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이미의 기억

        장한나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Carolyn Coman의 작품으로 1996년 뉴베리 수상작이다.

      • 보드게임을 이용한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교우관계 증진에 미치는 영향

        장한나 전주교육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드게임을 이용한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교우관계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J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 학생 24명을 실험 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과 정서적, 환경적 상황이 유사하며 생활근거지가 공통인 동일 교 5학년 1개 학급인 학생 24명으로 정하였다. 실험집단에게 보드게임을 이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주 2회씩 5주 동안 총 10회기를 운영하였다. 1회기 당 운영 시간은 40분이었다. 본 연구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석재 외(2003)가 제작하고 이혜령(2013), 박현지(2014)가 사용한 의사소통능력 검사지와 김형태(1989)가 개발하고 김영진(2005)이 수정, 보완 했으며 최현정(2008), 신지영(2013), 이송이(2018)가 사용한 교우관계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IBM SPSS Statistics를 사용하여 변량분석(ANOVA)하였다. 양적 분석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매 회기마다의 학생 소감, 관찰 기록, 프로그램 종결 후 설문지 내용을 질적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드게임을 이용한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의사소통능력의 하위 영역인 ‘해석능력’, ‘역할수행능력’, ‘자기제시능력’, ‘목표설정능력’, ‘메시지전환능력’에서 모두 사전에 비하여 사후의 평균이 향상되었다. 둘째, 보드게임을 이용한 집단상담이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교우간계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비교하여 보면 교우관계의 하위 영역인 ‘친구의 유무와 신뢰도’, ‘친구간의 적응’, ‘친구와의 공동생활’에서 사전에 비하여 사후의 평균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교제의 지속성’의 경우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보드게임을 이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학급 안에서 진행한다면 보다 자연스럽고 풍부한 의사소통 상황을 학생들에게 제공하여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보드게임을 이용하여 친구들과 어울려보는 시간을 통해 교우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자녀의 성향에 따른 기독교 부모교육 : MBTI를 중심으로

        장한나 장로회신학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많은 부모들은 하나님께서 어린아이들 각자에게 변하지 않는 고유한 개성을 주셨다는 점을 인식하지 못한다. 만약 부모가 자녀를 맞지 않는 틀에 억지로 구겨 넣으려 한다면 우리는 자녀에게 이런 위험 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나는 네 현재 모습을 사랑하지 않는다. 내가 원하는 모습에 가까워질 때 나는 너를 사랑할 것이다.” 이 메시지는 자녀에게 그의 나머지 삶 속에서 부모에게 인정받기를 갈망하는 잠재적 문제를 갖게 할 수 있다. 찰스보이드, 김영회, 허흔 역, 『우리 아이는 왜 이럴까?』, 33쪽. 이것은 결국, 하나님께서 자녀에게 주신 고유한 성향, 특성을 인정하지 않는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우리 각자를 독특한 존재로 만드시고 고유의 삶을 살아가기를 원하신다. 독특한 자기 자신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하나님이 내게 주신 생의 목적을 찾아 살아가는 것을 의미하며 이 중요성을 인식하여 하나님이 원하시는 대로 자녀양육을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살펴보았다. 제 Ⅱ장을 통해 인간의 개별성과 독특성에 관한 이론적 근거를 위해 성경에서는 자녀교육의 기본 원리의 내용에 대해 어떻게 말씀하고 있는지 구약성서와 신약성서부분으로 나누어 전체적인 성서적 근거를 제시해 보았으며, 인간 성향의 독특성과 개별성에 관한 내용들에 대하여 심리학에서는 어떻게 정의를 내리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기질, 에니어그램, DISC를 중심으로 심리학적 근거로 제시해 보았다. 또한 기독교교육 학자들은 인간의 개별성과 독특성에 대해 어떤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으며, 어떻게 주장하고 있는지에 대해 프랑케와 슐라이어막허, 루이스 쉐릴을 중심으로 다루어보았으며, 이와 같은 교육사상을 지닌 다른 기독교교육자들의 이론 또한 다룸으로써 기독교 교육적 근거를 제시 하였다. 제 Ⅲ장을 통해 MBTI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MBTI가 무엇인지, 역사는 어떻게 되는지, 현재 어느 분야에서 어떤 방법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지, 각 성향별로 어떤 특성을 보이는지에 대한 전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제 Ⅳ장을 통해 부모가 자녀 성향의 독특성과 개별성을 인정해 주고, 개별성에 따라 효과적으로 양육하기 위해서 자신의 역할을 잘 감당하려면 성향에 따른 자녀양육의 자질과 능력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러한 자질과 능력을 갖추려면 부모 자신을 먼저 알아야 하기 때문에 부모의 성격유형에 대해 제시하였고, 더 나아가 부모의 성격 유형별로 보이는 특징과 자녀 양육법에 대해 다루어 보았다. 또한 자녀의 성향과 독특성을 인정하고 그에 따른 양육을 하는 일은 내 자녀를 이해하지 않고는 불가능한 일이기 때문에 자녀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하여 자녀의 성격유형에 따른 특성과 생활양식에 대해 다루었다. 제 Ⅴ장을 통해 크리스천 부모의 사명으로 자녀에게 신앙교육을 해야 하는데, 우리의 자녀 개개인이 경험하는 하나님은 각각의 고유하고 유일한 성격유형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자녀가 자신의 성향에 따라 즐겁게 신앙생활을 하고, 지혜로운 방법으로 영적 성장을 돕기 위해 각 유형별의 자녀들이 보이는 대체적인 신앙생활의 특성을 설명함으로 자녀가 신앙적인 부분에서 무엇을 요구하는지 파악해 보았으며, 이에 따라 자녀의 영적 성장을 돕는 방법 등에 대해 제시해 보았다. 제 Ⅵ장을 통해 이 연구를 바탕으로 자녀의 독특한 장점을 발견하고 북돋아줄 수 있도록 부모에게 도움이 되는 도구를 제공하기 위해, 부모들이 자녀를 양육하는 데 있어서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MBTI를 중심으로 하여 기독교교육과 접목시켜서 부모가 자신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자녀를 이해하고, 자녀의 개별화 된 양육 방법을 이해함으로 양육스타일을 조정하여 부모와 자녀사이의 갈등의 원인을 파악하고 해결방안을 찾는 데 목적을 둔 “자녀의 성격유형에 따른 양육을 위한 기독교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라는 실제적인 프로그램을 제안하여 보았다.

