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축전기설비의 최적설계에 관한 연구

        장용해 朝鮮大學校 産業大學院 1995 국내석사

        RANK : 1855

        Using electricity reasonably and economically are aided at increasing efficency of generation, and transmission, distribution additionally to reducing huge investment of power product cost. Considering our situation, we have many problems because Korean engineers who plan and lay out electrical equipment are refering to forein data instead of applying domestic some data. Inversitgating average value of substation space, transformer Capacity, load density of architectural electric installation in the Kwang-ju, this paper presents optimal value that compares value of seoul with Japan and suggests data of optimal design of electrical installation and this data is used to model building.

      •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 개선에 관한 연구 : 전시체험공간을 중심으로

        장용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본 연구는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의 개선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존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과 더불어 다각적인 측면의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 전반에 걸쳐 안전의식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안전교육은 필수사항이 되었다. 이에 교육계는 이론 중심의 교육에서 체험 중심의 교육으로 체제 전환 중이며 체험 중심의 안전교육을 위한 물리적 인프라인 안전체험시설의 확충을 위해 2014년부터 관련 제반 사항을 점검하여 2017년부터 실질적인 확충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미비한 계획기준을 기반으로 한 안전체험시설의 수적 증가는 시설 계획 시 전문가 개인 역량에 기댈 수밖에 없고 대규모 예산이 소요되는 시설의 품질향상을 담보할 수 없다. 특히 안전체험시설은 일반 건축물과 달리 안전교육 분야(Software)에 대한 이해와 함께 전시체험시설(Hardware)의 전문지식이 갖춰진 상태에서 시설 계획을 수행해야 하는 특수성이 있으므로 효율적인 시설 확충을 위한 계획기준의 정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안전체험시설의 질적 개선을 위해 계획기준의 체계를 정립하여 기존 계획기준의 개선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또한 개선된 계획기준을 바탕으로 현 시설의 실태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범위는 국내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 본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국내 석사논문 2개 및 국외 단행본 2권 중 전시체험공간과 전시공간의 계획기준, 2개소 안전체험시설에 대한 적정성 평가내용 전체, 적정성 평가 분석 대상과 동일한 2개소 안전체험관의 전시체험공간이며 문헌분석을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진행은 6단계로 이루어졌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의 내용 분석을 통해 공통사항과 전시체험공간 체험프로그램별 계획기준을 명시적으로 정리하고 항목화하였다. 둘째, 국내⋅외 유사 시설 계획기준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안전체험시설 관련 계획 요소들을 도출하여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셋째, 안전체험시설 적정성 평가의견을 분석하여 평가항목으로 추출하고 공간별로 분류하여 계획 항목으로 전환하였다. 넷째, 단계별 분석 결과를 종합하고 각 공간 공통사항과 직접체험공간인 전시체험공간, 간접체험공간인 기타 공간으로 분류하여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의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다섯째, 연구를 통해 제시한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 개선안을 바탕으로 종합형 및 소규모형 안전체험관 사례의 실태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여섯째, 단계별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안전체험시설의 계획기준 분석 결과 공통 계획기준은 각 공간(전시체험공간+기타 공간) 공통사항과 전시체험공간 공통 및 기타 공간 공통으로 구분하여 총 36개의 계획기준 세부 항목이 도출되었으나 각 공간 공통 및 전시체험공간 공통에만 제시되고 있었고 내용 또한 구체적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체험프로그램별 계획기준은 7대 안전 전 분야에 걸친 총 29개 세부 체험프로그램으로 제시하고 있었으나 계획기준의 세부 항목은 가구 계획 중심으로 도출되었으며 공간계획 항목 수는 체험프로그램 평균 4개가 도출되었고 마감계획과 조명계획에 대한 계획기준은 미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국내 유사 시설의 계획기준 세부 항목 수는 28개, 국외 유사 시설의 계획기준 세부 항목 수는 31개가 도출되었다. 국내⋅외 유사 시설에서 도출된 계획기준을 종합한 결과 국내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에서 미흡하게 제시되었던 조명계획, 색채계획, 공간구성요소별 계획에 대한 기준이 분석되었다. 공간 규모, 마감 계획, 조명계획, 색채계획, 공간계획, 공간구성요소별 계획, 체험자 시선과 거리, 기타계획 등의 계획 요소와 최종 55개의 세부 계획 항목으로 통합되었고 이는 각 공간(전시체험공간+기타 공간) 공통 계획기준에 해당한다. 셋째, 국내 안전체험시설의 적정성 평가 결과 전시체험공간 및 기타 공간의 공통사항과 직접체험공간인 전시체험공간, 간접체험공간인 기타 공간별로 구분하여 계획기준이 도출되었고 세부 항목의 수는 총 178개로 나타났다. 전시체험공간 및 기타 공간의 공통사항은 22개 세부 항목으로 분석되었고 마감 계획, 조명계획, 공간계획, 상세계획의 계획 요소에서 도출되었다. 전시체험공간 체험프로그램별 계획기준은 적용된 체험프로그램 24개 중 22개에서 도출되었으며 계획기준 세부 항목은 총 143개로 분석되었다. 세부 항목에 대한 계획 요소는 공간계획과 상세계획이 22개의 체험프로그램 중 18개(82%)에서 나타나 국내 계획기준에서 미비하게 제시되었던 공간계획과 상세계획이 가장 많은 수로 도출되었다. 기타 공간의 계획기준은 오리엔테이션, 체험평가, 영상교육, 안내 공간에서 13개의 계획 항목이 도출되었으며 마감 계획, 공간계획, 상세계획의 계획 요소에서 나타났다. 넷째, 단계별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제시한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 개선안은 전시체험공간 및 기타 공간의 공통사항 계획기준, 전시체험공간 계획기준, 기타 공간 계획기준으로 구분하고 공간별 계획기준의 특성에 따른 계획 요소를 분류 기준으로 삼아 계획기준의 체계를 정립하였다. 또한 이같이 정립된 체계에 따라 세부 계획 항목을 구성하여 제시하였다. 1) 전시체험공간 및 기타 공간의 공통사항 계획기준은 다음과 같은 계획 요소에 따라 세부 항목을 구성하였다. 동선계획 3개, 마감 계획 8개, 조명계획 3개, 색채계획 3개, 공간계획 15개, 상세계획 7개, 설비계획 2개, 기타 3개, 총 4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2) 전시체험공간 계획기준은 체험프로그램에 대한 공통사항과 30개 체험프로그램별로 구분하였으며 공통사항은 총 64개 세부 항목으로 제시하였다. 전시체험공간 공통사항 계획기준은 공간 규모 6개, 배치계획 6개, 동선계획 1개, 마감 계획 7개, 조명계획 10개, 색채계획 2개, 공간계획 22개, 상세계획 5개, 체험자 시선과 거리 4개, 설비계획 1개로 구성하였다. 체험프로그램별 계획기준은 교육 대상, 교육내용, 공간 규모, 가구 계획, 마감 계획, 조명계획, 공간계획, 상세계획, 설비계획의 계획 요소에 따라 분류하여 제시하였고 단계별 분석 결과 본 연구 서두에서 분류되었던 총 32개 중 계획기준이 도출된 30개(비상짐싸기, 손씻기 체험 제외) 체험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다. 이 중 2개(물놀이안전, 학교폭력예방b)는 기존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의 분석 결과만을 적용하였고 1개(시설 안전 P1-4)는 기존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에서 제시되지 않은 체험프로그램에 해당하므로 세부 계획 항목만을 제시하였다. 3) 기타 공간은 오리엔테이션, 영상교육, 안내의 계획기준을 도출하였고 다음과 같은 계획 요소에 따라 세부 항목을 구성하였다. 오리엔테이션은 공간 규모 1개, 마감 계획 4개, 공간계획 5개, 총 10개 항목으로 제시하였다. 영상교육은 마감 계획 4개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안내는 조명계획 1개, 공간계획 3개, 총 4개 항목으로 제시하였다. 다섯째, 안전체험시설 실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분석사례인 종합형 안전체험관과 소규모형 안전체험관의 전시체험공간 면적은 계획기준 개선안에서 제시하고 있는 약 60%에 해당하며 저층으로 계획되었다. 