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속철도 전자연동장치 SIL 적용에 관한 연구

        장승호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안전필수시스템인 고속철도 전자연동장치의 안전무결수준(SIL) 적용 즉, 안전성활동체계를 연구한다. 안전성 활동은 위험원을 도출ㆍ분석하는 것과 안전무결수준(SIL, Safety Integrity Level)의 할당을 포함한다. 안전성 활동을 배제한 기존의 위험측고장률 예측방식의 문제점 보완하고 사고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위험원 도출 및 분석방식을 시스템 설계에 도입하고 위험측고장률을 예측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의 개념설계 단계에서 시행하는 예비위험원분석(PHA)과 상세설계 단계에서 시행하는 위험원 식별 및 분석(HIA) 체계를 연구한다. 예비위험원분석(PHA) 단계에서는 시스템의 내부결함 중 사고로 발전될 수 있는 위험원(Hazard)을 파악하고, 위험원에 의한 사고의 발생빈도와 크기(Severity) 조합인 리스크를 평가(Risk Assessment)하는 활동을 연구한다. 위험원 식별 및 분석(HIA) 단계에서는 하부시스템까지 위험원을 도출하고 분석하는 HAZOP Study 및 결함트리분석(FTA) 활동을 연구한다. 평가된 리스크로 시스템의 안전무결수준(SIL)이 할당되면, 안전필수시스템은 안전무결수준(SIL)에서 제시하는 등급별 고장률 예측을 통해 입증하는 안전성활동을 수행한다. 안전무결수준(SIL)에서 제시하는 시스템의 고장률 요구사항은 기능의 연속성에 대한 평균확률고장률(Average Probability Failure Rate)과 사고가 발생할 확률인 위험측고장률(Dangerous failure rate)로 구성된다. 평균확률고장률은 시스템 신뢰성과 연관된 변수로써, 하부시스템의 구성요소별 고장률을 평균하여 단위시스템의 고장률을 예측하고, 예측된 평균확률고장률은 시스템의 신뢰도와 평균고장시간(Mean Time Between Failure)의 산출에 중요한 입력변수가 된다. 위험측고장률의 예측은 시스템의 고장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확률로써, 기존에는 여분구조의 시스템이 동시에 고장 나는 경우를 위험측 고장으로 정의하여, 여분구조를 구성하는 단일시스템 고장률의 곱으로 위험측고장률을 예측하였다. 즉, 시스템 내부의 위험원분석을 배제한 방법으로써, 정확한 시스템 위험측고장률 예측치로 부적절하다. 위와 같은 위험측고장률예측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위험원분석을 포함한 안전성활동을 수행하여 위험원 누락을 최소화한 설계방식 및 설계된 시스템의 위험측고장률 예측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러한 위험측고장률예측방식이 기존 위험측고장률예측방식과 비교하여 사고발생확률을 보다 정확하게 예측함을 보이기 위해 고속철도 열차제어시스템 전자연동장치의 선로전환기제어모듈을 설계하였으며, 단위시스템을 기반으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안전성활동 체계를 적용하여 위험원분석에 의한 위험측고장률을 예측함으로서 건전성을 입증하였다.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교육훈련 전이효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서울시 신규채용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장승호 서울시립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공무원을 둘러싼 외부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공직사회로 하여금 고도의 전문성, 변화대응력 및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인재양성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 또한 중앙뿐만 아니라 지방자치단체들도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인적자원개발이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하게 되었고, 중앙과 차별화된 교육훈련계획을 수립하는 등 공무원교육훈련의 중요성은 점점 강조되고 있다. 최근 고학력 소지자의 공직 선호로 인한 우수한 인적자원의 공직 지원 현상은 사회의 관심과 기대를 증폭시키고 있다. 그러나 기존 공무원 교육훈련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재직중인 공무원들이 연구대상으로 신규 채용된 공무원에 대한 실증적 연구는 거의 찾기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에 신규 채용된 공무원의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효과성 제고방안을 제시하여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9년 서울시에 신규채용된 공무원을 대상으로 교육수료 직후 1차 설문 및 3개월 후 교육훈련 전이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2차 설문을 실시, 최종적으로 230부를 유효응답 자료로 선별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타당도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test,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교육훈련 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학습기대, 교육훈련내용 및 강사의 자질이 있었다. 또한 개인적 특성인 학습기대보다 교육훈련내용, 강사의 자질 등 교육프로그램 특성의 요인들이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전이에 더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전이효과 향상을 위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첫째, 교육목표를 잘 반영할 수 있도록 교육훈련프로그램을 구성하여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 교육훈련내용이 신규채용자 교육훈련 전이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교육생들의 교육훈련 전이를 위해서는 교육훈련의 목표에 적합성을 갖는 신규채용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구성이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에 있어 직무역량 부문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의 목표 중 하나인 공직자로서의 기본마인드 함양은 전이효과가 높았으나 직무역량 향상은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직무역량 향상에 관련되는 교육과목은 직렬별·대상별 등으로 구분하여 교육을 시행하거나, 신규채용자 교육훈련 후 조기에 전문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보완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신규채용자 교육훈련에 대한 적극적인 사전안내 및 홍보가 요구된다. 