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119 구급대원의 modified Emergency Severity Index 4(m-ESI 4) 적용 및 적절성 평가 : 부천지역소방서를 중심으로

        이효주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47

        목적: 소방 구급대원의 환자 중증도 분류는 현장 응급처치와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하는 판단 기준이 된다. 하지만 아직까지 병원 전 환자의 중증도 분류기준은 정확하게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그 기준의 범위가 넓고 세분화되어 있지 않아 구급대원이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 이에 본 저자는 현장에서 중증도를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는 방법으로 m-ESI 4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방법: 이 연구는 2011년 1월부터 10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천병원으로 119를 통해 이송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간 기존 2가지 중증도 분류 도구로 중증도 분류한 자료를 수집한 후 응급의학과 전문의의 중증도 분류와 비교하여 일치도를 조사함으로써 그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9월과 10월에는 부천시 관내 10개 119안전센터 1급 응급구조사를 대상으로 새 중증도 분류 도구(m-ESI 4)를 적용하고 타당성을 평가하였다. m-ESI 4에 대한 교육을 2회에 걸쳐 각각 약 한 시간 동안 실시한 후 구급대원들을 두 군(A군: Protocol 지급 군과 B군: Protocol 미지급 군)으로 나누어 9월 한달 동안 m-ESI 4를 이용한 중증도 분류법을 적용하였고, 10월에는 두 군을 바꾸어 다시 중증도 분류를 시행하였다. 이를 응급의학과 전문의에 의한 m-ESI 4평가와 비교해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기존 중증도 분류 적절성을 평가한 결과, 전문의와의 일치도는 각각 kappa 값 0.135, kappa 값 0.177이었다. 부천 소방서 1급 응급구조사 총 17명에게 m-ESI 4를 적용한 후 일치도는 9월 A군 kappa 값 0.225, B군 kappa 값 0.280이었고, 10월 A군 kappa 값 0.404, B군 kappa 값 0.234이었다. Undertriage 비율이 A 군에서 9월 29.3%에서 10월 14.0%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결론: 기존 도구나 m-ESI 4 모두 일치도가 0.5미만으로 낮아 병원 전 중증도 분류도구로서 m-ESI 4는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중증도 분류법에 대한 경험과 교육이 없었던 점을 감안하고, 본 m-ESI 4 protocol 지급 1개월 후 undertriage가 의미 있게 감소된 점을 본다면 효율적인 교육법을 적용하여 적용가능성을 다시 평가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

      • 상상력의 원형(原型) 개념을 적용한 청소년 공간의 장소성 연구(가스통 바슐라르의 공간의 시학 중심으로)

