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칭찬활동이 발달지체유아의 활동참여에 미치는 영향

        임미희 대구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Man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re hard to achieve activities by themselves with such obstacles like mental·behavioral problem, lack of sociality, difficulties on communication, problems on cognition, attention disorder. They also are showing low level of attendance on doing activities or are not initiative the activities itself. Those obstacles drive negative cognition from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s peer group and teachers, which makes them to dis-motivate on activity participation. This thesis focuses on how praise activities affects 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s activity participation and prove the educational value with the result.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rom S kindergarten located in Joongu, Daegu were chosen to be studied for this thesis. They are belongs to special class but also are in partially or totally inclusive education. In case of their peer group for the comparison, researcher took the other children besid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from the same class aged from three to five. For this study, researcher did PEP(Psychoeducational Profile) in order to watch how much those three children were developed and their educational level. Also researcher pre-studied their activities between teachers, peer group and teaching tool in inclusive education. Based on this analysis, researcher designed praise activity program. A praise tool like mail box for the compliment was used for the program and compliment sticker, medal and board were used as reinforcer. Researcher took "Multiple baseline across subjects" for taking a reference of how praise activities with their peer impacts those three childrenese' activities. Researcher taped their behavior for twenty minutes in every behavior condition. After that, researcher observed and recorded the taped material.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recorded in a way of continuos recording. The same way was used in recording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er group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Only the interaction between those three children and teaching material were recorded in interval recording. In this intervention period, researcher applied praise activity program to all participations. Observation after intervention period was done three times at a stretch, a week after finishing the intervention. There are four results came out with this study. First,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show low level of the interaction percentage between teacher and them were improved. Second,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show low level of the interaction percentage between their peer group were reformed after praise activities was done. Third,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o show low level of the interaction percentage between their teaching tool were upgraded and encouraged activity participation after praise activities was done. Fourth, after finishing the intervention period, the percentage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 peer group and teaching tool with all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as maintained or even higher. With those result, praise activities can enforc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s interaction between teacher, peer group and teaching. Besides, improved activity participation naturally come along with them. This praise activity program can motivate the achievement and self confident to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Also, this kind of intervention cultivate children to have positive cogni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hich makes them to have more active attitude.

      • 한국 성인의 당뇨병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에 대한 경로분석

        임미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한민국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6 기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그간의 당뇨병과 치주질환에 미치는 요인을 알고자 하였던 것과 다르게 경로분석을 통한 당뇨병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요인과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당뇨병과 치주질환의 유병률을 낮추고 건강증진과 구강건강을 동시에 증진 시킬 수 있는 맞춤형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1. 당뇨병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건강행태를 통해 치주질환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이용하여 총효과를 분석한 결과, 과거흡연이나 흡연을 하였을 경우, 치주질환에 미치는 총효과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당뇨병이 치주질환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구강건강행태, 우울증을 통해 치주질환에 미치는 간접효과를 이용하여 총효과를 분석한 결과 저작불편을 느꼈을 경우에는 치주질환에 미치는 총효과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경로분석을 통해 당뇨병과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흡연과 저작불편 등의 위험요인은 직접효과와 간접효과가 더해져 치주질환의 위험성을 더욱 증가시켰고, 구강검진, 구강관리용품 사용, 하루 칫솔질 횟수 등의 예방요인은 치주질환의 위험성을 낮추는 직접효과는 있었지만 간접효과에 의해 효과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요약하면 당뇨병의 유병여부에 따라 치주질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요인들의 치주질환과의 관련성이 달라지는 것들이 많았다. 예를 들어 하루 칫솔질 횟수 3회 이상 (OR=0.33, 95%CI. 0.16-0.69)과 구강관리용품 사용(OR=0.72, 95%CI. 0.60-0.86)은 단변수 분석에서 치주질환의 발생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였으나 당뇨병 유병여부를 고려한 경로분석에서는 당뇨병 유병 시 간접효과에 의하여 모두 유의하지 않게 바뀌어 당뇨병이 없는 경우에만 치주질환의 발생과 음의 관계를 보인 반면 흡연과 저작불편은 당뇨병 유병여부를 고려하더라도 치주질환의 발생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어 상대적으로 더 치주질환의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라 당뇨병과 치주질환을 동시에 가진 환자를 치료할 때 의사와 치과의사는 긴밀한 협조가 이루어져야 하며, 치과계와 의료계 전문가 모두가 당뇨병의 구강 내 증상과 구강 내 합병증 등을 교육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더 나아가 환자 상태에 따른 맞춤형 중재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보다 적극적으로 당뇨병과 치주질환을 동시에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identify the effects and influence of diabetes on periodontal disease, reduce the presence of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ustomized intervention program that can promote the health, including oral health, unlike preceding attempt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ause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using the second-year data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that represents the entire country of Korea. 1. The analysis on the total effect of diabetes on periodontal disease using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diabetes on periodontal disease through health behavior has revealed that the total effect on periodontal diseas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f the patient smoked in the past. 2. The analysis on the total effect of diabetes on periodontal disease using the indirect effect of diabetes on periodontal disease, oral health behavior, and depression has demonstrated that the total effect on periodontal disease has significantly increased if the patient suffers chewing difficulty. 3. The analysis on a possible relationship between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using the path analysis has disclosed that various risk factors, including smoking and chewing difficulty along wi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 have further increased the risk of periodontal disease while preventive factors such as the number of daily brushings showed a direct effect of lowering the risk of periodontal disease but reduction of effects by indirect effect has also been identified. In summary, many of the factors known to affect periodontal disease change their relationship with periodontal disease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diabetes. For example, three or more brushings daily (OR = 0.33, 95% CI. 0.16-0.69) and the use of oral care products (OR = 0.72, 95% CI. 0.60-0.86) have shown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periodontal disease in an univariable analysis, but the path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the presence of diabetes has found that all of them have not significantly changed as a result of the indirect effect incurred by the development of diabetes, leading to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periodontal disease while smoking and chewing difficulty have shown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periodontal disease even in consideration of the development of periodontal disease, indicating a relatively closer relationship with the development of periodonta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physician and a dentist need to closely cooperate and collaborate in treating a patient with both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at the same time and that both the dental and medical practitioners should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hat covers the oral symptoms and complications associated with diabetes and further come up with an intervention program customized to meet specific needs of individual patients to be able to properly and proactively take care of diabetes and periodontal disease at the same time.

