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Nesfatin-1 이 폐 암세포의 증식과 이동에 미치는 영향

        임은지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Nesfatin-1은 식욕억제 호르몬으로 신체 내 여러 기관에서 발현하고 분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에는 nesfatin-1이 암 조직과도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전립선 암, 신장 세포 암, 유방 암에서 nesfatin-1은 정상 조직보다 높게 발현하였고, 이는 nesfatin-1이 암의 이동과 전이에 관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처럼 nesfatin-1이 정상 조직보다 암 조직에서 발현이 높다는 보고와는 반대로, 위암에서는 암 조직에서보다 정상 조직에서 nesfatin-1의 발현이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이와 같이, nesfatin-1과 암의 관계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며, 특히 폐암과 관련된 nesfatin-1 연구는 아직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nesfatin-1이 폐암세포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정상 폐 세포 주 BEAS-2B와 폐암 세포 주 H460, 전이된 폐암 세포 주 H1299를 이용하여 nesfatin-1의 처리와 NUCB2의 유전자 억제에 따른 세포의 증식과 이동을 조사하였다. Nesfatin-1/NUCB2 이 폐 정상 세포와 암 세포에서 발현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PCR과 western blot으로 mRNA와 단백질의 발현을 확인하였고, 또한 면역화학적 염색방법으로 nesfatin-1이 세 가지 폐 세포의 세포질에서 모두 발현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아울러 폐 정상 세포와 암세포에서 nesfatin-1에 대한 수용체 존재를 확인하기 위하여 FAM이 붙어있는 nesfatin-1을 이용하여 결합 부위를 조사하였다. 세 가지 폐 세포 모두에서 결합 부위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nesfatin-1이 세 가지 폐암세포의 증식과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0nM nesfatin-1을 30시간 동안 처리하면서 관찰한 결과, 정상세포인 BEAS-2B는 세포 증식이 증가하였고, 폐암세포인 H460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전이된 폐암세포인 H1299는 감소하였다. 그 후 nesfatin-1이 세포의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wound-healing assay를 이용하여 세포의 이동성을 조사한 결과, 정상세포인 BEAS-2B에서만 이동성이 증가하였으나, H460 및 H1299는 차이가 없었다. Nesfatin-1이 어떠한 신호전달과정으로 세포의 증식과 이동이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nesfatin-1을 처리한 후 FAK/PI3K/AKT, ERK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를 western blot으로 조사한 결과, 정상세포인 BEAS-2B에서만 세포 증식과 관련된 ERK의 활성이 시간이 갈수록 증가하였고, 세포이동과 관련된 FAK/PI3K/AKT도 시간이 지날수록 활성화되었다. 이와 달리 암세포인 H460과 H1299에서는 시간이 지날수록 감소하거나 영향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보아 nesfatin-1이 폐 암세포보다는 폐 정상 세포의 증식과 이동에 활성화된 ERK, FAK/PI3K/AKT 단백질이 관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mall interference RNA를 이용하여 세포 내에서 발현하는 nesfatin-1/NUCB2이 폐암 세포의 증식과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폐 정상 세포와 암 세포에 NUCB2 silencing을 시행 후 세포의 증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TGFA, PXN, FOS, CCND1, MTOR, TGFB1 유전자발현을 조사하였다. 정상세포인 BEAS-2B와 전이되지 않은 폐암 세포인 H460은 차이 없었지만, 전이된 특성을 갖은 H1299세포에서는 TGFA, PXN, CCND1, MTOR의 mRNA 발현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전이된 폐암 세포에서 NUCB2는 세포의 증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현재까지 nesfatin-1/NUCB2이 암세포뿐만 아니라 다양한 세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세포 내 어떠한 유전자들이 nesfatin-1/NUCB2에 조절되는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icroarray 방법을 통해 nesfatin-1/NUCB2이 폐 세포 내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폐 세포에 nesfatin-1을 처리한 후 유전자 발현을 확인한 결과, 23개의 유전자가 nesfatin-1을 처리한 후 발현의 변화를 보였다. 대표적으로 PTMA, SEPT7, FRG1, HSPE1, LIN7C 이 다섯 가지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고, C11orf17, IKBIP, GOLGA7B, SPTBN1, SERF1A 이 다섯 가지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특히, 세포의 증식, 이동과 상피세포의 극성을 유지하는 유전자의 발현은 증가하였지만, nuclear factor kappa-B (NF-KB)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유전자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아울러 NUCB2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킨 폐 세포 에서는 48개의 유전자가 siNUCB2 시행 후 발현의 변화를 보였다. 대표적으로 APAF1, TPT1, HIST1H2BK, RPL8, BCYRN1 이 다섯 가지 유전자의 유전자 발현이 증가하였고, MAMDC2, WEE1, TAOK1, PIM2, NUCB2 이 다섯 가지 유전자의 발현이 감소하였다. 