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梯子型 웨이브 디지탈 필터의 캐노닉實現에 관한 硏究

        장대식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canonic realization of LC ladder wave digital filters is introduced by the wave digital filter using adaptors, and computer simulation is carried out.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Nearly the same response characteristics are obtained regardless of the member of multipliers or the values of multiplier coefficients. 2. Ladder wave digital filters having attenuation poles at finite nonzero frequencies are canonic in number of delays

      • 이미지변형을 통한 역설적 표현에 대한 연구

        장대식 弘益大學校 美術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 활동은 세계를 파악하는 인식의 창이다. 따라서 예술 활동은 변화하는 상황을 반영해야 한다. 오늘날 그 어느 때보다도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들은 그러한 변화에 적응하려 노력하지만 변화의 속도를 채 따라가지 못한다. 여기에서 고도 물질 문명으로부터의 인간 소외가 발생하는데, 소외된 인간은 무엇을 통해서든지 위안을 받으려 한다. 예술 활동이 이러한 현실을 반영할 때 인간은 예술 작품을 통하여 자신이 처한 현실을 직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인의 작업은 현실에 대한 관심에서부터 출발한다. 여기서 말하는 현실은 고정불변의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개념이 아니다. 그것은 인식 주체인 인간에 의해 규정된 상대적 이고 주관적인 개념이다. 그리고 현실을 파악하는 인간의 인식 능력은 사회적, 역사적 측면과 밀접한 상관 관계 속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인의 작업에는 본인의 개별적 경험에 의한 사회적 현실에 대한 인식이 역설적 방법을 통해 반영되어 있다. 한편 예술이 사회를 파악하는 인식의 창이라면, 예술에는 사회적 기능이 있다. 따라서 본인의 작업은 본인의 경험과 밀접하게 관련된 사회적 현실을 반영한다. 본인의 작품은 주로 부 정적 측면 즉 환경 오염과 물질주의, 비인간화 등을 비판적으로 다루는데, 주로 이미지 변형을 통해 상징적이고 은유적인 방법을 사용한다. 이것은 현실의 모순을 충분히 인지하지만, 그것에 대한 직접적인 표현 방식보다는 우의적이고 감성적인 표현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이다. 본인의 작품은 내용적인 면에서는 일상적인 사회적 현실을 다루는데, 특히 비판적인 관점을 갖고 환경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그리고 형식적인 면에서는 비교적 구체적인 형상으로부터 추상적인 형태에 이르기까지 그 폭이 넓다. 이러한 표현 방식은 현실에서 동시에 벌어지는 여러 상황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기에 적합한 방법을 찾고자 하는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다. 또한 단순한 형식의 변화만이 아닌 이미지 변형에 의한 역설적 표현 방법도 사용한다. 조형적 요소를 구체적으로 보면, 우선 대상이 되는 소재들은 그 자체의 특성보다는 비판적인 생각을 나타내려는 의도에서 선택되었는데, 변형과 상징을 통해 표현된다. 색채 사용에 있어서는, 물질 표면의 색만이 아닌 현실에 대한 감성을 드러내는 색상을 사용하는데, 가라앉은 저채도와 중채도의 색을 많이 사용한다. 그리고 촉각적이면서 변화 있는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풍부한 감성을 전달하려 한다. 다소 혼란스럽게 보여질 수 있지만 결국 본인 작업의 전반적인 주제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인은 이러한 비판적 시각이 상징적이고 은유적인 성격의 작품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고 본다. 본인은 작업의 심도 있는 표현을 위해서는 단지 표피적인 상황의 반영과 감정의 분출에 그쳐서는 안 된다고 본다. 그리고 현실에 대한 총괄적이고 비판적인 시각을 유지하고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기존 방식에 얽매이지 않는 더욱 적절하고 창의적인 형식과 매체 사용이 요구된다고 본다. Artistic activity is a kind of cognitive window through which we recognize our world. Therefore, it should reflect ever- changing circumstances. Our human-beings, who are living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try to adapt themselves to the change, however, they are not able to catch the speed of the change and they become alienated from a highly materialistic civilization. This alienation makes people try to find their comfort from whatever they are. Human-beings will be able to face the realities, which they belong to, through art works when they reflect those realities. Therefore, my work starts from my interest in realities. The term reality here is not the concept that is unchangeable, objective, and universal. Rather, the term should be understood as the relative and subjective concept regulated by human as the subject of cognition. This cognitive power is formed and developed in the close interactions with the social and historic aspects. Using paradoxical method, I reflect in my works how I recognize social realities I experience. If art is a cognitive window through which we recognize our society, it necessarily has a social function. 