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참깨(Sesamum indicum L.) 새싹의 생육시기별 항산화 활성

        이효진 경북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have identified anti-oxidant functionality of sesame sprout, and to produce high-quality sesame sprout, anti-oxidant activity was assessed after being cultivated in light condition and dark condition, respectively, three days, six days and nine days. The activity of DDPH,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have increased as concentration-dependent, and in 200㎍/ml concentration, the DDPH light condition was 30.82%, 20.25%, 24.56%, dark condition was 16.67%, 16.67%, 24.56%, and in 50㎍/ml concentration, the ABTS light condition was 27.27%, 23.86%, 22.56%, dark condition was 14.60%, 25.64%, 27.10%, so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light condition, it was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cultivated for 3 days in dark condition. Total phenol contents were highest at 8355.56mgGAE/100g when grown for 6 days under light conditions, but it did not show difference in contents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and number of days of cultivation. Total flavonoid content was highest at 7058mgRUE/100g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light conditions, but when it was cultivated for 9 days, it did not show difference in contents regardless of light condition. To sum up,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the highest when cultivated for 3 days under the light condition, but in order to use it as a sprout, the length of the shoot is inadequate to 1 cm, so after 6 dais of cultivation, when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after it was greened for 1,2,3 days and grown, the DPPH and ABTS showed higher activity and the phenol content was about 1.4 times higher than 3 days after 6 days of cultivation. The Flavonoid content was more excellent when cultivated for 3 days in light condition, but it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as it was 6562mgRUE/100g, which was cultivated for 6 days and was recorded for 1 day. Therefore, to produce high-quality sesame sprout, it is judged to be better to release after greening process after growing the length in dark condition, and it is considered additional nutritional studies should be done to use sesame seeds as sprouts vegetables. 본 연구는 참깨 새싹의 생육시기별 항산화 기능성을 구명하여 고품질의 참깨 새싹을 생산하기 위하여 명조건, 암조건에서 각각 3일, 6일, 9일 재배한 후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였다. DDPH,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DDPH는 200㎍/ml 농도에서 명조건 30.82%, 20.25%, 24.56%, 암조건 16.67%, 16.67%, 24.56%, ABTS는 50㎍/ml의 농도에서 명조건 27.27%, 23.86%, 22.56%, 암조건 14.60%, 25.64%, 27.10%로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암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 페놀함량은 명조건에서 6일 재배하였을 때 8355.56mgGAE/100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광조건 및 재배일수에 관계없이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7058mgRUE/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내었으며, 광조건에 관계없이 9일 재배하였을 때는 함량의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종합해서 살펴보면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항산화 활성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새싹으로 이용하기에는 길이생장이 1cm내외로 부적합하여 6일 재배 후 각각 1일, 2일, 3일 녹화 처리하여 길이생장 시킨 후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6일 재배 후 3일 녹화 처리하였을 때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 보다 DPPH, ABTS에서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페놀함량 또한 약 1.4배 높게 나타났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명조건에서 3일 재배하였을 때가 더 우수하였으나 6일 재배 후 1일 녹화처리 하였을 때 6562mgRUE/100g 으로 큰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따라서 고품질의 참깨 새싹을 생산하고자 할 경우 암조건에서 길이생장 후 녹화처리를 통하여 출하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며 참깨를 새싹채소로 이용하기 위한 영양학적인 추가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을 중심으로 본 문장제 유형 및 제시 순서에 관한 연구

        이효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is necessary to compose the problems of the mathematics textbook in order to lead students' analogical problem solving well through relationship between problems of the types which are vario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velopment of one example and equivalent, isomorphic, similar problems of that example for students to be helped in analogical problem solving based on similarity between problems. Following study questions are set up for the above purpose. 1. Analyze the word problem in the 'applicaton of a linear equation'. 1-1. What are the word problem types based on the similarity? 1-2. What are the subject matters of the word problems? 2. Develop the word problems of the 'application of a linear equ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briefed as follows. First, the case which is a similar problem is most, and then unrelated problem, an equivalent problem afterwords and the case which is an isomorphic problem is few. Second, the result of classifying subject matter of the word problems, the case which is density problem is most and the case which is distance problem afterwords. Third, I developed word problems of density, distance, money and work subject matters. 어떤 새로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예전에 풀었던 비슷한 문제를 생각해내고 그 해결 방법을 새로운 문제에 맞게 변화시켜 해결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이 때 사용되는 추론이 유추이다(이종희, 2003). 다시 말해서, 유추적 문제해결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이전의 경험 혹은 지식에 해당하는 근원 문제와 새로운 문제 상황에 해당하는 표적 문제 간에 어떤 공통적인 요소, 즉 유사성이 존재하고 이를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Gentner, 1989). 이 때 (근원, 표적)문제 간에 존재하는 유사성은 표면 유사성과 구조 유사성으로 구분되는데, Reed(1987)는 이 표면 유사성과 구조 유사성의 관계를 바탕으로 대수 문장제의 경우에 대하여 (근원, 표적)문제 유형을 동치, 동형, 유사 그리고 무관한 문제로 구분하였다. 대수 문장제 해결에 있어서 학생들이 동형 문제와 유사 문제 해결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이종희, 김진화, 김선희(2003), Reed, Dempster & Ettinger(1985), 박현정(2006)의 선행 연구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리고 대부분의 교과서에서 예제 다음에 문제가 제시되고, 예제의 풀이가 문제의 해결에 도움이 되는 역할을 하고 있으나, 일차방정식의 활용에서는 예제를 풀어도 문제를 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예제와 문제가 어떤 유사성을 전제로 하느냐에 따르는 문제로, 동치 문제인 경우라면 학생들이 문제를 쉽게 해결할 것이고, 새로운 문제를 접하게 되더라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므로 동형, 유사 문제도 같이 제시될 필요가 있다. 