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릎인공관절치환술 Critical pathway 개발

        임효영 계명대학교 의료경영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income and education levels improve, health care is considered to be a right that everyone is entitled to a proper medical care in Korea. The change in the perspective of access to health care services has initiated a great increase in demands of high quality health care. The increased demands have imposed the responsibility for providers to be more conscious of efficiency and effectiveness in providing medical care. The application of critical pathway(CP) method in the medical practices is one way of responses for health care organization to fulfill the responsibility. The CP sets goals in advance and makes efforts to achieve the goals in the most efficient way. The CP is a multi-disciplinary planning for patient management, providing a proper arrangement of medical actions within a time fra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CP, which provides a quality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TKRA) service within a resonable range of costs. The baseline data for the study were collected from the medical records of the 50 cases of TKRA performed and their expense occurrence data in a general hospital. Based on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and the recommendations of the CP development team, a CP model that standardizes the necessary medical treatments, eliminates the unnecessary or improper treatment and minimizes the waste of resources is developed. The quality of care aspects of the CP were validated by a positive evaluation of two orthopedists and by the relatively low level of within 1 month after discharge re-hospitalization rate (1.5%). The costs of performing the CP were within the rage intended which was less than 6,000,000 Won with average costs 5,600,000 Won. 국민 소득과 교육 수준의 향상으로 건강은 국민의 기본 권리로 인식되고 있다. 건강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양질의 의료 서비스에 대한 욕구 증가를 가져오게 되었고 이러한 국민적 욕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의료서비스 공급자들은 의료서비스 제공에 있어서 효율성과 효과성을 더욱 더 의식하게 되었다. 따라서 의료계로 하여금 이러한 책임감을 만족시키기 위한 노력의 한 방법이 Critical Pathway의 도입이다. CP는 목표를 미리 설정하고,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며, 정해진 시간 틀 내에서 의료행위들을 적절하게 지정하여 놓은 다 학제간 환자 관리 계획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적절한 비용으로 환자에게 양질의 무릎인공관절치환술을 제공 할 수 있는 CP의 개발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의 기초 자료는 일개 종합병원에서 TKRA 시술을 시행한 50명을 선정하여 그들의 의무 기록과 비용 발생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에 CP개발팀의 의견을 수렴하고 필수적인 진료 내용을 표준화하고 불필요하거나 부적절한 진료 내용을 최소화하여 자원의 낭비를 최소화하는 CP 모델을 개발하였다. CP의 질적 타당성은 2명의 정형외과 전문의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얻은 상태이며 퇴원 후 한달이내 재입원 한 재입원율은 상대적으로 1.5%로 낮았다. CP의 총진료비는 6백 만원 이내로 결정하였으며, 평균 진료비는 560만원이 발생되었다.

      •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망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효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망이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가족, 이웃, 친구, 사회참여단체 등 기존 사회적지원망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중년기의 올바른 적응과 생활만족도를 향상시켜 보다 성공 적인 중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키 위함이다. 2000년 5월 10일부터 5월 30일 까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순천시, 보성군, 무안군)에 거주하면서 배우자가 있는 만40∼59세 사이로 막내자녀가 중학교 재학이상인 중년기 기혼여성 3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AS/PC프로그램을 활용하여 Cronbach' α계수, 빈도, 백분율, 척도평균, 문항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Duncan의 다중비교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단계적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망별 지원유형 정도와 친밀감, 접촉빈도, 생활만족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면, 먼저 사회적지원망별 지원유형정도는 문항평균 3.32점으로 중간(3.00)보다 다소 높은 점수를 보이고 있으며 유형별로는 사교적 지원>물질적 지원>정서적 지원>정보적 지원의 순으로 지원을 받고 있었고, 시가친족과는 물질적 지원을 주로 받고있고, 친정친족과 친구, 이웃과 사회단체와는 사교적 지원을 주로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밀감은 전반적으로 문항평균 3.42점으로 중간(3.00)보다 높은 점수를 나타내고 있으며, 친구>친정친족>이웃>시가친족>사회단체의 순으로 친밀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촉빈도는 문항평균 3.26점으로 중간(3.00)보다 약간 높은 점수를 나타내며 이웃이나 친구와는 좀더 자주 접촉하는 반면 사회단체와의 접촉 빈도는 낮게 나타났다. 