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위생사의 작업환경과 통증자각증상 연구

        전상희 가천의과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치과위생사의 작업환경과 통증자각증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 12월 29일부터 2010년 3월 13일까지 대학‧종합병원 치과, 치과병원, 공동개원형치과의원, 개인치과의원과 보건(지)소에 근무하는 전국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직무관련 특성, 작업환경상태와 부위별 통증자각증상을 설문조사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작업환경상태 및 부위별 통증자각증상은 t-test와 one-way ANOVA로 분석하였고, 작업환경상태에 따른 부위별 통증자각증상은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작업환경상태와 부위별 통증자각증상 간의 관련성은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고, 통증자각증상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은 logistic regression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작업환경상태는 연령 40세 이상(p<0.001), 대학원졸(p<0.001), 강원도 지역(p<0.001), 체중 50-60 kg 미만(p=0.001), 기혼(p<0.01), 경력 7년 이상(p<0.01), 보건(지)소(p<0.001), 접수 및 상담 영역(p<0.01), 8시간 근무(p<0.001), 연봉 3,000만원 이상(p<0.001), 일일평균 환자 10명 미만(p<0.001), 근무 중 자주 쉬는 군(p<0.001)이 가장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통증자각증상 빈도 및 심도는 연령(p<0.01)과 최종학력이 낮을수록(p<0.05) 일일평균 환자 수가 많을수록(p<0.01) 높아졌고, 서울 지역(p<0.001), 체중 45 kg 미만 (p<0.05), 미혼(p<0.001), 치과병원(p<0.01), 근무 중 거의 쉬지 않음(p=0.001), 10시간 근무(p<0.01), 연봉 2,000-2,500만원 미만(p<0.01)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작업환경상태 즉, 물리적 환경상태, 제도관련 직무환경 만족상태, 업무관련 직무환경 만족상태 3점 이하 군이 통증자각증상 빈도와 심도 모두에서 4점 이상 군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p<0.01). 로지스틱회귀분석 결과, 통증자각증상 빈도와 관련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연령, 지역, 체중, 병원형태, 근무일수, 근무 중 휴식정도였고(p<0.05), 심도와 관련성이 높은 요인으로는 지역, 체중, 결혼 상태, 병원형태, 근무일수, 연봉, 근무 중 휴식정도였으며(p<0.05), 작업환경상태 4점 이상 군이 3점 이하 군 보다 통증자각증상 빈도 및 심도가 낮게 나타날 가능성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직무관련 특성별 작업환경상태 인식에 많은 차이가 있었고, 작업환경상태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통증자각증상에 대한 빈도와 심도가 매우 낮게 나타나, 치과위생사의 통증자각증상을 줄이기 위해서는 만족할 만한 수준의 치과의료기관 작업환경 개선이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order to analyze dental hygienists’ work environment and subjective pain symptoms, this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dental hygienists working at the Dentistry of university‐general hospitals, dental hospitals, joint dental clinics, private dental clinics, and health centers (branches) throughout the countries on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related characteristics, work environment condition, and subjective pain symptoms by body part. Work environment condition and subjective pain symptoms by body par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rough t‐test and one‐way ANOVA, and subjective pain symptoms by body part according to work environment condition was analyzed through t‐test.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environment condition and subjective pain symptoms by body part was measured using correlation coefficient, and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pain symptoms were analyzed through logistic regression.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rawn conclusions as follows. Work environment condition was perceived most positively by those aged over 40 (p<0.001), those who had completed a graduate course (p<0.001), those living in Gangwon‐do (p<0.001), those whose weight was 50‐60 kg (p=0.001), married ones (p<0.01), those with 7 years’ or longer experience (p<0.01), those working at a health center (branch) (p<0.001), those whose job was reception and counseling (p<0.01), those working 8 hours (p<0.001), those with annual income of over 30 million won (p<0.001), those serving fewer than 10 patients a day (p<0.001), and those taking a break frequently while on duty (p<0.001).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subjective pain symptoms was highest in those of young age (p<0.01), those with low academic qualification (p<0.05), those serving a large number of patients per day (p<0.01), those living in Seoul (p<0.001), those whose weight was less than 45 kg (p<0.05), unmarried ones (p<0.001), a dental hospital (p<0.01), those taking few breaks while on duty (p=0.001), those working 10 hours (p<0.01), and those with annual income of 20‐25 million won (p<0.01).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subjective pain symptoms was much higher in those whose score of work environment, namely, physical environment condition, system‐related job environment condition, and work‐related job environment condition was 3 or lower than in those whose score was 4 or higher (p<0.01). In the results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factors highly correlated with the frequency of subjective pain symptoms were age, area, weight, hospital type, number of working days, the frequency of breaks while on duty (p<0.05), and factors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subjective pain symptoms were area, weight, marital status, hospital type, number of working days, annual income, and the frequency of breaks while on duty (p<0.05). In addition, the possibility that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subjective pain symptoms would be low was higher in those whose score of work environment was 4 or higher than in those whose score was 3 or lower. Summing up the results above, perception of work environment condi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and when work environment condition was perceived positively,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subjective pain symptoms were lower. Thus, in order to reduce dental hygienists’ subjective pain symptoms, it is considered urgent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dental institutions to a satisfactory level.