이 때, 문장제 유형의 제시 순서도 학생들의 유추적 문제해결에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수 문장제로 이루어진 중학교 1학년 수학에서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을 선정하여서, 문제들 사이의 유사성에 따른 유추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소재별로 하나의 근원 문제와 무관한 문제를 제외한 동치, 동형, 유사 문제를 개발하여서, 이 순서대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 문제 1. <수학 7-가> 단계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의 문장제를 분석한다. 1-1. 유사성을 근거로 한 문장제 유형은 무엇인가? 1-2. 문장제의 소재는 무엇인가? 연구 문제 2. <수학 7-가> 단계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의 문장제를 개발한다. 연구 문제 1-1은 16종의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의 135개 문장제의 (근원, 표적)문제 80쌍에 대해서, Reed(1987)가 유사성을 바탕으로 동치, 동형, 유사, 무관한 문제로 구분한 것을 근거로 빈도수와 비율(%)을 알아보았다. 연구 문제 1-2는 16종의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의 135개 문장제에 대해서 소재를 근거로 빈도수와 비율(%)을 알아보았다. 연구 문제 2는 설문지를 통하여 36명의 수학 전문가로부터 개발한 문장제의 적절성에 대한 의견을 얻어서 개발한 문장제를 수정·보완 하였고, 이렇게 완성된 결과물을 10명의 학생에게 적용해 보았다. 이 중 2명은 네 가지 소재의 문제를 모두 풀었고, 8명은 한 가지 소재의 문제만을 풀었다. 연구 문제 1-1의 결과의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16종의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에서 근원 문제와 표적 문제의 문장제 유형을 살펴본 결과, 근원 문제와 표적 문제의 문장제 유형이 유사 문제, 무관한 문제, 동치 문제, 동형 문제 순으로 많았다. 그리고 하나의 근원 문제에 대해서 동치, 동형, 유사 문제를 표적 문제로 모두 제시하는 교과서는 하나도 없었고, 여러 개의 표적 문제가 제시되더라도 대부분이 같은 유형의 문제이거나 무관한 문제가 포함되어 있었다. 따라서 학생들이 수학 교과서의 예제를 해결한 후,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할 때, 어려워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대부분이 예제와 유사한 문제이거나 무관한 문제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문제 1-2의 결과의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16종의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의 문장제를 소재를 근거로 분석해 본 결과, 농도 문제가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거리-속력-시간, 돈, 수, 분배, 나이, 비율, 개수 세기, 물탱크, 일 문제 등의 순이었다. 그리고 각 교과서마다 적게는 2개에서 많게는 7개의 소재를 다루고 있으며, 보통 3-4개의 소재를 다루고 있었다. 농도 문제(예, 소금물 농도)인 경우, 소금물에 물을 첨가시키는 내용이 가장 많았고, 소금물에 소금을 넣는 내용은 가장 적었다. 거리-속력-시간 문제인 경우, (거리)=(속력)(시간)을 (시간)=로 변형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가장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총 걸린 시간에 대한 문제가 가장 많았다. 위의 결과에서 소재가 농도와 거리-속력-시간인 경우, 교과서에 공식을 변형해서 해결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문제들이 나란히 모두 제시되어 있지 않아서 아쉬웠다. 연구 문제 2의 결과의 요약 및 논의는 다음과 같다. 문장제 개발 관점과 구성 방향을 고려하여 16종의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소재(농도, 거리-속력-시간, 돈)와 가장 적게 다루고 있는 소재(일)에 대해서 문장제를 개발하였다. 특히 소재가 농도와 거리-속력-시간인 경우, 세분화한 내용에 따라서 유사 문제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문장제를 교과서 형식으로 구성하여서 36명의 수학 전문가(교사, 대학원생)에게 개발한 총 21개의 문장제 중 17개의 표적 문제가 연구자가 원하는 유형의 문제(동치, 동형, 유사 문제)로서 적절한지를 설문지를 통해서 물었다. 설문한 것을 근거로 문제 5와 문제 6-를 다시 개발하였다. 이렇게 해서 완성된 결과물을 10명의 학생에게 적용해 본 결과, 그들은 본 연구에서 개발한 문장제의 결과물에 대해서 유추적 문제해결 능력을 보였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문장제를 개발할 때, 동형 문제 개발이 가장 어려웠다. 그래서 각 교과서에 동형 문제가 가정 적게 제시되어 있는 것 같다. 설문지를 통해서 개발한 문장제의 적절성 여부를 물었을 때, 동형 문제의 적절성 여부를 응답하기가 어렵다는 의견이 많이 나온 것도 같은 맥락일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맥락이 다른 동형 문제의 구조가 예제의 구조와 같다는 것을 파악하는데 어려워했는데, 이것은 Novick(1988)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종희, 김진화, 김선희(2003)의 선행 연구를 통해서 학생들은 특히 동형 문제와 유사 문제를 해결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교과서의 문제가 예제와 유사 문제인 경우는 많았지만 동형 문제인 경우는 거의 없어서 학생들이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접할 수 있도록 신경 쓸 필요가 있을 것 같다. 따라서 무관한 문제는 연습 문제에서 다루고, 나머지 세 가지 유형의 문제를 모두 제시하는 것이 문제들 사이의 유사성에 따른 유추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둘째, 소금물에 소금을 넣는 문제가 없는 교과서가 더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따라서 학생들이 접할 기회가 많지 않아서 김선희(2004), 박정아, 신현용(2005)의 연구에서처럼 이러한 형태의 문제를 어려워하는 결과가 나오는 것 같다. 그리고 각 교과서마다 보통 3-4개의 소재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도 개발하는 문장제의 소재를 각 교과서에서 가장 많이 다루고 있는 소재인 '농도, 거리-속력-시간, 돈'과 가장 적게 다루고 있는 소재인 '일', 이렇게 네 개의 소재를 선정하였다. 셋째, 수학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설문 결과로부터, 개발한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의 문장제가 유형이 다양하고, 특히 공식의 다양한 사용 측면에서 학생들의 응용력과 적용력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또한 실제로 학생들에게 개발한 문장제의 결과물을 적용해 본 결과, 본 연구에서처럼 예제, 동치, 동형, 유사 문제의 순으로 제시하는 것이 유추적 문제해결에 도움이 되는 한 가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후속 연구에서는 문장제로 구성되어 있는 <수학 8-가> 단계의 '연립방정식의 활용', '연립부등식의 활용', '연립일차방정식의 활용', '일차함수의 활용' 단원과 <수학 9-가> 단계의 '이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에 대해서도 같은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중학교 1, 2, 3학년에서 많이 다루어지는 문장제 유형의 흐름을 알 수 있어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둘째, '일차방정식의 활용' 단원에서 동형 문제는 거의 없었는데, 학생들이 교과서를 통해서 다양한 유형의 문제를 접할 수 있도록 교과서 개발자들이 이 단원의 문장제를 개발할 때 동형 문제를 많이 만들 필요가 있는 것 같다. 셋째, 교사들은 이 단원의 수업을 할 때, 예제 문제와 그 문제의 동치, 동형, 유사 문제를 한꺼번에 다룰 수 있도록 교과서의 문제들을 새롭게 구성하는 것이 학생들의 유추적 문제해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다양체적 보이드를 적용한 외부공간 계획연구 : 홍익문화공원을 중심으로

        이효진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도시는 도시의 고밀화, 환경악화, 커뮤니티의 변질과 단절로 이어지게 되었고 그것들이 하나의 도시이미지를 만들어가고 있다. 도시공간에서 건축의 형태와 크기가 커지면서 가로 공간, 공원과 같은 비워진 공간이 위축되었다. 고밀화 되고 확장된 도시일수록 도시 공간 안에서 소통 가능한 비워진 공간의 필요성이 점점 더 강조될 것이다. 도시공간에서 주택의 마당과 같은 성격을 갖게 되는 도심 속 외부공간은 도시민의 만남과 행사, 다양한 사회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는 공간이다. 이에 본 연구는 그 지역의 문화와 상황을 고려한 소통의 역할을 할 수 있는 비워진 공간을 디자인 하는 것이 목적이다. 그리고 이 비워진 공간을 통해 단절된 고밀도의 공간과의 연계를 시도해 보고자 한다. 본 계획안은 건축가의 해석으로 도심 속의 외부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을 목적이고 다차원적인 보이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그 지역에 필요하거나 맞는 건축적 프로그램과 그와 연계된 내부의 공간과 외부의 공간의 연결과 통합이 이루어지는 새로운 도심 속의 외부공간을 제안하고자 한다.

      • 핸드볼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선수의 성취목표성향 및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효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satisfactory athletic career and the best performance of handball players through analyzing the effect of coach’s leadership types that players recognize on achievement objective and satisfaction.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a part of nonprobability sampling, was used with the survey on 350 Korean handball players as a population. 345 surveys were collected, but 337 surveys were selected after excluding missing questions. The data was analyzed wi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verification, t-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by SPSS 22.0 and AMOS 22.0. The results are followed. First, according to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gender, female handball players recognized coach’s training and instruction higher. And male players recognize coach’s instruction behavior more. In terms of achievement objectives orientation, male players had higher scores of proficiency approach,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evasion than female players.