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미술활동을 적용한 의미요법 기반 자아정체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학령기 후기 아동 대상

        임영숙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아동을 대상으로 집단미술활동을 적용한 의미요법 기반 자아정체감 증진 프로그램(Logotherapy based Ego-identity Improvement Program through Group-art Activity: 이하 LEIGA)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간호 이론개발 전략 중 개념 합성을 사용하여 의미요법의 주요개념과 자아정체감 하위 요소를 토대로 이론적 기틀을 설정하였다. LEIGA는 상담 및 심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단계에 따라 개발되었다. 요구도 조사 결과와 문헌고찰 그리고 지역아동센터 운영자 및 아동과의 면담 결과를 반영하여 목적과 목표 및 회기별 목표와 프로그램 전략을 수립하였고, 예비조사와 전문가 평가 단계를 거쳐 1회당 40분의 총 12회기 집단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시차 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pre-post test design)를 이용하여 자아정체감, 삶의 의미, 학업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과 수도권에 위치한 S시, N시와 P시 소재 7개 지역아동센터 4-6학년 아동 중 센터장과 부모의 동의 후 연구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자로, 실험군 37명과 대조군 33명이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32 version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에 대한 동질성 검사는 실수,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로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 간의 차이 검증은 x²-test로 검증하였다. 실험군과 대조군 간의 동질성과 프로그램의 효과는 x²-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paired t-test, Independent t-test, Repeated measure ANOV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자아정체감, 삶의 의미, 학업 스트레스, 스트레스 증상은 사전, 사후, 중재 3주 후에 평가하였다. 실험군의 자아정체감(F=23.42, p<.001), 삶의 의미(F=27.82, p<.001), 학업 스트레스(F=14.14, p<.001), 스트레스 증상(F=15.52, p<.001)은 측정 시기와 집단의 상호 교호작용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실험군의 자아정체감(사전-사후 t=4.78, p<.001, 사후-추후 t=-6.78, p<.001, 사전-추후 t=3.31, p=.002), 삶의 의미(사전-사후 t=5.90, p<.001, 사후-추후 t=-6.67, p<.001, 사전-추후 t=4.37, p<.001), 학업 스트레스(사전-사후 t=-4.11, p<.001, 사후-추후 t=5.64, p<.001, 사전-추후 t=-3.06, p=.004), 스트레스 증상(사전-사후 t=-4.91, p<.001, 사후-추후 t=5.18, p<.001, 사전-추후 t=-3.83, p=.001)의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집단미술활동을 적용한 의미요법 기반 자아정체감 증진 프로그램은 학령기 후기 아동의 삶의 의미를 높이고 학업 스트레스와 스트레스 증상을 감소시킴으로써 자아정체감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지역사회에서 학령기 후기 아동의 자아정체감 증진을 위한 효과적인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

        임영숙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아 현장 활용 가능성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은 사회적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2.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은 연령에 따라 사회적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3.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은 성에 따라 사회적 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S.L유치원의 만 4세 각 16명과 만 5세 각 14명씩 총 6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8주 동안 매주 2회씩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교수 학습 방법에 참여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이와 같은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교수-학습 방법에 참여하지 않았다. 사전검사는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을 사용하기 전에 두 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사후 검사는 실험집단 유아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하여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을 8주간 처치 후 두 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같은 요령으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측정하기 위하여 McGinnis와 Goldstein(1990)이 제작한 기술상황 척도 <Skill Situations Measure>를 기초로 김영옥·윤경선(1999)이 수정하여 사용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을 사용한 이유는 동화에 제시된 사회적 모델을 통해 유아들이 감정이입적 상황에 접근하기 쉽고 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기에 적합하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사전검사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에 사회적 기술은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가 없었다. 실험절차는 예비연구, 사전검사, 8주간의 실험처치, 사후검사의 순서로 이루어졌다. 유아의 사회적 기술측정결과 분석은 SAS 프로그램의 t검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간보다 유아의 사회적 기술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을 적용한 실험집단과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을 적용하지 않은 통제집단간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한 결과, 학교적응능력은 4세 유아인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고, 대인관계형성기술은 5세 유아인 경우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의의 있는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개인정서조절능력은 유아의 연령에 따라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동화를 통한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효과가 성에 따라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의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결과를 볼 때 감정이입적 접근방법이 유아의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되어 진다면 유아의 사회적 기술을 보다 효과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tories on promoting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in preschools. Topics studied with special emphasi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tories upon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2. What are the effects of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tories upon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in terms of age? 3. What are the effects of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tories upon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in terms of sex? For this study, 60 young children (32 children of 4 years and 28 children of 5 years) from the Kwang-ju S. L. preschool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ere taught by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tories twice a week during the span of the total eight weeks whereas the control group were taught by the traditional approach. A pretest was conducted to both groups before the Empathic approach was introduc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s for the posttest, the teachers taught young children by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tories for promoting their social skills in classroom during the eight weeks and then their social skills were measured by the Kim, Young-Ok and Yoon, Kyoung-Sun's modified measuring instrument based on McGinnis and Goldstein's 'Skill Situations Measure. The reason that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tories was adopted for this study is because young children can have an easy access to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ocial models that are presented in stories and this approach is considered to be an appropriate method in promoting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The pretest did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ocial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 consists of the preliminary research, pretest, experiment of 8 weeks, and the posttest. The young children's social skills were measured and analyzed by the t-test of the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social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by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tories and the control group taught by the traditional approach.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social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age, that is, the result of the school adaptation abil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4-year old young children and the result of the formation skills of personal relation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5-year old young children. But the control ability of personal emotions was not affected by their age.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se children's social skill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aught by the Empathic approach through stories and the control group taught by the traditional approach in terms of sex.

