 학생들이 교육 활동에 흥미를 느꼈다. 둘째, 학생들이 마이크로비트를 적절히 프로그래밍하여 프로젝트를 계획한 대로 메이커 프로젝트 작품을 완성하였다. 학생들의 일상생활과 관련지어 메이커 프로젝트 주제를 정하였다. 소프트웨어 중심의 메이커 교육 활동을 진행하면서 마이크로비트의 기능과 프로그래밍을 학습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마이크로비트의 여러 기능을 활용하여 적절히 프로그래밍을 하고 메이커 프로젝트 작품을 완성하였다. 셋째, 본 연구에서 다룬 교육 내용에 대해 학습자들은 대다수 만족하였다. 성별의 특성을 고려하고 여러 피지컬 도구의 기능을 활용하여 보다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 및 적용한다면 학습자의 만족도가 더 높아질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 다룬 소프트웨어 교육을 위한 메이커 교육 내용을 바탕으로 좀 더 많은 학생들에게 수업을 적용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보다 다양한 내용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승진제도에 대한 초등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전소현 고려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초등교원의 승진제도가 우수한 교원의 발굴 및 적재적소로의 배치라는 기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현행 승진제도를 다각도에서 분석하고, 승진 주체의 요구를 분석하여 변화하는 시대에 맞는 객관적이고 타당성 있는 새로운 승진제도의 기준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을 기존의 교원 승진제도에 담긴 목표와 내용, 방법, 적용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사회적 변화에 따른 승진제도 개편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궁극적으로 시대에 알맞은 승진제도를 알아보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승진제도의 주체로서 교사들이 승진제도의 목표, 내용, 방법, 적용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승진제도의 문제점을 통합적으로 진단하고, 나아가 교원들이 요구하는 승진제도의 개선방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승진제도 개편의 필요성을 살피고 이에 대한 실천적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원 승진제도 및 경기도교육청이 개정예고 한 승진정책의 목표가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는가? 둘째, 현행 교원 승진제도 및 경기도교육청이 개정예고 한 승진정책의 내용이 승진 주체의 요구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가? 셋째, 현행 교원 승진제도 및 경기도교육청이 개정예고 한 승진정책이 도입개정되는 과정과 방법에 문제점은 없는가? 넷째, 현행 교원 승진제도 및 경기도교육청이 개정예고 한 승진정책이 적법한 절차에 맞게 적용되고 있으며 결과의 활용에 있어서 문제점은 없는가? 다섯째, 변화하는 시대에 알맞은 교원 승진제도 개편의 필요성과 그에 적합한 방법은 무엇인가?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 위해서 문헌연구방법과 양적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현행 초등교원 승진제도에서 목표, 내용, 방법, 적용상의 문제점을 고찰해보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교육부에서 안내하고 있는 승진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문헌 고찰을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이론적 배경의 기틀을 마련하였으며, 실제 승진의 주체인 현직 초등교원을 대상으로 현행 교원 승진제도의 목표, 내용, 방법, 적용에 대한 인식 및 개선 요구 등의 측면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통한 양적연구를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의 기본정보로 성별, 학력, 지위, 교직경력, 학교규모, 학교구분, 학교소재를 조사하기 위한 7개 문항과, 현행 교원 승진제도를 Matrix 분석법에 기반 하여 목표, 내용, 방법, 적용 항목으로 나누고 이를 세부적으로 이해, 실태 및 문제, 요구 및 개선으로 구분하여 교원들의 인식을 종합적으로 조사하기 위한 37개의 문항을 포함하여 총 44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검정(교차분석)을 실시하여 배경변인에 따른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검정(교차분석)은 종속변수가 질적변수 혹은 범주형 변수일 때, 집단 간 차이 정도를 확인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는 기법으로 본 연구에 적합한 통계분석방법이다. 분석에는 SPSS 2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교원 승진제도의 목표에 대해서 학력이 높을수록, 보직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또 교원들은 교원 승진제도의 목표를 ‘조직의 목표달성’과 ‘자아실현의 욕구 충족’에 동일한 비중을 두고 있었다. 교원들은 교원 승진제도 목표의 가장 큰 문제점을 ‘업무에 치중된 가산점으로 인한 고충’이라고 응답하였다. 다만, 학력이 높을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교원 승진제도 목표의 문제점을 ‘자주 바뀌는 승진 규정 및 제도’로 보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리고 교원들은 교원 승진제도 목표의 개선 방향으로 ‘교원의 참여를 장려하고 교원의 요구를 반영한 실질적인 승진제도의 목표를 확립할 것’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둘째, 현행 교원 승진제도의 내용에 대해서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보직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가산점지역에서 근무할수록 비교적 잘 알고 있었으며, 특히 남성교원과 대학원 재학 이상의 교원들이 승진제도의 내용에 관해 보다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교원들은 승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가산점평정’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특히 가산점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원일수록 이를 강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나아가 ‘공통가산점평정’의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교육부장관 지정 연구시범실험학교 근무 경력’이었으며, ‘선택가산점평정’의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것은 ‘1급 정교사의 보직교사 근무경력’이었다. 