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동분배구조를 포함한 마이크로채널 냉각장치의 열 유동특성 향상에 관한 연구

        장호용 창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microchannel heat sink to which the manifold layer is added was studied. The recent increase in thermal density of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integrated circuits requires the high efficiency of electronic component cooling systems. Due to this need, a heat sink capable of cooling a high heat flux is required, and thus the invention of a microchannel heat sink (MCHS) has led to the invention. In this study, a manifold divider layer was added to a 500 μm deep microchannel heat sink to shorten the flow path by evenly distributing the working fluid (water). The overall dimension of the microchannel is 40×40×5 mm.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flow rate of the working fluid to 300 to 1100 mL/min at a high heat flow rate (12.5 to 43.75 W/cm2).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emperature was uniformized in a microchannel heat sink of 500 μm compared to the existing heat sink. Based on these experimental studies, it is expected that the optimized shape of the manifold-structured microchannel heat sink with high efficiency can be derived through additional experiments.

      • 토양세척을 이용한 비소오염토양 정화 및 폐세척액 처리에 관한 연구

        장호용 계명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토양세척방법을 이용하여 비소로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고 폐세척액 처리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토양에서 비소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산세척을 선택하였으며 Fe2(SO4)3와 Al2(SO4)3 등에 의한 응집법으로 폐세척액에서 비소제거를 위한 최적의 응집 조건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토양시료는 S사에서 의뢰 받은 광미를 이용하였다. 광미 내 비소의 총 농도를 알아보고자 10 N의 HCl을 사용하여 토양 내 비소를 추출하였으며, 가장 세척이 잘되는 세척액 선정을 위하여 HCl과 H3PO4를 이용하여 세척효율을 알아보았다. 응집조건을 알아보기 위하여 Fe2(SO4)3와 Al2(SO4)3를 이용하여 As(Ⅲ), As(Ⅴ)의 응집실험을 실시하였다. Fe2(SO4)3와 Al2(SO4)3의 농도는 각 0.0275, 0.055, 0.11, 0.275 M이였으며, 각각 비소 농도와 비교하여 As:Fe:Al는 2:1:1, 1:1:2, 1:2:2, 1:5:5의 비율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총 비소농도 분석결과 토양 중 총 비소의 농도는 평균 767.3 mg/kg으로 토양오염우려기준을 37배 초과하고, 토양오염대책기준을 1.3배 넘는 수치를 나타나 토양 중 비소의 오염이 매우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HCl과 H3PO4를 이용한 세척액 선정실험에서 HCl의 농도가 0.8 M 이상이 되자 거의 100 % 비소가 용출되었으며, H3PO4 1 M의 경우 85 % 만이 용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제를 이용한 As(III) 및 As(V)의 제거율 실험에서 응집제를 Fe2(SO4)3 2.2×10-3 M 이상 사용했을 때, pH 7∼9 사이에서 가장 As(III)의 제거율이 좋았으며, As(V) 역시 Fe2(SO4)3 2.2×10-3 M 이상 사용했을 때, pH 3∼6사이에서 가장 제거효율이 좋게 나타났다. 그 결과 pH 4.5이상에서 Fe2(SO4)3 2.2×10-3 M 이상 사용했을 때 가장 제거효율이 좋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the soil washing method in an attempt to remediate the soil contaminated by As, and to treat the wasted washing solution. A acid washing was employed to remove As from the soil. The optimal conditions of the coagulation process for treating the wasted washing solution were determined by using Fe2(SO4)3 and Al2(SO4)3. All the soil samples used in the study were taken from a site contaminated with As. As in the soil sample was separated by 10 N HCl and washing efficiency was tested by using HCl and H3PO4. Coagulation experiments for As(Ⅲ) and As(Ⅴ) were conducted by using Fe2(SO4)3 and Al2(SO4)3. The average value of total As concentration in the soil sample was 767.3 mg/kg. This number is as high as 37 times of the limit for Soil Contamination Warning Standards and 1.3 times of the limit of Soil Contamination Counter measure Standards. At higher than 0.8 M of HCl, As was completely dissolved. However, 85 % of As was removed even when 1 M of H3PO4 was used. For the case of As(Ⅲ), the optimal conditions to remove it were 2.2×10-3 M Fe2(SO4)3 and pH 7∼9. For As(Ⅴ), 2.2×10-3 M Fe2(SO4)3 and pH 3∼6 were the conditions which yielded the best rate of removal efficiency.