친정친족과 시가친족을 비교해 보면 시가친족보다는 친정친족과 더 자주 연락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생활만족도의 일반적 경향은 전반적으로 문항평균 3.27점으로 중간(3.00)점수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망별 지원유형 정도, 상호관계 특성, 생활만족도의 차이를 살펴보면 먼저 사회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지원유형 정도에서 친정친족의 지원유형 정도는, 남편의 직업이 단순노무직인 경우가 다른 직종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시가친족의 지원유형 정도에서는 확대가족이 높게 나타났고, 친구의 지원유형 정도에서는 연령이 50∼54세인 집단과 학력이 중졸이하인 집단, 거주기간이 6년 이상인 집단, 결혼기간이 25∼30년 이상인 집단, 남편의 직업이 농·어업인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이웃의 지원유형 정도는 연령이 45∼49세인 집단에서 높았으며 거주기간도 유의차는 나타나나 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사회단체와의 지원유형 정도는 거주기간이 3년 이상인 집단과 비 취업 집단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호관계 특성에서 친밀감은 친정친족과는 확대가족인 집단과 단독 주택에 거주하는 집단, 거주기간이 6년 이상인 집단과 남편의 직업이 농·어업인 집단에서 높았고, 시가친족과는 학력이 중졸 이하인 집단이 높았고 거주기간은 유의차는 있으나 집단간 차이는 없었다. 친구와는 학력이 대졸 이상인 집단과 거주기간이 3년 이상인 집단, 월 평균소득이 301만원 이상인 집단과 막내자녀가 중학교 재학인 집단 그리고 남편의 직업이 농·어업인 집단에서 친밀감 높게 나타났다. 이웃과는 월 평균소득이 101∼200만원인 집단이 높았고, 사회단체와는 막내자녀가 유의차 보였으나 집단간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편의 직업이 농·어업인 집단에서 사회단체와 친밀감 높게 나타났다. 여기에서 두드러진 특징은 남편의 직업이 농·어업인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친정친족, 친구, 사회단체와 더 친밀하게 지내고 있었다. 접촉빈도는, 연령이 50세 이상인 집단은 이웃과, 50∼54세인 집단은 사회단체와 접촉빈도가 높았으며 학력이 고졸 이상인 집단은 친정친족과 고졸 이하인 집단은 이웃과 접촉빈도가 높았다. 또한 주택형태가 아파트나 연립일 경우는 친정 친족과 사회단체와의 접촉빈도가 높았고, 결혼기간이 15년 이하인 집단은 친정친족과 25∼30년 이상인 집단은 이웃과 접촉빈도가 높았다. 또한 막내자녀가 중학교 재학인 집단은 친정친족과의 접촉빈도가 높았으며, 월 평균소득이 201∼300만원인 집단은 친정친족과, 101∼200만원인 집단과 301만원 이상인 집단은 시가친족과, 101∼200만원인 집단은 이웃과 접촉빈도가 높았다. 그리고 비 취업 집단이 이웃과 사회단체와의 접촉빈도가 높았고, 남편의 직업이 단순노무직인 집단에서 친구와의 접촉빈도가 높았다. 다음으로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중년기 기혼여성의 전체 생활만족도의 차이는, 월 평균소득이 301만원 이상인 집단과 종교가 불교인 집단 그리고 비 취업 집단이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년기 기혼여성의 사회적지원망의 지원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는 지원유형에서는 각지원망별로 모두 총 지원이 높은 집단이 높게 나타났다. 즉 사교적·물질적·정서적·정보적 지원을 많이 받는 집단일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았다. 상호관계 특성에 따른 생활만족도의 차이는 친정친족과 친구는 친밀감, 시가친족과 이웃, 사회단체와는 친밀감과 접촉빈도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년기 기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친정친족의 정서적 지원, 시가친족의 접촉빈도, 친구 정서적 지원, 친정친족과의 친밀감 순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인들은 생활만족도를 30% 설명해 주고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중년기 기혼여성의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족, 이웃, 친구, 사회단체 등, 사회적지원망의 중요성을 올바로 인식하고 이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또한 적극적인 활용방법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and consequently to furnish useful basic data which are available to have satisfactory mid-life by positively utilizing social support network, such as family, neighbors, friends and social organizations and increasing the life satisfaction. The research survey was conducted by structural questionnaire with 395 wives residing in Kwang ju and Chonnam(Suncheon, Bosung, and Muan), -from May, 10, 2000 to May, 30, 2000-who were 40 to 49 years old and whose youngest child was in the middle school. The data were analysed by the statistical methods such as Cronbach's α coefficient, frequency, percentiles, mean,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AS/PC Program.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In the general trends of interaction between social support network and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the point of social support was 3.32, which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point, and they received companionable support the most, and then instrumental,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in that order. Especially, from husband's family of origin, they got instrumental support more than any other, and from wife's family of origin ,friends, neighbors, and social organizations, they had most emotional support. The point of intimacy was 3.42 higher than the average point 3.00. High was intimacy with friends, and then husband's family of origin, neighbors, and social organizations in that order. Contact frequency (3.26) showed slightly higher than the average point. High was frequency in contact with neighbors and husband's family of origin. On the contrary, frequency in contact with social organizations was 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3.27) was a little higher than the average. 