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카르보란뭉치 확장반응과 카르보라닐 말단기 고리화반응의 메카니즘 연구

        장정아 동아대학교 1997 국내박사

        RANK : 247647

        다면체 붕소화합물은 붕소원자가 전자결핍성을 크게 띠는데도 만정한 골격을 이룬다. 카르보란 뭉치화합물이 작은 골격에서 큰 골격의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 될 때의 반응성과 메카니즘을 규명하고 카르보란 뭉치화합물이 말단 탄소원자에서 고리화 되는 반응은 붕소 동위원소를 이용한 중성자포획요법제 연구에 널리 쓰인다. 전자결핍성 붕소원자를 많이 갖고 있으면서도 다면체 골격을 안정하게 이루는 카르보란 뭉치화합물은 붕소중성자포획요법제의 합성방법에 유용하게 쓰인다. 본 연구에서는 카르보란 뭉치화합물이 작은 골격으로부터 큰 골격의 화합물로 구성될 때의 반응성과 메카니즘을 반응속도론적으로 알아보았다. 카르보란 뭉치화합물이 거대 골격으로 구성될 때의 반응메카니즘을 이용하여 붕소중성자포획요법제의 우수한 후보 물질을 합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Ortho-카르보란의 화학적인 안정성을 고려하여 ortho-카르보란의 탄소골격에 carboranyl acetic ester를 도입시키고 이들 중간체 화합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고리화반응 생성물을 합성한 후 이들의 반응성과 반응메카니즘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로부터 얻은 카르보란뭉치 확장반응과 카르보라닐 말단기의 고리화반응 메카니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데카보란과 alkynyl pyrimidine과의 붕소뭉치화합물의 확장반응은 closo-화합물과 nido-화합물이 생성되는 두가지 반응경로로 진행하였다. 데카보란에 alkynyl pyrimidine이 반응하여 뭉치화합물로 확장될 때 반응용매인 아세토니트릴은 친핵체로 붕소뭉치화합물의 골격에 친전자적 부가반응을 하여 염기 부가 생성물을 형성하였다. 2. 데카보란에 alkynyl pyrimidine이 직접 반응하기 전에 먼저 아세토니트릴이 염기로 작용하여 불안정한 중간체인 aracho-B_(10)H_(12)(CH_(3)CN)_(2)를 생성하였다. 3. Arachno-B_(10)H_(12)(CH_(3)CN)_(2)는 nido-B_(10)H_(12)(CH_(3)CN)가 된 후 pyrimidine과 반응하여 closo-B_(10)H_(10)CHCR을 생성하였다. 4. 데카보란에 반응하는 alkynyl pyrimidine의 반응성은 루이스 산으로 작용하는 데 카보란에 염기성이 강한 전자구름을 데카보란쪽으로 공급하는 크기에 비례하였다. 5. 붕소뭉치화합물인 ortho-카르보란에 대한 C-알릴화반응은 팔라듐 촉매를 사용하며 반응을 촉진시킬 수 있었다. C-치환 ortho-카르보란 골격에서 탄소원자는 친핵체로 작용하였고 Pd(dba)_(2)의 몰비율이 약 5 mol%일 때 가장 좋은 수득율을 보였다. 6. Ortho-카르보란 뭉치화합물의 C-알릴화반응은 팔라듐 촉매의 리간드에 크게 의존하였다. 7. Ortho-카르보란 뭉치화합물의 C-알릴화반응은 용매효과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 비극성 용매에서는 C-알릴화반응성이 크게 증가하였고 반면에 극성 용매에서는 반응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 8. Ortho-카르보란 뭉치화합물의 β-탄소원자에 카르벤 중간체가 반응하여 고리화 반응 생성물이 되는 과정은 carbenoid 중간체를 거쳐 반응이 진행되는 메카니즘을 보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탄소원자와 전자결핍성 붕소원자들로 구성된 카르보란 뭉치화합물의 새로운 합성법과 반응메카니즘을 규명할 수 있었다. Boron cluster compounds have many electron deficient sites in their molecules and they are structured with polyhedral skeleton. The procedure which the boron cluster compounds builds from a small polyhedral skeleton to a big polyhedral skeleton is in wide use for the synthesis of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This research is focused on the reactivity and reaction mechanism when the boron cluster compounds are formed from a