        이효주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시대는 주어진 환경 속에서 최대한의 효용을 이끌어 내는 것을 가치 있게 평가하는 것에 익숙하다. 이러한 관점은 인간과 자연의 본래적 아름다움에 집중하는 대신, 최대한 ‘사용’하게 하고, 고유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부품으로 환원시키는 결과를 낳게 한다. 이러한 닦달은 다음세대를 향한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보장된 미래라는 목표로 이루기 위해 그들의 시간과 노력이 무목적, 무효용에 헛되이 쓰이지 않도록 삶을 ‘닦달’ 하는 지혜를 배운다. 그러나 최대한의 합리성을 향한 전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행복하지 않다. 그들은 치열한 입시 경쟁 속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학교를 떠난 학교 밖 청소년들은 공교육의 테두리를 벗어났다는 이유로 많은 사회적 낙인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청소년들은 높은 부정적 심리상태와 우울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청소년들의 높은 게임 과몰입 수치와 낮은 행복감지수, 지난 9년간 청소년 사망원인의 1위가 자살이라는 가슴 아픈 통계가 청소년들의 심리적 현 상태를 보여주는 지표가 되고 있다. 끝까지 밀어붙인, 빈틈없이 구조 지어진 삶으로 하여금 청소년들은 정서적으로 피폐해지고 심리적으로 많은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최근의 많은 연구에서는 무효용의 쉼과 놀이가 아동·청소년의 정신과 신체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에 대하여 보고하며 ‘쉼의 문제’를 사회적으로 중요하게 다뤄야 한다고 보고한다. 무목적성의 쉼과 유희는 모든 아동·청소년들이 누려야 할 권리이자 21세기 핵심 역량을 연마하는 궁극의 수단이라고 주장한다. 청소년을 위한 쉼과 유희 공간의 긍정적 효과가 보고되며,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나, 기존의 청소년 시설은 유사하고 획일화된 환경으로 청소년들의 심리와 욕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지속적으로 제기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적으로 많은 압박과 어려움을 겪고 있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이 자신의 내면을 여유 있게 바라보고 긍정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돕는 청소년 공간의 장소성을 고찰 하고자 한다. 청소년들이 일상에 틈을 내어 쉼과 유희를 누리며 마음을 둘 수 있는, 장소의 애착의 의미를 가질 수 있는, 청소년 공간에 기대되는 적절한 자극과 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찾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하는데 연구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이론을 고찰하고 분석한 후, 현시대의 청소년 공간을 중심으로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공간 사례 대상은 청소년 공간 및 청소년의 이용을 주 목적으로 하는 공간으로 하였으며, 작품의 선정기준은 현시대의 공간을 조명하는 건축 어워드 에서 수상한 작품과 건축전문 매체와 전문가들이 우수 건축 사례로 주목한 작품을 중심으로 공간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자세한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청소년 공간을 살펴보기 위해 문헌과 연구보고서, 조사자료 등을 중심으로 청소년의 발달과정에 따른 심리적 특성 및 욕구와 현 상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둘째, 한 장소가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력과 상호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장소와 장소성의 대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장소성에 속한 개념인 장소감에 대해 고찰하고 궁극적으로는 장소감의 한부분이라고 할 수 있으며, 한 장소와 관계를 맺은 인간이 그 안에서 뿌리내리고 경험하며 의미를 만들어내는 과정 속에 형성되는 장소의 정체성과 장소애착의 의미와 의의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장소성 회복과 강화의 구심점이 될 수 있는, 물리적 환경, 인간의 행동, 의미 요소를 심도 있게 파악을 위해 장소성 요소와 밀접하게 관련지어진, 물리적 공간이 인간의 심리와 행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하는 환경심리학과 신체와 공간과의 긴밀한 관계를 다루는 신경 건축이론을 교차시켜 분석하였다. 셋째, 바슐라르의 철학 중 ‘공간의 시학’ 을 중심으로 인간의 마음에 뿌리내린 장소가 지닌 철학적 의미와 사유를 분석하고, 진정한 장소성의 가치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인간의 내면과 외면에서 서로 상호 교환되며, 자아 정체성에 영향을 주는 장소 애호의 내밀한 이미지를 이해해 보고 여기서 촉발되는 상상력의 의미와 궁극적 지향점인 상상력의 원형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넷째, 환경심리학과 신경건축학의 연관성을 함께 분석하여 고찰한, 장소의 정체성과 애착의 의미를 담고 있는 장소성과 바슐라르의 공간철학에서의 장소애호의 공간과 상상력의 원형이 지닌 장소성의 연관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여기서 도출된 ‘집’의 내밀한 이미지와 의미적 속성을 조형적 요소로 환원하고 이와 밀접하게 연결된 하부요소의 특징을 건축공간과 연결하여 공간 사례를 분석해 보았다. 본 연구의 공간 사례 대상은 청소년 공간 및 청소년의 이용을 주 목적으로 하는 공간으로 하였으며, 작품의 선정기준은 현시대의 공간을 조명하는 건축 어워드 에서 수상한 작품과 건축전문 매체와 전문가들이 우수 건축 사례로 주목한 작품을 중심으로 공간 사례조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 관련 연구보고서와 조사 자료를 통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으며 심리적으로 매우 민감한 청소년들이 다양한 요인으로 우울과 불안 증상을 보이며 정신건강에 위험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 우리나라 청소년들은 과도한 미디어 환경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 정신 건강과 밀접하게 연관성을 맺고 있는 신체 활동 지수는 매우 낮았다. 정신 건강과 밀접한 연관성을 맺고 있는 신체활동의 저조함과 미디어 사용의 급격한 증가의 상관관계가 청소년의 심리정서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력과 청소년들이 마땅히 갈 수 있는 장소가 없음을 유추해 볼 수 있게 하였다. 그러나 많은 연구에서 나타난 부정적 결과 가운데, 청소년들의 정신건강 문제와 불안한 심리상태를 개선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자아 존중감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파악해 볼 수 있었고, 이는 청소년들의 건강한 정서 환경에 변화를 통해 긍정적 대안을 모색해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둘째, 한 장소가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력과 상호관계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장소와 장소성의 의미와 의의에 대해 고찰하며 장소성에 속한 개념인 장소애착은 한 개인과 집단으로 하여금 뿌리 깊은 소속감을 느끼게 하며 이는 인간에게 고유한 가치와 내면의 확장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물리적 환경은 장소애착의 필요조건으로서 잠재된 기억을 자극하는 어떤 대상물은 그 장소의 이미지에 대해 동일시하게 만들기도 함을 알 수 있었고 이는 장소 정체성 및 장소 애착에 큰 영향을 준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장소성 고찰에 있어 장소성 구성 요소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는 환경심리학과 신경건축학과의 연결점을 종합분석 해보면 다음과 같다. 환경에 대한 인간의 욕구라고 볼 수 있는 환경심리요소와 장소의 정체성과 장소애착에 나타나는 감정적 정서의 밀접한 연관성을 통해 물리적 환경요소가 인간의 심리와 경험에 미치는 중요성과 한 장소가 인간에게 줄 수 있는 물리적 장소 이상의 심리적 위안과 회복에 대해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신경 건축학에서는 물리적 공간을 만나는 신체는 물리적요소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하며, 물리적 공간을 지각하는 신체감각이 우리의 마음과 생각에 영향을 미치며, 우리의 신체는 다양한 감관기관의 공감각적 활동을 통해 물리적 환경 안에서 기억과 추억을 선명하게 마음에 새기며 장소의 대한 강한 애착을 형성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바슐라르의 ‘공간의 시학’을 중심으로 인간의 영혼에 울림을 주며 내면을 확대하고 존재를 새롭게 하는 상상력이 촉발되는 공간의 철학 안에서 다면적 의미를 지닌 ‘집’과 그 변양태 들은 현실의 물리적 공간으로 상정할 수 있었고, 이러한 이미지 속에서 촉발되며 지속적으로 확장되며 이미지를 변화시켜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는 인간의 활동은 상상력이 될 수 있었다. 상상력은 감관기관이 이미지와 맺는 관계를 통해 현실과 비현실을 넘나들며 상호작용함으로 장소 안에서 만들어지는 수많은 의미와 같이 증식되고 확장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물질적 이미지와 상상력은 새로운 내면의 세계를 열어내고, 가치를 부여함으로서 영혼에 울림을 주는 하나의 역동적인 장소가 된다. 이는 내면을 울리는 메아리로서, 존재의 변화 가져오고 영혼의 깊이를 드러낸다고 표현된다. 바슐라르의 공간 철학에 나타나는 장소애착의 내밀한 이미지들은 창조적 상상력이 지향하는 궁극의 원형의 곳, 인간의 ‘최초의 집’ 으로 향한다. 그곳은 품어내고 감싸 안는 내밀한 원초적 모성의 공간이자 마음 둘 곳 없는 세상가운데 피난처와 은신처로서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뿌리깊은 애착의 장소임을 이해할 수 있었다. 넷째, 장소성의 종합적 고찰로 도출된 ‘집’의 내밀한 이미지와 의미적 속성을 조형적 요소로 환원하고 이와 밀접하게 연결된 하부요소의 특징을 건축공간과 연결하여 사례공간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례공간들은 단순한 구조물로서의 형태를 드러내는 것이라 아니라 하나의 물질적 이미지와 같이 주변의 환경과 조화되고 내부와 외부가 서로 교환되어, 고정되지 않고 변화되고 확장되어가며 공간의 의미를 풍성하게 하였다. 즉, 빛의 지각, 대지와 같은 모성의 재료, 공감각적 요소들을 공간 안으로 끌어 들여 공간의 독특한 개성과 분위기를 형성하였고 이로 인해 ‘최초의 집’ 과 같은 안정감 있고 친밀한 은신처와 같은 환경을 조성하였다. 또한 역동성을 지닌 유희적 요소들을 도입해 무한히 펼쳐지는 상상력을 촉발하고 공간과 사용자의 상호 작용을 이끌었다. 사용자들은 공간을 단순히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신체로 공간에 말을 걸고 알아가며 그곳에서 자신의 자아의 개패를 조절할 수 있었다. 피부로 인지하고 기억 하는 공간요소들은 그곳에 추억을 담아 뿌리를 내릴 수 있게 하는 분위기를 형성하였다. 사례공간들은 상상력의 궁극의 원형에서 지향하는 ‘집’과 같은 속성을 갖고 공간과 사용자와 소통하며 애착의 환경을 조성하여 심리적 안정감과 신체적 안전을 보장해 주었다. 본 연구를 통한 의의와 기대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이 다양한 요인으로 우울과 불안 증상을 보이며 정신건강에 위험성을 보이고 있는 청소년들이 마땅히 마음을 두고 갈 수 있는 장소가 없음을 환기하고, 대안으로서 의미를 갖는, 자아정체성의 회복을 돕는 청소년의 건강한 정서 환경의 장소를 논의함에 그 의의가 있다. 둘째, 한 장소가 인간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력과 상호관계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장소성에 대해 고찰하며, 장소성의 각 요소와 밀접한 관련성 맺고 있는 환경심리학과 신경건축학으로 그 범위를 확대하여 교차점을 분석하고 장소의 정체성과 장소애착과의 연결점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물리적 환경과 인간의 행동과 심리의 관계를 심도 있게 이해하고 장소성 회복과 강화의 구심점을 파악하고자 한데에 그 의의가 있다. 셋째, 바슐라르의 공간의 철학을 하나의 장소성의 갖는 장으로 바라보고, 여기서 끊임없는 촉발되고 역동하는 상상력이 궁극적으로 지향하여 가는 원형, 모성의 공간이자 ‘최초의 집’의 의미를 종합하고 속성을 도출하여 사례 공간들을 분석함으로써, 공간의 철학을 현실의 장소성과 연결지어 구체화하고 실제 공간으로의 적용 점을 도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넷째, 시각위주로 획일화되어 가고, 장소의 정체성과 장소애착의 의미를 갖지 못하는 청소년 공간에 적절한 공간 철학의 사유의 적용을 통한, 자극과 인지를 논의하여, 자아와 내면을 확대하고 존재의 변화를 가져 올 수 있게 하는 청소년 공간 디자인의 방향성 마련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In the present era, it is evaluated as valuable to derive maximum utility in a given environment. Instead of focusing on the original beauty of man and nature, this view allows them to 'use' as much as possible and to become a non-unique component. ‘Gestell’ is directed toward the next generation. Korean teenagers learn the wisdom of ‘Gestell’ their lives so that their time and efforts are not wasted on purposeless and invalid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a guaranteed future. However, despite the progress toward maximum rationality, Korean teenagers are not happy. They are under extreme stress amid fierce competition for entrance exams, and teenagers outside of school are experiencing many social stigma because they are outside the boundaries of public education. In this environment, adolescents complain of high negative psychological status and depression. High game immersion figures, low happiness index, and statistics that suicide has been the number one cause of youth death over the past nine years show the current psychological state of adolescents. Through a tightly structured life that has been pushed to the end, adolescents are emotionally impoverished and psychologically revealing many problems. Recently,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e positive effects of rest and play on the mind and body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report that the "problem of rest" should be treated socially important. It is argued that rest and play are the rights that all children and adolescents should enjoy and the ultimate means of honing their core competencies in the 21st century. Although the positive effect of the play space for teenagers has been reported and interest is increasing, opinions continue to be raised that the existing youth facilities are similar and uniform environment and do not reflect the psychology and needs of teenager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placeness of youth spaces that help Korean adolescents who are mentally under a lot of pressure and difficulties to look at their inner selves and recognize them positivel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appropriate stimuli and cognition expected in youth spaces, where teenagers can take time to rest and play in their daily lives, and have the meaning of attachment to places. As a method of this study, after examining and analyzing theories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studies, a