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참깨(Sesamum indicum L.) 새싹의 생육시기별 항산화 활성

        이효진 경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have identified anti-oxidant functionality of sesame sprout, and to produce high-quality sesame sprout,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after being cultivated in light condition and dark condition, respectively, three days, six days and nine days. The activity of DD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ve increased as concentration-dependent, and in 200㎍/ml concentration, the DDPH light condition was 30.82%, 20.25%, 24.56%, dark condition was 16.67%, 16.67%, 24.56%, and in 50㎍/ml concentration, the ABTS light condition was 27.27%, 23.86%, 22.56%, dark condition was 14.60%, 25.64%, 27.10%, so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light condition, it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cultivated for 3 days in dark condition. Total phenol contents were highest at 8355.56mgGAE/100g when grown for 6 days under light conditions, but it did not show difference in contents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and number of days of cultivation.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at 7058mgRUE/100g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light conditions, but when it was cultivated for 9 days, it did not show difference in contents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To sum up,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the light condition, but in order to use it as a sprout, the length of the shoot is inadequate to 1 cm, so after 6 dais of cultivation, when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after it was greened for 1,2,3 days and grown, the DPPH and ABTS showed higher activity and the phenol content was about 1.4 times higher than 3 days after 6 days of cultivation. The Flavonoid content was more excellent when cultivated for 3 days in light condition, but it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as it was 6562mgRUE/100g, which was cultivated for 6 days and was recorded for 1 day. Therefore, to produce high-quality sesame sprout, it is judged to be better to release after greening process after growing the length in dark condition, and it is considered additional nutritional studies should be done to use sesame seeds as sprouts vegetables. 본 연구는 참깨 새싹의 생육시기별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여 고품질의 참깨 새싹을 생산하기 위하여 명조건, 암조건에서 각각 3일, 6일, 9일 재배한 후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DD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DDPH는 200㎍/ml 농도에서 명조건 30.82%, 20.25%, 24.56%, 암조건 16.67%, 16.67%, 24.56%, ABTS는 50㎍/ml의 농도에서 명조건 27.27%, 23.86%, 22.56%, 암조건 14.60%, 25.64%, 27.10%로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암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은 명조건에서 6일 재배하였을 때 8355.56mgGAE/100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광조건 및 재배일수에 관계없이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7058mgRUE/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내었으며, 광조건에 관계없이 9일 재배하였을 때는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종합해서 살펴보면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새싹으로 이용하기에는 길이생장이 1cm내외로 부적합하여 6일 재배 후 각각 1일, 2일, 3일 녹화 처리하여 길이생장 시킨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6일 재배 후 3일 녹화 처리하였을 때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보다 DPPH, ABTS에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페놀함량 또한 약 1.4배 높게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가 더 우수하였으나 6일 재배 후 1일 녹화처리 하였을 때 6562mgRUE/100g 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따라서 고품질의 참깨 새싹을 생산하고자 할 경우 암조건에서 길이생장 후 녹화처리를 통하여 출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참깨를 새싹채소로 이용하기 위한 영양학적인 추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죽단화(Kerria japonica f. pleniflora (Witte) Rehder)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세포 활성

        이효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화장품법 개정 변경에 따라 기능성 화장품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죽단화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하기 위해서 항산화 활성 및 세포 활성 연구를 진행하였다. 항산화 실험으로서 DPPH, ABTS, NO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으며, 항산화 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polyphenol과 flavonoid 농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은 각 추출 조건마다 진행하였으며, flavonoid, DPPH, ABTS, NO radical 소거능실험에서는 ethanol 70%로 추출한 결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polyphenol은 ethanol 60%에서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이 결과를 통해 죽단화 추출물은 ethanol 70%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 판단하였다. 해당 추출물과 ascorbic acid의 항산화능을 비교한 결과 DPPH에서는 ascorbic acid에 비해 약 40%, ABTS는 약 60%, NO라디칼에서는 약 5%의 소거능을 보였다. 세포실험으로서 B16F10를 이용한 미백효과 측정과 RAW 264.7을 이용한 항염효과 측정을 실시하였다. 양쪽 모두 실험에 사용된 농도에서 약 80% 이상의 세포생존율을 보여 세포독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도에 비례해서 항염효과 및 미백효과가 나타났으므로 이를 통하여 본 추출물은 항염, 미백 소재로써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어 기능성 화장품소재로 사용하는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With the recent revision of the Cosmetics Act, the scope of functional cosmetics is expanding, and interest in natural functional cosmetics using various natural extracts is increasing. In this study, antioxidant activity and cell activity experiments of Kerria japonica f. pleniflora (Witte) Rehder extract were conducted for its utilization as an ingredient for functional cosmetics. For antioxidant experiments, DPPH, ABTS, and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measured, and polyphenol and flavonoid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concentration of antioxidants.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for each extraction condition, and in flavonoid, DPPH, ABTS, and NO radical scavenging activity experiments, extract concentration was the highest with 70% ethanol, and polyphenol showed the highest concentration with 60% ethanol.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most appropriate condition to extract the Kerria japonica f. pleniflora (Witte) Rehder extract was with 70% ethanol. Whe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is extract and that of ascorbic acid was compared, DPPH showed about 40% scavenging activity compared to ascorbic acid, ABTS about 60%, and NO radical about 5%. For cell experiments, measurement for the whitening effect using B16F10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 using RAW 264.7 was performed. Both showed a cell viability of more than 80% at the concentration used in the experiment, indicating no cytotoxicity while showing proportional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s to the concentration. This finding supports that the proposed extract can be an appropriate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material, and suggests that it be adopted as a functional cosmetics ingredient.

