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학교 가정과교육에서 행복교육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실행 : '가족의 이해'단원 중심으로

        임홍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족의 이해’단원에 행복교육을 적용하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 후 가정교과 수업에 실행함으로서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을 높이고 긍정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중학교 가정과교육에서 ‘가족의 이해’단원을 중심으로 행복교육을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한다. 둘째, 중학교 가정과교육에서 ‘가족의 이해’단원을 중심으로 행복교육을 적용한 교수·학습과정안을 실행하여 평가한다. 교수·학습 계획을 토대로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 초안은 예비수업 후 결과에 대한 피드백을 통해 수정·보완한 후 최종 교수·학습 과정안 총 15차시를 개발하였다. 최종 개발한 교수·학습 과정안의 학습목표와 내용 선정에 대한 타당성에 대해 가정과 교사 12명에게 검토 받은 후 수정·보완하였다. 2017년 3월 13일부터 7월 7일까지 청주시 소재의 M중학교 3학년 4개 학급의 남녀 71명을 대상으로 최종 개발된 교수·학습 과정안을 연구자가 직접 수업을 실시하였다.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사전검사는 2017년 3월 6일부터 10일까지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고, 사후검사는 동일한 설문지로 수업이 끝난 2017년 7월 10일부터 13일까지 실시하였으며, 동시에 수업에 대한 학생 평가도 함께 실시하였다. 교수·학습 과정안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자료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 하였으며 통계처리는 신뢰도와 타당도(확인적 요인분석), t검증, 빈도분석, 평균과 표준편차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 및 적용한 교수·학습 과정안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교수학습 과정안의 수업 후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나 ‘가족의 이해’단원에서의 행복수업이 학생들의 주관적 행복감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본 교수학습 과정안의 수업 후 교우관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가족관계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관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학생들의 긍정적인 인간관계 형성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본 교수학습 과정안의 수업운영 방식에 대해서는 행복연습의 학생활동과 모둠활동의 수업방식에 대해 만족하였고, 본 수업에 가장 적합한 수업방식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행복교육을 적용한 ‘가족의 이해’단원 교수·학습 과정안의 개발과 실행이 학생들의 행복 역량을 기를 수 있는 태도를 함양하여 주관적 행복감을 향상시키고, 학생들에게 가족의 소중함과 가족에 대한 이해와 가치관 및 관점이 긍정적으로 갖게 되었으며, 교우관계 증진에도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교과에서 행복교육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학교교육현장에서 더욱 다양하게 개발되고 활용되어지길 기대한다.

      •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의 연소성능 등급분류에 관한 연구

        임홍순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축용 샌드위치패널은 패널양쪽 표면에 얇은 철판(약0.4mm두께)를 붙이고 ,내부 단열재로서 글라스울,스티로폼,우레탄폼 등을 충진하여 제품화된 건축자재로서 통상 샌드위치패널이라 하며, 우리나라의 80~90년대 급속한 경제성장기에 값싸고 시공이 간편한 경제적인 산업재의 역할을 하여 왔다. 현재 샌드위치패널은 KS F4724(건축용 철강제 벽판), KS F4731(건축용 철강제 지붕판)에 제품규격으로 생산되어 공장, 물류창고, 냉동창고와 기타 주거, 숙박, 업무시설 등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샌드위치패널 화재시 가연성 단열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손실에 따라 국내외 소방당국등 행정관서나 화재보험회사에서는 가연성 단열재를 포함한 샌드위치패널에 대한 화재위험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객관적인 연소성 등급분류 방법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여 왔다. 