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ranstation of Picornavirus mRNA : Initiation of Protein Synthesis by Internal Ribosomal Entry Site into the 5'NTR of Picornavirus mRNAs : 장승기

        장승기 State Univ. of New York at Stony Brook 1989 해외박사

        RANK : 247631

        피코르나 바이러스는 (+) sense RNA 바이러스로서 genomic RNA가 mRNA로 작용한다. 피코르나 바이러스의 mRNA는 보통의 고등동물의 mRNA (cap 구조를 가지고 첫 AUG codo n을 이용해서 단백질 합성이 일어나는)와 달리 cap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고 6-13개의 non-initiating AUG codon을 가지고 있다. 이 피코르나 바이러스의 단백질 합성 메카 니즘을 알기위해 encephalomyocarditis virus (EMCV)의 5'-nontranslated region(5'N TR)을 모델 시스템으로 해서 행한 연구에서 다음의 사실들을 알아냈다. 1)단백질 합성 이 cap구조에 무관하게 일어난다. 2)그 mRNA의 5'terminus는 단백질 합성에 아무런 역할도 하지않는다. 3)단백질합성시 라이보좀이 EMCV 5'NTR의 특정부위에 끼어든다 (IRES). 4)EMCV IRES의 경계는 nt 403-815이다. 5) 57 kDa의 cellular 단백질이 단백 질 합성에 관여한다.

      • 音聲變化의 메커니즘

        장승기 慶北大學校 198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work is an attempt to show the mechanism of sound change and to intend to make a small contribution toward a better understanding of phonemic change and phonological system change by analyzing some diachronic data in English, Korean, etc. In chapter 2, some mechanism of sound changes is explained as follows: 1) the tendency to reduce man's mental physical exertions to the minimum 2) the increase of expressive needs and functional load 3) reordering of segments by mishearing or misunderstanding 4) the tendency of regularity by analogy In chapter 3, some mechanism. is explained by the relation with phonological system : phonological system is composed of phonological contrast (i.e. the system of distinctive phonological oppositions) and phonological correlations(i.e. the system of relationships that hold between features characterizing classes of sounds). The types of phonological system change are: 1) phonologization - the introduction of the new contrast and/or correlations 2) dephonologization - the loss of the old system contrast and/or correlation 3) rephonologization - the reorganization in the old system of correlations 4) mutations of group of phonemes - monophonemization, diphonemization and phonemic loss 5) the relationship between sound change and phonological system - if there exists a gap (i.e. an asymmetry) in the phonological system of a language, some sounds change to fill that gap by drag/push chain because languages seem to prefer symmetrical phonological system, (in other word, more natural phonological system), and the function of sound change is to bring symmetry into an otherwise asymmetrical system.

