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中世國語의 語尾 `-니'에 대한 硏究

        전병용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동명사어미 '-ㄴ'이 어미화되는 문법체계의 변화와 그 역사적 성격을 구명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고에서는 후기 중세국어의 접속어미 '-니', 종결어미 '-니' 그리고 선어말어미의 구성에 참여하는 '-니'를 대상으로 이들의 통시적 관련성과 이들의 형태 결합 제약, 통사적 제약, 의미 등을 체계적으로 기술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체계적 기술을 바탕으로 국어 통사 변화의 한 양상을 밝힐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문헌 자료에서 표면적으로 같은 형식으로 나타나는 '-ㄴ + 이' 명사구 구성과 이것의 통합형 어미를 구분하고, 이들의 통시적 관련성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점을 검토하였다. 즉 이들의 표면적인 형태상의 동일성 또는 형식상의 관련성과 형태소 및 단어 경계의 소멸, 의미 변화, 형태 결합 제약, 통사적 제약 현상, 그리고 '-ㄴ+이' 구성의 전체적인 체계의 통시적 변화 과정 등을 살펴봄으로써 그 통합형어미들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 통합형어미들의 형태 결합 제약, 통사적 제약과 기능, 의미 등을 살펴봄으로써 그 기원적인 통사적인 구성요소들의 기능과 의미의 흔적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은 인식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후기 중세국어의 '-ㄴ + 이' 명사구 구성을 제외하고 이것의 통합형어미들인 접속어미 '-니', 종결어미 '-니' 그리고 선어말어미 '-니-' 구성에 참여하는 '-니'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통시적 변화 과정을 밝히기 위하여 전기 중세국어 자료인 일련의 釋讀口訣과와 鄕歌, 麗末鮮初의 順讀口訣 등의 資料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그 이유는 본고의 논의가 공시적인 기술일 수도 있지만, 그 본질이 통시적인 변화 과정을 보이고 공시적으로 존재하는 각 통합형어미들의 통시적인 형태 구성과 형태·통합 제약, 통사적 제약, 통사 기능, 의미 기능 등을 체계적으로 기술하려 했기 때문이었다. 2장에서는 후기 중세국어의 어미 '-니'에 대한 형태론적 분석을 통하여 이 '-니'가 '-ㄴ(관형형어미) + 이(의존명사)'에서 기원했을 것이라는 추정을 하였다. 공시적으로 분석 가능성은 일정하지 않았다. 종결의 기능을 하는 어미 '-니'나 선어말어미 구성에 참여하는 '-니'의 경우에는 공시적으로도 분석 가능성이 있었지만, 접속어미의 '-니'는 대부분 더 이상 분석할 수 없었고, 재분석의 방법을 통하여서만 그 遺痕을 찾을 수 있었다. 3장에서는 '-니'의 기원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麗末鮮初의 구결자료에 나타난 '-니'의 표기법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니'가 '-ㄴ + 이'로 분석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의 '-ㄴ'은 동명사형어미에서 온 관형형어미로 보았고, '이'는 의존명사로 보았다. 또한 전기 중세국어의 자료인 高麗本 釋讀 口訣과 鄕歌 자료를 검토한 결과, 舊譯仁王經이 縣吐될 당시(12세기 중엽으로추정)에는 접속어미 '-니'가 발달되지 않았고 그 기능을 동명사형어미 '-ㄴ'이 대신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따라서 어미 '-니'의 형태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이들 어미가 모두 명사구 'ㄴ+이'에 기원을 두고 있다는 것이다. 4장에서는 2, 3장에서 밝힌 사실을 근거로 어미 '-니'의 의미론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특히 어미 '-니'의 표현의 매듭 기능을 중점적으로 살핌으로써 접속어미 '-니'와 종결어미 '-니'의 관련성도 검토하였다. 5장에서는 지금까지 각 장에서 밝힌 사실들을 오약하는 것으로 결론을 삼았다. 중세국어는 언어 방사의 중심지가 신라의 경주 지방에서 고려의 개경 지방으로 이동된 A.D.10세기 초엽에서 16세기 말엽까지의 언어를 말하는데, 이 시기의 언어는 다시 음운체계의 변화를중심으로 10세기 초엽부터 14세기 말엽까지의 언어를 前期 中世國語로, 15세기 초엽부터 16세기 말엽까지의 언어를 後期 中世國語로 세분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구분은 音韻史를 중심으로 한 것이었다. 어미 '-니(선어말어미, 접속어미)'와 관련된 기원적 동명사어미 '-ㄴ'의 표기 양상과 분포 및 기능을 검토하는 과정에서 어미 '-니'가 12세기 말엽에서 13세기 초엽 사이에 발달하기 시작하여 독립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어미로 자리잡아 갔으리라는 추정을 할 수 있었다. 