1herefore, my works reflect social realities closely related to my own experiences. Dealing with the negative aspects of our society such as environmental pollution, materialism, and dehumanization, I use the symbolic and metaphorical methods through the transfiguration of images in my works. This is because I prefer allegorical and emotional way of expression to the direct expression of realities even though I fully recognize the contradiction of realities. With regard to their contents, my works deal with common social realities, partictl1arly focusing on environmental problems in a critical view, My works are very broad in their forms, ranging from relatively realistic images to abstract forms. These methods are utilized in an effort to find some proper ways to reveal the diverse situations that are simultaneously shown in a real world. In addition, I not only change forms but also use the paradoxical way of expression through the transfiguration of images. When we examine the specific elements of forms, we should keep in mind the fact that the materials, which are used as the objects, have been selected not because of their unique qualities but because of their effectiveness in expressing critical perspectives which are accentuated by some transformation and symbolism. In the use of colors, I try to express not only the real colors of the surface of materials but also the sensitivity toward realities in the low-color-scale that wears the tints of gloomy. In addition, I focuses on delivering the feeling of opulent sensitivity by using tangible and various materials. This may be seen chaotic, however, the main purpose of my work is to express some critical view toward realities as they are. And I think that this critical view could be expressed effectively in the symbolic and metaphoric ways. For a profound expression of ideas, it is important not to be seized by merely superficial reflection of situations and emotional explosion. In addition, I believe that I need to use more suitable and creative forms and media beyond the existing methods in order to keep maintaining and expressing a comprehensive and critical view toward realities.

      • 학생 창업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C대학의 창업교육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장대식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창업 트렌드에서 학생창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더구나 창업을 장려하는 정부의 정책과 지원확대는 물론, ‘창업’이 국가의 새로운 성장동력 중 한 가지로 꼽힐 만큼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대학의 경우 학생들의 창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창업교육이 시행되면서 단순한 역량강화를 넘어 우수한 아이디어나 아이템을 통해 창업에 이르는 학생창업자들의 사례도 배출되고 있다. 학생창업자들의 창업을 지속가능하고 성장 발전할 수 있는 성공창업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대학 내 창업교육이 보다 체계적이고, 사회수요와 산업트렌드를 반영하는 시스템의 확립이 필요하다. 학생창업자들이 창업 전·후를 통해 겪는 다양한 애로사항 중에서 아이디어와 기술기반의 아이템을 발굴하는 모든 단계에, 아이템에 적합한 목표시장 발굴과 목표고객 설정 등 창업 아이템의 성공적인 시장진입을 도울 수 있는 실질적인 마케팅역량을 배양해야 한다는 목소리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일반인 창업자들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난 애로사항이다. 따라서, 대학 내 창업 교육은 그 기본적인 역량강화 교육으로 실전 마케팅 전략을 구사할 수 있는 역량을 배양토록 학생창업자들에게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며, 이를 시스템적으로 지속할 수 있는 대학 내 창업자원 마케팅 역량강화 교육과정 개발전략의 구축이 요구된다. 