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실치료 상담이론과 폴 투르니에의 인격의학을 적용한 어머니교실 프로그램 제안

        이화령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회현장에서 위기와 갈등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현실치료 상담방법을 적용하면서, 여기에서 발견된 이론적 한계점을 재조명함으로서 내담자의 위기, 갈등을 해소 할 수 있는 좀 더 나은 현실치료 상담을 구축하기 위하여 폴 투르니에의 인격의학에 근거한 상담방법을 고찰하게 되었고,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목회현장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가 자본비용과 영업현금흐름 및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

        이화령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Recent government commercial law reforms have announced the adoption of shareholder voting rights to improve corporate governance. Revisions including electronic voting, paper voting and cumulative voting have been announced. But these were alleged to be problematic for effectiveness. This paper analyzes each voting system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 rights and corporate governanc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companies listed the domestic stock market from 2012 to 2018. The relationship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minority shareholders' Rights Protection System was analyzed in advance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Corporate governance and minority shareholder rights were positive(+). The proportion of outside directo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amount of positive(+) in line with the expected sign. This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ference to this. First, Minority shareholders' Rights Protection, showed negative(-) relationship with capital cost, supporting the hypothe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umulative voting and the cost of capital, it was found that the cost of capital decreased when the cumulative voting was introduced, and the minority shareholders and the owner shareholders shares increased together.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ority shareholders' Rights Protection System and cash flow, only the cumulative voting and the electronic voting showed significant results. The introduction of the cumulative voting may increase the proportion of minority shareholders, but it does not lead to the exercise of voting right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ection of minority shareholder rights and corporate value was verified. As a result, the minority shareholder rights protection system was 0.295. Companies with minority shareholders' Rights Protection System may have a high value in the market, and the ratio of outside directors is 0.804, which is a significant positive valu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mulative voting and the enterprise value, the t-values ​​of all variables except the outside director ratio were significant within 1%. As a further analysis, analyzed the chaebol's ownership concentration and cumulative voting system. The concentration of ownership of chaebols is somewhat increased when minority shareholders' Rights Protection is introduced. Further analysis of the effect of chaebol's ownership on cumulative voting revealed that the chaebol's ownership concentration was –0.075. The coefficient of the influence of the written voting system on the chaebol's ownership concentration was 0.998. In addition, The adoption of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can increase the proportion of chaebol companies by 0.461.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result of the increase in adoption as companies with total assets of 2 trillion won have to disclose the status of the electronic voting system to the recent corporate governance report or the Fair Trade Commission. In total, cumulative voting has the effect of reducing capital costs and increasing operating cash flow. It also has the effect of improving corporate value. In addition, minority shareholders ratio, owner shareholders share, and foreign shareholders share shows an increase in the shareholders protection system. Another interpretation of the increase in foreign shareholders share may be some convincing argument from the financial industry that the inflow of foreign capital may threaten management rights of domestic companies. The cumulative voting system must be careful in introducing the system so that the voices of the corporations and shareholders can be heard and the shareholders' voting rights can be protected without hindering the development of the corporation. 