2.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of the difference of the life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married middle -aged women due to socio-demographic variables, 1) support pattern: the degree of support from wife's family was high in the group of those whose husband had other occupation than simple working, the degree of support of the their husband's family of origin in the group of extended family, the degree of support of friends in the group of those who were 50 to 54 years old, who possessed academic attainments not high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and the degree of support of neighbors in the group of those 45 to 49 years old. 2) intimacy: the degree of intimacy with wife's family was high in the groups of those who kept the extended family, who lived in a single house, who resided for more than 6 years and whose husband were in farming and fishery line, the degree of intimacy with their husband's family of origin in the group who possessed attainments not higher than those of middle school, the degree of intimacy with friends was high in the groups of those who possessed attainments not lower than those of college, who resided for more than 3 years, who earned more than three million Won a month, whose youngest child was in the middle school, and whose husbands were engaged in farming and fishery. Especially, the remarkable aspect was that the group of women whose husbands were in farming and fishery line had more intimacy with the wife's family of origin, friends and social organizations than with the other ones. 3) contact frequency: the group more than 50 years old showed high frequency in contact with neighbors, the group 50 to 54 years old in contact with social organizations, the group who possessed attainments not lower than those of high school in contact with neighbors, the group who lived in the apartment or the same as that in contact with wife's family of origin and social organizations, the group who had been married for less than 15 years in contact with wife's family of origin and for 25 to 30 years with neighbors, the group who earned two million ten thousand to three million Won a month in contact with wife's family of origin, more than three million Won with their husband of origin and one million ten thousand to two million Won with neighbors, the group who were in unemployment in contact with neighbors and social organizations and the group who were engaged in simple working in contact with friends. 3. Concerning the differences of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 -aged women by the support of social network, the higher the supports total of social network, such as companionable, instrumental, emotional, and informational support,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and for the difference of life satisfaction by the patterns of interaction, the higher the intimacy in wife's family of origin and friends and the higher the intimacy and contact frequency in husband's family of origin, neighbors, and social organizations, the higher the life satisfaction 4. The variables influenc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were income, emotional support from wife's family of origin, contact frequency with husband's family of origin, the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friends and intimacy with wife's family origin in that order. These variables explain 30 percent of life satisfaction. On the basis of results mentioned above, I should conclude that we must realize the importance of social support network such as family, neighbors, friends and social organizations and come up with the method of positive application, making the best use of it if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married middle-aged women is to be increased.

