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은정의 그림 일기

        장은정 부산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63

        Abstract : p. 27-28

      • 배드민턴 소비 행동에 관한 연구 : 동호인을 중심으로

        장은정 군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goods purchases and consumer behaviors of badminton club members. In order to analyz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consume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ajor evaluation criteria of consumers when evaluating goods. Secondly, the study conducted a comparison of preferences for local and overseas goods. Third, the study conducted a comparative evaluation of consumer perception on local and overseas goods. Consequently, in order to analyze such consumer behaviors, the objective was placed on quantitativel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which consumers desire.

      • 6,6-dibenzyl-14-crown-4를 이용한 리튬 이온 선택성 고체 접촉 전극에 관한 연구

        장은정 建國大學校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Lithium ion selective solid contact electrodes (SCE) based on 6,6-dibenzyl -14-crown-4 were prepared. Pyrrole and aniline have been used as monomer in conducting polymers. Solid contact electrode based on the use of conducting polymer which poly(pyrrole) was doped with LiCl exhibited a linear Nernstian-response slope ranging from 1×10^-5 to 1×10^-1 M of Li^+ . Solid contact electrodes with scan rate of 100 mV/s and scan number of 40 exhibited a good Nernstian response. Solid contact electrode based on the use of conducting polymer which poly(aniline) was doped with H2SO4 exhibited a linear Nernstian-response slope ranging from 1×10^-5 to 1×10^-1 M of Li^+ . Solid contact electrodes with scan rate of 100 mV/s and scan number of 30 exhibited a good Nernstian-response. PVC cocktail solutions contained 1% 6,6-dibenzyl -14-crown-4(DB14C4), 28% polyvinylchloride(PVC), 70% plasticizer, 0.64% potassium tetrakis(4-chlorophenyl) borate(KTpClPB). To know the effects of plasticizer type, the kinds of plasticizer type were exchanged. Low polarity solvents such as Bis(1-butylpentyl) adipate (BBPA) (ε=4) gave better lithium response than high polarity solvents such as o-nitrophenyl octyl ether (o-NPOE) (ε=24) and 2-nitrodiphenyl ether (NPPE) (ε=24). Also, low polarity solvents such as BBPA gave better lithium response than mixtures with high polarity solvents such as NPPE and low polarity solvents such as Tris(2-ethylhexyl) Ester(TEHP) (ε=4). The electrode with BBPA showed a linear Nernstian-response slope ranging from 1×10^-5 to 1×10^-1 M of Li^+ . The detection limit for the serum samples by the electrode with BBPA is 6.46×10^-4 M of Li^+ . When it was compare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coated wire electrodes (CWEs), the solid contact electrodes showed better response slope, fast response time, stable standard potentials and reproducibility.