증가를 보인 5가지의 유전자들은 세포자연사를 유도하는 유전자와 유전자 전사를 조절하거나 염색체 안정성을 유지하는 기능이 있었고, 억제된 5가지 유전자들은 세포분열을 억제하거나 G2/M기로의 변환을 억제하는 유전자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nesfatin-1을 폐 정상 세포와 암 세포에 각각 처리하면 정상세포에서만 증식과 이동이 증가한 것에 반해, 내부에 있는 NUCB2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였을 때는 전이 능력이 있는 암세포인 H1299 세포 에서만 증식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폐암 세포의 특성에 따라 nesfatin-1/NUCB2가 세포 내 미치는 영향과 기능이 다를 수 있음을 시 Nesfatin-1/NUCB2 is known to be expressed in various organs in the body by suppressing appetite and hormone secretion. Recently, nesfatin-1 has been demonstrated to be associated with various cancer tissues. However, there are no studies about the effects of nesfatin-1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of lung normal and cancer cells so fa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esfatin-1 on proliferation and migration in lung normal and cancer cells and its underlying mechanism involved in this process. First, to examine the expression of NUCB2 mRNA and nesfatin-1 protein in human lung normal, BEAS-2B cells and cancer cell lines, H460 and H1299 cells, RT-PCR, qRT-PCR, and western blotting were performed. RT-PCR result showed that NUCB2 mRNA expression was detected in the cells. As qRT-PCR, and western blotting results, the expression levels of nesfatin-1/NUCB2 mRNA and protein are higher in BEAS-2B cells compared to H460 and H1299 cells. In order to evaluate further the cellular distribution of nesfatin-1 protein, immunocy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Nesfatin-1 protein was detected in the cytoplasm of BEAS-2B, H460 and H1299 cells. In addition, prior to study about the effects of nesfatin-1 on the lung cancer cells, the binding site for nesfatin-1 in the three cell lines was detected using a FAM conjugated nesfatin-1. Nesfatin-1 binding sites were displayed around membrane in lung normal and cancer cell lines. Next, to examine the effect of nesfatin-1 on cell proliferation and migration, BEAS-2B, H460 and H1299 cells were exposed to nesfatin-1 (100nM) for 30 h. As a result, nesfatin-1 induced proliferation in BEAS-2B cells, but not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cells, H460 cells. On the other hand, nesfatin-1 inhibited proliferation in H1299 cells derived from lymph node cells. Nesfatin-1 also induces cell migration only in lung normal cell line, BEAS-2B cells. In contrast, the migration ability of H460 and H1299 cell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n-treated control and nesfatin-1 treated group. To evaluate the phosphorylation levels of FAK/PI3K/AKT and ERK of nesfatin-1 treatment were examined by western blot. As a result, p-FAK, p-PI3K, and p-AKT protein levels were increased in lung normal cells, BEAS-2B. On the other hand, in H460 and H1299 cells, these protein levels were decreased until 10 minutes after nesfatin-1 treatment, and then increased at 45 minutes. In addition, NUCB2 siRNA was transfected into the BEAS-2B, H460 and H1299 cell line, to investigate the function of nesfatin-1 expressed in the cytoplasm of the cells. After NUCB2 siRNA transfection, mRNA expression of cell proliferation related genes, such as TGFA, PXN, FOS, CCND1, MTOR, and TGF1 were analyzed by qRT-PCR. As a result, the mRNA expression of TGFA, PXN, CCND1 and MTOR was only decreased in NUCB2 siRNA transfected H1299 cells, but not in BEAS-2B and H460 cells. Various nesfatin-1/NUCB2 functions have been identified in cells, but their mechanism remains unclear. Thus, in this study, to determine the role of nesfatin-1/NUCB2 in genome wide gene expression, microarray analysis was performed with non-treatment (control), treatment of nesfatatin-1 (100nM), non-transfection (Lipo) and transfection of NUCB2 siRNA. Almost 99.95% of the 47,000 of the probe is shown similar but different aspects of the expression of 23 genes in nesfatin-1 treated sample. On the other hands, almost 99.89% of the 47,000 of the probe is shown similar but different aspects of the expression of 48 genes in NUCB2 siRNA transfection sample. Top 5 lank of increased genes in nesfatin-1 (100nM) treated cells were PTMA, SEPT7, FRG1, HSPE1, and LIN7C. On the other hand, Top 5 lank of decreased genes were C11orf17, IKBIP, GOLGA7B, SPTBN1 and SERF1A. In addition, Top 5 lank of increased genes in siNUCB2 transfected cells were APAF1, TPT1, HIST1H2BK, RPL8, and BCYRN1. On the other hand, top 5 lank of decreased genes were MAMDC2, WEE1, TAOK1, PIM2, and NUCB2.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ffects of nesfatin-1/NUCB2 on the cellular function may be different depending on the cell types and properties of human lung cancer cells. In addition, the present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nesfatin-1/NUCB2 expressed in various cancer cells may play important roles in the cell function, such as cell proliferation, migration, and apoptosis.