또 교원들은 교원 승진규정 중 ‘경력평정’의 가장 큰 문제점을 ‘경력으로 관리자의 직무역량을 평가할 수 없는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개선 방향으로 ‘경력평정기간을 현행 20년으로 유지하고, 2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승진의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다만, 대학 졸업자일수록,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일반학교 및 일반지역에 근무하는 교원일수록 ‘경력평정기간을 축소폐지할 것’을 요구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또한 교원들은 교원 승진규정 중 ‘근무성적평정’의 가장 큰 문제점을 ‘관리자의 평정 점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복종 및 체제 순응의 문제가 생기는 것’이라 응답하였고, 개선 방향으로 ‘관리자 평정 점수의 비중을 줄이고 동료평가의 비중을 확대할 것’을 요구하였다. 아울러 교원 승진규정 중 ‘연수성적평정’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1급 정교사 자격연수의 점수가 승진점수에 반영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고, 개선 방향으로 ‘교감 승진을 앞둔 교원을 대상으로 교감자격연수를 실시하여 승진점수에 반영할 것’을 요구하였다. 또 교원 승진규정 중 ‘가산점평정’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업무에 치중된 가산점으로 인해 수업 및 교육활동의 질이 저해되는 것’이라 응답하였으나, 개선 방향으로 ‘시도 교육감이 자율적으로 배정할 수 있는 선택가산점을 확대하여 기피업무 및 지역에 부여할 것’을 요구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향 간에 인과관계가 성립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현행 교원 승진제도의 운영 방법에 대해서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보직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교원들은 교원 승진제도 운영 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을 하지 않고 제도와 정책을 도입하는 것’이라 응답하였고, 개선 방향으로 ‘승진제도 및 정책을 도입함에 있어 교원의 인식 및 요구 분석을 철저히 하고 교원의 참여를 적극 장려할 것’을 요구하여 문제점과 개선 방향 간에 높은 인과관계가 성립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교원들은 교원 승진체계의 바람직한 승진 단계를 ‘2급 정교사 → 1급 정교사 → 수석교사 → 수석교장’으로 이어지는 교수체계와 ‘2급 정교사 → 1급 정교사 → 교감 → 교장’으로 이어지는 관리체계의 분리 및 이원화라고 응답하였다. 아울러 교육전문직원(장학사, 연구사)으로의 전직 이후의 바람직한 방향에 대해서는 ‘교육전문직급에서의 승진만 가능(장학사교육연구사 → 장학관교육연구관)하게 할 것’을 요구하였다. 넷째, 현행 교원 승진제도의 적용 및 결과 활용에 대해서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보직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학교규모가 클수록, 가산점지역에서 근무할수록 보다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가산점지역에서 근무하는 교원일수록 교원 승진제도의 활용 방법의 적절성에 대해 비교적 부정에 해당하는 답변을 하는 교원이 많았다. 다섯째, 경기도교육청에서 개정 예고한 승진정책인 선택가산점 축소폐지 및 미래교육 교원리더십 아카데미 신설 정책에 대하여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보직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가산점학교 및 가산점지역에서 근무할수록 잘 알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에 위 정책의 도입방법(설명회개최, 공청회실시, 시범운영 등)에 대한 적절성 여부에는 남성일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보직교사일수록,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교원들은 경기도교육청이 개정 예고한 선택가산점 축소폐지 정책의 목표로‘소수의 교원만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선택가산점을 축소폐지함으로써 다양한 통로로 승진의 기회를 확대하는 것’이라고 응답하였다. 다만, 학력이 높을수록 ‘새로운 방향의 교원 승진제도 도입을 위한 출발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 미래교육 교원리더십 아카데미 신설 정책의 목표로는 ‘변화하는 시대에 적합한 직무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선발하기 위함’이라고 응답하였다. 또 교원들은 경기도교육청의 승진정책 도입방법의 가장 큰 문제점을 ‘공청회를 통해 교원들과 충분히 협의하지 않고 정책을 확정통보하는 것’이라 응답하였다. 또 구체적으로 선택가산점 축소폐지 정책이 도입되었을 때의 가장 큰 문제점을 ‘기피 업무 및 기피지역에 배치할 교원 수급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이라 응답하였고, 특히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기존 가산점평정에 맞춰 성실히 승진을 준비해 온 사람들이 불이익을 받을 것’을 염려하였다. 반면에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승진과 무관하게 원치 않는 업무를 맡게 되어 수업 및 교육활동의 질이 저하될 것’을 염려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 ‘기존의 선택가산점은 유지하면서 새로운 방향의 승진정책도 도입하여 승진의 통로를 다양화할 것’을 요구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원들은 미래교육 교원리더십 아카데미 신설 정책이 도입되었을 때의 가장 큰 문제점을 ‘다양한 업무경험을 배제한 채 몇 백 시간의 연수만으로는 리더로서의 역량을 갖추기 어려운 점’이라 응답하였다. 특히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너무 급격한 승진정책의 변화로 현장의 혼란과 갈등을 야기하는 것’을 문제점이라 응답한 비율이 높았던 반면에, 교직경력이 적을수록 ‘20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원에게만 자격을 부여하여 연공서열중심 승진정책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것’을 문제점이라 응답한 비율이 높았다. 이에 대한 개선 방향으로는 ‘현행 교원 승진제도와 병행하여 충분한 시간을 두고 시범 운영하고 효과성이 입증되면 전면적으로 도입할 것’을 요구하였다.