      • Model compound studies related to cytochrome P-450

        임미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생체 내에서의 산화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 중, 활성화 자리에 철-포르피린 착물을 가지고 있는 산소화 효소인 cytochrome P-450의 모델 화합물을 가지고, 산소 전달 반응 메커니즘과 활성적인 중간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aprotic (CH₃CN: CH₂Cl₂=1:1) 과 protic (CH3OH:CH₂Cl₂=3:1) 용매에서 올레핀의 경쟁적인 에폭시화 반응(cis- / trans-stilben, cyclooctene / trans-stilbene)을 전자가 부족한 철 포르피린 촉매와 여러 가지 산화제인 H₂O₂, t-BuOOH, m-CPBA 를 사용하여 행하였다. 또한, 올레핀의 경쟁적인 에폭시화 반응을 잘 알려져 있는 중간체 중 하나인 (Porp)^+×Fe^IV=O, 고산화가 철(IV) 옥소 포르피린 양이온 라디칼 종을 직접 합성하여 행하였다. 그 결과, protic 용매에의 중간체는 (Porp)^+×Fe^IV=O이고, aprotic 용매에서는 산화제-철 포르피린 착물 중간체, Fe-OOR 종임을 결론 지을 수 있었다. 생성되어 질 수 있는 중간체인 (Porp)^+×Fe^IV=O와 Fe-OOR의 결정되는 요인으로, 메탄올과 같은 protic 용매는 general-acid 촉매로 작용하여, Fe-OOR 종의 O-O 결합의 분열 속도를 증가시켜 (Porp)^+×Fe^IV=O 종의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 general-acid 촉매가 중간체의 성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 다양한 pKa 가치의 알코올과 CH₂Cl₂ 를 혼합시킨 용매에서, 그리고 산 (HClO₄)이 첨가된 aprotic 용매에서 경쟁적인 에폭시화 반응을 행하였다. 생성물들의 비율은 용매의 산성도의 정도에 의존하면서 변하였다. 이것은 Fe-OOR 종과 올레핀의 경쟁적인 에폭시화 반응과 O-O 결합의 분열과정 간의 경쟁 경로가 존재함을 증명할 수 있었다. 또한 경쟁적인 에폭시화 반응에서 알 수 있었던 사실은 전자가 부족한 포르피린 리간드를 포함하는 (Porp)^+×Fe^IV=O, 고산화가 철(IV) 옥소 포르피린 양이온 라디칼 중간체가 cis-stilbene보다는 trans-stilbene을 선호한다는 예측할 수 없었던 결과이었다. 좀 더 에너지적으로 어려운 반응인 하이드록시화 반응에서, 중간체의 연구를 더 확장해 본 결과, -40 oC 의 CH₃CN와 CH₂Cl₂의 혼합 용매에서 axial 리간드가 chloride음이온을 가지고 전자가 부족한 철 포르피린 착물 촉매하에 m-CPBA을 사용한 알칸의 하이드록시화 반응에서 산화제-철 포르피린 착물 중간체, acylperoxo-iron(III) porphyrin complexe intermediates가 관여하는 증거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axial 리간드가 triflate(CF₃SO₃-)인 경우에는, (Porp)^+×Fe^IV=O, 고산화가 철(IV) 옥소 포르피린 양이온 라디칼 중간체가 형성됨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이미 Newcomb, Coon, Vaz와 공동 연구자들에 의해 제안된 cytochrome P-450 효소에서는 두 개의 구별적인 전자 친화적 산화제((Porp)^+×Fe^IV=O와 iron(III)-hydrogen peroxide (Fe-H₂O₂ intermediate))들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일치하였다. 또 다른 중간체의 존재에 대한 연구로는, 다양한 axial 음이온 리간드를 가진 Fe(TMP)X와 산화제(PhIO 그리고 m-CPBA)와의 반응이 이루어졌다. 옥소 철(IV) 포르피린 중간체의 형성은 PhIO 그리고 m-CPBA의 산화제를 사용한 반응에서 axial 음이온 리간드에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40 oC 의 CH₂Cl₂ 또는 toluene용매에서, Fe(TMP)X에서 X-가 Cl-, F-, CH₃CO₂- 그리고 OH-인 경우에는 철(IV) 옥소 포르피린 중간체가 형성이 되었고, X-가 CF₃SO₃-, ClO₄-, 그리고 NO₃-인 경우에는 철(IV) 옥소 포르피린 양이온 라디칼 중간체, (TMP)+×FeIV=O가 형성되었다. 이것은 PhIO 반응에서 처음으로 철(IV) 옥소 포르피린 양이온 라디칼 중간체를 일반화 시킬 수 있었다. Toluene용매에서 m-CPBA와 Fe(TMP)X의 반응에서는 X-가 CH₃CO₂- 그리고 OH-인 경우에는 이미 Groves와 Watanabe가 발표한 (TMP)Fe^III N-oxide, X-가 CF₃SO₃-, ClO₄-, 그리고 NO₃-인 경우에는 (TMP)+×FeIV=O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들은 비극성 용매에서 peracid O-O 결합이 불균일하게 또는 균일하게 분리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는 Fe(TMP)X가 PhIO와 m-CPBA들과의 반응들에서, 다른 옥소 철(IV) 포르피린 중간체들의 형성에 axial 음이온 리간드의 효과를 간단하게 논하였다. Part I We have studied the competitive epoxidations of olefins with cis- and trans-stilbenes and with cyclooctene and trans-stilbene in iron porphyrin complex-catalyzed epoxidation reactions by H₂O₂, tert-butyl hydroperoxide (t-BuOOH), and m-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 in protic solvent (i.e., a solvent mixture of CH₃OH and CH₂Cl₂) and aprotic solvent (i.e., a solvent mixture of CH₃CN and CH₂Cl₂) at room temperature under catalytic reaction conditions. The competitive epoxidations were also carried out with in situ generated high-valent iron(IV) oxo porphyrin cation radical complexes in aprotic solvent under stoichiometric reaction conditions. By determining the ratios of epoxide products formed in the competitive epoxidations, we were able to conclude unambiguously that the reactive species generated in protic solvent are high-valent iron(IV) oxo porphyrin cation radical complexes 3 and the intermediates formed in aprotic solvent are oxidant-iron(III) porphyrin intermediates 2. A protic solvent such as methanol is proposed to function as a general-acid catalyst, thereby increasing the rate of O-O bond cleavage of 2 to form 3. In the absence of general-acid catalysis such as in aprotic solvent, the rate of O-O bond cleavage of 2 is relatively slow and 2 transfers its oxygen to olefins prior to the formation of 3. In order to further examine the effect of the general-acid catalysis on the nature of epoxidizing intermediates, we carried out competitive epoxidations in the solvent mixtures of alcohol/CH₂Cl₂ using alcohols of varying pKa values and in the presence of an acid (i.e., HClO₄) in aprotic solvent. The product ratios were found to vary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solvent acidity, demonstrating that the reaction of 2 with olefin competes with the O-O bond cleavage of 2 that leads to the formation of 3. We also reported for the first time that a high-valent iron(IV) oxo porphyrin cation radical intermediate containing electron-deficient porphyrin ligand shows an unexpected preference for trans-stilbene over cis-stilbene in the competitive epoxidations of cis- and trans-stilbenes. Part II We have obtained evidence that acylperoxo-iron(III) porphyrin complexes 1a are involved as reactive hydroxylating intermediates in the hydroxylation of alkanes by m-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 catalyzed by electron-deficient iron(III) porphyrin complexes containing chloride as an anionic axial ligand in a solvent mixture of CH₂Cl₂ and CH₃CN at -40 oC. In addition to the intermediacy of 1a, oxoiron(IV) porphyrin cation radical complexes 2 are formed as the reactive hydroxylating intermediates in the alkane hydroxylations by m-CPBA catalyzed by the iron(III) porphyrin complexes containing triflate (CF₃SO_3-) as an anionic axial ligand under the same reaction conditions.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cent proposal by Newcomb, Coon, Vaz, and co-workers for cytochrome P-450 reactions that two distinct electrophilic oxidants such as 1a and 2 effect the alkane hydroxylations in iron porphyrin models. Part III The reactions of Fe(TMP)X (TMP = meso-tetramesitylporphinato dianion) with oxidants such as iodosylbenzene (PhIO) and m-chloroperoxybenzoic acid (m-CPBA) have been investigated using the Fe(TMP)X complex containing various anionic axial ligands. The formation of oxoiron(IV) porphyrin intermediates in the reactions of PhIO and m-CPBA was found to be markedly influenced by the anionic axial ligands bound to the Fe(TMP)X complex. When X- in Fe(TMP)X was Cl-, F-, CH₃CO_2-, and OH-, an iron(IV) porphyrin complex was formed in the PhIO reactions in CH₂Cl₂ or toluene at -40 oC, whereas the same reactions performed with the Fe(TMP)X complex containing CF₃SO_3-, ClO_4-, and NO_3- as anionic axial ligands produced an oxoiron(IV) porphyrin cation radical intermediate 1, (TMP)+×Fe^IV=O. As far as we have been able to discern, this is the first clear observation that an oxoiron(IV) porphyrin cation radical complex was generated in PhIO reactions. In the reactions of Fe(TMP)X and m-CPBA performed in toluene, the formation of (TMP)Fe^III N-oxide was observed when X- in Fe(TMP)X was OH- and CH3CO2-, as Groves and Watanabe reported previously. However, when the m-CPBA reactions were performed with the Fe(TMP)X (X- = CF₃SO_3-, ClO_4-, and NO_3-) complexes in toluene, the formation of 1 was observed.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O-O bond of peracids can be cleaved both heterolytically and homolytically in nonpolar solvent. We briefly discussed the effect of anionic axial ligands on the formation of different oxoiron(IV) porphyrin intermediates in the reactions of PhIO and m-CPBA.

