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정서와 감사,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전리라 한세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55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정서와 감사, 삶의 의미에 미치는 영향 심리치료전공 전 리 라 지도교수 정 문 경 본 연구는 여성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하였을 때에 여성 독거노인의 정서와 감사, 삶의 의미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00시 소재의 지역복지관의 만 65세 이상의 여성 독거노인들 중에서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에 참여를 동의하는 18명으로, 실험집단 9명, 통제집단 9명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주 1회, 90분간, 총 12회기 처치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프로그램 효과성 검증 측정 도구로 한국 노인의 정서 척도와 한국판 감사성향 척도, 한국 노인의 삶의 의미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전 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적용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정서에 대한 효과 분석 결과,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긍정적 정서가 통제집단의 긍정적 정서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긍정정서는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상승하였고, 부정정서는 프로그램 실시 후 유의미하게 낮아져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긍정정서는 높이고, 부정정서는 낮추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감사에 대한 효과 분석 결과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감사는 프로그램 실시 이후 통제집단의 감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감사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여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감사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삶의 의미에 대한 효과 분석 결과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삶의 의미는 프로그램 실시 이후 통제집단의 삶의 의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삶의 의미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여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삶의 의미를 높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긍정심리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여성 독거노인의 긍정정서, 감사, 삶의 의미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여성 독거노인뿐만 아니라 노년의 여러 가지 정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반 노인들에게도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이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 연구 데이터 재이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인에 관한 연구