특히 샌드위치패널은 일반 내장재와는 달리 재료적인 특징과 구조재의 특징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이러한 특징들을 반영할 수 있는 실물 재료연소시험과 이에 적합한 연소성 등급분류방법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미 유럽을 중심으로 샌드위치패널에 대하여 ISO 9705의 실모형 연소시험(Room Corner Test)과 유럽 EN 13823의 코너벽체 연소시험(Corner wall Test; SBI)이 실시되어 왔으며, 2000년에는 스웨덴 국립연구소(SP)등에서 샌드위치패널의 연소성을 합리적으로 평가하기 위한 시험방법 개선 연구가 이루어져, 이를 바탕으로 2002년에 기존 ISO 9705의 실모형 연소시험을 개선한 샌드위치패널 연소시험방법(ISO 13784-1)이 국제 규격으로 제정되었다. 또한 실모형 실물 재료연소시험을 통한 연소등급 분류방법에 대한 연구의 움직임은 1995년 호주에서 유럽 주요국가와 공동프로젝트에 의해 시작되어 일부 연소성 등급분류방법이 제시되었으며, 패널구조와 같은 실물연소시험에 적용 가능한 규격으로서는 2002년 유럽규격인 EN 13501-1에 연소성 등급분류기준이 제정되었다. 이후 다양한 연구가 지속되어 좀더 개선된 2007년 스웨덴 국립화재연구소(SP)의 “THE FIGRA-INDEX (Bjὅrn Sundstrὅm)” 논문에서 화재성장지수(FIre Growth RAte; FIGRA)를 이용한 새로운 실모형 연소성 등급분류방법을 발표하였다. 유럽의 실물 재료연소성 등급분류의 특징은 화재 열방출율의 양적기준이 아닌 경과시간에 대한 상승 열방출율로서 급격한 연소성장 정도를 반영한 단일지수 또는 플래시오버발생시간을 기준으로 판정하는 것이다. 다만 연기발생은 초기 분류안(호주)에서연소성 등급분류에 반영하였으나 연소시 열방출특성과 연기발생특성의 상관성이 적어 유럽규격의 실물 재료연소성 분류등급방법에서는 반영하지 않고, 연기발생성장도(SMOGRA)등 지수에 따른 별도의 연기량 등급을 부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가연성 단열재를 포함하는 샌드위치패널에 적용가능한 선진국의 연소성 시험방법과 등급분류 방법에 대한 특징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국내에 적합한 연소성 시험과 등급분류방법을 찾아내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유통되는 철강제 샌드위치패널 4종(스티로폼,우레탄,난연우레탄,그라스울)에 대하여 실모형(Room Corner)실물시험체를 제작하여 연소시험(ISO 13784-1)을 실시하고 각각 대응되는 분류방법을 적용하여 등급을 판정 평가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시험을 통해 샌드위치패널의 재료적인 측면과 구조적인측면을 모두 반영할 수 있는 실물 규모의 대형 연소시험에 대응하는 등급분류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실제 화재특성를 반영하는 합리적인 방법임을 파악 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국내 샌드위치패널 연소성 평가에 적합한 등급분류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제 1 장의 서론, 제 2 장 ~ 제 5 장의 본론, 제 6 장의 결론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제 1 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및 기존 등급분류 현황 과 본 연구의 범위 및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제 2 장에서는 국내의 샌드위치패널 사용현황 및 각국 사용규제 법규정 현황과 샌드위치패널 화재성장 이론적 배경을 기술하였다. 제 3 장은 본 연구에 사용된 샌드위치패널 연소성 시험장치 및 측정원리를 파악하고 기술하였다. 제 4 장은 본 연구에서 수행한 샌드위치패널 연소시험의 시험체제작, 교정시험 등 실시 절차를 설명하고, 각 연소성 시험결과 현황과 분석결과를 기술하였다.. 제 5 장에서는 연구시험을 통한 연소성 시험결과와 기존 연구데이터를 활용하여 연소성 등급분류결과를 산출 종합 분석하여 합리적인 연소성 등급분류안을 제시하였다. 제 6 장에서는 본 논문의 결론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샌드위치패널은 재료적인 특징와 구조재 특징을 동시에 갖고 있으므로 플래시오버와 같은 화재현상을 재현할 수 있는 실모형 실물 재료연소성시험을 통한 등급분류방법의 적정성을 확인하였다. 2) 샌드위치패널에 대한 실모형 연소성 시험결과, 재현성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ISO 13784-1과 같은 실모형 실물 재료연소성시험방법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3) 기존 연소성 시험의 열방출율등 최대값에 따른 판정보다는 경과시간에 대한 열방출율 증가등 급격한 연소정도를 반영한 화재성장지수(FIGRA) 및 플래시오버 발생시간 을 기준으로한 연소성 등급분류는 합리적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플래시오버 발생시간은 육안관찰에 의한 것으로 시험중 불꽃 도출 등 관측이 용이하지 않아 객관성이 떨어질 우려가 있어 실모형 실물 재료연소성시험에 의한 화재성장지수 FIGRA_RC에 의한 등급 분류방법이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4) 연기발생지수(SMOGRA)는 열방출율 상승에 의한 화재성장지수(FIGRA)와의 상관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결과데이터 현황분석에서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연소성 등급과 별도로 연기발생성능을 부가적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하였다. 5) 샌드위치패널 실모형 실물구조의 연소성 등급분류안는 EN 14390에 규정된 화재성장지수 FIGRA_RC를 적용하여 5개등급으로 분류 제시하였다.