최근 정부의 금융개혁을 언급하며 재벌 개혁과 기업지배구조 개선을 위하여 주주의결권을 확대하고자 전자·서면투표제, 집중투표제, 다중대표소송제 등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를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상법 개정안을 추진하도록 발표하였다. 그러나 이에 대한 실효성 문제가 제기됨에 따라 각 투표제도와 자본비용, 영업현금흐름, 기업가치 간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소액주주와 기업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국내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하였다. 기업지배구조와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 간 영향을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와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 간 관계를 사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업지배구조의 변수에 해당하는 소액주주지분율은 1% 내의 유의한 양의 값을 가졌다. 사외이사비중은 기대부호와 일치하는 유의한 양의(+)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뽑을 때 기존의 1주당 1표를 주는 방식에서 1주당 선임할 이사의 수만큼 표를 주는 방식으로 바뀌어 소액주주의 이해와 일치하는 이사의 선출이 유리하게 되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전분석을 토대로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와 자본비용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는 자본비용과 음(-)의 관계로 나타나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집중투표제와 자본비용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집중투표제도의 도입 시 자본비용이 감소하며, 소액주주지분과 대주주지분이 함께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집중투표제도의 도입 시 소액주주의 의결권 행사가 늘어나며, 대주주 지분 역시 집중투표제도의 도입에도 의결권 행사와 관계없이 지분을 늘려감을 알 수 있다. 둘째,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와 영업현금흐름 간 관계를 검증한 결과 집중투표제도와 전자투표제도만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집중투표제도(CV)의 값이 3.097로 유의적인 양의 값이 나타나 집중투표제도의 도입 시 영업현금흐름을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외이사비율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집중투표제도의 도입은 소액주주지분율의 비중은 증가 할 수 있으나 의결권 행사로 이어지지 않아 사외이사의 선임이 확대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018년 집중투표제도의 실시가 0건으로 나타나 집중투표제도를 채택하더라도 실제로 실시하는 경우가 없어 이러한 결과 값이 나오는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셋째, 소액주주권리 보호제도와 기업가치 간 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는 0.295로 유의한 값을 가졌다. 소액주주권리제도를 시행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기업 가치를 높게 평가할 가능성이 존재할 것이며, 사외이사의 비율은 0.804로 유의한 양(+)의 값을 가져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의 도입은 보다 주주의 이익을 대변할 이사의 수가 늘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외국인주주 지분율 역시 유의한 양(+)의 값인 12.244로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 도입 시 외국인주주지분율이 상당히 늘어날 것이다. 이는 의결권 행사의 편의성 증대로 인하여 해외소액주주 역시 의결권 행사로 자신과 의견이 일치하는 이사의 선임을 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리고 집중투표제도와 기업가치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외이사비율을 제외한 모든 변수의 t 값이 1% 내에서 유의한 결과를 가졌다. Bhagat and Brickley(1984)의 연구와 같이 집중투표제도는 대주주에 대한 감시 효과가 있으며 집중투표제도는 기업가치 간에 양(+)의 관련성을 보고함과 일치한다. 서면투표제도와 전자투표제도는 기업가치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집중투표제도만이 기업가치에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음을 비교하여 알 수 있다. 추가분석으로 재벌의 소유집중도와 소액주주권리 보호제도의 관련성을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이용하여 기업지배구조와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 간 관계를 추가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재벌의 소유집중도와 집중투표제도를 분석 한 값이 –0.075으로 나왔다. 이는 재벌의 소유집중은 집중투표제도의 감소효과가 있다는 것으로서, 집중투표제도는 재벌에 대하여 견제 효과가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재벌의 소유집중도는 서면투표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서면투표제도를 실시할 경우 재벌의 소유집중도가 0.998배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자투표제도와 재벌의 소유집중도를 분석하였다. 전자투표제도를 도입할 경우 재벌 기업의 비중이 0.461배 정도 높아질 수 있으며, 재벌 기업이면서 대주주지분율이 높은 기업은 전자투표제도의 도입이 1.018배 높아질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8년 부터 기업지배구조 보고서에 전자투표제도 현황을 공개함에 따라 전자투표제도 채택 증가로 이러한 결과를 보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종합하면,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와 집중투표제도는 자본비용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집중투표제도와 전자투표제도는 영업현금흐름을 증가시켰다.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와 집중투표제도는 기업가치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집중투표제도의 도입의 근거로 제시되는 소액주주들의 의결권 행사로 주주들의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사외이사의 선임에는 일부 도움이 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그리고 소액주주지분율, 대주주지분율, 외국인주주지분율의 증가가 보여 주주들에게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의 도입은 긍정적으로 평가 받는 것으로 보인다. 외국인주주지분율 증가의 또 다른 해석으로는 해외의 자본의 유입의 증대로 인하여 국내 기업의 경영권 위협이 있을 수 있다는 재계의 주장이 일부 설득력을 가질 수 있다. 소액주주권리보호제도의 의무화는 기업과 주주들의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기업의 발전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주주의 의결권보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의 도입에 신중을 기하여야할 것이다.