      • 동물형상의 재조합을 통한 도자 장식품 연구

        전상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논문개요 예전부터 사람들은 생활문화나 종교, 부귀, 출세 등을 표현하기 위해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 다양한 상상의 동물을 만들어냈다. 신화 속 동물의 표현을 보면 동물의 특정 부분을 과장되게 표현하거나, 서로 다른 동물을 조합해 새로운 상상의 동물을 만들어 인간이 의도하는 스토리를 신비한 형상으로 표현하였던 것이다. 본 연구는 상징적 의미를 가진 상상의 동물들을 현대의 반려동물처럼 가까이하면 어떨까 하는 호기심에서 시작되었다. 신화 속 동물의 위엄과 두려움을 대신해 보는 이들로 하여금 친근하며 다양한 스토리와 감정을 이끌어낼 수 있는 상상의 동물 도제(陶製) 장식품을 만들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문에서는 상상의 동물의 정의와 역사적 배경에 대해 알아보고 동서양의 신화 속 동물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동물형상을 소재로 하는 최근 작업을 살펴보고 동물 표현의 방법을 요약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할 동물형상 조합을 도출하였으며 동물의 종(種), 속(屬), 과(科)에 따른 기준을 설정해 조합함으로 의도된 동물형상 표현을 시도하였다. 표현 방법에 있어서는 대상의 조합, 과장, 변형 작업 등을 통해 새로운 이미지를 제시하였다. 작품 제작은 백자 작업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동물의 기존 제품을 활용해 몰드와 다수의 형상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형상은 분해, 조합 과정을 거쳐 새로운 형상으로 표현하였으며, 도자 장식품으로서의 역할을 위해 복수의 제작 방법과 다채색의 채색기법을 사용해 현대의 실내공간을 장식하는 상상의 동물 도제 장식품을 제작하였다.

      • 바람직한 校長의 資質과 職務遂行에 대한 初等 敎員의 認識 硏究

        전상희 弘益大學校 敎育經營管理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데 학교교육은 그대로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학교교육이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는 말로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말이기도 하다. 이는 중요한 학교교육을 이끌어 갈 학 교장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에서 새로운 시대의 바람직한 교장의 자질 및 직무 수행에 대 한 인식을 정립해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장의 자질과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하여 교장선생님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본다. 둘째, 교장의 직무 수행에 대하여 교장선생님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학교경영면, 교육과정 운영면, 교직원관리면, 학생관리면, 일반직무수행면, 시설. 재무관리면, 지역사회 및 대외관계 면에서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비교해 본다. 셋째, 유능한 교장의 확보방안 및 교장으로서 앞으로 관심 가질 직무와 교장과 교사와의 업무면에서 개선점을 알아본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교장이 갖추어야할 자질과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유능한 학교장 확보 방안 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서울시와 인천시, 그리고 경기도의 교장 74명 과 선생님들 47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for Windows 8.0 프로그램으로 전산 처리하였다. 각 문항별 응답의 단순빈도(백분율)를 통하여 경향을 분석하고, 각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Chi-souare(x²)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람직한 학교장의 개인적 자질로는 업무처리에 공정성과 합리성을 가장 중요하다(45.7%)고 보고 있고, 교육자적 자질로는 교육자로서의 교육철학과 신념이 가장 중요하다(69.9%)고 보았으며, 관리자적 자질로는 조직 관리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69.3%)고 보고 있다. 또한 교장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로 영어 구사 능력과 컴퓨터 구사 능력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장의 직무수행에 대하여 학교경영면에서는 학교간 경쟁체제 도입에 대해서는 필요는 하나 도입을 서두르면 안된다(각 50.0%, 38.4%)고 보고 있고,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선택권에 대해서도 필요성은 인정하나 도입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보고 있다. 학교 평가에 대한 의견에서는 모두 학교 발전에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은 하나 평가 방법이 바뀌어야 한다(전체 64.2%)고 생각해 학교 평가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학교장의 학교재량권 도입에 대해서는 교장과 교사 모두 도입에 적극 찬성하고 대책과 능력을 갖추도록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전체 44.3%)고 보고 있다. 그리고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에게 강조할 교육내용으로 교장선생님 은 창의력 신장을 강조해야 한다(55.4%)고 보았고, 교사들은 자율에 따른 책임감 육성을 강조한다(65.0%)고 보고 있다. 초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수준은 교사는 모두 인터넷과 문서작성을 어느 정도 하는 수준까지 지도해야 한다(41.7%)고 보고 있다. 교직원 관리면에서 선임·수석교사제의 도입에 대해서는 교장선생님은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고(43.2%), 교사들은 필요성을 인정하나 도입을 서두르면 안 된다(35.0%)고 보고 있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교장선생님은 대학원 진학등 자기 개발을 위해 노력하며(39.2%), 현장연구 등 각종 연구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기(33.8%)를 권장하였으나, 교사는 각종 연수활동에 적극 참여한다(40.3%)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부족한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장선생님은 기부금 창구를 통한 학부모의 찬조를 가장 좋다(62.3%)고 본 반면 교사들은 교육세의 확충을 통한 간접적인 중대 방안이 가장 좋다(67.1%)고 여기고 있다. 셋째, 유능한 교장선생님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장선생님은 교장 자격연수 시수 및 내용을 확대시켜야 한다(70.3%)고 본 반면 교사는 다양한 현직 연수 기회를 확대해야 된다(53.0%)고 보고 있다. 교사들만의 의견을 알아본 결과 교사와 교장과의 업무 개선점에 대해서 교사들은 각종 회의 방법을 가장 개선해야 된다(35.5%)고 보고 있고, 부장교사들은 각종 공문서의 결재 방법을 가장 개선해야 된다(37.0%)고 보고 있다. 교장선생님들만의 의견을 알아보면 교원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 해서는 교원의 우대 정책 실현에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한다(35.9%)고 보고 있다. 교장 직무를 수행하면서 가장 애로점을 느끼는 점은 낡고 노후한 건 물 보수 문제(29.7%)로 보고 있다. 위의 결과의 요약을 토대로 바람직한 교장상에 대하여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선생님의 자격 연수시 연수 시수 및 내용을 확대하여 교장으로 서의 자질을 두루 갖출 수 있도록 하며, 현직 연수도 병행하여 교장의 직무 수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학교간 경쟁체제 도입과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 선임·수석교사제의 도입은 보다 신중히 고려하고, 학교의 재량권 확대는 적극적으로 추진되 도록 교육행정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교육에서 강조될 점은 창의성 교육과 자율에 따른 책임감 육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학교의 낡은 전물과 시설의 개·보수와 교직원 복지시설 확충을 위해 앞으로 계속적인 교육 투자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장은 교사와의 업무에서 각종 회의 방법과 공문서의 결재 방법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There are some indications that while society is changing school education is stagnant. It means that school education has to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also it makes us realize the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Considering this aspect, to formulate the desirable quality of a principal and the understanding about performance of their duties in this new ages, the subjects of study is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o know how a principal and teachers understand the competencies that a principal must have. Second, to know perception of principals and teachers about the performance of principal's duties. The concrete contents are as follows: school management, management of curriculum, personnel management, administration of students, performance of general duties, management of facilities, financial management, understanding of their local society and in exterior relation. These issues will be compared with each other. Third, to know how to acquirable principals duties that principals must execute and improvemen measures for principals and teachers.