학습기대는 교육훈련 전이효과는 물론, 교육훈련내용 및 강사의 자질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신규채용자들의 학습기대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목표 및 내용, 방법 등 다양한 부문에 대하여 상세하고 적극적인 홍보 및 안내로 교육생들이 흥미와 관심을 갖도록 이끌 필요가 있다. 넷째, 강의기술을 고려한 강사선정이 필요하다. 아무리 뛰어난 지식을 보유한 강사라도 표현능력이 부족하다면 그 교육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힘들다. 기존의 공급자 중심의 단순주입식 교육에서 수요자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는 현 추세에서는 더더욱 강의스킬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다섯째, 공무원 교육기관의 만족도 위주의 교육훈련 평가를 개선하여야 한다. 그동안의 공무원 교육훈련 평가는 교육훈련 직후 개인의 주관적 느낌이나 즐거움을 측정하는 만족도 조사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이는 실질적·객관적인 효과성 검증으로 볼 수 없는 바, 교육 수료 후 전이효과 평가 등 교육훈련에 대한 효과성 분석을 실시하고 철저한 사후평가 체제를 확립하는 등 교육훈련 평가 개선이 요구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교육훈련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중 개인적 특성 및 교육프로그램 특성의 요인들만 대상으로 하여 포괄적인 연구결과를 얻는데 한계가 있었고, 연구에 활용된 설문 표본수가 많지 못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교육전이 요인의 도출과 더불어 표본추출 방법을 보다 정교히 하여 통계적 정확성을 높이고, 타 기관과의 비교연구를 통한 결과의 일반화를 도출하여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공무원교육, 교육훈련전이, 신규채용자, 지방자치단체 교육훈련 The radical vicissitude of external environment around civil servants came to require personnel development furnished with high professionalism, capacity to cope with changes, and ability to solve problems. Further,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central government became aware that the development of personal development is indispensible, and the significance of civil servants training such as establishing an education plan distinctive from central authority is being emphasized more and more. The recent phenomena of preference on civil position by advanced human resources such as well-educated professionals has started to attract interests from the every tier of our society. The problem, however, is that the researches on existing civil servants training are mostly about the workers in office rather than the practical research on newly recruited workers. Thus, this study purport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at local governments substantially, and suggest an optimal policy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training. Under all the circumstances, I conducted the 1st survey for the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of Seoul in 2009 shortly after the completion of their training, and the 2nd survey for transfer effect of training after 3 months, and finally selected 230 copies as the valid response data. For the data analysis, I have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validit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a program called SPSS 12.0. In terms of factors that affect the training transfer, there are learning expectations, training contents, and instructor's quality. In addition, the analysis result presented that the factors of traits of training program such as training contents, instructor's quality are reported to affect the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workers more than learning expectations, the personal trait. Upon the basis of the result derived from this study, I could figure out the following issues for the improving the effect of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Firstly, it is imperative to organize an education training program reflective of education purpose. This study presented that the training contents has the highest influence on training transfer of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Thus, we can see that the desirable constitution of training program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which is appropriate for the education purpose is indispensible for training transfer of the traine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field of job capacity in training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While