또한, 대학 내 학생창업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창업자들의 DB를 구축하여 후속지원을 관리하고 계량화하는 체계적인 학생창업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대학 내 학생창업의 교육, 지원, 후속관리를 통합 관리토록 제도개선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학생창업의 실패와 성공 요인을 분석하고 창업에 미치는 영향을 선행연구를 통해 검토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학생창업교육의 선도모델을 살펴봄으로써 대학 내 학생창업 시스템의 고도화 필요성을 제기하고 제도화하는 데 기여하고자함에 그 목적이 있다. Lately in the entrepreneurship trend, student entrepreneurship is gradually becoming more of an importance.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been promoting entrepreneurship through grants and support because “entrepreneurship”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the growth of the country. Especially when it comes to colleges, there have been instances where through the wide variety of college courses related to entrepreneurship, student entrepreneurs were able not only to learn the fundamentals of entrepreneurship but also to create an entrepreneurship idea that they could carry out. There is a need for colleges to establish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that is systematic, reflects the business trend and social demands to take the continuous growth potential of student entrepreneurs and lead them to create successful entrepreneurships. The student entrepreneurs have lots of difficulties on market access, so we need to focus on developing real marketing capability for setting the target market and customer of their start-up items. The market access is a difficulty that other entrepreneurs face too. Thus, entrepreneurship courses given at colleges have to include systematic marketing education and needs to build up the system for the continuous developing the students‘capability of marketing. The portal system is also required for the follow up management of their start up achievement DB records like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activity records. It is very helpful to improve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entrepreneurs. In conclusion, this article proposes to raise awareness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an entrepreneurship program in colleges that has been upgraded by improving upon previous student entrepreneurship programs thorough analyzation of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student entrepreneurship, and the leading model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n predicts the problems through the advanced research.

      • Characterization of Amino Sugar Formation in Red Ginseng Preparative Manufacturing

        장대식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Maillard 갈색화 반응은 홍삼이나 홍삼제품류의 품질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다. 통내백홍삼과 내백홍삼의 백색조직은 가장 낮은 품질요인으로 분류된다. 무엇보다도, 통내백홍삼 및 내백홍삼은 매우 낮은 갈색도를 나타내거나 또는 거의 백색에 가까운 색도를 나타낸다. 이들 홍삼류에 대한 13종의 ginsenosides HPLC 분석결과 매우 유사한 패턴을 보여주었으나, 총 ginsenosides 함량은 정상홍삼이나 내백홍삼에 비하여 통내백홍삼에서 다소 높았다. amino sugars 함량은 이들 홍삼류에서 다른 경향을 보여주었다. Arginyl-frutosyl-glucose(Arg-fru-glc) 함량은 정상홍삼에서 21.75±1.89 mg/g, 내백홍삼 19.34±1.18 mg/g, 통내백홍삼은 4.06±0.66 mg/g 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홍삼 제조과정 중에 전분질로부터 상당량의 maltose가 생성되어 arginine과 반응하였음을 시사 하여준다. 그러나 통내백홍삼의 경우에는 arginine (12.02±0.56 mg/g), glucose (159.81±17.49 mg/g), fructose (43.40±2.76 mg/g) 및 sucrose (98.75±4.37 mg/g)가 더 많이 함유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내백홍삼의 Arg-fru-glc 함량은 정상홍삼이나 내백홍삼에 비하여 훨씬 낮았다. 결론적으로 홍삼 제조과정 중에 전분으로부터 maltose가 적게 생성되어 arginyl-fructosyl-glucose의 생성량이 낮은 요인으로 간주되었다. 홍삼의 부위는 백삼의 부위에 비하여 아미노당 함량이 높았는데, 이것은 홍삼의 증삼・건조 과정 중에 Maillard type 갈색화 반응이 촉진되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아미노당 성분인 Arg-fru-glc 함량은 홍삼의 부위에서 0.17∼34.41 mg/g 이었고, 함유량 순위는 중미, 대미, 중심부 > 세미 > 피층 >>> 뇌두, 껍질 순이었다. 