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프로그램적 교육방법과 학과 통합적 교육방법이 초등학생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임송희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different teaching approaches for creativity such as Program Teaching and Subject Infusion Teaching on the creativity of elementary students. For that purpose, the above mentioned two instruction methods are compared in terms of their effectiveness on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To make the comparison more reliable, three classes with second grade students of similar characteristics were selected as subjects of the study for the creativity test in school "A" in Daegu. The first twenty students were allotted to the Creative Program Group, and twenty to the Subject Infusion Group, and the last twenty to the Traditional Group instructed by traditional method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Torrance Tests of Creative Thinking was used as a testing tool, and means and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MAN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Subject-infusion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in terms of comprehensive creativity compared with the Creativity Program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Creativity Program Group and Traditional Group. 2. Subject-infusion Group and Creativity Program Group obtained significantly higher mean score in terms of fluency, originality and elaboration,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groups in terms of abstractness.

      • 대학의 기업가정신 교육 서비스 품질의 교육만족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송희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의 기업가정신 교육 서비스 품질이 교육생의 교육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과 교육만족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교육 서비스 품질을 알맞게 수행하면 수강생의 교육만족도는 물론 창업의지에도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연구모형은 기업가정신 교육의 서비스 품질 요인, 교육만족도 요인, 창업의지 요인을 설정하고, 각각 20개, 4개, 4개의 항목을 이용하여 측정하고자하는 모형의 가설 검정을 수행하였다. 변수에 대한 측정을 위해 창업선도대학의 기업가정신 교육 교육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해 데이터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토를 거쳐 의미 있는 변수를 선별하였으며 가설검정을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교육의 서비스 품질 요소인 확신성, 신뢰성, 응답성, 공감성이 교육생의 교육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검증하였다. 둘째, 교육생의 교육만족도가 높은 경우에는 창업의지에도 정(+)의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본 연구의 학문적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창업선도대학에서 기업가정신교육 서비스 품질, 교육만족도, 창업의지를 종합적으로 파악한 실증연구로서 대학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을 파악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기업가정신 교육의 서비스 품질 요소와 교육만족도, 교육만족도와 창업의지는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무용 숙련도에 따른 은유·명시적 지시형태의 동작학습효과

        임송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stablish a stepping stone for effective dance movement learning by studying the difference in the efficiency of movement learning according to dance workmanship with metaphorical and explicit commandment type. The research consisted of 32 people with diverse workmanship of Korean Dance (16 beginners: without prior knowledge of Korean dance, 16 experienced persons: Korean dance learning period between 1 to 3 years), and was assigned to four groups of 8 according to indicator type (metaphorical, explicit) and level of workmanship (beginner, experienced). The learning assignment was made up of newly created Korean dance movements with the help of dance expert to properly fit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dance movements were consisted of 3 movements for beginners and 5 for the experienced group to set different difficulty levels. The process of the experiment was in the order of: pilot test, preliminary inspection stage, acquisition stage, immediate annihilation stage after 10 minutes of acquisition stage and natural annihilation stage after one week. It was constructed that there are repeatedly measured group during acquisition stage(2) x implementation division and repeatedly measured group during annihilation stage(2) x implementation division. The assessment of performance of action was done by a group of 3 Korean dance experts by analyzing video data and recording on action performance assessment sheet. To analyze the data, SPSS 24.