the building the basic mind as civil servants, one of the training goals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showed somewhat high transfer effect, the enhancement of job capacity showed relatively lower transfer effect. To cover this up, it would be required to categorize the training subject, which is related to the enhancement of job capacity, in job series and objects, or to exercise additional professional education shortly after the training fo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Thirdly,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 training evaluation oriented for the satisfaction of the organization which is in charge of the training of civil servants. The existing evaluation of civil servants training was mostly about the survey on satisfaction evaluating the degree of personal subjective feeling or pleasure shortly after the training. It, however, cannot be seen as substantial·objectiv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consequently, the improvement of training evaluation including implementing effectiveness analysis on training such as evaluation of transfer effect after training, and establishing an thorough post-evaluation system is require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limitation for obtaining comprehensive result as this study was targeted at personal traits and factors of training program out of the elements affecting training transfer, and as there were only a few number of samples for survey. For the next study, it shall be highly required to heighten the statistical precision by deriving various elements of training transfer and sophisticating the method for obtaining samples, and to procure objectiveness of the study by deriving generalization of results through the comparative study with other institutions. Keyword : Civil Servants Training, Training Transfer, Newly Recruited Civil Servants, Local Government's Training

      • 스마트TV 홈 네트워크를 위한 텐저블 UI/UX 플랫폼 연구

        장승호 광운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TV 홈 네트워크를 위한 텐저블 UI/UX 플랫폼을 설계하였다. 스마트 TV는 스마트 홈 네트워크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Hub, 가전기기 모니터 및 제어 Hub, 휴먼 스마트 홈 인터랙션 Hub로써 역할을 하며 홈 네트워크의 중심기기가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복잡한 인터페이스로 사용하기 어려운 리모콘, 정확도가 떨어지는 Pointer, UX가 고려되지 않은 OSD방식의 GUI, Family Space에서의 Multi-user Interaction의 한계, 사용성이 떨어지는 Gesture와 음성인식 인터페이스 등 스마트TV의 인터랙션에는 여러 가지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한계를 개선하고자 Multi-user Interaction이 가능하고 직관적인 Multi-touch Interface를 갖춘 Table과 Object가 결합된 텐저블 UI/UX 플랫폼을 설계하였고, 스마트 홈에서 사용가능한 텐저블 GUI를 구현하여, 스마트TV 홈 인터랙션을 개선하였다. 스마트TV와 텐저블 UI/UX 플랫폼의 콘텐츠 쉐어 인터랙션을 비교 검증한 결과 Time On Task에서 1.5 배이상 빠른 인터랙션 속도를 보였으며, DLNA제어 절차 면에서도 스마트TV보다 3 단계 낮은 것으로 나타나, 텐저블 UI/UX 플랫폼이 콘텐츠 쉐어 인터랙션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In this study, a Tangible UI/UX Platform for Smart TV home network is presented. A smart TV usually becomes a major Hub of, such as multimedia contents share, home electronics control and monitoring, and human smart home interaction, in smart home network. However, the functionality of smart TV turns out to be restrained in home network Hub, due to 1) difficult remote control for complex interface; 2) inaccurate pointer; 3) GUI of OSD type without reflecting on UX; 4) insufficient multi-user interaction of Family space; 5) inefficient usage of gesture and speech recognition, and so on. In order to resolve these limitation, a Tangible UI/UX Platform of intuitive multi-touch interface Table&Object is developed to provide immediate smart TV home interaction with tangible GUI. In experiments, the Tangible UI/UX Platform provides 1.5 times faster interaction of Time on task in contents share; also usually saves 3 operating steps, less than smart TV, in DLNA home networking; thus yields the better performance in contents share interaction of smart home networking.