        전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학계에서는 한 연구에 이용된 데이터를 다른 연구에서도 재이용하고자 하는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연구 데이터를 학술 자원의 하나로서 저장하고 관리해야 할 필요 또한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연구 데이터의 공유 및 재이용은 활발하지 않다. 지금까지는 연구 데이터 공유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나 연구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다. 그러나 이는 실제 이용자의 연구 데이터 이용 과정에 대한 이해가 어려우며, 이용자의 연구 데이터 재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소 또한 추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관리 환경 중 하나인 데이터 리파지토리 내 연구 데이터의 재이용 활성화를 위해 이용자의 연구 데이터 재이용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인을 조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 분석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연구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데이터 리파지토리 이용자의 정보 추구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보 추구 탐색 과정의 확인은 이용자가 데이터 리파지토리를 어떻게 이용하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는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구성에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중요하다. 실험 결과 데이터 리파지토리 이용자 정보 추구 과정은 이용자가 카테고리 등을 통해 데이터 출력 범위를 줄이고, 관심이 있는 데이터의 이용 가치를 살펴보는 것부터 시작되었다. 이 후 이용자는 데이터의 간략 소개를 통해 해당 데이터가 관심 분야에 적합한지를 확인하였으며, 해당 데이터를 클릭해 상세 설명 페이지를 살펴보면서 해당 데이터가 자신의 관심 분야에 적합한지 재확인하고 해당 데이터가 신뢰성이 있는지 판단하고자 하였다. 데이터를 좀 더 자세하게 살펴보고자 하는 이용자들도 있었으나, 대부분은 해당 데이터를 바로 다운로드 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데이터 인용할 때 이용자는 데이터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것을 중요시 하였으며, 관심이 있는 데이터의 경우 해당 데이터의 업데이트 상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과 선행 연구를 통해 추출된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소는 연구 데이터 재이용 활성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찾기 위한 설문지를 구성하는데 사용하였다. 설문조사 또한 인문·사회 과학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 문항은‘연구 데이터 특성’, ‘시스템의 특성’, ‘웹 환경 특성’, ‘서비스 특성’에 속하는 데이터 리파지토리 환경 요인들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을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시 얻을 수 있는 이용자 혜택에 대한 인식도 측정할 수 있도록 설문문항을 구성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독립표본 t-검정 등과 같은 통계 기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에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은 ‘검색 품질’, ‘이용 가능 데이터’, ‘기존 연구’로 나타났다. 검색 품질의 경우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탐색할 수 있는 도구이기 때문에 동기 요인으로 도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이용 가능 데이터는 이용할 수 있는 충분한 데이터가 제공되는지, 기존 연구 정보는 데이터를 신뢰할 수 있는지, 활용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요인이기 때문에 동기 요인으로 도출된 것으로 판단된다. 데이터 리파지토리가 이용자의 불만족을 발생시키기 않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춰야 할 위생 요인으로 ‘데이터 속성’, ‘데이터 완전성’, ‘데이터 명성’, ‘세부 파일 정보’가 도출되었고, 이는 연구 데이터에 대한 기본적인 특성으로 데이터 리파지토리에서 제공되지 않으면 이용자의 불만족이 높아질 것으로 판단된다. 시스템 품질이나 인터페이스는 데이터 리파지토리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판단되며 연구 데이터 공유자의 권리 행사가 어려워지면 이용자의 불만족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출된 동기-위생 요인은 연구 데이터 재이용 경험이 있는 이용자들과 경험이 없는 이용자들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도출되어 데이터 리파지토리의 환경은 연구 데이터 재이용 경험에 따라 다르게 제공될 필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연구 데이터 재이용 연구 의향은 동기 요인이 위생 요인보다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며 이는 동기 요인의 본질이 이용자가 공유된 연구 데이터를 사용할 동기를 부여하는 요인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분석 결과를 종합했을 때 이용자의 불만족을 유발하는 위생 요인의 충족도 중요하지만 이용자의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동기 요인의 충족이 요구된다. 특히, 동기요인인 이용 가능 데이터 요인은 실험에서 이용자가 데이터 리파지토리에 접속 후 이용자가 원하는 연구 데이터가 포함되었는지를 인지하는 과정에서 중요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이용 가능 데이터 요인은 이용자가 검색이나 카테고리를 통한 검색 결과 확인 시 충족되어야 이용자의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활성화를 가져올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또 다른 동기 요인인 기존 연구 정보는 실험에서 이용자가 특정 연구 데이터를 선택하는데 있어 중요시되었으며, 이용자들은 기존 연구 정보를 통해 주로 해당 데이터의 신뢰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데이터의 상세 설명 페이지에서 데이터의 기존 연구 정보를 살펴볼 수 있어야 이용자의 공유된 연구 데이터 이용 활성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데이터 리파지토리의 환경 구성이 이용자의 연구 데이터 재이용 활성화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시사하며, 이용자의 데이터 리파지토리 내 정보 추구 행태와 추출된 동기-위생 요인의 절충을 통해 어떤 환경에서 어떤 요인의 강화가 필요한지에 대해 제안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Recognition of reusimg research data is getting increased which needs to be managed as one of science information resource. Nevertheless the recognition, sharing or reusing research data has a low utilization rate. Previous studies about sharing or reusing research data are mostly concentrated on vitalizing data sharing, and studying systemic aspects of data repository. However, it is hard to understand how users use data repository and extract environmental factors, by influencing the intention of reusing shared research data.