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간호사의 조직문화인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및 리더십의 조절효과
임영순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조직문화 유형 인식이 조직몰입 및 직무만족 등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 과정에서 리더십 지각이 갖는 조절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효율적인 조직문화 창출 및 조직유효성 제고를 위한 기초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실증분석의 자료는 부산지역 소재 3개 종합병원 간호사 160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에 의한 자기기입식 조사로 수집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조직유효성 인식의 변이는 직위에서 일반간호사보다 책임간호사가, 재직연수에서 10-14년 이상이 5-9년 이하보다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조직문화 유형 중에서는 관계지향 및 업무지향 문화가, 리더십 유형 중에서는 코칭리더십과 공유리더십이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한편으로 직무만족도에는 관계지향 문화와 코칭리더십 및 공유리더십이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 문화유형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코칭리더십은 업무지향 문화와, 공유리더십은 관계지향 문화와 상호 작용하여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였다. 조직문화유형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리더십의 조절효과는 모두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계지향 및 업무지향 문화의 조성이 간호사조직의 조직유효성 제고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이 과정에서 관리자들이 코칭리더십과 공유리더십을 적극적으로 발휘할 경우 성과가 극대화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영아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중 연령, 성, 기질을 혼자놀이, 1:1 상호작용, 집단 상호작용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C시에 위치한 어린이집 3개소의 1세, 2세 영아를 대상으로 오전 실내 자유놀이 시간동안 영아-영아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또한 영아의 기질을 알아보고자 어머니가 바라본 영아의 기질을 설문지를 통해 알아보았다. 조사된 영아기질 체크리스트와 한 영아 당 35회에 걸친 상호작용 관찰결과는 SPSS 14.0에 코딩되어 분석하였다. 또한 연령, 성별에 따른 영아의 상호작용 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고, 기질에 따른 영아의 상호작용 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호작용에 있어 혼자놀이, 1:1 상호작용, 집단 상호작용 순으로 상호작용 횟수가 1세와 2세 각각의 집단에서 많이 나타났으며, 2세 영아가 1세 영아에 비해 혼자놀이 횟수가 적고, 집단 상호작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자놀이와 집단 상호작용에서 각각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 주었다. 또한, 기존 2세 영아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이 1세에서도 나타났는데, 또래와 상호작용이 빈번함에 따라 1:1 상호작용과 집단 상호작용이 자연스럽게 일어나게 되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영아의 상호작용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영아 기질의 하위 영역별 평균점수 중 온순 및 지속성이 가장 높았으며, 반응성, 활동성, 적응성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아의 기질 중 반응성은 혼자놀이와는 부적 상관관계, 1:1 상호작용에서는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자유놀이상황에서 반응성이 높은 영아일수록 혼자놀이 하는 횟수가 적고, 1:1 상호작용 하는 횟수가 많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시설에 있는 영아들을 대상으로 영아의 연령, 성, 기질에 따른 상호작용 유형별 횟수를 밝혀 2세와 더불어 1세 영아들도 상호작용이 혼자놀이에 그치지 않고, 1:1 상호작용과 집단 상호작용이 일어나는 결과를 보여줄 수 있었고, 영아를 보육하고 있는 교사들의 인식변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데 의의를 지닌다고 보겠다. This study was set out to investigate variables affecting the infant-infant interaction. Age, gender and disposition among variables affecting the interaction of an infant were examined in this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categories of solitary play, infant-infant interaction and group interaction. The previous studies were reviewed. The subjects were selected among 1 year old infants and 2 year old infants of the 3 child care centers in C city . Their interactions were observed according to the age and gender during the indoor free play session in the morning. As for the disposition of the infants,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their mothers regarding their infant's temperament from their perspective. The acquired checklist to examine infant disposition and the observation results of the infant interaction throughout 35 sessions per a infant were analyzed by the program SPSS 14.0. Moreover,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interaction by age and gender,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made to examine the difference in interaction pattern by dispos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requency of the interaction for both groups of 1 year old infants and 2 year old infants was shown the highest in solitary play, infant-infant interaction and group interaction. The 2 year old infants played alone less than the 1 year old infants did, whereas the former's group interaction increase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olitary play and group interaction between the two groups. Moreover, the interaction shown in the 2 year old infants group was also shown in the 1 year old infants group. As they interacted with peers more, infant-infant and group interaction naturally appeared. Seco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action depending on gender. Third, as for the average score by each sub-category regarding the disposition of the infant, gentleness and persistency scored the highest followed by reaction, activity and adaptability. As for the disposition,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reaction in solitary play an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reaction in infant-infant interaction. It reveals that the infants with high reaction in the indoor free play session had low rate of solitary play and high rate of infant-infant interac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identified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by interaction patterns depending on age, gender, disposition of infants in a child care center. Thus it showed that the 1 year old infants group as well as 2 year old infants group evolved from the solitary play into the interaction with peers in infant-infant and group interaction.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e study could change the perception of the teachers in a child care center regarding the infant interaction enhancement.
