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로마 에센스오일의 유통시스템 개선에 관한 연구

        임장혁 명지대학교 투자정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국내외 경제위기와 더불어 미용종사자들의 고학력화, 외국브랜드의 시장 진입과 종사자들의 인건비 상승 및 가격경쟁의 심화 등으로 인하여 미용업계는 매우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의 미용업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하나의 대안으로써 아로마 에센스오일의 홀쇼핑 유통(Protocall Hall Shopping: PHS)을 제안한다. 아로마 에센스오일은 최근 웰빙 트랜드에 힘입어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그 효능도 다양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전망은 밝다고 할 수 있다. PHS는 메이커, 미용실 및 고객 간의 새로운 개념의 유통 시스템으로 다음과 같은 기능을 보유한다. 첫째, 아로마 에센스 홀쇼핑은 고객이 미용실에서 일반 미용 서비스를 이용 중 홀에서 방영되는 광고 프로그램에 노출되어 구매를 유도 당한다. 둘째, 미용실에서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종사자들이 고객에 시술 및 시용을 지원한다. 마지막으로 PHS는 메이커와 미용실간의 업무 자동화를 통해 고객주문 및 상품에 대한 상세한 정보제공 및 프로세스 진행을 하며 이를 통해 미용실 매출과 이익의 증대를 도모한다. 본 논문에서는 화장품 유통경로 분석과 경로를 설계한 후 향후 홀쇼핑을 통한 아로마 에센스오일의 유통시스템을 구축하여 미용업계의 이익증가와 더불어 새로운 시장에서 아로마 에센스오일 유통시스템 개선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many challenges and changes facing Korean beauty salon industry today are due to increasing rate of high-educated employees with increasing their wage, price-undercutting, overseas global brands jump into current market and global economic downturn.To overcome the problems, in this paper, I propose efficient distribution system for Aromatherapy essential oil (Procott Hall shopping: PHS) for beauty salon. Growing demand for Aromatherapy essential oil in latest fashion with various positive benefit of it in these days makes bright business opportunity in future.PHS for Aromatherapy essential oil is state-of-art distribution system in between Cosmetic manufacturer, beauty salons and customer which contains functions as following.First, PHS gives an impulsion to sales as customers are being exposed to promotion programs on TV at beauty salon during they are being served.Second, beauty salon staff provides trial service to customers personal experience before purchasing. Final is PHS sharing information generated through the automated process for not only efficient way of operations but promoting sales.In this paper, I build up PHS that support efficiently distribute Aromatherapy essential oil at beauty salon however it should be expanded into most important elements such as beauty salon, manufacturer, distribution, process, product and customer service. Then, ultimately PHS will contributes to the modernization of Korean cosmetic industry.