본 논의를 통하여 文法史의 측면에서의 시대 구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study in this paper is to investgate the change in grammatical system which gerund ending '-n(ㄴ)' became connective ending and it's historical character. This paper describes their diacronic relation, their morph-syntactic constraint and semantic funtion, systematically, on the target of the NP constructure 'n(ㄴ:attributivizing ending) + i(이:bound-noun)', prefinal ending 'n(ㄴ:attributivizing ending) + i(이:bound-noun) + i(이:copula)', telic ending 'n(ㄴ:attributivizing ending) + i(이:bound-noun)' This study makes one aspect of the change in korean grammar system clear, on the basis of these systematic description. To distinguish 'n(ㄴ) + i(이)'NP constructure which appears to the same form superficially in philological materials frOm its syntactic-style endings and to clarify their diacronic reletion. I investigatec the syntactic style endings by looking into their superficial morphemic identity or formal reletionship, the extinction of morpheme and word-boundary, semantic change, morpho-syntactic constraint, syntatic contraint phenomenon and the diacronic change course of all systems in 'n(ㄴ) + i(이)' form. Besides, by looking into morphemic-syntactic contraint and semantic funtion of these syntactic-style endings, I clarified the function and semantic trace of its original syntactic constituent elements. On the basis of these recognition, this paper gave a target about 'n(ㄴ) + i(이)' NP constructure in the latter period middle Korean and its syntactic constructure 'n(ㄴ) + i(이)', prefinal ending 'n(ㄴ) + i(이)', connective ending 'n(ㄴ) + i(이) + i(이)', telicr ending 'n(ㄴ) + i(이)'. It also examined a set of ku-kyul(口訣), Hyan-ka(鄕歌) before 15th century as one of the borrowed letters materials(借字 資料). In the first place, in chapter 2, through the morphological analysis of ending 'n(ㄴ) + i(이)', I conclude that prefinal ending '-ni(니)-' is advanced to prefinal ending as a result of the combination of NP 'n(ㄴ) + i(이)'constructure and copula 'i(이)', connective ending is derived into various semantic function, grammaticalizing ending in the NP constructure and telic ending is advanced through the following steps : NP constructure > Noun-sentence telic ending > Verb-sentence telic ending, therfore i obtained the fact that ending 'ni(니)' is reanalyzed as a 'n(ㄴ) + i(이)'. In chapter 3 i investgated the origin of '-ni(니)'. Also investgated '-ni(니)' on the center of notation rule '-ni(니)' represented Ku-kyul(口訣) materials. For this after i investgated and the earler middle Korean materals(the Korean period Suk-tok-Ku-kyul(高麗本 釋讀口訣) and Hyang-ka(鄕歌)), i proved that connective ending(ni) had not developed in the time of putting To(吐) on the Ku-yeok-in-wang-kyeong(舊驛仁王經) In chapter 4, I investigated the semantic character of ending 'n(ㄴ) + i(이)'. Here, I aiso examined the semantic connection with telic ending '-ni(니)' and connective ending '-ni(니)' by putting emphasis on the completion function of illocution which connective ending 'n(ㄴ) + i(이)' has.