      • 제조공기의 연면방전 및 플레시오버 특성에 관한 연구

        장승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산업사회의 발달과 더불어 신뢰성 높은 양질의 전기에너지의 운전 및 유지보수의 간편화, 계통 운용의 신뢰성, 안전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절연특성이 매우 우수한 SF6 Gas를 절연재료로 사용하는 전력기기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또, 현대사회가 첨단과학의 이기를 갈망하고 있으므로 현재보다 더 많은 전기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동시에 도시의 공간을 활용하는 효율적인 면에서 전력기기들의 소형화 및 고 신뢰화가 시도되고 있다. SF6 Gas를 적용하는 전력설비는 공급범위가 확대되어, 혹한 지역에도 설치되고 있는 바, 현재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연구는 SF6가 Gas 상태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에 대해서 이루어지고 있다. 온도가 저하되면 SF6 Gas의 액화현상으로 절연특성에 큰 변화를 일으켜 오동작하는 것이 큰 문제점일 뿐 아니라 온실 Gas를 배출하는 물질로 지정되어 점차 그 사용을 줄이거나 금지해야 하는 실정이다. 그래서 SF6 Gas를 대체할 친환경적인 절연매체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모의 GIS 내에서 제조공기의 압력 및 갭 변화에 따른 전원별 절연특성을 究明하였다. 그리고 배전급과 송전급 전력설비에 적용하기 위하여 제조공기와 SF6 Gas의 절연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또한, 본 논문은 절연가스 내의 불평등전계하에서 연구한 고체절연물의 기본적인 연면방전특성에 대하여서도 기술한다. 모의 GIS 내에서 SF6 Gas와 친환경 가스인 제조공기(I-Air, N2/O2혼합가스)를 동일한 조건에서 실험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절연파괴전압과 전계강도에 대해서도 연구한 결과 가스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매질효과에 의해서 절연파괴전압과 전계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고체의 두께에 대한 절연파괴전압의 증가율에 대해서도 연구한 결과 절연파괴전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With the improvement of industrial society, the high quality electrical energy, simplification of operation and maintenance, ensuring reliability and safety are being required. As a result, a power facility using high pressure SF6 gas excellent in insulation characteristics, is increasing and being established and operated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But with the modern society longing for the convenience of up-to-date technology, there are attempts of miniaturization and high reliance of power equipments in the effectiveness aspect of urban area's usage of space while requiring more electrical energy than now. Also, we request urgently change a SF6 for an environment friendly gas insulation material. In this paper the experiments of breakdown characteristics by pressure and gap change of Imitation-Air in model GIS(Gas Insulated Switchgear) were described. And assess of breakdown characteristics about Imitation-Air and SF6. Also, this paper describes the fundamental surface discharge characteristics of solid dielectric under non-uniform field in insulation dielectric gases. SF6 as conventional gas in Gas Insulated Switchgear(GIS)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gases; Imitation Air(I-Air, N2/O2 mixture gas) are used in the same experimental conditions. Breakdown voltage and dielectric strength are found out and sorted. These results are getting higher as increasing the gas pressure according to the medium effect. By researching the increasing rates of breakdown voltage as following the solid dielectric thickness, it reveals that the thickness also affects the breakdown voltage.

      • 가습 및 제습 복합 제어 공기교반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장승호 순천대학교 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상기상 및 다습으로 인한 농가의 피해가 많아지고 있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연구소 농가에서 시설원예에 대해 다양한 기술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습 및 제습 복합 제어 공기교반 시스템 개발”로써 가습시스템의 연구개발 및 적용기술을 응용하고 이미 개발된 제습시스템의 성능향상이 불가피함으로 이를 통한 기존 제습 시스템 각 구성부의 성능향상 및 접목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신 개념 농업환경기술의 혁신을 불러일으키는 친환경 농업을 실현하고자 하는 연구입니다. 다습이나, 저습 환경으로 각종 병해 발생이 많아지고 있으며 야간이나, 주간, 유리온실이나, 2층 비닐, 부직포 , 무기둥 하우스 등 조건에 따라 차이는 있으며 한 동은 제습기를 설치하고 또 한 동은 설치하지 않고 대조 한 결과, 제습기를 설치하면 병해가 경감하고 상품 수량도 증가하여 다수확을 기대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농산물 생산도 가능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damages to farms are on the rise because of severe weather phenomena and much moisture, and a variety of technical development is under way on the controlled horticulture in colleges, research institutes, and farms in order to settle the issue. This study is on "the development of humidification and dehumidification complex control air agitation system". This study aims to apply the R&D of humidification system and application technology, to perform the enhancement of performances of each component of the existing dehumidification systems, which is inevitable,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to be grafted, and to realize the eco-friendly farming that causes the innovation of farming environment technology of new concept. The occurrence of various blights is increasing because of environment of much or low moisture.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conditions such as night time or daytime, glass greenhouse, 2-layered vinyl, felt, non-pillar greenhouse, and so on. As a result of comparison of one greenhouse with a dehumidifier installed and the other without one, when a dehumidifier is installed, the blights decreased and the quantity of products increased, thus enabling us to expect a high yield. Hence, it is thought that the eco-friendly production of farm products will also be possible.