따라서 홍삼의 부위별 아미노당 분석결과는 홍삼과 백삼의 품질과 상관성이 높음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13종 ginsenoside 총함량은 홍삼과 백삼의 부위에서 유사한 경향이었고, 세미 > 껍질 > 뇌두 > 중미 > 피층 > 대미 > 중심부 순이었다. 이와같은 ginsenoside 분석결과는 홍삼과 백삼의 품질평가에 합당한 근거를 제시해주지 못하였다. 홍삼 제조과정 중 ginsenosides 함량은 수삼을 40∼70℃에서 0.5∼6 시간별 예열처리 조건에 따라서 9.35→15.71 mg/g으로 증가하였고, 홍삼 제조과정 중에는 10.77→15.58 mg/g으로 증가하였다. 예열처리 과정에서 전분질의 젤라틴화로 전분질 함량은 45.4→19.95 mg/g으로 감소된 반면 maltose와 glucose는 27.2→223.9 mg/g과 22.5→115 mg/g으로 증가되었다. 이와 같이 증가된 maltose와 glucose는 arginine과 반응하여 Arg-fru-glc 함량은 0.19→25.56 mg/g 및 arginyl-fructose 함량은 0.17→1.11 mg/g으로 각각 증가되었다. 이와 같은 예열처리 과정을 거친 인삼시료는 Maillard type 갈색화 반응 모델시스템에서 아미노산 및 당류 첨가시 갈색화 반응이 현저하게 촉진되었다. 수삼 분쇄물에 arginine과 당류를 첨가하여 홍삼 제조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제조된 model system에서 아미노당의 형성은 뚜렷한 경향을 보여주었다. arginine과 당류를 첨가한 model system에서는 Arg-fru-glc 생성은 억제되었다. 수삼 분쇄물 model system에서 Arg-fru-glc 함량을 비교해 볼때 0.05M maltose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43.43±5.77 mg/g > 0.05M arginine과 0.05M maltose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31.34±1.89 mg/g > 아미노산과 당류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에서는 24.22±1.75 mg/g 이었다. 한편, Arg-fru 함량을 비교해 볼 때 0.05M glucose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26.36±1.54 mg/g > 0.05M arginine과 0.05M glucose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22.05±2.06 mg/g > 0.05M arginine과 0.05M maltose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20.67±4.03 mg/g > 0.05M arginine과 0.05M fructose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13.84±1.72 mg/g > arginine과 당류를 첨가하지 않은 시험구는 8.68±0.84 mg/g이었다. 따라서 홍삼 제조과정 중의 Arg-fru-glc 및 Arg-fru의 생성량은 원료수삼에 함유된 arginine 및 당류의 함량과 상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홍삼을 60∼98℃로 가열처리함에 따른 Maillard 갈색화 반응촉진과 ginsenosides의 비효소적 전환에 대한 상관적 관계를 검토하였다. 가열처리 조건에 따라 갈색도는 0.09→0.57로 현저하게 증가되었고, pH는 5.72→3.90으로 뚜렷하게 감소경향을 보였다. 총 13종의 ginsenosides함량은 가열온도와 시간이 증가됨에 따라 11.58→5.5 mg/g로 감소하였으며, 홍삼의 스팀가열처리 공정에서 인삼사포닌 구조 중 protopanaxadiol 및 protopanaxatriol ginsenosides의 C-20의 배당체 결합은 C-3, C-6의 배당체 결합이나 당류결합보다 쉽게 가수분해 됨을 알 수 있었다. 홍삼의 스팀가열처리 공정에서 현저한 변화는 ginsenoside Rb1 (2.41±0.38→0.45±0.09 mg/g), -Rb2 (1.25±0.29→0.23±0.11 mg/g), -Rc (1.52±0.26→0.25±0.12 mg/g) and -Rd (0.41±0.15→0.30±0.03 mg/g)에서 20(S)-Rg3 (0.04±0.02→1.20±0.05 mg/g) and 20(R)-Rg3 (0.02±0.01→0.60±0.02 mg/g)으로 생성이 증가되었고, 또한 Re (1.22±0.01→0.07±0.03 mg/g)에서 20(S)-Rg2 (0.14±0.03→0.72±0.15 mg/g), 20(R)-Rg2 (0.04±0.02→0.62±0.04 mg/g)로 생성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홍삼의 스팀 가열처리 방법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전환방법과 연계시켜서 원하는 갈색도를 얻거나 ginsenoside-Rg2(S), -Rg2(R), -Rg3(S), -Rg3(R) 및 -Rh1 등의 선택적인 전환 방법으로 활용이 가능하였다. Ginseng contains medicinal ingredients that include ginsenosides, which are saponins unique to ginseng and have different structure from saponins in other plants. Brown color intensity of the Maillard type-browning reaction has been a major factor to evaluate the quality of red ginseng and its products. The 13 ginsenoside patterns of HPLC were very similar in these red ginsengs but total ginsenoside contents were a little higher in inside & outside white red ginseng (IOWRG : 16.11±0.41 mg/g) than normal red ginseng (NRG : 12.96± 0.92 mg/g) and inside white red ginseng (IWRG : 14.15±1.12 mg/g). Differently from the ginsenoside contents, the amino sugar contents gave the different tendency in the red ginsengs. The contents of arginine-fructose-glucose (Arg-fru-glc) were 21.75±1.89 mg/g in NRG, 19.34±1.18 mg/g in IWRG and 4.06±0.66 mg/g in IOWRG. The content of maltose was also very low as 8.10±1.35 mg/g in IOWRG compared with 98.53±5.95 mg/g in NRG and 100.73±6.71mg/g in IWRG.