      • 어머니의 원가족 분화경험과 심리적 특성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임미희 충북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mother's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parenting behaviors through the theoretical model proposed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28 mothers of young children aged 3-6, attending to public kindergartens located in Cheongju city, Youngdong-gun, and Jinchun-gun.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Cronbach's α, t-test,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 and path analysis through using AMOS 7.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other's family-of-origin differentiation according to children's age, and mother's and father's educational level.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motional cognitive function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mother's age. Third, there was difference in mother's parenting behavior according to children's age. Fourth, mother's ego-integrity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for boys while mother's emotional-cognitive function did it for girls. Fifth, family projection and emotional cut-off as family-of- differentiation had direct effects on mother's emotional-cognitive function, and mother's ego-integrity was influenced by family regression as family-of- differentiation Sixth, mother's parenting behavior for boys was influenced family projection and family regression as family-of- differentiation. Family regression as family-of- differentiation had a direct effect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for girls. Seventh, mother's emotional-cognitive func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mother's parenting behavior for boys by family projection and regression. Also, moth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motional-cognitive function and ego-integrity did not have a mediating effect.

      • 초등학생의 미술 발상표현 지도를 위한 속독프로그램 연구

        임미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무한 정보의 국제화 시대에 매일 쏟아지는 정보의 소용돌이 속에 살고 있는 현대인이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할 능력 중의 하나는 그 정보들을 신속하게 선별하여 가치를 자신의 목적에 맞게 최대한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라 하겠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보다 빠르고 다양하며 폭넓은 정보의 수집이 필요한 상황에서 속독은 그 어느 의사소통 기능의 영역보다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미술 발상표현수준과 독서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미술 발상표현 속독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초등학생 대상 발상표현 속독프로그램을 구안 적용한 후 그들의 미술 발상표현수준과 독서능력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고자 설정한 연구문제는 미술 발상표현 속독프로그램이 미술 발상표현에 미치는 효과와 미술 발상표현 속독프로그램이 독서능력에 미치는 효과 그리고 미술 발상표현 속독프로그램의 전체적인 만족도 등에 대한 효과 검증이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상표현 속독프로그램 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은 교육을 받기 전보다 발상표현의 성숙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그 하위 영역인, 자기주도성, 계획성, 합리적 서술, 폭넓은 사고, 독창성, 창의성의 수준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발상표현 속독프로그램 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은 교육을 받기 전보다 독서 능력이 월등하게 향상되었고 그 하위 영역인 속도, 이해도, 논리성, 자신감, 만족도 수준이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미술 발상표현 속독프로그램 교육을 받은 학습자들은 속독능력수준과 창의적 발상표현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 결과를 기초로 미래의 창의적 전문인을 육성하는 현장이라면 어디든지 체계적으로 미술 발상표현 속독프로그램이 실시되길 바라며, 이 프로그램이 창의적인 미술 발상표현과 독서능력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One of the capabilities that modern people living in the inflow of information everyday in an era of internalization of unlimited information is believed to select the information rapidly, maximize the values, and apply it to the purposes. Furthermore, speed reading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realms of communication under the situation that rapidly collect various and wide information in the flow of globalization. This study attempted to verify the effects of speed reading program for conception and expression of art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s of art expression and reading skill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fter speed reading program for conception and expression of ar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udy issues selected to examine their levels of art expression and reading skills were the effects of speed reading programs for conception and expression of art on art conception and expression, the effects of speed reading programs for conception and expression of art on reading skills and the overall satisfaction of speed reading programs for art conception and exp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een below. First, the learners significantly improved the maturity of conception and expression after taking speed reading programs for art conception and expression and the subordinate realms of self-directedness, planning skills, resonable description, wide thinking, originality, and creativ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Second, After taking speed reading programs for art conception and expression, the learners showed drastic improvement in reading skills and the subordinate realms of speed, understanding, logicality, confidence, and satisfaction were improved. Last, the learners who had taken speed reading programs for art conception and expression showed positive effects on speed reading skills and creative conception and expres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systematic speed reading programs for art conception and expression be conducted in the field that educates creative professionals in the future and expected that the programs are applie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guide creative conception and expression of art and reading skills.