      • 近代國語의 接續語尾에 대한 硏究 : '-고, -며'와 '-어'를 중심으로

        전병용 단국대학교 대학원 198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현대국어를 위주로 한 종래의 연구경향에서 탈피하여 근대국어 (특히 18세기 국어)를 대상으로 접속어미 '-고'와 '-며' 그리고 '-어'에 대하여 統辭·意味論的 樣相을 考察하였다. 본고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접속어미의 형태론적 분류를 위하여 構造主義的 方法을 적용하였다. 따라서 표면상 複合形態를 보이는 접속어미들에 대해 構造的 樣相의 共通性과 意味上의 特殊性 與否를 형태소 확인 기준으로 삼으면서 一形態 一機能의 입장을 취했다. 둘째, '-고, -며'와 '-어'의 統合關係 및 統辭·意味論的分析을 위하여 變形生成方法과 話用論을 적용하였다. 그 구체적인 방법으로 이들 접속어미와 선행절의 서술어 제약, 선·후행절의 주어 일치 여부, 후행절의 서법 제약 등과 그밖의 제약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세째, 이상의 결과에서 얻어진 사실을 결론으로 삼은 바, 18세기 전기와 후기를 중심으로 한 문법현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yntactico-Semantic modes of the Conjuntive endings '-고', '-며', and '-어' in Early Modern Korean (centrered on 18th Century Korean), with the purpose of uncovering data ignored by previous studies which investigated only Contempory Korean. A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This study employs a Structuralist method for the morphological classification of conjunctive endings, in accordance with this, the theory of 1 function to 1 form is applied to Conjunctive endings which display a superficial compound form, setting up the presence/absence of commonness of Structural mode and Semantic idiosyncracy as the stipulatory criteria for morphemes. 2. This study employs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theory and Pragmatism theory for the Syntactical and Semantical analysis of '-고', '-며', and '-어' and also for the analysis of their Syntagmatic relations. The investigation focuses on amongst others, the relational constraints between the Conjunctive endings and the predicate of the preceding phrase, between the Conjunctive endings and following phrase's mood, between the Conjunctive endings and the presence/absence of agreement, between the subjects of the Connected phrases, as the substantial method of approach. 3. The study draws its conclusions from the facts uncovered by the two approaches mentioned above (1,2.) and substantially reveals certain grammatical changes occurs in the mid 18th Century.

      • 흡착제를 이용한 자동차용 예냉시스템의 구현방안에 관한 연구

        전병용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operation characteristics of pre-cooling system for the vehicles. The system was three modes which is refrigeration cycle, pre-cooling cycle and recovery cycle. The pre-cooling system applied an adsorption tank to make driving force of the refrigerant in the system during start up process which state the compressor does not working. The adsorption tank, filled with silica-gel, was located between evaporator and compressor. During the instantaneous process, the refrigerant in the high pressure side flows through the expansion valve and make cooling effect at the evaporator and adsorbed to the silica-gel in the adsorption tank. At that time, the pressure in the adsorption tank is increased slowly and reached the equilibrium pressure between low side and high side pressure in the refrigeration cycle. In the recovery cycle, hot water, extracted from radiator of the vehicle, supplied to the silica-gel tank and take out the refrigerant in the adsorption tank. The water is 70℃ and pump-down technique was applied to increase desorption rate. Type 1 of pre-cooling system has a receiver tank which is located outlet of condenser. Main purpose of receiver tank is store of refrigerants. So Refrigerants, stored in receiver tank, are used to pre-cooling system. During the pre-cooling cycle, outdoor temperature is 35℃, indoor temperature is 40℃ and air flow is 8㎠ /min. As a result of experimental, refrigerant in the receiver tank were not flowed. At the type 2 of instantaneous system, Receiver tank was removed because refrigerant, stored in the receiver tank, are not flowed according to pressure difference. During the refrigeration cycle outdoor conditions are 27℃ and air flow 48㎠ /min, indoor temperature is 35℃ and air flow is 8㎠ /min. At the pre-cooling cycle, outdoor temperature is 35℃, indoor temperature is 40℃ and air flow is 8㎠ /min. At first, experimental which is making a driving force was conducted. As a result silica-gel in the adsorption tank made a driving force. According to driving force, refrigerant was flowed in the pre-cooling system. During the pre-cooling cycle, pressure and temperature in the adsorption tank was increased because of adsorption of refrigerant. Commonly, the adsorption process cause exothermic reaction. To recovery of silica-gel, radiator simulator supplies adsorption tank with hot water of 75 temperature and temperature of adsorption tank was increased to 65℃. After then, pump down was conducted to collect of refrigerant which is desorption in the adsorption tank. To adsorption chiller supplies adsorption tank with cooling water of 4℃ and temperature of adsorption tank was decreased to 13℃. Because adsorption rate of low temperature is higher than high temperature. As a results, desorption process needs to hot water which is 75℃ and adsorption process needs to cooling water. This system has a serious problem that pump oil was flowed in adsorption tank and didn't return to system. So pressure of compressor is increased to 73kg/cm2. At the moment the compressor was broken. Conclusively system must be revision to protect the compressor. At the type 3 of pre-cooling system has resolved the problems which are find out at the advanced research. Because compressor doesn't working at the pre-cooling cycle, consumption of blower fan of evaporator was used to calculation of COP. An experimental was conducted to find a pre-cooling system with variation of temperature of adsorption tank. as a results, COP was 4.1 at the 13℃ and was 2.8 at the 23℃. COP of low temperature is more higher than high temperature. After experimental was conducted to find a pre-cooling cycle with a variation of pressure of evaporator. as a results, time of pre-cooling cycle was 13minutes, cooling capacity was 1.6kw and COP was 2.42 at the low pressure of evaporator. On the contrary to this, time of pre-cooling cycle was 7minutes, cooling capacity was 2.5kW and COP was 3.84. On the analyzed results, this state match up with general adsorption characteristics that adsorption rate is increased at the high pressure and low temperature.