      • 국방 CALS의 효율적인 구현방안 고찰

        임홍순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1. 연구배경 및 목적 자국이익을 가장 우선시 하는 새로운 시대흐름에서 국가의 안위와 국민의 안녕을 위해서는 엄청난 국방비 지출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복지국가로 가는 과도기적 상황에서 무조건 국방비 지출을 늘릴 수만은 없는 실정이다. 또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국방 예산은 감소 추세에 있고 무기체계는 복잡화, 지능화, 세분화, 고가화 되어 가는 추세이다. 그리고 장비운영, 시설, 인력, 물자의 유지비용에 대한 증가로 군수예산 절감에 대한 압박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무기체계 운영 유지비 절감 및 국방예산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며, 소요 예산의 정확성, 투명성, 효율성을 재검토하여 투입 자원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시대적인 요구사항이며, 이런 시대적 요구에 발맞추어 국방부에서는 21세기 고도 정보화 군을 건설하고 국방업무의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종이 없는 국방업무 수행체제로의 전환, 시스템 개발기간 단축, 품질향상 및 비용절감 등을 목표로 국방분야에 CALS를 적용하기 위해 추진 중이다. 우리나라에서의 CALS도 미국에서와 마찬가지로 군수부문에서 가장먼저 시작되는 과정단계 선상 위에 있다. 우리 군이 CALS를 도입하거나 도입 추진 중인 단계를 살펴보면 현재까지 추구하거나 진행된 군수부문은 대부분 내부 업무의 효율화와 내부 정보공유화에 너무 치우쳐 있기 때문에 무기체계 관련정보의 확보나 획득 등 구매/조달의 효율화를 기할 수 있는 외부 정보공유화에 취약하거나 미흡한 점이 많았다.이러한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가장 먼저 도입했음에도 국방분야에서의 CALS의 효용성을 지금의 현 상황에서 살펴볼 때 그 효과가 미미한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국방분야의 외부 정보공유화가 취약하고 미흡한 상황하에서는 무기 시장의 독점적 폐해와 구입과정에서의 폐쇄성 등으로 인해 린다 김 사건과 같은 청탁과 비리문제가 계속해서 붉어져 나오게 될 것이며,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연구방향을 구매/계약의 공개 및 정보공유화를 추구하기 위한 국방 CALS의 효율적인 구현 모델을 도출하는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더 나아가서는 첨단 무기 체계를 구축하는데 필수적인 21세기 신국방 건설을 위한 군수 모델 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 및 구성 CALS의 도입 필요성은 학계나 언론 그리고 산업계까지 현재 정보화를 접하는 분야에서는 모두 인식하고 있음은 물론 그 중요성을 강하게 인정하고 있다. 군 조직이라고 예외대상은 될 수 없으며 이에 우리는 효율적인 국방 CALS의 모델과 발전의 방향을 제시해 줌으로써 군수기능의 효과성, 경제성, 능률성을 극대화시켜 군 조직의 궁극적인 목표인 작전지원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군 조직의 최종목표인 작전지원 능력향상은 CALS를 통한 군수성과 극대화에 의해서 실현된다. 따라서 현 시점에서 필요한 국방 CALS의 효율적인 모델을 도출하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방법으로 사례연구(case study)를 이용하였으며, 사례연구 방법을 채택한 이유는 먼저 통계적 조사를 위한 대상의 선정이 어렵다는 점이다. 즉, 국방부 구매 체계의 폐쇄성과 접근의 한계와 구매 관련분야(국방/민간업체)의 자료 제공의 비협조로 인한 정확한 통계학적 접근은 고려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는 군 조직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사례분석 방법을 채택하였다. 다시 말해서 구매 체계, 목적, 대상 등에 대한 비밀 유지고수와 남북 대치 상황에 기초한 우리 군 조직만의 특수성이 존재하기 때문이며, 또한 사례 연구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국내외 연구보고서, 인터넷 자료, 기존의 국방 CALS 관련 발표자료, CALS와 관련된 각종 문헌연구를 참조하였다. 본 논문은 총 5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를 이어 제2장은 CALS에 대한 일반적 고찰로 CALS의 일반적인 사항인 CALS의 정의 및 역사와 CALS의 도입 필요성과 기존에 발표된 CALS 도입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았으며, 제3장은 국방 CALS의 추진 현황에서는 국방 CALS의 정의 및 현 국방 CALS의 실태와 문제점을 문헌연구를 통해 나타난 점을 파악하고 사례연구를 통해 개선 방안에 대해 논하였다. 제4장 추진해 나아가야 할 국방 CALS 모델에서는 한국 국방 CALS의 구축 전략으로 CALS 유형 중 현 시점에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국방 CALS 유형을 제시하고자 노력하였다. 제5장은 결론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종합하고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3. 결론 및 제언 양극체제에서 다극체제로 변환되고, 냉전시대에서 화해무드시대를 지향하는 시대적 조류 현상 속에서도 국가와 국민의 안위를 지키기 위해선 그 무엇보다 국방의 중요성이 새삼 재강조 되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 하에선 국방력 강화가 최우선적으로 중요하다. 하지만 사회복지 혜택에 대한 열망과 요구의 강도가 더욱 커져만 가는 시대적 상황을 고려해 보면, 국방비 지출을 계속해서 증가시키기는 무리수라고 보여진다. 또한 국방력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첨단무기장비들은 국외에서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의 실정을 고려해 볼적에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군에서 추구하는 내부 업무의 효율화와 내부 정보공유화를 높이는 CALS도 중요한 점을 인정하지만, 그 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가서 국방 CALS의 효용성을 극대화시키는 구현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현재 추진중인 첨단 미래군을 지향하는 군 조직의 경우에는, 조직의 필요성과 추구하는 바에 따라서 국방 CALS의 요소기술 달리해야 한다는 것을 상기해야 한다. 이 점을 고려할 때 이제는 국방 CALS의 시스템 목적이 정보산출 뿐만 아니라 정보 공유를 위한 정보전달, 관리에 보다 비중을 둔 CALS의 유형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앞서 제시한 기준에 따른 CALS 유형분석에서 보았듯이 구매/조달의 효율화와 외부 정보공유화를 추구하는 CALS 유형 Ⅲ, Ⅳ가 현재의 군 조직에서 필요한 조건을 충족시키고 있다. 군의 전투력 강화책인 첨단무기장비체계를 도입하기 위해서는 구매/조달 공정과 유통/판매/서비스 공정을 중점적으로 지원해 주는 요소기술이 필수적인데, 이러한 구매/조달 공정과 유통/판매/서비스 공정을 가장 잘 지원해 줄 수 있는 CALS의 요소기술이 EC/EDI이다. 