      • 자연관(自然觀)과 회화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장은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ddresses theoretical definitions of the circulative nature based on writer's a work of art, and then describes representation techniques for visualization to plastic arts. Mankind is a part of a great many objects in the universe, making efforts and tracking the endless creation and destruction. The studies on investigating provision of nature are extensively being researched in many different fields such as philosophy, science and art. Those topics are being put into artwork in a variety of ways. Also, I have immersed myself in research on the essence of human by painting the metaphysical and circulative nature. The dictionary definition of nature is all the animals, plants, and other things in the world that are not made by people, and all the events and processes that are not caused by people. Human repeats the cycle of creation and extinction as wheel of life in our country, our planet and the universe. This biological phenomenon seems to be a subject which a physiologist or a medical scientist should deal with preferentially. However, as a physiologist Claude Bernard mentioned, "we would have to give up making definition of life but that is only characterizable". From his comment, we can understand that life is philosophical concept and also passes over the domain of science. In our own day, the domain of science can be logically verifiable, but it is a clear fact that could not define these subject accurately. There is much common ground as an organism between Buddhist scriptures's Yeongi and Schelling's natural philosophy. In this view point, this work describes a life circulation phenomena including the repetitive life cycle in nature group. The objective are also to bring about a consideration for essence of a man by conscious our life circulation with this painting work. There are many artists studying natural phenomenon with pictorial character. As reference artist, Mrs. Lee(1) and Mr. Hans(2) are selected and it is suggested in this paper which is shown as describing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 and nature circulation phenomena with connotative method. To support logicality of reason for being my works, this paper has studied some analogous theories among East and West philosophic things. The ecological circulation of plants works as an allegory representing whole living conditions in this research. It's because the series of plants' growth process and human life are infinitely repeated on the same way.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meaning of infinite circulation, some kinds of techniques have been developed in space of works. To sum up, there are some ways such as Spray to spatial effect and Rub to be piled up one on another. In conclusion, those techniques make an atmosphere as if we were in fog-shrouded or a semiconscious. Lines are applied into painting after work for creating space mood. It has a role to interact between space and life and also connotes space time of the great universe. So, it suggests stems to be a valid reason which exists in specific location in my