      • 소비자 리뷰를 통한 이커머스 새벽배송 서비스 요인 분석 : 머신 러닝(분류)을 중심으로

        전병용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first early morning delivery service in E-commerce market in Korea was introduced in 2016 and has been growing rapidly for last six years. The early morning delivery market has grown in 150 times of its size than that of the beginning; it started with 10 billion won, but it reached 1.5 trillion won in 2020. Accordingly, a well-found research is significantly neede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early morning delivery market. The direction of the market should reflect the demand of the consumers, thus the analysis of the service factors is critical in understanding the demand.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for customer satisfaction by extracting key words from the user reviews of Google Play Store and Apple App Store and applying the machine learning (classification) to find the insight about the fast-growing early morning delivery service market. User reviews of Market Kurly application, which first introduced the early morning delivery service to the market, are the primary data this study develops upon. Collected data date from February 20, 2016 to April 16, 2021, and the total of 10,390 were collected. The data were first pre-processed for the Natural Language Processing and filtered into total 6,417 data. Then, the machine learning (logistic regression) was processed consequently. This paper focuses on and analyzes the service factors, which influence positively to the consumer experience on the early monring delivery service. A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dopted in order to classify words into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The influence of the words in positive relationship within the learning model is calculated and converted into scores, and top 10 words are used for the research model. As a result, the total score of the research model is 64.7, while other factors score as follow: ‘Product’ records 29 (44.8%) and ‘Application Use’ scores 14.8 (22.9%). Thus, it is apparent that the ‘Product’ factor remarks the higher satisfaction in service than ‘Application Use’ factor does. In addition, terms such as ‘Environment’ and ‘Eco-friendly’ are concentrated in the ‘’Packaging’ factor. This leads to the point which usage of sustainable containers and packaging do have optimistic influence on customers’ service experience. In near future, more precise study on the service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is feasible with continuously growing data volume. At las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th its insight on customer needs, provides a valuable indication to the management executives for improving the service quality of the early morning delivery. 국내 새벽배송시장이 처음 도입된 시기는 2016년으로 2021년 현재까지 6년 동안 급속도로 성장 중이다. 초창기 새벽배송 시장 규모는 100억이었지만, 2020년에는 1조 5000억으로 초기 대비 150배 성장하였다. 따라서 새벽배송시장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시장의 방향성은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반영해야 한다. 그러므로 소비자들이 중요시하는 서비스 요인 분석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급속도로 성장하는 새벽배송시장을 파악하기 위해, 구글, 애플 앱 스토어 리뷰 데이터를 기계학습(분류)을 활용하여 연구모형(애플리케이션 사용요인, 배송요인, 제품요인, 마케팅요인)을 기반으로 새벽배송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만족 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새벽배송을 처음 선보인 마켓컬리 리뷰 데이터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리뷰 데이터의 기간은 2016년 2월 20일부터 2021년 4월 16일까지이며, 총 10,390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자연어 처리를 위한 전처리 과정을 진행 후, 최종 6,417개의 데이터로 기계학습(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논문은 소비자 서비스 요인 중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초점을 맞춰 분석을 진행하였다. 단어의 양의 관계와 음의 관계를 분류하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 모델을 사용하였다. 학습 모델상 양의 관계의 단어의 영향도를 점수로 산출하였고, 상위 10개의 단어를 출력하여 연구모형에 적용하였다. 적용 결과 연구모형 총 점수는 64.7점이며 제품요인은 29(44.8%)점, 애플리케이션 사용요인은 14.8(22.9%)점으로 제품요인이 애플리케이션 사용요인보다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포장요인에서 ‘환경’, ‘친환경’ 단어가 군집되어 있다. 이를 보아 재활용 가능한 친환경 포장재 사용은 새벽배송 서비스 경험에 긍정적인 요소라고 판단된다. 향후 지속해서 증가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더 정확하게 고객이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서비스 요인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고객의 니즈 파악이 가능하므로 새벽배송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한 경영진의 의사결정 지표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