      • 외식업체 종사원의 자기개발욕구가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이효진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재의 외식산업은 첨단 정보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4차 산업혁명 등을 통한 기술개발 영향이 직 간접적으로 매우 크게 작용하고 있으며, 규모의 증대와 더불어 인력 집약적이면서 인적 구성이 다양화 되고 있다. 치열한 경쟁 환경에서 각각의 업체들은 사업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고, 다양한 환경과 험난한 상황에서도 충분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발전지향적인 인재를 필요로 하고 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상대적 저임금과 장시간의 근무와 불규칙한 교대근무, 높은 노동 강도와 감정노동요구 등으로 인한 잦은 이직과 부족한 교육 훈련으로 외식사업체의 발전에 이바지 할 수 있는 인재가 매우 부족한 환경에 처해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속에서 업체의 근무환경과 조건 외에 외식업체의 발전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간 개개인의 다른 특성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인간의 기본욕구가운데 가장 높은 차원의 욕구는 자아실현의 욕구인데, 자아실현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자기개발 욕구의 차이에 따라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외식업체 종사원의 자기개발 욕구가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지역에 근무 중인 외식업 종사원으로 모집단을 선정하였고, 2018년 10월 15일부터 11월 4일까지 총 21일간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20부 배부되었고,287부의 설문지를 회수 하여, 불성실한 설문지를 제외하여 281부의 자료를 SPSS 22.0을 사용하여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식업체 종사원의 자기개발욕구는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유의한 정(+)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개발 욕구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개발욕구, 조직적 개발욕구, 전문적 개발욕구 모두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에 높은 유의한 정(+)의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외식업체의 채용 담당자 혹은 인사담당자가 조직 구성원의 자기개발을 독려하고, 여건을 조성해준다면, 종사원의 더욱 높은 조직몰입 및 직무성과를 낼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초등 생태철학교육을 위한 그림책 활용 방안 연구

        이효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초등 생태철학교육은 기초적인 철학적 사고능력 배양을 토대로 철학함을 통해 학생들이 생태적 가치관의 기본 바탕을 비판적으로 형성하도록 하는 교육이다. 이 교육은 생태중심주의의 이념 아래 학생들로 하여금 철학함을 통해, 인간중심주의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비인간을 포함한 타자를 배려할 수 있는 생태적 가치관을 학생 스스로 형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본 연구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이러한 초등 생태철학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 교육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철학함을, 교재로 그림책을 제안하고 있다. 즉,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생태철학교육을 위한 그림책 활용 방안을 구안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설정한 연구 질문은 첫째, 초등 생태철학교육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림책을 선정하는 기준은 어떠할 수 있으며, 그 기준을 활용하여 그림책을 분석한 결과는 무엇인지, 둘째, 그림책 분석 결과 실제로 확인할 수 있는 그림책의 초등 생태철학교육 교재로서 가능성은 무엇인지, 셋째, 초등 생태철학교육 교재로서 그림책의 활용 방안은 어떠할 수 있는지에 대한 것이다. 위의 질문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자는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고, 12권의 그림책을 선정하여 내용분석법으로 그 그림책들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은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추출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이루어졌고 8명의 전문가가 분석틀을 검토하였다. 그림책 분석은 글과 그림의 의미단위를 분석 단위로 하여 이루어졌고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생태철학교육의 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그림책을 선정하는 기준은 크게 문학작품으로서 그림책 분석 기준, 생태철학적 분석 기준, 교육적 고려 세 영역으로 나뉜다. 그리고 각 기준은 다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기준들을 가진다. 첫째 기준은 적절한 스토리와 적절한 그림으로 이루어지며, 둘째 기준은 생태학 지식, 기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사고, 새로운 인식, 교화 탈피를 위해 쟁점과 딜레마 제시로 구성된다. 마지막으로 셋째 기준은 적절한 어휘와 문장을 의미한다. 둘째, 초등 생태철학교육의 교재로서 그림책은 다음과 같은 가능성을 갖는다. 그림책은 다양한 생태철학적 주제나 쟁점 및 이와 관련된 철학적 질문을 내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상호관련성과 연관된 생태학 지식도 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그림책은 글과 그림의 상호작용을 통해 철학함의 가장 핵심인 ‘당연한 것에 의문 가지기’를 충분히 유발하며 하나의 그림책에서 생태철학의 여러 학습주제를 도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분석 대상으로 선별한 그림책 중 거의 대부분이 작가의 주제를 간접적으로 드러내며, 어떠한 교훈도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않는다. 