2) 종합형의 동선 순환방식은 유도 동선 방식이며 평면구성유형은 연속적 개실형이고 전시체험공간의 구성 체계는 체험존+체험존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규모형은 임의 동선 방식으로 평면구성유형은 선택형 개실형이고 전시체험공간의 구성 체계는 체험존+체험실로 분석되어 각 체험시설의 특징과 운영방식에 따라 동선, 평면구성, 전시체험공간의 구성 체계를 달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 개선안 반영사항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전시체험공간 공통사항 계획기준 총 64개 항목 중 C-1과 C-2의 반영항목은 각각 26개, 24개로 분석되었고 상세계획의 체험자 안전 관련 항목과 공간계획의 피난 관련 동선 및 출입문 계획 관련 항목이 보완되어야 할 사항으로 나타났다. (2) 체험프로그램별 분석 결과 안전 분야별로 응급처치(P7) 60% > 교통안전(P2) 57% > 재난안전(P5) 55% > 생활안전(P1) 27%의 반영률을 보였으나 C-1과 C-2의 공통점을 발견하지 못했고 각 사례 체험프로그램들도 일관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다만 계획기준의 수가 많은 체험프로그램 위주로 반영률이 높게 나타나 난이도가 높은 체험프로그램 계획 시 주의를 기울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능 관련 사항 중 기존 계획기준에서 제시되었음에도 미반영된 항목들이 도출되었다. (3) 기타 공간 분석 결과 C-1과 C-2 모두 일관성을 보이지 않았으며 기능 관련 항목에 대한 반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은 계획기준 개선안 반영사항의 종합 분석 결과 사용자 안전 및 피난, 체험 효율성 관련 사항이 보완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러한 결과는 안전체험시설의 계획과 시공과정에 다양한 요인이 작용하기 때문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기존 계획기준에 포함되어 있음에도 미반영된 사항들이 명시적으로 제시되고 있지 않았던 점을 볼 때 안전하고 효율적인 안전체험시설 구축을 위해서는 명확한 계획기준의 제시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정립된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 개선안은 향후 시설 계획 시 가이드라인이 될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전시체험공간의 적정성 평가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는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체험 중심의 안전교육이 강조되는 시점에서 안전체험시설이 체험 중심의 안전교육을 직⋅간접적으로 수행하도록 돕는 중요한 장이라는 전제 아래 시작하였다. 분석을 통해 기존 계획기준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다각적인 연구의 결과로 안전체험시설 계획기준의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개선안은 계획기준의 체계를 수립하였으며 세부 계획 내용을 항목화하여 보다 명확하게 제시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결과로 마련된 개선안은 시설 계획과 시공의 지표로 삼을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안전체험시설의 질적 향상과 품질관리에 미약하나마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안전체험시설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자료를 분석함으로써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안전체험시설의 특성상 체험프로그램 구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어 전문가 설문을 통해 체험프로그램별 이형 타입의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밝히고자 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establish a system of planning standards and prepare improvement plans for existing planning standards to improve the quality of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are concentrated on facility operation and pedagogical research, so architectural research is remarkably insufficient. Although there must be clear standards for facility planning for the construction of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the currently established planning standards focus on spatial direction for each experience program, so overall planning standards are insufficient. In particular, unlike general buildings,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require an understanding of safety education and expertise in exhibition experience facilities,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building planning standards to efficiently expand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ystem for safety experience facility construction planning standards and prepare improvement plans for existing planning standards through various analyses to secure efficiency and improve quality of safety experience facility construction plans. In addition, based on the improved planning standards,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was analyzed and implications were derived. The scope and method of the study were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1) By analyzing the planning standards of domestic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common planning standards and planning standards for each experience program were summarized. 2) Planning elements related to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experience exhibition halls and foreign museums, which are similar facilities at home and abroad, were derived and classified by type. 3) The contents of the adequacy evaluation, which serves as supervision of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were analyzed to extract evaluation items and to derive planning criteria for each space. In addition, the planning criteria derived at each analysis stage were integrated and unified. 4) By synthesizing the results of the step-by-step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common items, exhibition experience space, and other spaces, and a plan to improve the safety experience facility planning standards was prepared. 5) Implica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based on improved planning standards. 6) The contents of the study were synthesized and conclusions were drawn. In this wa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six stages, and the results derived through th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lanning standards of domestic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planning standards for common matters about exhibition experience spaces and other spaces and planning standards for each experience program were derived. Common planning standards were presented centering on spatial planning, and specific planning standards such as finishing material planning, lighting planning, and color planning did not appear.