      • 보리잎의 이화학적 특성과 보리잎떡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임영숙 세종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각종 비타민과 무기질과 생리활성물질등 기능성물질이 풍부한 보리잎의 유용식물 자원으로서의 중요성과 경제적인 실용화를 위하여 보리잎과 동결건조 열풍건조로 가루를 만들어 각각의 물리적, 이화학적 성분을 분석하였다. 또한 보리잎을 가장 대표적인 전통음식인 떡의 부재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멥쌀가루에 보리잎, 동결가루, 열풍가루를 첨가하여 우리나라의 떡 중 가장 기본인 설기떡과 절편을 제조하였으며 이 때 제조에 적합한 보리잎, 동결가루, 열풍가루의 비율과 최적 제조 조건을 제시하기 위하여 관능적, 기계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The study analyzed physical, physic-chemistry chemicals, antioxidation , Vitamim C, flavonoid contents, β-carotene contents, free sugar of barley leaves in order to find an importance of barley as a useful food resource and practical use of economic value. Also, to make an efficient use of barley leaves, Sulgidduk and Jeolpyun were made of unglutinous rice added with fresh barley leaves,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and the sensory and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in order to suggest the best mix ratio of barley leaves,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leaves and the best making condition. 1. The physic-chemistry characteristics of fresh barley leaves,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leaves were analyze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contents of crude powder and crude oil was more in frozen-dried barley leaves but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was similar in both of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leaves, showing a substantial difference from barley leaves. Brix was the most in barley leaves and pH was the most in hot-air dried leaves. 2. The content of free sugars consists of 3 kinds of free sugars, i.e. Fructose, Glucose and Sucrose. Generally, frozen-dried barley leaves showed the most content of free sugars than other test materials. 3. Hot-aired barley leaves had the most β-carotenecontent by 87.48mg; frozen-dried barley leaves, 50.38mg; and barley leaves, 11.60mg, respectively. Like this, different methods to process test materials made big different contents of β-carotene. 4. The result of vitamin C analysis indicated the most content with frozen-dried barley leaves, a bit high content of vitamin C with barley juice and a bit low content with hot-air dried barley leaves. 5. The result of gross flavonoid content test indicated the highest content 1.8 mg/g with frozen-dried barley leaves, a bit low content 1.33 mg/g with hot-air dried barley leaves. Meanwhile, barley juice showed very low content. 6. With the control group of Ascorbic acid (10 ppm) that is known to have high antioxidation, the comparison was made. The control group showed radical donating ability by 79.28% whereas frozen-dried leaves showed removal ability by 61.45%; hot-air dried barley leaves showed 65.67% and barley leaves juice showed 49.58%, respectively. Out of three differently processed materials, hot-air dried material had the highest radical removal ability of DPPH. All the three processes resulted in radical removal ability by 50% or more. As the result of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y showed to have antioxidation ability of more or less than Ascorbic acid 10ppm. 7. Sulgidduk were made with additions of barley leaves by 0, 3, 6, 9, 12% frozen-dried barley leaves by 0, 1, 2, 3, 4%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by 0, 1, 2, 3, 4%. As a result, generally hardness of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s decreased as the addition increased and it increased as storage period got longer. There showed the smallest increase of hardness when 12% barley leaves was added and 2%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was added. 8. Jeolpyun were made with additions of barley leaves by 0, 3, 6, 9, 12% frozen-dried barley leaves by 0, 1, 2, 3, 4%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by 0, 1, 2, 3, 4%. As a result, generally hardness of mechanical quality characteristics hit the highest right after being made. It showed the strongest hardness when 0% barley leaves and frozen-dried barley leaves was added and when 4% hot-air dried barley leaves was added. There showed the smallest increase of hardness when 12% barley leaves was added and 2%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was added. 9. The sensory test of Sulgidduk added barley leaves,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resulted in the highest in color, flavor, sweetness, bitterness, moistness, softness and chewiness altogether when 6% barley leaves and 2%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was added. Overall acceptability was strong in order of 6% 9% 3% 12% 0% of barley leaves added 2% 1%=3% 4% 0% of frozen-dried barley leaves added and 2% 1% 3% 0% 12% of hot-air dried barley leaves added. 