      • 쿰란 제 1 동굴에서 발견한 하바쿡 페쉐르(1QpHab)의 본문 연구 : 본문 복원과 이문 분석을 중심으로

        임장혁 대전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1947년, 한 베두인이 유다 사막의 한 동굴에서 수많은 보물들을 발견함으로써, 인류는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발견을 시작하였다. 그 당시 그 베두인은 보물의 가치를 알지 못하였지만, 후에 이 보물들은 성서학계 뿐만 아니라 고고학계에 새로운 도전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했다. 사해 문헌은 그 동안 인류가 가지고 있던 히브리 구약 성경 사본의 역사를 다시 쓰게끔 하였다. 총 11개의 쿰란 동굴에서 900여개의 히브리어, 아람어, 그리스어 문헌들이 발견되었는데 이 중 220여개 정도가 히브리 성경과 관련된 사본이었고 680여개가 성경 외의 독특한 사본들이었다. 그 당시에 가장 오래된 히브리 성경 사본은 알렙포 사본(925년경)과 레닌그라드 사본(1008년경)이었는데 새로 발견된 사본들은 기존 사본들보다 적어도 천년 이상을 앞선 것들이었다. 쿰란 문헌 발견의 가치는 두 가지 차원에서 조명할 수 있다. 첫째로 우리가 지금 가지고 있는 구약 성경의 원문에 더욱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는 것이다. 사해 문헌 발견 이전의 학자들은 기존의 사마리아 오경, 마소라 본문, 칠십인 역 성경, 기타 그리스 역본들, 페쉬타, 타르쿰 등의 문헌들을 통해서만이 본문 비평 작업을 하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천 년을 앞선 성서 관련 문헌들은 성경 본문이 정형화 내지는 정경화 되기 이전에 어떠한 형태와 내용을 가지고 있었는지를 알 수 있게 해준다. 뿐만 아니라 유다교의 정경화 작업이 벌어진 기원후 100년 이전에 권위 있는 문헌으로 유다인들에게 받아들여졌던 문헌들이 어떤 것들이 있고 어떠한 형태로 존재했는지를 알 수 있게 되었다. 둘째로, 성경 관련 문헌들 외의 여러 문헌들을 통해 유다교 내의 종파들의 종교적 사상들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고 나아가 그 당시 유다교 공동체, 특히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종파의 구원관과 메시아 사상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쿰란 제1동굴에서 발견된 하바쿡 페쉐르(1QpHab)는 언급한 두 가지 차원에 접근하기에 매우 적합한 문헌이다. 하바쿡 페쉐르 본문은 그들이 보존하고 있던 하바쿡서 전승을 제시하고, 동시에 그들 공동체의 상황에 비추어 전승에 대한 역사적이면서도 종말론적인 해석이 결합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바쿡 페쉐르의 본문을 분석하면서, 그들이 기존에 가지고 있던 하바쿡서 전승을 마소라 본문, 칠십인역 본문, 다른 사해 사본들과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에 대한 해석(페쉐르) 부분을 다루면서 그들의 종교적 사상과 역사적 상황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about Habakkuk Pesher(1QpHab) discovered from the first Qumran cave, especially focused on reconstruction of the texts and analysis of variants. 1QpHab contains the text and accompanying commentary on Habakkuk 1-2. The reason 1QpHab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Qumran scrolls is two points of view. Through the text, it is possible to compare between Leningrad codex which we generally use, and through the commentary(pesher), to recognize the peculiarities of the Qumran community who write the scrolls. 1QpHab is written between first century B.C. to first century A.D. by Qumran community who lived at Khirbet Qumran near dead sea. They are a part of the group of the Essene who is part of Jews. For the effective study, I have largely separated 3 chapters. At the first chapter, general information has been introduced. At first, the studying history of 1QpHab have been introduced. At second, It has been introduced the biblical hebrew text thesises which were announced by de Lagarde, Kahle, Cross, Talmon, and Tov. At third, it have been mentioned 3 ways to recognize when the 1QpHab was copied. Those are called Historical Allusions, Paleography, and Radiocardon-14(or AMS). At the second chapter, 1QpHab text has been analysed in earnest in two points of view. One is reconstruction of the text, another is analysis of variants. Because 1QpHab is broken and rubbed out, it need to reconstruction with comparing the biblical hebrew texts and other Qumran texts. However, the most important work is to compare the biblical texts in 1QpHab to another hebrew text(masorah text) and greek texts(septuagint, 8HevXIIgr). While the hebrew text we universaly use is Leningrad codex which was copied around 1008 A.D., 1QpHab is copied between 100 B.C to 100 A.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ccept that 1QpHab is more original traditional than Leningrad codex. Moreover, masorah text(Leningrad codex) was worked and fixed by scholars intentionally. However, distinguishment is very important between the time of the copy and the time of the original writing. Although masorah text is later, it is possible to have earlier traditional than 1QpHab. So, comparing work is very important and needed. Focused on 1QpHab, some cases have been same with the greek texts and different with the masorah text, and some cases have been same with the masorah text and different with the greek text. As 1QpHab has compared with another hebrew text(the masorah text), 140 differences has been found during the work. At the third chapter, 130 differences has been presented. The differences has been divided 2 types. One has been same meaning each other, and another has been different meaning. This work suggests that the differences are caused that the texts were not fixed then. So, it would be serious oversight to conclude that some text is more original and traditional than others. Nevertheless, this study provides a stepping stone for developing an account of relationship among ancient biblical codices.