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environmental factors of data repository, affecting the intention of reusing shared research data. This study was performed in two ways. In the qualitative analysis with experiment was performed with graduated students, who are the potential users of data repository.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t data repository have been explored and the practicability of this study has been discussed. Exploring users'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is important to optimize environment composition of data repository. As a result of experiment, at the starting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researchers reduced output of the data through specifying the category. As well as they examined the data whether it is useful or not. After that researchers scanned a brief description to confirm that the data is suited for the user's main interest field. When they clicked the data to browse detailed description, they confirmed the field of data again and determined reliability of data. In later steps, some researchers examined the data in more detail, but most of them wanted to download data immediately. To cite the data, researchers highly regarded the reliability of data. If researchers find interesting data, they wanted to keep informed of updat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and previous studies,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on vitalizing research data reuse. As a result,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data repository environment factors of 'research data', 'system', 'web environment', and 'service'. Recognition of users benefit when using shared research data was also collected by the surve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with graduated students of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techniques such as independent t-test. As a result of quantitative analysis, extracted motivation factors were 'the quality of retrieval system', 'the number of available data', and 'information of related research'. The quality of retrieval system was extracted because it is a typical navigation tool to search data efficiently. The number of available data is related to how many research data are provided, and information of related research is related to the reliability of data and potential for utilization in research. Hygiene factors were 'attribution of data', 'integrity of data', 'reputation of data', 'information of downloading files', 'the quality of system', 'interface', and 'privacy/security'. Researchers considered that the information of data should be concerned in data repository. The quality of system and interface are related to how researchers use data repository seamlessly. In case of privacy/security, even though researchers only use shared research data, they considered the right of sharers should be guaranteed. The motivation and hygiene factors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earchers who experienced reusing research data and who untried. Therefore, it is unnecessary to serve functions differently by the experience of the data reuse. Lastly, motivation factors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n intention to reuse shared research data than hygiene factors. Based on theses results, to vitalize the usage of shared research data, it is required to satisfy motivation factors. In particular, the number of available data are concerned when researchers access to data repository, and recognize the data repository containing data which they want. It means the number of available data should be satisfied when researchers retrieve information or specify a category. Another motivation factor, information of related research, was concerned when researchers identify specific data, and researchers ensure the reliability of research data. Therefore, information of related research should be inform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data.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plore the factors to vitalize the usage of shared research data in data repository with a compromise of information seeking behavior and extracted motivation and hygiene factors. It will hopefully contribute to improve reusage of researh data by reorganizing data repository environment.