small cluster to a big cluster. Through this research we suggest a useful synthetic procedure for a good canditate compounds to use the boron neutron capture therapy. The ortho-carboranes are very stable chemicals in this research, Carboranyl acetir ester is easily introduced to the ortho-carborane skeleton and then many kind of types of cyclization of carboranyl cluster can be occurred. The reactivity and reaction mechanism for cyclization of carborane cluster have been discussed. The mechanisms for boron cluster expansion reaction and cyclization at carboranyl edge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oron cluster expansion reaction which occurs through the reaction of decaborane with alkynyl pyrimidine is in accord with two path ways of forming closo-compounds and nido-compounds. Acetonitrile accelerates decaborane to react with a role of good nucleophile. 2. A very unstable intermediate of arachno-B_(10)H_(12)(CH_(3)CN)_(2) is formed before decabornae reacts with alkynyl pyrimidine by acceleration of acetonitrile. 3. The final product, closo-B_(10)H_(10)CHCR is produced through the reaction of nido-B_(10)H_(12)(CH_(3)CN) with allfynyl pyrimidine. The arachno-B_(10)H_(13)(CH_(3)CN)_(2) is resulted in as a kind of neat product, nido-B_(10)H_(12)(CH_(3)CN) through the reaction of decaborane with acetonitrile. 4. Alkynyl pyrimidine acts as a strong base and decaborane plays an important Lewis acid in this reaction series, The electron cloud is moved from alkynyl pyrimidine to decaborane. The order of magnitude of the reactivity of various alkynyl pyrimidines is in proportion to the ability of electron cloud supply to decaborane. 5. The C-allylation to ortho-carborane is accelerated by palladium catalysts. C-atoms filled into C-substituted ortho-carborane act as a nucleophile. A good yield shows when the 5 mol% of Pd(dba)_(2) is treated as a catalyst. 6. C-allylation is depended on the ligand of palladium catalyst which assists the reaction of C-allylation to ortho-carborane. 7. The solvent effect shows high in the case of C-allylation to ortho-carborane cluster. In non-polar solvent systems C-allylation is increased highly, in contrast to the C-allylation is decreased in polar solvent systems. 8. The reaction mechanism for the cyclization at carboranyl edge is suggested that the β-carbon sited in ortho-carborane cluster reacts to carbene intermediate firstly, and in the second step the carbenoid intermediate is produced, then the final product is generated at the end.

