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공성 세라믹과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수질정화용 다층미디어블록 시스템 성능평가

        전성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다공성 세라믹과 제올라이트를 이용한 수질정화용 다층미디어블록 시스템 성능 평가 인공습지는 조성하는 목적에 따라 수질정화습지로서 뿐만 아니라, 여가공간 제공, 경관 요소 및 생물서식처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런데 조성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다양한 내·외부요인에 의하여 인공습지의 수질이 악화되고 기능이 저하되면서,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비용과 노력을 투여하고 있다. 인공습지에 주로 사용되는 점토+자갈 적층식 구조 습지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토사와 자갈이 혼재, 탁도 증가, 정화재료의 흡착 능력 저하, 눈막힘 현상 등 수질정화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질정화 효율이 오래도록 유지되는 구조 및 시스템으로 수질정화미디어블록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정화 재료별 수질정화 성능, 미디어블록의 수질정화 성능을 각각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질정화 재료인 강자갈, 제올라이트, 세라믹 등 재료별 수질정화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3개 재료별 3반복으로 총 9SET 실험구를 설치하였다. 호소수질환경기준에 의거 pH, COD, TDS, DO, T-P, T-N 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실험법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재료별 수질정화 성능은 세라믹이 우수하였으며, 초기의 정화효율을 유지하는 성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세라믹>제올라이트>강자갈 순으로 수질정화 성능이 확인되었다 수질정화미디어블록 시스템별 수질정화 성능 평가를 위하여 강자갈, 제올라이트, 세라믹 재료를 부직포로 감싸 강자갈, 제올라이트, 세라믹을 블록형으로 제작하였다. 대조구는 양질토+제오라이트+강자갈+부레옥잠으로 구성된 적층식 구조이며, 실험구 1은 강자갈블록+세라믹블록+제올라이트블록으로 제작된 수질정화미디어블록에 부레옥잠을 식재하였으며, 실험구 2는 수질정화미디어블록만 설치하였다. 실험구는 3반복으로 총 9SET의 실험구를 설치하였다. 호소수질환경기준에 의거 pH, COD, TDS, DO, T-P, T-N, COD 등을 측정하였으며, 측정 방법은 환경부 수질오염공정실험법에 의거하여 실시하였다. 수질정화미디어블록 성능은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 1, 2가 우수하였으며, 초기의 정화효율이 유지하는 성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합적으로 실험구 2>실험구 1>대조구 순으로 수질정화 성능이 확인되었다. 부레옥잠은 실험 중 대조구에서 먼저 고사 된 후 실험구 1에서도 고사되었다. 부레옥잠 등 습지식생 도입 시 고사로 인하여 수질악화가 발생 가능하므로 이를 고려한 수생식물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겨울철 수생식물에 대한 별도의 유지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어: 인공습지, 적층식 구조, 수질정화, 부레옥잠, 폐색현상 Artificial wetlands serve various functions such as purifying water quality as well as providing leisure place, scenic view, and biological habitats according to the purpose. However, additional costs and efforts are devoted to improve problems as its water quality is deteriorated and its functions are degraded due to a diverse range of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s time progresses after they were created. The water purification functions such as the mixture of soils with gravels, the rise in turbidity, a decline in the absorptive power of purifying materials, and clogging. of laminated of structured wetlands with clay and gravels mainly used in artificial wetlands were being reduced as Time going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water purification media block as maintaining structure and system to continue the efficiency of water purification longer, and assessed the performance of water purification by purifying materials and that of media block respectively in order to verity the proposed media block system. Results from this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In total, 9 sets of experiment groups were installed by repeating three times by three materials to assess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by water purifying materials such as river gravel, zeolite, and ceramic. Water quality factors such as pH, COD, TDS, DO, T-P, and T-N were assessed in accordance with Water Quality Standard and Criteria for Lake. Measurement was conducted in compliance with Official Test Methods of Water Pollution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by materials suggested that ceramic was excellent and the capability of maintaining early purification efficiency was high. To sum up,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was found followed by ceramic, zeolite, and river gravel. River gravel, zeolite, and ceramic were wrapped with felt and produced into block-type ones in order to assess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by