다시 말해서 효율적인 국방 CALS의 실현을 위해서는 EC/EDI를 기반으로 한 CALS가 구현방안이 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 제4장의 4. CALS의 구현방안에서 보았듯이 Data의 집결과 공유를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정보가 정보를 산출하는 고도화된 CALS는 앞서 제시한 <표 4-3> CALS 유형Ⅲ, 유형Ⅳ의 효과와 EC/EDI의 도입효과에서 알 수 있듯 CALS 유형Ⅲ, Ⅳ과 EC/EDI 중심의 CALS는 일맥상통하는 개념이라고 볼 수 있다 논문을 마무리하면서 본 연구를 종합하면 논문이 시사하는 바는 한국의 국방 여건에 가장 적합한 국방 CALS의 구현방안을 찾으려는 시도와 노력을 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효율적인 CALS 구현방안에 따른 EC/EDI의 CALS 구축의 효과만 중점을 두어 아직까지 법과 제도의 미제정과 미비점으로 실제 적용에 있어서의 애로사항인 보안문제, 교환방식, 결재의 효력문제 등의 주변 환경적 한계요인의 해결방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주변 환경적 한계요인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간과한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앞으로 추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과 문제점을 보충·보완하여 보다 나은 성과를 도출해 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국가 방위를 책임지는 "합법적 무력집단"인 군 조직의 특성과 이러한 한계점을 고려해 볼 때 효율적인 국방 CALS 구현방안과 더불어 정보유출 방지에 대한 정보보호 연구도 병행해서 추진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추후 국방 CALS 연구를 하는 사람들에게 이러 문제점과 한계점을 인지시키고 연구에 이 논문이 조그마한 참고와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 한국기업의 대 태국 투자에 관한 연구

        임홍순 호서대학교 산업경영벤처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economy has kept growing with achievement of national per capita income over $10,000 and has stepped over the threshold of leading countries group. However, less than a half decade ago, Korean economy had the most difficult time for unprecedented foreign currency crisis risen from IMF relief loan request during the latter part of 1997. But Korea has overcome this difficult time with its own will to save the nation since the new government had established. Recently, Korean economy has been continuous export increases after the economic crisis, making its trade balance with black-ink; consequently the prospects on Korean economy are expected to be very encouraging. In this economic situation, expanding the domestic industry foundation and foreign investments are focused gradually to make our economy growing continuously. Also, domestic corporations are becoming less competitive in global market since there are various raw materials lacking and wages are getting higher because of frequent labor disputes. There are numbers of foreign laborers working in domestic manufacturing factories due to the increase in highly educated and high-level peoples unemployment rate and avoidance for working in 3D (Dirty Dangerous Difficult) industries. We have to keep working on how to occupy Chinese market after Chinas recent accession to WTO and on investment in Asian countries, which have natural resources and cheap labors. This study is to show the farsighted way for Korean corporations to invest in Thailand, one of Asian countries by focusing on Korean corporations current investment status, investment environment, problems on investment, and solutions for the problems. Korean corporations investment in Thailand as of the end of 2001 was 21 cases with investment amount of $54,397,000, which is very low. Currently, labor-intensive industries, i.e. fiber & textile, electrical, and electronics, processing industries, i.e. agricultural, crude rubber, and marine products, and developing and manufacturing of metallic resources industries are appropriate ones to invest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Thailand. In addition, we also need investment strategy on IT industry, promising among highly value-added industries. In order to achieve foreign investment successfully, Korean corporations, the government and its related organizations should all cooperate and share their responsibilities. Also, financial business development and financial expert cultivation are required to support foreign investment. We can no longer have limited activities within local only; we must activate foreign investments. This study is for Korean corporations investment in Thailand, however it is still insufficient in details. Further detailed study will be continuously needed.

      • 호텔선택시의 決定要因에 관한 實證的 硏究