즉, 대체적으로 교훈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고 의문형 등의 열린 결말로 이야기를 끝냄으로써 독자의 사고를 자극한다. 이에 덧붙여 그림책의 판타지적 요소는 현실을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게 하여 대안 탐색을 돕는다. 그러므로 그림책은 학생들의 철학적 사고를 자극할 수 있는 교재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 셋째, 그림책 활용 방향에 있어서는 우선, 그림책이 인간중심주의와 같이 평소 사람들이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유발하므로 의문으로 시작하는 철학함의 도입 부분에 그림책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 그리고 그림책 활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철학함을 구성하는 교사와 학생 사이의 발문에 있어, 교사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학생 스스로 사고하고 인식 과정을 구조화하는 것을 돕는 조력자이므로 이에 걸맞은 교사의 발문이 필요하다. 즉, 교사는 학생의 발문에 뒤이은 질문들을 통해 학생들이 개념이나 쟁점을 명확히 이해하도록 돕고, 자신의 주장에 대한 합리적 근거를 밝히도록 하며, 새로운 대안의 폭을 확대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학생들의 오개념을 바로잡는 것도 조력자로서 중요한 할 일이다. 다음으로 철학함을 익히는 것은 학생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기르기 위한 것이므로 교사는 학생 스스로 대답하도록 유도하고 기다려야 한다. 분석 대상이었던 그림책도 이에 걸맞게 거의 대부분이 간접적으로 작가의 주장을 드러내며, 어떠한 교훈도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않는다. 넷째, 위와 같은 활용 방향을 적용한 활용 예시안을 제시하여 그림책 활용의 가능성을 보이고자 하였다. 이 예시안은 2~3개의 하위주제를 갖는 4개의 상위주제로 구성된 학습주제, 이에 적절한 그림책, 교사 지도자료 그리고 활용상의 전략과 제시 가능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그 가능성을 더욱 구체적으로 보이고자 한 차시 분량의 교수학습 과정안도 예시하였다. 철학함을 중심으로 하였을 때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생태철학교육은 가능한 것이며, 그들이 앞으로 생태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이 교육이 필요하다. 그리고 그림책은 초등 생태철학교육의 가능성을 높여주는 효과적인 교재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초등 생태철학교육의 개념과 목표 등의 윤곽을 탐색하고 그림책을 활용한 교육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 그림책을 활용한 보육정보센터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에 관한 실행연구

        이효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실행연구를 통해 영아 부모에게 적합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실행방안을 찾고, 실행과정을 통한 부모의 변화 및 반응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영아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하고, 그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데 그 의의가 있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그림책을 활용한 보육정보센터 영아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방안은 무엇인가? 2. 그림책을 활용한 보육정보센터 영아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 부모교육 담당자의 반응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시에 위치한 보육정보센터 내 부모교육 강좌에서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은 강좌에 참여한 부모 9명과 부모교육 담당자들이다. 연구 기간은 2012년 10월부터 2013년 5월까지이며, 연구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3개월 간 주 1회, 총 12회에 걸쳐 실행되었다. 연구 과정은 보육정보센터 영아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어려움을 인식하는데서 출발하여, 체계적인 프로그램 구성방향 모색, 프로그램 개발,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2차 방안모색, 2차 실행, 1, 2차 실행 평가 순으로 진행하였다.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서는 기존에 이루어진 그림책을 활용한 다양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평가 및 수정하여 계획하였고, 이에 대한 전문가의 검토를 받았다. 실행에 따른 결과를 알아보고자 강좌를 녹음 및 전사하였으며, 이와 함께 연구자가 약기노트를 작성하여 현장노트를 만들었다. 또한 강의계획안, 사진자료, 보육정보센터 부모교육 담당자 면담, 참여 부모 면담, 연구자 저널 등을 수집하고 이를 범주화하여 연구문제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보육정보센터 영아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기존에 실시하고 있는 보육정보센터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분석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다. 또 부모들의 다양한 요구를 수용하고, 기본적인 양육 태도를 변화 시킬 수 있는 중장기적인 영아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관련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이에 1차 실행에서는 그림책이라는 부모-영아 모두에게 의미 있는 교육매체를 가지고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구성, 실시하였다. 부모교육의 목표를 일차적으로 부모의 인식 변화에 두고 부모를 위한 그림책 읽어주기 시간을 포함하였으며, 부모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토의 및 워크숍 등의 방법을 충분히 계획하였다. 또한 부모들의 요구 내용을 검토하여 강의 내용에 포함하여, 결과적으로 부모들이 영아 발달을 지원할 수 있도록 계획하였다. 