      • 지능신념, 목표유형, 귀인행동, 정서반응 간의 관계 : Dweck의 동기이론을 중심으로

        임미희 안양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d test a model of Dweck's social-cognitive theory of motivation. The model comprised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fixed belief and incremental belief), achievement goals(performance goal and mastery goal), attribution behaviors(ability, effort, task difficulty, luck), and affective response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whether significant relationships would be found between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s; whether significant relationships would be found between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behaviors;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ould be found in affective responses according to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whether significant relationships would be found between achievement goals and attribution behaviors; and whether significant differences would be found in affective responses according to achievement goals. The participants of this were 385 undergraduate university students (223 men and 162 women) and 364 senior highschool students (202 boys and 162 girls) from the central area of South Korea. They were assessed by an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questionnaire, a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questionnaire, a Multidimensional - Multiattributional Causality questionnaire, and an affective responses questionnaire. The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4 items measuring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and 4 items measuring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show their degree of agreement with each item on a four-point Likert-like scale ranging from 1 (strongly disagree) to 4 (strongly agree). Thus, the higher the participants' scores on the incremental belief scale the more they believed that intelligence is an incremental trait. On the other hand, the higher the participants' scores on the fixed belief scale the more they believed that intelligence is a fixed entity. Cronbach αs for the measure of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and for that of increasing belief of intelligence were r = .932 and r = .866, respectively.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questionnaire consisted of 6 items measuring performance goal and 6 items measuring mastery goal. Participants were asked to show their degree of agreement with each item on a seven-point Likert-like scale ranging from 1 (strongly disagree) to 7 (strongly agree). Thus, the higher the participants' scores on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s scale the more they preferred performance goal. Similarly, the higher the participants' scores on the mastery goal orientations scale the more they preferred mastery goal. Cronback αs for the measure of performance goals and for that of mastery goals were r = .792 and r = .553, respectively. Attribution behaviors for success and failures experiences in overall school achievement were measured by the Multidimensional - Multiattributional Causality Scales(MMCS). The MMCS was composed of 12 items that focused on successful experiences and 12 that concerned failures experiences. The 24 items were divided into four sets of attributions: ability, effort, task difficulty, and luck. The participants respond to statements on a four-point, Likert-like scale ranging from "strongly disagree" to "strongly agree." Cronbach αs for the measure of attribution behavior for success school achievement and school achievement failures were r = .80, and r = .67, respectively. The affective response questionnaire consisted of positive emotions (a feeling of happiness, a feeling of superiority, a feeling of hope, and a feeling of relief) arising from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 and negative emotions (a feeling of anger, a feeling of helplessness, a feeling of inferiority, and anxiety) arising from school achievement failures. Rel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examined with Pearson product-moment correlations between implicit theories of - 111 -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between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behaviors. Differences were examined using χ2 in affective responses according to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correlations between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inversely proportionate, and that those between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were inversely rel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performance goal items (r =.407, p<.01), where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and to the mastery goal items (r = -.591, p<.01). On the other h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sponses to the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and to the performance goal items (r =-.330, p<.01), where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sponses to the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and to the mastery goal items (r = .539, p<.01). Secondly, when the participants attributed their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s to high ability, consistent effort, easy tasks, and good luck, it was found that correlations between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behaviors, and that those between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behaviors were both inversely relat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high ability items (r =.433, p<.01). Whereas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effort items,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easy task items, and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he good luck items were to be found r = -.514(p<.01), r = -.119(p<.01) and r = -.436(p<.01), respectively. Furthermore,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to be found between responses to the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high ability items (r =-.364, p<.01).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onses to the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effort items,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easy task items, and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he good luck items were to be found r = .495(p<.01), r = .190(p<.01) and r = .450(p<.01), respectively. It was determined that when the students attributed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a shortage of ability, lack of effort, difficult tasks, and bad luck, correlations between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behaviors, and those between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behaviors were both inversely related. When the participants attributed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a shortage of ability, lack of effort, difficult tasks, and bad luck, it was found that correlations between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behaviors, and those between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behaviors were both inversely relat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a shortage of ability items and between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lack of effort items were to be found r = -.205 and r = -.345, respectively. In addition,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difficult task items, between responses to the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bad luck items were to be found r = -.398(p<.01) and r = -.431(p<.01), respective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onses to the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a shortage of ability items and between the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lack of effort items were to be found r = .162 and r = .363, respectively. Also,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responses to the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difficult