      • 한국 중년의 대사증후군에 따른 혈액성상과 영양소섭취 상태 : 국민건강영양조사 2013(제 6기)

        전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23

        사회문화의 발달과 급격한 경제성장으로 생활양식의 자동화가 많이 이루어져 생활수준은 높아지고 편해 졌으나, 현대인들은 바쁜 생활로 인해 불규칙적인 생활 과 그에 따른 소극적인 신체활동이 영양섭취의 불균형을 지속적으로 반복하게 되면서 심혈관계와 연관성이 있는 여러 질환의 발병률이 함께 증가하고 있다.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른 만성질환의 발병률과 그에 따른 사망률이 함께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국가에서 실시하는 국민건강영양조사, 한국의학연구소의 검진센터 자료 등 에서 보유한 검진자료를 이용하여 NCEP-ATPIII 진단 기준을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의 발병률 비교와 외부적 환경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 위험요인을 분석하여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률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의 2013년 조사된 제 5기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설문지에 성실하게 답한 한국에 거주중인 30~50대의 중년남성과 여성을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표준화된 설문지와 생화학검사, 신체계측을 통하여 대상자들의 인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화학적 검사로 공복혈당,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총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으며 신체계측 검사로 복부둘레, 수축기 혈압, 이완기혈압 등을 측정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NCEP-ATP의 기준에 WHO아시아-복부비만 적용하여 남성 90cm이상 여성 80cm이상 일 때 대사증후군 진단기준을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24시간 회상법으로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영양소 섭취기준이 설정되어있는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섬유소, 칼슘, 인, 철, 나트륨,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니아신, 비타민C)이용하여 1인 1일 평균영양소섭취량을 산출하였으며 각 영양소권장량에 대한 섭취비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인영양섭취기준(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를 이용하여 권장량에 대한 섭취 비율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대사증후군 판단기준에 성실하게 응답한 30~50대 중년남성과 여성 3,049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사증후군 발병률을 봤을 때 중년 남성(43.5%), 중년 여성(56.5%)로 중년여성의 발병률이 더 높았으며 특히 연령대 30대(17.9%), 40대(23.9%), 50대(49.1%)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대사증후군의 발병률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는데 특히 50대에 급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력이 낮을수록 대사증후군의 발병률이 높았으며 주관적인 건강상태 여부를 물었을 때 대사증후군에서 건강이 “나쁘다”라고 스스로 인식하고 있었고 식품 속 영양함량을 나타내는 식품영양성분표시 사용여부를 확인하였을 때 정상인에 비해 대사증후군 에서 낮은 이용률을 보이고 있었다. 남성과 여성 에서 나이와 체중, 체질량지수 (BMI), 총 콜레스테롤, 공복혈당, 허리둘레,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혈압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영양소 섭취 비율의 권장량에 대한 조사 에서는 칼슘과 섬유소를 제외하고 모든 영양소는 기준치이상의 양을 섭취하고 있었지만 중년남성의 영양소 섭취에서 대사증후군과는 특별하게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중년여성 경우 섬유소, 칼슘, 인, 철, 티아민, 리보플라빈, 비타민 C 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율을 봤을 때 연령이 증가할수록 탄수화물의 섭취는 높아지나 단백질의 섭취와 지방의 섭취가 낮아져 전반적인 식사의 균형이 맞지 않는 것을 나타냈다. 혈액성상의 상관관계를 봤을 때 남성의 경우 복부둘레와 관련된 것으로 HDL-cholesterol, BMI와는 TG(triglycerides) HDL-cholesterol이 연관성이 있었으며 여성의 경우 복부둘레와 BMI, TG(triglycerides), 공복혈당이 연관성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대사증후군이란 질환은 오랜 기간에 걸쳐 발병되는 질환으로써 평소 식생활 관리와 생활습관이 매우 중요하다 여겨지지만 중년남성과 여성의 경우 부족한 운동습관과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비율이 적절히 분포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봤을 때 규칙적인 운동습관과 심혈관 질환과 연관성 있는 복부둘레 또한 함께 관리가 필요할 것이며 영양소가 골고루 분포된 식사가 이루어져야 되고 특히 섬유소와 칼슘의 섭취에 더 많은 관심을 가져야 될 것이다. 또한 적절한 시기에 적합한 식이섭취 및 생활요령과 관련된 예방지침서가 개발될 필요가 있고 그 예방지침서가 생활화 되어야 된다고 사료된다.