      • 게임이론을 이용한 동적 VMS 교통정보수준 결정 모델의 개발

        장정아 亞洲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ITS의 도입으로 도로전광표지(VMS) 시스템은 주행중 시간종속적인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제공매체 중 하나가 되었다. 일반적으로 교통정보의 수집, 가공에 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나, ATIS 시스템의 효과를 고려한 정보제공전략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동적 VMS 교통정보의 수준을 결정하기 위한 게임이론의 모형화를 다루고 있다. 운전자의 경로전환행태를 고려한 정보제공전략에 대한 모델을 구성하였다. 여기서 VMS의 위치에 따른 운전자의 경로 전환율은 고정이 되었다고 가정하였다. 연구의 핵심으로 VMS 정보제공수준결정을 위해 운전자와 운영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모형화시켰다. 이러한 모형의 주요 결과는 각 주기별 VMS 메시지내용과 표출시간이다. 이때 게임의 모형은 2인 비협조적 비영합게임으로 가정하였다. 모형에서는 "운전자의 실제통행시간과 UE최적통행시간의 차이"와 "운영자의 실제통행시간과 SO최적통행시간의 차이"로 보상행렬의 원소를 구성하여 게임이론에 적용시켰다. 이러한 모형의 해로서 VMS 정보수혜자인 운전자들과 VMS 정보 제공자인 운영자의 합리적인 의사결정과정의 내쉬 균형점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모형의 해법으로 Convex- Combination 알고리즘과 선형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모델은 서울시 남산 1호터널 네트워크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를 다음과 같다. 네트워크 총 통행시간의 경우 모델의 최적운영의 해는 시스템운영의 결과보다는 크지만 사용자 최적의 총통행시간보다는 작은 해를 산출하였다. 또한 운전자의 경로별 평균통행시간의 경우, 모델의 최적운영의 해는 사용자최적의 해의 패턴을 따르는 형태이고, 시스템 최적의 해보다는 통행시간이 작게 나타나는 해가 도출되었다. 이것은 운전자와 운영자의 의사결정과정에서 내쉬 균형이라는 타협안을 교통정보제공시스템의 운영목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모델은 VMS 운영에 있어 분산화, 자동화된 운영방안으로 지향하고 있으며, 향후 VMS및 기타 교통정보제공매체의 운영에 있어 운영목적으로 적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되어진다. With the advent of ITS, Variable Message Sign (VMS) system is considered as one of important provision units which can provide en-route time-dependent traffic information to drivers. Although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about traffic information collection and processing strategies, there exist not many researches that deal with information control strategies via VMS. This paper presents a game theoretic approach to determining the level of dynamic Variable Message Sign (VMS) traffic information. The aim is to develop a model for traffic information control strategies with considering drivers' route diversion behavior. Here, the rate of diversion based on various VMS location is assumed to be a known variable. As the core of the research, the proposed model consists of a formulation about decision-making process between VMS operator and driver groups to properly provide information for a certain control strategy. Here, the key concerns regarding VMS operation are to determine levels of VMS traffic information composed of VMS message display time and contents. This game theoretic model is regarded as a two-player, non-cooperative, non-zero sum game. In this model, the payoff matrix units are represented as the "differences between drivers' actual travel time and that from User Equilibrium (UE) solution" and "differences between operator' actual travel time and that from System Optimum (SO) solution". Based on this kind of payoff matrix and framework, the game theoretic model and its proposed algorithmic procedure have been constructed with the convex-combination program and LP program, respectively. The solution presents a Nash Equilibrium between drivers' and operator's decision-making process, which minimizes both route's average travel time and total system travel time. The model has been applied to the 1st Namsan tunnel in Seoul. The followings are the major results: Focusing on the total travel timeof the network, the solutionof the model is in-between SO and UE cases' total travel time, which means it is more than that from SO solution, but is less than that from UE solution. Regarding driver's average travel time' the solution of the model is better than that from UE solution, although it is a bit worse than that from SO solution. These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model can be applied to real situation to derive a new traffic information provision and traffic control strategies. Finally, the model is based on the decentralized, automatic and dynamic VMS control strategies, and the extension of this kind of modeling framework and solution out of it could also be appliedto large-scale traffic networks and other traffic information sources. Some limitations of this thesis and future research agenda are also presented.