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sport satisfaction, male player’s scores were higher. Second,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achievement level significantly affected all subfactors of leadership types. Regular college players showed significantly low score distribution on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players. Regular college players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rather than middle and high school players in case of authoritarian behavior.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achievement in achievement objective orientation in terms of a proficiency approach factor indicated that regular college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lower score distribution tha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proficient avoidance factor, high school players had significantly lower score distribution than middle school and regular college students. In the performance avoidance factor, regular college students had higher score distribution than high school students. About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player’s satisfaction depending on achievement in the factors of sport satisfaction and social approval, regular college students have significantly lower scores than middle, high school students. The environmental satisfaction factor was ranged high to low from high school, middle school, and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Third, all subfactors of coach’s leadership type by performance level showed significance. In terms of training, instruction behavior, democratic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key players showed significantly high score distribution. In the factor of authoritarian behavior, substitute player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 score distribution. In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the subfactors of achievement objective orientation by performance level, proficiency approach factor shows significantly high score distribution for major players rather than for substitute playe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the proficiency avoidance, performance approach, performance avoidance factors. In the difference verification of player’s satisfaction by performance level, key players showed higher score distribution in the handball satisfaction and social approval facto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in environmental satisfaction. Fourth,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 of coach’s leadership factors that players recognize on achievement objective orientation. The results represented that proficiency approach was affected by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In terms of the proficiency avoidance factor, positive compensation behavior and authoritarian behavior affected the achievement objective orientation. Social support behavior and authoritarian behavior gave influence to the performance approach and performance avoidance factors. Fifth, in the effect of leadership type on player’s satisfaction, democratic behavior affected handball satisfaction.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and democratic behavior affected social approval. Training and instruction behavior and democratic behavior affected environmental satisfaction. Therefore, the leadership type of handball coaches affects player’s achievement objective orientation and sport satisfactio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how much players are affected by coach’s leadership in order to make best performance. 이 연구는 핸드볼 선수가 인식하는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이 성취목표 및 운동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여 핸드볼 선수들의 최상의 경기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내 핸드볼 선수들을 모집단으로 비확률적 표집방법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t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한 설문지 345부는 연구의 목적과 의도를 벗어나거나 불성실하거나 누락된 답변으로 판단되는 8개의 자료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37명의 설문지를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토출하기 위해 SPSS 22.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을 실시하여 독립표본 t-검증, 분산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여자 핸드볼 선수들은 지도자의 훈련과 지시행동을 더 높게 인식하고 있다. 남자선수는 전제적 지도행동을 더 높이 인식하고 있다. 성취목표성향에서는 남자선수들의 숙달접근, 수행접근, 수행회피 점수가 여자선수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운동 만족의 차이검증 결과 남자선수들의 핸드볼 만족요인 점수가 더 높았다. 둘째, 학력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핸드볼 선수들은 지도자의 리더십 유형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행동에서는 대학일반 선수들이 중등, 고등선수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전제적 행동 요인에서는 대학 일반 선수들이 중등, 고등 선수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분포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의 차이검증 결과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에서 숙달접근요인에서는 대학 일반 선수들이 중등, 고등 선수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분포를 나타냈으며, 숙달회피요인에서는 고등학교 선수들이 중학교, 대학일반 선수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 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수행회피요인에서는 대학일반선수들이 고등선수들에 비해 높은 점수분포를 나타내고 있었다. 학력에 따른 선수만족의 차이검증결과 핸드볼 만족요인과 사회적 승인 요인에서 대학일반 선수들이 중등, 고등 선수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점수 분포를 보이고 있으며, 환경만족요인에서는 고등, 중등, 대학일반의 순으로 점수분포가 나타났다. 셋째, 경기력 수준에 따른 지도자 리더십 유형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사회적지지 행동, 긍정적 보상행동에서는 주전선수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분포를 보였으며, 전제적 행동요인에서는 후보 선수들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분포를 보이고 있다. 경기력 수준에 따른 성취목표성향의 하위요인간의 차이 검증에서는 숙달접근요인에서 주전선수들이 후보 선수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분포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요인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경기력 수준에 따른 선수만족의 차이검증결과 핸드볼 만족과 사회적승인 요인에서 주전선수들이 후보 선수들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환경만족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넷째, 핸드볼 선수들이 인식하는 지도자 리더십요인이 성취목표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은 숙달접근에는 훈련과 지시행동, 사회적 지지행동, 긍정적 보상내용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회피요인에는 긍정적 보상행동과 전제적 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접근과 수행회피요인에서는 사회적 지지지행동, 전제적 행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리더십 유형이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핸드볼 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민주적 행동이었으며, 사회적 승인에 미치는 영향은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 이었으며, 환경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훈련과 지시행동, 민주적 행동이었다. 여섯째 성취목표성향이 선수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숙달접근요인은 선수만족의 핸드볼 만족, 사회적요인, 환경만족 모든 요인에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점근요인은 환경만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검색서비스의 사용성 평가를 통한 개선방안 연구