      • 『시스터 캐리』에 나타난 도시와 소비문화

        이화령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thesis introduces some controversies related to the study of Sister Carrie, that is whether Sister Carrie can be viewed as a work of naturalism. The main controversy is about how we interpret the central characters including Carrie, Hurstwood, and Drouet in terms of the capitalistic society or consumer culture in which they find themselves. Sister Carrie contains the author''s own experience in big cities such as Chicago and New York. I investigate the emergence of consumer culture at the beginning of the twentieth century by focusing on the author''s representation of these cities. The first chapter focuses on the fact that both Carrie and Hurstwood became unhappy at the end of the novel. Dreiser is critical toward the materialism of the age and the grim aspects of the city. In Sister Carrie, Dreiser criticizes a materialistic culture through the character of Ames, but he does not provide an alternative. This implies that most people including Dreiser himself are totally engrossed in the materialistic values represented by the modern consumer culture. The second chapter analyzes Sister Carrie by focusing on how people construct their identities by consuming new and fashionable commodities. To some extent, Dreiser succeeds in criticizing this aspect, but his critique is both incomplete and problematic in that it is not well articulated. The third chapter discusses Sister Carrie by highlighting that women become commodities themselves in a consumer society. Dreiser renders Carrie to be a successful actress, but he suggests that Carrie achieves success only by becoming the object of male desire. I examine how Carrie fashions herself as a desirable object under the male gaze, namely by stressing her feminine look in terms of the traditional gender notions. Although Dreiser reveals his critical stance toward these aspects and shows his great sympathy for the heroine, his critique of his own society is incomplete. Dreiser dwells on many negative aspects of consumer culture in Sister Carrie. By criticizing materialism and the superficiality of the city life, he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nature of the modern city whose culture valorizes appearance above all else. Yet, as a male writer, Dreiser does not transcend the gender prejudices of his time, which makes his portrayal of Carrie so intriguing and complicated. Finally, I argue that Dreiser is a writer of both merits and demerits. His portrayal of the modern city is without doubt fascinating, but his critique of his own culture is incomplete in that he cannot transcend it, after all. 본 논문에서는 시스터 캐리를 자연주의 문학으로 볼 수 있는지에 대한 여러 비평가들의 논의를 소개한다. 주된 논의는 캐리를 포함한 중심인물들을 그들이 처한 자본주의 사회 또는 소비문화라는 환경 속에서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가 하는 것이다. 시스터 캐리는 작가가 시카고나 뉴욕과 같은 대도시에서 체험한 내용들이 나타나있다. 필자는 시스터 캐리가 이러한 대도시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가를 20세기 초반에 출현한 소비문화에 초점을 두고 살펴본다. 1장에서는 도시와 소비문화의 특성과 관련하여 캐리와 허스트우드의 상반된 운명에 대해 살펴본다. 작가는 물질주의와 도시의 냉혹한 면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직접적으로 표출하고 에임즈를 통해 대안을 제시하기는 하나 적극적 해결책을 제시하지 못하는 한계를 보여준다. 이것은 작가가 물질주의가 인간에게 미치는 강력하며 부정적인 영향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2장에서는 이 작품에 나타난 소비를 통한 정체성 구성의 중요성을 분석한다. 작가가 상품을 통한 정체성 구성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여주기는 하나 이런 시각은 독자들의 눈에 쉽게 포착되지 않고 있으며 작가의 비판적 시각 역시 미미하다는 점을 지적한다. 3장에서는 여성이 소비문화 사회에서 남성의 상품이 되어가는 과정을 캐리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드라이저는 캐리가 성공한 여배우가 되도록 설정하기는 하나 이것은 그녀 자신이 남성들에게 욕망의 대상으로 보였기에 가능한 것이었음을 보여준다. 필자는 전통적인 성적 개념에 의한 캐리의 여성적인 모습을 통해 캐리가 자신을 어떻게 남성들의 시선에서 매력적인 대상이 되도록 구성하는지를 고찰한다. 작가는 이에 대한 문제의식과 캐리에 대한 연민의 시각을 보여주기는 하면서도 비판적 시각은 거의 보여주지 않는다. 드라이저는 도시 소비문화의 여러 면에 대해 문제의식을 느끼고 비판적 시각을 취한다. 드라이저는 물질주의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하며 외양을 중시하는 현대 도시의 특징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남성작가로서 당시의 여성에 대한 편견을 초월하지 못하며 여성의 문제에 대해 문제의식은 있으나 성적 편견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시하지는 못한다. 이러한 점은 작가의 한계라고 평가될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작가 역시 자신이 속한 문화적 가치를 극복하기는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굳이 드라이저에 대한 혹평의 근거가 되기에는 무리가 있다. 현대 소비 사회에 대한 드라이저의 불완전한 비판은 작가 역시 그가 속한 사회의 강력한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점은 이 작품을 소비문화의 부정적 면이 더욱 부각되는 소설로 평가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 기록관리기준표 연구 : 국가보훈처를 중심으로

        이화령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록을 유지하거나 파기․이관하는 처분 과정은 미리 정해진 지침이나 법규에 따라 이루어지고, 우리나라에서는 기록물분류기준표와 기록관리기준표가 처분 지침의 역할을 하고 있다. 두 처분 제도는 기록관리 전 단계를 규정하는 제도로서 역할이 중요하고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는 경향성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처분 제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제도의 변화와 운영 문제점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두 처분 제도의 도입 배경과 구성 요소의 역할을 분석하고, 두 제도의 의의와 적용을 통한 이점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가보훈처의 4개 처리과를 선정하여 처분 지침에 나타난 단위업무(단위과제)와 보존기간 변화의 경향성을 통해 실제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기록물철명의 관리와 주제별 보존기간 책정방식 도입, 기록유형별 기록관리기준(안)을 제시하였다.