산양유 kefir에서 분리한 Str. thermophilus LFG를 이용한 산양유 요구르트의 특성에 관한 연구
영문초록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a new type of goat milk yogurt, which could be formed to high-slime with lactic acid bacteria. Str. thermophilus LFG strain was isolated from goat milk kefir and investigated for biochemical, physiological and polysaccharide productive characteristics. To evaluate qualities of the goat and cow milk yogurt produced by Str. thermophilus LFG,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sensory characteristics and reduction of cholesterol were compared with those produced by other strains(Str. thermophilus TH3, Str. thermophilus Body-1, commercial strain and Str. thermophilus LFG and L. bulgaricus LB12, mixed culture).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 Two kind of pure lactic acid bacteria capable of forming high slime were isolated from the goat milk kefir made by Korean. The isolated strains observed by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16S rDNA partial sequence were identified as Str. thermophilus(LFG-1) and Lc. lactis(LFG-2) with over 99% homology. Optimum temperature of Str. thermophilus LFG was 40-45℃, and generation time was 40.6 minutes. Final pH of yogurt made by Str. thermophilus LFG and commercial strain Str. thermophilus Body-1 after 24 hrs fermentation at 37℃ were 4.30 and 4.55, respectively. The coagulative activity of Str. thermophilus LFG was almost as strong as that of commercial strain Str. thermophilus Body-1. But LFG-2 strain showed lower coagulative activity than Str. thermophilus Body-1. All lactic acid bacteria were survived about 22-29% in 0.3% bile extract. At pH 1.0 all of the bacteria were killed, also most of lactic acid bacteria became extinct against pH 3.0. However, all lactic acid bacteria survived well at pH 4.5 The crude EPS(CEPS), which consists of carbohydrate(37%,w/w) and protein(63%,w/w), was extracted from goat milk yogurt produced by Str. thermophilus LFG. The CEPS was consisted of monosaccharides, such as fucose 0.27%(w/w), galactose 42.35%(w/w), glucose 56.45%(w/w), galactosamine 1.37%(w/w) and glucosamine 1.09%(w/w), and all kinds of amino acid, mainly proline, leucine, valine, glutamic acid, glutamine, alanine, isoleucine and threonine. The yields of CEPS from Str. thermophilus LFG at high temperature(40-45℃) were shown higher than yields at low temperature(30-35℃). Goat milk yogurt with Str. thermophilus LFG was shown lower values in viscosity than cow milk yogurt. Also, the yields of CEPS from Str. thermophilus LFG were shown higher for 3% glucose yogurt(14-21%) and 3% sucrose yogurt(4-16%) than for control yogurt. Antioxidants activity of supernatant and CEPS extracted from yogurt produced by Str. thermophilus LFG were higher in goat milk yogurt supernatant(21%) and CEPS(28%) than cow milk yogurt supernatant(11%) and CEPS(24%). Changes of pH and acidity were slower at yogurt produced by Str. thermophilus LFG than at yogurt produced by non-slime forming strain( Str. thermophilus TH3), whereas those were fast at yogurt produced by the mixed culture with Str. thermophilus LFG and L. bulgaricus LB12. The initial count of lactic acid bacteria in yogurt produced by Str. thermophilus LFG(slime forming strain) and Str. thermophilus TH3(non-slime forming strain) were 2.1×109 CFU/mL and 8.7×108 CFU/mL, after 25 days they were 8.1×108 CFU/mL, 5.7×107 CFU/mL, respectively. The content of lactic acid of goat milk yogurt produced by the mixed culture with Str. thermophilus LFG and