      • 다양한 사람 암세포주에서 녹차의 폴리페놀인 에피갈로카테킨-3-갈레이트의 항암효과에 대한 연구

        임은지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Epigallocatechin-3-gallate (EGCG) is a type of catechin found in mainly green tea. The present study compared the effects on anti-aging, anti-adipogensis and anti-tumor by exposure of EGCG in various cancer (SNU-601, MKN74, AGS, MCF-7, U87-MG and A-549) and normal cell lines (MRC-5 fibroblasts,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dental papilla tissue, mouse 3T3-L1 pro-adipocytes). Using MTT assay,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in normal cell lines (~50 uM), compared with cancer cell lines (~10 uM). For anti-aging effects, MRC-5 fibroblasts and mesenchymal stem cells derived from dental papilla tissue (DSC) cells were exposed to 10 uM EGCG for 5 passages. Population doubling time (PDT) and frequency of cells with high senescence-related β-galatosidase activity was also not significant (P<0.05) differences after prolongedly EGCG exposure in all cell lines used. For anti-adipogenic effects, mouse 3T3-L1 pre-adipocytes were induced into adipocytes in adipogenic differentiation medium containing 10 uM EGCG for 2 weeks. Following Oil-Red O solution staining, differentiation into adipocytes were not suppressed in mouse 3T3-L1 pre-adipocytes exposed to 10 uM EGCG. For anti-tumor effects, the cancer cell lines were treated with 10 uM EGCG for 2 weeks, and PDT was significantly (P<0.05) increased in SNU-601, AGS, MCF-7 and U87-MG cancer cells treated with 10 uM EGCG for 2 weeks, indicating retarded cell growth by EGCG treatment, excepts for MKN74 and A549 cancel cells. Level of telomerase activity by relative-quantitative telomerase repeats (RQ-TRAP)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P<0.05) down-regulated in EGCG-treated all cancer cell lines,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ancer cell lines. Further, high incidence of cells with senescence-associated β-glucosidase activity was displayed in all cancer cells after 10 uM EGCG treatment and frequency of cell migration anaylezed by wound healing assay was significantly (P<0.05) decreased in EGCG treated-cancer cells, compared with untreated control cancer cell lines. Our results have clearly demonstrated that EGCG treatment induces more efficient anti-tumor effects as pe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down-regulated telomerase activity, high frequency with senescence-associated β-glucosidase activity and decreased cell migration capacity than anti-aginig and anti-adipogenesis effects. Therefore, EGCG exposure at specific concentration can be considered as a candidate of potential anti-tumor drug for cancer chemotherapy.