1차 실행 결과 부모를 인식 변화의 주체로 두고 실시한 체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들의 양육에 대한 관심과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강의에서 알게 된 이론적 지식은 즉각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점에서 영아와 함께 하는 시간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강의가 진행되는 동안 부모와 떨어져 있어야하는 영아의 분리불안에 대한 완화노력도 필요하였다. 또한 부모들의 개별 영아의 특성에 대한 질의응답, 강의 자료 공유에 대한 요구도 있었다. 2차 실행에서는 체계적인 영아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 실행에 이어, 1차 실행의 평가를 반영한 부모-영아가 함께 하는 그림책 놀이 시간을 포함하였다. 또 영아의 분리불안을 완화하기 위한 인적ㆍ물적 지원을 추가하였다. 강의 후에는 그림책과 영아발달에 관한 주제별 자료를 배포하여 부모의 그림책 활동에의 참여를 높였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보육정보센터 영아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의 반응을 살펴보면, 그림책의 가치에 대한 재인식, 다양한 그림책 활동에 대한 관심 및 참여의 향상, 자녀 양육에 대한 태도 변화, 부모 간 교류의 활성화, 지속적인 참여에 대한 자발적 의지, 공동체 양육에 대한 지원 요청 등으로 나타났다. 부모교육 담당자들은 그림책을 활용한 영아 부모교육 방법에 대한 이해, 부모-영아가 함께 하는 활동 운영에 대한 인식 향상 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보육정보센터 영아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한편, 구체적인 운영방안을 제시해 주었다는 데에 시사점을 가진다. 본 연구가 향후 보육정보센터 영아대상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thesis reports qualified research on efficient operating methods of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parents using picture book as well as the observed behavioral changes of the parents and the educator. The widely used conventional methods are lack of continuity because they are typically based on the short-term one-time lectures. Therefore, a long-term education program which can improve parents' raising attitudes and adapt to the parents' feedback is required. In this research, we adapted our program to parents' needs in advance, utilized discussion and workshop to raise parents' involvement to the program, and read picture books to parents to recognize values of picture books. Through these methods, we improved, ran, and analyzed the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to support infant's developments based on their acquire knowledge during program. The result of the first application shows that the parents' interests and maternal efficacy on raising infants increased, but parents could not exercise the acquired knowledge during lecture at sight and the educator could not adapt the program to the individual infant's character. Therefore, the observed efficiency of the program was insufficient. Although the program increased the parents' active participation for continuous effects of the program sustainability, the lack of supporting materials for parents' self motivated learning by repetition after the program reduced the efficiency. In the second application, the inefficiency problem of the first action is improved by adding parent-infant coupled picture book play to the program which allows the educator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infant's character for adaptive program operation and provides the parents a chance to exercise the acquired knowledge at site. The potential separation anxiety during the paly is suppressed through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After the lectures, by distributing topical supporting materials for infant's development, we increased parents' participation in picture book play and thus program's sustainability. By applying the this research to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we could observe positive changes such as increment of parents' value on the picture book as well as their interests and participations on picture book play, parents' self-motivation for sustainable participation, and active request for support on community raising. We also observed that educators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on education for infants' parents using picture book play and they raised the values on parent-infant coupled play. The contribution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1) We pointed that efficient operating methods of education program for infants' parents are required; 2) We proposed the detailed operating methods for the program.