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along with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E with repeated-measures, Bonferroni and ICC. As the result of aforementioned research method,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achieved. First, beginner group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 in main effects according to groups but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ffect of intera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group and education method. The experienced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aforementioned effects. Second, in the annihilation stage, the beginner group displayed difference in effects of interaction according to groups and education type. The experienced group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both effects. Third, during self-evaluation, the beginner group did show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education while the experienced group did not. To sum up, metaphorical education method and explicit education method were both effective in both beginner group and experienced group’s performance. When it came to dance movement education, metaphorical method was more effective in sustaining education for the beginner group, while the experienced group showed no difference in the type of education. For self-evaluated satisfaction level, the beginner group taught metaphorically had higher level of satisfaction while the experienced group did not show any difference. Thus, when education method is affectively utilized according to the educated’s skill level, dance movement studies can be expedited and it will be effective method. On the same note, this research provides foundation for dance guides to fi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workmanship of the educated and wishes to aid in the improvement of effective teaching method in the field of dance education which heavily relied upon movement demonstration. Furthermor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dance researchers to approach effective dance acquirement scientifically by using motor learning and principles of control.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 숙련도에 따른 은유적, 명시적 지시형태의 동작학습효과차이를 규명하여 효율적인 무용동작학습을 위한 발판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 실험은 32명(16명의 초보자: 한국무용사전경험이 없는 여성, 16명의 경험자: 한국무용학습기간이 1년 이상 3년 이하의 여성)으로 한국무용 숙련성이 상이한 20대 여성으로 구성하였고, 학습형태(은유적, 명시적)와 숙련도(초보자, 경험자)별로 네 집단에 8명씩 무선 배정하였다. 학습과제는 무용 전문가에게 자문을 받아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안무한 한국무용 창작 동작으로 구성하였으며 초보자와 경험자의 기술수준별 난이도 설정을 위해 초보자는 3개의 동작, 경험자는 5개의 동작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절차는 예비실험 후 사전검사단계, 습득단계, 습득단계 10분경과 후 즉각 파지단계, 그리고 일주일 후 지연파지단계로 실시하였으며 습득단계에서 반복 측정된 집단(2)x시행분단(8)과 파지단계에서 반복 측정된 집단(2)x시행분단(2)의 요인설계하에서 이루어졌다. 동작수행에 대한 평가는 한국무용전문가 3인으로 구성된 평가자에게 비디오 자료를 분석한 후 동작수행평가지에 평가하도록 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그 목적에 따라 독립 t-검정, 반복측정 이원 변량분석(two-way ANOVE with repeated- measures), 사후검증(Bonferroni), 급내 상관계수(ICC)를 실시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습득단계에서 초보자 집단은 분단에 대한 주효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분단과 학습형태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경험자 집단은 분단에 대한 주효과와 분단과 학습형태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파지단계에서는 초보자 집단에서 분단과 학습형태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의 차이를 보였다. 경험자 집단은 분단에 대한 주효과와 분단과 학습형태에 대한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셋째, 자가평가에서 초보자 집단은 학습형태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경험자 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종합해보면, 무용동작 수행에서 은유적 학습방법과 명시적 학습방법 모두 초보자 집단과 경험자 집단의 수행에 효과적이었다. 무용동작 학습에 있어서는 초보자 집단은 은유적 방법이 학습을 지속시키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경험자 집단은 은유적 학습과 명시적 학습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자가평가 만족도에서도 초보자 집단은 은유적 학습 집단이 자가평가 만족도가 높았으며, 경험자 집단은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학습자의 기술수준에 맞춰 학습방법이 적절히 활용될 때 무용동작학습을 촉진시키는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본 연구는 무용지도자들이 학습자의 숙련성에 따른 적절한 학습방법을 모색하게 하는 토대를 제공하며, 그동안 동작시범에 의존해오던 무용교육현장에서 효율적인 지도방법개선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더 나아가 무용 연구자들이 효율적인 동작습득을 위하여 운동학습 및 제어의 원리를 이용하여 과학적으로 접근하는데 기여하고자한다.