      •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활용한 엄마와 함께하는 유아홈발레의 효과

        장한나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활용한 엄마와 함께하는 유아 홈발레를 통해 유아의 성장 발달을 도모하고 홈발레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거주하는 5~7세 유아와 엄마를 모집하여 총 8팀(16명)을 선정하였고,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활용한 홈발레 프로그램을 12회 실시하여 사전·사후 개방형 질문지와 각 회차별 자기관찰일지를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는 홈발레 프로그램을 통해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인지적 발달이 향상되었다. 홈발레 프로그램은 유아의 성장 발달에 필요한 모든 발달요소가 골고루 내재 되었고, 매회 마다 새로운 동작을 배움으로써 유아의 재미와 흥미를 불어 일으킬 수 있었으며, 유아를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둘째, 홈발레 수업은 유아뿐만 아니라 엄마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엄마는 유아와 교감하며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었고, 발레 동작을 통해 신체를 스트레칭 할 수 있었고 운동효과가 있었다. 또한, 통증이 감소되었고, 평소 가지고 있었던 잘못된 자세 습관을 발레 동작을 통해 바른 자세로 교정하는 효과를 느낄 수 있었다. 셋째, 발레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었다. 발레는 타고난 재능이 있어야 할 수 있는 것, 어렵고 형식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온라인으로 이루어진 홈발레 프로그램을 통해 친근감을 느끼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레는 오프라인을 통해서만 배울 수 있다는 고정관념을 탈피할 수 있었다. 발레교육은 몸의 움직임을 통한 교육이기 때문에 대면으로만 배움이 가능하다고 느끼고 있었지만, 홈발레를 엄마가 직접 참여함으로써 유아의 교육적 효과를 경험하게 되어 발레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나타났다. 넷째, 엄마가 함께 참여함으로써 유아에 대한 세심한 관찰과 이해 그리고 지도방향성에 대하여 터득할 수 있었고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를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의 직접 관찰을 통해 아이에게 필요한 맞춤형 교육방법을 발견할 수 있고 여가생활을 함께 함으로써 유아와의 교감 및 유대관계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응답하였다. 따라서 비대면 온라인 유아홈발레는 유아와 학부모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으며 비대면 발레 수업에 대한 새로운 관심과 흥미가 부여됨으로써 홈발레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기대하는 것이 의미를 둘 수 있을 것이다.