task items, between responses to the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items and to the bad luck items were to be found r = -.308(p<.01) and r = -.309(p<.01), respectively. Thirdly, when they attributed their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s to 'high ability', 'consistent effort', 'easy tasks' and 'good luck', the students who preferred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compared with those who preferred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showed a higher feeling of pleasure, and feeling of superiority. When they attributed their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s to 'high ability', 'consistent effort', 'easy tasks' and 'good luck', the students who preferred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compared with those who preferred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showed a higher feeling of hope, feeling of relief and hope, and feeling of relief,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when they attributed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a shortage of ability, the students who preferred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compared with those who preferred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showed a higher feeling of anxiety. When they attributed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lack of effort, difficult tasks, and bad luck, the students who preferred incremental belief of intelligence, compared with those who preferred fixed belief of intelligence, showed a higher feeling of inferiority. Fourthly, the students who showed higher scores on th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s scale attributed their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s to 'high ability' more often, whereas those who showed lower scores on that scale attributed their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s to 'good luck'.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showed higher scores on that scale attributed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difficult tasks' or to 'lack of effort' more often. However, they did not attribute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a shortage of ability' or to 'lack of effort'.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who showed higher scores on the mastery goal orientations scale attributed their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s to 'consistent effort' and 'easy tasks' and 'good luck' most. Those who showed lower scores on that scale attributed their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s to 'high ability' more often. In addition, the students who showed higher scores on the mastery goal orientations scale attributed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 a shortage of ability' or to 'lack of effort' more often. Those who showed lower scores on that scale attributed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difficult tasks' and to 'unluck' more often. Finally, when they attributed their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s to 'high ability', 'consistent effort', 'easy tasks' and 'good luck', the students who chose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compared with those who chose mastery goal orientation, showed a higher feeling of pleasure, and feeling of superiority. Whereas when they attributed their successful school achievements to 'high ability', 'consistent effort', 'easy tasks' and 'good luck', the students who had mastery goal orientations, compared with the students who ha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s, showed a higher feeling of hope, of feeling relief and hope, and feeling of relief and superiority. When they attributed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a shortage of ability', 'lack of effort', 'difficult tasks' and 'bad luck', the students who ha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compared with those who had mastery goal orientation, showed a higher feeling of inferiority, feeling of anger, feeling of anxiety, and feeling of helplessness. On the other hand, when they attributed their school achievement failures to 'a shortage of ability', 'lack of effort', 'difficult tasks' and 'bad luck', the students who had mastery goal orientation, compared with the students who had performance goal orientation, showed a higher feeling of anxiety, feeling of inferiority, and feeling of helplessness. It was concluded that choi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ttribution behaviors are influenced by the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ffective responses ar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s of the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attribution behaviors; attribution behaviors are changed by the interactions of outcomes of school achievements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ffective responses are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and attribution behaviors. This suggests that future research should seek to find out whether implicit theories of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evok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simultaneously and wheth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reproduceable in kindergarteners and primary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Dweck의 지능에 대한 암묵적 이론의 관점에서, 지능신념, 목표유형, 귀인 스타일, 정서적 경험 등의 관계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다섯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지능신념과 목표유형 간에는 상관이 있는가? 둘째, 학습결과가 성공적 인 경우와 실패의 경우 지능신념과 귀인행동 간에는 상관이 있는가? 셋째, 학습 결과가 성공적인 경우와 실패의 경우 지능신념에 따라 정서반응에 차이가 있는 가? 넷째, 학습결과가 성공적인 경우와 실패의 경우 목표유형과 귀인행동 간에 는 상관이 있는가? 다섯째, 학습결과가 성공적인 경우와 실패의 경우 목표유형 에 따라 정서 반응에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 대전, 충남지역에 소재한 5개의 4년제 대학과 5개의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학생들이었다. 본 연구에 최종적으로 참여한 학생 수 는 총 749명이었다. 이들 중 대학생이 385명(남학생 223명, 여학생 162명)이었고 고등학생이 364명(남학생 202명, 여학생 162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는 지능신념 측정 설문지, 목표유형 측정 설문지, 귀 인행동 측정 설문지, 정서적 반응 측정 설문지 등 이었다. 지능에 관한 신념 측정 설문지는 8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4개의 진술문은 지능 고정신념을 측정하고 나머지 4개의 진술문은 지능 증가신념을 측정한다. 진술문은 “전혀 다름”에서 “거의 같음”으로 이루어진 4단계 리 커트-타입 설문지이다. 지능 고정신념 검사와 증가신념 검사의 Cronbach α는 각각 .93, .86으로 나타났다. 목표유형 측정 설문지는 12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중 6 문항은 숙달목표에 관한 것이고 나머지 6문항은 수행목표에 관한 것이다. 문항은 “전 혀 동의하지 않음”에서 “전적으로 동의함”로 이루어진 7단계 리커트-타입 설문 지이다. 수행목표 검사와 숙달목표 검사의 Cronbach α는 각각 .79, .55이었다. 귀인행동 측정 설문지는 학교 성적에 관한 성공경험 12문항과 실패경험 12 문항 등 총 24문항으로 구성되었다. 24문항은 4개의 귀인으로 나뉜다. 4개의 귀인은 능력, 노력, 과제난이도, 운(재수)이다. 문항은 “동의하지 않는다”에서 “동의 한다”로 이루어진 4단계 리커트-타입 설문지이다. 성적에 대한 귀인 척 도의 Cronbach α는 .80이고, 낮은 성적에 대한 귀인 척도의 Cronbach α는 .67이고, 전체 척도의 Cronbach α는 .83이었다. 정서반응 측정 설문지는 성공적 학습결과에 대한 귀인행동에 따른 정서반응 (우월감, 기쁨, 희망, 안도감)과 실패한 학습결과에 대한 귀인행동에 따른 정서 반응(화, 무력감, 열등감, 불안감)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능 고정신념은 수행목표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숙달목표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지능증가 신념은 숙달목표와 정적 상 관을 보였으나 수행목표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지능 고정신념의 학생들은 성공적인 학습결과를 높은 능력으로 귀인 하 는데 반하여 실패한 학습결과는 어려운 과제 및 운(재수) 없음 등으로 귀인 하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지능 증가신념의 학생들은 성공적인 학습결과를 꾸준 한 노력, 쉬운 과제, 운(재수)좋음으로 귀인 하는데 반하여 실패한 학습결과는 낮은 능력과 노력부족으로 귀인 시키었다. 