        이효진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Web-bas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deserves further highlights at the current point where a majority of the population use the Internet. In this situation, archives need to provide web-based archival information service of high usability designed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user needs. Despite this need,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pointed out that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 ha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usability aspect due to unkind interface, inconvenient search functions, and low user satisfaction. Previous studies targeted only professional staff members of archive management or employed only limited methods such as an interview or a survey to investigate the usability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 This study thus set out to analyze the usability of search service at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 in usability assessment with various user groups as well as expert evaluation and propose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findings. In the study, literature research was first conducted to check interface and usability as important indexes to assess user experiences. Since interface was an element having direct impacts on usability, a focus was placed on interface in assessment. Of the usability evaluation indexes, findability also received a focus to figure out that content, search, help and support were important parts in the indexes. Based on previous studies, it was confirmed that usability could be measured in three aspects of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ith methods to measure it explored. Second, heuristic evaluation, one of expert evaluations for interface usability, was carried out to assess the degree of conformity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 to the principles of usability. As a result, a very serious problem was discovered that Match between system and the real world of these principles recorded the lowest usability, being followed by Error prevention, Aesthetic and minimalistic design, Help and documentation, Visibility of system status, User control and freedom, Consistency and standards, Recognition rather than recall, Flexibility and efficiency of use, and Help user with errors in the order. And thirdly, usabi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various groups of users. Data was collected across the entire evaluation process according to efficiency,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hich are the criteria of usability assessment in ISO 9241-11(2018) to perform a quantitative evaluat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total 22 including ten common people capable of using the web, six web/app developers, and six college students specializing in archive management. A survey, 5-second test, and search tasks were carried out in the order. In the survey, the participants’ background factors were examined including a major and its knowledge to understand their effects on web usability. The evaluation results reveal that the participants’ familiarity with various search interfaces was more favorable in the effectiveness of website usability than their computer mastery. In the 5-second test, the components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s main pages were examined in recognition rates and recognition accuracy rates. In the usability assessment, integrated searches, which were recognized accurately by the biggest number of participants, also recorded high usability in the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of other finding aids. Carrying out search task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asked to use each finding aid to search records. The outcomes show that their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creased according to familiar interfaces and that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rose according to help provided. In content searches, effectiveness, efficiency, and satisfaction all recorded a low level due to different interfaces by the content and lack of term unif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proposed a couple of improvement measures including familiar web interfaces and search functions to users, expansion of help supports, and consistent web interfaces. First, it is important to provide users with universal interfaces and search functions. Users improve in their search efficiency according to familiar interfaces, which raises a need to implement the same interfaces as commercial integrated search sites and improve search functions. SEO can also be applied to increase the traffic of natural inflows into a website. Next, the study proposed to expand the supports of help. The group that checked help first improved in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which raises a need to design an interface that will make an easy access to help, offer easy explanations about professional archival terms, and reinforce instructions by the finding aid. It is also a good idea to provide education on how to use help. Finally,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onsistent web interface. It is needed to provide content designs of different concepts in a consistent manner and offer names of finding aid menus and archival terms in a unified way so that users can have access to predictable and easily workable interfaces. The present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assessed the usability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s search service and proposed a set of improvement measures by conducting an observation investigation with an actual search process and gathering and analyzing data with common users as well as expert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may serve as basic data to improve the usability of search service at National Archives of Korea website or those of other archives. 