      •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이효진 동신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누구나 자기 발전을 이루고 자신의 잠재력을 끌어내고자 하는 자아실현의 욕구가 있으며, 우리는 이 욕구를 실현하기 위하여 진로결정이라는 과정 속에서 끊임없이 갈등하며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 하지만 오늘날 많은 대학생들은 진로결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한 다양한 부적응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수준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광주·전남지역에 거주하는 대학생 355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은 적응적인 전략과 부적응적인 전략으로 나누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측정도구는 내현적 자기애 척도, 진로미결정 척도,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척도를 사용하였다. 각 연구 변인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Baron과 Kenny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진로미결정 간의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내현적 자기애와 적응적인 전략은 부적 상관을, 부적응적인 전략은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부분매개효과가 유의했다. 적응적인 전략은 부적 매개효과를 보였고, 부적응적인 전략은 정적 매개효과를 보였다. 내현적 자기애가 높을수록 적응적인 전략을 적게 사용하거나 부적응적인 전략을 많이 사용하여, 진로미결정 수준이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대 사회의 흐름 안에서 점차 보편화되고 있는 내현적 자기애와 진로미결정의 높은 관련성을 밝혀낸 점에 의의가 있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이 어떠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밝혀낸 것으로, 인지 치료적 개입을 통한 진로결정 수준의 변화 가능성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변인 수준을 측정하였는데, 내현적 자기애 성향의 특성상 사회적 바람직성을 함께 측정하고 통제하는 방식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광주와 전남권 지역의 대학생인 집단을 대상으로 하여, 이를 일반화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다양한 집단으로 구성한 포괄적인 대상으로 선정하여 임상집단에까지 일반화시킬 수 있는지 확인이 필요하다. All men have a desire for self-realization to develop themselves and educe their potentials, and to satisfy this desire, we constantly experience conflicts and make progress in the progress of career decision. Many college students have difficulty in making better decisions for their future careers these days, but they show various maladaptive aspects at the same time. Thus, this study aims to seek an appropriate method to increase the level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s. As research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355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and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career indecision. This study divide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into adaptive strategies and maladaptive strategies, and used Covert Narcissism Scale, Career Indecision Scale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y Scale as main measurement tools. Most of all,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and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through Baron and Kenny’s Hierarchical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covert narcissism,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and career indecision. Particularly, covert narcissism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adaptive strategie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maladaptive strategies, and there wa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career indecision. Secondly, on the correlation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career indecision,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had significant partial mediating effect. Specifically, adaptive strategies showed negative mediating effect, while maladaptive strategies showed positive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the more covert narcissism college students had, the fewer adaptive strategies and more maladaptive strategies they used, further increasing the level of career indeci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as this study measured the level of research subjects’ variables through a self-report survey, further studies should measure and control social desirability in college students due to the feature of covert narcissism. Secondly, as this study selected a group of college students from Gwangju City and Jeonnam Province only, it had a limitation in generalization. Therefore, further studies should select more various groups of college students from other areas as research subjects and find it out to generalize them even as clinical groups.

      • 제브라피쉬 배아에서의 유기 염소계 살충제 물질의 개별 및 복합물에 의한 미토콘드리아 기능 장애