works. Each of painting with a delicate touch is to cause some awe or mysticity, which embodies in life's spirit or energy. Those parts have great resemblance to an ink-and-wash painting of eastern. The reason why something like this subject is constantly studied from the past to the present is that it is just the direct reality around us even though it is not seen. In conclu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put forward a consideration for essential condition of the world; man as a part of nature and the creation, destruction of the universe, and all constant circulation through painting works. 본 논문은 본인의 작품을 바탕으로 하여 자연이 가진 순환성에 대한 이론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그 현상을 시각화하기 위한 조형적인 표현기법에 대해 서술하고자 한다. 인류는 우주에 존재하는 수많은 개체의 한 부분으로서, ‘생명의 생성과 소멸’에 대해 끊임없는 성찰과 근본에의 추적을 해왔다. 이러한 자연의 섭리에 대해 규명하고자하는 연구는 철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의 학자들에 의해 오랜 시간에 걸쳐 시도되고 있다. 이 주제는 예술 분야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조형화되고 있으며 본인은 그와 같은 맥락에서 자연 순환의 형이상학적 현상을 회화작품으로 표현해 인간의 본질을 고찰하는데 몰두하고 있다. 자연의 사전적 의미는 ‘사람의 힘이 더해지지 아니하고 세상에 스스로 존재하거나 우주에 저절로 이루어지는 모든 존재나 상태’로서 그 개념 안에는 인간이 포함되어 있다. 인간은 한 나라에, 그리고 지구라는 행성에, 더 나아가 우주라는 시공간의 끝을 알 수 없는 공간 안에서 탄생과 죽음을 반복한다. 이러한 생명현상은 철학자가 아니라 과학자, 그 중에서도 우선적으로 생리학자와 그리고 의학자가 다루어야 할 대상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생리학자 끌로드 베르나르(Claude Bernard, 1813~1878)가 “생리학에서 우리는 생명에 대한 정의를 포기해야만 하며, 다만 그 현상들의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이다.”라고 말한 것처럼 ‘생명’은 철학적 개념인 동시에, 과학적 방법으로는 결코 주어질 수 없는 형이상학적 실재이고, 따라서 과학의 영역을 넘어서 있는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늘날 과학 분야에서는 거의 모든 것을 논리적으로 증명 할 수 있게 되었지만, 이 논제에 대해서만큼은 정확하게 정의 내리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동양의 불교의 연기론(緣起論)과 서양 철학자 셸링(Schelling)의 자연관은 자연과 인간을 하나의 통합된 유기체로 바라보고 분석하는 점에서 본인의 작품과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본인의 작업은 이와 같은 관점에서 자연을 바라보고 인간을 그 안에 속한 일부로써, 혹은 자연 그 자체로 파악하여 생명의 반복되는 순환 현상을 표현하고자 하는 발로(發露)이다. 또한 작업의 목적은 이러한 조형작업을 통해 보는 이로 하여금 우리 삶의 순환성을 자각하여 인간 존재의 본질에 대한 고찰을 불러일으키고자 하는데 있다. 미술 분야에서도 이러한 자연현상을 회화적으로 연구하는 많은 작가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그 중 ‘이성자’와 ‘한스 아르프(Hans Arp)’를 참조 작가로 선정하고 개괄 및 자연의 순환 현상을 표현하기 위한 다양한 함축적 방식을 분석하여 본인의 작품과의 관계성을 제시한다. 또한 동·서양의 자연 철학 중 본인의 작업 관점과 유사한 이론을 탐구하여 작품 존립의 타당성을 뒷받침하였다. 본인의 작품에 나타나는 꽃의 생태학적인 순환은 인간의 총체적인 삶의 양상을 대변하는 알레고리로 작용한다. 최초의 근원을 알 수 없는 씨앗이 뿌리를 내리고 개화했다가 번식을 한 후 사라지는 일련의 과정과 인간의 삶은 똑같이 무한하게 반복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무한함을 전달하기 위해 공간적인 측면에서 분사(Spray) 기법, 생명의 반복적인 현상을 중첩적인 화면으로 표현하기 위해 문지르기(Rub)를 연구하여 안개가 낀 듯 몽롱한 분위기의 공간 기법을 개발하였다. 공간 기법을 채득한 후 선을 도입하게 되었는데, 선은 작품에서 공간과 생명을 연결해주는 소통의 역할을 하며, 무한한 대우주의 시공간을 암시하는 매개체로 활용된다. 또한 줄기를 연상케 하여 꽃이 작품 안에서 특정 위치에 존재하는 정당한 사유가 되기도 한다. 각 작품에서의 다양한 필치는 이 세계의 순환 현상에 대한 경외감과 신비감 같은 정조를 불러일으키기 위함이고, 이는 생명이 가진 기(氣)를 형상화한다. 이러한 부분은 동양의 수묵화의 정신적인 부분과 같은 특성을 찾아볼 수도 있다. 본 주제가 방대하게 많은 문명과 학자에 의해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논제가 되고 있는 까닭은 인간의 삶 또한 언제나 그 안에 속해 있으며, 비가시적이지만 그 세계 자체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직접적인 현실이기 때문이다. 본인은 이렇게 자연의 일부로서의 자신을 인식하며, 언젠가는 사라질 존재에 대해, 그에 반하여 -새롭게 생성되는 생명들과 함께- 또 다시 끊임없이 순환하는 이 세계의 본질적인 구조 현상을 고찰하고 그것을 작품으로써 끄집어내는 과정에 있다.