10. From the sensory test of Jeolpyun added barley leaves,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resulted, in general Jeolpyun with 6%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2% hot-air dried barley leaves obtained good result. Overall acceptability was strong in order of 6% 9% 3% 12% 0% of barley leaves added 2% 1% > 3% 4% 0% of frozen-dried barley leaves added and 2% 1% 3% 0% 12% of hot-air dried barley leaves added. In conclusion, because barley leaves contained functional elements, e.g. vitamin C, β-carotene and antioxidation, they are believed to have a good use for food cooking and processing as a health aid food. Sulgidduk and Jeolpyun added with barley leaves,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are thought to have the best quality generally when 6% barley leaves or 2% frozen-dried barley leaves and hot-air dried barley leaves was added.

      • 피학대시설아동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한 미술치료사례연구

        임영숙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f children are abused and are brought up in care facilities in which they feel unable to have an emotional ties, the negative experience of the children deters the physical, emotional, cognitive development of them. And then the deterrence often leads to the problem behaviors of them.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m to express their own feeling and thinking in their own speech due to the fear or anxiety about the abused circumstances. Then, a medium lik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in this thesis is needed for them, by which nonverbal communication is possible. The aim of this thesis is inquire into the program for reducing the problem behaviors such as aggressiveness, attention deficiency, of delinquency of the abused children. The subject is three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1st to 2nd grade in care facilities, who are abandoned by their parents and have an experience of physical and sexual abuse. For them, this program is carried out during 30 sessions for 90 minutes per session twice a week? from April 8, 2009 to October 30, 2009?. The research tools of this study are K- CBCL(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 and CBQ(Children's Behaviour Questionnaire). CBQ is made out focused on the aggressiveness, attention deficiency, delinquency after observing the problem behaviors shown saliently among their behaviors. K- CBCL is evaluated by the care teacher in charge of the children, and the behavioral observance, especially on the problem behavior, is carried out for 30 minutes from start of each session by social worker.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materials, K-CBCL is evaluated at pretest, posttest, and further test of this program, and the change of the scales at each tests is presented. For the analysis of the children's behavior by CBQ, the frequency of their problem behaviors shown in each sessions is recorded and presen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is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the aggressiveness of the abused children. Their scales on aggressiveness are reduced, and the reductional effect still holds up afterwards. The child A's scale varies to the test, 76T in pretest, 65T in posttest, and 62T in further test. The child B's scale varies to the test, 68T in pretest, 52T both in posttest and in further test. The child C's scale varies to the test, 71T in pretest, 68T both in posttest and in further test. The aggressive behavior is reduced from the turning stage in general. In practicing stage, it is reduced evidently, and till the concluding stage the reductive effect holds up. Secondly, this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attention deficiency of the abused children. The reductional effect holds up afterwards. The child A's scale varies to the test, 76T in pretest, 62T in post test, 62T in further test. The child B's scale varies to the test, 69T in pretest, 58T both in post test and in further test. The child C's scale varies to the test, 70T in pretest, 67T both in post test and in further test. At the practicing stage of this program, the attention deficiency is reduced gradually, and the reductional effect still holds up till the concluding stage and further stage. Thirdly, this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delinquent behaviors of the abused children, and the reductional effect holds up afterward. The child A's scale varies the test, 70T in pretest, 64T in post test, 65T in further test. The child B's scale varies to the test, 70T in pretest, 59T in post test, 55T in further test. The child C's scale varies to the test, 73T in pretest, 66T both in post test and in further test. At the mid-turning stage of this program, the delinquent behaviors begin to reduce, and from the practicing stage, they are reduced evidently, and then till the further stage, their reductional effect still holds up. In conclusion, it is clear that this art therapy program is effective on the reduction of aggressiveness, attention deficiency, delinquency of the abused children. However, as the study object is three abused children in care facilities, it is not easy for the results of this study to generalize.