        이효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 are known to cause fertility reduction, nervous system demage, and endocrine disorder. The OCPs, prohibited in the 1970s, still being detected in human and environmental samples. The toxicological studies for mitochondrial dysfunction are limited on individual OCPs and their mixtures which could reflect actual exposure condition. The effects of mitochondrial disorder were evaluated in dechorinated zebrafish embryos exposed to individual 5 OCPs (i.e., p,p-DDT, Chlordane, Heptachlor, Hexachlorobenzene (HCB), and beta-hexachlorocyclohexane (beta-HCH)), and their mixtures. Target chemicals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biomonitoring data of POPs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in human blood samples. The developmental toxicity testing was performed to decide concentrations for following analyses, the concentrations determined were 0.05, 0.1, and 0.5 mg/L. Oxygen consumption rate (OCR) was measured using Seahorse XFe Extracellular Flux Analyzer at 24 hpf. In addition, mRNA expression of transcription factors (i.e., PPAR-alpha, Acox1, SDHA, MCAD, and CS), associated with mitochondrial metabolism, was measured at 72 hpf. In OCR results, the amount of the basal respiration and ATP production significantly decreased at 0.5 mg/L of chlordane and Beta-HCH. Mitochodnrial capacity reduced at lower concentration of OCPs in embryos exposed to mixture, than exposed to individual OCPs. In the result of mRNA gene expression, exposure to DDT and chlordane significantly up-regulated the level of Cs and MCAD, associated with citrate synthase and fatty acid beta-oxidation, respectively. The expression of SDHA gene, involved in the TCA cycle and respiratory chain, increased at 0.05 and 0.1 mg/L of Heptachlor and Chlordane, respectively. However, the expression of SDHA reduced at mixed OCPs concentration of 0.05 and 0.5 mg/L.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dividual OCPs and their mixtures have the potentials in mitochondrial dysfunction. Furthermore, mitochondrial dysfunction measured by OCR was observed at lower concentration in embryos exposed to mixture, than exposed to individual, although the changes in gene expression were disappeared when OCPs mixtures were exposed. This study could suggest the efficient utilization of embryonic zebrafish model for evaluating metabolic effects of target chemical. Further studies will be followed for measuring the activity of the mitochondrial complex protein and estimating the dys-regulation of glucose uptake. 유기 염소계 살충제 (Organochlorine pesticides, OCPs)는 생식능 저하, 비정상적인 호르몬 대사, 신경계 손상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있는 난분해성 물질이다. 1970년도에 이미 사용과 제조가 금지되었는데도 불구하고 여전히 생체 및 환경시료에서 검출되고 있다. 기존의 미토콘드리아 대사 기능을 분석한 독성 연구들은 실험 대상물질의 개별적인 영향을 분석한 경우가 많고, 복합물 의 영향을 분석한 연구결과는 아직도 많이 부족하다. 실제 환경에서는 대부분 복합물 형태로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실제 노출 조건인 복합물 형태의 노출 영향을 평가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제브라피쉬 배아 모델을 활용하여 복합물 노출에 의한 대사의 장애영향을 확인하고, 개별물질과 비교평가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 대상물질은 일반 인구 집단의 혈액에서 분석된 OCPs 농도 결과를 바탕으로, 농도와 검출률이 높은 p,p-DDT, Chlordane, Hexachlorobenzene (HCB), Beta-Hexacyclohexance (Beta-HCH), 그리고 Hetachlor로 총 5개 물질을 선정하였다. 개별 및 혼합물 노출에 의한 제브라피쉬 배아독성결과를 고려하여 0.05, 0.1, 그리고 0.5 mg/L를 미토콘드리아의 대사영향을 분석할 때 적용할 농도 값으로 설정하였다. 대상물질은 분석 시 모두 6 hpf (hours post fertilization)에서 노출시켰다. Seahorse XFe Extracellular flux analyzer 분석장비를 사용하여 24 hpf의 배아에서 산소소비량을 측정하고, 미토콘드리아의 활성 (activity)과 조절 능력을 평가하였다. 미토콘드리아의 대사 조절 및 베타 산화과정 (β-Oxidation)과 관련된 유전자 (PPAR-alpha, Acox1, SDHA, MCAD, 그리고 Cs)의 발현수준을 72 hpf에서 추출된 DNA로 분석하여 전사인자상의 영향을 파악하였다. 산소소비량을 측정한 결과, Chlorodane의 0.5 mg/L에서 기초 호흡 (Basal repiration)과 ATP 생산(production) 능력이 유의하게 감소 (p-value< 0.05)하였고, Beta-HCH의 0.5 mg/L에서 basal respiration의 유의한 감소가 나타났다. 또한 복합물의 0.05과 0.1 mg/L에서 기초호흡량과 ATP 생산, 최대 호흡량이 저해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OCPs 노출된 그룹은 대부분 대조군에 비해 산소소비량이 감소하였다. 또한 OCPs에 노출된 배아에서 각각의 유전자 발현수준을 비교한 결과, DDT와 Chlordane에서 모두 MCAD와 Cs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SDHA 유전자는 Chlordane의 0.1 mg/L과 Heptachlor의 0.05 mg/L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리고 복합물에 노출된 배아에서는 0.05와 0.5 mg/L에서 SDHA 유전자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OCPs의 개별 및 복합물에 노출이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의 활성과 미토콘드리아의 대사 조절에 장애 영향을 일으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토콘드리아의 대사 기능을 제브라피쉬 배아모델을 활용하여 충분히 평가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에는 미토콘드리아 Complex 기능 분석과 당 섭취능 평가를 진행하여 OCPs 물질이 대사 장애를 일으키는 기전을 연구하고자 한다.