      • 소설 텍스트를 소재로 한 청소년 연극 만들기의 텍스트 재구성 과정 연구 : 소설 '유진과 유진'을 소재로 한 상명사대부여고의 연극 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장은정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n example that you can have aesthetic experience and reflect on various forms of life through the process of youth-theatre.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play experience is presented as the plan which can recover the limit of the current Korean curriculum that ignores sensibility and intuition and a model that academic high schools with burden about making the plays due to heavy studies can make the practicable plays is presented. For this, this researcher presented media that the participant can tell their own stories to them, made them enjoy making the plays itself instead of spending a lot of energy to make the conflict structure by using novel text, not the existing play scripts and did them their unconscious and intuitional appreciation about text be absorbed in making the plays by using all improvisation in the process that they read text, share appreciation about it and select the part of making plays in it. This study treats the process of youth-theatre as 'Yujin and Yujin', the novel arranged with students in a play club of Attached Girl’s High School to the College of Education SangMyung University for about 3 months. It's the girl's high school that the author is working and the intention is to make unique sensibility and interests of life by female high school students. It is difficult most of high schools to find a proper script when they try to make plays because many of them are divided into female high schools and male ones. In this case, joint creation method can be done and the process can be changed to much more joyful and richer learning one if it will be done based on the text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interests of participants. 'Yujin and Yujin', the text that this study handles is the story about growing pains of different persons with the same name who were the victims of sexual violence, problems of them and the surrounding eyes which treat them. The point that youth-theatre treats the problem of children sexual violence which recently is on the rise as the serious social problem could be a challenge and at the same time, burden. But the participants could approach the text without any burden because it treats children after about ten years have passed since the accident occurred, not the time of it and how they find themselves in surrounding eyes and prejudice. 'Yujin and Yujin' can be the suitable text for female high schools in that it overcomes the limit of the material that the youth-theatre treats and handles the essential problem of 'finding self' in that period of time.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more deepened their critical minds that they superficially know about problems of 'children sexual violence' through the process of making the play and they get to realize how the surrounding prejudice is violent. That is, the process of making the play was the one that they learned life seriously as well as it was a joyful experience. Play performance in the classroom, not the splendid stage gave the participants an opportunity they got to check that play is the art which creates fictitious space time and became a field that audience and actresses can a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because it is the small space. This experience got to check that making plays by adolescent is enough value and possibility which can be carried out in the curriculum of high school. Recently, the cases that trials to make youth-theatre focusing on 'process' are carried out in the school fields have been increased.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the base and those trials will be gradually active in the fiel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연극만들기의 과정을 통해 심미적(審美的) 체험을 하고, 삶의 다양한 모습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하나의 사례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감성과 직관의 영역을 도외시하고 있는 한국의 현행 교육 과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연극 경험의 중요성을 제시하고, 과중한 학업으로 인해 연극만들기에 대해 부담을 안고 있는 인문계 고등학교에서도 실행가능한 연극만들기의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기존의 희곡 대본이 아닌 소설 텍스트를 활용함으로써, 참여자들이 자신들의 이야기를 풀어 놓을 수 있는 매개체를 제시하였고, 갈등구조를 만드는 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대신 연극만들기 자체의 즐거움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텍스트를 읽고, 그것에 대한 감상을 공유하는 과정, 그리고 소설 텍스트에서 연극화할 부분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모두 즉흥을 활용함으로써, 텍스트에 대한 참여자들의 무의식적이고 직관적인 감상까지 연극만들기에 녹아들도록 하였다. 본 연구는 상명사대부속여고의 연극놀이반 학생들과 함께 약 3개월에 걸쳐서 진행된 소설 ‘유진과 유진’으로 연극만들기의 과정을 다루고 있다. 필자가 재직 중인 이 학교는 여고로서, 여고생 특유의 감성과 삶의 관심사들을 연극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한국의 고등학교 중 많은 수가 남고, 여고로 분리되어 있어 이들 학교의 경우에는 연극을 만들려고 할 때, 적절한 대본을 찾기가 더욱 어렵다. 그럴 경우에는 공동 창작의 방식을 시도할 수 있는데, 참여자들의 특성과 관심에 맞는 텍스트를 토대로 한다면 공동창작의 과정이 훨씬 더 즐겁고 풍부한 배움을 얻을 수 있는 과정으로 변모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유진과 유진’이라는 텍스트는 아동성폭력의 문제와 그것을 다루는 주변의 시선, 성폭력의 피해자였던 동명이인인 두 여자 아이가 청소년이 되어 겪는 성장통을 다루고 있다. 근래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아동성폭력의 문제를 청소년 연극에서 다룬다는 점은 도전 거리인 동시에 부담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텍스트 자체가 당시 사건 당시가 아닌, 10여년이 지난 후의 아이들의 삶을 다루며, 주변의 시선과 편견 속에서 아이들이 어떻게 스스로를 찾아가는지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참여자들이 큰 부담을 갖지 않고 텍스트에 접근할 수 있었다. 청소년 연극이 다루고 있는 소재적 한계를 뛰어넘되, ‘자아 찾기’라는 그 시기의 본질적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유진과 유진’은 여고생들이 다루기에 적합한 텍스트라 할 수 있겠다. 참여자 대다수는 ‘아동성폭력’ 문제에 대해 피상적으로 가지고 있던 문제 의식을 연극만들기의 과정을 통해 좀 더 심화시킬 수 있었으며, 주변의 편견이 얼마나 폭력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지를 깨닫게 되었다고 말한다. 즉 연극만들기의 과정은 즐거운 체험일 뿐 아니라, 삶에 대한 진지한 배움의 과정이 되었던 것이다. 화려한 무대가 아닌 교실에서 올린 연극 발표는, 일상의 공간이 변형되는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연극이 허구의 시공간을 창조하는 하나의 예술임을 확인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작은 공간이었기에 관객들과 연기자가 적극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장이 되었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청소년 연극만들기는 고등학교 과정 안에서 실행될 충분한 가치와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근래 ‘과정’을 중시하는 청소년 연극만들기에 대한 시도가 학교 현장에서 실행되는 경우가 점차 늘고 있다. 본 연구가 하나의 작은 밑거름이 되어 현장에서 그러한 시도가 점차 활발해지기를 기대해 본다.