the water purification media block system. The control group was laminated structure consisting of loam, zeolite, river gravel, and water hyacinth (Eichhornia crassipes (Mart.) Solms). Water hyacinth was planted in the purification media block system consisting of river gravel block, ceramic block, and zeolite block in the experimental group 1. Water purification media block without water hyacinth was set up in the experimental group 2. In total, 9 sets of experimental groups by repeating three times were installed. Water quality factors such as pH, COD, TDS, DO, T-P, T-N, and COD were assessed in accordance with Water Quality Standard and Criteria for Lake. For measurement, it was carried out in compliance with Official Test Methods of Water Pollution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he performance of water purification media block demonstrat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2 showed the excellent and the performance of maintaining the early purification efficiency was found high. In short, the water purification performance was identified followed by the experimental group 2, experimental group 1, and control group. Water hyacinth was dead in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in the experimental group 1. As planting wetland vegetation such as water hyacinth is likely to trigger a deterioration in water quality, this fact is assumed to be considered in case of planting wetland vegetation. Additional maintenance and management on hydrophyte vegetation during winter are needed. Keywords : artificial wetland, laminated structure, clogging water purification, water hyacinth

      • 지역약국 내 칸막이로 분리된 상담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

        전성률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복약지도는 약사와 환자 간 메시지를 주고받는 과정이며, 질병과 건강 문제와 관련되는 치료약의 효과적이고 안전한 사용을 위해서는 환자의 상태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따라서 환자의 기밀정보를 공유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우리나라 약국 환경은 거의 대부분 일반카운터에서 약사와 환자간 복약지도/복약상담이 이루어지고 있어서 상호 대화에 집중하기 어렵고 기밀성도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의사소통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는 약국 내 독립적 상담공간이 마련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하여 환자의 만족도도 향상되는지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약국에서 칸막이로 구분된 독립적 공간에서 복약지도를 하는 것이 환자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조사하기 위해 단면 설문조사로 수행되었다. 칸막이로 분리된 상담공간에서 약사(연구자)의 복약지도를 받은 후 조사참여에 대한 서면동의를 한 대상자에게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고 작성완료된 설문지는 회수함에 두고 나가도록 하였다. 본 조사에 사용된 설문지는 연구자가 자체 개발하였다. 설문문항은 16개로, Part 1. 약국 이용 경험, Part 2. 약사서비스 만족도 관련 요인별 동의 수준, Part 3. 전반적인 만족도 및 향후 의향, Part 4. 응답자의 기본 특성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자가 직접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는 충청북도 소재 1개 지역약국에 처방전 조제를 위해 방문한 성인 환자 중 조사에 자발적으로 참여에 동의한 환자를 조사 대상자로 모집하였고, 2021년 9월 6일부터 2021년 10월 6일까지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인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차의과학대학교 생명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 후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자가 설문지에 자가기입한 응답을 Google 설문지에 별도로 입력 하면 Microsoft Excel 프로그램에 자동 저장되었다. 커뮤니케이션 요인별 만족도 향상 정도에서 응답자 특성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 방법으로 유의수준 0.05를 적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정하였으며, IBM SPSS 프로그램(version 21)을 사용했다. 조사 참여자는 총 133명이었고 이 중 남성이 57명(42.9%), 여성이 76명(57.1%), 연령대는 20대가 16명(12.0%), 30대가 30명(22.6%), 40대가 39명(29.3%), 50대가 27명(20.3%), 60대가 16명(12.0%), 70대 이상이 5명(3.8%)이었다. 최종학력은 무학 0명(0%), 초졸 2명(1.5%), 중졸 3명(2.3%), 고졸 36명(27.1%), 대졸 86명(64.7%), 대학원 졸 6명(4.5%)이었으며, 현재 앓고 있는 만성질환의 개수에 대한 응답으로는 없음이 67명(50.4%), 1개 42명(31.6%), 2개 21명(15.8%), 3개 3명(2.3%), 4개와 5개 이상은 모두 0명(0%)이었다. 응답자의 약국 이용 행태로 지난 1년 동안 1달에 몇 번이나 약국(어느 약국이든)을 방문하는지에 대한 질문에는(마스크만 사러 간 경우는 제외) 0번이 11명(8.3%), 1∼2번이 72명(54.1%), 3∼4번이 23명(17.3%), 5∼6번이 9명(6.8%), 7번 이상이 18명(13.5%)이었다. 연구수행 약국에서 처방약을 조제하는 것이 처음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처음이라는 응답자가 65명(48.9%), 처음이 아니라는 응답자가 68명(51.1%)이었다. 