      • ATM 및 IMT-2000 환경을 고려한 동영상 전송에 관한 연구

        장승기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에 네트워크를 통한 많은 서비스들이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으며 그 중 비디오 데이터는 그 서비스 자체를 매력적으로 만드는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다. 그러나 이 비디오 데이터는 다른 데이터에 비해 그 양이 매우 많다. 예를 들어 일반 텍스트의 경우 한 장에 수십 Kbps에 지나지 않으나 영상의 경우 수 Mbps 정도이며 동영상일 경우 수십~수백 Mbps에 이른다. 따라서 비디오 데이터의 경우 전송이나 저장에는 압축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 한다. 비디오의 압축은 프레임간에 존재하는 시간적인 상관성과 프레임 내에 존재하는 공간적인 상관성을 제거함으로서 이루어진다. 현재 국제 비디오 압축 표준안으로는 MPEG 시리즈와 H 시리즈가 발표되었으며 이들은 시간적인 상관성은 ME/MC를 통해 제거하고 공간적인 상관성은 DCT나 기타 변환으로 제거한다. 이 과정에서 누적되는 예측오차를 없애기 위해 GOP 구조를 두고 그 첫 번째 프레임을 intra로 코딩한다. 따라서 매 GOP의 첫 번째 프레임은 예측부호화된 다른 종류의 프레임(P, B 프레임)에 비해 높은 비트율을 지닌다. 또 비디오 데이터는 CBR 코딩에 비해 VBR 코딩을 하면 화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발생되는 비트율은 매우 bursty한 성질을 가진다. 트래픽이 bursty할 경우 이를 전송함에 있어 일정한 비트율을 지닌, 즉 CBR 트래픽에 비해 전송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ATM의 경우에는 VBR 인코딩된 비디오 트래픽의 VBR 전송 가능하다. VBR 전송은 CBR 전송에 비해 채널의 이용효율이 좋고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다른 서비스와 채널을 공유하기 때문에 트래픽이 bursty할 경우 overflow로 인한 정보의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비디오 트래픽 발생시 적은 비트율 변동을 지닌, CBR에 가까운 트래픽을 발생시켜 전송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ATM망을 통해 가변비트율로 압축한 비디오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때 채널의 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MPEG-2 인코더에서의 쉐이핑 방법으로 "Intra Slice Coding" 방법을 제안했다. 제안한 "Intra Slice Coding" 방법은 GOP의 첫 프레임부터 연속하는 d개의 프레임을 각각 d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순차적으로 그 영역만을 인트라로 코딩을 한다. 따라서 d 프레임이 지나면 전체 프레임 영역이 intra refresh된다. 이 방법으로 코딩한 결과 발생하는 비트율이 매우 평탄한 효과를 나타냈다. 본 논문에서는 d가 2, 3, 4, 5, 6 인 경우에 대해 실험을 했으며 4일 때와 그 이상일 때의 효과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은 ATM의 GCRA를 모사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Intra Slice Coding"을 이용하면 intra 프레임으로 인한 데이터의 피크를 줄일 수 있으며 지연 없이 비트율의 변화를 줄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방송 같은 서비스보다는 수십밀리초(ms) 정도의 지연에도 민감한 실시간 서비스에 적용할 경우 매우 효과적이다. 또 이를 ATM 망에 적용할 경우 적은 대역폭을 할당받아도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요구한 QoS를 만족시킬 수 있다. 이 효과는 GCRA를 통하여 정량적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제안한 "Intra Slice Coding" 방법은 트래픽의 평탄화 효과뿐만 아니라 화질은 그대로 유지한다. 또 MPEG-2 syntax에 완전 부합되므로 기존의 디코더에서도 디코딩이 가능하며 기존의 방법과 비교해서 비트율의 증가도 미미하다. 채널을 통한 데이터 전송의 경우 근본적인 이유로 인해 전송도중 정보의 손실이 발생한다. 특히 압축된 비디오 데이터는 에러에 매우 민감하다. 따라서 수신측에서는 수신된 비디오 데이터를 복원할 때 전송도중 발생한 에러를 검출하여 정정하거나 정정이 불가능할 경우 그 영향을 최소화하는 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H.263에서 계층부호화를 이용한 고급계층의 에러 은닉 방법들을 제안하고 그 효과를 확인했다. 일반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기본계층이나 이전 프레임으로 은닉하는 방법 이외에도 기본계층의 움직임 벡터만큼 이전 프레임에서 이동된 위치의 데이터로 은닉하는 방법과 움직임이 있는 부분은 기본계층으로 은닉하고 움직임이 없는 부분은 이전 프레임으로 은닉하는 방법을 제안, 그 효과를 분석했다. 특히 영상의 움직임이나 복잡한 정도, 기본계층의 화질의 정도에 따라 각 방법의 효과가 달리 나타났다. 실험결과 움직임의 정도에 관계없이 SNR 계층부호화 방법에서는 이전 프레임과 기본계층을 이용하는 방법과 기본계층만으로 은닉하는 방법이 비슷한 효과를 나타냈고 공간적 부호화 방법에서는 기본계층의 움직임 벡터와 이전 프레임을 이용한 방법이 좋은 효과를 나타냈다. 또 움직임이 큰 영상에서는 SNR 방법이 공간적 계층화 방법에 비해 좋은 효과를 나타냈으나 움직임이 적은 경우 반대의 효과를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들은 전송 환경에 따라, 영상의 특성에 따라 효과적인 은닉 방법을 선택할 수 있는 기준이 될 수 있다. Recently, as bandwidth of networks becomes broader and broader, networks support multimedia services, among which video service is the most attractive. Even over broadband networks, video should be compressed before transmission. Video compression techniques have been standardized in two organizations such as ISO/IEC MPEG group and ITU-T. In both standards, video compression is achieved through reduction of temporal and spatial redundancies. Both ISO/IEC MPEG-2 and ITU-T H.263, the international video compression standards, adopt DCT to reduce spatial redundancies and motion compensation/motion estimation to reduce temporal redundancies. Video compression is very useful to store video in limited storage space. There arose, however, many problems when one tries to transport compressed video over current networks. This paper focused into how to transport video data efficiently over current networks such as ATM, Internet, and W-CDMA networks. Each network has its own challenges in transmission of video. This paper is devoted to solve two major challenges, at first, flattening video traffic and, at second, error concealment of received video. By flattening video traffic, that is, by reducing fluctuations of video traffic, we can save limited communication resources without any sacrifice in service quality. Some video information is lost during transmission because of many reasons and since most video services are delay sensitive, deteriorated video should be recovered in the receiver side without any retransmission. Error resilience techniques are used for the recovery. As a method of flattening video traffic, this paper proposes "Intra Slice Coding." While in typical MPEG-2 encoder Intra refresh is performed in a frame, In the proposed method, an image sequence is Intra refreshed during more than one frame at every group of pictures or GOP which is normally 12 or 15 frames. Intra refresh is required to cut propagation of effect of error by encoding video without referring previous frame(s). Video bitstream encoded in the proposed method, can be decoded by the normal MPEG-2 or H.263 decoder. To illustrate the performance of proposed scheme, GCRA simulation is used. Simulation result says that proposed shaping scheme - "Intra Slice Coding" generates more flatted bit rate and makes lower delay than typical scheme. So this scheme is good for real time services such as video phone. And the generated bit stream can be decoded with typical MPEG-2 decoder, too. During the transmission via network channel, some information is inevitably lost because of bit error or buffer overflow. Since loss in compressed video data degrades the quality of decoded video, it is required to conceal the effects of data loss. In this paper, two schemes for concealment of damaged enhancement layer are proposed. The first scheme uses previous frame and motion vector of base layer. If errors are detected in enhancement layer, corrupted macroblocks are replaced with the macroblocks of previous frame. During this process the position of macroblocks are not same as corrupted macroblocks but moved as much as motion vector of base layer. The second scheme uses previous frame and base layer, too. If corrupted macroblocks have movement(if motion vector are not zero), those are replaced with base layer. The corrupted macroblocks are replaced with previous frame if those have no movemen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second scheme is good for SNR scalability and first is good for spatial scalability. If images have big movement, the performance of concealment in SNR is better than that of spatial scalability. On the contrary, spatial scalability is better when images have small movements. Those results may be useful to select concealment scheme in consideration of network environments and characteristics of images. In the future, charge for one service will be determined based on how much resources it uses. The methods proposed in this paper will be very useful to exploit limited channel resources such as bandwidth and buffer as efficiently as possi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