      • 이중에너지 X선 흡수법을 이용한 골밀도측정기의 성능평가 방법

        전병용 아주대학교 아주대학교 IT융합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객관성 있는 팬텀 2종을 선정하여 BMD (Bone Mineral Density)의 제조사별, 설치환경별 재현성과 정확도를 측정하고 통계적인 분석을 통해 DXA 골밀도측정기의 성능평가 시험항목을 제안한다.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노령인구도 증가하고 있다. 자연스럽게 골다공증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측정방법에도 다양한 기술이 활용된다. 일반적으로 DXA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QCT (Quantitative Computed Tomography), QUS (Quantitative Ultrasound) 방식들이 있으며, DXA 방식은 가장 널리 활용된다. 국내에서 DXA 방식을 활용한 골밀도측정기의 허가 시험은 해외와 거의 동일한 규격을 적용하여 진행한다. 다만, 일본과 한국에서는 성능평가 시험을 제시하도록 되어있다. 그 중 일본의 경우 JIS규격(Japanese Industrial Standards)을 제시하여 규격에 맞는 팬텀으로 성능시험을 진행하지만 국내의 경우 성능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정해져 있지 않아 제조/수입업체에서 제시한 시험 기준으로 시험을 진행한다. 이렇게 되면 제조사마다 기준이 다르게 되어 많은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본 논문을 통해 적용 가능한 시험항목을 제안한다. In this paper, two objective phantoms were selected to measure the reproducibility and accuracy of BMD (Bone Mineral Density) according to the manufacturer and installation environment,and proposed a performance evaluation test item of DXA by statistical analysis. As the aging population becomes more interested in osteoporosis, a variety of techniques are used in measurement methods. Generally, there are DXA, QCT, and QUS methods, and the DXA method is currently the most widely used. The approval test of bone densitometer using DXA method in Korea is carried out by applying almost the same standard as overseas. However, in Japan and South Korea, it is recommended that the performance tests be presented. In Japan, the JIS standard is presented and the performance test is conducted with the phantom conforming to the standard. However, since the guidelines for performance are not established in Korea, the test is being conducted with the test standard suggested by the manufacturer / importer. This causes many problems because the standards vary from the manufacturer.