      •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인지구조 분석 : 단어연상검사(WAT) 적용

        이효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핵심개념을 추출하고 단어연상검사를 실시하여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개념들이 어떻게, 얼마나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지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분수의 나눗셈 문제해결 능력의 수준에 따라 학생들의 인지구조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이해하고 분수의 나눗셈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개념에 대한 이해는 어떠한가? 나.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개념 사이의 자동성 획득은 어떠한가? 다.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개념들의 연결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6학년 학생들의 분수의 나눗셈 문제해결 능력을 우수, 보통, 기초학생별로 구분해줄 분수의 나눗셈 문제해결 검사지와 인지구조를 분석할 단어연상검사지를 개발하였다. 각각의 검사지는 이론적 배경을 근거로 개발되었으며 전문가 검토와 더불어 본 검사 대상과 비슷한 수준의 6학년 1개 반을 선정하여 예비검사를 실시함으로써 두 종류 검사지의 적절성 및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본 검사는 강원도 6학년 학생 480명을 대상으로 두 종류의 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분수의 나눗셈 문제해결 검사지를 채점하여 기초 미만 학생을 제외하고 우수, 보통, 기초학생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단어연상검사지는 우수, 보통, 기초 학생집단 별로 채점하여 불성의한 답변으로 채점이 불가능한 검사지를 제외하였다. 최종 선정된 334명의 단어연상검사 자료를 통해 6학년 학생들의 분수의 나눗셈 문제해결 능력 수준에 따라 인지구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대부분의 개념에서 우수, 보통, 기초학생 집단으로 갈수록 관련된 한 개의 특정 개념으로만 치우쳐서 이해하고 있어서 연상기울기가 가팔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본 연구에서 핵심개념으로 제시되지 않았으며 교과서에 제시되지 않는 개념인 역수가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다른 개념들과 관련지어 연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우수, 보통, 기초학생 집단으로 갈수록 개념 주위의 집단적인 정보인 청크가 나타나는 단계가 낮아짐에 따라 청크의 자동성이 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기초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연상 빈도수는 우수나 보통학생들보다 적었지만 관련성 계수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은 것을 통해 기초학생들이 문제해결에 어려움을 겪는 이유가 개념 간의 자동성 획득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최종인지구조에서 우수와 보통학생들에 비하여 기초학생들의 연결수가 현저히 적은 것을 통해 보통학생들이 우수학생이 될 가능성보다 기초학생이 보통이나 우수학생이 될 가능성이 더 낮음을 알 수 있었다. 여섯째, 연구에서 기대했던 개념 간의 연결 중 자연수와 단위분수, 분수의 나눗셈과 분수의 뺄셈, 분수의 나눗셈과 통분, 분수의 나눗셈과 공배수의 연결은 모든 집단에서 관찰할 수 없었으며 보통학생 집단에서는 공약수와 약분의 연결을 관찰할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학생들의 인지구조를 바탕으로 분수의 나눗셈에 관한 학생들의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 총 8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가. 다양한 개념의 동시 활성화 지도 우수, 보통, 기초학생 집단으로 갈수록 관련된 한 개의 특정 개념으로만 치우쳐서 이해하고 있어서 연상기울기가 가팔라졌다. 따라서 다양한 개념이 동시 활성화 될 수 있도록 지도함으로써 연상기울기를 평평하게 나타나도록 해야 한다. 나. 기초학생은 분수의 뺄셈으로부터 분수의 나눗셈 학습 기초학생은 분수의 뺄셈의 해법이 분수의 나눗셈 해법과 관련된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따라서 기초학생들의 부진아 지도 시, 분수의 나눗셈을 단순 알고리즘 연습이 아닌 분수의 뺄셈으로부터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 기초학생에게 공약수, 공배수, 단위분수 개념을 선험지식과 연결하여 지도 우수 및 보통학생들은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핵심개념 12가지가 모두 인지구조에 제시되었지만 기초학생들은 공약수, 공배수, 단위분수가 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기초학생들의 인지지구조 속 개념과 관련지어 공약수, 공배수, 단위분수 개념을 지도해야 한다. 라. 보통과 기초학생에게 분수의 연산에서 약분과 통분을 넘어 공약수와 공배수까지 연결하여 지도 기초학생은 공약수, 공배수 개념이 인지구조에 제시되지 않았고, 보통학생은 제시되었더라도 엉뚱한 개념과 연결되어 있었다. 따라서 보통과 기초학생들이 분수의 연산에서 약분과 통분을 할 때 공약수, 공배수 개념과 관련지어 함께 학습하게 함으로써 관련 개념이 바르게 청크화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 개념간의 연결뿐만 아니라 연결강도 살피기 개념의 연결빈도수가 높다고 연결강도가 높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따라서 개념 간의 연결이 이루어졌는지 뿐만 아니라 어떤 개념이 어떤 순서로 연결되어 있는지 살핌으로써 연결강도를 높여야 한다. 바. 기초학생들의 인지구조 상에서 연결강도가 높은 연결에 대한 자동화 유도 기초학생들의 개념 사이의 연상 빈도수는 우수나 보통학생들보다 적었지만 관련성 계수 측면에서는 큰 차이가 나지 않았다. 따라서 연결강도가 높은 연결들이 자동성이 획득되도록 지도해야 한다. 사. 분수의 나눗셈과 분수의 뺄셈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지도 기초학생은 물론이고 보통과 우수학생들도 분수의 나눗셈과 관련된 청크와 분수의 뺄셈과 관련된 청크가 연결되지 못하였다. 따라서 분수의 뺄셈과 분수의 나눗셈을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두 청크가 연결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아. 청크 내에서 개념 간의 연결강도가 균형을 이루도록 지도 우수와 보통 학생들은 분수의 뺄셈, 통분, 공배수가 바르게 청크화되어 있었지만 우수학생들은 분수의 뺄셈과 통분, 통분과 공배수의 관련성 계수 차이가 0.216인데 비하여 보통학생들은 0.441로 차이가 더 많이 나타났다. 따라서 청크 내에서 개념간의 연결강도가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한다. 학습자가 느끼는 어려움의 정도에 대한 이해는 인지구조에 대한 이해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정현주, 2000). 다양한 수학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어려움을 구조적으로 분석하는 인지구조 연구에 본 연구가 밑거름이 되길 기대한다.