      • 첼로 초급과정의 효율적 지도방안 : 스즈키 교본을 중심으로

        장은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지식이나 정보 외에도 창의력과 정서적 지능 또한 높아야 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고 음악 활동이 이에 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많이 나와 있다. 음악 활동 가운데서도 악기교육은 정서적 성장뿐 아니라 지적 성장에도 도움이 된다는 이유로 많은 부모들이 관심을 보이는 추세이다. 악기의 지도에 있어서 무엇보다 교사가 제일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교사 스스로 인식해야 하는데 올바른 교사는 악기를 다루는 기술뿐만 아니라 가르치는 방법, 자기 나름의 소신과 투철한 교육관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학생은 교사가 기대하는 만큼의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그 다음으로 부모는 교사와 학생의 중간 교량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이렇게 세 사람의 서로에 대한 세심한 배려와 존중이 바탕이 되어야만 효과적인 악기 교수․ 학습이 된다. 이 논문은 첼로를 처음 시작하는 단계의 아동을 지도할 경우 교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가르쳐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 지도에 앞서 이론적으로는 아동의 인지 발달과 음악적 성장단계를 살펴보고 아동기 기악 교육의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또 레슨 시 교사, 부모, 학생의 바람직한 상호작용관계를 알아보았고 그에 따른 교사와 부모가 지녀야 할 교육관과 역할 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교육방법은 기악 교수법으로 가장 흔한 1:1 형태인 개인지도의 예를 적용하였고 교본은 현재 첼로 교재로 많이 쓰이고 있는《스즈키 첼로 교본》제 1권을 선택해 각 곡마다 지도의 자세한 방법을 서술함으로써 교사들의 첼로 교습에서 학생들의 실기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지도의 실례를 만들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재 하나만을 예로 들었으나 지도교사는 실전에서 적합한 여러 교재를 학생의 진도나 수준 등에 따라 달리 채택해야 할 것이다. 스즈키의 교본을 통한 기초수준에서 다루는 기술적인 부분은 바른 자세, 운지법, 운궁법등이며 각 곡의 형식, 특징적 요소의 분석을 통해 첼로 지도에 필요한 내용을 악보와 함께 서술하였다. 기악교육은 아동의 음악적 표현력에의 감수성을 증진시키며, 직접 연주함으로써 다양한 미적 체험을 제공할 수 있는 면이 크고, 아동기에 제대로 익힌 악기는 평생 자신의 취미활동으로 연결될 수 있는 만큼 삶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논문이 첼로 교사들의 교재에 대한 이해를 높여 기초단계의 학생을 지도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무용/동작치료를 통한 빈곤층 중년여성의 우울감과 움직임 질적 변화에 대한 연구 : 라반의 LMA Effort를 중심으로