      • 초등학교 5학년 음악 창작 활동 지도 방안 연구 : 오르프 교수법과 NWC 프로그램 활용을 중심으로

        임효영 춘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본능적으로 감성을 자극하는 아름다움을 느끼며 그것을 추구하게 하는 심미안을 가지고 있다. 심미안은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글, 언어, 음악적 소리, 색깔 등으로 표현한다. 이러한 표현 매개체는 때로 모호하고 어려운 이미지를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표현으로 보여준다. 그중 음악은 다른 사람의 내면을 굳이 언어가 아니어도 소리로써 표현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이러한 소리 예술의 응집체인 음악을 인간은 오랫동안 기억하고 재현하고자 다양한 방법으로 기록한다. 사람들은 여흥을 즐기거나 의식(儀式)을 치루면서, 또한 일상의 노래를 구전으로 가사적기를 시작한 것이 음악 기록의 시작이었다면 오랜 시간을 거쳐 음악을 가시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한 것이 기보법이다. 따라서 악보는 오랫동안 서면 기록을 통해 음악적 소통 수단의 기능을 나타나게 되는데, 오늘날의 기보 형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ICT를 활용한 사보 프로그램 및 멀티미디어 출력까지 실현되고 있다. 그러므로 음악 교육에서도 다양한 기보 방식을 적용하여 보다 효과적인 지도 방법을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음악 만들기(창작)’는 창의적인 학습에 충실할 수 있는 음악 교육 영역이라고 볼 수 있다. 학생이 직접 경험해보는 학습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음악 교육의 기악, 감상, 가창, 창작 영역 중 가장 능동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창작 작품을 컴퓨터를 통하여 즉시 결과로 얻을 수 있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음악을 만들고 들을 수 있는 지도방법을 알아본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작 활동의 지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오르프 음악 교수법과 NWC 프로그램을 활용한 창작 활동에서 연주 활동까지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내용 및 방법으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의의와 활동 내용을 살펴본다. 여기에서 초등학교 5학년 음악 제재곡을 선정하여 분석한다. 그리고 사보 프로그램의 종류와 컴퓨터를 이용한 음악 교육의 의의에 대하여 문헌 연구를 통하여 알아본다. 창작 관련한 음악 교육적 이론 배경으로 오르프 음악교수법에 대하여 살펴보고, NWC 프로그램을 활용한 지도 방안 사례에서 수업 모형을 계획․설계하고 총 26제재곡 중 9제재곡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각각 1차시 분량으로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리듬과 가락을 중심으로 창작하고 기보하며, 직접 연주해보는 것으로 모색하였다. 둘째, 5학년 음악 교과 26제재곡 중 서양 악곡으로 9제재곡을 선정하였다. 이후 NWC 프로그램 활용이 가능한 음악 요소를 추가로 분석하였으며 오르프 교수법과 연결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형태의 창작 활동이 실제 초등 교육 현장에 적용되어 창작 활동의 흥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음악을 통한 문제해결력, 탐구력의 신장까지도 이끌어 갈 수 있는 교육 활동이 되기를 바란다.

      • 채널 브랜드 개성에 형성된 이미지에 대한 CATV Station ID 구성요소의 인지효과 : 시지각 인지적 측면을 중심으로

        임효영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범람하는 CATV 채널에서 Station ID의 시지각 인지요소와 채널 브랜드 개성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현재 노출되고 있는 채널브랜드의 Station ID에 대한 사례분석을 통해서 효과적인 인지적 효과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우선Station ID에 대한 정의와, 현재 그래픽 표현방법의 다양화로 인한 시각적인지의 변화, Station ID가 갖는 모션그래픽요소 등에 대해 검토하고, 채널브랜드의 의미분석을 시작으로 시각적인지의 변화로 인한 수용자 태도변화에서 미디어 발전에 의한 표현방법의 변화와 TV채널 브랜딩요소를 정의하여 Station ID에 나타난 시지각인지적 요소들을 종합하였다. 그 결과 ‘카메라의 역동성’, ‘커트 연결에 의한 시간변화’, ‘조명의 지향성’, ‘화면의 색상’등이 선정된 Station ID 선호의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효과적인 브랜딩 모델을 가진 CATV Station ID의 제작방향을 제언함으로 시지각인지의 형태적 요소를 제한적으로나마 예측해 볼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searche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elements in Station ID of overflowing CATV channels and the channel brand personality, and focused on researching the effective recognition effect through preceding analysis on the exposed Station ID of the channel brand. First of all, we examined the exact definition of Station ID, the change in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due to the diversity of graphic expressing method, and the Motion graphic element of Station ID. Starting on analyzing the meaning of channel brand, we connected the reaction of the audience due to the change of the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and the visually perceptional expressing element showed on the Station ID. We were able to find out the represented form of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by focusing on the visually perceptional expressing elements which are dynamic of camera, times by scene connection, directivity of light, and hue of screen. Also, by proposing the manufacturing direction of CATV Station ID which has an effective branding model, we were able to make a limited prediction on the formal element of the visual perception recognition.