      •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조각 감상 교육이 작품 해석에 미치는 영향 - 모란 미술관 중심으로 -

        임송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태어날 때부터 눈이 먼 사람도 나중에 시력을 회복하게 되면 보는 것을 배워야 한다.”(Gombrich, 2010, p. 562)는 말처럼 사람은 눈에 맺히는 상을 인식할 수는 있지만 그것을 파악하고 해석하는 능력은 배워서 길러야 한다. 따라서 많은 어린이들이 미술 교과 교육을 받는 최초의 장소인 초등학교에서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 요구된다. 그러나 이제까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 교육은 표현 활동 중심으로 이루어져왔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감상 활동이 등한시되어 왔다. 감상 교육의 경우에도 제한적인 실내 교실 환경 등으로 인해 주로 회화나 사진과 같은 평면 예술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조각 감상을 교육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입체 예술인 조각을 실제로 감상해보는 교육적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예술의 다양한 아름다움을 즐길 수 있는 시민으로 성장하는 데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조각 감상 교육을 위한 방법으로는 스토리텔링을 제안하였다. 자신의 경험과 작품을 연관지어 이야기하는 스토리텔링 방법은 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쉽게 작품 감상에 몰입한다는 장점이 있다(문현, 2011). 스토리텔링은 교육 이외에도 게임이나 TV 방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토리텔링을 활용하여 조각 감상 수업을 함으로써 학생들은 조각에 친근감을 느낄 수 있고, 스토리텔링을 스스로 창작해봄으로써 작품을 해석하는 기회를 경험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은 ‘이야기’라는 익숙한 방식이 주는 자연스러움에 의해 학생들에게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다는 강점을 살려 교육을 전개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을 조각 감상 교육에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조각 감상 수업 모형을 재구성하여 제안하고, 모란 미술관 작품을 대상으로 수업을 개발하였다. 연구 방법은 경기도 남양주시 소재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10차시의 수업을 실행하였으며 질적 연구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수업 장면 참여 관찰과 녹취 및 전사 자료, 학생 조사 보고서와 활동지, 교사 연구일지와 비공식적 면담 자료와 소감문 등 다양한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집한 자료들을 종합하여 삼각 검증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해석’에 대한 여러 선행연구를 고찰하여 ‘소재 찾기’, ’주제 찾기’, ‘의미 만들기’, ‘배경 알기’의 4개 요소를 도출하여 분석 기준으로 삼았다. 분석 결과로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조각 감상 교육 프로그램이 작품 해석에 미친 영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가 작품을 해석할 때 소재를 찾아 묘사하는 능력이 강화되었다. 소재란 작품에 등장한 인물이나 대상, 배경과 장소, 사건 등을 의미하며, 학생들은 작품에서 인물의 얼굴 표정과 옷차림 및 동작, 배경과 위치 등을 찾아내어 설명하였다. 학생들은 관찰 가능한 것들을 단순 낱말로 열거하던 방식에서 벗어나, 점차 대상을 묘사하는 꾸며주는 말이나 조각 속 인물의 표정에서 느껴지는 감정에 대해 이전보다 정교하게 표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작품 배경 조사 후 다시 감상했을 때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소재들을 발견하는 모습을 보여, 작품의 배경을 알고 나면 보이는 것이 많아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모란 미술관에서 실제 조각 작품을 감상하였을 때는 이전에는 응답하지 않았던 조각 작품의 크기나 부피, 작품이 놓여진 공간감과 실물에서 느껴지는 경외감에 대한 표현이 나타나 조각 작품을 실물로 직접 감상했을 때의 효과를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습자가 작품을 해석할 때 주제를 찾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주제 찾기에서는 작품의 내용과 배경에 근거하여 주제를 찾을 수 있는지를 중점으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작품에 대한 정보 없이 주제를 추측할 때에는 주로 인물의 모습에서 느껴지는 감정을 추론함으로써 주제를 찾는 모습을 보였다. 따라서 작품의 내용이나 배경보다는, 자신의 감정에 몰입하여 주제를 제한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작품의 배경을 조사한 뒤에는 작품의 제목과 작가에 대한 정보나 작품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 등과 관련지어 주제를 찾게 되어, 처음에 추측했던 주제와 큰 차이가 생겼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차시가 지날수록 주제를 추측할 때 관찰 가능하지 않은 내용까지 상상하여 주제를 추측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관찰한 내용에서 벗어나 주제를 추측할 때 작가의 의도와 제목의 의미, 작품이 제작된 당시의 배경과 학생 자신의 감상까지 다양한 점을 고려하게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학습자가 작품을 해석할 때 자신만의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내는 능력이 신장되었다. 