웹을 기반으로 하는 기록정보서비스는 대다수의 국민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는 현 시점에서 그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록관에서는 이용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설계된 사용성이 높은 웹 기반 기록정보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선행연구에서 국가기록원 웹사이트가 인터페이스의 불친절함, 검색기능의 불편함, 낮은 이용자 만족도 등 사용성 측면에서 부족하다는 사실이 지적되어 왔다. 또한 기존 연구들도 기록물관리 전문요원만을 조사대상으로 하거나 실험이 아닌 설문조사로만 연구를 진행하는 등 제한적인 방법으로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사용성을 조사해 왔다. 이에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검색서비스의 사용성을 전문가 평가와 다양한 그룹의 이용자 대상 사용성 평가를 통해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문헌연구를 통해 이용자 경험 평가지표에서 인터페이스와 사용성이 주요한 지표임을 확인하였다. 인터페이스는 사용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므로 인터페이스를 중점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사용성 평가지표 중에서 검색성에 초점을 맞추어 콘텐츠, 검색, 도움말 및 지원이 사용성 평가지표로 중요한 부분임을 파악하였다. 더불어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사용성을 효율성, 효과성, 만족도의 세 가지 측면에서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인터페이스 사용성 전문가 평가 중 하나인 휴리스틱 평가를 통해 국가기록원 웹사이트가 사용성 원칙에 부합하는 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사용성 원칙 가운데 정확성, 실수방지, 심미성, 이해성, 가시성, 만족성, 일관성, 직관성, 신속성, 에러대처 순으로 사용성이 낮다는 의미인 심각도가 높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셋째, 다양한 그룹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ISO 9241-11(2018) 사용성 평가기준인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를 기준으로 조사 과정 전반의 데이터를 수집해 정량적인 평가를 진행하였다. 조사 참여자는 웹을 사용할 수 있는 일반인 10명, 웹/앱 개발자 6명, 기록관리학 전공 대학생 6명으로 총 22명이었으며, 설문조사, 5초테스트, 검색과업 수행 순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을 통해 웹 사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참여자의 직업, 전공지식 등 배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참여자의 컴퓨터 활용도보다 다양한 검색 인터페이스에 친숙한 것이 웹사이트 사용성의 효과성 측면에서 더 유리하였다. 5초테스트를 통해 국가기록원 메인 페이지 구성요소들의 인지율과 인지정확률을 확인하였으며, 가장 많은 참여자들이 정확하게 인지했던 통합검색의 경우 사용성 조사 결과에서도 다른 검색도구에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 부분에서 모두 높은 사용성을 보여주었다. 검색 과업 수행은 조사 참여자들에게 각 검색도구를 이용해 기록물을 검색하도록 했으며, 이를 통해 친숙한 인터페이스일수록 효과성과 효율성이 높아지고, 도움말 제공에 따라 효과성과 만족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콘텐츠 검색에서는 콘텐츠 별로 인터페이스가 다르고 용어도 통일되지 않아 효과성, 효율성, 만족도가 모두 낮음을 확인하였다. 개선사항으로 이용자에게 익숙한 인터페이스와 검색기능의 제공, 도움말 지원의 확대, 일관성 있는 웹 인터페이스 제공을 제안한다. 먼저, 이용자들에게 범용적인 웹 인터페이스와 검색기능을 제공하여야 한다. 이용자들은 익숙한 인터페이스일수록 검색 효율성이 향상되므로, 상업적인 통합검색 사이트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 검색기능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웹사이트로의 자연 유입 트래픽을 늘릴 수 있는 SEO를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움말 지원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도움말을 먼저 확인한 그룹은 효과성과 만족도가 향상되었다. 따라서, 도움말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구성해야 하며, 전문적인 기록 용어에 대한 쉬운 설명과 검색도구별 이용안내를 보강하여야 한다. 이용교육을 제공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관성 있는 웹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서로 다른 컨셉의 콘텐츠 디자인을 일관성 있게 설계하고, 검색도구 메뉴의 이름, 기록 용어 등을 통일성 있게 제공하여, 이용자들이 예측할 수 있고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공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가기록원 웹사이트 검색서비스에 대해 전문가 분석과 더불어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실제 검색과정을 관찰 조사하고, 데이터 수집과 분석을 통해 사용성 평가 및 개선사항을 도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가기록원 및 타 기록관 웹사이트의 검색서비스 사용성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규제정책변동 요인에 관한 연구 : 이동전화 단말기 보조금 사례를 중심으로

        이효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examined why and through what kinds of processes regulatory policies that affect individuals and markets are chang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main factors and policy processes that cause these changes to produce better regulations in the future. It analyzed the main factors behind and the paths by which policy changes occur or do not occu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policy beliefs and interests, and policy brokers. Particularly, it was conducted by empirically and normativey analyzing policy brokers that the government usually conducts to determine how the government can produce better regulations. This study analyzed mobile handset subsidy regulations which are unique to Ko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various other types of regulatory policy changes, such as introduction of regulations, the tightening of regulations, deregulation, and reregulation. This study modified and combined regulatory policy and policy change theories, namely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Policy Streams Framework, Punctuated Equlilibrium Theory and the model explaining why economic policy reversals occur(Hood, 1994) and presented a new analysis model. The results were as fellows. First, the mobile handset subsidy regulation was stable due to policy inertia, negative feedback, policy broker's non-decision making and passive strategy. However, policy changes were triggered by the policy's self-destruction, politics stream, and other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The policy then went through distinct periods of regulatory politics : introduction of the regulation(Period Ⅰ) which was marked by client politics, tightening of the regulation(Period Ⅱ) which was marked by entrepreneurial politics, abolishing the regulation(Period Ⅲ) which was made by majoritarian politics, and reintroduction of the regulation (Period Ⅳ) which was marked by entrepreneurial politics and interest group politics. A punctuated policy change occurred due to the influence of the macro-political forces, the arrival of a new policy idea, and a change of policy broker' roles. Strong institutional constraints, like a sunset clause in the law, also contributed to the change. The factors of incremental policy change were negative feedback, conflicts of interest between advocacy coalitions, and policy brokers. The policy monopoly could not be changed because policy competition and interaction remained in the policy subsystem. From a long-term perspective, policy-oriented learning was the main factor driving the policy change. Second, policy beliefs played a different role than interests. Policy beliefs played a major role in making a punctuated policy change by introducing a new policy idea, whereas interests affected changes in secondary beliefs. In addition, actors prioritized policy beliefs and