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e same research theme are needed, and also the experimental research with comparative group is supposed to be carried out. 아동이 학대를 받고 정서적 유대관계를 맺기 힘든 시설에서 양육을 받게 되면 신체, 정서, 인지, 사회발달이 저해되어 문제행동이 유발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피학대아동은 학대상황에 대한 두려움이나 불안 등으로 자신의 감정과 사고를 직접 언어로 표현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비언어적인 표현이 가능한 매개체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피학대시설아동이 가지고 있는 공격성, 주의집중, 비행 등의 문제행동을 감소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신체학대와 성학대의 경험을 가지고 있으며, 부모로부터 유기 당하여 시설에 입소해 있는 초등학교1-2학년 아동 3명이었으며, 한 회기 당 90분씩 주 2회로 총 30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한국 아동 청소년 행동평가 척도(Korea Child Behavior Checklist: K- CBCL)와 행동목록표를 사용하였다. 행동목록표는 아동들의 행동 중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행동을 관찰하여 공격성, 주의집중, 비행에 대한 목록표를 작성하였다. K- CBCL은 아동들의 주 양육자인 담당보육사가 평가하였고, 행동관찰은 회기 시작부터 30분 간 사회복지사가 문제행동의 빈도를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자료 분석은 K-CBCL을 프로그램 사전, 사후, 추후에 평가하여 그 점수의 변화를 제시하였고, 행동목록표에 의한 아동의 행동은 회기 중 보이는 문제행동의 횟수를 기록하여 그 변화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피학대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피학대아동의 공격성 점수가 감소되었고, 그 효과가 추후에도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A(사전 76T→사후 65T → 추후 62T), 아동 B(사전 68T → 사후, 추후 52T), 아동 C(사전 71T→ 사후, 추후 모두 68T) 모두 공격성 점수가 감소하였다.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아동의 공격성 행동은 전반적으로 전환단계부터 점차 감소되었으며, 실행단계에서는 눈에 띄게 공격성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고 종결단계까지도 유지되었다. 둘째, 미술치료가 피학대아동의 주의집중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피학대아동의 주의집중 점수가 감소되었고,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 A(사전 76T→ 사후 62T→ 추후 62T), 아동 B(사전 69T → 사후, 추후 58T), 아동 C(사전 70T→ 사후, 추후 67T) 모두 점수가 감소하였다.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아동의 주의집중문제는 실행단계에서 점차로 감소되었고 종결단계 이후 추후단계까지 유지되었다. 셋째, 미술치료가 피학대아동의 비행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피학대아동의 비행행동 점수의 감소되었고, 추후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A(사전 70T → 사후 64T → 추후 65T), 아동B(사전 70T →사후 59T → 추후 55T), 아동 C(사전 73T →사후, 추후 66T) 모두 비행행동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프로그램 과정에서 나타난 아동의 비행행동은 전반적으로 전환단계 중반부터 감소되었고 실행단계부터는 눈에 띄게 비행행동이 감소되어 추후단계까지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피학대아동의 공격성, 주의집중, 비행의 문제행동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피학대시설아동 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결과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동일주제에 대한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비교집단을 둔 실험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자립기능 훈련이 정신지체 중학부 학생의 일상생활 자립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임영숙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신지체 학생들이 장래의 사회에 적응할 수 있고 자립적인 생활을 영위하는데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은 일상생활 자립기능이다.정신지체 중학부 학생들이 일상생활 자립기능에 관한 훈련과 직업 전 훈련프로그램을 습득하는 것은 고등부에 가서 받게 되는 직업훈련의 기초가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신지체 중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고등부에서 직업교육을 받기 전에 필요한 직업전 훈련 프로그램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일상생활 자립기능의 내용을 훈련하여 그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알아보고, 실제 학교의 교실장면에서 일상생활 자립기능에 대한 훈련프로그램이 좀 더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J 정신지체 특수학교 중학부 3학년에 재학중인 20명의 학생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Shalock의 직업전 훈련프로그램을 편역한 「발달장애아의 직업전 훈련 프로그램」(국립특수/조인수·장병연(1995)중에서 자립기능영역을 분석하여 학교 현장의 교실 장면에서 일상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내용으로 재구성하였다. 자료처리는 일상생활 자립기능 훈련프로그램 29개의 평가 항목의 점수를 사전·사후로 비교하여 spss 10.0 for Windo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t검증을 실시하고 일상생활 자립기능 훈련프로그램을 지도하는 과정에서 특기 할 만한 사항이나 좀 더 효과적으로 지도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서술적 관찰법을 사용하여 기술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상생활 자립기능에 대한 훈련 효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서는일상생활 자립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남녀 성별의 차이는 없었고, 장애의 유형에서는 자폐성 학생들이 정신지체 학생들 보다 훈련의 효과가더 크게 나타났다.