작품과 관련된 개인적 경험과 느낌을 바탕으로 작품을 감상하며 의미를 만들었는지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학생들이 창작한 1차 스토리와 2차 스토리가 어떻게 변화하였는지를 차시가 흐름에 따라 살펴보았다. 학생들은 1차 창작 스토리에 작품과 비슷한 자신의 경험에 제한하여 이야기를 상상하는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2차 창작 스토리에는 배경 조사와 친구들과 1차 창작 스토리 공유 등을 겪으면서 작품의 있는 내러티브 내용과 동일한 것 이상의 자신만의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냈다. 차시가 흐를수록 점차 작품에서 보이는 소재뿐만 아니라 자신의 배경 지식을 적극 활용하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의미를 만드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조각 작품의 정지된 장면을 설명하는 스토리텔링을 만드는 방식에서 벗어나, 갈수록 시간적 흐름이 있고 인과관계가 있는 스토리텔링을 창작하게 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넷째, 학습자가 작품을 해석할 때 배경을 알고 관련짓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조각 작품의 있는 내러티브인 외적 정보를 찾아보며 무엇을 느꼈는지를 결과 분석해 보았다. 학생들은 조사를 위해 작품과 관련된 문학이나, 제작 당시의 역사적·사회적 맥락 또는 작가의 개인적 생애에 대하여 알아보면서 작가의 제작 의도와 작품의 주제에 대해 더 깊이있는 해석을 하게 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신이 조사한 내용과 제목을 연관지어 해석해보기도 하고, 작가의 다른 작품들을 찾아보면서 작가가 의도한 조각 작품의 주제와 제작 방식을 해석해보기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학생들이 2차 스토리 창작시 자신이 조사한 배경에 대한 내용들을 새롭게 등장시켰다는 것을 통해 배경에 대해 조사하고 친구들과 공유하는 활동이 학생들의 작품 해석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조각 작품 감상이 거듭될수록 쌓여지는 선경험과 배경지식을 활용하여 점차 능숙하게 작품을 감상하고 해석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조각 감상 교육이 학습자의 작품 해석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조각 작품을 감상하는 데에 하나의 방법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지만, 초등학생들이 흥미를 가지고 조각을 감상하는 방법으로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도 조각 감상 교육을 위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심상 기반 해석편향 수정 프로그램이 관계외상 PTSD 증상에 미치는 효과

        임송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심상 기반 해석편향 수정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심상 기반 해석편향 수정 훈련을 받은 집단과 처치를 받지 않는 통제집단의 해석편향과 PTSD 증상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인관계외상을 경험하고 현재 주관적 고통이 있는 7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가자들은 PTSD 증상과 심각도를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질문지를 완료한 후, 해석편향 수정집단에 속한 참가자들은 모호한 상황이 긍정적 결말로 끝나는 음성을 들으면서 심상을 떠올리는 훈련을 실시하였다. 해석편향 수정훈련은 연구 참여자가 대면으로 직접 만나는 과정 없이 2주 동안 총 4회기를 실시되었으며 1회기당 1시간이 소요되었다. 훈련 후 두 집단 모두 사후 해석편향측정과 자기보고식 질문지(사전과 동일)를 완료하였다. 연구 결과, 심상 기반 해석편향 수정집단은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중립적인 사회적 상황을 더 긍정적으로 해석하였다. 또한, 해석편향 수정훈련 집단은 PTSD 증상의 정도가 훈련 후 유의하게 감소했으나, 통제집단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종합하면, 본 연구는 대인관계 외상을 경험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심상을 결합한 해석편향 수정 프로그램이 긍정적인 해석편향의 증가와 부정적 해석편향의 감소에 효과적이었으며 외상 관련 증상의 개선에 유의한 영향이었음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interpretation bias and PTSD symptoms in a group that received Imagery-based Cognitive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Program and control group not treated, to assess the effects of Imagery-based Cognitive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Program. Seventy people who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and currently have subjective pain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completing a self-report questionnaire, some participants in CBM-I group conducted their training. The CBM-I training consisted of the manner of imagining the scenarios beginning with ambiguous situation and ending with positive resolution. Cognitive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Program training was conducted four times for two weeks without the process of the