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산 레몬 껍질을 활용한 침출차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장수영 세종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ntioxidant Activity and Characteristics of Lemon Peel Tea With Korea Soo Young Jang Dept. of Culinary & Food Service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Lemon peel tea were prepared divided into peel, peel+flesh by each of the lemon of Korean and imported. The moisture and crude ash contents of lemon powder with Korean and imported were high of each of the lemon peel+flesh powder. The pH of lemon tea with Korean and imported was highest of each of the lemon peel tea. For salinity, total soluble solid contents were highest each of the lemon peel+flesh tea. The Hunter color values (L-value, redness and yellowness) of each of the lemon peel tea compared to lemon peel+flesh was higher L-value, redness and lower yellowness. For vitamin C, total phenol content, and radical scavenging ability were highest each of the lemon peel tea. From acceptability survey symbols from a group of professional and general showed high color and flavor of lemon peel tea with Korean and imported. Bitterness for lemon tea with Korea, two groups were showed highest marks of lemon peel+flesh tea. On the other hand, lemon tea with imported, group in professional showed highest marks of lemon peel+flesh tea, group in general showed highest marks of lemon peel. Sourness of the two groups preferred lemon peel+flesh tea with Korean. Overall acceptability from a professional group and general group showed the highest marks of lemon peel+flesh tea with Korean. According to this study results, lemon peel tea with Korean and imported has excellent effect on the functional. And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lemon peel+flesh tea with Korean were the best result. Preparing tea with lemon, to using Korean lemon rather than imported lemons showed a positive impact on vitamin C,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sensory quality characteristics. Keywords : lemon, Tea, Peel of Lemon 논문요약 국내산 레몬 껍질을 활용한 침출차의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 본 연구는 국내산 레몬의 활용도를 높이고 레몬 가공시 발생되는 부산물인 레몬껍질을 활용해 레몬 과피 침출차 제품으로써의 가능성과 항산화성 및 품질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분과 회분함량은 국내산 및 수입산 레몬의 과피+과육 분말이 높게 나타났다. pH는 국내산 및 수입산 레몬 과피차 값이 높게 나타났으며, 산도와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국내산 및 수입산 레몬 과피+과육차가 높게 나타났다. 색도의 경우 국내산 및 수입산 레몬을 이용한 과피차가 과피+과육차 보다 명도는 높고 적색도는 낮고 황색도 값은 높게 나타났다. vitamin C, 총 페놀화합물과 DPPH 자유 레디칼 소거능은 국내산 및 수입산 모두 과피차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기호도검사 결과 색은 조리부, 학부생 그룹에서 국내산과 수입산 레몬의 과피차 가 높게 나타났으며, 향은 두 그룹 모두 국내산 및 수입산 레몬 과피차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쓴맛의 경우 조리사, 학부생 그룹 모두 국내산 레몬 침출차에서는 과피+과육차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지만 수입산 레몬에서는 조리사 그룹은 과피+과육차의 기호도가, 학부생 그룹에서는 과피차의 기호도가 높게 나타났다. 신맛은 두 그룹 모두 국내산 레몬 과피+과육차의 기호도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조리사, 학부생 그룹에서 국내산 레몬 과피+과육차의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산 및 수입산 레몬 껍질을 활용하여 침출차를 제조, 분석한 결과 국내산 및 수입산 레몬 침출차의 과피차가 기능적으로 우수한 결과값을 나타내었고, 관능적으로는 과피+과육차의 기호도 값이 높게 나타났다. 레몬을 이용한 차 침출시 수입산 보다는 국내산 레몬을 이용하는 것이 레몬 침출차의 Vitamin C 함량, DPPH 자유 래디칼 소거능 및 관능적 품질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제어 : 레몬, 차, 레몬 껍질