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that the planning items for other spaces were significantly insufficient. The planning criteria for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were presented in 29 experience programs and appeared as space size, furniture planning, and space planning, and specific planning criteria were insuffici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planning standards of domestic experience exhibition halls and foreign museums, standards for planning, finishing material planning, and lighting planning for each space component were derived. However, the analysis results of similar facility planning standards at home and abroad are planning throughout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Third,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adequacy of domestic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planning standards for each experience program and common planning standards for other spaces were derived. Other space planning standards were derived mainly from finishing material planning and spatial planning, and the planning standards for each experience program of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were derived mainly from spatial planning and detailed planning. Fourth, the improvement plan for safety experience facility planning standards was presented as common planning standards, other space planning standards, and exhibition experience space planning standards. Each planning standard integrated the analysis results of Chapter 3, and the analysis results of each stage were classified into contents corresponding to common, other spaces, and exhibition experience spaces. 1) The contents corresponding to common planning criteria we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and number of detailed items. Circulation plan 3, finishing material plan 5, other and common 3, lighting plan 3, color plan 3, space plan 15, detailed plan 8, other 3, facility plan 2, and a total of 45 items were presented. 2) In other spaces, planning criteria for orientation, video education, and guidance were derived, and the following classifications and detailed items were presented. (1) Orientation space was derived into a total of 10 items, including space size 1, finishing material plans 4, space plans 5. (2) The video education space was derived as 4 items of the finishing material plan. (3) The information space was derived into a total of 4 items of the lighting plan 1, space plan 3. 3)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presented planning standards for each experience program, and 30 out of a total of 32 experience programs were derived. Two of the 30 experience programs applied only the analysis results of the existing safety experience facility planning standards, and one was not presented in the existing planning standards. Fifth,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omprehensive and small safety experience centers are as follows. 1)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area of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and the small safety experience center is about 60% of the total area and is planned as a low floor. This result is the same as suggested in the plan improvement plan for the safety experience center. 2) The comprehensive safety experience center was a guided circulation type, and the type of plane configuration was a continuous compartment type. The small-scale safety experience center is a selective circulation type, and the type of plane configuration is a selective compartment type, and the circulation and plane configuration v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method of each experience center. 3) The size of the space, furniture planning, and selection of finishing materials for each experience program are the same as those suggested in the improvement plan, a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fire and storm safety experiences. This study derived architectural planning elements by analyzing the existing planning standards presented centering on exhibition directing for each experience program.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lanning standards of similar facilities at home and abroad and the evaluation of the adequacy of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the architectural planning standards throughout the exhibition experience space were presented. Next, drawing analysis and field survey were conducted based on the plan standard improvement plan to analyze the actual situation. As a result, points that were suggested in the existing planning standards but were not reflected were derived. This is believed to be because the existing planning standards are composed of exhibition directing, so the building planning standards do not appear clearly. Therefore, the improvement plan for safety experience facility planning standards explicitly established through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future facility planning and can also be used as a guideline for design adequacy evaluation. Safety education has already become a necessity at a time when the importance of safety awareness is emphasized throughout society. Therefore, under the premise that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play an important role in helping safety education,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safety experience facilities, although weak.