      •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논증과정 변화에 주는 영향

        전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이 영재 학생들의 논증과정 평가 결과와 증거 수준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광역시 소재 초등학교 거점 영재학급의 학생 20명을 실험집단으로, 비슷한 교육환경을 가진 광역시 소재 교육청 영재학급의 학생 20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총 10차시의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은 일반적인 영재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 사후 검사에 과학글쓰기 학습지를 각각 5장 사용하였다. 학생들이 학습지에 쓴 텍스트를 주장, 근거, 결론 등으로 나누어 과학적 논증과정 평가를 위한 루브릭과 증거 수준의 위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을 한 실험집단의 영재학생들의 논증과정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형식 범주보다는 내용, 태도 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향상을 보였다. 둘째, 증거 수준의 변화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알 수 없었으나, 실험 집단의 경우 사전․ 사후 검사 간의 차이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은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과학적 논증과정 수준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증거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과학영재교육에서 영재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과학적 논증을 경험할 수 있도록 논증과정의 형식적 측면, 내용적 측면, 태도적 측면을 고려한 다양한 형태의 탐구적 과학글쓰기 수업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올바른 방법으로 논증과정을 진행하도록 이끌어 나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들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level of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argument and the level of evidence used in argumentation after apply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teaching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mprised of 20 students at the 6th grade level, who were selected from the Center of Science Gifted Education' at Y elementary school, and the comparative group were comprised of 20 students at the 6th grade level, who were selected from the Center of Science Gifted Education at the S office of Education. The SWH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en times, while the traditional science teaching methods for gifted were applied to the comparative group. For both groups, the preliminary and the post test consisted each of 5 sheets. Data was analyzed using Yang et al's Rubrics in three parts(the form, content and attitude) and Perella's the level of evidence. As a result, the SWH had positive effects to promote the level of argument in the statistics. Particularly, the SWH showed more positive effects in content and attitude than in form. The SWH did not show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level of evidence used in argumentation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mparative groups.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higher level of evidence after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eaching was applied.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s that SWH programs are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skill of argumentation in form, content and attitude for the gifted elementary science students. Teacher's training programs that includes scientific argumentation, would also be of value.