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7 principals and 477 teachers in Seoul, Gyung-Gi, and Incheon.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are as following : qualities with which a principal must be equipped and the perception on execution of duties, a plan to ensure principal having ability. The data were computerized by SPSS for Window 8.0 program. Answers of each ques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centage. After that, Chi-square (xˇ2)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mong each group.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45.7% of respondents regard a fairness and a reasonableness in dealing with his/her own work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al's quality. 69.9% of them consider that education philosophy and faith as educator's quality are the most important. Also 69.3% of respondents think that ability to manage an organ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as administrator's quality. But it appears that ability to speak English and operate computer are not so important as a principal's quality. Second, in relation to school management and execution of principal's duties, it appears that introduction of competence system among schools is necessary(50% of respondents), but it doesn't have to be hurry on with (38.4% of them). And they think that although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have the right to choose the school, it doesn't have to be hurry on with its introduction. In relation to school evaluation, 64.2% of respondents think that though there must be the need of school developing but it needs to change the evaluation way, This shows that it needs to be studied for the ways of school innovation. And in relation to introducing the discretion of principal, 44.3% of respondents positively agree to introduce it, and recognize that they have to exert every effort to have ability or a countermeasure. And for education contents that they want to emphasize to students, 55.4% of principals emphasize development of creativity, 65.0% of teachers emphasize development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41.7% of teachers think that they have to teach Internet and word-processing to some extent. In aspect of administration for teacher, for introduction of head teacher system, 43.2% of principals agree to introduce it positively, while 35.0% of teachers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t, but it should not hurry on with. In relation to the way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a teacher, 39.2% of principals think that teachers have to exert every effort, for example, like going on to graduate school, and 33.8% of principals encourage the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of study such as actual study. But 40.3% of teachers think to be good to participate in various workshop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way to expand the insufficient fund of school, 62.3% of principals think that it is best to be supported by students' parents through donation window. However, 67.1% of teachers regard an indirect expanding way like expansion of education tax as the best way. Third, in relation to the way to ensure principals having ability, 70.3% of principals judge that it needs to expand the number of hour and the contents for qualification training of principal, while 53.0% of teachers that it needs various incumbent training opportunities. About improvements of duties of a principal and teachers, 35.5% of teachers think that various discussion methods have to be improved, 37.7% of chief teachers think that signing method on various public documents have to be improved. About the way to raise the teacher's morale, 35.9% of principals count as being important to realize policy treating teachers considerately. And 29.7% of principals regard repair and management of old building as the most difficult problem among principal's dutie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A few conclusions for desirable principal's figure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enlarge the contents and period of study and training for principals to expand their own qualifications. Also, simultaneously, it needs to have an incumbent training to help a principal's duties. Second, the authorities concerned education must take a prudent attitude in the followings introduction of competition system among schools, the education demander's right to choose a school, introduction of head teacher system, and must actively propel the enlargement of school discre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education of creativity and the promoting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Fourth, it needs to repair old building of school, to expand facilities for teacher's welfare, and to invest continuously in education. Fifth, a principal must know that it needs to have a reform measure for the signing custom on public documents and the conference method in the affairs with teachers.

