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약물 부작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노인 다 빈도 사용 약물 계열별 특이 부작용 분석

        임승엽 차의과학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ag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outh korea has entered an aged society in 2018 and is expected to enter the super aged society in 2026. The elderly patients who are increasing in this social trend generally have various chronic diseases due to passage of time, which leads to the use of multiple medicine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drug use in elderly patients and pharmacokinetic and pharmacodynamic changes make elderly patients more vulnerable to side effects than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specific adverse effects of various drugs used for chronic diseases of elderly patients by using database and statistical techniques. also, This will allow medical staff to be more cautious in prescribing medications and guiding medication for elderly patients, and elderly patients will also be aware of the typical side effects caused by medication. This study i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pecific side effects of drug classes by selecting ATC drug series which are mainly used for the ten major diseases in the elderly. In the SIDER 4.1 database (http://sideeffects.embl.de/), only adverse events with more than 1% integration frequency of ATC-related side effects were extracted. The specificity score is calculated for the extracted side effects and the adverse effect of 2 x log(N/n) or more, which is the cut-off value, is derived as the specific side effect for each drug series. As the result, A02 5ea , A10ea, C02 3ea, C03 5ea, C07 11ea, C08 2ea, C09 11ea, M01 13ea, N02 7ea, R05 1ea are identified specific adverse effects that may occur in the drug family. A02 is a drug for reducing gastric acid. It is used for the treat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Dysgeusia may apper as a side effect. A10 is mainly used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it is used for lowering blood sugar. Therefore, hypoglycaemia can occur. C02 clonidine is used to lower blood pressure by stimulating the α 2 receptor in the brain. It is mainly used as a therapeutic agent for hypertension, which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dry mouth and hypotension. Beta blockers such as C07 metoprolol reduce myocardial contractility and heart rate is a drug that is widely used as a treatment for hypertension. However, the blood flow of the hands and feet can also be reduced, which can lead to side effects such as peripheral coldness. ACE inhibitor drugs like C09 are widely used as drugs for hypertensive treatment. because they relax blood vessels and lower blood volume. However, side effects such as hypotension and Cough can occur. The M01 family is mainly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s), which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gastrointestinal disorder and gastritis. N02 drugs are narcotic analgesics that can cause side effects such as somnolence, pruritus, dry mouth and cough.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pecific side effects of drug classes by analyzing the specific side effects of drugs used by elderly patients using the drug side effect database. It can also be applied to drug education and education program for elderly patients to prevent the risk of using multiple drugs together.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한 대한민국은 2018년 고령 사회로 들어섰고 2026년에는 초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흐름 속에서 증가하는 노인환자는 일반적으로 세월의 경과로 인하여 다양한 만성 질환을 가지게 되며, 이는 다 약제 복용으로 이어지게 된다. 