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iderable amount of maltose was produced from starch and reacted with arginine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red ginseng. But in spite of more reasonable contents of arginine (12.02±0.56 mg/g), glucose (159.81±17.49 mg/g), fructose (43.40±2.76 mg/g) and sucrose (98.75±4.37 mg/g) in IOWRG, the Arg-fru-glc contents of IOWRG were very lower than those of NRG and IWRG. The parts of red ginseng showed higher contents of the amino sugar than those of white ginseng, suggesting that the amino sugar was increased by the Maillard reaction on the steaming and heating dry processes of red ginseng. The contents of an amino sugar, Arg-fru-glc, were shown 0.1∼34.4 mg/g and high in the order of mid tail root, big tail root, xylem > fine tail root > cortex >>> rhizome, epidermis in the parts of red ginseng. But the contents of thirteen ginsenosides showed the alike tendency as 5.82∼60.00 mg/g and high in the order of fine tail root > epidermis > rhizome > mid tail root > cortex > big tail root > xylem in the parts of red ginseng and white ginseng. From the results, it can be concluded that ginsenoside contents did not give any reasonable results but amino sugar contents gave some reasonable results for the quality evaluation on the Maillard type-browning reaction of red ginseng. The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s and the formation of amino sugars were observed on the preparation process of red, and white ginseng. The ginsenoside contents increased from 9.35 to 15.71 mg/g on the preheating processes of raw ginseng at 40∼70℃ for 0.5∼6 hours and increased from 10.77 to 15.58 mg/g on the steaming and heat-drying process of red ginseng. On the other hand, the preheating treatments of raw ginseng were found to increase the enzymatic hydrolysis of starch (45.41→19.95%) to maltose (27.28→223.97 mg/g) and glucose (24.00→115.03 mg/g). The maltose and glucose from starch and polysaccharides increased to react with arginine and brought about the increases of Arg-fru-glc (0.19→26.56 mg/g) and Arg-fru (0.17→1.11 mg/g) by the accelerations of the Maillard type-browning reaction on the process of red ginseng. And the browning reaction of ginseng was more remarkably accelerated with the addition of amino acids than that of sugars in the model systems. The Maillard type-browning reactions were continuously promoted in the model system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amino acids and sugars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red ginseng. The formation of amino sugars showed the apparent tendency in the model systems of raw ginseng prepared by the adding an arginine and sugars on the red ginseng manufacturing process. The formation of Arg-fru-glc was by the adding an arginine and sugars except the system of the adding an arginine and maltose. The contents of Arg-fru-glc were 43.47±5.77 mg/g in the system of the adding an 0.05M maltose > 31.34±1.89 mg/g in the systems of the adding an 0.05M arginine and 0.05M maltose > 24.22±1.75 mg/g in the system without the adding of an arginine and sugars.