      • 차량 간 통신 및 LiDAR 센서를 활용한 기계학습 기반의 주변 차량 경로 예측 알고리즘 연구

        임장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자율주행차량 연구의 일환으로 차량의 주행 절차 중 인지 및 판단 절차를 통합한 알고리즘을 실차 환경에서 연구하였다. 차량 간 통신과 LiDAR 센서를 융합하여 효율적 연산량으로 주변 객체 인식 및 추적하고, 추적된 데이터를 활용한 기계학습 기법의 주변 차량 경로 예측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WLAN 기반 WAVE 통신을 통해 표준화된 메시지셋을 통신하여 센서 융합에 활용하고 데이터 연산량을 절감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또한 시계열 데이터 예측에 우수한 성능을 보이는 것으로 보고된 Encoder-Decoder LSTM과 일반적 Stack LSTM 구조를 통하여 경로 예측 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원시데이터 활용 및 Occupancy grid map 방법을 비교함으로써, 입력 데이터의 가공 방법에 대한 성능 분석을 수행하여 효율적 경로 예측 알고리즘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객체 인식 알고리즘은 자차 주변 약 30m 범위에서 약 130ms 간격으로 주변 객체정보를 수집하였다. 경로 예측 알고리즘은 직전 30개의 경로데이터를 통하여 향후 20개의 경로데이터를 예측한 결과, 90% 이상의 정확도 보이는 한편, 과적합에 대한 검증 및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알고리즘 확장과 객체 인식 알고리즘의 다중 객체 환경에서의 강건한 동작 검증 등 추가 연구 과제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객체 인식과 경로 예측 알고리즘을 통합적으로 연구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특히 차량 간 통신 기술과 LiDAR 센서의 융합을 통해 객체 인식 및 상태 추정에 필요한 정보를 추출하는 연산과정을 간소화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 Labyrinth 위어 형상에 따른 유량계수 산정