      • 철근의 형태를 변형한 도자조형 연구 : 유기적 구조를 중심으로

        임은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양한 조형요소 중 선은 오래전부터 작가의 의도를 표현해내는 수단으로서 사용되어져 왔다. 또한 선은 작가의 의도에 따라 여러 의미를 담고, 선의 연결에 따라 새로운 형태미를 제공해 준다. 이에 단단한 선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선과 선이 연결되어 건축의 뼈대 역할을 해주는 철근의 형태를 이용하여 변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철근의 리브와 마디로 구성되어 있는 형태를 차용하여 구조적 조형성을 탐구하였다. 또한 철근의 독특한 조형미를 유기적 구조를 중심으로 형태를 변형하여 전개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자는 선과 유기적 구조의 의미를 탐구하고 도출된 형태를 철근의 조형성과 결합하여 방향성, 연속성, 비례성 등을 표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선의 일반적 고찰을 통해 곡선이 주는 특성과 표현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유기적 구조와 철근의 조형성에 대한 개념 및 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응용한 작품 사례를 분석하였다. 작품 제작 및 해설에서는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작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작품계획, 제작과정, 작품해설로 분류하여 서술하였다. 작품 계획에서는 가로선과 세로선을 어떤 형태로 분할과 결합할지 계획하고 제작과정은 선의 두께 실험과 C형 곡선의 형태 실험을 통하여 5가지의 유기적 구조형태로 나누고 작품에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작품해설에서는 석고를 이용한 원형 제작 방법과 타입별로 도자조형으로서의 조형미에 관해 서술하였다. 본 연구는 철근이 가지는 구조적 조형성과 형태미, 유기적 구조를 중심으로 도자조형의 구조적 심미성을 높일 수 있었고 이로 인해 점진감, 속도감, 리듬감, 운동감, 균형감, 안정감 등이 표현되는 유기적 구조형태 제작이 가능하였다. 또한 이형철근의 리브와 마디라는 규칙적 패턴으로 소성시 생기는 변형이나 파손을 줄여 도자기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었다. 향후 작업과정에서 색상의 변화나 새로운 패턴 등을 이용한다면 철근을 차용한 도자 조형에 대한 발전 가능성과 조형미가 확장되리라 본다. Among various formative elements, lines have been used as the way to express the artist’s intention for a long time. Also, lines embrace various meanings based on artist’s intention, and provide new formative beauty based on the connection of lines. Therefore, this study intends to use and transform the form of rebars, which are connected in the form of lines and act as the framework in architecture. This study used borrowed the form of rebars, which consist of ribs and joints, to explore the structural formativeness. In addition, it transformed the unique aesthetic of rebars based on organic structure to develop further.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expressing the directionality, continuity and proportionality by exploring the meaning of line and organic structure and combining derived form with the formativeness of rebars. In theoretical background, the characteristics and expression of curves were analyzed through the general consideration of lines. In addition, the idea and characteristics of organic structure and formativeness of rebars were examined, and the cases of work that applied them were analyzed. The work 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part was divided into production planning, process and interpretation based on theoretical background in order to help understand the work. In production planning, plans were established on how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will be divided or combined, and production process classified 5 organic structures based on the experiment of thickness of line and formative experiment of C curve and applied them to the work. Lastly, work interpretation described about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plaster and the formative beauty of ceramic form by type. This study was able to enhance the structural aesthetic of ceramic form using the structural formativeness, formative beauty and organic structure of rebars, and enabled the production in organic structure, which expresses progressiveness, speed, rhythm, motion, balance and stability. In addition, the regular patterns of ribs and joints of deformed bars were able to supplement the shortcomings of ceramics by reducing deformation or damage during firing. If the change of colors or new patterns are used in future processes,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 ceramic forms using rebars and their aesthetics would expand.