      • 지적장애청소년의 미술적자기표현에 관한 미술치료 개인사례연구

        임효영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일반적으로 청소년은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있으며 표현된 자신의 모습에 가족과 또래의 호감과 인정으로 자신을 객관화시키고 이러한 타인의 피드백이 청소년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이하나, 2015). 그러나 지적장애 청소년은 자신의 감정이나 정서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언어적·비언어적 수단을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부족하다. 특히 지적장애 청소년들은 의사소통의 문제와 감정 및 정서를 표현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을 갖는다. 한편 미술치료는 언어능력이 지연되고 발달되지 않은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친숙한 미술 매체를 활용하여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제공하고 자신의 감정을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대상자는 S시 H학교에 재학중인 지적장애 2급의 14세 청소년으로 최근 발음이 불분명한 것에 대하여 또래 친구들이 놀리거나 알아듣지 못한다고 하는 상황에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꾹 참다가 한참 지나서야 울음을 터뜨리거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못하며 자신의 감정을 언어로 적절하게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것에 대한 어머니의 호소에 의해 미술치료가 의뢰되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신의 감정이나 경험을 표현하기 어려워하는 지적장애 청소년에게 미술치료를 진행하여 미술적자기표현의 향상 과정을 관찰하고 기록함으로써 무의식으로 표출되지 않은 사고의 감정 및 욕구를 자유롭게 표출할 수 있게 하며 자기표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적장애 청소년의 미술적자기표현에 관한 미술치료 개인사례연구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미술치료에서 지적장애 청소년의 미술적자기표현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2022년 8월 31일부터 2023년 7월 05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프로그램이 종료 3개월 후 2023년 10월 10일 추후검사를 통해 마무리되었다. 프로그램은 초기 면담과 사전·사후·추후 검사를 포함하여 총 37회기로 구성되었으며 주 1회, 한 회기 당 50분 내외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의 미술적자기표현 변화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매 회기 미술치료 과정을 관찰 및 기록하였고 작품을 촬영하고 보관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초기-중기-종결 3단계로 구성되었다. 미술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자료 분석은 박수미(1999)가 사용한 ‘미술표현능력평가표’를 이수진(2002)이 미술적자기표현능력평가로 재구성한 것을 기초로, 오소영(2006)이 정신지체 아동을 대상으로 진행하기 위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미술적자기표현능력평가를 통해 사전·사후·추후에 비교 및 검토하고, 집-나무-사람 (House-Tree-Person;HTP) 그림검사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미술치료를 통해 지적장애 청소년의 미술적자기표현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지적장애 청소년인 연구대상자는 미술치료 진행 초기에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스스로 통제하지 못하였고, 정서적 불편감을 언어로 표현하는 것을 어려워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점차 본인의 감정을 인식 및 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이러한 변화를 미술적자기표현의 변화 양상을 통해 확인해 볼 수 있었다. 연구자는 미술치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연구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을 탐색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정서적 지지와 공감의 자세로 관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안정감 있는 환경을 조성하였다. 이로 인해 연구대상자는 미술치료과정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자신의 정서를 표출하기 시작하였으며 동시에 자발적인 언어 표현의 확장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또한 투사 검사로 실시된 집-나무-사람 그림검사(House-Tree-Person;HTP)의 사전·사후·추후 결과를 비교·분석한 결과 사전검사에서 좌측, 상반에 그려져 있던 그림들이 사후검사와 추후검사에선 그림이 중앙에 위치하게 그려졌으며, 크기도 더 커졌고 그림의 내용 및 구성이 구체적으로 변화되었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단, 본 연구에서는 1명의 지적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미술치료를 진행한 개인 사례 연구라는 점에서 연구 결과를 지적장애 청소년 전체로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미술치료를 통하여 자신의 감정을 인식하고 표출하여 조절할 수 있도록 지지하면서 연구대상자가 작업에 대한 성취감과 만족감 등의 긍정적인 감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연구자는 매 회기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주었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의 정서 및 행동에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변화를 통해 미술치료가 미술적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비언어적인 치료 수단인 미술치료를 통해 미술적자기표현의 향상과 더불어 자기표현 요소인 언어의 확장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전반적인 자기표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Generally, adolescents have a desire to express themselves, and the recognition and approval of family and peers for their expressed identity play a crucial role in objectifying themselves, contributing significantly to adolescent development (Lee, 2015). Howeve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ack the ability to use both linguistic and non-linguistic means when expressing their emotions and affect. In particula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ace considerable challenges in communication and expressing emotions and affect. On the other hand, art therapy can be a valuable therapeutic approach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experience delays and challenges in language development. By utilizing art mediums familiar to these individuals, art therapy provides emotional stability and facilitates a natural expression of their emotion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aged 14, attending S High School, with a Level 2 intellectual disability. Recently, the mother sought art therapy intervention for her child due to situations where peers at school make fun of the adolescent's unclear pronunciation, leading to a failure to respond appropriately and enduring the situation silently. The adolescent often bursts into tears