case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youth space of the present era. For the space case subjects of this study, youth spaces and places for the main purpose of youth use were selected. As for the selection criteria of the work, space case studies were conducted focusing on works that were awarded at the Architectural Awards that illuminated the space of the present era, and works that were noted by architectural media and experts as excellent architectural examples. The flow of detailed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examine the youth space based on a clear understanding of adolescence, we tried to underst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needs, and current status of adolescen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process, focusing on theories, research reports, and survey data. Second, in order to grasp the influence and interrelationship that a place can have on humans, the place and the placeness were identified. Furthermore, in this study considered the sense of place, which is a concept belonging to the placeness. Next, it can be said to be a part of the sense of place, an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place identity and place attachment formed in the process of human beings who have a relationship with a place taking root, experiencing, and creating meaning were analyzed. Next, we cross-examined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neural architecture theory that deal with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and spac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elements of the placeness to understand the physical environment, human behavior, and meaning factors in depth. Third, we tried to analyz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place rooted in the human mind, focusing on ‘the poetry of space' among Bachelard’s philosophy, and to grasp the value of true place. Through this, I tried to understand the inner image of place attachment, which is interchangeable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humans and affects self-identity, and to consider the meaning of the imagination triggered here and the archetype of the imagination.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neuro architecture was analyz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lace's identity and the meaning of attachment was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opophilia in Bachelard’s spatial philosophy. Next, the internal image and semantic attributes of the 'house' derived here were derived as formative elements, and the spatial case was analyzed by l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elements closely connected to the architectural space. The subject of the space case of this study was youth space, and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work were based on works awarded at the Architectural Awards that illuminate the space of the present era, and works that specialized in architecture and experts paid attention to as excellent architecture ca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youth-related research reports and survey data showed that adolescents who underwent many physical and mental changes and were very sensitive psychologically showed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due to various factors, showing risks to mental health. Currently, Korean adolescents are exposed to excessive media environments, while the physical activity index closely related to mental health was very low.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negative influence of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oor physical activity and the rapid increase in media use, which is closely related to mental health, on adolescents' psychological emotions.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infer that there was no place for teenagers to go. However, among the negative results of many studies,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mprove adolescents' mental health problems and unstable psychological conditions, suggesting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seeking alternatives in anticipation of changes in adolescents' healthy emotional environment.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and interrelationship that a place can have on humans, I tried to understand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place and placeness. It can be seen that place attachment, a concept belonging to placeness, makes an individual and a group feel a deep sense of belonging, which can evoke unique values and inner expansion in humans. The physical environment is a requirement for place attachment, and it can be seen that any object that stimulates latent memories can be identified with the image of the place, which has a great influence on place identity and place attachment.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connection points between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neuro architecture,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placeness, is as follows.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environmental psychological element, which can be seen as a human desire for the environment, and the emotions appearing in the identity and attachment of the place.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nfer the importance of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on human psychology and experience, and the psychological comfort and recovery that one place can give to humans beyond the physical meaning. In neuro architecture, the body that meets physical space actively interacts with physical elements, the sense of body that perceives physical space affects our minds and thoughts, and our bodies clearly cherish memories and memories i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form a strong attachment to places. Third, in Bachelard's spatial philosophy that resonates with the human soul, expands its inner self, and renews its existence, the image of home and home can be assumed as a physical space of reality, and human activities that trigger, continuously expand, and create new meanings can be imagination. Imagination interacts across reality and non-real lif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nsory organs and the image. Through this, it could be seen that it was multiplied and expanded like numerous meanings created within the place. Through this process, material image and imagination open up a new inner world, give value, and become a dynamic place that resonates with the soul. It resonates inside, brings about a change of existence and reveals the depth of the soul. The intimate images of place attachment that appear in Bashullar's spatial philosophy head to the ultimate prototype place where creative imagination aims, the "first home" of humans. I could understand that it is a place of deep-rooted attachment that gives psychological stability as a refuge in a world where there is no place to rest. Fourth,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case space by deriving the internal image and semantic attributes of the 'house' derived from a comprehensive consideration of placeness as a formative element and link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elements closely connected to it with the architectural space are as follows. The case spaces do not reveal their form as simple structures, but are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like a single material image, and the inside and outside are exchanged with each other, thereby enriching the meaning of the space.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f light, materials of motherhood such as the earth, and synesthetic elements were drawn into the space to form a unique personality and atmosphere of the space, thereby creating a stable and intimate hiding place such as 'first home'. It also introduced play elements with dynamism, triggering an infinite imagination and leading the interaction between space and users. Users were able to find self-identity there by talking to and knowing the space with their bodies beyond simply using the space. The spatial elements recognized and remembered by the skin formed an atmosphere that allowed memories to take root there. Case spaces have the same attributes as 'home' aimed at the ultimate prototype of imagination, communicating with space and users, and creating an environment of attachment to ensure psychological stability and physical safety. The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meaningful to inform society that adolescents show various symptoms of depression and anxiety, and that there is no place for adolescents to leave their minds behind, and to discuss places in a healthy emotional environment that help restore self-identity.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influence and interrelationship of a place on humans, placeness was analyzed, and the range was expanded to environmental psychology and neuroarchitecture closely related to each element of placeness, and the connection point between place identity and place attachment was analyzed.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human behavior and psychology in depth and to grasp the central elements of the restoration and reinforcement of placeness. Third, Bashullar's philosophy of space was viewed as a space with place. Here, the meaning of the "first house" and the meaning of the mother's space, which is the original form that the constantly triggered and dynamic imagination ultimately aims for, were synthesized and its attributes were derived to analyze the case spaces.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hat the philosophy of space was linked to the place of reality and the application point to the actual space was derived. Fourth, it is meaningful to discuss stimulation and cogni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spatial philosophy appropriate to youth spaces that are uniformed around visual and do not have the meaning of place identity and place attachment.