셋째, 지능 고정신념 집단은 지능 증가신념 집단에 비해 학습결과의 실패를 능력 으로 귀인 할 때는 열등감 정서를, 노력으로 귀인 할 때는 분노 정서를, 과제 난이 도로 귀인 할 때는 불안감 정서를, 운으로 귀인 할 때는 무력감 정서를 더 많이 보였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지능 증가신념 집단은 지능 고정신념 집단에 비해 학습결 과의 실패를 능력으로 귀인 할 때는 불안감 정서를 더 많이 느끼고, 노력, 과제 난 이도, 운으로 귀인 할 때는 공통적으로 열등감 정서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넷째, 수행목표 의식이 강한 학생은 학습의 성공을 ‘내가 똑똑해서’라고 귀인 하지만, 수행목표 의식이 낮은 학생은 학습의 성공을 ‘노력 덕분에’ 혹은 ‘운이 좋아서’라고 귀인 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수행목표 의식이 강한 학생 은 학습 실패를 ‘시험이 어려워서’ 혹은 ‘운이 없어서’라고 귀인 하지만, 학습의 실패를 ‘능력 부족’이나 ‘노력 부족’으로 귀인 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숙달목표 의식이 강한 학생은 학습의 성공을 ‘노력의 대 가’, ‘시험이 쉬워서’, ‘운이 좋아서’ 라고 귀인 하지만, 숙달목표 의식이 낮은 학 생은 학습의 성공을 ‘내가 똑똑해서’라고 귀인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숙 달목표 의식이 높은 학생은 학습의 실패를 ‘나의 능력이 부족해서’ 혹은 ‘노력 부족으로’라고 귀인 하지만, 숙달목표 의식이 낮은 학생은 학습 실패를 ‘시험이 어려워서’, ‘운이 없어서’라고 귀인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성공적 학습결과에 대해 어떤 요인으로 귀인 하느냐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지만, 수행목표 집단의 학생들은 기쁨 및 우월감을 더 많이 경험하 는데 비해, 숙달목표 집단의 학생들은 희망과 안도감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한편, 실패한 학습결과에 대해 어떤 요인으로 귀인 하느냐에 따라 두 집단이 경험하게 되는 정서들의 차이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행목표를 지닌 학생들은 열등감, 분노, 불안감, 무력감 등을 더 많이 경험하는데 비해, 숙 달목표를 지닌 학생들은 불안감, 무력감, 열등감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기초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맺었다. 지능신념은 성취목표의 선택에 영향을 주며, 지능신념에 따라 귀인행동의 패 턴이 다르며, 지능신념은 귀인행동을 매개로 하여 정서반응에 영향을 주며, 학생들 이 지니는 목표의식은 학습결과의 성공과 실패에 대한 귀인행동에 영향을 주며, 목 표유형은 귀인행동을 매개로 하여 정서반응에 영향을 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지능신념과 목표유형이 긍정적 정서 와 부정적 정서를 동시에 발생 시키는지의 여부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 를 어느 정도의 강도로 발생 시키는지 등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지능신념이 직업선택, 친구선택, 전략선택 등과 같은 다른 선택과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 현대무용 turn leap 동작의 생체역학적 분석

        임미희 강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현대무용 기본 응용 동작 중의 하나인 Turn Leap 동작을 대상으로 실패와 성공 시의 동작 특성을 과학적으로 접근하고, 영상분석법으로 무용 동작의 생체역학적 분석을 시도하여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동작 수행을 위한 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현대무용 전공생들에게 과학적 근거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현대무용 10년 이상의 무용수를 대상으로 현대무용 기본 응용 동작 중의 하나인 Turn Leap 동작의 운동학적 변인 측정과 하지 근전도 측정을 위한 영상분석시스템, 지면반력 측정기, 근전도 분석 장비가 실험도구 및 분석 장비로 사용되었다. Turn Leap 동작의 실패와 성공 시의 동작 특성과 올바른 동작 제안을 위해 운동학적 변인과 운동역학적 변인으로 나누어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변인은 시간, 거리, 속도, 각도, 각속도 등 운동학적 변인과 근전도, 지면반력과 같은 운동역학적 변인을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시간 요인에서 구간별 소요시간은 실패와 성공 시 P1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으며, P3에서 가장 짧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또한, P1은 실패 시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으며, P2에서는 성공 시에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하였다. 또한, 전체 소요시간에서 실패와 성공 시의 체공 시간을 백분율로 나타낸 결과, 실패 시에 34.87%, 성공 시에 34.93%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근소하게 더 많은 시간을 소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공적인 점프 동작을 위해 준비 동작은 정확하고 천천히 이루어져야 하며 빠르게 오른발 차는 동작을 통해 체공 시간을 늘리는 전략이 이루어진 결과로 생각된다. 둘째, 거리요인에서 실패와 성공 시 신체 중심의 좌우 위치변화는 도약의 시점인 E1에서부터 마지막 착지인 E5까지 신체 중심이 우측으로 점차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Turn Leap 동작의 특성이 턴 동작과 립 동작의 연속 동작으로 진행방향인 우측으로의 이동 때문에 나타난 현상으로 판단된다. 신체 중심의 전후 위치변화는 도약의 시점인 E1에서부터 마지막 착지인 E5까지 신체 중심이 더 멀리 이동한 것을 알 수 있으며 특히, 첫 번째 도약 구간인 E1에서 E2 구간에서 가장 이동의 범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패 시와 성공 시의 차이는 전체적으로 성공 시에 더 멀리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프의 최고 높이는 실패 시는 0.766±0.041 m/ht이며, 성공 시에는 0.775±0.032 m/ht로 나타나 실패 시보다 성공 시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공적인 Turn Leap 동작을 위해 좌우 이동 거리는 전체적으로 우측으로 이동하여야 하며, 더 큰 힘을 이용한 도약을 통해 점프 높이를 높이고 착지 시 멀리 이동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속도요인에서 신체 중심의 좌우 속도는 두 번째 도약을 위한 왼발 착지 이후 오른발 도약부터 착지 시까지 성공 시보다 실패 시에 우측으로의 신체 중심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든 이벤트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전후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패와 성공 시 신체 중심의 수직 속도의 차이는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신체 중심의 좌우 이동 거리와 같은 이유인 우측으로의 이동 결과로 판단된다. 넷째, 각도 요인에서 이벤트별 하지관절각도는 우측 고관절 각도변화에서 공중동작에서 성공 시 우측 고관절의 굴곡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측 고관절 내외회전각도는 E2에서 실패 시에는 내측회전이 일어났으며, 성공 시에는 외측회전이 일어나 차이를 나타냈다. 좌측 고관절의 내외전각도는 모든 이벤트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의 외전각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점프 동작에서의 오른쪽과 왼쪽 고관절의 턴 아웃 동작의 유지가 제대로 수행된 결과로 판단된다. 좌측 무릎관절의 내외전각도는 E2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굴곡각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이는 더 큰 도약힘을 위해 무릎의 굴곡이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좌측 발목관절의 내외전 각도는 E3를 제외한 모든 이벤트에서 외전 되었으며, E2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가 더 큰 외전 각도를 나타냈다. 준비 동작 시 턴아웃 쁠리에 동작으로 인하여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특히, 도약과 착지를 나타내는 E1, E2, E3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상체전경각이 작게 나타났으며, 공중동작인 E4에서도 실패 시보다 성공 시에 상체전경각이 작게 나타나 지면을 기준으로 상체가 유지 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무용의 기본동작인 Pull up과 Turn out이 잘 수행된 결과로 보여 진다. 다섯째, 각속도 요인에서 도약 직전과 착지 지점 E2와 E5에서 실패 시 보다 성공 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스타트인 오른발 착지 후 동체 회전 속도를 빨리하여 회전력을 얻은 것으로 보인다. 도약 구간의 동체 최대 회전 각속도 비교결과 실패 시에 –723.6±74.7 °/sec, 성공 시에 –752±118.7 °/sec로 성공 시 최대 회전 각속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준비 동작인 도약에서 성공적인 점프를 위해 회전각속도를 높이는 전략의 결과로 판단된다. 여섯째, 지면반력 요인에서 실패 시보다 성공 시 도약 구간의 최대 수직 지면반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위에 언급한 점프 높이와 체공 시간과 상관관계가 있을 것으로 보이며 Turn Leap 동작에서 성공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일곱째, 근전도 요인에서 스타트인 오른발 착지부터 왼발 착지까지의 도약 구간에서 실패 시가 성공 시보다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좌측 외측광근 제외). 또한, 오른발 도약에서 우측 대퇴이두근(RT.BF)과 우측 전경골근(RT.TA)이 활성화 되었는데 성공 시가 실패 시보다 더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냈다. 왼발 착지에서부터 왼발 도약 시까지 도약 구간은 성공 시가 실패 시보다 좌측 전경골근(LT.TA)과 좌측 외측광근(LT.VLO), 좌측 반건양근(LT.SEM)의 근활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왼발의 착지와 도약 시 활용되는 근육이 적절하게 사용되었음을 입증하는 결과라고 판단된다. 왼발 도약에서부터 신체 중심이 최고 높이 시의 공중자세 구간은 성공 시가 실패 시보다 양쪽 대퇴직근(RF), 양쪽 외측광근(VLO), 좌측 내측광근(VMO)과 양쪽 전경골근(TA), 양쪽 대퇴이두근(BF), 양쪽 외측 비복근(LAT.GA)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이는 왼발 도약에 대퇴 사두근의 역할과 추진력을 위한 외측 비복근의 사용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결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 본 결과 Turn Leap의 성공적인 동작을 위해서는 턴과 립의 연속 동작 시 안정적인 동작 구현을 위해 지지 다리는 높은 수직 점프를 위해서 지면에서 떨어지는 E3에서 수직 속도를 빠르게 하여 체공 시간을 더욱 길게 함으로써 체공높이를 높게 하여 동작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또한, Turn Leap 동작을 수행하는 데 있어, 도약과 체공시간, 착지 시 고관절의 신전은 미적 요소를 충족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로 공중에서 다리를 들어 올려 180도 스트레치 형태를 유지 시켜 더욱 우아하고 정확한 동작을 보여주는 데 있다. 그러므로 다리를 들어 올려 양쪽 다리를 최대한 펴서 180도를 유지해주는 것이 Turn Leap 동작에서 가장 아름다운 공중 동작을 표현하는 방법이 된다. 또한, 회전 시 다리 동작은 더 높고 빠르게 정확한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며 머리는 동작이 시작된 후 시선을 고정시켜야 한다. 몸통이 돌아갔을 때 원래 방향으로 정확히 머리를 회전시켜 고정시킴으로써 좀 더 깔끔한 동작 선과 착지를 이룰 수 있을 뿐 아니라 Turn Leap 동작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특히 불안정한 Turn 자세는 예술성을 감소시키고 정확한 동작 표현이 불가능함으로 올바른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Turn Leap 단계 직전의 내딛기 동작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Turn Leap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지도하여야 하며, 도약 시 높이 점프하기 위해서는 발을 단계적으로 지면을 밀어 최대 수직 지면반력이 최고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착지 시에는 발끝부터 지면에 내딛고 천천히 쁠리에 하여 무릎을 구부려 착지 시간을 길게 안정적으로 하는 것이 우아한 동작과 충격으로부터 보호 하여 상해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perform biomechanical analysis of the dance movement(turn-leap)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failures and successes in the movement. Five modern dancers(age: 20.60±0.55 year’s old, height 167.43±5.13cm, weight:55.00±1.58kg, experience: 11.00±1.00years) were recruit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ree dimensional motion analysis system, Force plate and electromyography(EMG) system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kinematical and biomechanical variables computed were the time, distance, velocity, angle, and angular velocity, muscular activation and ground reaction force(GRF). The result obtain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Regarding the time factor taken for each phase, P1 had the longest time and the shortest at P3 in both failures and successes trials. In case of the hang time out of total time, failure trials were 34.87% and 34.93% in success trials, which shows that successful trials were slightly longer than in failure trials. Therefore, the preparation processes must be done accurately and slowly for a successful jump. The duration of flight can be lengthen by kicking the right foot quickly when jumping. 