        임홍순 京畿大學校 經營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s an empirical test to find the differences in determinant attributes of an existing and potential customers when they make hotel choices. There has been some studies to find out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hotel determinant attributes and the choice of a hotel. But the results of a comprehensive empirical research were not found in Korea. This study is intended to explain and predict what an existing and potential customers want and what keeps them in the same hotel.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discover the various differences of customer's behavior patterns in relation to hotels' determinant attributes and help manager's hotel operation and service marketing by using study results. During the data collection, questionnaires were used mail surveys and personal interviews.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three sections(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sex, age, education level, monthly income ; general characteristics variables such as the use experience of a hotel, the major purpose in using hotels ; individual or group uses ; the 29 determinant attributes of a hotel). Of 100 questionnaires distributed through mail, 26 returned and 200 questionnaires were recieved from the personal interview process. A total of 226 comple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used in the anlysi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1 days from October 5 , 1990 to 25. Of the 226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the general publics who lived in Seoul in South Korea and th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are majoring in Tourism Management in Kyonggi University. The respondents were asked to rate on a five-valued likert scale (which ranged from the least important 1 to the most important 5) for the 29 determinant attributes in selecting a hotel.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crosstabulation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factor analysis and discriminant analysis for the hypotheses testing. The major empirical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higher fidelity customer's group considered space for business, space for banquet and convention, and convinient facilities as the important attributes, while lower fidelity group thought of price and its satisfaction, and friendly, courteous staff as the important variables in choosing a hotel. Second, customers who had had the experience of a hotel considered hotels' reputation to be important, while no experience group thought of cleanliness of room and bath, and price to be important among 29 determinant attributes. Third, business customers regarded space for business and simple furnishings for their work as the important attributes, while customers for banquet and convention thought of banquet, and meeting facilities to be important. Fourth,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mportance level between individual and group uses on the all 29 determinant attributes. Fifth, there were tw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older and younger groups in attributes such as hotels' reputation, and post-payment system. The importance level of the older age group(above forty-year-old)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hotels' reputation, and post-payment system than the younger group. Sixth, according to the education level, the undergraduates recod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for the attributes of hotels' reputation, upscaled services, price, and conveniences of facilities and transportation than those with high school and graduate education. Seventh,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sexes on the following determinant attributes: the space for business, conveniences of hotels' facilities, and indoor lighting facilities. The male group, compared to the female group, indicated that space or lounge for business was important. Fi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 and the general public group when they make hotel choices. More specifically, the important determinant attributes in the student group were hotels' reputation, and price and its satisfaction, while the general public group regarded space for business, post-payment system, and space for banquet and convention to be important in selecting a hotel. It is hoped that the empirical findings of the study may be helpful and useful to the hotel managers who plan and execute the overall operation of a hot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