훈련과정에서 보면 기능적인 면을 습득하는데는 자폐성 학생이 더 낫고, 태도나 정의적인 면에서는 정신지체 학생들이동기유발이 더 잘되었다.또한 사회연령(SA)에 따른훈련의 효과는사회연령이 높은 학생이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상생활 자립기능의 효과적인 지도방법에서는 훈련 내용에 따라 다양한 방법과 지속성을 유지해야 한다.손톱깎이, 헤어드라이기,헤어용품, 손빨래, 세탁기, 다림질, 단추달기 등은 사전에 스스로 해 본경험이 별로 없어서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훈련 초기보다 훈련기간이 경과하면서 자연스럽게 거울을 보고 옷매무새를 고치며 각종 용품과 도구들을 사용하려는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직업전 훈련 프로그램의 다른 하위영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연구방법은 실질적으로 학교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지도방법에 대한 연구가 되어야 하며, 학생들이 습득한 일상 생활 자립기능들이 학교와 가정, 사회에까지 일반화되고 유지 될 수 있는가 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교사가 지각하는 중등학교장의 권력기반 크기에 따른 교사의 직무만족도 : The Perceived power bases of principal and job satisfaction in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임영숙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how much secondary school teacher perceive the six kinds of power(coercive power, reward power, legitimate power, expert power, referent power, and informational power) of his principal.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six different power bases of his principal and his job satisfaction in detail were examined. Five hundred and ninety seven teachers(264 males and 333 females) who work at middle and high schools answered to questionnaires prepared to assess the power bases of principal and their job satisfaction. The principal's power bases scale was constructed on French and Raven(1959)'s theory of power bases and earlier related studies and scale for job satisfaction was used No(2001)'s 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perceived the expert power of their principals the greatest, which was followed by referent power, coercive power, informational power, legitimate power and reward power. Second, teachers' overall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reward power of principal only when they perceived their principal could provide them with useful information. In contrast, the principal's coercive power affected negatively on teachers' perceived work pressure, innovation and colleague relation. Third, the teachers' pride to teaching position which I was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one in sub-scales of job satisfaction, was positively related with principal's referent power and was negatively related with reward power.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their principal's power differently on six power bases. And each of the perceived principal's power bases influences on the different kinds of their job satisfaction. 본 연구는 중등 학교장의 권력을 French와 Raven(1959)이 구분한 6가지 권력기반(권력의 근거)으로 구분하여, 교사들이 지각하고 있는 학교장의 권력기반(강제권력, 보상권력, 합법권력, 전문성권력, 참조권력, 정보성 권력) 차이를 살펴보았다. 또한 학교장의 권력기반 크기에 따른 직무 만족도를 하위영역별로 살펴보려고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창원시내에 소재한 중.고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597명(남교사 264명, 여교사 3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French와 Raven(1959)의 6가지 권력기반 개념 구성과 기존 연구들을 참조해서 우리나라 중등학교장의 권력기반 측정에 맞도록 연구자가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했다. 교사의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최근에 개발된 노종희(2001)의 '교사 직무만족 설문지(Teacher Job Satisfaction Questionnaire: TJSQ)'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교사들이 지각한 중등학교장의 권력기반별 권력크기를 살펴본 결과, 교사들은 자신의 학교 학교장이 전문성 권력, 참조권력, 강제권력, 정보권력, 합법성 권력, 보상권력 순으로 크게 지각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의 직무 만족도 역시 하위영역별 차이가 크게 나타냈다. 교직의식, 동료애 등은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업무부담, 발전성, 보상, 혁신성, 자율성 등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셋째, 중등교사들이 지각하는 학교장의 6가지 권력크기와 교사의 전체 직무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두 권력기반 상호작용 효과에서 학교장의 보상 권력은 그가 교사에게 유익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는 경우에만 교사의 전체 직무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교사들의 전체 직무 만족도는 학교장의 정보성 권력과 보상권력이 모두 큰 경우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장의 강제권력은 교사들의 업무부담, 혁신성, 동료애 지각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었다. 즉 학교장의 강제권력이 클수록 교사가 업무부담을 느끼고, 혁신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본 연구자가 가장 중요하게 본 교직의식은 학교장의 권력기반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직무만족의 하위요인 중 하나로 학교장의 참조 권력과 정적으로 관련되었으며, 보상권력과는 부적으로 관련되었다. 학교장이 교사들에게 보상을 사용하지 않는다고 느낄수록 교사들의 교직의식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들이 지각하는 중등학교장의 권력은 6가지 권력기반에 따라 각각 다르고, 현재의 학교장들은 전문성 권력과 참조 권력이 상대적으로 큰 반면, 강제 권력, 합법성 권력, 보상 권력은 상대적으로 작다는 것을 알 수 있어서, 학교장의 권력기반은 교사들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실증적으로 입증하였다. 또한 학교장이 어떤 권력기반을 구축해야 해당학교 교사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한 많은 시사점을 주었다.