      • GIS 지형 데이터의 스마트 건설 BIM 지표면 데이터 변환을 위한 방법 개발

        장승호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line with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orea is pushing for smart construction as a strategic project for the nation's future. In order to use CityGML standard-based three-dimensional map data previously used in smart construction, it needs to be converted to LandXML standard-based three-dimensional terrain data required by smart construction. However, research and development are underway to convert to data required by smart construction worldwide, but technology and preparation are currently lacking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nversion method to provide CityGML standard-based three-dimensional map data used in the design stage of the existing construction process as LandXML Standard-based three-dimensional terrain data required by smart construction. Currently, smart construction is being promoted in Korea, but the development is insignificant, so there is a limit to building data that can be used at smart construction sites and the data built is also missing. Therefore, this study used topographical data among the Hague urban models in the Netherlands built in 2019 for smart construction overseas. Classes and elements related to terrain were identified through the CityGML standard and the LandXML standar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dimensional map data and the three-dimensional terrain data were analyzed. The study developed a method to match elements related to terrain, extract properties and store them as elements requiring the same property values in order to convert three-dimensional map data into three-dimensional topographical data. We conducted an experiment by applying the developed conversion method to the topographical data of the Hague urban model in the Netherlands in 2019. We conducted an experiment by applying the developed conversion method to the topographical data of the Hague urban model in the Netherlands in 2019. The results the three-dimensional map data had elements such as CityObjectMember, FeatureID, Identifier, Name, Description, Date/Vaild, etc, to Feature, DatasetID, Identifier, Name, Description, DateTime, etc, It was analyzed to be converted into elements such as the function of three-dimensional topographical data. It was analyzed that the capacity of data decreases when converting 3D map data into 3D terrain data. In this study, a method of matching the terrain-related elements of the CityGML standard and the LandXML standard was developed to convert three-dimensional map data into three-dimensional topographical data. Based on the conversion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it can be used as basic information required at the design stage of smart construction.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춰 우리나라는 국가 미래핵심 전략사업으로 스마트 건설을 추진 중이다. 기존에 사용하던 도시지형마크업언어 표준 기반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스마트 건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마트 건설에서 요구하는 지형/인프라확장성마크업언어 표준 기반의 3차원 지형 데이터로 변환이 필요하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스마트 건설에서 요구하는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연구와 개발이 진행되고 있지만,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기술과 준비가 현재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건설공정의 설계단계에서 사용하는 도시지형마크업언어 표준 기반의 3차원 지도 데이터를 스마트 건설에서 요구하는 지형/인프라확장성마크업언어 표준 기반의 3차원 지형 데이터로 제공하기 위한 변환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스마트 건설이 추진되고 있으나 그에 비해 발전이 미미한 상황이기 때문에 스마트 건설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구축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구축된 데이터 역시 부재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해외에서 스마트 건설을 위해 2019년에 구축된 네덜란드 헤이그 도시 모델 중 지형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도시지형마크업언어 표준과 지형/인프라확장성마크업언어 표준을 통해 지형과 관련된 클래스 및 요소를 확인하였으며, 3차원 지도 데이터와 3차원 지형 데이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지도 데이터를 3차원 지형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해 지형과 관련된 요소끼리 매칭하고 속성값을 추출하여 같은 속성값을 요구하는 요소로 저장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변환 방법을 2019년 네덜란드 헤이그 도시 모델의 지형 데이터에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3차원 지도 데이터에서 3차원 지형 데이터로 변환 시 어떤 요소가 변환되고 데이터의 용량이 얼마나 줄어드는지를 분석하였다. 