        임장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The labyrinth weir can be defined that the plane shape of overflow part is not straight line and is a kind of weir having overflow length increased by changing its plane shape. This weir can be applied to increase the overflow rate, maintain constant water depth and improve water quality. There are a few studies related to the estimation of discharge coefficient and effect of maintaining constant water depth with shapes of labyrinth weir which can be used to consider for various functions and design conditions of labyrinth weir. So, it needs to carry out researches related to the increase of overflow rate and the maintenance of water depth by the labyrinth wei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discharge coefficient with shapes of labyrinth weir and analyze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by quantifying the effect of increase of overflow rate and maintenance of water depth with shapes of labyrinth weir. Proposing the ranges of maintenance of water depth and discharge coefficient with the shape of labyrinth weir, this study is also to provide basic data that are a help to more accurate design of labyrinth weir. In order to analyze flow characteristics of labyrinth weir, the hydraulic model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 were carried out. In this study, triangle-, trapezoid-, and rectangle-typed labyrinth weirs were used to the hydraulic experiments and numerical simulations, and the discharge coefficients with the shape of labyrinth weir were estimated by the nonlinea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case of the change of water depth with shapes of labyrinth weir, the rectangle-typed labyrinth weir has shortest headwater ratio() range that maintaining water depth. The triangle- and trapezoid-typed labyrinth weir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water depth over total range of headwater ratio, up to weir starting point. The triangle-typed labyrinth weir is shown that the longest distance of maintaining water depth and this type of labyrinth weir is the most effective to hydraulic structures that are required to maintain constant water depth. As a result of comparing overflow rates with shapes of labyrinth weir, the overflow from the rectangle-typed labyrinth weir becomes the maximum in range of headwater ratio less than about 0.10. For the case of trapezoidal shape, the overflow rate is the maximum in except range. The overflow rate of trapezoidal shape is larger 10-15% than that of triangle shape and 15-30% than that of rectangular shape. The trapezoid-typed labyrinth is thus the most effective for increasing overflow rate. While the magnification ratio() is lager than 5.76 in triangle- and trapezoid-typed labyrinth weir, the overflow rate from the multiple labyrinth weir is larger 1-29% than that from single labyrinth weir and thus the multiple labyrinth weir is more effective for increasing overflow rate than the single labyrinth weir. As a result of numerical simulation with shapes of labyrinth weir, results simulated for variation of water depth show a very similar tendency to results measured from hydraulic model experiment and also the MAPE(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between simulated and measured water depths is very small.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numerical simulation perform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analyze various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enlargement of estimation range of labyrinth weir. Result of comparing value of survey and estimating overflow rate was applied to constructed dam spillway with various design condition and hydraulic model experiment data by provided formulae of discharge coefficient using nonlinea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n very small error. Hence, forecast of overflow rate for labyrinth weir was applicable to practical affairs. It is possible to design an optimal labyrinth weir by applying formulae of discharge coefficient estimation and range of maintaining water depth proposed in this study. Also, the hydraulic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 factors of labyrinth weir analyzed in this study will be provided to fundamental data for design of hydraulic structures such as dam spillway, canal and irrigation system. Labyrinth 위어는 월류부의 평면 형상이 직선이 아닌 위어를 의미하며, 평면형상을 변화시켜 월류 길이를 증가시킨 위어이다. Labyrinth 위어는 월류량 증대 및 수심유지에 활용될 수 있으며, 수질개선에도 효과가 있다. Labyrinth 위어의 다양한 기능 및 설계조건을 고려할 수 있는 월류부의 평면 형상에 따른 수심유지 효과 및 유량계수 산정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수공구조물의 월류량 증대 및 수심확보를 위해 관련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labyrinth 위어 형상에 따른 수심유지효과 및 월류량 증대효과를 정량화하기 위해 수리특성을 분석하고 대표 영향인자인 형상에 따른 유량계수식을 산정하는데 있다. 또한, labyrinth 위어의 수심유지효과 범위 및 형상별 유량계수식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설계조건에 대해 보다 정확한 labyrinth 위어 설계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labyrinth 위어의 흐름현상을 고려하기 위해 수리모형실험 및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Labyrinth 위어의 형상은 삼각형, 사다리꼴, 직사각형을 적용하였으며, 비선형 다중회귀분석에 의해 유량계수식을 산정하였다. Labyrinth 위어 형상에 따른 수심변화를 분석한 결과, 직사각형은 수심유지효과가 나타나는 수두비()의 범위가 가장 짧았으며, 삼각형 및 사다리꼴은 위어 시점부까지 수두비 전 범위에 걸쳐 수심유지효과가 있었다. 삼각형 형상이 수심유지 거리가 가장 길게 나타나 일정한 수심유지가 요구되는 수공구조물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제시된 유량계수식에 의해 동일 조건에서 형상별 월류량을 비교한 결과, 직사각형의 경우, 수두비가 약 0.10 이하인 범위에서 가장 크며, 사다리꼴의 경우, 이외의 범위에서 크게 나타났다. 삼각형의 경우, 수두비가 약 10%- 15%, 직사각형의 경우 약 15%-30% 정도 사다리꼴의 월류량이 크게 나타나 월류량 증대에 효과적이었다. 또한, 삼각형과 사다리꼴은 확폭비()가 5.76 보다 클 때, 단일 labyrinth 위어보다 1%-29% 정도 다중 labyrinth 위어의 월류량이 크게 나타나 다중 labyrinth 위어가 월류량 증대에 효과적이었다. Labyrinth 위어의 형상에 따른 수치모의 결과, 수리모형실험 결과와 수심변화 경향이 유사하고 수심의 절대평균오차가 작게 나타났다. 그러므로 수치모의가 수리모형실험 결과를 적절히 반영하며, 수치모의에 의해 labyrinth 위어의 해석범위 확대 및 다양한 수리특성에 대한 분석이 가능할 것이다. 비선형 다중회귀분석에 의해 제시된 형상별 유량계수식을 수리모형실험 결과 및 기 시공된 다양한 설계조건의 댐 여수로에 적용하여 월류량을 산정한 후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오차가 작게 발생하여 실무에서 labyrinth 위어의 월류량 예측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labyrinth 위어 형상에 따른 수심유지 범위와 유량계수식에 의해 다양한 현장여건과 설계조건이 반영된 labyrinth 위어 설계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에서 분석된 labyrinth 위어의 수리특성 및 영향인자는 댐 여수로, 운하 및 관개 시스템과 같은 수공구조물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 새로운 가중치를 사용한 양방향 필터와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사용한 이미지 잡음제거 기법

