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공도서관 독서치료 프로그램 참여자의 치유효과에 관한 연구

        이희자 경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analyzing the process and effect after finding one's problem and recover it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and reading which presented according to situation through developing the reading medical treatment program for a housewife in the public library which can carry out the duty as an organization that recovers a local resident's moral health. In this research, two kinds of reading medical treatment program were developed and applied. One was the group of the general process which does not have an understanding in reading medical treatment, and the other one was the enhancement process program participant who has realized the importance and the necessity for reading medical treatment through general process. General course proceeded by first half 12 lectures and second half nine lectures and constituted by 2 to 3 hours a week from April to October 2006, and enhancement course proceeded by 10 lectures and constituted by 2 to 3 hours a week from August to November 2006. The three elements for performing a reading medical treatment program are a participant, a medium, and medical treatment. The participants of library users were 30- 40th generation housewives, and utilized the self recovery document, and audiovisual medium also used. A therapist was a researcher of a graduate school student who studies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 researcher led participant's positive participation as a recovery person who got damaged so that a participant can experience 3 kinds of reading medical treatment principle, the identification, catharsis, and discernment through recovery writing, talking and reading. It is as follows if reading medical treatment program management process and recovery effect were examined. First, I found that many neighbors who are living together with us have wounded heart and living a life with that wound and sorrow. Second, I was able to find the medical treatment usefulness of self recovery document. Since there were many cases by specialist's long term actual experience, participants can meet the similar problems and circumstances. Also, it can have the recovery effect by having hope that they also can solve their problems through the process of solving one's problem in a book. Third, it was able to get affirmative effect through the use of image data. When they participated in discussion after watching an image data that the situation and the theme are alike after discussion carried out after reading a book, everybody was able to participate positively, and able to reorganize the theme and each one's thought. Forth, it was able to achieve the purpose and target of development reading medical treatment. People who solve their daily work well need to look back upon themselves, and aim at maturity of character, and through their identity and feeling of self respect, relationship between people can be improved and raise the power that can solve a future problem positively. Fifth, as we can see by Yalom's result which verified group consultation medical treatment effect, it has proved that the reading medical treatment program is the program which is effective in group consultation medical treatment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ecovery reading, writing, and talking by a interested participant's gathering.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정신건강을 회복하는 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공공도서관에서 주부대상의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상황별로 제시된 책을 읽고 토론하는 과정 중에 자신의 문제를 발견하여 치유해 나가는 과정과 그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에서는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두 가지로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하나는 독서치료에 이해가 없는 일반과정의 집단이었고 다른 하나는 일반과정을 통해 독서치료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깨달은 심화과정 프로그램 참여자였다. 일반과정은 2006년 4-10월까지 상반기 12강 하반기 9강으로 주 1회 2-3시간씩 구성하여 진행하였으며 심화과정은 2006년 8-11월까지 총 10강으로 주1회 2-3시간씩 구성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세 가지 요소로 참여자, 매체, 치료사를 들 수 있는데 참여자는 도서관을 이용하는 30-40대 주부들이었으며 매체는 자가 치유서를 활용하였으며 시청각 매체도 사용하였다. 치료사는 문헌정보학을 공부하는 대학원 학생으로서 연구자였다. 연구자는 참여자에게 치유적 책읽기와 치유적 말하기, 치유적 글쓰기 활동을 통해 독서치료 세 가지 원리인 동일시, 카타르시스, 통찰을 체험할 수 있게 ‘상처 입은 치유자’ 로서 참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였다. 독서치료 프로그램 운영과정과 치유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있는 많은 이웃들이 모두 마음속에 상처가 있고 상처와 슬픔을 마음속에 담아두고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둘째, 자기치유서의 치료 효용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전문가들의 오랜 시간 실제 경험에 의한 많은 사례들이 풍부하게 들어있어 참여자들이 비슷한 문제와 상황을 만날 수도 있고 책속의 인물들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통해자신의 문제도 해결될 수 있다는 치유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셋째, 영상자료 활용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책을 읽고 토론을 거친 후 상황과 주제가 같은 영상자료를 보고 토론에 참여했을 때 모두가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으며 주제와 각자의 생각을 재정리 할 수 있었다. 넷째, 발달적 독서치료의 목적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었다. 일상적으로 자신의 일을 잘 해결해 나가는 사람들이 자신을 돌아보고 인격의 성숙을 도모하고 자신의 정체성과 자아 존중감을 통해 인간관계가 개선되며 앞으로의 삶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힘을 기른다 다섯째, 얄롬의 집단 상담치료 효과를 검증한 결과에서 보듯이 관심 있는 참여자들이 모여서 치유적 책읽기, 글쓰기, 말하기의 과정을 거치면서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집단 상담치료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입증되었다.

      • 바이오정보를 활용한 출입국심사 모델에 관한 연구

        이희자 숭실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바이오정보를 활용한 출입국심사 모델에 관한 연구 知識經榮學科 이 희 자 指 導 敎 授 신 용 태 국제화·세계화로 경제·사회·문화 등 각 영역에서 인적교류가 활발해짐에 따라 국가간의 인구 이동이 증가하고, 우리나라의 경제적 위상 향상 등으로 출입국자 수는 매년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법무부 통계에 따르면 2010년 한 해 출입국자가 사상 처음 4천만명을 넘어 섰고,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 수도 130만에 육박하고 있다. 이러한 국경관리 패러다임의 변화에 대한 대응 체계 마련으로 `해외에서는 국제범법자, 테러리스트 검색을 위해 지문, 얼굴, 홍채 등 바이오정보를 이용하여 국경관리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는 2012.1.1.부터 대한민국에 입국하는 외국인은 입국심사를 받을 때 바이오정보 제공을 의무화 하도록 출입국관리법을 개정하여 지문과 얼굴정보를 제공하도록 하였다. 외국인 범죄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하여 외국인 신원관리시스템 도입이 필요하게 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정보 기반 활용 기술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출입국심사 적합성 평가모델에 실증적으로 반영함으로서 대한민국 국민은 물론 선량한 외국인들에게 안전하고 편리한 출입국심사 절차를 제공하고, 국가 간 국경관리시스템 체계를 강화하여, 테러 및 국제범죄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는 업무프로세스 설계 방안을 제시하는 연구를 하였다. ABSTRACT A Study on Immigration Control Model Utilizing Bio Information LEE, HEE JA Department of Knowledge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Information Sciences Soongsil University Population movement across nations is increasing as exchange of human resources in various areas such a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has increased because of globalization. Economic status of South Korea improved, and therefore the number of emigrating and immigrating people in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According to statistics from Ministry of Justice, the number of immigrants in Korea reached 40 millions for the first time in 2010, and the number of foreigners residing in korea is over 1.3 million. To devise a system corresponding to changes in the paradigm of national border management, foreign nations tend to strengthen national border management system by utilizing Bio information such as fingerprint, face, iris to detect international criminals or terrorists. South Korea has revised its immigration law from Jan 1, 2012 to require foreigners immigrating into Korea provide bio information: finger print and face. An induction of a system managing identities of foreigners is needed to protect the people from foreign crimes. In this thesis, a technology utilizing bio information will be analyzed, and its result is empirically reflected to a model evaluating appropriateness of immigrant examination to provide a safe and convenient immigration evaluation system to not only Koreans but also to foreigners. Additionally, study of business process devising plan that is able to contribute preventing terror and international crime by strengthening international border management system is also do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