검증실험 결과 3차원 지도 데이터의 도시객체, 고유 ID, 식별자, 이름, 설명, 제작기간/유효기간 등 요소들이 3차원 지형 데이터의 기능, 데이터셋ID, 식별자, 이름, 설명, 데이터 생성날짜/시간 등 요소들로 변환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3차원 지도 데이터를 3차원 지형 데이터로 변환 시 데이터의 용량도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지형마크업언어 표준과 지형/인프라확장성마크업언어 표준의 지형 관련 요소를 통해 매칭 분석하여 3차원 지도 데이터를 3차원 지형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변환 방법을 토대로 스마트 건설의 설계단계에서 요구하는 기초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 노인의 우울 및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

        장승호 원광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 노인에서 우울증상은 유병률이 매우 높고 노인의 자살사고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본 연구는 일 중소도시 노인의 우울증상과 자살사고의 유병률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통계학적 및 정신사회적 변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전라북도 익산시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 3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분 장애나 기질적 정신 장애의 기왕증이 있거나 평가 설문지 및 의학적 정보가 부족한 20명을 제외한 300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인은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우울증상은 한국판 노인우울척도 단축형(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 Korean Version), 자살사고는 자살사고척도(Scale for Suicidal Ideation)로 평가하였다. 정신사회적 변인 중 자아존중감은 자아존중감척도(Rosenberg Self-Esteem Scale), 사회적 지지는 사회지지척도(Scale of Social Support), 스트레스는 스트레스척도(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를 사용하였다. 우울증상과 자살사고에 따른 변인 간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인구통계학적 및 정신사회적 변인을 예언변인으로 하고 우울증상과 자살사고를 준거변인으로 한 중다회귀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일 중소도시 노인에서 우울증상의 유병률은 22.0%였고 자살 사고는 16.6%이었다. 노인의 우울증상은 성별(p<.01), 교육년수(p<.05), 결혼상태(p<.05), 수면시간(p<.05)에서 집단 간 차이가 유의했다. 또한 자아존중감(r=-.588, p<.01), 스트레스(r=.522, p<.01), 사회적지지(r=-.508, p<.01)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이들 요인이 전체 우울증상 중 45.7%의 설명 변량을 나타냈다. 자살사고에 따른 집단 간 비교에서는 결혼상태(p<.01), 의료보장(p<.05)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자살사고는 자아존중감(r=-.467, p<.01)과 부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우울증상(r=.482, p<.01) 및 스트레스(r=.435, p<.01)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이들 요인이 전체 자살사고 중 30.3%의 설명력을 나타냈다. 결론 : 노인의 우울증상은 22.0%에서 나타났고 자살사고는 16.6%였다. 노인의 우울증상은 자아존중감이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고, 자살사고에서는 우울증상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따라서 노인의 자살률을 낮추기 위해 노인에 적합한 교육 및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며 복지정책적 차원의 적극적인 개입이 요구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and to analyze the factors influencing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Methods : Three hundred data from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were analyzed.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Korean Version(GDSSF-K), Scale for Suicidal Ideation(SSI), Rosenberg Self-Esteem Scale, Scale of Social Support(SSS) and Brief Encounter Psychosocial Instrument(BEPSI-K) were used to evaluate the psychosocial variables. Depressive symptoms and suicidal ideation were compared among the multiple factors and analyzed with multiple regression as criterion variables. Results :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s in elderly was 22.0% and that of suicidal ideation was 16.6%.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depressive symptoms figuring out from sex(p<.01), education(p<.05), marital status(p<.05) and sleep(p<.05). Depressive symptoms had correlation with self-esteem(r=-.588, p<.01), stress(r=.522, p<.01) and social support(r=-.508, p<.01). These were explained 45.7% of the depressive symptom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marital status (p<.05) and medical insurance(p<.05). Suicidal ideation was correlated to self-esteem(r=-.467, p<.01), depressive symptoms(r=.482, p<.01) and stress(r=.435, p<.01). These factors accounted for 30.3% of suicidal ideation. Conclusion :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fluencing on depressive symptoms was self-esteem and that influencing on suicidal ideation was depressive symptoms.