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Arg-fru were 26.36±1.54 mg/g in the system of the adding 0.05M glucose > 22.05±2.06 mg/g in the system of the adding 0.05M arginine and 0.05M glucose > 20.67±4.03 mg/g in the system of the adding 0.05M arginine and 0.05M fructose > 8.68±0.84 mg/g in the system without the adding an arginine and suga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celeration of Maillard type-browning reaction and the nonenzymatic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s by steaming heat treatments of red ginseng at 60∼98℃ according to it's duration. The brown color intensities of red ginseng (0.03±0.01→0.47±0.02) were remarkably increased and their pH (5.63±0.08→4.25±0.08) were distinctly lower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heightened and the heating time extended. The glycoside, and sugar bonds of saponins were nonenzymatically hydrolyzed,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otal major ginsenosides (10.27±1.22→5.56±0.28 mg/g) according to the increases of temperature and heating time. The glycoside bonds at C-20 of protopanaxadiol, and protopanaxatriol ginsenosides were more readily hydrolyzed than the glycoside bonds at C-3 and C-6 and sugar-sugar bonds of those by the steaming heat treatments of red ginseng. The remarkable transformations were the increase of 20(S)-Rg3 (0.04±0.02→1.20±0.05 mg/g) and 20(R)-Rg3 (0.02±0.01→0.60±0.02 mg/g) from the hydrolysis of ginsenoside-Rb1 (2.41±0.38→0.45±0.09 mg/g), -Rb2 (1.25±0.29→0.23±0.11 mg/g), -Rc (1.52±0.26→0.25±0.12 mg/g) and -Rd (0.41±0.15→0.30±0.03 mg/g), and the increase of 20(S)-Rg2 (0.14±0.03→0.72±0.15 mg/g) and 20(R)-Rg2 (0.04±0.02→0.62±0.04 mg/g) from the hydrolysis of ginsenoside-Re (1.22±0.01→0.07±0.03 mg/g). Accordingly, the steam heating processing of red ginseng can be used alone or together with other conversion systems to get the desirable brown color intensities and the selective transformations of ginsenosides in red ginseng and its products.

      • 인천 목재산업의 클러스터화에 관한 연구 : 인천 북항을 중심으로

        장대식 청운대학교 산업기술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Currently, 99.7% of Korea's exports and imports volumes are handled by maritime transport through the ports nationwide. And especially, 52% of nation's timber freight cargo volumes are treated in Incheon Port. Based on these facts, I tried to sugges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imber cluster around the Incheon Port, its components and key factors by summarizing implications and comparing with other examples. This paper is focused on success possibilities of timber industry's clusterization by researching current status of timber industry around Incheon port including other ports in Korea and analyzing Korean timber cargo throughput. And by the survey targeted to companies and port operators in Incheon North Port, I tried to carry out real field's opinions and ideas. 60% companies of Incheon's timber industry are small-businesses with employees under 20, so there could be a synergy effect from moving in specialized enterprises such as Preservative companies. For example, due to increasing variety of handling products, each companies can establish its own complimentation and competition system, and by this, may have a growth chance as regionally specialized industry. Incheon has higher possibilities than the other cities to become the hub center of timber industry because timber industry has long tradition in Incheon and the largest timber import port, Incheon Port, is in it. Furthermore, Incheon has lage-scale wood processing industry behind with massive demands market around Seoul metropolitan area. Therefore, if timber cluster developed at Incheon North port hinterland site, and make synergy at overall timber industry with institutional supporting policies, timber industry will help not only to develop entire industry but to contribute at Incheon's regional economy as an Incheon Port's specialized carg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