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로나19로 인한 중국 유학생들의 격리 기간과 해제 후 신체, 행동, 인지, 정서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

        장만리 순천향대학교 미래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1년 가까이 발생된 코로나19에 대한 공포심과 안전성이 높은 백신의 부재로 수많은 사람들의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감염질환 격리자의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대한 비교 연구는 많지 않아 코로나19 에 대응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특히 약 2주 동안 집단으로 격리되었던 대상자들의 신체, 행동, 인지, 정서 변화에 대한 비교 연구가 없어 본 연구는 중국 유학생을 대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약 2주간의 격리가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분석결과 및 제언 등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순천향대하교에서 약 2주간 집단관리로 격리되었던 135명 중국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했다. 조사항목은 주로 격리기간 및 격리해제 후에 경험한 증상(신체11개, 행동6개, 인지8개, 정서10개), 상태(7개) 및 방해 정도(10개) 등 있고 범주형 방법 McNemar로 분석 했다. 상태 항목들 중에서 “1.나는 격분하고 있다”(p<0.001), “2. 나는 짜증을 느끼고 있다”(p=0.003), "9.나는 속이 부글부글 끓고 있다”(p=0.004)가 격리기간과 격리 해제 후에 격리자들이 심리적인 증상에 대한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항목들은 p>0.05이므로 격리기간 및 격리해제 후에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대한 큰 변화가 없었다. 세부 항목들을 종합하며 증상, 상태 그리고 방해 정도를 다시 분석해 보았으나 여전히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격리해제 후에 부정적인 응답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격리 학생 중 코로나19 확진자가 나오지 않았지만, 코로나19 자체의 위험성보다 격리기간에 겪는 심리적 영향과 활동에 대한 제한이 신체, 행동, 인지, 정서에 부정적인 영향을 더 크게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학부모, 교사 그리고 학생 3가지 구성원으로 지원해 공중매체, 플랫폼, 심리건강 교양과목 또는 개인적인 심리상담을 활용하여 인지, 정서적인 체험 및 활동 등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는 맞춤형 지원체계가 필요하다. The fear of COVID-19 that has occurred for nearly a year and the absence of highly safe vaccines have negatively affected the body,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s of numerous people. In addition, there are not many comparative studies on the body,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 of the people isolated because of infectious diseases. So continuous and diverse studies are needed to deal with COVID-19. In particular, there are no comparative studies on changes in the body,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s of the people who experienced quarantine in a group for two weeks, so this study intended to verify how the two weeks quarantine impacted on physical,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 of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The result data was used and analyzed for suggestions. A survey was conducted of 135 Chinese international students who were quarantined in a dormitory of a university in South Korea for two weeks. The survey items were mainly about symptoms(11 physical, 6 behavioral, 8 cognitive, 10 emotional), state(7), and degree of disturbance(10) experienced after COVID-19 Quarantine. The results were studied with the categorical method of McNemar. Among the status items, "1. I'm infuriated“(p<0.001), "2. I'm feeling annoyed”(p=0.003), “9 .I'm upset”(p=0.004) during or after the quarantine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psychological symptoms. The rest of the items were p>0.05, so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physical, behavioral, cognitive, emotional changes caused by the quarantine. Although the detailed items were synthesized and studied again for symptoms, conditions, and degree of interference, stil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However, negative responses tended to increase after release of the quarantine. In conclusion, although there were no COVID-19 confirmed cases among quarantine students, it was found that the psychological effects and restrictions on activities experienced during the quarantine period had a greater negative impact on physical, behavioral, cognitive, emotional changes than the risk of COVID-19 itself. Therefore, I think that a customized support system that can provide services such as cogni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activities by using public media, platforms, psychological health liberal arts courses or pers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is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