        임장혁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 디지털 TV, 휴대폰 등과 같은 영상을 재생하는 기기가 발전함에 따라, 디지털 비디오 미디어의 다양한 영상을 시청하는 것은 일상생활에서 보편화되었으며 사용자들은 많은 영상을 접하면서 선명하고 깨끗한 영상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졌다. 깨끗한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잡음은 필수적으로 제거해야하며 이러한 잡음은 전자기기 내부에서의 결함, 영상을 디지털로 처리하는 과정, 영상을 전송하는 과정 또는 주변 환경에 따라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는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먼저 이미지의 특성을 세 가지로 구분지어 각 특성에 맞는 잡음제거 필터를 사용해 잡음을 제거한다. 이때 이미지의 특성은 방향성을 갖는 영역, 평편한 특성을 갖는 영역 그리고 복잡한 특성을 갖는 영역으로 구분된다. 웨이블릿 변환을 통하여 부대역의 특성에 따라 잡음제거 필터 또는 웨이블릿 임계화 (wavelet thresholding)를 사용하여 이미지 잡음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사용하는 잡음제거 필터는 양방향 필터 (bilateral filter)와 제안하는 새로운 가중치를 포함한 양방향 필터를 사용하였다. 여러 잡음제거 방법 중, 양방향 필터는 주변의 정보를 참조하여 두 개의 가우시안 (Gaussian) 가중치를 사용해 이미지의 잡음을 제거한다. 여기서 두 개의 가우시안 가중치는 각각 현재 픽셀위치에서 이웃한 픽셀에 대한 거리와 픽셀 값 (intensity value)을 사용하여 잡음을 제거한다. 하지만 양방향 필터를 사용하는데 있어 두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 번째로 잡음의 세기가 커질수록 잡음을 제거하는 효과와 함께 이미지가 에지 (edge) 영역에서 블러(blur)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미지의 해당 영역에 따라 방향성을 판단하고 판단되어진 방향성을 갖는 위치에서는 새로운 가중치 (Novel weight)를 생성하여 에지에서의 블러현상을 강인하게 방지하는 알고리듬을 제안하였다. 또한 평편한 특성을 갖는 영역(flat region)이라고 판단되면 양방향 필터의 intensity weight에 대한 parameter를 증가시켜 잡음을 좀 더 강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두 번째로 양방향 필터의 가중치는 고정된 사용자 매개변수 (user parameter) 값을 가지고 있어 잡음의 정도에 따라 적응적으로 잡음제거를 할 수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Donoho와 John stone의 웨이블릿 변환을 통한 방법을 사용하여 잡음 세기의 정도를 파악해 그에 대응하는 양방향 필터의 가중치 매개변수 값을 적응적으로 변환시켜 효과적으로 잡음제거를 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중소기업의 정보시스템 활용 방법에 관한 조사 연구