L. bulgaricus LB12 was higher than yogurt produced by single culture with Str. thermophilus LFG, Str. thermophilus TH3 and all cow milk yogurt. All cultures exhibited weak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E. coli and S. typhimurium, however, these show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Staph. aureus. Among others, mixed culture with Str. thermophilus LFG and L. bulgaricus LB12 exhibited high degree anti-mcrobial activity. Flavor compounds identified from goat milk were acetone, ethylbutanoate, ethyl-3-methylbutyrate, ethyl-2-butenoate and ethylhexanoate. Flavor compounds from cow milk were ethylbutanoate, acetone, 2-heptanone and acetoin. Flavor compounds from goat milk and cow milk yogurts were acids such as acetic acid and butanoic acid, alcohols such as butanol and diethylcarbinol, carbonyl compounds such as acetone, diacetyl, decane, 2-methyl-3-pentanone, hexanal, 2-heptanone, acetoin, benzaldehyde, and sulfur compounds such as dimethyldisulfide, dimethyltrisulfide. Concentrations of total short-chain free fatty acids(SFFA) of goat milk was 22.61 ppm(C4:0 2.37 ppm, C6:0 4.60 ppm, C8:0 6.07 ppm, C10:0 9.57 ppm). This value was higher than 14.16 ppm of cow milk(C4:0 3.86 ppm, C6:0 3.66 ppm, C8:0 2.38 ppm, C10:0 4.26 ppm). Total SFFA contents of goat milk yogurts were somewhat lower than those in the raw goat milk, whereas cow milk yogurts showed slightly higher than cow milk, irregularly. The syneresis of cow milk and goat milk yogurts produced by non-slime forming culture, Str. thermophilus TH3 showed the range of 17.9-21.3%, however, yogurt produced by slime forming culture, which consisted of Str. thermophilus LFG and mixed culture with Str. thermophilus LFG and L. bulgaricus LB12 didn't show any syneresis. These showed 9.6-16.1% syneresis after storage at 4℃ for 10 days. The sensory evaluation of goat milk and cow milk slime yogurts was higher than non-slime yogurt, especially. The yogurt produced by the mixed culture with Str. thermophilus LFG and L. bulgaricus LB12 resulted in the highest score at overall acceptability. The cholesterol was reduced to 29.0-32.8% in the all yogurts produced by lactic acid bacteria. Both of goat milk and cow milk yogurts showed the similar trend in the reduction of cholesterol. The effects of goat milk yogurt on CEPS hydrolyzates produced by Bifidobacterium were reduced fermentation time(20%), and increased average Bifidobacteria counts(25%), acetic acid(14.5%) and lactic acid(16.6%). In conclusion, goat milk yogurt with Str. thermophilus LFG was higher yields of CEPS than cow milk yogurt, and was improved quality such as viable cells of lactic acid bacteria and sensory evaluation. Also, high-CEPS yogurt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for improving colon environment
기독 청소년의 부모애착이 하나님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임영순 베뢰아국제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이 연구의 목적은 기독 청소년을 대상으로 부모애착이 하나님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하는 교회에 출석하고 있는 청소년 35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회수한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1.0을 이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고, 부모애착을 독립변인, 하나님 애착을 종속변인, 인지적 정서조절을 매개변인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부모 애착이 하나님 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부모애착이 하나님 애착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기도 하지만, 부적응적 인지적 정서조절을 거쳐 하나님 애착에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는 것을 의미하다. 