interests differently. Mobile carriers and handset makers prioritized their interests and used policy beliefs as a pretext to justify their interests, namely interests-driven policy beliefs. Consumer organizations and policy brokers prioritized policy beliefs over interests. Third, policy brokers were mainly conducted by the government in Korea. Policy brokers were either active, neutral, or passive according to the external environment, coalition conflicts, and motives for policy change intervention, and took various strategic actions accordingly. Active policy brokers did not necessarily bring about punctuated policy changes. Under sunset provisions, passive policy broker who allowed the law to lapse contributed to the punctuated policy change. However, regulatory politics and the role of policy brokers were strongly related and there were four different types : client politics-neutral, entrepreneurial politics-active, majoritarian politics-passive, and interest group politics-passive or neutral. Fourth, policy brokers in Korea became more influenced by politics, rent-seeking by interest groups, self-interest, and a lack of information and resources as society became pluralized and the bureaucracy politicized. As a results, there were many constraints on policy broker being a explorer for public value. Under these circumstances, when policy brokers pursued public value actively, policy brokers were more desirable for making the better regulations. In order to ensure that policy brokers engage in desirable behaviors and do not act simple public servants who obey the law, policy accountability must be enhanced and regulators' professional expertise must be developed. Fifth, the regulatory policy change examined in this study was not a process of creating perfect regulations, but rather a process of making a less imperfect alternative by the swing of the pendulum between regulation and deregulation. The equilibrium point of regulation did not reflect the interests of actors and interest groups in a balanced manner. The interests of mobile carriers were over represented because they were able to engage in rent seeking and regulatory capture given their resources and sophisticated strategies, leaving the interests of disadvantaged consumers underrepresented. The regulation continues to reflect this imbalance, although it has became improved slightly as consumer groups have increased their efforts to get their policy beliefs reflected in regulations. These findings have four major implications. First, in order for the government to effectively achieve punctuated policy changes, it should make efforts to create new policy ideas and to generate strong macropolitical support. Sunset clauses can help achieve punctuated policy changes, but complementary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avoid regulatory vacuum.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efforts to understand regulated entities' real interests rather than superficial policy beliefs. In order to avoid the capture, reasonable measures, such as cost-benefit analyses based on objective data, should be taken. Third, policy brokers need to internalize public value and enhance regulatory expertise to become more desirable for the better regulation. More efforts should be made not only at the individual level but also the organizational and political levels. Policy borkers should be given more responsibility, allowing them to create strategic visions and search for public value in effective ways rather than just obeying statutes.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s should assess policy brokers' goal setting capacity. Policy brokers should be permitted to make policy decisions conscientiously that are subject to democratic accountability. Fourth, systemic methods that guarantee equal-access to policy change processes should be developed to ensure that various groups' interests are refecleted in regulations in a balanced manner. Futhermore, government officials should collect the opinions of underrepresented groups actively and make conscious efforts to determine the needs of silent majorities. This study provided a new understanding of mobile handset subsidy regulations from a long term and continuous perspective. This study also conducted an indepth analysis of the terms "interests" and "policy broker" which have not been discussed in earnest in the policy change theories. Futhermore, this study presented a new framework for explaining regulatory policy changes by combining regulatory policy and policy change theories. 이 연구는 개인과 시장에 영향이 큰 규제정책이 왜, 어떤 과정을 통해 변동을 하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연구의 목적은 변동요인들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좋은 규제로의 변동에 대한 함의를 얻기 위함이다. 세부적으로는 단절적·점진적 변동과 안정의 주요요인과 경로, 정책신념과 이해관계의 관계, 정책중개자의 역할 등을 분석한다. 특히, 규제정책을 담당하는 정책중개자에 대해 규범적 논의를 통해 좋은 규제를 만들기 위한 정부의 역할에 대한 방향성도 얻고자 한다. 경제적 규제를 대상으로 하며 단말기 보조금 규제정책 사례를 분석한다. 이 사례는 한국에 특수한 규제로서 규제도입, 폐지, 재도입 등 다양한 규제정책변동을 고찰할 수 있다. 규제정책이론과 주요 정책변동이론 결합하여 새로운 분석틀을 마련하고 규제도입-강화-소멸-재도입의 네시기로 구분하여 정책변동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말기 보조금 규제정책은 정책관성과 부정적 환류기제, 정책중개자의 무의사결정 등 소극적 역할로 정책안정을 유지하였다. 그러나 정책유산, 정치적 흐름 등 외부환경에 의해 촉발되어 정책변동과정을 거치게 되며, 각 시기별로 다른 규제정치유형을 보였다. 규제도입기는 고객정치유형, 규제강화기는 기업가적 정치유형, 규제소멸기는 대중적 정치유형, 그리고 규제재도입기에는 기업가적 정치유형과 이익집단 정치유형이었다. 단절적 변동과 점진적 변동을 가져오는 요인은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단절적 변동은 정권교체, 대통령의 관심 등 거시 정치체제와 연계, 새로운 정책아이디어의 출현, 정책중개자의 역할이 결합하면서 일어났다. 일몰과 같은 강력한 법적 제약도 단절적 변동의 요인이었다. 반면, 점진적 변동의 요인은 부정적 환류기제, 옹호연합간 이해갈등, 정책중개자이며 정책경쟁이 정책하위체제내에만 머물러 있어 적극형 정책중개자도 정책독점을 전환시킬 수 없었다. 둘째, 정책신념은 새로운 정책아이디어를 통해 단절적 변동을 일으키는 역할을 하는 반면, 이해관계는 주로 이차적 신념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등 역할에 차이가 있었다. 또한 행위자별로 정책신념과 이해관계간 비중이 달랐다. 이동전화사업자 등 기업은 이해관계가 우선이며 정책신념은 이해관계의 명분으로 활용되는 이익기반 정책신념(interest driven policy belief)이었다. 반면 소비자단체나 시민단체, 정책중개자는 조직권한 확대 등 이해관계도 있지만 공익 등 정책신념을 우선시 하였다. 셋째, 관료주도적 정책유산을 가진 우리나라에서 정책중개자는 주로 주무부처가 수행하였으며, 외부환경, 정책경쟁상황, 개입동기에 따라 적극형, 중립형, 소극형 등 다양한 역할과 전략적 행위를 통해 정책변동에 영향을 미쳤다. 다만, 정책중개자의 역할과 정책변동유형과의 관계는 적극형-단절적 변동, 소극형-점진적 변동과 같이 단선적이지 않았다. 일몰과 같은 강한 법적제약에서는 소극형이 단절적 변동을 가져왔다. 그러나 정책중개자의 역할은 규제정치유형과 연관성이 높았다. 고객정치-중립형, 기업가적 정치-적극형, 대중적 정치-소극형, 이익집단 정치-소극형 또는 중립형으로 관련이 있었다. 다만, 이익집단 정치유형(규제재도입기 등)에서 정책중개자가 설득과 협상 등 적극적 역할로 정책변동을 이끌어내는 등 상호관계가 기속적이지는 않았다. 