      • 미국 피아노 앙상블 교재 레퍼토리의 난이도 분석 및 교수법적 제안

        장정아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self-centered thinking has grown stronger in the present age when the human life expects to be 100 years old, the importance of health, character, and personality as well as social belonging are valued, and the demand for piano ensemble education with multiple people is increasing. Also, piano ensemble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are required to help students learn the piano at a lower or higher age and meet it at a more diverse age group. However, it is a reality that the piano ensemble education is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demand for piano ensemble education due to the consistent education method and the absence of teaching materials of various genres and difficultie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current status of overseas ensemble education and published ensemble textbooks are investigated, and among the piano ensemble textbooks published in the US, textbooks that can be purchased in Korea are selected and analyzed and through the leveling of each repertoire, a pedagogical proposal was proposed for teachers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iano ensemble, and its purpose was to revitalize the piano ensemble education. This paper did a literature study on the history of piano ensembles following four times, and investigated the status of ensembles published abroad, which were named 'Piano Ensemble', 'Piano Duet' and 'Piano Duo'. This paper selected 156 of the 557 musics currently available for purchase among the 61 textbooks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analyzed the repertoire according to the levelings of Jane Magrath and Cameron McGraw, and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extbook.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piano ensemble, it was divided into five categories: melody unity, dynamic balance, various sound experiences, pedals, and breathing, and classified repertoires for each item, and teaching methods for teachers were suggested, according to 5 items. In order to play uniformly in the expression of the melody, it is necessary to listen carefully to the opponent's sound, which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hearing, and since various dynamics appear simultaneously, sound control between parts can enhance the musical expression. In addition, there are a number of works containing various pedaling, including legato pedals, tap pedals, half pedals and full pedals, which can improve pedalling techniques, and various ensemble performance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unication with partners, bonds, and social relationships with others. Published in the U.S., the textbook contains a number of works of various genres, including the author's creative songs, film music, Christmas music, jazz, animation, pop & rock, and classical music, as well as teaching materials in the form of an 8 Hands ensemble played by four performers. These various ensemble teaching materials will learn the joy of playing that you could not feel in solo performance, and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musical improvement and technique development. This will show the possibility of another development of piano education, and it is hoped that the study of this paper will promote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methods and ensembles. 인간의 수명이 100세를 바라보는 현시대에 자기중심적인 사고가 강해지면서 건강, 인성 및 인품과 더불어 사회적 소속감을 중요시 여기고 있어 피아노 교육에서도 여러 명이 함께하는 피아노 앙상블 교육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피아노를 배우는 연령이 낮아지거나, 아니면 반대로 높아져 보다 다양한 연령대로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피아노 앙상블 교육방법과 교재들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일관적인 교육 방식과 다양한 장르 및 난이도의 앙상블교재 부재로 피아노 앙상블 교육의 수요에 비해 많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해외의 앙상블 교육의 현황과 출간되어 있는 앙상블교재를 조사하고, 미국에서 출간된 피아노 앙상블 교재들 중 국내에서도 구매 가능한 교재를 선정하여 분석한 후 각 레퍼토리의 레벨링을 통해 피아노 앙상블 교육적 특징에 따른 교사를 위한 교수법적 제안을 제시하였으며 피아노 앙상블 교육의 활성화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으로는, 4개의 시대에 따른 피아노 앙상블 역사에 관하여 문헌 연구를 하였으며, ‘피아노 앙상블’,‘피아노 듀엣’,‘피아노 듀오’의 이름을 가진 해외에서 출간된 앙상블교재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미국에서 출간한 교재 중 현재 구매가 가능한 교재 61권, 557곡 중 156곡을 선정하여 제인 마그러(Jane Magrath)와 카머론 맥그로(Cameron McGraw)의 레벨링에 따라 레퍼토리를 분석하였으며, 각 교재의 특징을 서술하였다. 또한, 피아노 앙상블의 교육적 특징에 따라 멜로디의 통일성, 다이나믹의 균형, 다양한 음향의 체험, 페달, 호흡의 5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각 항목에 맞는 레퍼토리를 분류하였으며, 5가지의 항목에 따라 교사를 위한 교수법적 제안을 제시하였다. 멜로디의 표현에 있어 통일성 있게 연주하려면 상대방의 소리를 주의 깊게 들어야 하므로 청음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으며, 다양한 다이나믹이 동시다발적으로 등장하기 때문에 파트 간의 음향 조절은 음악적 표현을 강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레가토 페달, 탭 페달, 하프 페달, 풀 페달 등 다양한 페달링을 수록한 작품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어 페달을 밟는 페달링의 테크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앙상블 연주는 파트너와의 소통, 유대감과 더불어 타인과의 사회적 관계를 맺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미국에서 출간된 교재에서는 현재 피아노 교육자로 활동하고 있는 저자의 창작곡, 영화음악, 크리스마스음악, 재즈, 애니메이션(Animation), 팝앤락(Pop&Rock), 클래식 원곡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이 다수 수록되어 있었으며, 4명의 연주자가 연주하는 에잇 핸즈(8 Hands) 앙상블 형태의 교재도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다양한 앙상블교재는 독주 연주에서 느낄 수 없었던 연주의 즐거움을 알게 될 것이며, 학습자의 음악적 향상과 테크닉 발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써 피아노 교육의 또 다른 발전 가능성을 보여주게 되며, 이에 따라 본 논문의 연구로 다양한 교수 방안과 앙상블교재의 개발이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 탁아기관 아동의 놀이성에 관한 연구