      • 학교 조직풍토가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

        전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23

        본 연구는 학교 조직풍토가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교 조직풍토가 통합교과 교육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을 세가지 설정하고 가설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로 대구지역의 초등학교 교사 120명에게 노종희(1990)의 OCDQ-KOR 설문지를 수정한 것과 이경진(2020)의 통합교과 운영 설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분석하였다. 첫째, 교사들의 개인변인 및 학교 배경변인이 학교 조직풍토와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주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학교 배경변인 중 일부만이 학교 조직풍토에 영향을 줄 뿐 교사의 개인변인은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학교 조직풍토 중 교사의 행동이 교장의 행동에 비해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조직풍토의 개방성 지수는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를 통해 통합교과 교육과정 운영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동질성이 높은 교사들의 내적 의지를 높일 수 있는 헌신적 행동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교사간 서로 성장과 배움이 일어날 수 있는 학교 조직풍토를 만들어 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 기혼의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성의식에 관한 연구

        전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823

        사회적 흐름과 변화 속에서 80년대와 90년대에 성 개방이 급속하게 되면서 성의식의 변화를 느꼈던 사람들이 현재 결혼상태에 있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지금 현 세대는 80년대와 90년대의 성개방의 문화 속에서 그들의 성의식에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문화 속에서 살고 있는 지금 현 세대의 성의식은 성행동에 영향을 미치며, 그들의 생활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결혼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그 사회 속에서의 성문화는 그 사회에 살고 있는 장애인들의 성의식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많은 학자들이 성의식에 대한 연구를 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성의식에 어떠한 변수가 영향을 미쳤을 것인가에 대한 연구도 많았다 그러나 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았지만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았으며, 장애인과 비장애인에 대한 성의식의 비교·연구도 많지 않았다. 따라서 장애인과 비장애인들 중 결혼한 사람을 대상으로 그들의 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과 장애인과 비장애인들의 성의식에 대한 비교·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결혼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성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이의 결과에서 성의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면, 이들이 과연 장애가 그에 영향을 미쳤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그리하여 장애인의 성의식의 차이로 인해 나타나는 장애인의 성적 불만족에서 비롯되는 부부갈등을 최소화하는 방법과 조화로운 성생활을 영위하는 방법을 모색하여, 장애인부부의 성교육과 상담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문제로는 다음과 같다. 1.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성의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 본다. 2.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성의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면, 그 차이가 장애로 인한 차이인지를 알아본다. 이 논문의 연구방법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성의식에 관한 관련문헌 연구와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성의식과 그들 사이의 성의식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설문 (설문지) 조사 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설문조사는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성의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성의식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작성하여 성의식 척도 문항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조사한다. 조사방법은 질문지법 및 인터뷰를 병행하며, 자료연구의 분석방법은 SPSS 1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교차분석, t-분석, ANOVA 분석,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등을 사용하였다. 조사대상은 기혼의 장애인과 비장애인이었으며, 설문조사 기간을 통해 총 53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263부가 회수되어 이 중 260부가 분석되었다. 위의 설문결과를 분석해 보면, 장애인은 비장애인에 비해 성에 대해 덜 중요하게 느끼고 있었으며, 성에 대해 덜 개방적인이라고 할 수 있다. 장애인이 결혼생활에 있어서 성생활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더 적극적으로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성에 대한 기본적 것에 관한 교육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올바른 성의식과 성생활로 인한 더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에 대한 태도와 인식을 올바르게 하기 위해서는 성에 대한 정확한 성생활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성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장애인들의 올바른 성의식, 성생활, 성문화를 위해서는 몇 가지 과제의 해결이 요구된다. 첫째, 장애인의 생활에 활력을 불어넣고 결혼만족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성적욕구충족의 여러 가지 대안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장애인들이 성지식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이들을 위한 교육이 필요하므로 장애인 당사자들을 대상으로 한 성교육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셋째, 장애인들이 자아의 성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자신의 성에 대해 만족감을 갖을 수 있는 사회분위기의 조성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넷째, 장애인들에 대한 성교육도 장애유형별 성교육이 필요하며, 장애인들의 결혼과 성생활에 대한 교육도 요구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을 살펴보면, 우선 성의식과 관련된 변수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성의식에 관련된 변수 모두를 살펴보기 보다는 성에 대한 기본인식, 한국사회의 성문제 인식, 성에 대한 개방성 정도에만 한정하여 살펴보았다는 것에 한계가 있다. 그것도 몇 가지의 물음으로 살펴보았다는 것에 한계가 있다. 두 번째, 연구도구의 회수과정에서 설문질를 분배하고 회수하였기 때문에 연구자가 직접 실시했을 때 보다 성의식도에 관한 질문에 대한 응답의 신뢰도가 낮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세 번째, 연구의 표본수와 표본의 지역적 추출에서 한계가 있다. 즉 연구의 표본수가 260개로서 한계가 있으며, 또한 이 결과가 광주광역시에 한정된다는 라는 지역적 한계를 갖고 있음을 지적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들로 인하여 본 연구를 일반화 하는 데는 제한점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성의식 차이여부에 있어서 세부적인 변인에 대한 연구와 지속적 연구가 더 필요하다. 이를 토대로 장애인들이 올바른 성의식을 갖고 성생활을 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성상담 및 성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심리학적 서비스 지원이 요구된다. As sexual opening has been rapidly developed with social stream and change in 1980s and 1990s, most people who felt the change in consciousness of sex are married now. Sexual consciousness of the current generation living in such a sex culture also affects their sexual behaviors, their life and marriage life. Sex culture in society also influenced sexual consciousness of the disabled who live in the society. There were a lot of researches on what variables affected such a sexual consciousness with non-disabled persons, but there are little such researches with disabled persons and there are little researches comparing sexual consciousnes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Differences in sexual consciousnes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should be examined and whether such a difference, if any, is caused by disability factors or not should be investigat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differences in sexual consciousness between married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and if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ch a sexual consciousness as a result of research are found, it aims to investigate whether disability influenced their sexual consciousness. Research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 It examines whether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ual consciousness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2. It examines whether such a difference, if any, is caused by disability. This study consists of related literatures to sexual consciousnes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and positive research method using questionnaire to analyze difference in sexual consciousness between them. Subjects of questionnaire are total 260 married disabled and non-disabled persons. To analyze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disabled persons felt sex less important compared to non-disabled persons and are less open to sex. To make disabled persons understand and enjoy sex more actively in their marriage life, fundamental sex education is needed. In addition, they must be able to enjoy happier life with right consciousness and practice of sex. For having right attitude and recognition of sex, they must be able to accept sex culture based on information of right sexual life. Therefore, some tasks should be settled for right sexual consciousness, sexual life and sex culture of disabled persons. First, several alternatives of satisfying sexual desires should be sought to give their life vigor and increase their satisfaction with marriage. Second, sex education with disabled persons should be performed to make them know right knowledge and information of sex. Third, social atmosphere should be made for disabled persons to recognize sex rightly and get their sexual satisfaction. Fourth, sex education by types of disability is needed and education of their life and sexual life is also required.