        장은정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년의 위기와 빈곤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한 중년여성들이 무용/동작치료를 중심으로 가지게 된 경험으로 자신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고, 우울감과 움직임의 질적인 변화는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충남 D시의 지역자활센터에 소속중인 40대에서 60대의 중년여성 6명으로 2012년 2월 6일부터 2012년 4월 23일까지 총 12회기 60분 세션으로 호흡과 신체 지각, 핵심 감정 찾기, 자신의 정서 춤 만들기, 상호 소통, 자존감 증진의 내용을 진행하였다. 루돌프 폰 라반(Rudolf Von Laban)의 LMA 에포트(Effort)를 중심으로 대상자들 움직임의 질적인 변화를 살펴보고, 사전, 사후 우울증 BDI 척도조사 및 어빈 D.얄롬(Irvin D.Yalom)의 Q-Sort 단축형을 통해 무용/동작치료로 도움을 받았다고 생각한 부분은 어떤 부분인지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에 따른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동작치료를 통한 움직임의 질적인 변화를 살펴보면 대상자들은 초기에 움직임으로 자신의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는 것을 많이 어색해 하고 절제된 흐름(Bound)의 에포트가 많이 쓰였다. 움직임을 할 때 바닥에 지지(Grounding)가 잘 안되어 무게 중심을 잃어버리는 경우도 있었으나 세션이 진행될수록 움직임 표현에 자신감이 조금씩 생기게 되면서 움직임을 즐기는 모습을 보게 되었고, 내면과 외면의 조화를 이루는 움직임들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BDI 우울증 척도조사에서 신뢰수준 90% 기준으로 변화가 있었던 하위영역은 정서적 영역과 인지적 영역이다. 이것은 무용/동작치료가 중년여성의 우울감 감소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선행연구들에서 이미 확인하였던 연구결과로 본 연구를 통해서도 입증할 수 있게 되었다. 셋째, 얄롬의 치료적 요인에서는 실존적 요인(Existential Factors), 이타주의(Alturism), 집단 응집성(Group Cohesiveness), 보편성(Universality), 대인관계학습(Interpersonal Learning) 순으로 치료적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왔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무용/동작치료 대상자들의 질적 움직임 변화는 마음 안의 불꽃이 일어나고 있고, 무언가를 해보려고 하는 의지가 생겨나기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비교적 단기로 진행된 세션에서 생긴 대상자들의 움직임 변화는 중, 장기적인 구조를 갖고 세션을 진행할 때 좀 더 유연하고, 다양한 종류의 에포트(Effort) 구사를 통해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는 모습을 기대하게 된다. 본 연구는 기존의 중년여성들의 무용/동작치료 선행연구에서 실시되던 양적연구 외에 움직임의 질적인 변화를 좀 더 자세하게 서술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대상자들의 움직임 질적인 분석을 통해 내적 갈등과 심리상태를 좀 더 잘 파악할 수 있게 되고, 문제점에 맞는 치료적 개입을 통할 때 비로소 치료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것이다. 빈곤층 중년여성들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자신의 삶을 좀 더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내적 자원과 강점을 찾아 현재 처한 환경에서 꿋꿋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가 계속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중국조선족 유학생의 자존감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장은정 서울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is research developed the self-esteem improvement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verified the effect for improving the low self-esteemer especially exposing to the ethnic Koreans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also realized contents proper to the ethnic Koreans students through the literature search and survey on the hands-on workers confirming elements of this program. In addition, abstracted activities to deal with a predominantly causative factor among the various elements lowing the self-esteem of the ethnic Koreans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observed the six ethnic Koreans students, who came to verify the effect of this program, directing program a total of six times once a week. As a result, this report identified the promotion in the self-knowledge, self-acception, understanding others, acception others, self-open, and studying how to communicate with others. And through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observed the will loving oneself, catharsis of the negative emotion, moreover the promotion in the self-esteem and the self-change recognition. This research achieved the promotion in low self-esteem of the ethnic Koreans students studying in Korea and had the foundation to spread the program developed to them. In conclusion, the limitation and the significance was commented, and the proposition was suggested to supplement this program continuously in the future.