      • 단부효과를 고려한 SVPWM구동 편측형 선형유도전동기의 동적특성에 관한 연구

        장용해 朝鮮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1855

        In difference with the rotary type electrical machinery, a Linear Induction Motor(LIM) that generates the direct thrust directly, is widely used for the operation system of electrified railroad, elevation system, conveyer system, and so on. The operational principle of single-sided linear induction motor(SLIM) is constructively similar to the general rotary induction motor. The air gap of primary and secondary relatively wide and the operational principle has the end effect, so the distortion of thrust and low power effect occurs. There are two analysis methode of SLIM characteristics. One is the electrical magnetic analyzing, the other is analyzing equivalent circuit. The electrical magnetic analyzing methode has available advantages to consider the physical condition. The equivalent circuit analyzing methode has the elementary methode in the system of vector control and over shoot situation. To use the SLIM for servo system, the exact account of thrust about the initial speed is needed, but analyzing by equivalent circuit analyzing methode such as rotary induction motor, the error occurs because of the end effect. So, we applied the equivalent circuit considering the end effect of SLIM in this paper. The PⅠ controller is widely applied to vector control system. The vector control system with PI controller converts the element of stop position into the one of synchronous position using magnetic flux angle. In order to extinguish the mutual interrupt, it generally has the output control system with compensating state loop circuit. Also, to keep consistently the magnetic flux, the reference value of magnetic flux is controlled by the forth of elementary part with magnetic flux elementary current controller. To compensate the low flux field saturation, the function generator-consisted of velocity and flux value- is added to the forth of the flux controller. Furthermore, the current control system is advanced the 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by using high arithmetic performance microprocessor such as DSP. It is difficult to realize the complicate SLIM which is applied SVPWM system, but widely used in AC motor vector motor control system or servo control system because of its high performance in current control. In this paper, we use the dynamic characteristic analyzing methode that can calculate efficiently the end effect by using equivalent circuit methode in the operating SLIM system modeling and examine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SVPWM with PI controller.

      • 서울 중계동 백사마을의 건축적 특성 연구

        장용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주택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855