after a while or experiences difficulties in effective communication, struggling to express emotions verbally. The mother emphasized the challenges her child faces in handling such situations, prompting the request for art therapy. In response to this, the researcher aimed to facilitate art therapy for intellectually disabled adolescents who struggle with expressing their emotions and experiences. The objective was to observe and document the enhancement of artistic self-expression, allowing for the free expression of unconscious thoughts, emotions, and desires. The goal was to assist these adolescents in positively impacting their self-expression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erefore, this study is set as an individual case study on art therapy focusing on the artistic self-express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research question is formulated as follows: What are the changes in the artistic self-express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rt therapy? The art therapy program for this study took place from August 31, 2022, to July 05, 2023, and concluded with a follow-up assessment three months after the program's completion on October 10, 2023. The program consisted of a total of 37 sessions, including initial consultations and pre-, post-, and follow-up assessments. Sessions were conducted weekly, with each session lasting approximately 50 minutes.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artistic self-expression of the participants, the art therapy process was observed and recorded after each session, and photographs of the artworks were taken and preserved. The art therapy program was structured into three phases: initial, middle, and concluding stages. The data analysis for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was conducted using the Artistic Self-Expression Ability Assessment, which is based on the Art Expression Ability Evaluation Sheet utilized by Park Soo-mi (1999) and restructured into the Artistic Self-Expression Ability Evaluation by Lee Soo-jin (2002). This evaluation was further modified and improved by Oh Soo-young (2006) for use with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 comparison and review were conducted through pre-, post-, and follow-up assessments. Additionally, the analysis included the House-Tree-Person (HTP) Drawing Test. A summary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was confirmed that positive changes in the artistic self-express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ccurred through art therapy. The participant, an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took part in this study, initially exhibited difficulty recognizing and controlling their emotions. Expressing emotional discomfort verbally was also challenging. However, after undergoing art therapy, there was a gradual improvement in the participant's ability to recognize and express their emotions. This positive change was observ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patterns in artistic self-expression. During the art therapy sessions, the researcher created a supportive and empathetic environment to facilitate the exploration and recognition of emotions by the participant. This was achieved by maintaining an attitude of emotional support and empathy. As a result, the participant began expressing their emotions not only during the art therapy process but also in their daily life. Concurrently, there was an emergence of spontaneous expansion in verbal expression. Furthermore,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House-Tree-Person (HTP) Drawing Test conducted as a projective test in pre-, post-, and follow-up assessments revealed notable changes. In the pre-assessment, drawings were located on the left and upper parts, while in the post-assessment and follow-up assessment, drawings were centered, with increased size and specific transformations observed in the content and composition of the drawings.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art therapy conducted with one adolescen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refore, there are limitations to generalizing the research results to the entire population of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ough art therapy, the researcher demonstrated an accepting attitude to support the participant in recognizing and expressing their emotions, facilitating emotional regulation. The researcher aime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the participant could experience positive emotions such as a sense of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with each session. As a result, positive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participant's emotions and behaviors, indicating that art therapy had a positive impact on artistic self-expression. Therefore,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showcasing the positive influence of art therapy on overall self-expression by enhancing artistic self-expression and expanding language as an element of self-expression, utilizing the non-verbal therapeutic means of art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