      • 프랑켄슈타인(Frankenstein): 여성주의적 읽기

        이효주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1818년 프랑켄슈타인이 처음 출판된 이래로 줄곧 공포물로 인식되어왔다. 다수의 사람들이 괴물과 프랑켄슈타인 박사의 이름을 여전히 혼동하고 있다. 소설의 주인공인 프랑켄슈타인 박사가 초점에서 벗어난 반면 기괴한 모습을 한 괴물이 중점적으로 다루어졌다. 따라서 본 논문은 소설 속 주요 인물들을 통해 작가의 의도와 여성주의적 관점으로 바라본 괴물의 의미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고는 세 장으로 이루어진다. 첫 번째 장에서는 작가의 생과 이분화된 영역에 대하여 연구한다. 19세기 여성은 자신들의 목소리를 드러낼 수 없었기 때문에 메리 셸리는 익명으로 소설을 출판하게 된다. 비록 그녀는 부모의 영향으로 급진적 사상을 갖기는 했지만 작가로서 공적 영역에 그녀의 이름을 드러낼 수는 없었다. 엘리자베스는 19세기 억압받던 여성의 상징었으며 수동적으로 '집안의 천사' 로서의 역할을 받아들여야 했다. 메리 셸리는 엘리자베스를 통해 여성에 대한 부당한 대우에 대해 언급하고자 했다. 두 번째 장에서는 여성의 소외와 프랑켄슈타인에 대하여 논의한다. 과학적 지식을 통해 괴물이라는 새로운 생명을 창조한 프랑켄슈타인은 신의 권위에 대해 도전했으며 남성의 영역을 확장해 간다. 괴물이라는 존재는 19세기 사회에서 소외된 여성의 모습을 반영한 것으로, 메리 셸리는 괴물을 창조한 빅터 프랑켄슈타인의 이야기를 통해 가부장제 사회 내에서 여성에 대한 불공평한 대우를 비판하고 있다. 마지막 장에서는 괴물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최근 페미니스트 비평에서는 괴물의 정체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괴물의 소외는 가부장제 내의 여성의 소외와 동일시 된다. 19세기 여성은 출판을 목적으로 글을 쓸 수 없었다. 따라서 작가는 여성의 글쓰기에 대한 욕망을 표현하기 위해 고딕이라는 장르를 이용하여 괴물을 창조해냈다. 괴물의 분노한 목소리는 억압받던 여성의 목소리를 대신한다. 괴물의 내러티브는 소설 속에서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지닌다. 본고에서 메리셸리의 여성주의적 인식과 그녀가 속한 사회에 대한 견해를 살펴볼 수 있었다. 그러한 점에서 프랑켄슈타인은 읽을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다. Since Frankenstein was first published in 1818, it has been wrongly described as a tale of horror. Some of us still confuse the monster's name with the scientist Frankenstein. We have focused on the grotesque feature of the monster, while the main character, Frankenstein, has been somewhat sidelined. This thesis aims to examine the author's intention through the main characters, and the meaning of the monster from a feminist perspective. The thesis develops in three stages. The first chapter studies the author's background and the separate spheres of men and women. Mary Shelley published the novel anonymously, because women could not have their voices heard in the nineteenth century. Even though Mary Shelley had radical ideas influenced by her parents, she could not reveal her name in the public sphere as an author. Elizabeth was the symbol of the oppressed women at that time, and she passively accepted the role of an 'angel in the house'. Through Elizabeth, Mary Shelley intended to comment on the circumstance of the poor treatment of women. The next chapter discusses the isolation of women and Frankenstein. Creating a new life, a monster, with scientific knowledge, Frankenstein challenges God's authority, and he expands men's role beyond the acceptable. Through the Victor's story, Mary Shelley warns against the unfair treatment of women in a patriarchy, because the monster can be regarded as the reflection of women isolated from society in the nineteenth century. The last chapter studies the meaning of the monster. Recently, feminist critics have focused on the monster's identity. The monster's isolation parallels woman's solitudes in a patriarchy. In the nineteenth century, women were not allowed to write with the purpose to publish. Thus the author borrowed the genre, Gothic, and created a monster to express the women's desire to write. The monster's furious voice serves as the hidden and oppressed women's voice. The monster's narrative has the most powerful impact in the novel. In this analysis, we can observe Mary Shelley's feminist awareness and her attitude to the conservatives society of which she was a part. From that aspect, Frankenstein is a novel worth reading.