      • 스파 관리가 여성의 체형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소현 건국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글초록: 본 연구는 최근에 이슈가 된 웰빙(Well-being)과 함께 에스테틱 업계의 많은 방향 전환을 가져온 스파(Spa) 관리가 여성의 체형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서울 시내 A피부 관리실을 이용하는 여성고객 8명을 실험 대상자로 선정하여 스파 관리 방법을 충분히 설명한 후, 대상자의 BMI, 체중, 체지방, 신체 둘레를 측정한 후 8주간 스파 관리를 실행하였다. 8주 후 대상자의 BMI, 체중, 체지방, 신체둘레를 측정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임으로 인해 스파 관리가 여성의 체형 관리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 후 시행한 설문조사 결과, 스파 관리 후 체형 변화에 대해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뒷받침해주고 있다. 따라서 스파 관리를 피부 관리실내에서 대상자를 늘려 연구 데이터를 근거로 체형 관리에 활용을 했으면 한다. 스파 관리 후 더 나은 상승 효과를 위해 대체 의학으로 열거된 아로마 테라피, 스톤 테라피, 딸라소 테라피 등을 병행한다면 더욱 더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초록:This research looks into the slimming effect related to each part of women's body. The slimming effect particularly depends on the spa treatment, which is a turnaround for aesthetic businesses with the current well-being trend. In U.S.A,Europe,and Southeast Asia, the type of spas which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western bath culture, is various. Focusing on the disease treatment and relaxing effect, this research impedes the type of the spa treatment, the current American style Day-spa, from developing into a high class cultural image in Kore an skin care salons and encourages the spa treatment for esthetic effect. According to the quality of water, spa treatment takes effect, and it results in effects on blood circulation, perspiration, muscles, and massage. Before the spa treatment, one should know any disorders of the body, hypertension and diabetes because the temperature, timing and treatment of the spa water is applied differently. 8 customers of A skin care salon in Seoul were chosen as testers, and they fully understood the spa treatment. Circumference of each part of their body, their weight and their body fat ratio were measured. Then they participated in the spa treatment. After 8 weeks of the treatment, their weight, body fat raio, and circumference of each part of their body were measured again. The spa treatment took effect on slimming related to each part of their body. Compared with weight loss, circumference of their body, especially, circumference of their calf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indicates that many people are contented with the slimming effect after the spa treatment. Therefore, it is recommendable that more spa treatment is made full use of for the slimming care in many skin care salons. To take synergetic effect, if the spa treatment goes side by side with alternative medication such as aroma therapy and stone therapy, and other mechanical care, better effect is expected

      • 주사기 테스트: 액체연하식이의 객관적 점도 평가

        전소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International Dysphagia Diet Standardisation Initiative(IDDSI)에서 제시한 Syringe Test 즉, 주사기 테스트를 소개한다. 주사기 테스트를 소개하고 설문조사와 면담을 통한 만족도와 견해를 조사함으로써 작업치료사와 환자 및 보호자들에게 객관적이며 실용성 있는 액체연하식이 점도 검사 방법을 소개하고자한다. 이는 연하장애 환자들에게 변형된 액체식이 제공 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며 치료실에서의 객관적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연구 대상은 작업치료사 10명, 일반인 10명이였으며, 만족도 조사를 위한 설문지와 면담을 시행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빈도분석과 t-test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치료사들의 액체식이 제조법의 숙지 방법이 일관성이 없었고, 점도 증진제를 사용 하지 않고 있는 대상자도 있었다. 액체식이 단계를 검사하는 방법으로 숟가락 테스트가 많이 쓰이고 있었으며 단계를 확인하지 않고 액체식이를 이용하여 직접치료(음식물을 실제 삼킴하며 진행하는 치료)를 시행하는 치료사도 있었다. 두 집단 간의 주사기 테스트 방법의 이해소요시간을 보면 치료사가 일반인에 비해 이해속도가 빨랐고, 두 집단의 대상자 모두 추후에 액체식이 점도검사를 필요할 일이 생겼을 시 주사기 테스트 사용 의향이 있음으로 응답하였다. 만족도에서는 일반인보다 치료사가 높기는 하지만 유의한 수준은 아니었다. 두 집단 전체의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주사기 테스트에 대한 치료사의 긍정적 견해는 (1)액체의 양 확인가능, (2)치료 등급화(grading) 가능, (3)치료 전문성 향상, (4)간편함, (5)객관성, (6)편리함, (7)의료인들의 용어 통일성이 있었다. 