      • GIS기반 AHP기법을 이용한 풍력발전소 적지 분석

        전상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terest in new&renewable energy is increasing internationally. Among such, wind power generation is rising as the core of new&renewable energy with low production unit cost and high technological maturity. In pace with the trend for new&renewable energy utilization, Korean government has announced the plan to expand the new&renewable energy propagation rate from 2.49% in 2008 to 11% in 2030,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energy produced by wind power gener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by 40 times in 2030 compared to 2008. As such, the propaga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is catalyzed at the national level, the wind power generators are expected to extended - not only increasing the installation capacity, but also installing the generators where the negative effects due to the wind generators can be minimized and the usage efficiency can be higher is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n appropriate site for wind power plant centering on Gangwondo. Detailed goals for this include, first of all, deducing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for site selection. Second, in order to apply weighted value to the deduced factors for overlay analysis, the importance level of each factor must be calculated. Third, the classification criterion corresponding to each factor and the appropriateness grade to classify the data uniformly must be set. Fourth,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appropriate site for the wind power plant is determined in the Gangwondo area, and the property of the site per each score is reviewed. Lastly, the result of this study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nd power plant is compared and analyzed. In order to deduce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site selection of wind power plant, the studies related to site selection of wind power plants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secure the objectivity and the site applicability of the factors deduced through documentation, an interview with the expert was conducted, through which the site selection factors were ultimately finalized. Each factor had relatively different level of importance so that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technique was used to calculated the weighted value per factor. For overlay analysis, the appropriateness of the site was classified into 3 grades(very appropriate-5, intermediate-3, poor-1) and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prepared for each factor. After classification criteria and weighted values were applied to the data, overlay analysis was executed to determine appropriate sites for wind power plants. In order to find out the wind resource characteristics of the sites per grade as deduced from the results, the yearly average wind power density and monthly average wind power density per grade were analyzed using Arc GIS Desktop 9.3. Also,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nd power plant complex was implemented as GIS data, which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complex and the interrelationship wit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tal of 11 factors were deduced for consideration for site selection of wind power plant. In order to facilitate the analysis, the deduced factors were largely categorized into Physical factors, environment protection factors, human damage factors, and economic factors. Physical factors included wind resources, topography(valley angle, distance to the ridge), and forest density; environment protection factors included land use, preservation area, national park, and Baekdu-Daegan; human damage factors included noise and shade; economic factors included Transmission Line and approaching roads. Second, as the result of calculating importance level per factor using AHP technique, Level 2 showed that natural factors(65%) had the highest importance, followed by economic factors(19%) and environment protection factors(11%) with human damage factors(5%) having the lowest importance level. In the detailed categorization item(Level 3), the importance level was calculated per each factor; among natural factors, wind resources(68%) showed the highest importance, followed by distance to ridge(16%), valley angle(9%), and forestation density(7%). Among environment protection factors, land use(41%) had the highest importance, and national park(27%) and Baekdu-Daegan(22%) appeared similarly high with preservation area (10%) at the lowest. Among human damage factors, noise(50%) and shade (50%) were found to have the same importance level. Among economic factors, power line path(62%) was found to be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approaching roads(38%). Third, in this study,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for site selection of wind power plant were classified largely into 4 categories and 11 subcategories, and the data corresponding to each subcategory was constructed. Each data, however, has information of a different unit which is also continuous, so that in order to facilitate overlay analysis, such needs to be classified into uniform appropriateness grading. Thus, according to the level of appropriateness for the wind power plant to settle, the three grades of 'very appropriate,' 'intermediate,' and 'poor' were assigned, and 5 for 'very appropriate,' 3 for 'intermediate,' and 1 for 'poor' were attributed. Also, based on existing researches and expert opinions, the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data were suggested. Fourth, as the result of overlay analysis centering on Gangwondo area, areas from grade 1-5 were found. Grade 5 received the highest grade, and can be said to be the most appropriate site for wind power plants as per the criteria of this report. Most grade 5 areas had the tendency to exist along the ridge of over 600m elevation. Most grade 4 and 5 areas were concentrated on the Taebak mountain range so that this area with relatively high altitudes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for wind power generation. In order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eas per each grade, the analysis per grade was executed, and as the result, grade 5 areas were found to have very excellent conditions compared to areas with other grades. Grade 5 areas, however, had high forestation density and many are ecological natural level grade 1 areas, and core regions of Baekdu-Daegan are partially included so that difficulties are expected for attaining construction permits from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 Fifth,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site selection is wind resources, it is important to find out the wind resources of the site per grade. Accordingly, wind power density(W/㎡), most representatively used for evaluation of wind resources, was used to figure out the wind resources per grade.