      • 단체참여와 사회적 관용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장수영 한남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group participation and social tolerance level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As Korean society changed into a pluralized, open, and multicultural society, problems of conflict and conflict diversified and the frequency of occurrence increased. Without embracing oneself and other groups in the face of increasing social diversity, conflicts will arise in the process of allocating social capital. Social tolerance can contribute to the stability and harmony of socie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ook at what factors affect tolerance levels in a society where diversity is maximized. To this end, the 2019 Social Integration Survey of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was used as an analysis. The subordinate variable was defined as social tolera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grandchildren, foreign immigrants, and workers. We looked at the number of group participations in volunteer/donation organizations, civic groups, trade union organizations/business organizations/vocational associations. The parameter, social capital, was measured by trust and network. The control variables included gender, age, marital status, education level and income level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analysis conducted basic analysis, t-test, one-way batch ANOVA, reliability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ed effect analysis presented by Baron & Kenny.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higher the number of organizations participating,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tolerance. The lower the age of women than men, the lower the income,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tolera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graduates compared to more than college graduates. The analysis by dividing social capital into trust and networks showed that trust among social capital did not show social tolerance and significant results, and the network showed positive effects.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network level, the higher the social tolerance. Nex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oup participation and social tolerance, trust among social capital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and the network as a mediating factor between group participation and social tolerance.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the first implication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group participation as an influence factor of social tolerance. Secondly, we divided social capital into trust and networks. Third, the effect of group participation on social toler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ere identified. Fourth, as group participation has been shown as an influence factor on social tolerance, it has been confirmed once again tha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wareness of members of society through participation in various voluntary organizations. Fifth, we confirm that the expansion of the network through group participation improves the consciousness of members of society and improves acceptability of minorities.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ed that voluntary networks among members of society should be formed, the foundation for group particip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consciousness, and the awareness of minority groups should be improved. 본 연구는 단체참여와 사회적 관용수준의 관계와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한국 사회는 다원화, 개방화,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면서 갈등과 분쟁의 문제가 다양화되고 발생 빈도 역시 증가하였다. 사회적 다양성이 증가하는 상황에서 자신과 다른 집단을 포용하지 않는다면, 사회자본 배분 과정에서 갈등이 야기될 것이다. 사회적 관용은 사회의 안정 및 조화에 기여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성이 극대화되는 사회에서 관용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한국행정연구원의 「2019년 사회통합실태조사」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으며 종속변수로는 장애인, 조손/한부모 가정 등의 자녀, 외국인 이민자·노동자에 대한 포용 정도를 사회적 관용으로 정의하여 활용하였고, 독립변수인 단체참여는 동창회, 지역사회 공공모임, 동호회. 자원봉사/기부단체, 시민단체, 노동조합단체/사업자단체/직업조합에 대한 단체참여의 개수를 통해 살펴보았다. 매개변수인 사회적 자본은 신뢰, 네트워크로 측정하였다. 통제변수에는 성별, 연령, 혼인상태, 교육수준, 소득수준(월 평균 가구소득)을 활용하였다. 분석은 기초분석과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Baron & Kenny가 제시한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참여하는 단체의 숫자가 많을수록 사회적 관용 수준이 높았다. 남성보다 여성이, 연령이 낮을수록, 소득이 낮을수록, 교육수준 중 대졸이상과 비교하여 중졸이하와 고졸이 사회적 관용 수준이 높았다. 사회자본을 신뢰, 네트워크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사회자본 중 신뢰는 사회적 관용과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고, 네트워크는 양의 영향이 나타났다. 즉 네트워크 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적 관용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단체참여와 사회적 관용의 관계에서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사회자본 중 신뢰는 매개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고, 네트워크는 단체 참여와 사회적 관용 사이에서 매개요인으로서 영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본 연구가 갖는 함의 첫째, 사회적 관용의 영향 요인으로서 단체참여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사회자본을 신뢰, 네트워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셋째, 단체참여가 사회적 관용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과 사회자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넷째, 단체참여가 사회적 관용에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것처럼 다양한 자발적 단체 참여를 통해 사회구성원들의 인식 개선이 필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다섯째, 단체참여를 통한 네트워크의 확장이 사회구성원의 의식을 개선하고 소수자에 대한 수용성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사회구성원 간의 자발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의식의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단체참여의 기틀을 마련해야 하며, 소수자 집단에 대한 의식 개선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Data-Driven 파라미터 추정 기법을 사용한 강화학습 외란 관측기 설계

        장수영 명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많은 전기기계 시스템들은 최종 제품의 형태나 제품 생산을 위한 도구로서 원하는 성능을 갖기 위한 정밀 제어를 필요로 한다. 특히 시스템 모델과 측정 가능한 상태 변수를 기반으로 하는 제어기의 설계의 경우 파라미터의 불확실성이나 측정 잡음을 포함한 다양한 외란의 영향으로 원하는 성능을 유지하지 못할 수 있다. 다양한 외란에 강인한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많은 방법 중 비례 적분 관측기 기반 제어기는 많은 연구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기법 중 하나이다. 하지만 비례 적분 관측기의 경우 외란 추정 성능을 위해 높은 관측이득을 사용할 때 측정 잡음에 취약해지는 문제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PIO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실제 시스템 파라미터를 추정하고 이를 활용한 외란 관측기를 설계하고 관측이득을 Deep Q-Network를 통해 결정하는 강화학습 외란 관측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강화학습 외란 관측기의 경우 파라미터를 추정하기 때문에 시스템에 인가된 실제 외란을 추정할 수 있다. 또한 Deep Q-Network를 이용하여 관측이득을 결정하게 되면 외란과 측정 잡음 모두에 강인한 추정 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제안하는 강화학습 관측기의 성능은 회전형 역진자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모의실험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이용한 실제 구현을 고려하여 이산 시간에서 진행되었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강화학습 관측기의 성능이 일반적인 외란 관측기에 비해 뛰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most electro-mechanical systems, robust controller design is an important issue to deal with various uncertainties including external disturbances. In particular, the design of controllers based on system models and measurable state may not achieve the desired performance due to the effects of various disturbances, including parameter uncertainty and measurement noise. Among many methods for maintaining robust performance against various disturbances, proportional-integral observer-based controller is one of the techniques used by many researchers. However, the proportional-integral observer could be vulnerable to the noise when high observer gain is used for disturbance estimation performance. This paper deals with a reinforcement learning disturbance observer that estimates the actual system parameters and determines the observed gain through the Deep Q-Network. Since the proposed observer is designed using the actual parameters, it has the advantage of estimating the actual disturbance. Determining the observed gain using the Deep Q-Network also provides robust estimation performance for both disturbance and noise. Rotary inverted pendulum system is used to test the proposed observer. The simulation was conducted at discrete time considering the actual implementation using a microprocessor. Through computer simulations, it i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controller has a robust performance against conventional observers.