2. In terms of the distance factor in both the failure and success trials, the change the center of the mass(COM) i.e. medial/lateral and anterior/posterior - showed the COM moved gradually to the medial direction from the take-off(E1) to the final landing(E5). This seems to result from the fact the turn-leap movement is continuous sequence of a turn and a leap, moving to the medial direction. 3. From the take-off on the right foot after landing on the left foot to the final landing for the second leap, the velocity of the COM increased more in failure trials than in successes. Also, in all events, the velocity of the COM moving towards the anterior and posterior direction increased in successes than in failure trials. Whereas, the difference in the vertical velocity of COM between two condition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 obtained is considered due to the nature of the movement starting from the medial direction, which is the same reason as the moving distance of the center of the mass. 4. In case of the angle of lower limb joints for each event, the right hip flexion angle during the aerial movement was larger in success trials than in failures. The abduction angle was larg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all events, which meant the turn-out motion of the right and left hip joints in the jump movement was performed successfully. The left knee flexion angle was larg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order to obtain a larger jump force. In all events except for E3, the angles of the left ankle joint were abducted, and the abduction angle at E2 was larg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t is considered as the result of turn-out and plié movements during the preparatory stage. In all events except for E5, the anterior angles of the upper body was obsereved to be small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 trials, indicating that the upper body was standing upon the ground. This shows that the pull-up and the turn-out which are the basic movements of dance were well performed. 5. The angular velocity at E2 and E5 was high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which means the rotational force became greater due to the higher rotational velocity after the right foot landing. The maximum rotational angular velocity was found to be higher in successes(-752±118.7°/sec) than in failures(-723.6±74.7°/sec). This is judged to be the result of a strategy of increasing the angular velocity of rotation for a successful jump during the preparatory take-off phase. 6. The maximum vertical GRF of the jump was high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This result seems to be correlated with the jump height and the duration of flight, and it is considered to be a successful factor in the turn-leap movement. 7. The EMG activity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s was high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the start phase which is from the right leg landing to the left leg landing(except for the left vastus lateralis). Also, the right femoral biceps(RT. BF) and the right tibialis anterior muscle(RT. TA) were activated in the right foot jump, and they showed higher muscle activity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the jump phase which covers from the left foot landing to the left foot take-off, the left tibialis anterior(LT. TA), the left vastus lateralis (LT. VLO), and left semitendinosus muscle(LT. SEM) showed higher muscle activity in successes than in failure trials. This seems to be a result of demonstrating that the muscles activated for landing and jumping of the left foot were appropriately used. In the flight movement phase, from the left foot jump to the highest point of body axis, EMG activity was higher in successes than in failures in all cases of the rectus femoris(RF), the vastus lateralis(VL), the left vastus medialis(VM), the tibialis anterior(TA), the biceps femoris(BF), and the lateral gastrocnemius(LAT. GA).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that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 and the lLAT. GA muscle were used properly in the left foot jump for the propulsive force. From the results stated above, it can be drawn that during the continuous sequence of a turn and a leap, the vertical rise velocity of the supporting leg should be increased at E3 to stay longer and higher the air. In addition, in performing the turn-leap movement, the duration of take-off and flight and the extension of the hip joint in landing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meet the aesthetic elements in order to display the more appealing and correct movement. Specifically, lifting the legs and maintaining both legs at the maximum angle of 180 degrees is the way to express the most beautiful aerial motion in turn-leap movement. Unstable turning movement, especially, not only reduces the artistry but also makes it impossible to express the movement accurately. Therefore, it is desirable to push the foot stepwise to the ground so that the vertical GRF becomes the maximum in order to increase the jump height. As well, instructors should provide students information about the stepping movement before the stage of taking a turn and leap for them to perform the turn-leap movement efficiently.

      • 엠마누엘 레비나스의 철학에서 예술과 타자성의 의미

        임미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aim of this article consists in clarifying the ethical meaning and its relation to art in Emmanuel Levinas' philosophy of alterity. Levinas puts emphasis on the alterity of the other(l'Autre). The alterity of the other begins with the critique of the twentieth century's history and philosophy. His position is grounded in the request to a new ethics and argument for Western philosophy. Levinas indicates that the tradition of Western philosophy since Platon has most often pursued truth within the ego. And thus he criticizes that it has always forgotten truth pursued in the outside of the ego, that is to say, the search for truth which comes from the absolutely otherwise exteriority to the ego. Against this thought, Levinas attempts to show the fact that the value of alterity is the essence of the original ethics, by putting the alterity of the other in the idea of the infinity beyond totality. Levinas insisting the idea that 'ethics is first philosophy' begins from the relation of the same to the other, not from the ego. And This relation the same to the other is the relation of the same's transcendental intention to the other. Therefore, for Levinas, the theory of art would be impossible without the philosophy of alterity. For Levinas, the relation of alterity to art begins from the thought of the 'l'il y a (There is)', which is not only the basis of his ethical thought towards infinity, but of reflection on art. Art shows this l'il y a as such, and thus it is an unworldly experience. Levinas indicates that the transcendence to the other is impossible in art, because of the experience of passivity, impersonal, unworldly of a subject, and thus he criticizes that art can be unethical in the l'il y a itself. But we find the encounter of ethics with art in Levinas' thought, by way of his primodial ethical language 'le dire (the saying)'. While Levinas emphasizes the ethical structure of the very speech-phenomenon of language, he thinks the relation of the same to the other in the problem of language. Le dire, accomplished only within the inseparable relation to the presence of the other, is prelinguistic language of the condition of discourse before its concrete contents. Levinas sees poetic language closest to the saying, and shows that poetic language as the saying,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propositioned and thematized language, manifestes