다른 약국에서도 별도로 구획이 분리된 공간에서 복약지도/상담을 받아본 적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그런 적 없다는 응답이 106명(79.7%), 1∼2번 있다는 응답이 23명(17.3%), 3∼4번이 3명(3.0%)이었다. 열린카운터와 비교하여 독립적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요인별 만족도를 보면, ‘복약지도하는 내용의 전달 정도’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0명(0%), ‘차이가 없다’가 7명(5.26%), ‘조금 더 좋다’가 29명(21.80%), ‘훨씬 더 좋다’가 96명(72.18%)이었다. ‘이해가 안 되거나 궁금한 점을 질문하기 좋은 정도’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1명(0.75%), 차이가 없다가 7명(5.26%), 조금 더 좋다가 30명(22.56%), 훨씬 더 좋다가 94명(70.68.%)이었다. ‘상담할 수 있는 분위기의 편안함 정도’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0명(0%), ‘조금 덜 좋다’가 2명(1.50%), ‘차이가 없다’가 4명(3.01%), ‘조금 더 좋다’가 33명(24.81%), ‘훨씬 더 좋다’가 94명(70.68%)이었다. ‘약사와 대화하는 것에 대한 집중 정도’의 경우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1명(0.75%), ‘차이가 없다’가 4명(3.01%), ‘조금 더 좋다’가 22명(16.54%), ‘훨씬 더 좋다’가 105명(78.95%)이었다. ‘비밀스러운 내용을 얘기하기 좋은 정도’측면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2명(1.50%), ‘조금 덜 좋다’가 0명(0%), ‘차이가 없다’가 10명(7.52%), ‘조금 더 좋다’가 37명(27.82%), ‘훨씬 더 좋다’가 84명(63.16%)이었다. ‘약사와의 대화 내용이 타인에게 들리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정도’에 있어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1명(0.75%), ‘차이가 없다’가 17명(12.78%), ‘조금 더 좋다’가 46명(34.59%), ‘훨씬 더 좋다’가 68명(51.13%)이었다. 전반적인 만족도에서는 “열린카운터와 비교시 구획분리된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상담이 더 만족스럽습니까?”에 대한 질문에서는 ’훨씬 덜 좋다‘가 1명(0.75%), ’조금 덜 좋다‘가 3명(2.26%), ’차이가 없다‘가 7명(5.26%), ’조금 더 좋다‘가 32명(24.06%), ’훨씬 더 좋다‘가 90명(67.67%)이었다 독립된 공간에 대한 향후 희망 차이에서는 ‘앞으로도 가능하다면 열린카운터보다는 구휙분리된 공간에서 복약지도/상담하기를 희망합니까?‘에 있어서는 훨씬 덜 좋다가 2명(1.50%), 조금 덜 좋다가 2명(1.50%), 차이가 없다가 14명(10.53%), 조금 더 좋다가 36명(27.07%), 훨씬 더 좋다가 79명(59.40%)이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약국 환경에서 실제로 구획 분리된 공간을 만들어서 복약지도를 실시한 후에 환자의 만족도를 직접 조사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열린 공간 대비 독립된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만족도 향상은 평균 4.6점으로서 매우 높았다. 약사와의 대화에의 집중 정도 측면에서의 만족도가 4.7점으로 가장 높았고, 복약지도 내용의 전달 정도가 4.6점, 상담할 수 있는 분위기의 편안함 정도가 4.6점이었고, 향후 분리된 공간에서의 복약상담을 받고자 하는 의향 또한 4.4점 이었다. 전반적으로 여성, 40대 미만, 월평균 약국 3회 이상 방문, 해당약국 방문이 처음인 경우 만족도와 향후 의향에 있어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약국 이용자들이 열린 카운터와 비교하여 구획분리된 공간에서의 복약지도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약국 내 복약상담 공간요소에 대한 관심을 갖고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Medication guidance is a process of exchanging messages between pharmacists and patients,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atient's condition for the effective and safe use of treatments related to diseases and health problems. Therefore, it is often necessary to share confidential information of patients. However, most of the pharmacy environment in Korea has difficulty concentrating on conversations and is not guaranteed confidentiality due to medication guidance/drug counseling between pharmacists and patients at general counters. In this context, it is important to prepare an independent counseling space for pharmacies where communication can be smoothly carried out,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evidence on whether patient satisfaction increases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roviding independent spaces at local pharmacies and providing medication guidance affects patients' 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ross-sectional survey, and subjects who received medication guidance from pharmacists (researchers) in separate counseling spaces were asked to fill out a written consent form without the intervention of researchers and leave the completed questionnaire in the recovery box. The questionnaire was voluntarily participated in the study from September 6, 2021 to October 6, 2021 in adult patients who visited one local pharmacy in Chungcheongbuk-do, which was operated by researchers (graduates). There were 16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Part 1. Experience in pharmacy use, Part 2. Level of consent for each factor related to pharmacist service satisfaction, Part 3. Overall satisfaction