      • 유산소 운동시 수분의 섭취에 따른 렙틴, 인슐린, 성장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이효주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유산소 운동 시 수분의 섭취에 따른 렙틴, 인슐린, 성장호르몬농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20-30세 일반인으로 체지방20%인 사람을 대상으로 수분통제집단과, 수분섭취집단으로 나누어 8주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산소 운동 시 수분의 섭취에 따른 렙틴(Leptin)농도에 감소에 변화를 보였지만, 집단간의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으며, 성장호르몬(GH)농도에서도 증가하는 변화는 보였지만 집단간 유의한 차이는 나지 않았다. 유산소 운동 시 수분의 섭취에 따른 인슐린(Insulin)농도는 수분통제집단과 수분섭취집단 모두 감소의 변화를 보이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P<.01) 두 집단간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 수분섭취가 인체에 관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토대로 운동시기별 다양한 수분섭취의 방법과 수분의 종류, 수분의 온도, 운동의 방법, 강도가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진다면 좀 더 나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at ascertaining the effects of water intake during aerobic exercise on the leptin, insulin and growth hormone levels in the bod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pplied 8 week-aerobic exercise to general persons in 20-30 years of age with 20% of body fat after dividing them into a water control group and a water intake group. Accordingly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rived. The leptin level in the body decreased according to water intake during aerobic exercise,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and the growth hormone (GH) level in the body increase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either. The insulin level in the body according to water intake during aerobic exercise decreased both in the water control group and the water intake group indicating the significant change-level (P<.01),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t is determined that the result would turn out to be better if methods of water intake, the kinds of water, water temperature, methods of exercises and exercise intensity are applied by the period of exercise in various ways based on the fact that water take influences the human body positively.

      • 택배원과 단순노무 종사자의 근로환경과 주관적 건강 수준 비교 :성향점수 매칭법을 활용하여

        이효주 전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aims to compare work environment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between delivery drivers and manual labourers to shed light on the former’s working conditions and safeguard their right to health. Sourc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Fifth Korean Working Conditions Survey published by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and then underwent 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to control for several covariates. Original sample size was 143 delivery drivers and 1,956 male manual labourers after removing observations with missing variables, and applying PSM at the ratio of 1:4 reduced the latter to 572. Household size, age, level of education, average monthly income, and duration of employment were chosen as the five covariates to be controll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tched groups were examined via tests. Compared to the matched group of male manual labourers, delivery drivers tended to have longer working hours, low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ir work environment, higher level of work-related stress, and higher frequency of exposure to ergonomic hazards. Whi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subjective health status in the original data, the significance disappeared after PSM was performed.

      • 직무급 제도와 조직 내 남녀 임금격차 : 국내 기업 사례연구

        이효주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직무급 도입의 결과 조직 내 젠더 불평등이 감소하였는지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 임금체계는 연공급 체계로 특징지어져 왔으나, 연공에 의해 임금이 결정되는 메커니즘은 남녀 불평등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주장된 바 있으며(권현지·함선유 2017), 기본급 결정기제를 직무급으로 전환할 경우 동일노동 동일임금의 원칙이 실현되고 그 결과 남녀 임금격차가 감소할 것이라 주장되었다. 그러나 직무급 제도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직무급 제도가 남녀 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은 보다 폭넓게 이해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직무급 제도는 서로 다른 직무를 구분한다는 점에서 직무 간 경계를 명확히 하는 공식화(formalization)의 효과(Reskin 2000)를 가질 수 있지만, 동시에 직무 간의 중요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젠더 편견(gender bias)가 개입하여 성별 분리 현상(sex segregation)을 야기할 수 있다(Steinberg 1992; Figart 2000). 피터슨과 사포르타(Petersen and Saporta 2004)의 불평등의 유형 분류에 따르면, 직무급 제도의 공식화 효과는 직무 내 차별(within-job discrimination)을 감소시키는 반면, 직무급 도입에 따른 성별 분리 현상의 강화는 구성적 차이(ascriptive discrimination)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직무급을 도입한 국내 한 기업의 인사자료를 분석하여, 직무급 도입 후 남녀 임금격차가 완화되었는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직무급 도입 후 조직 내 남녀 임금격차는 다소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났으며, 특히 기업 내에서 주변적인 지위에 있는 주변부 집단 내에서의 남녀 임금격차가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기업 내에서 안정적인 지위에 있는 중심부 집단 내에서의 남녀 임금격차는 감소하였다. 한편 직무급 도입으로 인해 직무 간의 명확해지는 공식화의 메커니즘에 따라 동일 직무 내 차별(within-job discrimination)이 감소하는 양상은 중심부 집단에서 발견되었으며, 주변부 집단에서는 직무 내 차별의 수준이 직무급 도입 전후 유의미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분해분석 결과 중심부 집단에서는 직무급 도입 전보다 도입 후 직무 요인의 구성효과가 남녀 임금격차를 설명하는 비중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직무급 도입 후 중심부 집단 내 구성적 차별(ascriptive discrimination)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남녀가 서로 다른 직무에 배치되어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남녀 임금격차는 나이 효과의 변화에 의해 상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주변부 집단에서는 남녀 간 근속연수의 차이와 연도별 차이에 의해 남녀 임금격차 증가분의 상당 부분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직무급 도입 후 주변부 집단에서 여성 근로자의 비중이 증가한 것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 연구는 한 개 기업의 인사자료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이러한 분석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적인 면이 있으나, 실제 기업의 인사자료를 바탕으로 직무급 도입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oes job-based pay system reduce gender wage gap? Korea’s pay system has been long characterized by seniority-based pay. Unfortunately, seniority-based pay system is argued to be the source of gender inequality (Kwon and Ham 2017). In recent years, the Korean government is urging organizations in Korea to adopt job-based pay, and one of the logic behind this urge is the belief that job-based pay will reduce gender inequality by reducing the seniority penalty. However, when considering the process entailed for adopting job-based pay, the effect of this pay system on gender inequality is complex. Job-based pay requires relatively clear distinction of job task when compared to seniority-system, and this clear description is part of the formalization of organization, which reduces gender inequality (Reskin 2000). At the same time, job evaluation, which accompanies job-based pay, is not a gender-neutral process; rather, this process is vulnerable to gender bias and aggravates gender segregation (Steinberg 1992; Figart 2000). Based on the framework suggested by Petersen and Saporta (2004), the formalization process of job-based pay may reduce within-job discrimination, but the job evaluation process may increase ascriptive discrimination. To examine the effect of job-based pay on gender inequality, this study analyzed personnel data of a Korean company which adopted job-based pay in mid 2010s. It was found that gender wage gap slightly increased after job-based pay was adopted. When examined further, it was found that gender wage gap among periphery workers increased after job-based pay was adopted, whereas gender wage gap among core workers decreased. At the same time, the formalization effect of clear job description reduced within-job discrimination on women among core workers; however, change in the level of within-job discrimination on women among periphery workers was not significant. Decomposing the gender wage gap, it was found that ascriptive discrimination on women increased among core workers, but this effect did not result in increasing net gender wage gap. Among the periphery group, decomposition result indicated that gender difference in tenure and year effects mainly increased gender wage gap. This result is expected to be related to the rapid increase in proportion of female among periphery workers in recent years. Although generalization of these results may be limited, but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empirical resources for current debate on pay system reform in Korea.