      • 오래된 흔적의 회화적 지각방식에 대한 사진적 해석과 표현 연구

        전리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1823

        예술은 형상이나 물질의 단순한 재현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작가의 표현 의도에 의해서 새롭게 창조될 수 있는 것이다. 회화의 소재로서 선택된 대상은 화가의 의식과 심미적 취향에 따라 조명됨으로써 화가의 내면이 드러나는데, 여기에서 예술의 창조성이 자리 잡게 된다. 미술사에서 일상이 ‘잠재적 창조성을 지닌 예술 영역’으로 인정받게 된 것은 이미 오래전 일이다. 그 이전까지 역사나 종교, 문학에서만 소재를 빌려왔던 미술은 17세기의 네덜란드에 와서야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의 고단했지만 일상적인 삶의 풍경과 풍속을 고스란히 보여주기 시작하였다. 일상에 대한 성찰은 그 속에 깃든 삶의 흔적과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를 들 수 있다. 우리가 살아가는 도시는 이제 거부할 수 없는 일상적 환경으로써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네트워크로 구성된 하나의 복합체이다. 그리고 이 도시 속에는 오래된 세월을 통해 누적된 삶의 궤적이 일상의 흔적으로 남아 기억의 환기를 불러일으킨다. 본 연구는 연구자의 작업공간이 있는 전형적인 도시환경 속에서 소요하면서 오래된 일상의 흔적을 관찰하고 사유함으로써 경험과 기억을 통해 공간을 개인화시키고 회화적 이미지로 재창출하여 다시 그 공간에 설치하여 사진으로 기록을 남기고자 하였다. 이러한 공간의 재인식을 통해 보이는 것과 나타내고자 하는 것 사이에서 시간의 흔적이 개입하여 경험과 기억에 의해 표출되는 시공간을 의미화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경관을 단순히 묘사나 기록의 대상으로 삼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지각을 통해 시간의 흔적을 관찰하고 그 속에서 삶의 주체로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는 시공간에 대한 재인식인 동시에 현실과 비현실의 세계를 넘나드는 지각방식이다. 따라서 하나의 공간적 대상 속에서 시작되는 최초의 이미지는 일상적인 상황과 머릿속에 저장되어 있는 관념이나 기대와 결핍 등이 개입하여 본인의 감각을 거쳐 재구성된 이미지로 재구성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도시 공간 속 미적경험의 주체로서 무엇을 어떻게 볼 것이고, 그것이 어떻게 미적경험을 유발시키며 회화적 연관성으로 나아가는지를 모색하였다. 본 연구자는 우리의 생각과 추억을 상기시켜주는 장소로 대구시 중구 남산동의 남문시장과 북성로의 골목길을 연구의 범위로 정하고 작업하였다. 이 장소는 일상생활이 직접 경험되는 현장이고 개인과 공동체를 위한 정체성의 중요한 원천이며, 때로는 인간이 갖는 정서적 심리적 유대관계의 중심이 된다. 이처럼 본 연구자의 작업에 있어서 장소에 대한 지각은 주변 환경과의 상호 작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장소를 예술적 대상으로 제시하는데 있어서 회화적 연관성을 갖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연구자는 남문시장과 북성로의 오래된 도시공간 속에서 삶의 흔적이 묻어나는 낡은 벽을 주목하였다. 도시 건물의 낡은 벽은 인간의 모든 차원들, 삶의 방식과 수완 그리고 믿음과 갈망 등을 표현하며, 삶과 역사의 복합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벽에서 뜯겨져 나가고 남은 부스러기의 형태 속에서 발견된 회화적 이미지의 표현은 연구자의 내재된 감각과 맞물려져 얻은 작업이다. 자연스럽게 드러난 건물 벽의 흔적에서 조형적 요소를 발견하고, 이를 종이와 물감으로 표현하였다. 연구자는 이렇게 제작된 회화적 이미지를 가지고 도심 골목길을 찾아다니며 낡은 벽면 위에 덧대어 사진으로 기록하였다. 여기서 사진은 단순히 이미지가 아니고 작업행위에서 과정의 기록으로서 중요성을 갖는다. 본 논문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과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물로서의 본 연구자의 작업을 제시하였다. 연구자의 감정이 오랜 시간을 통해 자연스럽게 드러난 시간의 흔적들에 이입되면서 자명하게 삶의 일부에 속해 있던 사물들이 이전과는 다른 의미로 드러나거나 혹은 회화적 이미지를 발견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회화적 이미지는 일시적으로 설치되었다가 철수되거나 파괴되는 작업으로 장소와 관련하여 그 자체의 의미를 만들어가고 있는 ‘과정’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행위 과정은 인화지나 디지털 데이터로 기록됨으로써 영원성을 갖고 사진을 통하여 화면에 표현되면서 그 특성이 보다 더 강조되었다. Art can be created not just through simple representation of shapes or materials but also through an artist's expression intention towards objects. The inside of an artist is revealed when an object chosen as the source of a picture is interpreted according to the artist's perception or aesthetic taste. This is where creativity of art settles in. It was a long time ago that daily life was recognized as 'an art area with potential creativities' in the art history. However, since art had used to borrow its sources from history, religion, or literature, it was not until the 17th century in the Netherlands that art vividly showed scenes and customs of difficult but ordinary daily lives as they were. Reflection on the ordinary environment is significant since traces and meanings of life can be found there. The city where we live has become an ordinary environment and is a complex body consisting up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networks. Trajectories of life that have been formed for a long time bring back memories as traces of daily life. The study was to observe and think over old traces of people's daily lives by spending some time in a typical city environment where the author's workshop is located, to personalize the space through experiences and memories, to recreate it into pictorial images, and to record them by taking pictures after placing the images in the space. It was intended to provide meanings to time and space expressed through experiences and memories by letting traces of the times past intervene between what is seen and what is perceived through a new understanding of space. The study was a process of observing traces of the times past by perceiving objects and discovering people as the protagonists of life rather than looking at the city environment as the subject of descriptions or records. It was a new understanding of time and space as well as a perception method that went between the real and the surreal world. Therefore, initial images were reorganized into new ones through the perception of the author after they were interfered with by ordinary situations and perception, expectation, and deprivation in thoughts. This study sought a way to understand how and what the author sees to have aesthetic experiences in a city space, how it triggers aesthetic experiences, and how it has a pictorial connectivity. The author set the range of the study between NamMun market and BukSeong-ro alleys in Namsan-dong, Jung-gu, Daegu as the place that brings back thoughts and memories. This is the place, where people's daily lives can be directly experienced, the important source of individual and community identities, and also the center of people's emotional and psychological relationship. The perception of the place in the works of the author includes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the place have pictorial images, suggesting the place as the object of art. The author especially pays a keen attention to old walls, which possess traces of lives in the old city space of NamMun market and BukSeong-ro. The old walls represent all aspects of lives, know-hows, trusts and desires reflecting the complex life and history. The expression of pictorial images found in the form of debris torn off from the walls is the outcome created through the artistic sense of the author. The author found formative elements from the traces exposed on the building walls, expressed them on the paper with water paints, wandered around the alleys to place the images on the old walls and took pictures of them for the record. These photos are more than images since they are the record of the work procedure. This thesis provides the works of the author as the substantial explanations as well as the outcomes supporting them. When the author's emotion was empathized with traces of the times past accumulated over a long time, objects obviously belonging to daily life suggested totally different meanings or pictorial images. These images were temporarily placed, withdrawn or destroyed in the process of the works, emphasizing the process itself, related to the place. The process of the works was preserved for eternity as it was recorded by the photos or as digital data and its features were even more emphasized as it was illustrated by photos.