넷째, 정책중개자는 다원화와 관료제의 정치화로 정치적 영향력, 이익집단의 지대추구행위, 조직의 이해관계, 정보 부족에 노출되어 공공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적절한 역할을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제약속에서도 적극형 정책중개자가 조직적 이해관계를 벗어나 공공가치를 추구할 때 가장 규범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중립형과 소극형은 정치적·법적 제약에 순응하는 공복(public servant) 역할에 그쳤다. 정책중개자가 좋은 규제로의 변동을 위해 규범적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윤리적 측면과 규제역량을 제고시킬 필요가 있다. 다섯째, 규제정책변동은 완전한 규제가 아니라 진자운동을 통해 보다 덜 불완전한 대안을 만드는 과정이었다. 규제의 균형점에는 행위자들의 이해관계가 균등하게 반영되지 않았으며, 자원과 전략에 우위에 있는 이동전화사업자와 단말기 제조업자는 지대추구행위 등을 통해 과대대표되고 열위에 있는 소비자단체, 시민단체 등은 과소대표되는 경향을 지속적으로 보였다. 이 연구가 우리나라의 규제정책변동에 대하여 갖는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부가 단절적 변동을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서는 새로운 정책아이디어 발굴과 거시정치체제의 지지를 획득하고 동원하는 노력이 강구되어야 한다. 또한, 일몰제와 같은 제도적 제약을 규제에 내재화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다만 일시에 전면적인 규제공백으로 인한 부작용에 대비하여 보완대책도 병행하여야 한다. 둘째, 기업 등 피규제자에 대해서는 표면적인 정책신념보다 내포된 이해관계 파악과 갈등조정에 정책적 역량을 더 집중하고 대안 마련시 객관적 자료에 근거한 비용-편익 분석 등 합리적 접근을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정책중개자의 규범적 역할을 제고하기위해 공공가치 내재화와 역량 강화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정책윤리로 확장하고, 교육훈련, 목표설정평가와 환류 활성화, 공익지향 조직문화, 민주적 책임하 자율성 보장 등이 이루어져 한다. 또한 이해관계자 갈등조정 능력 향상과 규제비용편익 분석 등 규제기획·평가 역량을 집중적으로 제고하여야한다. 넷째, 균형된 이해관계 반영을 위해 정책변동과정에 동등한 접근성을 보장하는 절차마련, 과소대표되는 행위자들에 대한 적극적 이해관계 수렴과 숨겨진 문제 발굴 등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끝으로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단말기 보조금 규제정책의 장기적 차원에서 조망하였고 경제적 규제의 도입-강화-소멸-재도입의 모든 유형을 고찰하였다는 측면에서 의의를 갖는다. 아울러 그동안 정책변동이론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지 못한 이해관계와 정책중개자의 역할과 전략을 체계적으로 다루고 규범적 논의도 진전시켜 연구의 설명력과 범위를 넓혔다는 의의도 있다. 또한 이 연구는 단편적인 측면만 보는 기존의 규제정책이론과 정책변동이론을 결합하여 규제정책변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한국적 상황을 접목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틀을 제시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 음악교과와 역사교과의 통합적 수업 교수·학습 과정안 연구 : 일제 강점기 시대 관련 <아리랑>을 중심으로

        이효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우리 사회는 하나의 분야, 학문의 전문성을 요구하는 것이 아닌 넓은 안목으로 넘쳐나는 지식과 정보를 분류할 수 있는 능력을 요구하고 있다. 사회에 발맞추어 학교의 교육도 변화하여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창의성을 토대로 다양한 영역에서 종합적인 안목을 가진 인재를 양성하는 교육을 지향하고 있다. 통합교육과정은 그러한 점에서 시대의 변화에 맞는 교육과정이 될 수 있고, 전인적 교육을 강조하는 측면에서도 부합하다. 음악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통합교육과정은 주요과목의 수업시수가 늘어나는 우리나라 교육의 추세에 바람직한 방향임을 인지할 수 있고, 음악교과와 같은 비주류 교과의 입지를 다질 수 있는 기회라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과와 역사교과의 통합적 수업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우리나라 민요인 <아리랑>은 오래전부터 음악교과서에 다루고 있는 주제이며, <아리랑>을 일제강점기 시대에 항일 음악으로 사용한 점을 다루어 음악교과와 역사교과에서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는 <아리랑>을 중심주제로 선택하였다. 통합적 수업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통합교육과정에 관한 문헌연구를 하여 통합교육과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정의 및 필요성과 유형을 이론적으로 다루었다. 통합교육과정의 유형중에서는 제시할 교수·학습 과정안에 적합한 포가티(Fogaty)의 유형을 중점으로 제시하였다. 본론에서는 주제인 <아리랑>을 다루기전에 시대적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일제강점기를 1910년대, 1920년대, 1930년대로 구분지어 역사교과의 관점을 연구하고, 일제강점기 시대에 아리랑을 다루었다. 그중에서도 밀양아리랑은 다른 아리랑과의 차이점으로 항일음악으로 쓰였다는 점을 중점으로 음악적 관점을 연구하였다. 최종적으로 음악교과와 역사교과를 분석한 내용으로 통합교육이론을 적용하여 총 3차시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수·학습 과정안은 교육과정의 재구성이 아니며, 음악교과 수업에서 통합교육을 할 경우 제시하는 방안이다. 제시한 음악교과와 역사교과의 통합적 수업 교수·학습 과정안이 음악교과의 통합수업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라며, 나아가 역사교과뿐만 아니라, 음악교과와 다양한 교과의 연계를 통하여 통합교육의 연구가 더 다양하고 활발해지기를 기대해본다. Today, our society demands not only the expertise of one academic field but also the ability to deal with var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with wide eyes. School education is also changing in response to the tendency of society. The revised curriculum in 2015 emphasizes "cultivating creative and integrated talent." In other words, it aims to cultivate talented individuals with comprehensive perspectives in various fields based on creativity. The integrated curriculum meets the changes of the times in this respect and also conforms to the aspect of a well-rounded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music education, the integrated education curriculum is thought to be a desirable direction in the pres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where the lesson hour of major subjects is increased. It can be said that it is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 position of the nonmainstream subject such as music.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teaching & learning course plan for an integrated class of music subject and history subject. Korean folk song <Arirang> has been handled in music textbooks for a long time. <Arirang> was chosen as the central theme of this study, since <Arirang> was used as anti-Japanese music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it is also commonly used in music subject and history subject. The definition, necessity, and type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were theoretically handled, before suggesting an integrated teaching & learning course plan. Among the types of an integrated curriculum, the type of Fogaty suitable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was suggested in priority. Before the theme of Arirang was discussed,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was divided into the 1910s, 1920s, and 1930s for the understanding about the background of the period, and it was studied from the point of view of history subject. Then Arirang was dealt with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bove all, it was studied in priority from the musical point of view that Milyiang Arirang is different from other Arirang and it is used as anti-Japanese music. Finally, the contents of the analysis on the music subject and the history subject were applied to the integrated education theory and a total of three times teaching & learning course plans were suggested. The teaching & learning course plan suggested in this study is not a reconstruction of the curriculum, but it is a plan suggested in case of integrated education for music class. The author hopes that th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course plan of music and history subjects suggested here will be helpful for the integrated education of music subject. In addition, the author expects that the research on integrated education will become more diverse and active through linking various subjects as well as history subject with music subject.