      • 딥 스쿼트시 점수에 따른 근 활성도 비교분석

        장수영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muscle activity (EMG) of high and low scoring subjects while they perform a deep squat during the functional movement screen. After the evaluation of the deep squat,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even in a high-score group and seven in a low-score group, and the electromyograms (EMG) of six muscles such as the vastus medialis, vastus lateralis, rectus femoris, pectoralis major, lower trapezius, and latissimus dorsi were measured. For the measurements, Laxtha; Wemg-8, an EMG analysis device, and Telescan 3.1, an EMG analysis software, were use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test statistic and SPSS 18.0 version by obtaining the relative muscle load (RVC) value of the deep squat posture in the ready postur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during the deep squat, the relative muscle load (RVC) according to the deep squat sector for the ready posture was high in the rectus femoris in the 2-points group. Second, during the deep squat, the 3-points group had a lower relative muscle load in vastus medialis, rectus femoris, pectoralis major, lower trapezius, and latissimus dorsi than the 2-points group. It was confirmed that during the deep squat, the high score group exhibited coordinated movement in the terminal joints, while the low score group had relatively low muscle coordination. Based on this study, functional movement evaluations can be used as beneficial information for training of the general public and athletes, and are also expected to provide useful data for producing exercise programs that can prevent injuries.

      • AR 모델 및 LSQ 기반 변류기 2차 전류 복원기법

        장수영 명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CT는 계통에 흐르는 전류의 크기를 축소하여 그 전류를 계전기에 흐르게 함으로써 계전기의 보호기능을 가능하도록 하는 계기용 변압기이다. 이러한 CT에는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나 전력계통에서 전류의 측정은 대부분 철심을 사용하는 변류기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철심 변류기의 자성적 특성 때문에 포화 현상을 피할 수 없고, 이 경우 변류기를 통과한 2차 전류는 왜곡되어 계통의 1차측 정보를 정확하게 얻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변류기 포화는 각종 계전기의 오동작/부동작을 유발할 수 있고, 계전기의 감도를 저하시켜 계전기 동작 시간을 증가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이에 따른 별도의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변류기 포화 시 포화점 검출을 위하여 웨이블릿(Wavelet Transform), 또는 2차 전류의 차분을 이용하고 직류 옵셋 성분의 추정은 최소자승법(LSQ), 노치필터, AR 모델을 적용해 보았고, Sine 성분의 추정은 최소자승법(LSQ)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2차 전류의 신뢰성 높은 복원을 위하여 CT 포화점 이전 2차 전류를 CT 여자곡선의 특성을 이용하여 보정하고 포화점 근처의 2차 전류를 AR 모델을 이용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사례연구에서는 다양한 계통 조건 및 고장 조건에서 변류기 포화에 의해 2차 전류가 왜곡되었을 경우 제안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2차 전류의 추정이 가능함을 보였다. The current flowing though a power line is measured by a current transformer (CT). Since a CT is a kind of transformer, saturation of magnetic flux in the core may occur when a large primary current flows. This saturation makes the secondary current of a CT distorted and causes problems in the protection point of view. Because of the current distortion, a protection relay cannot collect the correct information showing how the primary power system changed. Consequently, the current distortion may cause the mal-operation or operation time delay of protective relay. In this paper, an algorithm based on AR model and LSQ is proposed to compensate the saturated CT secondary currents.