      • 恭愍王의 王權强化와 元의 瀋王冊封

        장승호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공민왕대 전시기에 걸쳐서 발생하고 있는 공민왕의 왕권강화의 노력과 원과 기황후에 의해서 발생하고 있는 심왕 옹립 사건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공민왕의 개혁으로 인한 기황후의 반발과 함께 일가의 복수라는 측면에서 사건을 설명해 왔다. 이에 대해서 필자는 공민왕의 개혁정책 중에서도 왕권강화를 중심으로 원과 기황후가 공민왕을 폐위하고 심왕 독타불화를 고려 국왕으로 세우려는 움직임에 주목하였다. 우선 공민왕이 왕권강화를 목표로 삼게 된 배경을 살펴보기 위해서 그의 즉위 이전에 발생하는 두 번의 왕위계승 실패와 기황후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당시에 공민왕은 왕위계승에 실패하자 황실에서 큰 권력을 지니고 있었던 기황후와 접촉하며, 원 황실과의 혼인을 통해서 자신의 왕위계승을 위한 권력기반을 강화하였다. 하지만 원과 기황후는 고려 국왕의 자리에 공민왕과 심왕 독타불화를 두고서 고민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공민왕은 이들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지니게 되었다. 그리고 혹시 있을지도 모를 폐위에 대비하기 위해서 즉위 원년부터 왕권강화를 전개한다. 다음으로 공민왕이 즉위 이후 개혁정책과 함께 시도하는 왕권강화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공민왕은 고려 국왕의 자리에 오른 이후 왕권강화를 위해서 여러 개혁적인 정책들을 펼친다. 이때 기황후는 황실에서 권력강화를 시도하면서 기씨일가에 대해서 왕작을 추증하고 있었다. 이때 왕권의 위협을 느낀 공민왕은 1356년에 기씨일가와 친원세력을 제거하게 된다. 이에 대해 기황후는 공민왕을 폐위하고 그를 대신해서 심왕 독타불화를 세우려고 하였다. 하지만 심왕이 이를 거절하게 되자, 대신 덕흥군과 기삼보노를 앞세워 공민왕 폐위 시도를 이어나간다. 원과 기황후는 군대를 동원하여 공민왕을 폐위하려 하였는데, 결국 고려군이 승리하면서 공민왕은 다시 고려 국왕에 복위되었다. 그리고 원과의 대결에서 얻은 자신감을 통해서 이후에 원의 세력이 명에 의해서 밀려나자 요동지역을 정벌하는 계기로도 이어졌다. 이어서 그 다음으로 공민왕대 후반에 발생하는 요동정벌과 함께 고려인 소환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공민왕은 원명교체라는 국제정세의 변화 속에서 요동정벌을 단행하는데, 당시에 기황후의 친인척인 기새인첩목아를 고려를 위협하는 세력으로 규정하고 정벌을 추진하였다. 이때 공민왕은 2차에 걸친 요동정벌을 통해서 표면적으로는 기새인첩목아의 정벌을 명분으로 내세웠지만, 실상은 이 지역에 정치, 경제적 기반인 고려인 소환이 목표였다. 그리고 요동정벌을 통해서 이 지역에 중요 구성원인 고려인 소환을 통해서 기새인첩목아와 심왕의 기반을 붕괴시키게 된다. 이는 결국에 명의 요동진출로 심양지역에서 존립이 어려워진 심왕이, 북원에서 공민왕 폐위를 계획하자 이에 적극 참여하여 심왕 옹립 시도에 나서게 되는데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심왕이 고려로 진입도중 사망하고, 명과의 대결 속에서 고려의 존재가 점차 중요해지자, 북원은 우왕에 책봉을 통해서 고려와의 관계를 다시 꾀하게 되었다. 그리고 이 사건은 명에서도 북원과 고려의 연합을 두려워하게 됨에 따라 우왕을 고려 국왕으로 책봉하는 등 고려와의 친선관계가 재개되는데도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원에 의한 공민왕 폐위시도와 심왕 옹립 시도에 대한 성격을 살펴보았다. 우선 첫 번째로 과거에 심왕 옹립 시도는 심왕 고가 사건에 중심에 있었다면, 공민왕대에는 심왕 독타불화가 그 중심에 있었다는 점이다. 이어서 두 번째로 원에서 사신을 통한 고려 국왕의 폐위소식이 공식적으로 전달되기보다는, 원에서 비밀리에 이를 계획하여 추진하고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세 번째는 사신을 통한 폐위 통보가 아닌 군사를 동원하여 공민왕 폐위시도에 나서고 있었다는 점이다. 이는 결국에 공민왕대의 폐위시도로 발생한 심왕 옹립 사건을 통해서 고려 국왕의 임명과 폐위라는 책봉문제가, 이 시기에 들어와서는 고려 국왕의 위치가 군대를 동원해야 될 만큼 그 왕권이 원이 통제하기가 어려웠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고려 국왕의 책봉 문제는 북원-명간의 대립 속에서도 이어지고 있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공민왕대의 폐위사건인 심왕 옹립 시도는 왕권강화를 추진하고 있었던 공민왕대 전반에 걸쳐서 발생하였다. 그리고 공민왕의 왕권강화는 원과 기황후에 의해서 견제를 받았으나, 끝내 두 번의 폐위시도는 실패로 끝나게 된다. 