participants meeting face-to-face, and it took one hour per session. After training, both groups completed post-interpretation bias measurement and self-report questionnaires. As a result of the study, Imagery-based Cognitive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Program group interpreted the neutral social situation more positively than the control group that was not treated. In addition, the degree of PTSD symptom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analysis bias correction training group,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interpretation bias modification program, which combines the mind image for people who have experienced interpersonal trauma, was effective in increasing positive interpretation bias and reducing negative interpretation bias, an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rauma-related symptom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 MALDI-TOFMS를 이용한 자외선 흡수제 및 안정제의 분석 : 자외선 안정제의 이온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자외선 흡수제의 효과

        임송희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플라스틱 등의 공업제품들은 자외선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외관 변형 혹은 인장강도, 충격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 저하가 발생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안정제가 노화방지제로써 사용되고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295~400nm 영역의 자외선 흡수에 의해 들뜬 전자에너지를 열에너지 형태로 변환시켜 방출한다. 자외선 안정제로 주로 사용되는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HALS)는 자외선을 직접 흡수하지는 않지만 라디칼 scavenger로써 라디칼에 의한 폴리머 사슬의 연쇄 분해 반응에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제품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benzotriazole계의 자외선 흡수제인 Tinuvin 329, Tinuvin 571, Tinuvin 234, Tinuvin 328, Tinuvin 326과 HALS 계통의 자외선 안정제 Tinuvin 770을 기질 도움 레이저 탈착/이온화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MALDI) 비행시간형 질량분석법 (time-of-flight mass spectrometry, TOFMS)을 이용해 연구하였다.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안정제는 별도의 매트릭스 사용 없이도 이온화 되어 [M+H]^(+)형태의 이온으로 검출되었고, Tinuvin 329, Tinuvin 234, Tinuvin 770의 경우 몇 개의 조각 이온이 검출되었다. 특히 자외선 흡수제와 자외선 안정제의 혼합용액을 분석한 결과를 통해 자외선 안정제의 이온화 효율을 향상시키는 자외선 흡수제의 매트릭스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polyethylene glycol(PEG)과 두 종류의 고분자성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 Tinuvin 213의 평균 분자량 분석 시 용매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In general, ultraviolet light absorber (UVA) and ultraviolet light stabilizer (UVS) are used together in polymeric materials for preventing them from degradation by ultraviolet (UV) radiation in sunlight. Ortho-hydroxyphenyl benzotriazole, hydroxyl benzophenone and hydroxylphenyl triazine are the most popular UVAs and 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s (HALS) are commonly used as UVSs. UVAs acts by shielding the polymer from UV, while HALS act by scavenging the radical intermediates formed in the photo-oxidation. In this study, UVAs and UVS were analyzed us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MALDI-TOFMS). UVAs and UVS were ionized without any matrix and the [M+H]^(+) ions were observed. Especially, when UVA and UVS were mixed, intensity of protonated ion of UVS was enhanced. This indicates that the UVA plays a role as a matrix which donates a proton to the UVS. Also Tinuvin 213 mixture of polyethylene glycol (PEG) and two types of polymeric UVAs analyzed using MALDI-TOFMS and discussed a detailed investigation of the solvent effect on MALDI analysis using various solvents.