      • 한국 여자 대학생의 Iron, copper 및 Cobalt 섭취량과 배설량에 관한 연구

        장수영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21~23세의 여자 대학생 7명을 대상으로 4주간 평상시와 같은 생활 양식과 적정 체중을 유지 시키면서 각 대상자들이 섭취한 모든 음식과 배설한 대변 및 소변을 수거하여 iron, copper 및 cobalt의 함량을 측정하여 1인 1일당 섭취량과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lron 섭취량은 원자 흡광광도계로 측정한 실측치와 식품 분석표에 의거하여 얻은 계산치와의 관계를 비교하였다. 그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일 1인당 평균 iron 섭취량은 14.22±1.29mg, 대변을 통해 iron 손실량은 6.94±0.52mg, 소변을 통한 배설량은 1.25±0.20mg로 6.03±1.57mg의 양성평형을 보였다. 2. 1일 1인당 평균 copper 섭취량은 1.46±0.17mg. 대변을 통해 copper 손실량은 0.48±0.06mg, 소변을 통한 배설량은 0.06±0.01mg로 0.91±0.18mg의 양성평형을 보였다. 3. 1일 1인당 평균 cobalt 섭취량은 3.28±0.22mg. 대변을 통해 cobalt 손실량은 0.78±0.06mg. 소변을 통한 배설량은 0.54±0.06mg로 1.96±0.22mg의 양성평형을 보였다. 4. Iron 섭취량의 실측치는 14.22±1.29mg/day이었고 계산치는 15.52±1.41mg /day로 실측치가 계산치에 비하여 8.4% 낮았다.@new 393687 맥류의 Callus 유도에 적합한 2,4-D 농도를 구명하고 그로부터 내염성 callus를 유기할 목적으로 쌀보리인 영산보리, 광성, 무안보리, 백동 등 4품종과 밀인 그루밀, 올밀, 은파밀, 원광 등 4품종을 공시하여, Murashige 와 Skoog의 배지에 2,4-D를 0, 0.1, 0.5, 1, 2, 4, 8 mg/l 처리하였다. 종자로부터 callus 유기율을 조사하고, 유엽으로부터 callus를 유도하여 이들 callus에 NaCl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생존율을 조사하며, 계대배양하여 내염성 callus를 선발코자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종자에서 callus 유기율과 생체중은 2.4-D 4 mg/l 에서 가장 높았다. 2.4-D 무처리에서는 callus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맥종별로는 쌀보리가 밀보다 callus 유기율 및 생체중이 높았다. 2. 유묘의 치상 부위별 callus의 유기율과 생체중은 유묘기부와 기부상단 1절에서 높았고 밀보다 쌀보리가 높았다. 3. 유묘기부와 기부상단 제1절에서 callus 유기율과 생체중은 2.4-D 4 mg/l까지는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에서는 완만하였고 품종간에 차이가 인정되었다. 4. NaCl 400mM에서 callus가 유기되지 않았고 NaCl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callus 유기율과 생존율이 감소하였으며, 400mM 이상에서는 전혀 생존하지 못했다. 맥종별로는 밀에서 NaCl 농도 증가에 따른 피해가 심하였으며 callus 유기율에서 품종간의 차이도 인정되었다. 5. 일정한 NaCl 농도에서 형성된 callus를 농도가 더높은 배지에 계대배양할 경우 callus 생존율이 높아져 내염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였다. In this study measured were daily intakes and excretions of iron, copper and cobalt of eight 21~23 years old college women during four weeks by means of analyzing their food intake, urine and feces, while keeping their normal living pattern and maintenance of body weight. This study also compared the actual measurement value of iron intake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ry with the conversion value of it by food tabl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Daily mean intake, fecal and urine of iron were 14.22±1.29mg, 6.94±0.52mg and 1.25±0.20mg : the positive balance of 6.03±1.57mg. 2. Daily mean intake. fecal and urine of copper were 1.46±0.17mg, 0.48±0.06mg and 0.06±0.01mg : the positive balance of 0.91±0.18mg. 3. Daily mean intake, fecal and urine of cobalt were 3.28±0.22mg, 0.78±0.06mg and 0.54±0.06mg : the positive balance of 1.96±0.22mg. 4. The actual measurement value for iron intake was 14.22±1.29mg/day and its conversion value 15.52±1.41mg/day : the former was 6.8% lower than the latter.

      • 화력발전 보일러 지속 블로우다운 폐열의 활용에 대한 연구

        장수영 慶尙大學校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describes the measurement and utilization of waste heat generated from coal-fired power plants. Thermal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ccount for about 39% of total domestic power production. Some steam used for power generation is added to the boiler system through the blow down system, and the other are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scale of abandoned waste heat energy was measured and the utilization method was described. In the measurement of waste heat scale, the waste water heat is estimated by data of variation of replenishment amount of condensate in accordance with operating conditions of Soot Blower, assuming that the system number of thermal power generation system is completely closed cycle. Experimental results The waste heat emission is 5.78 tons per hour when steam is warmed up during the preheating period, It is abandoned at an energy of 575.1489 kJ/s. Such waste heat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renewable energy in a thermal power plant, such as supply of a steam-type air preheater as an auxiliary heat source and supply of an auxiliary heat source of a bath hot wa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