      • 북한의 음악예술인 양성 연구

        이효주 북한대학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주체음악’ 구현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북한 음악예술인 양성체계와 교육과정, 그리고 이들의 역할과 활동 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음악예술인을 양성하는 북한의 음악예술교육기관은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과 보통교육의 소조활동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이들 기관과 교육체계는 음악예술의 특성을 감안한 ‘특수교육’을 수행한다. 북한에서는 정권 수립 초반부터 정치적 수단으로 음악예술에 주목하고 음악예술인 양성에 관심을 가졌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체음악은 혁명적 수령관에 바탕을 두며 김일성의 항일혁명음악을 기원으로 삼는다. 즉 조직화된 예술선전대를 통해 예술의 대중화를 실현하고자 한다. 주체음악은 ‘내용이 혁명적이며, 형식이 인민적’인 것으로 ‘내용의 혁명성’의 핵심은 수령을 향한 충실성의 반영이며 ‘인민적 형식’은 김일성의 항일무장투쟁시기 창조한 음악예술분야를 전형으로 삼는다. 이러한 주체음악의 특성을 기반으로 각 행정단위별로 예술선전대를 조직하고 각 기구별로 조직화된 예술선전대 활동을 통해 예술의 대중화를 실현한다. 둘째, 북한의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은 ‘독연가’라는 특출한 인재를 양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은 보통교육부문과 고등교육부문을 아우르는 특수교육기관으로서 조기교육체계, 피라미드식 교육체계를 운영한다. 예술인의 전문성 확보를 위해 교육성 산하 일반 교육부문과는 달리 문화성 관할 하에서 실전경험을 쌓는 것을 교육과정의 일부로 한다. 연속고등교육체계를 갖춘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의 박사원은 북한 내 독연가 양성의 최고 단계이다. 셋째, 전문 음악예술인은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을 통해 양성되며 노동당 선전선동부(이하 중앙당) 직속 및 총 정치국, 문화성 소속 예술단체에서 활동한다.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인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인민군예술학원, 각 도 예술학원은 대상자선발을 엄격히 하고 있으며 교육방법은 특수교육기관의 성격에 걸맞게 1:1개별교수제로 운영한다. 교육과정 이수 이후 전문 음악예술인은 전문 예술단체에서 일반공연과 계획적인 예술선전 등의 활동을 한다. 넷째, 비전문 음악예술인은 보통교육부문의 음악예술소조활동을 통해 양성되며 각 행정단위 및 기관·기업소 당위원회 소속 비전문 예술단체에서 활동한다. 북한은 음악예술의 대중적 참여도를 이끌어내기 위해 각 기관·기업소별 예술소조와 예술선전대를 조직하였다. 중등교육부문 학교음악소조와 사회교양거점인 학생소년궁전(회관)을 통해 양성되는 비전문 음악예술인들은 기동예술선동대와 예술선전대에서 경제선동을 수행한다. 다섯째, 보통교육부문의 개인경연을 통해 전문 음악예술교육기관으로의 편입이 가능하다. 북한은 특출한 재능을 가진 독연가 양성을 목적으로 매해 정례적으로 진행하는 전국학생소년예술개인경연 입선자들에게 김원균명칭 음악종합대학, 또는 금성학원(평양제2음악학원) 입학자격을 부여한다. 이는 보통교육부문과 특수교육부문을 연결하는 통로이다. 체제 운영에 있어서 음악의 중요성은 정권 수립 초반부터 강조되었다. 김정일은 ‘전국의 예술화, 예술의 대중화’라는 기치 아래 ‘음악정치’를 강조하면서 음악예술인 양성 및 교육을 중요하게 다루었다. 북한 음악예술인 양성체계의 시행은 북한 정권의 주도로 이루어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usic education system, its curriculum, roles and activities of the North Korean music artists, which play decisive roles in implementing ‘Juche Music' in North Korea. North Korean music arts institutions educating music artists are classified into professional music arts institutions and normal education activities in small groups, and these institutions and educational systems perform special education considering its characteristics of music ar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administration, North Korea has been interested in training music artists, focusing on music arts as a political tool. The following results a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First, Juche music is based on the revolutionary ideology of the leader and is aimed to originate from the anti-Japanese revolutionary music of Kim Il-Sung. In other words, it seeks to realize the popularization of art through the organized propaganda squad of art. Content of the Juche music is revolutionary and its form is for the people. The core of ‘the revolutionary content' is the reflection of faithfulness for the leader, and ’the form of the people’ refers to the field of music art created in the era of Kim Il-Sung’s anti-Japanese armed struggle.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Juche music, the propaganda squad of the art is organized in each administrative unit and the popularization of art is accomplished by activities of each organized propaganda squad. Second, North Korean professional music art institutions aim to cultivate outstanding talented musicians called 'soloist'. North Korean professional music art institutions are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that cover the general education and higher education sectors and operate an early education and a pyramid education system. To promote the professionalism of artists, practical experience is required under cultural jurisdiction unlike the general education sector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Ph.D. course at Kim Won Gyun University of Music which has a continuous higher education system is considered to be the highest stage in soloist training system. Third, professional music artists are trained through professional music art institutions, and they work directly with the Labor Party's Propaganda Department, the Political Bureau, and the Ministry of Culture. Professional music arts institutions― Kim Won Gyun University of Music, People's Army Arts Academy, and each do art academy are very strict to accept admissions of highly qualified applicants only and operate its education system for 1:1 individual tutoring system per the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 After completing the course works, professional music artists engage in activities such as general performances and planned art propaganda in professional art organizations. Fourth, non-professional music artists are trained through small group activities in the general education sector. And they work in non-professional art organizations in each administrative unit, and party committees of institutions-enterprise. North Korea has organized small art groups and art propaganda squads for each institution-enterprise to encourage public participation in music art. Non-professional music artists educated in the small group of secondary education sectors and the Students Children's Palace(Hall) which is the base for social education. They carry out economy-related campaigns at the Mobile Arts Instigation and the Arts Propaganda. Fifth, it is possible for students to transfer to professional music art institutions through individual contests in the general education sector. North Korea grants admission to the Kim Won Gyun University of Music or the Kumsung Academy(Pyongyang 2nd Music Academy) for winners of the national students and youth individual art contest. The purpose of the annual art contest is to develop soloists with outstanding talents. This is a channel bridging the general education sector and the special education sector. The importance of music in operating the political system was emphasized since the beginning of the North Korean regime. Under the slogan of “The Art of Whole Country and Popularization of the Art,” Kim Jong-il emphasized “music politics” and considered training and education of the music artist as an important matter. The North Korean regime has been proactive to implement education system for North Korean music artists.