and future hopes, and Part 4. Bas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is study was a survey asked to humans so conducted after approval by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of CHA University. When the survey subjects filled their own responses, a researcher typed answers on questionnaire form of the Google questionnaire, they were automatically stored in the Microsoft Excel program. In ord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respondent characteristic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improvement by communication facto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tested by applying the significance level of 0.05 using the t-test method, and the IBM SPSS program (version 21) was used. There were a total of 133 respondents, 57 people in males (42.9%), 76 people in females (57.1%). 16 people in 20s (12.0%), 30 people in 30s (22.6%), 39 people in 40s (29.3%), 27 people in 50s (20.3%), 16 people in 60s (12.0%), and 5 people in 70s or older(3.8%). The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was no one in no-education (0%), 2 people in elementary school graduates (1.5%), 3 people in middle school graduates (2.3%), 36 people in high school graduates (27.1%), 86 people in college graduates (64.7%), 6 people in graduate graduates (4.5%). People responded on how many current chronic diseases were 67 people in zero(50.4%), 42 people in one (31.6%), 21 people in two (15.8%), and 3 people in three (2.3%), no one in more than 4. In the respondents' pharmacy usage behavior, a researcher asked ‘How many times visited pharmacy (excluding those who only went to buy masks) in the past year‘, 11 people (8.3%) people in 0 times, 72 people in 1∼2 times (54.1%), 23 people in 3∼4 times (17.3%), 9 people in 5∼6 times (6.8%), 18 people in more than 7 times (13.5%). A researcher asked ‘Was it the first time to get drugs by prescription at this pharmacy‘, 65 people (48.9%) answered that it was the first time and 68 (51.1%) said it was not the first time. When asked ‘Have you ever received medication guidance/consultation in separated space before at another pharmacy likely today?‘, 106 people (79.7%) responded ‘No‘, 23 people (17.3%) answered 1 or 2 times, 3 people (3.0%) answered 3 or 4 times, and 0 people (0%) answered that they had more than 5 times. On ‘Compared to open counters, are you satisfied for medication guiduance in separated space?’ questionnare, 1 person (0.75%) for "much less good," none for "a little less good," 7 people for "no difference", 28 people for "a little better" (21.80%), and 96 people for "much better." On "the degree to which it is good to ask questions or not understood," 1 person (0.75%) said "much less good," 1 person (0.75%) said "a little less good," 7 people (5.26%) said it was “no difference”, 30 people (22.56%) said “a little better”, and 94 people (70.68.%) said “much better”. On "degree of comfort in the atmosphere", there were no one said “much less good” (0%), 2 people (1.50%) said “a little less good”, 4 people said (3.01%) “no difference”, 33 people said (24.81%) “a little better”, 94 people (70.68%) said “much better”. On "degree of concentration on talking to pharmacists," there were 1 person (0.75%), 1 person (0.75%) said “much less good”, 1 person (0.75%) said “a little less good”, 4 people (3.01%) said “no difference”, 22 people (16.54%) said “a little better”, and 105 people (78.95%) said “a much better”. On "The degree to which it is good to talk about secret content" 2 people (1.50%) said “a much less good”, none (0%) said ‘a little less better’, 10 people (7.52%) said “no difference”, 37 people (27.82%) said “a little better”, and 84 people (63.16%) said “a much better”. In "The degree to which other people think they cannot hear the conversation with the pharmacist" there were 1 person (0.75%) said “a much less better”, 1 person (0.75%) said “a little less better”, 17 people (12.78%) said “no difference”, 46 people (34.59%) said ‘a little better', and 68 people (51.13%) said ’a much better’ The difference in overall