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yearly average wind power density, grade 1 area was 127.64W/㎡, grade 2 area 137.31W/㎡, grade 3 area 243.27W/㎡, grade 4 area 554.27W/㎡, and grade 5 area 546.46W/㎡. Considering that large-scale wind generators are recommended to be installed at a location with 400W/㎡ or more, the installation appears to be appropriate for grade 4 and 5.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monthly average wind power density, spring, fall, and winter showed high wind power density, but it significantly dropped during summer, indicating a large gap by month. Sixth, a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deduced results of this study and the current location of the wind power generation complex, the 6 complexes in Gangwondo were at grade 3, 4, and 5 locations. All complexes except Taegisan complex and Yangyang complex were located at hilly sections of over 1000m, and most complexes were found to be located at the ridge, indicating that hilly ridges are appropriate for wind power generation. The reason the locations of existing complexes are also at grade 3, 4 sites and not just grade 5 sites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values emphasized by government policy or company policy all differ. This study has its limitations in that it used GIS as the tool for site analysis so that the factors that are difficult to be constructed as spatial data were excluded from consideration. Also, as the targets of the survey were the operators of wind power plants, the weighted values had the tendency to incline towards economic side. As wind power generation complex uses the national land which is the property of all citizens, it appears necessary to consider the opinions of various experts altogether. This report, however,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llowed various factors for site selection to be considered at the same time using AHP and GIS, avoiding the trouble of considering each factor separately. GIS, as it is based on location, may confirm the distribution of the deduced sites right away, and makes it eas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tes. Also, in this study, the study process was constructed into a model so that the varying weighted values and criteria depending on passage of time and situations can be applied and analyzed immediately. This study intends to roughly deduce the candidates for wind power plants, and for finalized decision of a site for a power plant requires over 1 year of post investigation. As such, in order to establish a single wind power plant, a long period of pilot survey and due evaluation are necessary since it is difficult to change the location of a wind power generator once it is installed. Even though the site selection is very critical in case of wind power plants, currently there are not many researches on the site selection of wind power plants in Korea. Before establishing the plan to increase wind power generators, it is necessary to prepare the detailed criteria appropriate for the actual situations. When such detailed criteria are prepared on the national scale, the wind power generation industry of Korea would be able to grow one step further.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중 풍력발전은 낮은 생산단가와 높은 기술성숙도로 신・재생에너지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세계의 신・재생에너지 활용에 대한 흐름에 발맞춰 우리나라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2008년 2.49%에서 2030년 11%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에 따라 풍력발전 생산 에너지양 역시 2030년에는 2008년에 비해 약 40배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처럼 국가적인 차원에서 풍력발전 보급이 촉진됨에 따라 풍력발전기 또한 증설될 것으로 보인다. 풍력발전기의 설치용량만을 증가시키는 것이 아니라 이용 효율이 높으면서 풍력발전기로 인한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소에 풍력발전기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도를 중심으로 풍력발전소가 입지하기에 적절한 장소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세부목적으로는 먼저 풍력발전소 입지선정 시 고려해야 할 요인들을 도출해야 한다. 둘째, 도출된 요인들의 중첩분석 시 가중치를 주기 위하여 각 요인들의 중요도를 산출해야 한다. 셋째, 각 데이터를 일률적으로 분류하기 위한 적절성 등급과 각 요인들에 부합하는 분류기준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넷째, 위의 결과를 토대로 강원도 지역에서 풍력발전소가 입지하기에 적절한 지역을 찾고 각 점수별 지역의 특징을 알아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와 기존 풍력발전소의 위치를 비교・분석한다. 풍력발전소 입지선정 시 고려해야할 요인들을 도출하기 위하여 풍력발전소 입지선정과 관련된 연구들을 조사하였다. 문헌연구를 통해 도출된 요인들의 객관성과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 확보를 위하여 전문가와의 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입지선정 요인을 확정하였다. 각 요인들은 상대적으로 다른 중요도를 가지므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기법을 이용하여 요인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중첩분석을 위하여 풍력발전소가 입지하기에 적절한 정도에 따라 3등급(매우적합-5점, 보통-3점, 미흡-1점)으로 구분하고 각 요인별로 이에 맞는 분류기준을 마련하였다. 데이터에 분류기준과 가중치를 부여한 후 중첩분석을 실시하여 풍력발전소가 입지하기에 적절한 지역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도출된 점수별 지역의 바람자원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점수별로 연평균 풍력밀도와 월평균 풍력밀도를 Arc GIS Desktop 9.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풍력발전단지의 위치를 GIS데이터로 구축하고 이를 이용하여 기존풍력발전단지의 특징과 본 연구결과와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풍력발전소 입지선정 시 고려해야 할 요인으로 총 11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출된 요인들을 크게 자연적 요인, 환경보호 요인, 인간피해 요인, 경제적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자연적 요인으로는 바람자원, 지형(골짜기 각도, 능선까지의 거리), 산림밀도를 고려하였으며, 환경보호 요인으로는 토지이용, 보존지역, 국립공원, 백두대간을 고려하였다. 인간피해 요인으로는 소음과 그림자를 고려하였으며, 경제적 요인으로는 송전선로, 접근도로를 고려하였다. 