      • CAI를 이용한 공업계 고등학교 전문 교과의 프로그램 설계 및 구현 방안에 관한 연구

        전병용 경희대학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혁명의 주역인 컴퓨터에 의해 빠른 속도로 정보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컴퓨터는 정치, 경제, 사회 및 문화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교육분야에도 사용 범위가 날로 확대되어 그 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우리 나라 교육부에서도 교육개혁의 일환으로 교단 선진화 사업을 추진하여 많은 학교에 컴퓨터를 비롯한 교단 선진화 장비를 보급하여 교수와 학습방법의 개선에 활용토록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교사와 학생들은 학교에서 뿐 아니라 가정에서도 컴퓨터를 사용하고는 있으나 실제 수업에서는 아직 컴퓨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학교교육에 있어서 중심이 되는 것은 바로 "무엇을(What) 가르칠 것인가"와 "어떻게(How) 가르칠 것인가"의 문제이다. 학교가 설립되고 운영되는 가장 기본적인 이유도 사회적인 요구와 도덕적인 명제에 따라 가르쳐야 할 내용들을 선정하고 이런 내용들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이며 학습자들이 좋아할 수 있도록 매력적이고 도덕적으로 안전하게 가르치는 것일 것이며 이에 대한 해답중의 하나가 바로 CAI일 것이다. 교사들은 CAI가 학습동기 유발이나 학습목표 성취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는 공감하고 있으나 컴퓨터 조작의 미숙함 등을 이유로 실제 CAI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활용은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특히 과목수가 많고 과목별 수요가 많지 않아 상업적인 프로그램의 개발도 기대하기 어려운 공업계 고등학교의 전문교과에 대한 CAI 프로그램은 각 교과를 담당하는 교사들이 자신의 컴퓨터 활용 수준에 따라 직접 개발하여 활용하는 것이 최선으로 생각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그 접근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며 이러한 분야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은 교육 현장의 점진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In a modern society transforming rapidly into informationalized one, the computer has magnified its ranges not only in political,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areas but also in educational area increasing its value. As one way of educational reform,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propelled the project modernizing classroom and provided computers to many schools for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most teachers and students are using the computer in their school and home but they do not use it effectively in actual classes. The issue of school education is "What we teach?" and "How we teach?". The basic reason of founding and running school is to select the contents of teaching by social demands and moral proposition, to arrange them into attractive curriculum to the students, and to teach in effective and safe skill. One solution to the issue can be the very Computer Aided Instruction(CAI). Although teachers hope that CAI can help students stimulate and accomplish their study and have the same feeling that it is necessary to design CAI program, actual designing or using is very inactive with their poor handling skill in computer. Especially there are so many technical subjects that demand for each subject is low in technical high school and it is very difficult to hope commercial CAI program. So the best way to make use of the CAI program in technical classes is that teachers design by themselves according to their own capability handling computer.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some ideas for approaching to that purpose, and ceaseless attention to this area will bring gradual progress on the educational spots.

      • 주부의 여가의식구조에 관한 실태조사

        전병용 단국대학교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Leis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modern life. Especially we has done a lot of research about Leisure according to changing of social circumstance. This study has a purpose of analyzing what differences is in idea of Leisure by age, living area, educational background and economic level of woman. To complete this purpose, the statistical methods are used. That is, to gather a data Random Sampling method and Questionnaires are used. Although 400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only 370 Questionnaires are analyzed by descriptive analysis, Frequency, t-test and ANOVA of SPSS/PC. Questionnaires are composed with 5 areas such as View of Leisure, Participation Motives for Leisure, Leisure types, level of satisfaction and Obstacle factors for Leisure. The results can be summerized as followes; 1. In the analysis for The View of Leisure, Women gave the most positive point about a Mentalic Value of Leisure. 2. In the analysis for Participation Motives of Leisure, Women gave the most positive point about Physcical Motive. 3. In the analysis for Types of Leisure, Family-Work types of Leisure are the most frequently happened. 4. In the analysis for level of satisfaction, There are not distinctive opinion whether they are satisfy or not. 5. In the analysis for Obstacle factors for Leisure, Psychological factor is affected for Women as a major obstacle factor. While Economic and Sociological factors are not affected for them any m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