이는 부모와 안정애착을 형성하면, 적응적인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을 더 잘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하나님과도 긍정적 관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진다. 부모가 안전기지로서의 기능이 가능할 때, 자녀는 자신의 부정적 정서를 내적으로 조절하는 것을 발달시키게 되어 하나님 애착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다. 반대로 불안애착 청소년은 부정적 정서를 경험하고 조절하는데 지속적으로 어려움을 느끼고, 효과적인 적응전략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면서 하나님과의 애착을 어렵게 하게 된다. 이 연구는 초기 부모애착을 통해 형성된 애착유형이 전생애를 걸쳐 지속적인 영향을 주지만, 인지적 정서조절을 통해 새로운 애착대상인 하나님과의 애착이 변화될 수 도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특히 정서적, 인지적 발달적 특징과 그에 따른 급격한 변화를 겪는 청소년기의 기독 청소년들 역시 부모애착은 새로운 애착 대상인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중요한 영향을 받는다. 이때 부모와의 관계에서 입은 상처와 부정적 경험이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에 따라 하나님과의 관계형성에 영향을 준다는 연구결과는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위한 기독교 상담에 중요한 의미를 부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on-emotion regulation on the impact of parent-child attachment on God attachment in Christian youth. To this end, online and offline surveys were conducted on 350 youths attending church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SPSS 21.0 was used for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with parent-child attachment as an independent variable, God attach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cognition-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In the effect of parent-child attachment to God attachment, it was found that maladaptive cognition-emotion regulation was partly mediated. This means that parent-child attachment directly affects God attachment, but also affects God attachment through maladaptive cognition-emotion regulation. This means that if you establish a stable attachment with your parents, you will be able to better use your adaptive cognitive and emotional control strategy and experienc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God. In other words, when parents are able to function as a safety base, their children develop the internal control of their negative emotions, which also affects their attachment to God. On the contrary, adolescents who develop anxiety attachments have a difficult time experiencing and controlling negative emotions and are unable to use effective adaptation strategies,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ttach to God.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confirms the possibility of the attachment type formed through early parent-child attachment has a lasting effect throughout life, but the cognition-emotion regulation may change the attachment to God as a new subject of attachment. In particular, Christian youths in adolescence who experience emotional and cognitiv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rapid changes are also greatly influenced by their relationship with God, which is the subject of new attachment. Hence, the study results that the wounds and negative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 with parents influence the formation of a relationship with God according to the cognition-emotion control strategy, which gives Christian counselling an essential meaning for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God.
주택정비사업 활성화에 대한 시장 및 부동산정책 연구 : 부산시 재개발사업 추진단계별 소요기간 분석