        In this research, I examin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architectural features of 104 Village, Junggye-dong, Seoul, which is the last slum neighborhood that was formed in late 1960s and was the target of recent redevelopment. The makeshift houses became the main residential houses for the urban poor since the Japanese Imperial period. In 1960s, Seoul city government policy recommended to move them to other settlement areas. As the urban poor were moved to other settlement areas, new settlement was formed mainly on the mounds around Seoul. This policy resulted in the reproduction of poor housing areas. These slum residential areas increased until the late 1960s and 1970s when they were changed to the new residential areas with new apartments as one of the city’s urban landscape policy. 104 Village was one of the resettlements project areas but it did not benefit from any physical changes since 1967 when the village was first formed. In 2008, the village was able to receiv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renovation from to the repeal of the development control area restriction. However, its redevelopment program did not go forward until May 2012 due to the dispute on the development method and a new development method (according to which, some part of the village is preserved) was adopted to pass the review of the Urban Plan Committee. Accordingly, this paper focuses on the review of development plan for 104 Village in terms of its historical and architectural viewpoints as the village has the modern residential landscape of Seoul and also is the first target for redevelopment according to new development methods 40 years after its formation. In the study, I have reviewe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physical factors which constituted the village as well as its historical background. Junggyebon-dong, in which the 104 Village is located, had the Napdaeul, Eunhaeng-dong, and Gwangseok-dong which were the core villages of Junggye-dong in the past. It was a small scale agricultural village. Gwangseok-dong, which is near 104 Village, was a village for people of Seongju Lee Family. On the other hand, Musu-dong, where 104 Village was located, is at the edge of Mt. Bulam and was used as access road to the current village and some parts of the area facing Gwangseok-dong were used for agricultural purposes. In Nov. 1967, the resettlers formed a village here. After cutting down the trees in the area, the city government grouped the area into several sections according to the people’s origins and assigned 4 households at an area of about 100㎡. But some residents were assigned the area exceeding 100㎡ according to the size of their original land. As there were no basic urban infrastructures in resettlement area, settlers had difficulty in using water, electricity and toilet. However, as time went by, the infrastructure gradually improved in late 1970s and 1980s as the roads and transportation means as well as the water supply facilities reduced the difficulty of the people. In 1980s, Junggye-dong underwent the two large scale housing development projects. As 104 Village was designated as the development control zone in 1971, 104 Village was kept intact of its old appearance. However, in 1985 and 1988, due to the government’s policy for allowing the makeshift houses to be legally registered, many makeshift houses were allowed to be legally registered in the official registry. Though the village was able to change its form with the introduction of redevelopment policy for the village in 2009, the redevelopment did not progress as planned until the new development method was introduced. Based on the historical and environmental features of the village as above, I have reviewed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village focusing on data of physical factors forming the village obtained from site visit and other methods.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villages found through study are as follows: First, 104 Village has the modified layout system of the traditional agricultural villages, which were mainly located in the place with the topographical features of low south but high north and high east but low west. Though its site was formed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resettlement program, it had a system of traditional agricultural village in terms of road connection and markets located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Second, the village has its own features of settlement area in terms of the function and application of spatial organization, grain, and gathering form of the buildings. We can understand these features from the separation of commercial area at the entrance of the village from the residential area, and branching network of streets and hierarchical functions. The streets, which form the spine of the village are classified into three level streets with the first level streets being used for various functions as the spine of the village, the second level streets doing the connection of main streets and access roads to small scale community and to residential areas and third level streets being used just for access to the residential areas only. Third, each building has its own elevation shape. In the houses, people made their own houses with no help from an architect or outside designer except for the commercial buildings and some residential buildings, which were built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buffer zone into the residential area.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38% of the houses (including commercial-residential buildings) have the direct access system and 62% has the separating systems such as gates or fences. Fourth, as for the residential unit, the residential houses started as one unit at first and then expanded and changed depending on the necessity of the users, which were characterized by the traditional houses. In the initial stage of resettlement, the one unit house with the shape of “ㄱ” was mainly built. However, as time went by, it expanded a 본 연구에서는 1960년대 말 형성된 이른바 서울의 마지막 남은 ‘달동네’이자 새로운 재개발 방식의 첫 대상지인 서울 중계동 백사마을의 역사적 배경과 건축적 특성을 연구·분석하였다. 일제강점기 이후 도시저소득층의 주거형태로 자리 잡은 무허가 불량주택은 1960년대 서울의 도시화정책으로 많은 철거이주민들을 생산하였다. 이러한 철거민들을 수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들 중 하나였던 ‘이주민 정착지’의 조성은 서울 인근의 구릉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불량주택지의 재생산이라는 결과로 이어졌다. 1960년대 말까지 급격하게 늘어났던 불량주택지는 1970년대에 이르러 ‘재개발’을 통해 주거환경을 개선해 나갔으며,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서울시 주거 경관의 일익을 담당했다. 백사마을은 서울시 불량주택지의 역사를 형성배경으로 삼고 있는 ‘재정착지’중 한 곳으로, 1967년 마을 형성 이후 물리적 변화의 손길이 미치지 못하였다. 2008년 비로소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됨에 따라 주거환경정비가 가능하게 되었으나 개발방식에 대한 이견으로 진척이 없다가 2012년 5월 마을 일부를 보전하는 새로운 개발방식의 채택으로 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60년대와 1970년대 서울 근현대사의 주거경관을 간직하고 있을 뿐 아니라, 40년 재개발사의 새로운 개발방식에 의한 첫 사업대상지인 중계동 백사마을의 역사적·건축적 고찰을 통해 현재 계획 중인 개발계획을 점검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진행해 나감에 있어, 우선 마을 형성 전·후의 역사적 배경과 환경 변화를 통해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요소의 형성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백사마을이 위치하고 있는 중계본동은 과거 중계동의 중심마을이었던 납대울, 은행동, 광석동이 자리하던 곳으로 농사를 기반으로 형성된 소규모 촌락지였다. 그러나 백사마을에 인접한 광석동이 성주이씨의 집성촌이었던 것에 반해, 백사마을이 자리 잡은 무수동은 불암산의 끝자락인 산지였으며, 현재 마을의 진입로이자 과거 광석동의 경계부분만을 일부 농경지로 사용하고 있었다. 1967년 11월 도심 철거민들의 이주·정착으로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하였고, 이주 당시 임야였던 곳을 적당히 벌목한 후 각 출신지역별로 정주지를 지정하여 약 30여 평의 면적에 4가구를 머무르게 하였다. 그러나 일부 주민들은 기존 정착지 면적에 비례하여 가구당 약 30여 평이 넘는 영역까지 제공받기도 하였다. 이렇듯 산지에 도시기반시설도 갖추지 않은 곳에 정착한 난민들은 상수도는 물론 전기나 화장실 사용에도 어려움을 겪었으나,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에 이르러 도로 정비, 교통시설 및 상수도시설 확충 등으로 불편함은 서서히 감소하였다. 1980년대 중계동은 두 차례에 걸친 대규모 택지개발로 주거경관의 변화를 맞이한다. 백사마을은 1971년 개발제한구역으로 지정된 후 과거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할 수밖에 없었으나, 1985년과 1988년 무허가불량주택양성화정책 등의 시행으로 불법주거지를 합법화함으로서 불법건축물에서 벗어날 수 있었다. 재개발정비구역으로 지정·고시된 것은 2009년으로, 이는 마을의 구성인구를 교체하는 계기가 되었음에도, 한동안 사업진행이 둔화하였다가 최근 새로운 재개발 방식의 도입으로 활기를 띄고 있다. 위와 같은 역사적·환경적 배경을 바탕으로 한 백사마을의 건축적 특성은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물리적 요소의 현장조사를 통해 도출된 자료를 기반으로 형태론적 입장에서 고찰하였다. 마을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백사마을은 남고북저, 동고서저 지형에 입지한 전통적인 농촌마을의 변형된 배치체계를 갖는다. 정책적으로 조성한 이주민 정착지임에도 불구하고 도로의 연결 관계, 마을입구의 시장 등 전통적인 농촌마을의 구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 둘째, 공간조직의 기능과 용도, 건물의 진입 및 집합형태 등이 자생적 정착지의 특성을 갖는다. 이는 마을 어귀의 상가영역과 주거영역의 분리, 나뭇가지 혹은 그물망 형태를 갖는 가로의 형태적 특성 및 위계별 기능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마을의 골격을 이루는 가로는 단지의 축으로서 다양한 행위를 담는 제1위계 가로, 중심가로의 연결과 소규모 커뮤니티 및 주거지 진입기능을 갖는 제2위계 가로, 순수한 주거지 진입기능을 갖는 제3위계 가로의 세 가지로 구분 된다. 셋째, 개별 건물별로 다양한 입면형태를 취하고 있다. 건축물 조성에 있어, 전문가가 배제된 환경을 극복하고자 진행된 주민들의 자체적 건설은 다양한 형태의 건물외관을 만들었다. 그러나 상가주택이나 일반주택, 그중에서도 주거지 진입에 대한 완충 공간의 유무에 따라 일정한 형태적 틀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틀을 분석한 결과 상가주택유형을 포함한 개별 공간의 직접 진입 형태는 전체의 38%이고, 현관과 담장에 의해 공간이 구분된 형태는 62%에 달했다. 넷째, 평면 형태는 전통 민가에서 나타나는 재래식 홑집에서 시작하여 생활여건에 따라 확장하였다. 정착기 주거의 원형은 일자