이를 통해서 공민왕은 자신의 왕권을 계속해서 강화해 나가게 되며, 비록 재위 말엽에는 측근들에 의해서 살해되지만 이는 결국에 우왕의 책봉문제로도 연결되고 있었던 점에서 공민왕의 폐위사건인 심왕 옹립 시도는 공민왕과 기황후 사이에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원과 명, 그리고 고려의 삼국이 모두 참여하고 있는 국제적인 사건이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King Gongmin(恭愍王) is well recognized as a reformation-oriented ruler in the late period of the Goryeo Dynasty(高麗). The king acceded to the throne when Goryeo seriously suffered from political intervention from the Yuan Dynasty(元). After his accession to the throne, King Gongmin forced his all efforts to strengthen royal authority. The power structure formed in the Yuan Subjugation period was changed and dissolved. In the early days of King Gongmin's reign, he intended to reform the inside of Goryeo, and reinforce the his power and authority. In 1356, the time of his ruling, King Gongmin resumed the reformation against Yuan by executing the leaders of the Yuan-oriented forces including Gi Cheol(奇轍), No Chaek(盧頙) and Gwon Gyeom(權謙). Moreover, the king expanded the territory of Goryeo above Amrok River by recovering Ssangseongchonggwanbu(雙城摠管府), abolished Jeongdong haengseong-Imunso(征東行省理問所), and Manhobu(萬戶府), barred use of the era name designated by Yuan and reformed the government systems to reborn more independent Goryeo, leaving intervention of Yuan behind. Meanwhile, the king promulgated the reformation message to clearly define the spirit of anti-Yuan movement, and to strengthen the sovereignty. However, when two Honggunjuk(紅巾賊) intrusions ruined the Liaoyang(遼陽)·Shenyang(瀋陽) area in the 1359 and 1361 year of King Kong-min, Yuans Imperial Household dethroned King Kong-min two times in his 1362 and 1374 year and attempted to put Doktabulhwa(篤朶不花), King Shim on the throne. However, as Yuan had retreated to the north area of the Northern China(華北), there was a power vacuum in Liaoyang·Shenyang. Taking advantage of this situation, Koryo had sent forces to Tongnyongpu(東寧府) for subjugation over three times, intending to have the hegemony over Yodong(遼東) by settling the housing problem in the region and by announcing that the Yoshim(遼瀋) region belonged to Koryo. The fact that King Kong-min was murdered in 23 years after coming to the throne shows that his policies reached their limitations in a short period. King Wu,(禑王) who ascended the throne without a firm recognition as an heir, wanted to make up this weakness by obtaining the investiture from Ming. This policy was rationalized as 'a way to securing the nation' because it had a side effect of relaxing military tension between two countries as well as justifying its acc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