임영순 영산대학교 부동산 대학원 2023 국내석사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revitalization of the maintenance project with time series data from housing market status variables and real estate policy variables and provided basic policy data by analyzing the time required for each stage of the redevelopment maintenance project. It is meaningful to provide implications for real estate policies on the implementation and revitalization of maintenance projects affected by the Urban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Act.
특발성 저신장 아동 어머니의 `마음갉기`과정 : 성장호르몬 치료 경험 중심으로
신체적 성장이란 수정이 되면서부터 성인형태의 크기와 기능을 가질 때 까지의 모든 과정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수정이 될 때 유전적으로 결정이 되며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상태, 영양상태, 주변환경에 따라 이차적인 자극을 받으며 성장하게 된다. 그러나 가장 크게 영향을 받는 것은 부모의 신장 및 출생시 체중이며 저신장으로 인하여 성장크리닉을 방문하는 아동중 대부분이 가족성 저신장증과 체질성 저신장증을 원인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발생한 저신장을 특발성 저신장증이라 하며 이 소아들에게 최종 성인신장을 개선하기 위하여 성장호르몬 투여를 고려하게 된다. 그러나 현재까지 성장호르몬 투여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계속되고 있고 성장호르몬 치료에 대한 논란이 많은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저신장 아동을 키우고 있는 부모들은 성장호르몬 치료를 원하고 있고, 치료를 시행하면서 여러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성장호르몬을 투여하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특발성 저신장 아동을 키우고 있는 어머니들의 주요 심리적 문제와 과정을 알아 보기 위해 근거이론을 적용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특발성 저신장 아동 어머니들이 공유하고 있는 주요 심리적 문제는 ‘안쓰러움’이며, 이를 해결해 나가는 기본적인 사회 심리적 과정은 ‘특발성 저신장 아동 어머니의 마음갉기’로 나타났다. ‘특발성 저신장 아동 어머니의 마음갉기’는 다섯 단계이며, ‘조바심’, ‘헤매임’, ‘결단함’, ‘갈등함’, ‘받아들임’으로 구성되고 순차적으로 진행된다. 첫번째 ‘조바심’의 단계에서는 자녀가 태내에서부터 문제가 있어 작게 출산을 하거나, 잘 먹지 않거나, 유전적으로 키가 작은 부모를 닮아 또래의 아이들보다 현저히 작아 어머니의 마음을 안쓰럽게 한다. 아이가 성장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성장이 끝난 이후에도 저성장으로 머물며 사회적으로 위축이 되고 불이익을 받게 될까 조바심을 내며 이 단계에서는 ‘임신과정의 문제’, ‘잘 먹지 않음’, ‘저신장 부모를 닮아감’, ‘성장기대’의 네 범주로 나뉘어 지게 된다. 두번째 ‘헤매임’의 단계에서는 조바심이 계속되면서 어머니는 아이의 성장을 돕기 위해 한약을 먹이거나, 운동을 시키고, 특별한 영양제를 먹이며 여러가지 방법들을 사용하게 되는데 어느 것도 그 효과에 크게 만족을 하지 못한다. 헤매임의 범주로는 ‘한약을 먹임’, ‘영양제를 먹임’, ‘운동을 시킴’, ‘건강검진을 함’으로 나타났다. 세번째 ‘결단함’의 단계에서는 어머니가 자녀의 저신장에 대한 스트레스가 한계에 달하여 성장호르몬을 투여하기로 결단하는 단계이다. 결단하게 되는 이유는 아이를 위하여 부모로서 최선을 다하고자 하는 마음 때문이며, 부모가 저신장인 경우 저신장으로 인하여 그들이 겪었던 고통을 아이에게 물려주지 않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나타나는 범주로는 ‘부모의 도리’, 한계에 달함’으로 나타났다. 네번째 ‘갈등함’의 단계에서는 성장호르몬을 직접 투여하는 단계로 어머니가 주사기가 익숙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식의 살을 직접 찌른다는 부담감을 느끼면서도 이 방법밖에는 없다는 비장한 각오로 극복해 나간다. 그러나 이렇게까지 해야하나 하는 마음이 여전히 존재하고,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계속하며, 자녀의 성장함이 클때가 되어서 인지, 성장호르몬 제제에 대한 효과인지를 생각하며 반신반의한다. 이러한 반신반의하는 마음이 주사를 계속해야 하나 하는 갈등함으로 연결되며 주사투여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더 심화되어 드러나게 된다. 이 단계에서 나타는 범주로는 약물에 의존, 주사에 대한 부담감, 약효의 의심, 부작용에 대한 우려, 의료진에 의존, 비용에 대한 부담, 남에게 알릴 수 없음의 7가지 이다. 다섯번째로 특발성 저신장 아동 어머니의 마음갉기의 마지막 단계인 받아들임은 성장호르몬 투여후 어머니의 마음가짐을 잘 나타낸 것으로 첫번째, 아이가 잘 성장하여 만족스러운 경우와 두번째, 아이의 성장호르몬 투여효과에 대해 만족하지 못한 경우로 나뉘어 지는데 두번째의 경우 아이의 성장에 대해 포기하는 것보다는 시도를 해보았다는데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그리하여 성장호르몬 치료효과가 기대치에 미치지 못하여 만족스럽지 않다고 하더라도 어머니로서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하며 어머니가 아이에게 해 줄 수 있는 부분 이외의 것에 대해서는 아이 스스로 잘 적응하고 헤쳐나가기를 바라고 있다. 그동안 저신장에 대해서 사회적으로 문제가 많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연구가 활발하지 못한 실정이었다. 본 연구는 특발성 저신장 아동을 키우는 어머니가 성장호르몬을 투여하며 가지는 경험에 대해 연구가 전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심리적 문제와 그것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알아보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그 부모의 어려움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의 기초가 되었다는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