      • 조선시대 생활사를 반영한 국어사 내용 구성 방안

        장은정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어 교육의 영역 중에서 ‘문법’ 영역의 일부인 국어사 교육은 국어문화와 관련된 중요한 교육 내용 중의 하나이다. 국어사는 우리말의 변천사인데, 국어 문화를 이루는 우리말의 역사이며 그 언어를 사용하는 우리 민족의 정체성 확립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국어사 교육은 국어과 교육에서 관심 밖에 밀려나 있는 실정이다. 그간의 교육 현장을 살펴보면, 국어사 관련 내용이 국어과 교육 과정에 명시된 것과는 달리 교육 과정상의 편제에서 소홀히 취급되어 왔고, 현행 교육 과정에서 국어사 내용은 양적으로 부족하면서도 그 내용이 고등학교 과정에 편중되어 있었다. 또한 현행 교육 과정과 교과서에 나타난 국어사 교육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국어사 교육과 관련된 내용의 수가 적을 뿐만 아니라 교과서의 구성에서도 국어사와 관련된 설명문을 제시하고 그 내용의 이해 여부에만 교수-학습이 집중되어 있어서 지루하고 단조로운 수업이 될 가능성이 많다. 이는 결과적으로 학생들의 흥미를 저하시켜 국어사 교육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인식시키기 어렵게 만들었다. 아울러 단편적인 지식의 전달만을 강조하국어사 교육은 우리말과 언어문화의 변화 과정에 대한 전체적인 안목을 가질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우리말과 국어 문화의 역사를 담고 있어야 할 국어사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편적인 지식만을 전달하는 형식적인 국어사 교육에서 벗어나, 선인들이 당시 삶 속에서 어떻게 언어를 사용했는지가 고스란히 반영된 국어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해 17~18세기 생활사 자료들을 중심으로 조선인들의 생활모습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속에 드러난 선인들의 생활 모습 그 자체가 당대의 언어생활을 반영하는 단면이기 때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17~18세기 당시의 삶에 밀착된 국어사용의 모습을 통해 국어사 교육 내용을 구성하는 방안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Th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a part of the ‘grammar’ area in theoverall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subjects related to Korean language culture. The Korean language history is about the history of changes in our languages as well as the history of our language that forms the Korean language culture. It is also deeply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national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who use the language. In spite of this importance, the reality is that th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has failed to receive enough attention in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If we take a close look at the education scenes, th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has been Korean language education. But the curriculum does not allocate enough time for Korean language history, and the Korean language history is heavily focused on the curriculum for High School education. In addition, if we look into the issues with th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currently shown in the curriculum and text books, the overall amount of contents devoted to th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s not sufficient, and the textbooks are organized in such a way that they simply give explanatory descriptions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history and focus on teaching-learning on understanding such descriptions, which results in a boring and simple class. As a result, students have lost interest in this subject, which makes them unable to understand the value of the Korean language history. Furthermore, the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that only emphasizes on delivering fragmentary knowledge fails to help students form overall perspective on the changing process of our language and language culture. Therefore, it is believed that our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must free itself from the perfunctory education that only delivers fragmentary knowledge and find a way to provide a mirror reflection on how our ancestors used the Korean language in their lives in order to establish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that reflects our language and the history of Korean language culture. For this purpose, I would like to take a look at the life styles of the people living in the Chosun Dynasty focusing on the data collected on the life history in the 17th and 18th century. Such life history that reveals the true aspect of our ancestors’ lives provides a partial aspect of the language life at that ti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ways to come up with Korean language history contents by reviewing the use of Korean language closely related to the lives of Chosun people in the 17thand 18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