      •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배치 모델 시뮬레이션 연구

        임은지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s, WSN)는 무선으로 동작하는 센서 노드들이 네트워크로 구성되어, 물리적 혹은 환경적인 상태의 정보 수집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노드를 시간, 비용 효율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헬기, 드론, 비행기 등을 통해 무작위로 살포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Probability Density Function(PDF)에 기반하여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나, 기존 많은 연구에서는 완벽한 평지를 가정하여 3D 환경에서의 노드 배치는 고려하지 않았다. 특히 WSN에서는 안전한 무선 환경에서의 통신을 위해 pairwise key를 사용하는데, 효율적이고 높은 보안성의 달성을 위해 발전한 위치 기반 사전 키 분배 프로토콜의 사용을 위해서는 위치에 대한 고려가 더 중요하게 작용한다. 이에 WSN이 사실적인 현실 환경에서 사용될 경우를 고려한 실험 환경에서 가우시안 분포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고, 노드의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배치 오류에 대한 고려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형적, 물리법칙에 관한 사실적인 WSN 환경을 구성하여 노드 배치 시뮬레이션을 구축하고, 기존 연구들에서 제안한 가우시안 분포의 양상에 대한 검증을 진행한다. 이에 따라 도출된 사실적인 환경에서의 가우시안 분포와 배치 오류의 상관 관계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배치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도출한다. Wireless Sensor Networks (WSN) is a technology that enables wirelessly operated sensor nodes to collect information in physical or environmental conditions. In order to distribute nodes time and cost-effectively, they are often randomly sprayed through helicopters, drones, and airplanes, and accordingly, their location is determined based on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PDF). However, many existing studies have not considered node deployment in a 3D environment assuming perfect flatness. In particular, WSN uses pairwise keys for communication in a secure wireless environment, and location consideration is more important to use advanced location-based pre-key distribution protocols to achieve efficient and high secu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Gaussian distribution in an experimenta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ase where WSN is used in a realistic real-world environment, and to consider deployment errors that may affect the location of nodes. This paper builds a node deployment simulation by constructing a realistic WSN environment for topographical and physical laws, and verifies the aspects of Gaussian distribution proposed by existing studies. Accordingly, we check the correlation between the Gaussian distribution and deployment errors in the derived realistic environment and derive ways to minimize deployment errors accordingly.

      • 폭력 위험성 평가 도구 타당도 검증 : HCR-20V3를 중심으로

        임은지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plores the performance of 27 incarcerated violent offenders across 7 correctional institutions on the revised HCR-20, which is version 3 and PCL-R(Psychopathy Checklist-Revised) to examine the concurrent validity between these two risk assessment instruments. Moreover, I evaluated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HCR-20V3 by three raters for 27 cases for ratings on the H, C, R scales and Summary Risk Ratings(SRRs) using inter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ICCs). I also calculated the average percent agreement between sets of pair-wise ratings for SRRs. Finding indicated that HCR-20V3 and PCL-R were significant correlated. Inter-rater reliability was significant for the most part strongly good for the presence of risk factors and for SRRs. Furthermore, it was suggested that predictive validity of the HCR-20V3 tests would also be needed for the korean violent offenders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2013년에 개정된 HCR-20V3를 이용하여 전국 7개의 구치소 혹은 교도소에 수용중인 재소자들 27명을 대상으로 HCR-20V3(Historical, Clinical, Risk Management-20, Violence Risk Assessment)와 PCL-R(Psychopathy Checklist–Revised) 간의 공인타당도를 확인하고 선행 연구와 동일한 급내상관계수(ICC)를 이용하여 평가자간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또한 마지막 7단계 전문가 최종 의견의 4개 항목에 대해 평균 백분율 일치도(average percentage agreement)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HCR-20V3의 총점과 PCL-R의 총점 간의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평가자 간 신뢰도에서도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일치도가 나타났다. 평균 백분율 일치도에서는 72%이상의 상당한 일치도를 보였다. 나아가 논의에서는 이번 연구에 참여했던 폭력 및 강력 범죄자들을 대상으로 추후 예측 타당도 검증 또한 필요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 사용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글래스 조작방법 별 UI/UX 구성 방안

        임은지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은 2022, 2023년 세계적인 IT 전시회에서 다양한 스마트글래스 기술과 모델을 선보이고 있다. 스마트글래스 기술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되며 앞다투어 특허를 출원하며 기술 연구에 아낌없는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글래스의 출시는 지속될 것이며, 사용자들이 기기를 사용하기 이전 UI/UX 개선안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글래스의 조작방법별로 분류하고 기기를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들에게 보다 편리한 사용성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UI/UX 구성방안을 제안한다. 연구 방법은 사용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글래스 조작방법 별 UI/UX 구성방안을 적용한 서비스와 미적용한 서비스를 스마트글래스 경험자와 미경험자에게 사용하도록 하여 제안 방법이 실질적으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지 검증을 한다. 본 논문의 제안 방법으로 사용성과 스마트글래스 기기의 편리성을 높인다. Global big tech companies are introducing various smart glass technologies and models at global IT exhibitions in 2022 and 2023. As interest and investment in smart glass technology increases, they are scrambling to apply for patents and invest generously in technology research. The release of smart glasses will continue, and research related to UI/UX improvements is needed before users use the device. This study classifies smart glasses by operation method and proposes a UI/UX composition plan to provide a more convenient usability experience to users who use the device for the first time. The research method verifies that the proposed method can be practically conveniently used by users by having both smartglass experiencers and inexperienced users use the services to which the UI/UX composition plan for each smartglass operation method is applied and the services to which the UI/UX configuration plan is applied for each smartglass operation method to increase usability.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improves usability and convenience of smart glass devices.