      • 都市 在家老人의 餘暇活用 方案에 관한 硏究

        전리 全南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1823

        Family structure characterize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modern society has been changed from large family to nuclear family. Medical development has prolonged human age and has been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the old aged of the whole population. These situations burden supporting the old aged to younger generations. Prestiges and rights of the old aged in the present have been decreased more than they had in the past. They feel more lonely psychologically causing by changing family patterns. The situations bring forth many social problems we have about the old aged. Therefore, the efficient welfare for the old-aged staying home in urban area require to be supported by the state or community. In the thesis, the writer is going to suggest the better policies on what they need and how the society support them, considering socio-cultural situations for the old aged in Korea. This study will emphasize on the leisure problems. That is, how they spend there leisure time? In chapter one, the writer suggested the goal of this study, the importance of old's problems and leisure problems of use. In chapter two, the writer treated the characters of the old-aged’s society, the welfare of the old aged, and leisure for the old aged. I scrutinized economic stability, mental and physical health, education, the use of leisure programs, social circumstances, and etc. In chapter three, the writer searched the problems about economic unstability, socio-environmental problems, indifferent attitude of the community society to the old staying home in urban area. In chapter four, the writer suggested the development of economic level, socio-environmental improvement, the enlargement of recreational parts, the support of program development, and the positive will and practice of the community society to improve better policies for the problems raised in the chapter three. In conclusion, I described what is the best ways about development of socio-environmental level and encouragement of filial thought for the old aged.

      • 웨딩서비스업체가 제공하는 웨딩 서비스 상품에 대한 고객 지각이 고객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웨딩 산업을 중심으로

        전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1823

        This Study intended to discuss the effects of customer perception about wedding service agencies’ wedding products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followings. First, customer perception about wedding service agencies’ wedding photo, wedding place, one-stop serv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 perception about wedding service agencies’ wedding dress, onestop service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Third, customer satisfaction for wedding product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intention. In conclusion, wedding service agencies’ wedding products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This shows that, customers are satisfied with the products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wedding service agencies. The better quality of wedding service, the more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recommend. Thus, expanding the scope of service or providing better product service can improve customer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