      • 영어담화의 응집성과 일관성 분석

        장한나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cohesion and coherence and to investigat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m in English discours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s organized into five chapters. After the introduction in chapter 1, chapter 2 deals with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concept of the discourse and some previous approaches to discourse analysis. In chapter 3, types of cohesive devices and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are investigated. Cohesive devices are important signals that let the listener or reader determine the specific relation among sentences when composing a discourse. But formal links among sentences do not sufficiently support the premise that a stretch of language can be considered as discourse. Chapter 4 mainly looks into the relations of surface forms and underlying functions of discourse in terms of conversational principles and speech act theory. It is shown that going beyond the literal and formal meaning of what is said or written and considering the intention of the message sender are essential to making communication fully successful. Chapter 5 is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o identify the substance of the spoken and written language lying in the underlying function rather than the surface form. One of the important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is that both sociolinguistic and discourse competence are essential for a successful communication. Consequently, teaching and learning a language should be a process of cultivating the ability to handle discourse. In order for language learners to acquire discourse competence,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English language teaching should shift from teaching language usages to teaching language for practical use. In this connection, it is quite a welcome trend that in current English Education more and more emphasis is being given to improving communicative competence, This study stresses once again that learning a language should involve not only acquir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produce correct sentences; it should also include gaining knowledge on which sentences or parts of sentence are appropriate for a particular context or social surroundings.

      • 프란츠 리스트(Franz Liszt)의 편곡 작품 <노르마의 회상(Réminiscences de Norma, S.394)>의 연주법 고찰

        장한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19세기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인 리스트(Franz Liszt, 1811-1886)의 오페라 편곡 작품인 <노르마의 회상(Réminiscences de Norma, S.394)>을 원곡인 벨리니(Vincenzo Bellini, 1801-1835)의 오페라 <노르마(Norma)>와 비교한 논문으로, <노르마의 회상>에서 나타나는 리스트의 편곡기법에 따른 연주법에 대해 고찰하였다. 리스트가 활동 하던 19세기는 중산층도 누릴 수 있는 공공음악회가 일반화되었던 시기로, 리스트는 자신의 연주 활동을 위해 오페라 뿐만 아니라 다른 작곡가의 교향곡과 가곡 등을 편곡하였다. 이러한 곡들을 통해 리스트는 자신의 연주에서 비르투오소적인 면모와 뛰어난 테크닉을 드러낼 수 있었다. 리스트는 <노르마의 회상>을 원곡을 단순히 편곡하지 않고 패러프레이즈 기법을 사용하여 오페라의 다양한 아리아와 동기들을 차용하고 차용한 동기들을 유기적으로 연결시켰다. 본인이 직접 작곡한 경과구들을 통해 작곡가로서의 뛰어난 면모 또한 보여준 리스트는, 2시간이 넘는 원곡 오페라를 약 18분의 피아노 독주 작품으로 재창조하며 <노르마의 회상>을 통해 뛰어난 편곡 기법을 드러냈다. 본 논문에서는 오케스트라와 성악을 위한 오페라인 원곡<노르마의 회상>을 피아노 독주곡으로 재구성한 리스트의 뛰어난 편곡 기법을 우선 살펴보았다. 리스트는 당시 최고의 피아니스트로서 피아노가 가진 가능성과 장점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었다. 이런 배경을 바탕으로 원곡의 성악 부분과 오케스트라 부분을 피아노로 어떻게 편곡하여 연주 할 것 인지에 대한 연주법을 본 논문을 통해 고찰하였으며, 더불어 리스트 본인이 직접 작곡한 경과구의 연주법을 연구하였다. This thesis is based on the 19th century virtuoso pianist and composer F. Liszt (1811-1886)'s opera arrangement <Réminiscences de Norma, S.394>, the original composition of the opera <Norma> by V. Bellini (1801-1835). This paper examines the performance method according to Liszt's arrangement technique in <Réminiscences de Norma, S.394> compared to the opera <Norma>.  ᅠIn the 19th century, when Liszt was active, public concerts that could be enjoyed by the middle class were common. and Liszt was able to show virtuosity and excellent technique in his performance by arranging not only opera but also other composers' songs such as Symphonies and Songs for his own performance activities. ᅠLiszt borrowed various arias and motives of the opera and organically connected them by using a paraphrase technique instead of arranging <Réminiscences de Norma, S.394> as it is. He also composed passages and phrases that would make him stand out as a composer, and he recreates an opera over two hours long for a solo piano piece of about 18 minutes, displaying outstanding arranging techniques.  ᅠIn this paper, Liszt's excellent arrangement technique, which was created as a piano solo piece by reconstructing the original opera for orchestra and vocal music in <Réminiscences de Norma, S.394>,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best pianist at the time, who knew the possibilities and advantages of the instrument better than anyone else, considered how to play the vocal part and orchestra part of the original song arranged by Liszt on the piano, was studied. 