둘째, AHP기법을 이용하여 요인별 중요도를 산출한 결과 Level 2에서는 자연적 요인(65%)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가진 것으로 도출되었으며, 다음으로 경제적 요인(19%), 환경보호 요인(11%)이 높게 나타났으며 인간피해 요인(5%)이 가장 낮은 중요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분류 항목(Level 3)에서는 각 요인별로 중요도가 산출되었는데, 자연적 요인에서는 바람자원(68%)이 가장 높은 중요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 능선까지의 거리(16%), 골짜기 각도(9%), 산림밀도(7%)가 차례대로 높게 나타났다. 환경보호 요인에서는 토지이용(41%)이 가장 중요도가 높았고, 국립공원(27%)과 백두대간(22%)이 비슷한 비율로 높게 나타났으며, 보존지역(10%)이 가장 낮은 중요도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인간피해 요인에서는 소음(50%)과 그림자(50%)가 같은 중요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요인은 송전선로(62%)가 접근도로(38%)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는 풍력발전소 입지선정 시 고려해야 할 요인을 크게 4가지의 대분류 항목으로 구분하였으며 그 아래 총11개의 세부항목을 두었다. 그리고 각 세부 항목에 부합하는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그러나 각 데이터는 각자 다른 단위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연속적인 데이터이므로 중첩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률적인 적절성 등급으로 구분할 필요가 있다. 이에 풍력발전기가 입지하기에 적절한 정도에 따라 ‘매우 적합’, ‘보통’, ‘미흡’으로 구분하였으며, ‘매우적합’에 5점, ‘보통’에 3점, ‘미흡’에 1점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기존연구와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각 데이터에 대한 분류 기준점을 제시하였다. 넷째,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중첩분석을 실시한 결과 1점부터 5점까지의 지역이 도출되었다. 5점 지역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지역으로 본 논문의 기준으로 보았을 때 풍력발전소가 입지하기에 가장 적절한 지역이라고 할 수 있다. 5점을 받은 지역은 대부분 고도 600m 이상에 있는 능선을 따라 존재하는 경향이 있었다. 4점과 5점 지역이 대부분 태백산맥 산지에 몰려있어 상대적으로 고도가 높은 태백산맥 지역이 풍력발전을 하기에 유리한 지역임을 알 수 있었다. 점수별 지역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기 위하여 점수별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 5점 지역이 다른 점수를 받은 지역에 비하여 매우 탁월한 조건을 갖추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5점 지역은 산림밀도가 높고 생태자연도 1등급 지역이 많으며, 백두대간 핵심구역도 일부 속해있어 풍력발전소 건립 시 환경적인 측면에서 건립허가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다섯째, 풍력발전 입지선정 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람자원인 만큼 점수별 지역의 바람자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바람자원을 평가하는데 가장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풍력밀도(W/㎡)를 이용하여 점수별 바람자원을 파악하였다. 연평균 풍력밀도를 분석해본 결과 1점 지역이 127.64W/㎡, 2점지역이 137.31W/㎡ 3점 지역이 243.27W/㎡, 4점 지역이 554.27W/㎡, 5점 지역이 546.46W/㎡로 나타났다. 대형풍력발전기가 400W/㎡이상인 곳에 세워지도록 권장된다는 사실로 비춰봤을 때 4점과 5점 지역에 세우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보인다. 점수별로 월별 평균 풍력밀도를 구하여 비교해본 결과 봄, 가을, 겨울에는 풍력밀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여름에는 확연히 낮아져 월별로 그 격차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여섯째, 풍력발전소 적지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와 기존 풍력발전단지의 위치를 비교해본 결과 강원도에 위치한 6개의 풍력발전 단지는 3점, 4점, 5점 지역에 위치하고 있었다. 태기산 풍력발전단지와 양양풍력발전 단지를 제외한 모든 풍력발전단지가 1000m 이상의 고지대에 위치하고 있었으며, 풍력발전단지 대부분이 능선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나 고지대 능선이 풍력발전을 하기에 적절한 장소임을 알 수 있었다. 기존 풍력발전단지의 위치가 5점 지역만이 아닌 3점, 4점 지역에 위치하는 것은 정부정책이나 회사의 정책에 따라 중요시하는 가치가 다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 입지분석을 위한 도구로 GIS를 이용함에 따라 풍력발전소 입지선정 시 고려해야할 요인들 중 공간데이터로 구축되기 어려운 요인들은 고려대상에서 제외되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또한 설문의 대상이 주로 풍력발전소 운영자이다 보니 가중치가 경제적인 측면에 치우치는 경향이 있었다. 풍력발전단지가 우리 모두의 자산인 국토를 이용하는 만큼 다양한 전문가들의 의견이 함께 고려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본 논문은 풍력발전소의 입지를 선정하는데 고려해야 할 다양한 요인들을 각각 따로 고려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AHP와 GIS를 이용하여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GIS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므로 도출된 지역의 분포를 바로 확인할 수 있으며 장소의 특징을 파악하기가 용이하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연구과정을 모델로 구축하여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는 가중치와 기준을 바로 적용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풍력발전소의 후보지를 개략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것으로 풍력발전소의 입지를 최종결정하기 위해서는 후보지에 대한 1년 이상의 사후조사가 필요하다. 이처럼 하나의 풍력발전소가 세워지기 위해서는 오랜 기간의 사전조사와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이것은 풍력발전기의 경우 한 번 세워지면 장소이동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처럼 풍력발전소의 경우 입지선정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풍력발전소 입지선정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뤄지고 있지 않다. 풍력발전기 증대라는 계획을 세우기에 앞서 우리나라 현실에 적합한 세부적인 기준들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국가적으로 풍력발전기를 세우기 위한 세부적인 기준들이 마련될 때 우리나라 풍력사업은 한 걸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 현무암 단섬유로 강화된 시멘트 복합재료의 물성

        전상희 檀國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천연 무기섬유인 현무암 섬유의 화학안정성을 평가하고 섬유장과 혼입량을 달리하여 시멘트 복합재료의 물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현무암섬유와 시멘트의 계면접착특성 변화에 따른 시멘트 복합재료의 물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무암 섬유는 알칼리 조건에서보다 산성조건에서 안정적인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시멘트의 수화환경과 유사한 알칼리 조건에서 중량유지율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멘트복합재료 제조시 현무암 단섬유의 분산상태는 최종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며, 섬유혼입률이 커질수록 강도의 보강 효과도 증가하였다. 하지만 인장강도의 경우에는 섬유장이 짧은 경우, 굽힘강도의 경우에는 섬유장이 긴 경우가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시멘트 복합재료에 인성을 부여하기 위해 현무암 섬유를 3-(trimethoxysilyl)- propylmethacrylate 와 chlorotriethoxysilane 으로 표면처리하여 혼입한 시멘트 복합재료는 표면처리 하지 않은 현무암 단섬유로 보강한 시멘트 복합재료보다 강도저하현상을 나타났지만 인장 및 굽힘 신도에서 매우 큰 효과를 나타냈다.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evaluate the chemical stability of basalt fiber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iber content and fiber length on the tensile and flexural properties of basalt chopped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Physical properties of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are also discussed by the modification of interface between basalt fiber and cement. Basalt fiber is more stable in acid conditions than in alkali conditions. Also basalt chopped fiber in saturated Ca(OH)2 solution, which is similar to the alkaline environment of cement hydration, shows very low weight loss and stability after 3 months of immersion. Physical properties of basalt chopped fiber reinforced cement composite is closely related to the fiber dispersion in the cement matrix. The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 of cement composites are increased by addition of basalt chopped fiber, the shorter the fiber length is, the higher the tensile strength shows. Although the tensile and flexural strength of cement composites are decreased by addition of silane treated basalt chopped fiber, tensile and flexural elongation of cement composites are dramatically increased by addition of silane treated basalt chopped fiber.