      • Flux Switching 전동기의 토크 특성 해석

        장용해 부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1855

        Flux Switching Motor(FSM) has advantages: it consists of simple control circuits; it has simple structure; its efficiency is high; it costs less to produce due to mass production. But it also has disadvantage such as noise. With the development of power electronics technology, Flux Switching Motor draws researchers' attention. Although the Finite Element Analysis has been used for a long time in the field of motor analysis and design, it takes longer to analyze than other methods. On the other hand, Magnetic Equivalent Circuit Method, one of the other motor analysis methods, is not capable of considering a torque harmonic in the air gap. But Winding Function Theory considers a torque harmonic in the air gap and can be analyzed in a very short time. The torque characteristics of Flux Switching Motor with salient rotor by using Winding Function Theory have been recently researched. In this paper, torque characteristic analysis of Flux Switching Motor based on Winding Function Theory is described. Two method analyzing torque characteristic of Flux Switching Motor was used to compare Finite Element Analysis with Winding Function Theory. As a first method, Maxwel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Flux Switching Motor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As a second method, Matlab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orque characteristic of Flux Switching Motor Flux Switching Motor based on Winding Function Theory.

      • A study on the Analysis of Solar Irradiation and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on the Dam Surface

        장용해 부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855

        The hourly irradiance value from the sun is essential data for reasonable estimation of power generation (EPP) in PV systems. Generally, data extracted from weather satellites are available to collect monthly radiation data, but hourly radiation data is not available efficiently in developing countries or rural areas that require PV systems. To provide such hourly radiation data, this work utilizes three methods (Academic Mean Method, SOLPOS Algorithm Method, and Duffie and Beckman Algorithm Method) to transform monthly irradiance data into hourly irradiance data. The monthly cumulative irradiance data used in this study utilized field data acquired by the National Renewable Energy Institute. The hourly irradiance data derived from the above three metho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actual solar irradiance values measured from the local solar radiation sensors. In addition, hourly irradiance data is inputted into the System Advisor Model program to estimate the EPP values produced in PV systems and compare and analyze the actual generation yield values. This paper shows that water solar power can be predicted closest to real value by transforming solar radiation values using SOLPOS algorithmic method.

      • 장용 졸업공연 “나-솔로”

        장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55

        이번 공연은 저자가 2년간 공부를 마치고 준비한 졸업공연이다. 완전하고 독립적인 본인의 모습 표현하고 저자의 발전한 모습와 변화도 보여주고자 하는 마음으로 공연 주제를 “I-SOLO”라고 정했다. 한국에서 유학하는 동안 많이 배웠고 전공 실력도 많이 늘었다. 그동안 배우고 연습했던 경험과 오디션의 추억들이 매우 기념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번 공연에서도 오디션 때 준비했던 곡을 골라서 부르고자 한다. 저자는 완벽한 무대를 보여주기 위해서 이번 공연을 위해 네 가지 스타일의 노래를 정성껏 준비했다. 그리고 공연에 맞는 새로운 편곡과 안무도 같이 만들고 밴드와 호흡을 맞춰 무대를 완성했다.