      • 로컬푸드직매장 소비자의 인식분석 : 완주로컬푸드 해피스테이션을 중심으로

        이효진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Recently, due to the global food the national small farms lose their footing. Consumers are threatened concerning healthy diet by unsafe food. Hence, through a relational consumption by the trust of producers and consumers, the local food movement containing the intent of helping one another began to gain popularity in South Korea. Especially, Farmers' local food direct sales starting in Wan-ju is being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However as some of direct sales were open without thorough preparations, the shops which do not have st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are increasing. S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the solutions to operate the direct sales sustainably. We will take a closer look the Happystation, one of the direct sales in Wan-ju, which has very stable operation and management. This paper also examined and analyzed the consumer’s recognition using the direct sales.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appystation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Happystation has organized many of small and middle size farms and then made them supply a variety of food items for the Happystation all year around. The second, the Happystation revitalized the processing of farmers and then had divers processing food to be sold in direct sales. The third, the Happystation is operating as a public type that is, it is operating as a cooperative association which all producers and staff members participate in. So incomes from selling food items go back to the most cooperative members. The last, the Happystation began to plan and promote various interchange programs with consumers such as the monitoring team and the rural communities experience tour program. A consumer recognition survey of the direct sales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216 people using the Happystation. Questionnaires consist of the frequency of consumer visits, utilization cost, comparisons in satisfaction with large discount stores, dietary changes after using direct sales, the effect social recognition has on satisfaction, and so on. The outcome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he first, consumers using direct sales has increased amount of intake of fresh vegetables, seasonal food and herbs, while they has reduced amount of intake of imported agricultural products, processed food and meat. The second, consumers who had used large discount stores before used most the direct sales. The third, consumers using direct sales put stress on freshness, safety, country of origin, flavor when they select agrifood, compared to consumers using large discount stores. The fourth, consumers are more satisfied with cost, freshness, safety, country of origin, when they bought agrifood in direct sales, not large discount stores. The fifth, after using a direct sales, the purchase cost of agrifood have more decreased compared to the purchase cost of agrifood in large discount stores. The sixth, after using a direct sales, the purchase cost of commodities have more decreased compared to the purchase cost of commodities in large discount stores. This resulted from ‘little and often purchase and so waste reduction’. The last, the outcome indicated that the extent of consumer social recognition has influence on the use of the direct sales. For the sake of operating the direct sales, therefor, it’s very important to organize farmhouse so that farmhouses can supply a variety of food items all year round, to operate the direct sales as a public type so that incomes go back to most cooperative members and to inform the intent of local food movement of consumers and raise the social recognition. Limitations on this study are that the subjects on the survey are confined to the consumers using local food direct sales. So for a more accurate understanding, it’s necessary to examine and survey various consumer groups

      • 한국어 학습 외국인의 유창성 특성

        이효진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언어권과 언어능력에 따른 한국어 학습 외국인의 구어, 읽기, 쓰기 속도와 오류 및 비유창성 빈도와 유형을 알아보았다. 언어권에 따른 구어, 읽기, 쓰기 속도와 오류 및 비유창성 유형의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구어, 읽기, 쓰기의 오류 및 비유창성 유형을 알아본 결과, 구어 비유창성 중 다음절단어반복/구반복에서 중국어와 영어권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능력에 따른 구어, 읽기, 쓰기 속도를 살펴 본 결과, 읽기 속도에서 초급과 중/고급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쓰기 속도에서 초급과 고급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간의 구어, 읽기, 쓰기 오류 및 비유창성 유형의 빈도를 살펴본 결과, 쓰기 오류빈도에서 초급과 고급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 간 구어, 읽기, 쓰기 오류 및 비유창성 유형을 비교한 결과, 읽기 비유창성 유형 중 구/다음절반복이 초급과 고급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났으며 쓰기 오류 중 대치에서 초급과 고급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언어권 및 언어능력에 따라 구어, 읽기, 쓰기유창성을 비교한 결과 한국어 학습 외국인의 유창성은 언어권보다 언어능력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고 언어능력이 높아짐에 따라 읽기와 쓰기 속도가 높아지며 쓰기 오류 빈도가 감소하며 읽기에서 구/다음절반복이 감소하고 쓰기에서 대치 오류가 감소하였다. 외국인의 삽입 및 다음절단어반복/구반복 유형은 외국인이 다음에 이어질 단어회상 및 단어 찾기의 어려움으로 생각해 내는 시간을 벌기 위한 전략적 차원에서 사용하는 것이며 읽기와 쓰기가 구어 보다 언어능력에 더욱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한국어 학습 외국인의 유창성 특성에 대한 본 연구결과가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 및 다문화가정 부모와 아동, 중도 입국자, 재외 동포 등의 의사소통 특성을 예측하고 그들의 전반적 의사소통 능력 및 유창성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by non-Koreans has increased.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language fluency characteristics of native Chinese and English speakers in relation to their native language and Korean proficiency level. Participants were evaluated for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rates, as well as for frequency of errors and speech disfluencies and types of errors and speech disfluencies. Results revealed that proficiency level has a stronger influence than native language on Korean learners’ fluency characteristics. Also of particular interest was the presence of interjection and repetition disfluencies for all proficiency levels during speaking tasks. The prevalence of these time-earning devices suggests that proficiency level has a stronger positive effect on reading and writing than on speaking. Looking forwar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can have predictive value for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learners, regardless of background, and can ultimately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effecting improvements in the general communication abilit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