        임장혁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글초록 : 중소기업의 위한 정보시스템 활용 방법에 관한 조사 연구기업이 급변하는 디지털 경쟁의 시대에 생존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정보시스템을 도입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중소기업이 실제로 정보시스템을 도입, 운영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최근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확산시키기 위하여 정부와 업계의 주도로 ASP 방식의 정보시스템 보급이 적극적으로 추진되고 있고 이를 통해 소기의 성과를 얻는 중소기업도 늘어가고 있다. 그러나 정보시스템을 도입하는 중소기업의 관점에서 ASP 솔루션이 정보화시스템 구축을 위한 최선의 방식인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정보시스템 구매 방식에 대한 선호도를 조사하고, 구매 방식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관점에서 정보시스템 도입 방식에 대한 기초적인 요구 사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중소기업은 정보시스템 종류에 따라 상이한 보급 방식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중소기업의 정보화를 추진하는 정부와 관련 업계는 정보시스템을 도입하는 당사자인 중소기업이 정보화를 통해 직접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을 실시하고, 제품 개발, 제도 보완 뿐 아니라 보급 방식에 대한 다양한 모델을 개발해 나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초록 : A Study on the Information System Utilization Methods for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For enterprises to survive the rapidly changing digital competitive era, it is essential to introduce an effective information system. However,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have many difficulties in actually embracing and operating the information system. Nowadays in order to spread the e-transformat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government and business are actively distributing the ASP services and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are getting more benefits through this. However, there are not enough studies on whether ASP solution is the best way to build the information system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points of view.This study surveys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preferences on the way they purchase information system, analyzes the factors that effect the decision on the way they purchase, and by doing so, suggests the basic requirements on the introduction of information system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point of view. The results suggest that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prefer different purchase processes depending on the information system types.Based on these results, government and the related businesses could directly benefit the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 from the e-transformation. They, in addition, would have to work for developing products and complementing regulations, as well as designing various models for distribution processes

      • 예레미야서의 성전설교에 대한 연구 : 렘 7:1-8:3

        임장혁 한신대학교 신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예언자(איבנ)인 (렘1:9)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맡아서 올바로 전했다. 예레미야가 대언한 예언(預言) 중에서 특히, 성전 설교(렘7:1-15)는 예배와 생활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이중적 삶을 살았던 당시의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선포한 것으로서 그 시대를 향한 강력한 비판이었고 왕정체제에도 큰 영향(렘26장)을 끼친 예언이다. 예레미야서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심판을 받는 것을 종교문제로 한정지어 보고 있지만 면밀히 들여다보면, 종교적 문제 속에는 사회적 정의의 문제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예레미야가 강력하게 선포하는 메시지 안에서 종교적 문제와 사회적 정의 문제를 함께 풀어내기 위하여 예레미야서의 7장 성전설교의 연구가 필요함을 알 수 있게 된다. 현재 한국 교회의 정체성과 지속적으로 남겨온 발자국을 되돌아보며 구약성서에서 말하는 예언자에 대해 정확히 알고 그 메시지를 선포하고 있는지에 관한 질문을 던져보지 않을 수가 없으며 과연 이 시대의 교회 공동체가 예언자적 소명을 갖고 하나님의 사역을 이루어 나가고 있는지 깊게 생각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이 논문에서는 예레미야의 성전설교(7:1-15)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 성서범위를 7장 1절부터 성전설교의 정확한 이유가 언급되는 8장 3절(이하 성전설교. 7:1-15의 성전설교일 경우 표시)까지 설정하여 어떻게하여 성전설교가 종교 문제 및 사회정의 문제에 대한 선포인지 언급할 것이며 특히 지금까지 사회정의 문제에 대해서 등한시한 부분을 자세하게 말하고자 한다. 또한 한국교회 안에서 아무런 목적 없이 이중적으로 삶을 살아가는 이 시대의 신앙인들에게 성전설교를 토대로 예레미야의 담대한 메시지를 전하려 한다. 그리하여 예언자 예레미야와 의의 선포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통해 신앙을 향한 올바른 길을 제시할 것이다.

      • 기후변화에 따른 전라북도 장기유출량 변동성 평가

        임장혁 전북대학교 산업기술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fourth report of IPCC states the ever growing climate changes as a serious global issue. In Korea, however, the study on climate changes has been insufficient in terms of evaluating water resources although the seriousness is fully recognized. A number of researches on climate changes focus on qualitative aspects, rather than quantitative factors of future climate changes. Thus,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quantitative analysis on future climate changes in Korea by means of A1B scenarios provided by the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which involves the water budget analysis of future Jeonbuk Province basin. This study predicts possible changes in Jeonbuk Province basin in the future, and presents policies for effectiv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domestic conditions.