      • 신ㆍ재생에너지와 저탄소 패시브 건축에 관한 연구

        장용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1839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탄소 저감에 대해 석유, 석탄 등과 같은 에너지 자원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고갈되어 결국에는 없어지게 될 유한적인 자원이다. 그리고 오늘날의 현대사회는 첨단화된 설비들이 증가함과 동시에 에너지 사용의 수요를 증대시켰고 이러한 현상은 지구 온난화 등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큰 문제이다. 이러한 문제로 경제발전과 환경보전의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으며 환경비용의 증대에 따라 에너지원 간의 가격 경쟁에도 커다란 변화가 생기고 청정에너지의 수요가 증대되는 등 많은 에너지 비용의 상승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무한하게 에너지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신ㆍ재생에너지의 필요성은 더욱 부각 될 수밖에 없다. 또한 세계 에너지의 소비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 생활은 화석연료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화석연료 공급 여건은 불안정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도 국가 에너지 위원회를 구성하고 자원 확보를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등 화석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국내 신ㆍ재생에너지의 공급을 확립하는 등 에너지 수급의 불안정에 대비하는 등의 노력을 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ㆍ재생에너지의 종류별 분석을 통해 기술에 대한 현황을 검토하고자 한다. 또한, 액티브 건축과 패시브 건축의 효율적 적용을 위해 프로젝트 기반 에너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사례를 검토하여 친환경 자재 및 기술의 효율적인 적용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 部首 '犬'의 意味範疇에 대한 연구

        장용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1839

        ‘部首’这个词来源于东汉许慎编写的≪说文解字≫。在≪说文解字≫里,许慎分析了字形,探求了字的本义,把9,353个汉字‘分别部居’,分为540个部,在每部开头安排一个能统摄该部所有字的字,这个字被后人称为‘部首’。许慎创立的这种‘部首法’一直被后代所沿用,只不过到了现代,一个‘部首’它所指的意义范畴已经不仅仅局限于该‘部首’本身所提示的那个范畴了。本论文从这一问题着眼,选择540个部中的‘犬部’,来研究部首‘犬’所指的意义范畴。 中国历代字典一般都未能摆脱≪说文解字≫的體例,在汉字的解释方面也大都沿用了许慎的说法,所以这些字典中所收录的部首,它们的时代意义并不能被如实地反映出来,因而没有办法把握这些部首的意义范畴。但是到了现代,字典在收錄汉字字义的时候,已经开始注意选择该汉字它所携带的时代意义,不再一味地沿用前代字典的内容。因此本论文选择中国字典的先河――≪说文解字≫和反映现代汉语词彙的字典――≪现代汉语词典≫作为研究对象,探讨部首‘犬’的意义范畴及其变化。 在第二章里,本论文通过对≪说文解字≫‘犬部’里收錄的所有字进行分类,来揭示部首‘犬’在≪说文解字≫里所指的意义范畴。在研究过程中,本论文发现,在古代中国,由代表‘狗’这个含义的部首‘犬’构成的一些汉字大部分都是用来描写‘狗’这个动物的,尤其是对‘狗的名称’,‘狗的特性’,‘狗的状态’等等描写得非常细腻。除此之外,用来描写‘其他动物’的汉字也不少。由此可知,部首‘犬’在≪说文解字≫里所指的意义范畴大体上可以分为‘狗的种类’,‘狗的属性’,‘狗的状态’还有‘其他动物’。 在第三章里,本论文通过对≪现代汉语词典≫‘犬部字’的分类,来揭示部首‘犬’在现代汉语中所指的意义范畴。在研究过程中,本论文发现,≪现代汉语词典≫中依然保存了部分跟‘狗’以及‘其他动物’有关的汉字,除此之外,还有一部分显示出其他范畴的汉字。比如有关‘姓氏’,‘民族’,‘植物’等范畴的字,甚至出现了很多‘无法分类’的字,而这些‘无法分类’的字却占了≪现代汉语词典≫‘犬部字’的33.6%。对于这一部分字,我们可以用苏培成说的所谓的‘记號’来解释。也就是说,构成这些字的部首‘犬’已经开始与这些字的‘字音’或者‘字义’疏远,仅仅作为‘字的一个组成部分’存在着,部首‘犬’只是记錄一个字的符号而已。由此可知,部首‘犬’在≪现代汉语词典≫里所指的意义范畴大体上可以分为‘狗的种类’,‘狗的属性’,‘其他动物’,‘姓氏’,‘民族’,‘植物’以及无法分类的‘其他’。 同时,在研究过程中本论文还发现,部首‘犬’和部首‘豸’之间有着密切的關係。第四章里,本论文通过对≪说文解字≫‘豸部字’和≪现代汉语词典≫‘豸部字’以及≪现代汉语词典≫‘犬部字’的研究,发现一些本来由部首‘豸’构成的字到了现代有的开始不再使用,有的变成了由部首‘犬’来构成,有的通过‘異體字’的形式与部首‘犬’构成的字并存着。这些现象从另一个方面可以看出,代表‘一般动物’的部首‘豸’,到了现代它的功能开始慢慢由部首‘犬’来擔當了。也就是说部首‘犬’跟‘一般动物’的關係更密切了。 本论文从以上的研究中得出了以下的几点结论: 1. 由部首‘犬’构成的汉字到了现代已经明显增多。 2. 由部首‘犬’构成的汉字中‘跟狗有关的汉字’到了现代已经明显减少。 3. 由部首‘犬’构成的汉字中‘跟狗以外的其他动物有关的汉字’到了现代已经明显增多。 4. 由部首‘犬’构成的汉字到了现代开始出现‘多元化’的现象。比如在≪说文解字≫中没有收錄有关‘姓氏’的字,而≪现代汉语词典≫中2%的字是有关‘姓氏’的。 5. 在≪现代汉语词典≫‘犬(犭部)’中,33.6%的字已经无法分类,部首‘犬’在这部分字中仅作为‘字的一个组成部分’存在着,跟‘字音’或‘字义’已经没有什么关係了。 当然,无论是≪说文解字≫还是≪现代汉语词典≫,都有一些汉字,虽然它们字形的组成部分中包含了‘犬’这个部分,但是却没有被收錄在‘犬部’中,还有些汉字虽然被收錄在≪说文解字≫‘犬部’中,但是到了≪现代汉语词典≫里,却被收錄在其他部中。这些现象,从某种角度来说跟字典的编撰目的有关。≪说文解字≫是據形系联,引而申之,以究萬原,而≪现代汉语词典≫则是为了方便检索。