      •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의 친밀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임송희 목원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장애인과 자원봉사자간의 직접 만나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친밀감에 대한 욕구와 기대가 높아지고 있지만 친밀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안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의 친밀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판별해 내어 장애인에 대한 친밀감을 높일 수 있는 사회복지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 소재 장애인시설 등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한 자기기입식조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조사 완료된 219부의 조사자료를 SPSSWIN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원봉사자 연령 분포는 20대가 가장 많았으며, 월간 자원봉사 횟수는 2.2회이었다. 종교가 있는 자원봉사자가 오랜 기간 활동의 지속성을 보였고, 대체적으로 장애인과 의사소통은 원활하였다. 자원봉사자의 만족도, 장애인에 대한 이미지, 이타성, 사회적 책임성, 자아존중감은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가설 검증 결과, 자원봉사자의 활동기간이 길수록 장애인과의 친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과 대화시간이 길수록 친밀감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의 친밀감에 가장 강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장애인 분야 봉사기간으로 나타났으며, 장애인에 대한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이타성이 높을수록, 장애인과 의사소통이 원활할수록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의 친밀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볼 때, 장애인과 자원봉사자의 친밀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애인분야 자원봉사자의 지속적 봉사 참여를 위해 효율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며, 장애인분야 자원봉사특성에 맞는 자원봉사자 교육 및 장애인과의 의사소통 교육?훈련프로그램을 확대해 나가야 할 것이다. The reports in circulation indicate that practical study and investigation are laking in their relationship between handicapped people and volunteers even though the expectation and desire for the advancement of their relationship is getting higher. Herewith, this study aims to show the practical plans to increase the relationship between handicapped people and volunteers. This study has collected information by using self-recording method with structured questionnaire at handicapped institutions in Daejeon area. The 219 page questionnaires have been analyzed statistically by using SPSSWIN. The results of study may be summed up as follows. Most volunteer age distribution is in their twenties and the frequency of volunteer work are 2.2 times per month. Volunteers who has a religion are more showing the continuation for their volunteer work comparing with others. Generally, their communication with handicapped people goes on smoothly. Volunteer Satisfaction, image for handicapped people, altruism, social responsibility and self-respect are posted higher. The results of hypothetic verification for this study, the more experience of volunteer work, the more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handicapped people. The more conversation with the handicapped people, the more closer relationship with them. The most affect facts on the intimacy between handicapped people and volunteers are the term of service, positive image for handicapped people, higher altruism, and smooth communication with handicapped people. On the authority of the results of study, efficient management of continuous participating in volunteer work should be accomplished in order to increasing their relationship, and volunteer work education, communicatio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 system should be increased.

      • 예술적 상상력 발현에 기초한 교회학교 교육과정 분석

        임송희 서울신학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onceptual curriculum approach that recognizes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art is invited to Korea’s Sunday school textbook development as an alternative to traditional education, which has fostered christians who separate knowledge and life. This study derived principles of christian education curriculum by compiling theories of Eisner who claimed to enhance the aesthetic cognition through education and Harris who said that educational ministry is process of teaching that expresses religious imagination - they both were Re-conceptualism school - according to the four components of curriculum: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 methods, evaluation. To be church education that expresses artistic imagination, first, activity-based objectives focusing on the process of learning should be set. Educational contents that balance between the Bible, the text, and the various contexts associated with the life of the learner should be presented. Educational methods should be active, participatory, affective dimensional learning by using various senses, not focusing on knowledge learning. Educational evaluation should be done as a process-oriented and qualitative, not result-oriented and quantitative method. In order to apply the principles above to church education, church teaching materials in Korea and abroad were analyzed. As the example of the reflected theory of traditional curriculum, the one part of <Light of Life>, the church educational material of the united presbyterian church belonged to conservative churches in Korea was selected and analyzed. This seems to neglect the learning that occurred in the affective dimension of learners, and be biased in learning to acquire knowledge by excluding the learning through various sensory pathway. On the other hand, as the example of the holistic curriculum comparable in traditional curriculum, <All-in-one Sunday School>, the church education material of the United States interdenominational publication company, ‘Group’ based in ‘Activity Based Learning(Active Learning)’ reflecting learner participation-oriented curriculum was selected and analyzed. This textbook aims for the teaching methods to stimulate students' sensitivity and allow the free atmosphere and the variety of responses. Also, the activity-based objectives are set without predicting the result of the activity. As the educational evaluation, the questionnaire method to ask thoughts and feels of learners and the performance assessment to identify individual learning state are presented. The curriculum based on the expression of artistic imagination understands education holistically such as art, and make learners acquire knowledge actively through various pathways in the process of learning. Such education is aimed at reaching the knowing that make a holistic change by making full use of learner’s potential as a creature that God created. Through this curriculum, The desire to become a church education to train disciples who reveal the God in their lives.