        장정아 전남대학교 199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탁아기관에 다니는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인구학적 변인(성과 연령), 형제관련변인(형제유무, 출생순위, 형제의 성) 및 탁아기관의 물리적 환경 변인(놀이공간의 크기, 구성 및 영역, 놀이감)에 따른 아동의 놀이성(Playfulness)올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광주직할시 소재 어린이집 107개소 251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10명의 보육교사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Rogers와 Meeks, Impra, Frary(1991)의 연구에서 개발한 어린이 행동 척도(Child Behaviors Inventory:CBI)를 수정하여 만든 설문지로 아동의 놀이성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대상의 일반적 성격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인구학적 변인(성, 연령), 형제관련변인(형제유무, 출생순위, 형제의 성), 탁아기관의 물리적 환경 변인(실내공간 놀이감, 실외공간 놀이감, 놀이감의 총계, 실내공간 구성정도, 실내공간 구성방식, 1인당 실내면적, 교사 1인당 유아수)에 따른 아동의 놀이성의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아동의 놀이성에 대하여 각 변수들이 미치는 독립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몇가지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갈다. 첫째, 아동의 놀이성 수준은 59.5점으로써 비교적 높은편으로 나타났는데 성에 따라 아동의 놀이생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연령에 따라서는 아동의 놀이성이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형제관련변인중 형제유무에 따라서만 아동의 놀이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고 그외 다른 변인인 출생순위, 형제의 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물리적 환경변인은 놀이감의 수, 실내공간 구성방식, 1인당 실내면적, 교사1인당 유아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실내공간 구성정도에 따른 차이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요약해보면, 연령, 형제유무, 실내공간 구성정도에 따라 아동의 놀이성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아동의 놀이성에 대한 독립변인의 설명력은 11%로 나타났다. 연령이 많을수록, 외동이보다는 형제아가, 실내공간이 잘 구성되어 있을수록 아동의 놀이성은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아동의 인구학적 변인, 형제관련변인 및 탁아기관의 물리적 환경 중에서 연령, 형제유무와 실내공간 구성정도에 의해서만 아동의 놀이성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는 아동의 놀이성에 보다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고 생각되는 아동 자신의 특성,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교사의 태도, 아동의 친구관계와 놀이성과의 관계등을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며 아동의 놀이성이 아동의 적응 및 인지적 발달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layfulness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sex, age), sibling related variables(sibling number, birth order, sex of siblig), Physical environment variables in the Day Care program(size, structure, and dimension of play space, play materials) and the relations of theses variables to playfulness. The 10 teachers of 251 children responsed to qestionnaires on children's playfulness. The children were all enrolled in the 10 Day Care program in Kwang-Ju. The inventory was the revised Child Behaviors Inventory(CBI) developed by Rogers, Meeks, Impra & Frary(1991). The Frequency, percentage, GLM analysis of variance and mutiple GLM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Mean score of children's playfulness were 59.5. Children's playfulness were not found significantiy different according to sex of child. But children's playfulness were found significantiy different according to age of child. 2. Children's playfulness were found significantiy different according to the existence of sibling. But children's playfulness were not found significantiy different according to birth order, sex of sibling. 3. children's playfulness were found significantiy different according to structure degree of indoor play space.

      • 윤흥길 단편 소설 연구 : 비판적 리얼리즘의 성과를 중심으로

        장정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윤흥길은 1970년대 활동한 대표적 작가로서 당대의 사회, 정치적 문제들을 비판적 리얼리즘 문학으로 형상화해 냈으며 그 기법 또한 세련된 작가이다. 하지만 그에 대한 연구들은 분단문학 혹은 이산문학이라는 소재적 분류 범주 속에서 작품의 성과와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거나 작가의식에 초점을 맞추어 윤흥길의 소설이 집단과 개인이 충돌하는 상황에서 소시민적 인물들이 보여주는 이중성이나 지식인의 허위의식에 대한 패배주의적 대응의 한계를 이야기하고 있을 뿐, 윤흥길의 소설이 이룩한 비판적 리얼리즘적 성취에 대해서는 제대로 규명해 내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리얼리즘의 정확한 개념규정을 통해 윤흥길의 소설적 위치가 ‘왜 비판적 리얼리즘인가’을 규명해 내고 그 성과를 밝히는데 초점을 두어서 자본주의 관계의 물적 전형성과 권력의 전형성, 그가 창조한 자본주의 사회의 전형적 인물 유형을 살펴보았다. 리얼리즘 언어예술에 있어서 현실과 사회적인 실천에 상응하는 전망의 문제는 단지 세계관의 문제만이 아니다. 넓은 의미로서의 작가의 세계관에 의해 규정되는 이러저러한 묘사는 그만큼 플롯과 작품의 예술적 구조의 원칙들을 규정하며 묘사의 대상과 방법의 선택에 영향을 끼친다. 흔히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역사적 발전의 전단계로 이야기 되는 비판적 리얼리즘은 뚜렷한 사회주의적 지향성을 지니지는 않지만, 자본주의사회가 지녔던 부정적 측면을 사실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그 생활 형태에 대한 비판적 형상화를 통해 독자들에게 현실의 모순을 직면하게 한다. 오늘날과 마찬가지로 70년대도 그 주체의 세계관이나 문학관이 지닌 계급적 한계로 인해 생산대중으로부터 제기되는 문학 및 예술 전반에 걸친 막대한 요구를 완벽하게 수용해 낼 수는 없었다. 윤흥길의 작품도 마찬가지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이 작품이 70년대 산물임을 명확히 하고 그 한계 내에서 어느 만큼의 성취를 이루었는가를 밝히는 일이다. 그렇게 함으로써 오늘날의 우리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인식하게 된다. 윤흥길 작품은 1970년대 사회의 총체적인 모순을 드러내는 소설적 장치로서의 사회적 전형의 형상화 기능을 충실히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정치적 억압의 전형적 형상화와 산업자본주의 모순을 날카롭게 비판하는 것을 주요 과업으로 삼으면서 인물들의 성격을 당대 환경과의 유기적 통일 속에서 전형화하여 묘사의 생동성과 집중성을 이루어 내었다. 그리고 모순에 찬 현실과 당대 사회 권력에 의해 소외된 삶을 통해 자본주의사회가 지녔던 부정적 측면을 비판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독자들에게 현실의 모순을 직면하게 한다. 이에 독자는 근대 자본주의 모순에 대해 비판적 의문을 가지고 바람직한 사회는 어떠해야 하는지 역사의 발전방향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 피리미딘 및 디페닐아민 반응중간체의 광화학적 반응성 연구