satisfaction of respondents on “More satisfactory for medication guidance/consultation in a separated space compared to the open counter? ", there were 1 person (0.75%) in ‘much less good’, 3 people (2.26%) in ‘slightly less good’, 7 people (2.26%) in ‘no difference’, 32 people (24.06%) in ‘slightly better’, and 90 people (67.67%) in ‘much better’ In the difference in future hopes for the respondents' on independent space "If possible in the future, do you hope to be provided medication guidance/consultation in a separate space rather than an open counter?" there were 2 people (1.50%) said ‘much less good’, 2 people (1.50%) said ‘slightly less good’, 14 people (10.53%) said ‘no diffenence’, 36 people (27.07%) said ‘slightly better’, and 79 people (59.40%). said ‘much bett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ctually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satisfaction after medication guidance in a separated space. Satisfaction with medication guidance in independent spaces compared to open spaces averaged 4.6 points, which was a high degree of improvement. The degree of concentration on talking to pharmacists was the highest with 4.7 points,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medication guidance was 4.6 points, the degree of comfort in the atmosphere for counseling was 4.6 points, and the future hopes was 4.4 points. Overall, women in their 40s and under, an average of three or more visits to pharmacies per month, and when visiting the pharmacy for the first time, satisfaction and future hopes were consisten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satisfaction with the medication guidance in the separated spa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open counter.

      • 도시 내 생태연못 조성 방안 연구

        전성률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wished to improvements by analyzing composition technique & problems of eco-water space which was developed in urban area and the growth of the plant and adaptability by environmental conditions of wild water-living plants in Korea. For making Biotope which is the most adequate to the environmental space for survival. We drew out problems of eco-water space by comparing and analyzing ecological value during the research time and the condition of the target place for research and surrounding environments. Also, this document proposes improvements of eco-water space in urban area by analyzing problems of each part. Total 4 eco-ponds are one school, one residential district, and two ecological spaces. I had chosen as places for researching, mainly ecological water places in the city. The result which it analyzes from water-blocking system, composition technique of brink, a source of water supply, planting water-living plants and so forth of each place is that the case of malfunction of eco-ponds due to the water leakage result from impaired functioning of water-blocking system i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ponds using the method of waterproof clay among water-blocking system, water-living plants withered to death and the bottom of the pond was exposed because of the water leakage. In ponds using the method of waterproof sheet among water-blocking system, the scenery of the surroundings was interrupted due to the exposure of the sheet. It was found that survival rates of water-living plant is almost zero by analyzing the number of planting when making water-living plants and the present condition when researching. The priority to improve in eco-water space is the right selection of water-blocking system and prevention of water leakage, therefor, not only the continuous maintenance of the depth of water as the capacity of water space, considering of seasonal features of surrounding trees, the depth of water, the time of flowering, the color when flowering, methods of planting should be appropriate but planting after selecting the water-living plants which has high ability of purification must precede. There is Typhaceae such as Reed, Phragmites japonica, Zizania latifolia, Oenanthe