      • 교사를 위한 자연재해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사회과를 중심으로

        전상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실 수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재해교육을 위한 교수학습자료로써 학습자 중심이며, 지역적 특성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며, 일련의 재난관리 전 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모듈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교육모듈의 올바른 이해와 효과적인 활용을 위하여 교사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교수효능감, 인식에서의 변화와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교육모듈을 개발하기 위하여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재해교육 현황을 분석하고, 재해교육을 효과적으로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반지식을 도출하였다. 사회과에서 활용 가능한 교육모듈을 개발하기 위하여 사회과와 재해교육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사회과와의 연계성 분석은 2015개정 교육과정 속 재해교육과의 진․간접적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과 ‘재해교육에 적합한 학습방법’과 사회교과역량, 기능과의 연계성을 분석하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교육모듈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장 교사들의 재해교육 실태 및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설문조사를 통하여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교육모듈을 개발하였다. 교육모듈을 이해하고 모듈의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으며, 교육 프로그램에는 사회과 교사 34명이 참여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교사들의 변화는 교수효능감, 인식, 만족도 면에서 평가되었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사회과와 재해교육과의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5개정 사회과 교육과정과 재해교육과의 연계성을 중학교 ‘사회 1’과 고등학교 ‘통합사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교육과정에서 직접적으로 재해교육과 연계된 성취기준은 중학교 사회 1에서 3곳과 1곳이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사회과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직․간접적으로 재해교육이 가능한 부분을 분석한 결과 중 1의 경우에는 재해교육이 가능한 성취기준이 3곳에서 26곳으로 확대되었으며, 통합사회의 경우에는 1곳에서 19곳으로 확대되었다. 둘째, 현직 사회과 교사 76명을 대상으로 재해교육 실태와 재해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를 조사한 결과 사회과 교사들은 대부분 자신의 교과목과 자연재해 교육의 연결성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자연재해 교육의 중요성을 매우 잘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자연재해교육을 위해 검증된 수업자료나 프로그램이 부족한 것이 현장에서 자연재해 교육을 실시하는데 가장 큰 어려움이라고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들은 현재 재해교육을 주로 시청각 매체를 활용하는 방식으로 수업을 하고 있었으며, 수업자료는 많은 교사들이 개인적인 인터넷 검색을 통해 얻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교사교육에 대한 요구에서는 대부분의 교사들이 자연재해 관련 교사교육에 참여하고 싶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사교육 시간에 수업에서 적용 가능한 실제 교육 자료를 제공해 주었으면 좋겠다고 응답하였다. 자연재해교육 활성화를 위해 지원해줬으면 하는 사항에 대해서도 대부분의 교사가 ‘다양한 자연재해 관련 활동 및 교육 자료의 제공’을 선택함으로써 교사들이 재해교육과 관련하여 다양하고 검증된 수업자료를 학습하고 싶어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교실 수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로써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중심이며,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며,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며, 일련의 재난관리 전 과정을 모두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10개의 교육모듈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라 각 모듈은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하는 활동이 포함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생활하는 지역사회, 학교, 가정에 대하여 생각해볼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또한 재해연보 데이터나 한반도 단층도, 침수흔적도 등 실제 데이터를 바탕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며, 각각의 모듈이 초점을 두는 재난관리 단계가 있어 10개를 모두 학습 할 시 재난관리 전 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모듈에는 각 모듈이 적용되기에 적절한 수준에 따라 중학교와 고등학교로 구분되어 있는데, 중학교에 적용할 수 있는 모듈은 6개로 총 9차시이며, 고등학교는 중학교 6개와 고등학교에만 적용될 수 있는 모듈 4가지를 포함하여 총 10개 모듈에 대하여 14차시 내용이 적용가능하다. 각 교육모듈에는 교사들이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지도안, 학생 활동지, 교사도움자료가 포함되어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교육모듈을 교사들에게 전달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2차시로 구성이 되었는데 1차시에서는 재해교육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한 재해교육의 기반지식을 전달하고 이해시키고자 하였으며, 2차시에서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교육모듈 10가지에 대하여 설명하고 일부 모듈에 대해서는 학습자 입장에서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다섯째, 사회과 교사 34명에게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교수효능감, 인식에서의 변화와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교수효능감의 경우 교수효능감을 구성하는 개인교수효능감과 교수결과기대감에서 모두 교육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에 대한 평가는 객관식과 주관식으로 구성되었는데, 객관식 문항인 ‘재해교육의 효과적 구성에 대한 자신감’과 ‘재해교육과의 연관성’에 대한 분석 결과 두 항목 모두에서 교육효과가 증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식의 주관식 문항은 재해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이 학습할 수 있는 지식과 역량에 대해 묻고 있는데 교육 후에 답변이 구체적이고 다양해졌으며, 교육 자료가 담고자 했던 핵심내용들이 답변으로 제시되어 교육의 내용이 자료를 통해 잘 전달되어 재해교육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족도 조사 결과 대체로 모든 문항에 대해서 긍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만족도 조사의 주관식 답변을 통해서 교사들이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하고 유용한 교육모듈과 수업아이디어, 다양한 접근법 등을 알게 된 점에 크게 만족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교실 수준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자료를 학습자 중심이며, 지역적 특징을 반영하며, 실제 데이터를 활용하고, 재난관리 전 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교육모듈 형태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재해교육과 사회과 간의 통합 가능성을 검토 및 분석함으로써 사회과에서의 재해교육 가능성을 확장시키고 실현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으며, 재해와 관련하여 중등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전무한 상태에서 교사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함으로써 추후 재해교육과 관련한 교사 연구의 기초를 마련하였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tried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ule for natural hazard education that can be used at the classroom level. The educational module aimed at in this study is learner-centered, enables learning of regional characteristics, utilizes real data, and can learn the entire processes of disaster management. And for the correct understanding and effective use of the developed education module, an educational program for teachers was presented. In addi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s teaching efficacy, perception change, and satisfaction were evaluated. In order to develop the education module, first,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 hazard education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basic knowledge that was helpful in designing and executing hazard education effectively was derived. And in order to develop an educational module that can be used in social studies, the connection between social studies and natural hazard education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actual situation of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educational programs of teacher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The training module was developed by reflecting the results. An educational program was presented to understand the educational module an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module, and 34 social studie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educational program. Changes in the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evaluated in terms of teaching efficacy, perception, and satisfaction. The main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natural hazard education, the number of sub-units that can provide natural hazard education has greatly increased.