      • 교량 경간장 및 유송잡물에 의한 국부세굴 특성

        임장혁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교량의 구조상 경간장이 협소하게 되면 교각 주위의 국부세굴현상 외에 하천의 유하단면 축소로 인한 수축세굴이 발생된다. 또한 홍수시 하천에는 많은 유송잡물이 부유하여 유하할 수 있으며. 교각에 집적된다. 기존의 예측식들은 교량 경간장이나 유송잡물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세굴심의 증가를 예측할 수 없다. 이러한 세굴특성은 일반 국부세굴과 다른 양상을 보이게 되며. 연구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리모형실험을 통하여 단일 및 다중 교각에 집적된 유송잡물의 세굴특성을 분석하여 유송잡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교량 경간%을 제안하였다. 또한 유송잡물을 고려한 유효 교각폭을 제시하여 기존 세굴심 예측공식에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게 세굴심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유송잡물에 의한 교각주위의 세굴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유송잡물이 없는 교각과 유송잡물이 집적된 교각의 세굴심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경간장을 고려한 세굴특성 연구를 위해 교각을 2D 에서 8D 까지 1D 간격으로 변화시키며 실험하였으며. 경간장을 고려한 유송잡물과 교각사이에 집적된 유송잡물의 연구를 위해 유송잡물 모형을 교각에 설치한 후 경 간장을 4D에서 8D까지 1D간격으로 세굴심을 측정하였다. 유송잡물이 있는 경우에 최대 세굴심은 유송잡물이 없는 경우의 세굴 심보다 약 37% 증가하였다. 경간장을 고려한 세굴심은 경간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경간장을 고려한 유송잡물이 없는 교각의 세굴심을 단일교각에 의한 세굴심과 비교하면 6D 이상 일 때 세굴심 중가 현상이 없었다. 교각 주위에 유송잡물 이 집적된 교각의 세굴심은 7D 이상일 때 경간장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교각 사이에 유송잡물이 집적된 교각의 세굴심은 경간장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개도비에 의한 유효 교각폭이 기존 세굴 예측식에 적용된 결과는 다소 과대산정 되었으나 대체로 상관도는 양호하였으며. 유송잡물을 고려한 국부세굴심 예측에 효과적이었다. Decreasing the bridge span length, local scour developed and additionally constaction scour that was caused by reducing waterway. Appreciable amount of floating debris were carried by the river during floods. Such materials can be caught at bridge piers and accumulated into the large masses of material which sometimes referred to as debris raft. In this case, an established scour equation could not estimate scour depth because bridge span length and debris were not considered. A charateristic of this scour differed a general local scour, and that some few investigations have been reporte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scour by bridge span length and debris accumulation, this paper proposed bridge span length that minimized damage of debris and estimated effective pier width that considered debris accumulation.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scour by debris accumulation, scour depths on pier with and without debris were measured in real time. Also, for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scour by bridge span length,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at the distances between piers were modeled with 2D, 3D, 4D, 5D, 6D, 7D, 8D in which D is the pier diameter, respectively. Analyzing the effects of bridge span length and debris accumulation, the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at the distances between piers were modeled with 4D, 5D, 6D, 7D, 8D. Maximum scour depth with debris was 37% larger than without debris. The scour depth considering span length decease as increasing span length. Without debris, comparing scour depth of single and multi-piers, increase of scour depth did not exist while span length is more than 6D. With debris, local scour depth around a pier was not influence span length while over 7D. Also, With debris, local scour depth between piers wa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ing span length. This paper proposed effective pier width using opening ratio. The results that applying effective width to established scour equations were some overestimated. However, the correlation degree of results were mostly good and new factor predicted scour depth with debris effici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