      • 결혼이주여성을 위한 로컬 거버넌스 구축에 관한 연구

        장한나 동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향후 그 영향력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결혼이주여성의 안정적인 사회정착을 위해 로컬 거버넌스를 통한 지원네트워크 구축을 해결방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을 가장 가까운 곳에서 지원해주고,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지역사회라고 판단하였고, 이러한 지역사회가 결혼이주여성을 위하여 어떻게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중요한 대안이라고 판단하였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결혼이주여성 인력을 어떻게 계발시키고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 HRD(Human Resources Development: 인적자원개발) 관점에서 대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몽골 반건조지에서 질소 시비가 백양나무 묘목의 생장 및 생리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장한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amount and type of nitrogen fertilizers for successful afforestation in the desertification area of Mongolia. 2-year-old Populus sibirica seedlings were planted in May, 2015 with applications of urea 5g (N1), 15g (N2), 30g (N3) and ammonium sulfate 33g (NS; same nitrogen amount with N2) to each seedling. Soil nitrogen concentration, measured 3 weeks after the fertilization, was higher in nitrogen treatments compared to the control, and increased as the amount of urea increased. Growth rate (%) of root collar diameter was significantly higher in NS (14.99) only. We speculated that the ammonia toxicity from urea restricted the plant growth in alkaline soils. The high growth rate in NS was due to the decline of soil pH by ammonium sulfate which decrease the ammonia toxicity. Growth rate of height did not differ among treatments. This might be related to the fact that trees focus their growth more on diameter than on height in arid environments. Leaf area and dry weight in nitrogen treatm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control (10.29cm2, 0.08g). SLA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reatments. Leaf area and SLA generally increased by nitrogen fertilization. However, the photosynthetic products may be allocated more to roots than to leaves. Chlorophyll conte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reatments in August, but not in June and July. The low chlorophyll contents in August may be affected by senescence of leaf. In June and July, net photosynthetic rate was higher in NS and N2 than in the control. Unlike the tendency of photosynthesis, transpiration rate (mmol m-2 s-1) was highest in N2 (2.79), but lower in NS (1.89) than in any other nitrogen treatments. The growth rate of root collar diameter significantly increased in NS only, because the water loss caused by transpiration might have limited the plant growth.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ammonium sulfate seemed to be more suitable fertilizer than urea for early growth of seedlings in the desertification area of Mongolia. However, as the effects of urea and ammonium sulfate on soils and seedlings were different, further studies would be necessary to determine optimal amount of ammonium sulfate. 본 연구는 몽골 사막화 지역에서 성공적인 조림을 위하여 적정 시비량 및 비료를 선정하고자 수행되었다. 2015년 5월, 2년생 백양나무 묘목을 식재하고 처리구별로 묘목 당 요소 5g (N1), 15g (N2), 30g (N3) 및 N2와 같은 질소량인 황산암모늄 33g (NS) 등을 시비하였다. 시비 후 3주가 경과한 시점의 토양 질소 농도는 대조구보다 질소 처리구에서 높았으며 시비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묘목의 근원경 생장률(%)은 NS 처리구에서만(14.99) 대조구(10.42)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알칼리 토양에서 질소 시비에 의하여 묘목의 생장을 제한하는 암모니아 독성이 발생할 수 있는데, 요소 시비로 발생한 암모니아 독성이 생장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반면, NS 처리구에서 생장이 증가한 것은 황산암모늄이 토양 pH를 낮춰 암모니아 독성이 감소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묘목의 수고 생장률은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는 건조한 환경에서 수목의 생장이 수고생장보다 직경생장에 집중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질소 시비에 따른 엽면적 및 건중량은 처리구 간 유의성을 보였으나, 대조구(10.29cm2, 0.08g)와 각 질소 처리구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SLA (Specific Leaf Area)는 처리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질소 시비는 엽면적 및 SLA을 증가시키나, 본 연구에서 시비는 식재 당년에 수행된 것으로 광합성 산물이 잎보다 활착을 위해 뿌리 등에 주로 분배되는 것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잎의 엽록소 함량은 6월과 7월에 처리구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8월에는 처리구 간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모든 처리구의 엽록소 함량은 6월과 7월에 비하여 8월에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잎의 노화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6월과 7월의 순광합성률은 N2와 NS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6월의 증산 속도는 순광합성률의 경향과 달리 N2 처리구에서만 2.79mmol m-2 s-1로 높게 나타났다. 건조지에서 증산은 수분 손실을 야기하여 생장을 제한하므로 NS 처리구에서만 생장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묘목의 초기 생육 증진을 위하여 몽골 사막화 지역에서 요소보다 황산암모늄을 시비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요소와 황산암모늄 시비가 토양 및 묘목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므로 몽골에서 황산암모늄의 적정 시비량 산정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 Skemp의 관계적 이해와 도구적 이해에 따른 중학교 2학년 수학교과서 분석