      • 내담자 불만에 대한 상담 구조화 방식이 불만에의 대처와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효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불만의 구조화 방식이 불만에의 대처와 상담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상담에 대한 불만이란 내담자가 상담 과정 또는 상담자에 대해 갖는 부정적 감정으로, 상담의 부정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밝혀져 있다. 본 연구는 내담자의 불만 표현을 촉진하는 방법으로 상담 구조화를 채택하여 그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특히, 불만에 대한 구조화가 소비자의 상담 서비스에 대한 위험인식과 불안을 야기한다고 가정하고, 구조화의 방식을 불안을 완화하는 안심구조화와 불안을 유발하는 불안구조화의 방식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이용경험이 없는 서울 소재 4년제 대학생 및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총 93명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연구 참여자는 상담 구조화 방식에 따라 안심구조화 집단, 불안구조화 집단, 통제 집단에 각각 31명씩 무선 배정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다음과 같은 분석과정을 거쳤다. 첫째, 다른 방식의 구조화를 실시한 안심구조화 집단과 불안구조화 집단의 조작 여부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두 집단을 대상으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둘째, 처치를 실시하기 전 집단 간 사전 동질성을 확인하기 위해 세 집단을 대상으로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셋째, 처치를 실시한 후 불만 표현 의사, 상담 지속 의사, 상담에 대한 태도의 집단 간 차이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세 집단을 대상으로 일원분산분석(ANOVA)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만 표현 의사에서 구조화 방식의 영향력이 확인되지 않았다. 구조화를 실시한 두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해 불만 표현 의사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안심구조화 집단과 불안구조화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구조화를 실시하기만 하면 그 방식과는 무관하게 내담자의 불만 표현을 촉진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둘째, 상담 지속 의사에서 구조화 방식의 영향력이 일부 확인되었다. 안심구조화 집단과 통제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불안구조화 집단과 통제 집단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각 구조화에 내포된 위험특성이 상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만에 대한 내담자의 인식에 차이를 유발하였기 때문으로 짐작된다. 이는 불만에 대한 구조화를 실시할 때, 불만 발생에 대해 낮은 위험으로 인식되도록 구조화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상담에 대한 태도에서 구조화 방식의 영향력이 확인되었다. 안심구조화 집단과 불안구조화 집단 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안심구조화 집단이 부정 정서가 긍정적 상담 성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게 됨으로써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기대와 태도를 갖게 되었기 때문으로 추측해볼 수 있다. 이는 내담자를 안심시키는 방식으로 구조화를 하는 것이 궁극적인 상담 목표와 성과에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를 요약하면, 안심구조화 방식은 불만 표현 의사에 대해서는 불안구조화 방식과 유사한 영향력을 지니지만, 상담 지속 의사와 상담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는 더 큰 영향력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에 대한 내담자의 불만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제안하였고, 상담 구조화의 효과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불어 상품으로서의 상담의 특성에 대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 마케팅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structuring style about client dissatisfaction in counseling on dissatisfaction coping behavior and attitudes toward counseling. This study adopts structuring as the way to encouraging the clients’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and focuses on verifying its effect. This study also supposes the structuring about dissatisfaction increases the clients’ risk perception and anxiety about counseling. Based on consumer risk perception, the styles of structuring are classified as relief structuring that relieves the clients’ anxiety of occurrence of dissatisfaction and anxiety structuring that arouses the clients’ anxiety of occurrence of dissatisfa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wo primary stages : the evaluation of structuring and main experiment. First, the evaluation of structuring was implemented for the relief-structuring and anxiety-structuring of this study. A total of fifteen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who had no experience in counseling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ief and anxiety structuring had different risk characteristics in the statistics. Second, the mai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ninety three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in Seoul who also had no experience in using counseling.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 relief-structured group, anxiety-structured group, and untreated control group. In the main experiment, at first, they were asked to response to pre-test and read the scenario. Then they read and listened structuring materials in each group. After structuring, they were requested to response dissatisfaction coping behavior and attitude toward counseling. 31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each group. The data gathered was analyzed as follows. First, the independent sample t test was conducted on two structured groups for the manipulation check. Second, the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before receiving the treatment was identified. For this purpose, 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expression of dissatisfaction, the influence of the ways of structuring was not confirmed. The intention to express dissatisfaction in two structured groups were higher than control group, but group difference between relief-structured group and anxiety-structured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means that structuring about dissatisfaction in counseling can encourage client to express the dissatisfaction regardless the style of structuring. Second, in the intention to continuing counseling, the influence of the ways of structuring was partially confirmed. Difference between the anxiety-structur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however, difference between the relief-structured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supposes that different risk characteristics involved in each structuring material trigger clients’ different perception of dissatisfaction in the counseling. Thus, structuring about dissatisfaction in counseling should be conducted for the clients to perceive the occurrence of dissatisfaction as low risk. Third, in the attitude toward counseling, the impact of the ways of structuring was confirmed. Group difference between the relief-structured group and the anxiety-structured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result can be explained by the relief-structured group participants’ understanding that the negative feeling can lead to positive counseling outcome as well as positive feeling. Their understanding may form more positive and realistic attitudes towards the counseling than attitudes of the other groups. It implies that structuring in the way of relieving clients’ anxiety is important for the ultimate goal and outcome of counseling. In conclusion, while relief-structuring style has similar impact with the other groups in the intention to express dissatisfaction, it has greater impact than the other groups in the intention to continue counseling and the attitudes towards counseling.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ed alternative method to resolve the clients’ dissatisfaction in counseling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method. Furthermore, this study proposed foundational data of counseling marketing research, based on previous studies about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as a service.