        장정아 東亞大學校 199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Intermediates which are produced by the reaction of decaborane with alkynyl pyrimidine and photocyclization of diphenylamine have been measured by photochemical method. The results of the photochemical reaction are shown as follows: 1. Decaborane is reacted with alkynyl pyrimidine and acetonitrile molecule competitively and simultaneously. Two products of closo-B_(10)H_(10)CHR (R=pyrimidine ring) and nido-[MeN^(+)H_(2)]B_(10)H_(12)C]- were given from the competitive reactions. 2. The rate constants of alkynyl pyrimidine to react with decaborane showed as the order of magnitude as ACMP > AMPP > DMPP > MPPD. This is caused that the electron density of alkynyl pyrimidine is delocalized from pyrimidine ring to alkynyl pyrimidine acts as good Lewis base to decaborane to acts as Lewis acid. 3. The photocyclization of N-methyldiphenylamine gave a kind of intermediate of dehydrocarbazole as a triplet amine. A portion of dehydrocarbazole reversed to the amine by ring-opening reaction and the most portion of dehydrocarbazole were given carbazole by photocyclization. 4. A reaction energy is scarcely affected solvent effect since dehydrocarbazole intermediate is stabilized in the transition state. But the state of intersystem crossing is accelerated at polar solvent such as decalin, which because activation parameters of E_(a) and ΔH≠ are shown minimum values in polar solvent. 5. The formation of carbazole is promoted by the photocyclization in aerated solution more than anaerated solution from the analysis of kinetic results.

      • 한국 청소년 상어고기 섭취와 혈중 수은농도의 관련성

        장정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실시된 제3기 국민환경보건기초조사(Korean National Environmental Health Survey, KoNEHS)에 참여한 만 12세에서 17세 청소년 913명을 대상으로 상어고기 섭취와 혈중 수은농도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청소년 중 상어고기 섭취자는 46명(5.1%)이었고, 12-14세에서 10명(2.5%), 15-17세에서 36명(7.2%)이었다. 혈중 수은농도는 상어고기 섭취군에서 보정전 기하평균과 범위가 2.01(1.75-2.32) ㎍/L였고, 보정후 기하평균과 범위가 1.99(1.73-2.28) ㎍/L였으며, 상어고기 비섭취군에서 보정전 기하평균과 범위가 1.34(1.27-1.41) ㎍/L였고, 보정후 기하평균과 범위는 1.30(1.23-1.38) ㎍/L로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p<0.001). 상어고기 섭취 시기가 최근일수록, 상어고기를 선호할수록, 섭취빈도가 증가할수록 혈중 수은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trend<0.05). 상어고기 비섭취군에서는 어류 섭취 빈도가 증가할수록 혈중 수은농도가 유의하게 증가한 반면, 상어고기 섭취군에서는 어류와 패류의 섭취 빈도가 혈중 수은농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중 수은농도 5.8 ㎍/L, 5.0 ㎍/L, 3.5 ㎍/L에 대해 기여위험도는 각각 96.6%, 92.7%, 80.4%였고, 인구집단 기여위험도는 각각 59.0%, 39.3%, 17.3%였다. 초과 위험자 수는 2015년에서 2017년 사이 한국의 평균 만12-17세 청소년 인구수인 3,217,506명 중 각각 25,740명, 38,610명, 102,960명이었다. 상어고기 섭취가 청소년의 혈중 수은농도를 증가시키는 중요한 위험요인으로 평가되었으므로 청소년들이 과도하게 상어고기를 섭취하지 않도록 적절한 대책이 필요할 것이다.