javanica, etc,.in the water-living plants which has high ability of purification. In emerged plants, there are Big phragmites japonica, Iris , Lotus, Pickerelweed, Monochoria vaginalis var. plantaginea. In floating leaved plant, there are Water chestnut, Nymphoides peltata, Nymphoides indica. And in submerged plant there are Ceratophyllum demersum, Potamogeton crispus, Potamogeton oxyphyllus etc. As a matter of supplied water, seventh of the eight object places used for eco-water space were relying on waterworks and the rest one was using water from river. In residential districts, it is possible to store rainwater and use it as supplied water of eco-water space and irrigation of space for landscape architecture, however, the case is rare except for constructions related to clauses of the Water Service Act. I analyzed out plottage of whole apartments located in the apartment house among the target place for research, squared catchment, made-up rainwater current device, and converted expenses of construction and rainwater into waterworks price. Finally I derived an idea that it had about three times high economical efficiency compared with expenses of formation of device for rainwater storage. Everybody's effort is needed to prevent water resources which infiltrate rainwater into reservoir or underground from exhaustion with development of the system for recycling rainwater for the future usage and changing perception of user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nature of ecolog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rainwater. Eco-water space in urban area is spaces for the growth of small living things as well as wild birds. It should be made up apart from images of spaces which have an affinity for water. To enhance efficiency of eco-water space enlargement of area of green tract of land ,increasing the amount of green land and the number of trees such as wild trees located in places possible to connect to the area of a green tract of land base. If human make up eco-water space as the most basic form for the space for the growth of living things in urban area and let nature change by itself, it would reward us with more ecological figure than any spaces that human made. 본 연구는 도시 공간 내 조성되는 생태연못의 조성 기법과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의 자생 수생식물의 환경조건에 따른 생육상태 및 적응성을 분석하여 주변 환경에 가장 적절하면서도 도심 내에서 소생물 서식공간으로 기능할 수 있는 생태연못의 조성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사례연구는 생태연못으로 조성된 지역 중 생태적 공간적 특성에 따라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별 대표 사례지를 선정하여 조성 현황과 주변 토지피복 현황 및 현존식생도를 분석하여 생태연못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도시 내 생태연못을 중심으로 선택하였으며 학교 내 생태연못 1개소, 공동주택 내 생태연못 1개소, 공원 내 생태연못 1개소, 관공서 내 생태연못 1개소 등 총 4개소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지별 생태연못의 차수제, 가장자리 조성공법, 공급수원, 수생식물의 식재 등을 분석한 결과 차수제의 기능 부실로 인한 연못수의 누수로 연못의 기능을 못하는 사례가 큰 문제점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차수제 중 콘크리트 방수 공법을 사용한 생태연못은 누수로 인해 연못의 기능을 전혀 하지 못하여 수생식물이 고사하였고 바닥을 드러내는 공간으로 변화되어 있었다. 생태연못에서 개선해야 할 우선 과제는 차수제의 올바른 선택으로 인한 누수 방지를 통해 지속적인 수심을 유지하여 수공간 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 계절별 특성을 고려하여 수생식물의 수심, 개화시기, 개화 시 꽃 색깔, 식재방법 등을 적절하게 하는 것, 정화성이 높은 수생식물을 선별하여 식재함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정화성이 좋은 수생식물로는 부들과 식물로 갈대와 달뿌리풀, 줄, 미나리 등이며 정수식물로는 부들, 갈대, 골풀, 매자기 등이 있다. 부유식물로는 부레옥잠, 물개구리밥, 좀개구리밥, 침수식물로는 가래, 물수세미, 붕어마름, 어항마름 등이 있다. 생태연못에 사용되는 공급수는 대상지 4개소 모두가 상수도에 의존하고 있었다. 주거단지는 빗물을 저장하여 생태연못의 공급수와 조경공간의 관수로 이용 가능하지만 빗물을 이용한 사례는 수도법 조항에 관련되는 건축물 이외는 많지 않았다. 향후 빗물의 재활용을 위한 시스템의 발달과 사용자들의 인식의 전환으로 빗물의 경제성과 생태적 중요성을 인식하여 빗물의 재활용 및 저수, 지하참투 등 물 순환체계 확립을 통해 수자원 고갈방지를 위한 모두의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도시 내 생태연못은 야생조류를 비롯한 소생물의 생육공간이다. 도시 내 생태연못은 친수공간의 이미지와 별개로 조성되어야 한다. 생태연못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연못 주변의 녹지량을 증가시키고 거점녹지 지역과 연결 가능한 장소에 위치하여 녹지면적 확대, 녹지량 증대, 자생수목 등 수목 종수의 확대가 필요하다. 생태연못은 생물을 위한 도시 내의 생물서식공간으로서 인간이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기반만 제공하고 나머지는 자연이 스스로 꾸며가는 환경만 조성한다면 인간이 만들어 놓은 어떠한 공간보다도 더욱 더 생태적인 모습으로 보답 할 것이라 사료된다.