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actual situation of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the demand for hazard education programs, most social studies teachers recognized that there was a lot of connection between their subjects and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very well aware of the importance of natural hazard education. However, most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 lack of verified class materials or programs for natural hazard education is the biggest difficulty in conducting natural hazard education. Third, in this study, 10 educational modules were developed that are learner-centered,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utilize real data, and learn all the series of disaster management processes. Accordingly, each module includes students' activities and was developed to help students think about the community, school, and home in which they live. In addition, it enables learning based on actual data such as disaster annual data, fault maps of the Korean Peninsula, and flooding traces, and there is a disaster management stage that each module focuses on. Accordingly, if all 10 education modules are studied, the entire process of disaster management can be learned. Fourth, an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to deliver the developed education module to teachers and to help them effectively use it in actual classes. In the first session, it was intended to convey the basic knowledge of natural hazard education to improve understanding of natural hazard education. In the second session, 10 educational module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explained, and some modules were configured so that learners could experience them. Fifth, changes in teaching efficacy, percep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of teachers participating in the educational program were evaluated. As a result, in the case of teaching efficac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n educational effect in both ‘personal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teaching outcome expectancy’. In the cognitive evaluation,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al effect was improved in both the ‘confidence in the effective composition of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with natural hazard education’. In addition,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he answers to questions about the knowledge and capabilities that learners can learn through natural hazard education became more specific and diverse. As a result of the satisfaction survey, generally positive evaluations were made on all item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developed an education module that is learner-centered, reflects regional characteristics, uses real data, and can learn the entire process of disaster management. In addition,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between natural hazard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the foundation was laid to expand the possibility of natural hazard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department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its realization. An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laid the foundation for teacher research related to hazard education.

      • 정서강도와 정서명료성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상희 충북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정서강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 과정에서 사고억제가 매개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그리고 정서강도와 정서명료성의 결합으로 인한 차이에 따라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들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 번째로 정서강도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정서강도와 긍정적 정서강도가 폭식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 부정적 정서강도와 긍정적 정서강도가 폭식행동에 미치는 경로에서 사고억제가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경로모형을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 두 번째로, 정서강도(부정적, 긍정적 정서강도)와 정서명료성의 고저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각 집단별로 변인 간 평균차이와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했다. 세 번째로, 성별에 따라 정서강도(부정적, 긍정적 정서강도), 정서명료성, 사고억제의 변인들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경기, 충남, 대전에 소재한 3개 고교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한 총 547명(남학생 249명, 여학생 298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부정적 정서강도는 폭식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로와 사고억제를 통한 매개 경로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정서강도는 폭식행동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경로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정서강도(부정적, 긍정적 정서 강도)와 정서명료성에 따라 구분된 집단들은 변인들 간 평균과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개 집단 중 정서강도는 높지만 정서명료성은 낮은 집단이 폭식행동과 사고억제에서 평균이 가장 높았다. 또한 사고억제가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유의미 했던 집단은 정서강도의 고, 저와는 상관없이 정서명료성이 높았던 두 집단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대상자들을 성별로 구분하여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남학생들의 경우 부정적 정서강도가 폭식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명료성은 폭식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학생들의 경우에는 긍정적 정서강도와 사고억제가 폭식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정서명료성은 폭식행동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부정적 정서강도 뿐만 아니라 긍정적 정서강도도 폭식행동의 예측요인으로 폭식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또한 정서강도와 정서명료성의 복합적 결합에 의한 차이와 성별의 차이가 폭식행동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서 논의 하였다. A growing empirical literature suggests that emotion regulation deficits have been linked to adolescent psychopathology. Especially it has been reported that emotion plays an important role on the binge eating. On the basis of the precedent researches about the emotion and binge eat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clarity on binge eating. Firstl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whether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al intensity influence directly on the binge eating and the mediation role of thought suppression exists in the pathway where emotional intensity influences on the binge eating. Second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groups which are classified by the levels of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clarity have different effects on binge eating. Lastly, this study explored how different the effects on binge eating are by sex. For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547 students (249 males, 298 females) in three Korean high schools. For the analyses of mediating effects, the method of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was used. The pass model that emotional intensity affects thought suppression, and then thought suppression affects binge eating was used. The results were following. Firstly, both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al intensity directly influenced on the binge eating. However, thought suppression mediated only between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and the binge eating. Secondly, the groups by emotional intensity and emotional clarity had different effects on the binge eating. The group of high emotional intensity and low emotional clarity had the highest mean in the binge eating and thought suppression. Also, the groups in which thought suppression affects on the binge eating meaningfully had high emotional clarity regardless of levels of emotional intensity. Lastly, sex had different roles on the binge eating. Negative emotional intensity positively effected on the binge eating in males, but in females, on the contrary, positive emotional intensity had an positive effect on the binge eating. Emotional clarity had an negative effect on the binge eating in both males and fema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t only negative but also positive emotional intensity influences on the binge eating as a predicting factor.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y the combination of emotional intensity and clarity may cause different effects on the binge eating. So future studies had better focus on investigating in detail how emotional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the binge eating.. Studying the association between emotion and the binge eating in both males and females and in different age groups may be helpful to facilitate the possible formation of better preventive and management strate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