      • 이유기 섭식행동과 유아의 생우유 섭취 및 성장과의 관련성 연구

        임영숙 명지대학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12-36개월 유아 654명을 대상으로 이유식 섭식 행동과 생우유 섭취량과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또한 생우유 섭취량에 따른 성장도와의 관련성을 알아보고 생우유 적정 섭취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과다 생우유 섭취 아동의 영양상태를 평가하여 신체계측지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신체계측 및 설문조사로 실시하였고 식이 섭취는 24시간 회상법으로 수집하였다. 성장정도는 한국소아 발육표준치를 기준으로 WAZ(Z-Score for weight-for-age), WHZ(Z-Score forweight-for-height)값을 mean-1S.D. 미만은 저체중, mean±1S.D.이내는 정상, mean+IS.D.초과는 과체중으로 분류하여 식이 섭취와 이유식 섭식 행동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우유 섭취량과 이유식 섭식 행동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젖병을 장기간 사용한 경우(p<0.0l), 숟가락 사용이 늦은 경우(p<0.0l), 이유식 도입시기가 늦은 경우에(p<0.0I)생우유를 많이 섭취하였다. 또 조제유를 포함한 총유즙 섭취량에서도 같은 섭식 행동결과를 보였다. 즉 이유기 섭식 행동이 생우유 과다 섭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사료된다. 2. 생우유 섭취량에 따른 유아의 영양상태를 평가한 결과 12-36개월 군에서는 생우유를 600ml 이상 섭취한 때부터 철분의 영양소 적정 섭취비율이 낮아졌고(p<0.05)비타민C의 섭취 비율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에 생우유를 400-600ml 섭취한 경우 철분의 영양소 적정섭취비율은 높았고(p<0.05)비타민C의 영양소 적정 섭취비율은 높은 경향이 있었다. 12-24개월 군에서는 생우유를 400ml 미만 섭취한 경우와 400-600ml 섭취한 경우에 이보다 생우유를 많이 섭취한 경우보다 철분의 영양소 적정섭취비율은 높았고(p<0.05)비타민C의 적정 섭취비율은 높은 경향이 있었다. 25-36개월 군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성장지 표로 평가 한 결과와 식이 섭취평가를 종합해서 생우유 적정 섭취량을 추정하면 12-24개월 유아는 일일 생우유 섭취를 400-600ml, 25-36개월 유아는 400ml 섭취가 적당하다고 추정된다. 또 12-36개월의 전 월령군으로 볼 때는 400-600ml 섭취가 적당하다고 추정된다. 3. 생우유를 600ml이상 섭취하거나 800ml이상 섭취하는 유아의 영양상태를 체형군별로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WAZ와 WHZ 값으로 본 정상군은 열량, 단백질, 철분 비타민B1 등의 영양소 섭취가 과체중군과 저체중군보다 유의하지는 않으나 높은것으로 나타났고 열량, 철분, 비타민 C 의 영양소 적정섭취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체중군은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많았으나(P<0.05)저체중군과 같이 철분과 비타민 C의 영양소 적정섭취 비율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조제유를 포함한 총 유즙 섭취에서도 일일 총 유즙을 800ml 이상 과다하게 섭취하면 철분의 영양소 섭취가 저조한 경향을 나타냈다. 4. 생우유 과다 섭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찾고자 일일 생우유 섭취 400ml를 기준으로 하여 400ml이상 섭취군과 400ml 미만 섭취군으로 나누어 상대위험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12-24개월 군에서 생우유를 과다 섭취할 상대위험도는 이유식을 생후 4-6개월보다 늦게 시도한 경우에 높은 경향이 있었다. 젖병사용기간은 12개월정도를 적정기간으로 볼 때 13-24개월,25개월 이상군에서 각각 상대위험도는 1.45(CI 0.75-2.78), 4.68(CI 0.69-31.63)으로서 젖병사용기간 12개월 이하군의 상대위험도 1.00보다 높은 경향이 있었다(p<0.1). 또한 숟가락 사용 시도 시기를 이유식 시도시기인 4-6개월을 적당한 시기로 볼때 3개월, 7개월이상군에서 각각 상대 위험도는 1.14(CI 0.63-2.06), 1.94(CI 1.15-3.28)으로 숟가락 사용 시도시기가 4-6개월보다 이르거나 늦은 경우 상대적으로 생우유 섭취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한편 생우유 도입을 3-6개월, 7-12개월에 한 경우 생우유를 400ml 이상 섭취 할 상대 위험도는 각각 2.00(CI 0.27-14.6)과 1.39(CI 0.83-2.25)으로서 생우유를 생후 12개월 이전에 도입한 상대위험도 1.00보다 생우유를 과다하게 섭취할 위험이 높은 경향이 있었다(p<0.1). 이런 경향은 25-36개월 유아에게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으나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5. 섭식행동을 분석한 결과, 성장과 이유기 섭식 행동간에 관련성을 보인 것은 젖병사용기간, 숟가락사용시기, 생우유 섭취량으로 나타났다. 젖병사용기간은 25개월미만인 경우 성장지표로 볼 때 정상 군에 속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p<0.05)숟가락 사용시기는 4-6개월에 숟가락을 사용한 경우 정상 군에 속하는 비율이 높았다(p<0.0l). 또 생우유 섭취는 12-24개월 군에서 400-600ml, 25-36개월 군에서 400ml 섭취하는 것이 성장지표로 본 경우 정상 군에 속하는 비율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6. 성장지표를 기준으로 분류한 체형군의 식이섭취평가 결과, 12-24개월 군에서 과체중군은 다른 체형군보다 열량(p<0.01), 단백질(p<0.01), 칼슘(p<0.01), 인(p<0.01), 비타민 B1(p<0.01), 비타민 B2(p<0.0l), 나이아신(p<0.01), 비타민 C(p<0.05)의 영양소를 많이 섭취하고 있었고 권장량 대비비로 볼 때도 가장 높았다. 