노인환자에서의 다 약제 복용의 특성과 성인과 다른 약동학 및 약력학적인 변화는 노인환자를 부작용에 더욱 취약하게 만든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환자들이 갖고 있는 만성질환에 대하여 다 빈도사용 되는 약물에 대한 특이 부작용에 대해서 데이터베이스와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의료진은 노인환자 대상 약물 처방과 복약지도 시에 좀 더 주의할 수 있으며 노인환자들도 약물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부작용에 대하여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노인에서 다 빈도로 발생하는 10대 질병에 주로 사용하는 ATC 약물계열을 선정하여 약물 계열별로 발생하는 특이적인 부작용을 도출하였다. 부작용데이터베이스인 SIDER 4.1 데이터베이스 (http://sideeffects.embl.de/)에서 ATC 계열별 부작용 통합 빈도가 1%이상인 부작용만 추출하였다. 추출된 부작용에 대하여 Specificity score를 계산하여 cut-off 값인 2 x log(N/n)이상인 부작용을 약물 계열별 특이 부작용으로 도출하였다. 그 결과 ATC 계열별로 A02 5개 , A10 9개, C02 3개, C03 5개, C07 11개, C08 2개, C09 11개, M01 13개, N02 7개, R05 1개의 약물계열에서 나타날 수 있는 26개의 특이적인 부작용을 확인했다. A02(산 관련 질환용 의약품)의 특이 부작용은 미각이상(dysgeusia)이며, A10(당뇨병에 사용하는 의약품)의 특이 부작용은 저혈당이다. A10 중에서 DPP-4 억제제 계열에서는 비인두염이 특이 부작용으로 분석되었다. C02(혈압강하제)의 특이 부작용은 졸음, 구강건조, 과민성이며, C03(이뇨제)의 특이 부작용은 저칼륨혈증, 저염소혈증, 고요산혈증이며, C07(베타 차단제)의 특이 부작용은 말초 냉감, 심장부전, 서맥이며, C08(칼슘 통로 차단제)의 특이 부작용은 기침, 그리고 C09(레닌 앤지오텐신계 작용 약물)의 특이 부작용은 기침, 고칼륨혈증, 실신이었다. M01(항염증제 및 항류미터스제)의 특이 부작용은 위장관 장애, 위염, 발진, 단백뇨이며, N02(진통제)의 특이 부작용은 졸음, 가려움, 구강건조, 불면이었다. 이번 약물 부작용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노인 다 빈도 사용 약물 계열별 특이 부작용 분석 연구를 통하여 나타난 약물 계열별 특이 부작용에 대한 내용은 노인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약물 복약 지도 및 복용 교육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다 약물을 함께 복용하여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사전에 방지하는 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등속성 원심성 수축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육 특성 및 기능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승엽 삼육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원심성 수축 훈련은 구심성 수축 훈련에 비해 더 큰 힘을 발휘하면서 더 낮은 생리적 요구도를 필요로 한다. 또한 Ⅱ형 섬유를 자극하여 반사, 균형 및 낙상 예방에 효과적인 운동 방법으로, 신체기능이 저하된 대상자에게 적절한 훈련 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등속성 원심성 수축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 두께, 근력, 운동 후 통증, 정적/동적 균형능력 및 보행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33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무작위로 등속성 원심성 수축 훈련 집단(n=17)과 등속성 구심성 수축 훈련 집단(n=16)으로 분류하였다. 두 집단 모두 일반적인 물리치료를 받았으며, 추가적으로 집단별 등속성 원심성 수축 훈련과 등속성 구심성 수축 훈련을 6주간, 주 3회, 하루 30분 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알아보기 위해 재활 초음파를 사용하여 근 두께를 측정하였고, 디지털 근력 측정기를 사용하여 근력을 측정하였으며, 시각적 사상 척도 검사를 사용하여 운동 후 통증 정보를 수집하였다. 또한 균형분석 플랫폼을 사용하여 압력 중심점과 좌우 발에 가해지는 힘 값을 측정하였고, 단일 무선 관성 센서를 사용하여 보행 속도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원심성 수축 훈련 집단에서는 무릎 신전근과 발목 저측 굴곡근의 근 두께에서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p<.05), 구심성 수축 훈련 집단의 근 두께에서는 제한적인 향상이 있었다. 집단 간 차이에서도 원심성 수축 훈련 집단이 유의하게 높은 향상이 있었다(p<.05). 근력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p<.05), 집단 간 차이에서 원심성 수축 훈련 집단이 구심성 수축 훈련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향상이 있었다(p<.05). 훈련 후 근 통증은 두 집단 모두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원심성 수축 훈련 집단에서 유의하게 낮았다(p<.05). 정적 균형능력 중 압력 중심점(자세동요속도, 거리, 면적)은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나(p<.05), 평균 힘에서는 원심성 수축 훈련 집단에서 비 마비측의 의존도가 유의하게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5). 동적 균형능력 분석 결과,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개선을 보였다. 특히 원심성 수축 집단은 직접적인 보행과 관련된 항목에서 유의한 개선이 있었고(p<.05), 구심성 수축 집단에서는 지면을 밀어내는 항목에서 유의한 개선이 있었다(p<.05). 보행 속도는 두 집단 모두 유의한 개선을 보였으나, 원심성 수축 훈련 집단에서 더 큰 개선이 있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원심성 수축 방식의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근육 특성과 기능적 능력의 개선에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 재활에 원심성 수축 방식의 훈련방법을 적용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공하는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