      • 미셸 페트루치아니(Michel Petrucciani)의 솔로 피아노 연주 기법 : 『Promenade with Duke, 1993』 앨범을 중심으로

        임은지 상명대학교 문화기술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피아노는 선율, 리듬, 화성을 모두 표현할 수 있는 악기로, 독주 악기로 많이 활용된다. 재즈가 탄생하기 전부터 클래식으로 시작된 솔로 피아노는 왼손의 리듬을 잡아주는 반주 역할이 가장 큰 특징이며 부기우기, 래그타임, 스트라이드, 워킹 베이스의 주법이 있다. 프랑스 출신인 재즈 피아니스트 미셸 페트루치아니는 듀크 엘링턴의 영향을 받아 솔로 피아노의 초기 형식을 유지하면서 리듬적 요소를 다양하게 발전시키는 연주자이다. 본 논문에서는 페트루치아니에게 큰 영감을 준 엘링턴의 곡을 연주한 솔로 피아노 앨범 중심으로 분석하고 도출된 연주 기법을 적용함으로써 초기의 솔로 피아노 연주 형식에서 현대적으로 어떻게 더 발전되어 활용하는지에 대해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음악적 3요소를 모두 표현 할 수 있는 피아노의 특성을 살린 페트루치아니의 연주를 엘링턴 곡으로 이루어져 있는 앨범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테마와 즉흥연주의 연주 기법을 나누어 곡별로 분석하였으며, 테마 부분의 특징적 요소의 6가지 유형과 즉흥연주 부분의 특징적 요소의 5가지 유형이 나타났다. 테마와 즉흥연주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기법은 왼손 주법의 스트라이드와 워킹 베이스의 리듬변형이 가장 크게 나타나며, 유니즌과 페달 포인트로 선율을 강조하는 역할이 도드라지게 나타났다. 반면에, 테마 부분에서만 나타나는 특징은 주제 동기를 잡아 반복 패턴을 만들어 엘링턴의 원곡과 다른 선율적 효과를 주었으며, 즉흥연주에서는 시퀀스 활용을 독보적으로 사용하여 즉흥연주의 기승전결을 뚜렷하게 나타내주었다. 위의 기법들을 페트루치아니가 연주하지 않았던 엘링턴의 곡들과 분석 앨범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페트루치아니의 자작곡들을 적용하여 새롭게 재해석하고, 도출된 기법들을 활용하여 자작곡에 적용하여 재즈 솔로 피아노의 초기 형식을 뛰어넘어 현대적인 기법들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미셸 페트루치아니에 관한 국내에서의 첫 번째 학술적인 연구로 의미를 지니며, 페트루치아니의 연주 스타일을 연구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재즈 솔로 피아노를 연주할 때 다양한 응용과 적용을 통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The piano is a musical instrument that can express all of the melody, rhythm and harmony, and is often used as a solo instrument. Starting from classical music before jazz, Solo Piano has its biggest feature in the role of an accompaniment holding the rhythm of the left hand, with boogie-woogie, ragtime, stride and walking bass playing. French jazz pianist Michel Petrucciani, influenced by Duke Ellington, is a player who maintains the initial form of solo piano and develops various rhythmic elements. This paper focuses on the solo piano album that played Ellington's songs that inspired Petrucciani to present a modern way of developing and using the derived playing technique from the early solo piano playing style. Petrucciani's performance using the piano's characteristics that can express all three musical elements was studied mainly in an album composed of Ellington's songs. Theme and improvisation play technique were analyzed separately by music, and six types of the featured elements of the theme part and five types of the featured elements of the improvisation part appeared. The techniques that appear in common with the theme and improvisation are the stride of left hand playing and the rhythm deformation of walking bass, and the role of emphasizing the melody in the unison and pedal points is conspicuous. On the other hand, features that appear only in the theme part make a repetitive pattern by grasping the motives of the theme, giving a melodic effect different from Ellington's original music, and in improvisation, the use of the sequence is used in a simple way to clearly show the origin and effect of improvisation. A modern technique is presented beyond the initial form of a jazz solo piano by newly reinterpreting the above technique by applying the present composition of Petrucciani which was not performed by Petrucciani and the present composition of Petrucciani which was not handled by the analysis album, and applying the derived technique to the present composition. This study is the nation's first scholarly study of Michel Petrucciani and will be of great use to various applications and applications when studying Petrucciani's playing style and playing jazz solo piano based on the findings.