      • 미숙아 집단의 언어발달지체 판별에 대한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요인

        이효주 한림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Preterm toddlers are known as one of the causes of delays in language and communicative behaviors development. Previous research has reported that while being a preterm toddler is a predictor to language and communicative behaviors delay, some toddlers show no signs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hat those who do show signs of delay catch up with normally developing toddlers. Thus, identifying the behavioral factors of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on that can be used for the early screening of preterm toddlers who reach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eventually, and those with persistent delays, would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for early identification and evaluation purposes. The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are known as the indicators that predict later language development of the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toddlers, as well as the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toddlers. Thus, it is important to find the factors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to discriminate for groups among the typical development language toddlers and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toddlers in early stages. In this study, we were assessment the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of toddlers at the time of 1st evaluation, and then evaluate the language abilities at the time of 2nd evaluate. Our aim was to ascertain which behavioral factors of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on could be used to most effectively discriminate between the typical language delay group and the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group.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7 toddlers weighing less than 2.5 kg at birth, with a gestation period of less than 37 weeks. Study was conducted in 1st and 2nd evaluations. The toddlers were 15–18 months of age at the time of the 1st evaluation, where conducted developmental evaluations and including language evaluation. The 2nd evaluation of language development was held 6 months after the 1st evalu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1st and 2nd evaluations, we classified the subjects into 3 groups. The first group was 'typical-typical' as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at the 1st and 2nd evaluations. The second group was 'delay-typical' as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at 1st evaluation, while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at the 2nd evaluation. finally, the third group was 'delay-delay' as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at 1st and 2nd evaluations. To assessment the early prelinguisic communicative behaviors of toddlers, their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while interacting with their mothers was recorded. From this recorded communicative behavior, we analyzed the rate of prelinguisic communicative behaviors, the type of prelinguisic communicative behavior, the rate of gestures, the type of gestures, the rate of vocalizations, and the type of consonants. To checked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delayed preterm toddlers between the 1st and 2nd evaluations. We used ANOVA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between the 3 groups from the 1st evaluation, and conducted direct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to check for delays using the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that exhibited differences in the ANOVA results as the independent fact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developmental language delayed toddlers between the 1st and 2nd evaluations, the frequency of the but decreased in the second assessment than the primary assessment, half of preterm toddler seen the language developmental is still delayed. There were differences in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assessment during the 1st evaluation between the 'typical-typical', 'typical-delay', and 'delay-delay' groups in the 2nd evaluation.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the rate of gestures, the rate of vocalizations, and the number of consonants. Individuals in group 'delay-delay'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abilities compared to those of group 'typical-typical' in all aspects, while exhibiting significantly lower abilities compared to those of group 'typical-delay' in terms of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and the rate of gestures. To ascertain which factors of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could best discriminate delays in preterm toddlers, we conducted direct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could be used to make early distinctions between the two groups. The accuracy of the classification was 83.8%, and the two groups could be identified with very high probability based on the behavioral factors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as recorded during the 1st evaluation. In particular, the rate of gestures,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 and the ability to enumerate consonants at 1st evaluation were found to be the factors that were most useful in discriminating the later presence of delays in preterm toddlers. In summary, in this study the preterm toddlers who continued to show signs of delay in the 2nd evaluation exhibited low abilities in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the rate of gestures, the rate of vocalizations, and the number of consonants. Early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could determinating for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and typical language development at 2 years in preterm toddl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were the rate of gestures, the rate of prelinguistic communicative behaviors, the number of consonants two groups. Based on the findings in this study, we have presented some clinical implications regarding measures for early screening and intervention to prevent developmental delays in preterm toddlers. 미숙아 출생은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지체의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는 만삭아 출생 영유아에 비해 지체된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을 보인다. 그 중 일부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정상 발달수준에 도달하나 여전히 지체를 보이는 경우도 많이 보고되고 있다. 이들을 더 이른 시기에 확인한다면 더 적합한 조기발견과 중재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언어가 습득되기 이전 의사소통 행동은 정상 발달 영유아 뿐 아니라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이후 언어발달을 예측해주는 지표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들이 보인 언어 이 전기 의사소통 행동을 통해 정상언어발달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을 조기에 구별해줄 수 있는 요인을 밝히는 것이 의미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의 월령이 15-18개월일 때 1차 평가를 실시하여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수집하고 약 6개월 후 영유아의 월령이 24개월이 되었을 때 2차 평가를 실시하여 언어검사를 실시하였다. 1차와 2차의 언어검사를 통해 나누어진 2세 미숙아 집단 내 언어발달지체와 정상언어발달 두 집단을 조기에 구별해줄 수 있는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출생 시 체중 2.5Kg 미만, 재태기간 37주 미만의 미숙아로 출생한 47명의 영유아들이었다. 연구는 6-8개월의 간격을 두고 1차와 2차 평가로 진행되었다. 1차 평가는 영유아의 월령이 15-18개월일 때 언어검사와 초기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표본을 수집하였고, 2차 평가는 6-8 개월 후 영유아의 월령이 24개월이 되었을 때 언어검사를 실시하였다. 총 47명의 대상자는 1차와 2차 평가의 언어검사 결과를 토대로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집단은 1, 2차 평가 모두 정상언어발달을 보인 ‘정상-정상’ 집단, 1차 평가에서는 언어발달지체를 보였지만 2차 평가에서 정상언어발달을 보인 ‘지체-정상’ 집단, 1, 2차 평가 모두에서 언어발달지체를 보인 ‘지체-지체’ 집단이었다. 1차 평가에서 영유아의 초기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평가하기 위해 어머니와의 상호작용 상황에서 영유아의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표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의사소통 행동 표본에서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의 유형수, 몸짓 빈도, 몸짓 유형수, 발성 빈도와 자음 유형수를 분석하였다. 1차, 2차 평가에서의 언어발달지체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의 출현 빈도가 각각의 시기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살펴본 후, 이를 토대로 집단을 분류하였다. 분류된 집단에 따라 1차 평가에서 측정한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이 집단에 따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보인 초기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중 2차 평가에서 언어발달지체와 정상언어발달 집단을 판별해주는 요인을 밝히기 위해 직접적 판별분석(direct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언어발달지체를 보이는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의 출현 빈도를 알아본 결과, 출현 빈도는 1차 평가보다 2차 평가에서 감소하였지만, 언어발달지체를 보였던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의 절반은 여전히 지체된 언어발달을 보였다. 1차, 2차 평가에서 분류된 ‘정상-정상’, ‘지체-정상’, ‘지체-지체’ 집단의 영유아들이 1차 평가의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에서는 어떠한 차이를 보였는지 비교한 결과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 빈도, 발성 빈도, 자음 유형수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상-정상’ 집단은 ‘지체-정상’ 집단에 비해 더 높은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자음 유형수를 보였고, ‘지체-지체’ 집단에 비해 더 높은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 빈도, 발성 빈도, 자음 유형수를 보였다. ‘지체-정상’ 집단은 ‘지체-지체’ 집단에 비해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 빈도에서 더 높은 사용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언어발달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을 판별해주는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밝히기 위해 판별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1차 평가의 정상언어발달 집단과 언어발달지체 집단을 구별하기 위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통해 두 집단의 판별이 가능하였으며, 분류 정확도는 85.1%였다. 두 집단을 판별하는 데 세 집단 간 차이를 보인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빈도, 발성 빈도, 자음 유형수 모두 중요도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자음 유형수, 의사소통 행동빈도, 몸짓 빈도, 발성 빈도 순으로 중요도 높은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차 평가의 ‘지체-정상’ 집단과 ‘지체-지체’집단에 대한 판별분석 결과 또한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통해 조기에 두집단 판별이 가능하였으며, 두 집단은 83.8%의 정확도로 분류되었고, 비구어적 의사소통 요인 중 몸짓 빈도,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와 자음 유형수가 두 집단을 판별하는데 가장 유용한 초기 비구어적 의사소통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1차, 2차 평가 모두에서 언어발달지체를 보이는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는 정상언어발달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에 비해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몸짓 빈도, 발성 빈도, 자음 유형수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으로 24개월의 언어발달지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초기 비구어적 행동 중 몸짓 빈도,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 빈도, 자음 유형수가 15-18개월에 언어발달지체를 보였던 영유아들 중 정상언어발달과 언어발달지체를 조기에 판별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라 미숙아로 출생한 영유아의 언어발달지체를 조기에 발견하기 위하여 언어능력뿐만 아니라 비구어적 의사소통 행동을 주의깊게 살펴봐야 할 것과 이를 통한 조기선별과 평가 및 중재 계획에 대한 임상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