부정적 견해로는 (1)해당 병원의 모든 치료관계자의 동의 필요, (2)추가 비용 발생, (3)시간 소요, (4)번거로움, (5)주사기의 굵기 차이, (6)위생 우려가 있었다. 셋째, 주사기 테스트에 대한 일반인의 긍정적 견해로는 (1)간단함, (2)정확함, (3)신뢰성이 있었다. 부정적 견해로는 (1)관리감독 필요, (2)추가 비용 발생, (3)시간 소요, (4)주사기의 구멍 차이, (5)위생 우려, (6)번거로움, (7)식이의 일정량 소비, (8)어려움이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연구대상자들의 주사기 테스트에 대한 높은 만족도를 나타내었고 실용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주사기 테스트에 관한 여러 견해들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객관적이고 신뢰성 있는 주사기 테스트 활성화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기간을 확보하고 주사기 테스트를 의료현장에서 직접 시행하여 그 효과를 검증해 봄으로써 보다 현실적인 개선안들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축적된 연구들이 작업치료사의 전문성과 치료의 질을 발전시킬 수 있기를 바라며 조금 더 신뢰성과 실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반복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과 교수 실행에 대한 탐색

        전소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전 세계적으로 학생들의 학습에 대해 학습의 결과에 초점을 맞춘 평가(Assessment of learning)에서 학습을 위한 평가(assessment for learning) 또는 학습으로서의 평가(assessment as learning)를 강조하는 평가로 변화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교육부(2011)에서도 학습결과를 상대평가 방식으로 평가함에 따라 발생하는 여러 문제를 해소하고자 교과목별 학업성취 도달 수준을 평가하는 절대평가의 성취평가제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성취평가제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 및 구현 방식 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과학교사 20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중심으로 한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해서 성취평가제에 관한 인식, 성취평가제가 교사의 평가 인식에 미치는 영향, 성취평가제 운영으로 인해 변화되거나 개선된 점 등에 대한 본인의 의견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하였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내신 석차 등급 미표기 이후 성취평가제가 기대하는 교육적 의미가 현장에 반영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성취평가제로 인해 ‘변별’에서 벗어난 과학수업을 실현할 수 있었으며, 학생의 성취에 주목함에 따라 과학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였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결과 위주의 평가에서 벗어남으로써 과학과 핵심 역량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과학 교과의 본질적 목표에 집중할 수 있게 된 점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그 뿐만 아니라 학생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진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일부 연구 참여자들은 적정 성취수준을 교사 스스로 설정하지 못하거나, 학생 활동에 대한 질적인 차이를 평정하는 과정에서 난해함으로 인하여 성취평가제의 실효성에 대해 의문을 가지기고 하였다. 또한, 내신 석차 등급이 산출되지 않은 이후, 학생들이 수업에서 보이는 의욕과 열의가 현저히 떨어지는 현 상황에서 수업의 방향성을 결정하는데 혼란스러움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nd practices on the implementation of achievement standards-based assessment (ASA) in science teaching. To achieve the aim, semi-structured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0 science teachers who had implemented ASA. The participating teachers were asked to share their opinions of the ASA implemtation, the effects of ASA on the changes of their teaching, and students’ reactions to ASA. The results are as follows. Most of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initial intention to the ASA implementation only began to be acutalized in schools after subject rankings were not requried to be indicated. Some teachers felt that ASA let them pay attention to the student's progress, rather than ranking students by their achievment scores. It also helped them find students having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support them. In addition, they admitted that they were able to reorganize their science lessons following the essential goals of science subjects in the curriculum, and to provide more detailed feedback on students’achievement. However, some teachers expressed difficulties in seting an appropriate level of achievement for their lessons or in evaluating students’ progress by qualiative manners. In addition, the teachers expressed concern about the remarkably lower motivation and enthusiasm of some students for learning science after the indication of class rank was not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