      • 혈액투석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 우울과 삶의 질

        임은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증상 클러스터를 규명하고, 증상 클러스터와 일반적 특성, 우울, 삶의 질과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서울 소재 4개 투석전문의원에서 3개월 이상 혈액투석을 받는 112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Dialysis Symptom Index(DSI)로 증상을 측정하였고, 우울은 한국판 Beck Depression Inventory(BDI)로, 삶의 질은 Korean vers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WHOQOL-BREF)로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1.0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증상, 우울, 삶의 질에 대해 기술통계,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 증상은 피로·활력부족, 가려움, 피부건조, 근심·걱정이었고, 증상 강도는 변비, 근심·걱정, 골관절 통증 순으로 높았다. 우울의 평균 점수는 9.91(±8.47)점이었고, 삶의 질은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평균 점수가 61.2점으로 낮은 편이었다. 요인 분석으로 감정(Emotional)클러스터, 요독(Uremic)클러스터, 위장관(Gastrointestinal)클러스터, 통증(Pain)클러스터, 성적(Sexual)클러스터의 5개의 증상 클러스터를 확인하였다. 요독 클러스터는 투석기간이 길수록 증상 강도가 높았다. 위장관 클러스터는 연령이 높을수록, 주 돌봄자가 형제 자매인 대상자에서, 알부민 수치가 낮을수록 증상 강도가 높았다. 통증 클러스터는 여성이 남성보다 증상 강도가 높았고, 동반 질환이 있는 대상자에서 증상 강도가 높았다. 성적 클러스터는 헤모글로빈 수치가 높을수록 증상 강도가 낮았다. 우울은 일반적 특성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삶의 질은 교육 정도와 월수입이 높을수록 높았다. 5개의 클러스터들은 서로 상관관계가 있었고, 요독 클러스터와 통증 클러스터가 가장 강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은 통증 클러스터를 제외한 모든 클러스터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우울과 삶의 질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 분석 결과 감정 클러스터와 성적 클러스터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교육정도, 동반 질환 유무, 감정 클러스터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혈액투석 환자의 증상 사정과 관리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우울 감소와 삶의 질 향상에 활용될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확인된 증상 클러스터를 검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used a descriptive survey design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symptom clusters and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on hemodialysis. Data was collected from 112 patients who were receiving hemodialysis in 4 local hemodialysis clinics in Seoul from July 25th to August 31st, 2015. Dialysis Symptom Index (DSI), Korean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and the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WHOQOL-BREF) were used to measure their symptom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one-way ANOVA, factor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most frequently reported symptoms included feeling tired or lack of energy, itching, dry skin, worrying. Constipation, worrying, bone·joint pain were rated as the most severe symptom. The average score of depression was 9.91(±8.47) and the quality of life was 61.2 out of 100. Five symptom clusters were identified and were named as emotional cluster, gastrointestinal cluster, uremic cluster, pain cluster, sexual cluster. Uremic cluster had a high symptom severity when the duration of hemodialysis was long. Gastrointestinal cluster had a high symptom severity for patients who were older, had siblings as their main caregivers, and had a low level of albumin. Pain cluster had a high symptom severity for females and patients having cormorbities. Sexual cluster had a low symptom severity when the hemoglobin was high. Depres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Finally,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when the education degree and monthly income were higher. Five symptom clusters were associated with each other. Uremic cluster had the strongest association with pain cluster. Depression had a positive association with the emotional cluster, uremic cluster, gastrointestinal cluster, and sexual cluster, but the quality of life had a negative association with the emotional cluster and uremic cluste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emotional cluster and sexual cluster were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education degree, cormobidities, and emotional cluster had an influence on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 that comprehensive symptom assessment provides better symptom management, reduces the depression, and improves their quality of life for patients on hemodialysi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symptom clusters identified in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