      • 균사형성 곰팡이에 의한 유용 대사산물(exopolysaccharides, pinitol and itaconic acid)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생물공정 개발과 통계학적 배지최적화

        장용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839

        Part1 Statistical optimization of the production medium for itaconic acid produced by a filamentous fungus, Aspergillus terreus was carried out in order to find optimal concentrations of production medium components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CCD) and response surface method (RSM). Itaconic acid, a dicarboxylic acid used in the manufacture of various synthetic resins in biosynthesized in a branch of the TCA cycle via decarboxylation of cis-aconitate. Through OFAT(one factor at a time) and initial RSM experiments, it was found that the two components (i.e. sucrose as a carbon source and cottonseed flour as a nitrogen source) of the production medium substantially increased the production level of itaconic acid. Therefore, the composition of the production medium was further optimized using RSM. Through repeated RSM experiments, initial optimized concentrations of sucrose and cottonseed flour were observed to be 101g/L and 45g/L respectively, with the corresponding production level of itaconic acid to be 5.8g/L. In turn, these concentrations of the carbon and nitrogen sources were set as a center point of the central composite design for further medium optimization by response surface method, resulting in more than 2 fold higher productivity as compared to the provious RSM experiment (12g/L of itaconic acid production at the point of 138.2g/L of sucrose and 16.63g/L of cottonseed flour). In addition, the effects of various surfactants on itaconic acid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optimized production medium, because it was assumed that the high productivity of itaconic acid by the high-yielding mutants should be related to the special roles of membrane permeablity of the producers with the properties of resistance against high concentrations of nystatin, a polyene antifungal antibiotic. Notably, when triton X-100 was supplemented at the concentration of 14ml/L into the optimized medium, production level of itaconic acid was remarkably increased, reaching almost as much as 25g/L. Finally, through further RSM experiment using the modified production medium that contained triton X-100, almost industrial production level of itaconic acid (46g/L) could be obtained at the following substrate concentrations: sucrose 141.6g/L, cottonseed flour 11.03g/L, and triton X-100 14ml/L. Part2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exopolysaccharide(EPS) in suspended cultures of Schizophyllum commune mycelium has been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we also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the simultaneous accumulation in the culture broth of the pinitol contained in a specific component of a fermentation medium(PM). For the purpose of optimizing fermentation conditions for the enhanced production of EPS together with maximal accumulation of the pinitol, carbon/nitrogen ratio(C/N ratio), KH2PO4 concentration, and inoculum size were investigated in both shake-flask and bioreactor cultures. C/N ratio was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EPS biosynthesis, with the maximal EPS production of 8g/L at the C/N ratio of 20:1(i.e. glucose plus yeast extract vs. soytone peptone = 20:1). Disappointingly, however, at the C/N ratio of 20:1 above, a small amount of unmetabolized fructose was found to still remain in the fermentation broth, even though the pinitol was effectively concentrated in the fermentation broth. This phenomenon, which made it somewhat difficult to separate the pinitol from the fermentation broth, was successfully overcome by adopting a fed-batch fermentation process, resulting in a complete consumption of the residual fructose left in the batch operation mode abo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