한편 영양소 적정섭취비율로 보면, 저체중군과 과체중군이 정상군에 비해 철분, 비타민C의섭취가 저조한 경향을 보였다. 25- 36개월 군에서 과체중군은 단백질(P<0.05), 칼슘(P<0.01), 인(P<0.01), 비타민A(P<0.01), 비타민 B1(p<0.01), 비타민 B2(P<0.0l)의 영양소를 저체중군 및 정상군에 비해 많이 섭취하고 있었고 권장량 대비비로 보았을 때도 가장 높았다. 영양소 적정섭취비율로 보면 체형군간에 영양소 적정섭취비율의 차이는 없었으나 종합해서 볼 때 철분, 비타민 C의 영양소 적정 섭취비율이 다른 영양소의 적정섭취비율보다 낮은 경향을 보여 이들 영양소의 섭취에 문제점이 있음을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이유기의 섭식 행동은 생우유 과다 섭취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유도입을 늦게 한 유아는 이유식이 완료된 생후 12개월 이후에도 고형식의 이유식보다는 젖병에 넣어 먹을 수 있는 유동식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고 또한 유제품을 좋아하는 식품기호를 갖게되어 생우유를 상대적으로 많이 섭취하는것으로 생각되어진다. 한편 숟가락 사용을 4-6개월보다 이른 3개월이하에서 시작한 유아는 숟가락 사용을 시도해 보았다는 경험에 비중을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시판과즙이유식과 시판분말이유식에 의존하여 먹였을 가능성을 추정 할 수 있다. 따라서 유의하지는 않으나 숟가락을 일찍 시도한 유아가 4-6개월보다 늦게 숟가락을 시도한 유아와 같이 생우유를 400ml이상 섭취할 위험도가 높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젖병을 장기간 사용한 유아는유즙에 의존한 경향이 상대적으로 높아 생우유를 400ml 이상 섭취할 위험이 높았던것으로 사료된다. 한편 생후 12개월이전의 생우유 도입은 고형식에 익숙하기도 전에 일찍부터 생우유에 의존한 식습관 및 기호성을 갖게되어 생우유를 과다 섭취하는 위험이 높게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된다. 영유아기에 생우유를 과다 섭취하면 다른 식품을 섭취하는 기회가 줄어들고 그것으로 인하여 영양상태와 성장이 불균형이 될 우려가 있겠다. 그러므로 을바른 이유식 섭식 행동에 관한 영양교육을 시행하여 적정량의 생우유 섭취와 조제유를 포함한 유즙 섭취를 하도록 하여 영양상태와 성장이 균형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between weaning practices and the growth of children aged 12 to 36 months, with the focus on cow's milk consumption. The subjects were 654 preschool children residing in Seoul and Kyunggi-do area. The indices of growth were WAZ(Z-Score for weight-for-age) and WHZ(Z-Score for weight-for-height). The subjects were thus divided into 3 groups: the underweight group of WHZ below mean-1S.D, the normal-weight group of WHZ from mean-1S.D to mean+lS.D, and the overweight group of WHZ over mean+l S.D. The data were sorted by age: 12-24 months and 25-36 month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for the relation between cow's milk consumption and weaning practices, the group that overconsumed cow's milk had a tendency of a shorter period of breast-feeding, longer use of the milk bottle, and later use of the spoon. The overconsumption group also consumed more of powdered weaning food products but less of meat and eggs. 2. Growth-development and dietary quality for children aged 12-24 months were also examined in relation to consumption of cow's milk. The children who consumed 400-600 ml of cow's milk a day composed a larger portion of the normal-weight group than the other groups of cow' milk consumption below 400 ml, between 600 and 800 ml, and over 800 ml. The children who consumed cow's milk over 800 ml a day were the most common in the overweight group. For the group of cow's milk consumption over 800 ml, the NAR(Nutrient Adequacy Ratio) of iron and Vitamin C, the MAR(Mean adequacy ratio) and the DDS(Dietary diversity score) were low, but the NAR of calories was high (P<0.05). 3. Children aged 25-36 months who consumed below 400 ml of cow's milk had higher normal weight ratios than the others based on the WAZ, but their overweight and underweight ratio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4. For children aged 12-36 months consuming 400-600 ml of cow's milk, the ratio of normal weight based on the WAZ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ow's milk consumption groups(p<0.05). As for the subjects of 400-600 ml of cow's milk consumption, the NAR of iron and vitamin C was the lowest, but the NAR of calories was the