a modality of transcendence towards the Other through Paul Celan and Maurice Blanchot. Levinas and Blanchot fold a significant discourse about the problem of alterity and art. Blanchot's 'dehors (outside)' is similar to Levinas' the l'il y a. Levinas conceived the l'il y a as what one must escape, whereas Blanchot thought this dehors, which is the origin of art, as a positive force. Levinas found how to escape from the meaningless l'il y a, the horror of Being, and the meaningless monotony in subject's the one-for-the other, that is, the responsibility to the other. There is an extreme humanity of ethical subject towards the other in the hypostasis of subject to go out from the l'il y a. Levians, Henceforth, criticizes art as the experience of 'Being', because it contains immorality. In contrast to Levinas, Blanchot thinks this exteriority in connection to the experience of art, but does not criticize the immorality of art. As it were, this exteriority is in excess of even any ethical ought and at the same time the most primodial encounter is accomplished in the experience of the outside. Levinas emphasizes the absoluteness of the other at the limit of the finitude of the ego, whereas Blanchot shows the fact that genuine communication and the point of encounter produces in the experience of limit throught the outside and exteriority common to everybody. But the common point of the two is that the presence of the other is the moment of communication and transcendence in more primodial dimension. Levinas' philosophy attempts to recuperate the meaning of truth from the beyond of totality, from exteriority of the ego, and in there he discovers the sensibility of the otherness of the other and infinite responsibility for the otherness of the other. This is the most contribution to modern philosophy. The critique of art based on this otherness gives us the reflection on the relation of ethics to art. But this position, on the one hand, shows that Levinas' theory of art is enclosed in very limited region of the philosophy of the other as ethical thought. 본 논문의 목적은 ‘타자성의 철학’이라고 일컫는 레비나스의 철학에서 타자성 alterite 이 갖는 윤리적 의미와 예술과의 관계를 밝히는 것이다. 레비나스가 타자의 타자성을 강조하게 된 배경은 20세기 역사와 철학에 대한 비판과 반성에서 시작해서 서구철학의 전통에 새로운 윤리가 필요함을 주장하는 데에 있다. 레비나스는 플라톤 이래로 서구철학의 전통이 자아의 내부에서 찾는 진리 추구, 말하자면 존재론과 전체성의 진리 추구임을 지적하고 자아 바깥에서 찾아지는 진리, 자아와는 전적으로 다른 외재성에서 오는 진리 추구를 잊고 있었다고 비판한다. 이에 레비나스는 ‘전체성’을 넘어서는 ‘무한’ 이념 위에 타자의 타자성을 놓음으로써 타자성의 가치를 근원적인 윤리의 바탕으로 보여주려 한다. ‘제1철학으로서의 윤리학’을 내세우는 레비나스는 철학에서의 윤리의 문제를 자아에서 시작하지 않고 동일자와 타자와의 ‘관계’에서 시작하고 있으며 이 관계는 동일자에서 타자로의 초월적 지향이라는 관계이다. 그러므로 레비나스의 예술론 역시 그의 타자성의 철학을 떠나서는 사유될 수 없다. 레비나스의 타자성과 예술과의 관계는 그의 철학의 바탕에 흐르고 있는 ‘있음 l'il y a’에 대한 사유에서 시작할 수 있는데 이 ‘있음’은 무한으로 향하고자 하는 레비나스의 윤리적 사유가 출발하는 지반임은 물론 예술에 대한 반성이 출발하는 지반이다. 예술은 바로 이러한 ‘있음’을 보여주며 하나의 비세계적 체험이다. 레비나스는 예술 안에서 주체가 겪는 수동성의 체험, 비인격적이고 비세계적인 체험으로 인해 예술에서는 타자로의 초월이 가능하지 못함을 지적하고 여기에서 예술이 비윤리적일 수 있음을 비판한다. 그러나 레비나스의 사유 내에서 윤리와 예술의 만남의 가능성을 찾을 수 있는데 이는 바로 레비나스의 윤리적 근원어 ‘말함 le dire’을 통해서 가능해 진다. 레비나스는 그의 후기 사상에서 언어의 발화현상 자체에 있는 윤리적 구조를 강조하면서 타자와의 관계를 언어의 문제에서 사유하고 있다. 타자의 현전과 분리할 수 없는 관계 안에서만 이루어지는 ‘말함’은 담론의 구체적인 내용 이전의 담론의 가능 조건이라는 전언어적 언어이다. 레비나스는 시언어를 이러한 ‘말함’에 가까운 것으로 보고 명제화되고 주제화된 언어와 구별하면서 말함으로서의 시언어가 타자를 향한 초월의 양태를 드러내고 있음을 첼란과 블랑쇼를 통해 밝히고 있다. 레비나스와 블랑쇼는 예술과 타자성의 문제에 대해서 의미 있는 담론을 펼치고 있다. 블랑쇼의 ‘바깥’은 레비나스의 ‘있음’과 유사한 면이 있는데 레비나스가 ‘있음’을 벗어나야 할 상태로 보았다면 블랑쇼는 예술의 기원이랄 수 있는 이 ‘바깥’에서 하나의 긍정적인 힘을 보았다. 레비나스는 무의미의 ‘있음’에서 탈출하는 방법을 주체가 자신의 자리를 떠나 타자에 대해 있음, 타자에 대한 책임에서 찾았으며 이 윤리적 주체를 통해 하나의 극단의 휴머니티를 보여준다. 따라서 ‘있음’의 체험으로서 예술은 레비나스에게 비윤리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비판되지만 바깥이라는 외재성을 예술경험과 밀접한 관련 속에서 사유하는 블랑쇼에게서는, 예술의 비윤리성에 대한 비판은 보이지 않는다. 이 바깥은 어떠한 윤리적 당위성마저도 초과해 있는 상태이며 동시에 ‘바깥’의 경험 속에서 타인과의 가장 근원적인 만남이 이루어진다. 레비나스가 자아의 유한성이라는 한계점에서 타자의 절대성을 강조하면서 타자로의 초월을 추구하였다면 블랑쇼는 바깥을 통한 한계 체험과 인간 모두의 공통된 외재성에서 진정한 소통과 만남의 지점이 열린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레비나스와 블랑쇼는 ‘나’의 유한성을 알리는 타자의 현전이 보다 근원적인 차원에서의 소통과 초월의 계기가 된다는 점에서 서로 만날 것이다. 레비나스의 철학에서 전체성 너머 존재 저편에서 오는 진리의 의미를 회복하고자 하고 거기에서 절대적 타자의 타자성에 대한 감수성과 무한한 책임성을 각성시킨 점은 레비나스의 철학의 큰 공헌이며 그의 타자성에 기반하고 있는 예술비판은 우리 시대의 예술과 윤리와의 관계를 반성하게 하는 충분한 계기를 마련해 준다. 그러나 이러한 점은 한편으로 레비나스의 예술론이 타자성의 철학이라는 윤리적 사유 내에서의 예술론이라는 한정된 범위 안에 있음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 유치원의 P.E.T 부모훈련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 증진에 미치는 효과

        임미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P.E.T.훈련프로그램이 참여한 어머니들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미치는 효과를 알아봄으로써 P.E.T프로그램의 효율성과 타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P.E.T 훈련을 받은 어머니의 의사소통기술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으며 자녀의 태도에 대해 반응하는 심리적 자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P.E.T)은 어머니의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키는가? [연구문제1]효율적인 부모역할훈련(P.E.T)이 자녀를 대하는 어머니의 심리적 자세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가? 본 연구는 유치원 어머니 34명을 대상으로 각각 17명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은 P.E.T훈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훈련을 실시하지 않았다. 그리고 P.E.T훈련을 실시하고 그 변화를 비교하기위해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P,E,T.훈련을 실시한지 8주가 경과된 후에 실험, 통제집단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김혜숙(1989)이 제작한 의사소통 기술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지을 수 있다. 첫째, 어머니의 의사소통기술에 있어서 P.E.T부모교육프로그램 실시 후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있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P.E.T부모교육프로그램이 어머니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자녀를 대하는 어머니들의 심리적 자세에 있어서도 설문지 조사 결과, 어머니들은 의사소통걸림돌의 사용이 줄어들고 나-메세지와 반영적 경청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자녀가 부모에게 항상 절대적으로 복종해야하는 수동적 존재여야 한다는 심리적 자세가 수용적인 자세로 변화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P.E.T 부모훈련 프로그램은 어머니의 의사소통기술을 향상시키고 자녀에 대한 긍정적인 심리자세를 갖게 하기 때문에 부모와 자녀간의 관계를 향상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이라고 하겠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훈련 강사의 변인과 참여자 개인이나 참여집단의 특성을 고려하여 구성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연구가 있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어머니만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나, 자녀나 배우자를 같이 연구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P.E.T.프로그램의 효과가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그 지속성을 알아보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장기적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는 추후 검사가 필요하다. 넷째, 부모교육은 인식이 중요하므로 부모 및 예비부모들이 관심을 가지고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동기 조성 및 홍보가 필요하다. 다섯째, 연구대상자들이 임하게 되는 사전, 사후 검사의 응답환경에 보다 철저한 통제를 가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P.E.T. 프로그램은 서구에서 개발된 것으로 우리나라 가정문화와 의사소통 양식을 제대로 반영한 프로그램이라고 보기 힘들다. 그러므로 우리의 사회적 문화적, 가정적 요소를 고려한 부모-자녀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계속 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verify the effects and the validity of P.E.T. program by observing how P.E.T. program trained parents are changed in the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in terms of communication skill and perception towards each other.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and analyse the changes happening to the P.E.T program trained parents and to various teaching behaviour in their communication with their children. The subjects were 34 mothers of kindergarten children and totally 24 hour long P.E.T. training was executed over 8 weeks of the period, 3 hours per week. Pre investigation and post investigation was designed to effectively examine the effects over the communication skil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T. train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results show that communication skill ('I' messaging skill and active listening skill) was improved during the period through P.E.T. program and additionally that inter communication skill between P.E.T trained parents and their children was improved as well. In result, P.E.T. program is very effective education program which makes it possible to create the goo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ir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