      •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in high technology markets

        전성률 UMI 1995 해외박사

        RANK : 247615

        이 연구는 모(母)제품의 기술수준에 대한 상대적인 의미에서의 상표확장 대 상제품의 기술수준이 기술집약적 제품범주에서 소비자들이 기업의 상표확장 전략에 대한 평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하여 조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제품의 기술수준의 영향과 관련하여 두 가지의 영향요인을 역 시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 두 요인들은, 첫번째는 상표확장대상제품과 모(母 )제품간의 생산기술상의 유사성, 그리고 두번째는 상표확장대상제품군 내에서 의 제품들간의 품질차이도 입니다. 한편, 이 연구에서는 이상의 세가지 요인 들이 소비자들의 상표확장전략에 대한 평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소비자들의 모(母)제품의 평가는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 역 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연구방법으로는 위에서 설명한 세가지 변수들의 팩 토리알 디자인을 이용한 실험을 채택하였읍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의 상표확장제품의 품질인식은 기술계층상의 상 향적 확장에 비해 하향적 확장의 경우에 더욱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상표확 장에서의 "기술계층효과"). 또한, 하향적 확장의 경우 소비자들은 모(母)제 품과 상표확장제품간의 생산기술이 다르게 지각된 경우보다 유사하게 느껴진 경우에 보다 호의적인 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향적 확장의 경우에 는 두 상황간의 뚜렷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습니다. 즉, 생산기술상의 유사성의 기술계층효과에 대한 영향은 상향적 확장의 경우에 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두번째 영향변수인 상표확장대상제품군 내에서의 제품들간의 품질 차이도 역시 기술계층변수와의 상호작용효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소비 자들의 상표확장에서의 기술계층효과는 상표확장대상제품군 내에서의 기존제 품들간의 품질차이도가 적을 경우보다 클 경우에 더욱 뚜렷이 나타나고 있습 니다. 한편, 이러한 상표확장에 따른 소비자들의 모(母)제품에 대한 평가는 위의 결과와는 반대방향인 상향적 상표확장의 경우 더욱 호의적인 것으로 나 타났습니다. 또한, 이와 같은 모(母)제품의 평가에서 나타나는 기술계층효과 는 상표확장제품의 평가에서와 마찬가지로 모(母)제품과 상표확장제품간의 생 산기술이 유사하게 지각된 경우에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This reseach examines s how the level of technology of the extension product relative to that of the parent product influences consumer evaluations of brand extensions in high technology product categories. The moderating efkcts of technology similarity between the two products and quality variations in the extension product class on the technological hierarchy effect are also examined In addition, we investigate the reciprocity effects of these factors on consumers subsequent evaluations of the. parent produc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quality of an extension product was more favorably evaluated in downward extensions than in upward extensions (called �technological hierarchy efkcts�). In downward extensions. subjects exhibited more favorable quality evaluations of extension products in technology similarity condition than in technology dissimilariry condition. However, in upward extensions. there turned out to b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ndition. In addition, the technoIogical hierarchy effects were moderated by the quality variations across brands in the extension product c l a s s . In term of reciprocity effects, subjects� subsequent evaluations of the parent products were more favorable in upward extensions than in downward extensions. In addition, this technological hierarchy efkcts on the reciprocity masure turned out to bc more pronounced when the parent brand was extended to technologically similar product classes than when extended to technologically dissimilar product clas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