        장한나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은 수학을 한다는 그 자체보다는 수학을 배우면서 사회생활을 하거나 다른 학문을 하는데 유익하고, 논리적 사고력이나 창의성, 비판적 사고력을 키워줄 수 있는 과목으로 현재 우리나라는 수학교육을 강조하면서 학교에서 큰 비중을 두어 수업을 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나친 입시주의와 과중한 학습 부담으로 암기위주의 정적인 수업으로 학습의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학생들은 점점 더 수학을 어려워하고 싫어할 뿐만 아니라, 학생들이 수학의 가치를 느낄 것을 기대하는 것은 더욱 무리일 듯싶다. 본 연구자는 수학을 진정으로 이해하여 문제를 해결한다면 수학의 가치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학생이 수학을 어떻게 이해하는 것이 진정으로 이해하는 것인지에 대한 답을 얻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Richard R. Skemp가 구분한 두 가지의 이해, 즉 무엇을 해야 할지 그리고 왜 그런지를 모두 알고 있으면서 일반적인 수학적인 관계로부터 특수한 규칙이나 절차를 연역할 수 있는 상태를 말하는 관계적 이해와 이유는 모르는 채 암기한 규칙이나 절차를 연역할 수 있는 상태인 도구적 이해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에 따라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학습하게 되는 교과서에 관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되어 있는지 도구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되어 있는지 교과서의 구성을 살펴봄으로써 올바른 이해의 방법을 제시해보았고, 이에 따라 교사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학생들이 관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본 연구자는 이와 같은 연구들로 수학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교사들은 교육 현장에서 더 효과적인 교수법으로 학생들이 관계적으로 이해하여 수학을 혐오하지 않도록 학습하기를 바란다. Currently, Korean educational system emphasizes mathematics because, while being taught about it, students can improve their social life, understand different fields of studies, and develop their logical thinking, creativity, and critical thinking rather than just learning mathematics itself. Nevertheless, the burden of studies coupled with entrance exams for universities has made the students more passive, focusing more on memorizing than understanding, ultimately leading to the ineffectiveness of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It does not only lead students to have difficulties and eventually to dislike mathematics, but it also makes it more impossible to feel the value of mathematics. We think that, if students truly understand mathematics and solve mathematical problems, students can feel the value of mathematics better. We have been searching for the answer to the question “in what way should students understand mathematics to truly understand it.” In this study, we discuss Richard R. Skemp’s two types of understanding; relational understanding, which is a state that special rules or procedures can be deduced from general mathematical relationship while knowing what to understand and completely understanding it, and instrumental understanding, which is deduced by memorized rules or procedures without any understanding. In accordance with it, we look over textbook which takes an essential role to students, and investigate whether it is described for student to understand relationally or instrumentally and whether it suggests a proper way to understand. Through this study, we suggest the direction for teachers or instructors to help students to relationally understand mathemat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