      • 원통형 개구면 결합 패치 안테나의 효과적 등가회로 모델에 관한 연구

        장호용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에서는 원통형 개구면 결합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CACMPA)의 간단하지만 효율적이고 정확한 등가회로 모델에 대한 일반적인 이론을 제시하였다. 오늘날 여러 상업적인 수치해석 소프트웨어들이 안테나의 해석과 설계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지만, 사각형 격자을 사용하는 이런 방식들은 원통형 구조의 모델링에 있어서는 많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 논문에서 제시된 이론은 평면형 안테나에서의 향상된 전송선 모델을 원통형 좌표로 변화하여 확장 적용하였다. 이때 주요 지배 방정식은 reciprocity theory, spectral-domain analysis, 그리고 확장해서 적용된 Cohn의 방법으로부터 얻었다. 이 이론으로부터 안테나의 설계 값을 얻은 후, 안테나의 입력 임피던스와 반사 손실을 계산했다. 또한 제안한 등가회로 모델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계산된 결과를 이전에 제시된 다른 GTML 방식의 모델과 비교하였다. 더불어 주파수 쉬프팅 알고리즘을 적용한 원통형 FDTD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비교하였으며 두 비교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 손자병법(孫子兵法)과 상담 :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장호용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손자병법(孫子兵法)과 상담: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장 호 용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병법』을 중심으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리 단서 를 파악하고 상담학적 접근을 통해 갈등관리의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탐구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1)『손자병법』을 중심으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 리 단서를 추출할 수 있는가? 2)『손자병법』에서 추출한 갈등관리 단서로 상담학 적 접근을 통해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고안할 수 있는가? 3)『손자병 법』을 통해 정리한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 이며 박성희(2008)의 ‘고전에서 상담 지식을 추출하기’ 방법을 활용하였다. 『손자병법』에서 나타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리 단서를 추출하였다. 『손자병법』에서 손자가 추구한 궁극적 목표는 ‘전승(全勝)’이다. 전승이란 온전 하게 승리한다는 뜻으로 손자는 아군과 적군이 모두 온전한 상태에서 아군이 승리 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보았다. 손자는 전승을 위해서 최소 비 용으로 최대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율성 추구’의 마음가짐을 강조하였고, 효율성 을 추구하기 위한 아군의 ‘주도권 장악’의 마음가짐을 강조하였다. 손자는 전쟁에 서 효율성을 추구하며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사전점검표의 역할인 오사칠계(五 事七計)를 활용하였다. ‘지피지기(知彼知己)’의 개념은 적군을 아는 지피와 아군을 아는 지기를 합한 것으로, 적군과 아군을 알고 준비하면 전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적이변(因敵而變)’의 개념은 적군의 상황에 따라서 아군이 적절하게 변화하면 전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자병법』에서 추출한 갈등관리의 목표와 원리를 상담학적으로 해석하여 구조 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는 ‘지피지기의 원리’를 바탕으로 내담자와 상담자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상담자는 ‘인적이변의 원리’를 바탕으로 내담자와의 변화에 집중하며 적절한 반응을 하기 위 해 노력해야 한다. ‘지피지기의 원리’의 하위 요소로는 ‘불태’, ‘지피’, ‘지기’로 구조화하였다. 연 구자가 지피지기의 원리를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과의 갈등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교 교사가 위태롭지 않아야 한다는 마음가짐(불태)을 시작으로 학생을 학생 의 시선에서 바라보며(지피) 교사 자신의 성격과 가치관 등을 파악하며 객관적으로 바라보는(지기) 모습을 도출하였다. ‘인적이변의 원리’의 하위 요소로는 ‘속전속결’, ‘임기응변’으로 구조화하였다. 연구자가 인적이변의 원리를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과의 갈등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교사와 학생 모두 지치지 않게 신속하게 처리하되 학생의 변화에 맞춰 적절하 게 끝내는 ‘속전속결’ 모습과 교사가 학생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임기응변’ 모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시대와 장소, 상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갈등관리’라는 시각에 근거 하여 『손자병법』을 상담학적으로 해석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손자병법』 으로 추출한 갈등관리의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 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한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손자병법, 갈등관리,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 교사-학생 갈등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