      •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이해를 위한 "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DAP-C)검사"의 구성과 현장 적용

        이효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발달장애를 가진 아동 ‧ 청소년을 치료자가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 ‘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Draw A Person with Circle)검사’를 구성하고 그것을 현장 적용한 경험을 나타내었다. 이에, 문헌 연구와 예비 연구를 통해 장애 아동·청소년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 ‘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DAP-C)검사’의 형식과 실시 지침을 구성하였다. ‘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DAP-C)검사’는 12색 색연필과 두 장의 종이를 사용하며, 한 장은 백지, 나머지 한 장은 지름 7cm의 동그라미 자극이 상단에 위치한 자극그림이 있다. 그림검사의 실시는 먼저 백지 그림을 비스듬히 제시하고 ‘사람을 그려주세요’라고 지시하며, 그림을 그리고 나면 첫 번째 그림을 제거하고 두 번째 그림을 제시하며 마찬가지로 지시한다. 그림을 다 그리고 나면 피검자의 검사 상황에서의 행동과 태도를 먼저‘행동 및 태도 평가 척도’를 사용하여 채점하며, 이후 그림의 내용을 보고 세부 내용척도와 형식 척도를 채점한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336명의 발달 장애 아동 · 청소년에게‘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DAP-C)검사’를 실시하여 내용을 분석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과 C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또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평가자간 신뢰도와 평가자내 신뢰도를 구하였다. 다음으로 ‘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DAP-C)검사’를 실시하고 치료에 적용한 6명의 재활치료사를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심층 면담을 통해 도출된 치료사의 경험은 6가지 주제와 31가지 의미있는 진술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검사’의 평가 항목은 세부 내용 척도 6문항, 형식척도 5문항, 행동 및 태도 관찰척도 4개 영역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문항 분석을 실시하여 형식 척도의 문항과 행동 및 태도 관찰 척도의 기술 통계치와 문항 분포는 양호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또, 형식 척도와 행동 및 태도 관찰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형식척도의 Cronbach’s α는 0.88이고 문항간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상관계수 범위가 .371~.846로 나타나 형식척도를 구성하는 문항들은 안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행동 및 태도 관찰 척도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값을 이용하여 각 문항간의 일치성을 분석한 결과 .60이상으로 신뢰도가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하위 요인들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고, 상관계수 범위는 .323~.816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와 교육 현장에서 발달장애 아동 · 청소년과 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현장 전문가 6인을 심층 면담하여 ‘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DAP-C)검사’를 실시한 후 치료 현장에서 적용한 경험이 어떠한가를 살펴 보았다. 그 결과 경험은 6가지 주제와 31가지 의미있는 진술로 도출되었으며, 여섯가지 주제는 ‘무료한 두드림의 연속’, ‘그들만의 반짝이는 모래알’,‘틈새에서 찾아낸 시작점’,‘함께 만들어가는 하모니’,‘앞으로 필요한 수많은 요구들’,‘어제와 다른 오늘’이었다. 이들은 발달장애 아동 · 청소년의 치료과정에서 소통의 어려움과 무능감, 혼란스러움을 느끼며, 답답함을 경험하였다. 그러면서도 ‘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DAP-C)검사’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이 보이는 작은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표준화된 검사에서 알 수 없었던 중증 발달장애 아동·청소년들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이 같은 작은 정보를 통해 치료에 적용 시킬 수 있는 기초선을 찾을 수 있었으며, 여러 치료를 받는 발달 장애 아동·청소년의 치료에서 각 영역의 치료사들이 쉽게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다양한 영역의 재활치료사가 함께 사용함으로써 통합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다양한 치료 적용 방식이 필요하다고 하였으며, 이 검사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시간적인 발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음이 유용하다고 표현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발달장애 아동·청소년의 이해의 도구로 위한 ‘동그라미 자극 사람 그림(DAP-C)검사’의 구성은 치료사가 그들의 이해를 위한 도구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제까지 등한시 되었던 중증 장애아동·청소년을 대상으로 적용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