      • 디자인마케팅 : 벤처 business로서의 디자인의 가치와 의미

        임송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업을 한다는 것은 마치 작은 배 한 척에 몸을 싣고 망망한 바다로 나아가는 것과 같다고 생각한다. 자신의 신분을 대변해 주고 때로는 쫓기기도 하지만 안락한 생활을 보장해 줄 수 있는 직장이라는 든든한 요람을 벗어나 이제 비로소 홀로 서기를 하는 것, 더 이상 뒤돌아 보며 피할 수 없이 모든 일에 정면대결을 해야하는 것이 아마 사업일 것이다.첫 항해를 시작하는 배가 멋있고 훌륭할 수도 있겠지만 초라한 조각배일 수도 있을 것이다. 사업을 하지 않는 이유 중에는 risk-taking에 대한 부담스러움이 큰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한다. 누구나 사업을 시작하려는 사람은 자신의 배가 안전한 항해를 할 수 있도록 많은 사전 준비를 한다. 아주 오랜 동안 .... 그러다 이젠 사업을 하기에는 너무 늦은 것 같다며 포기하기도 하고....IMF이후 평생 직장에 대한 의식이 깨어지며 창업이라는 단어가 늘 상 우리 곁을 따라다니기 시작했다. 그 창업 아이템 중 가장 각광을 받고 있는 것이 인터넷 사업이었다.사회경험이 없는 대학생에서부터 잘나간다는 배경의 직장인까지 인터넷 관련된 사업을 해야만 21세기 엘리트대열에 낄 수 있는 듯한 사회분위기가 만연되어있다. 그것은 사실일지로 모른다. 아마 사실일 것이다. 그들-인터넷 비즈니스에 속한-은 아마도 이 시대의 엘리트일지도... 그렇지만 모든 성공하는 아이템이 그 안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우리의 일상속에서 더 가깝게 창업의 아이템을 찾을 수도 있다. 그 중 하나로 선택한 것이 디자인마케팅이다. 간단히 설명한다면, 우리 일상에서 쓰이는 용품에 디자인 적 가치를 더하여 더 나은 상품으로 재생산하여 그것을 사업화 할 수 있는 마케팅을 Starting one's own business can be compared with when you sail the far-off ocean on a smallboat. It means, for your own business, you are supposed to jump off your stable position as 'an employee' and stand on your own feet facing every inevitable challenge. We can say any risk could be in the whole proceess expecting you. Especially in money problem. So for this risk-taking, having one's own business had been considered in some special persons with enough assets only. Since the IMF period starts, this general thought have been changing. Lots of people couldn't find themselves in the current economic paradime and they stared to seek for the new one. One of them is the 'Internet Business'. The explosive power of Internet enabled them to start ther own business with their originalities by introducing interested people with money and technowledge over the world. Internet Business is showing us the possibilities that you could create good business model and make good money without your private assets. In the same flow with this, I would like to say that we could find this possiblities in 'Design Business'. They have been thinking that design can not make them money by itself, so even if a Design field has its own originality, it has been regarded as 'subordinary area'. But we dare to say that Design can create its own business area by 'Design Marketing'. The business models of OXO INTERNATIONAL, PAPER MAGIC, GODNATT SAGA, AUTHENTIC shows we can stand as a promised company with our design orginality and new marketing stratege through inducing money source and manufacturers from out there.Actually I couldn't find many examples in 'Design Marketing' for reference. I would rather say 'hardly find' than 'many'. Most of Design-related books were about the design itself only, not business-related. The contents in this paper could be confined to some cases and my own experiences. So, I know I can not surely present this cases as the successful ones, but the point you shou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