highest (p<0.01). These results show that it is recommendable for children aged 12-24 months to consume 400-600 ml of cow's milk a day, and for children aged 25-36 months, 400 ml a day. Children aged 12 months are recommended to have cow's milk twice a day. 5. When overconsuming cow's milk (over 600ml or 800ml), intake of calories, protein, iron and vitamin C in the normal weight group, based on the WAZ,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verweight and underweight groups, which is, however, not significant. The NAR of calorie, iron and vitamin C, the MAR and the DDS of the normal weight group were also higher than those of the overweight and underweight groups. 6. Intake of iron and vitamin C in the normal-weight group based on WHZ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verweight and under weight groups, but this result was not significant. The NAR of iron and vitamin C of the normal-weigh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overweight and underweight groups. Dietary quality in divided groups was assessed based on the WAZ and the WHZ. The NAR and DDS of overweight and underweight groups were different but not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WAZ and WHZ. Regardless of the WAZ and WHZ, intake of fat nutrient was the highest in the overweight group(p<0.05). For children aged 12-36months consuming over 600ml or 800ml of cow's milk, intake of iron and vitamin C was very low in overweight and underweight groups. The fat intake of overweight children was especially high. Children who had a good intake of grains, fruits and vegetables in spite of overconsumption of cow's milk were mostly normal-weight or overweight. The DDS of the normal-weight group was especially high. From these results, it is speculated that overconsumption of cow's milk for preschool children aged 12-36 months caused them to be overweight or underweight. 7.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ir cow's milk consumption: the first group consuming below 400 ml and the other consuming over 400 ml. The factors related to overconsumption of cow's milk were examined and the odds ratio was calculated. 1) In the group of the age of 12-24 months, the odds ratio for overconsumption of cow's milk was high when weaning age was earlier or later than 4-6months, and when the bottle using period lasted for 13 to 25 months. 2) The subjects whose spoon using age was earlier or later than 4-6months tended to overconsume cow's milk. This tendency weakened when children became 25-36 months. In conclusion, the weaning practice at the age of 6-12 months affected the consumption of cow's milk. There were several factors that led to overconsumption of cow's milk: introducing weaning too early or too late, starting spoon-use later, and using the milk bottle for a longer period. Overconsumption of cow's milk caused underconsumption of solid foods and limited food intake diversity, which then led to lower-than-average intake of iron and vitamin C and the possibility of overweight or underweight. Therefore, education on weaning practices is needed to prevent overconsumption of cow's milk after infancy. Appropriate weaning practices are also required: introduce weaning food at the age of 4-6 months, use the spoon when beginning the weaning practice, refrain from long use of the milk bottle, introduce commercial powdered weaning products by spoon, and introduce cow's milk after the age of 12 mon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