      • 『윤리형이상학 정초』를 통한 선의지 개념 연구

        장정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칸트는 도덕성의 본질을 도덕법칙의 보편성과 필연성이라고 보고 있다. 여기서 칸트가 말하는 보편성은 도덕법칙의 형식적 측면을 가리키고, 이에 칸트는 ‘선의지’를 도덕법칙의 형식적 근거로 제시한다. 결국 칸트의 도덕법칙은 선의지를 떠나서는 존재 할 수 없는 것이 되고, 선의지는 칸트의 도덕철학을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개념이 된다. 칸트 선의지 개념은 『윤리형이상학 정초』를 통해 잘 드러난다. 『윤리형이상학 정초』전반에서 도덕성의 최상 원리로 선의지를 제시하며 칸트 도덕법칙에 대한 논의가 전개된다. 그래서 이 논문은 칸트의 『윤리형이상학 정초』를 중심 텍스트로 하여 선의지 개념을 고찰해 보기로 한다. 그러나 칸트는 선의지 개념을 설명함에 있어 어떤 명확한 정의를 내려주지는 않고, 다음과 같은 명제만을 제시한다. “이 세계에서 또는 도대체가 세계 밖에서까지라도 아무런 제한 없이 선하다고 생각될 수 있을 것은 오로지 선의지뿐이다.” 여기서 칸트가 말하고자 하는 선의지의 개념은 무제한적으로 선한 것이다. 그리고 칸트는 일반적으로 선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을 선의지와 구분함으로써 선의지의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해준다. 다시 말해 일반적으로 선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선함의 가치를 가지기 위해서는 선의지를 토대로 해야 함을 보임으로써 선의지만이 무제한적으로 선함을 보여준다. 그리고 주관적인 인간의 의지가 어떻게 보편성을 본질로 하는 선한 의지가 되는지를 의지의 규정근거를 통해서 설명했다. 의지는 질료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의지의 질료적인 측면이란 의지가 실재적으로 추구하는 객관적인 목적을 말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것은 각 개인들의 욕구만큼 다양할 수 있고, 그래서 보편성을 가지지 못한다. 그런데 의지의 형식적 측면은 법칙의 보편성을 말하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이 의지의 형식적측면을 따름으로써 주관적인 인간의 의지가 선의지가 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의지의 개념만으로 선의지의 구체적 의미를 이해하기는 어렵다. 그래서 이 논문에서는 실천이성, 의지의 자율성, 의무를 통해 선의지의 의미를 더욱 명확하게 밝히려고 한다. 먼저 실천이성은 인간이 보편법칙을 알고 추상적인 보편법칙으로부터 구체적인 행위를 이끌어 내도록 하는 능력이다. 그리고 의지의 자율성은 스스로 보편법칙을 입법 하는 능력인 동시에 인간의 본성이기도 하다. 따라서 인간을 자유롭게 두기만 한다면 의지가 그 내면의 속성을 따라 자연스럽게 선을 향해 나아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칸트는 인간이 외적 자극이나 경향성에 쉽게 영향을 받는 존재라는 것을 감안하여 선의지 개념을 제시 한다. 완전한 의지를 가진 신적 존재는 의지 자체가 도덕법칙과 일치할 것이기 때문에 선의지가 의무로 주어질 필요가 없다. 하지만 인간은 경향성에 쉽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선의지가 의무로 주어져야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칸트의 선의지 개념을 명확히 하고, 이 선의지 개념이 어떻게 인간을 도덕적 존재로 만들어 주는 지를 설명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