      • 기업지배구조가 가중평균자본비용과 조세회피간의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령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ant to verify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What is the effect on the company with a strong corporate governance for listed companies to target the capital markets. The samples not part of the financial sector of the Korea Exchange listed companies over 2014 – 2012 was targeting 716 December legal settlement. First results, corporate governance showed that a significantly negative(-) relation to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This, as previous research it means that the higher shareholder ownership and foreign ownership have confidence about the financial information of the company and risk Information will be reduce for investors, the required rate of return will decreases and companies will pay a lower cost of capital. Second, tax evasion has turned out that the results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It Will evaluate the low quality of corporate accounting information is expected to be a tax avoidance. Accordingly, it increases the risk of information. If the required rate of return is high in its impact. It is interpreted to lead to increased capital costs. To the next, Between corporate governance and tax avoidance interactions showed a negative affect(-) on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Corporate governanc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ax avoidance and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strong corporate governance gives a reduced impact on tax avoidance. In addition, company must pay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in the capital market showed the reducing effect.

      •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기초연구 : 일반인들의 인식조사 및 경제적 효과 추정

        이화령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wareness of South Korean adults on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that could be an alternative solution to the serious population aging of the country and health insurance financial problem; and provide the basic data material for the implementation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by performing estimation investigation on whether such a policy would have any economic effectiveness practically. Of the survey questions in the test on people’s awareness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the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from the questionnaire of 2015 Community Health Survey after modification and improvement. The questions on awareness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were structured under advice of physical activity experts. The surve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as a secondary investigation of another large-scale survey. A total of 400 respondents’ answers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with STATA 14.0 statistical program for the study analysis. In order to estimate the economic effect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the sample DB data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of STATA 14.0.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on physical activity and medical cost decrease, economic effectiveness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for the next 10 years (from 2014) in Korea was estimated. The study awareness investigation and economic effectiveness estimat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68.25%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found to be supportive of smart device-based physical activity promotion policy. Concerning the preference for detailed aspects of the policy, in terms of the type of smart device utilized in the policy, smart phone application was found to be most favored as 36% had chosen it. With respect to the preference for the type of physical activity benefits, 39.75%, the largest par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ey preferred ‘KRW 100,000 financial support for health checkup’ the most. Many agreed to all of the items - physical activity-based differentiated support payment scheme, physical activity data collection, and basic health status data collection. When it comes to the methods of physical activity amount evaluation, 66% preferred ‘sustained achievement of the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amount in reflection of individual health status for at least 3 months’ over ‘one-time achievement of the recommended physical activity amount in reflection of individual health status’. Preference for detailed policy aspec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Second, the survey on the awareness of the physical activity data collection function of smart device found that 59.75% answered they had not known such a function, a larger umber than those who had known it. Awareness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living-quality utile value, physical activity preparatory level, and educational backgroun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Survey on smart phone use or not found that 86.5% were using smart phone. Smart phone usage status survey resul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marital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living-quality utile value, physical activity preparatory level, educational background and family living standard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economic effect of promoting physical activity using smart device was estimated according to intensity, type and aerobic physical activity duration. As a result, medical cost was expected to decrease by 31.40% when high-intensity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in terms of activity intensity, showing the most effective medical cost decrease. With respect to physical activity type, medical cost dropped most effectively when aerobic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only. Medicine consumption and patient’s share of medical payment decreased most effectively when both physical activity for muscular strength and aerobic activity were promoted together. However, the aerobic activity duration showed slightly different effect in saving medical cost, medicine consumption and patient’s share of medical payment. Forth, it was found that, for the next decade from 2014, if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using smart device, approximately KRW 334.7 billion would be saved regarding hypertension in the entire medical expenditure in 2023; KRW 300 million regarding obesity; KRW 171.7 billion regarding Type 2 Diabetes; and KRW 2.5 billion regarding depression. 본 연구는 현재 대한민국에서 심각한 고령화 문제와 건강보험재정 문제의 대안 책이 될 수 있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에 대하여 대한민국 성인의 인식을 파악하고, 해당 정책이 실질적으로 경제적 효과가 있을지 추정 조사하여,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 시행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에 대하여 인식조사를 위해 사용된 설문지 문항 중 일반적 특성과 관련된 문항은 2015년도 지역사회건강조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기반으로 수정 보완하여 구성하였으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인식조사를 위해 사용된 문항은 신체활동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구성하였다. 본 설문조사의 자료 수집은 타 대규모 조사에 부속 조사로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400명의 응답자료는 STATA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경제적 효과 추정을 위해 수집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표본 DB자료 또한 STATA 14.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신체활동과 의료비 지출 감소에 관련하여 고찰된 문헌결과를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에서 10년간(2014년 기준)의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추정 하는 데에 사용되었다. 인식조사 및 경제적 효과추정에 대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에 대한 지지도는 대상자의 68.25%가 긍정적이었으며,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 세부사항의 선호도의 경우, 정책에 사용될 스마트기기의 종류에 대한 선호도는 ‘스마트폰 어플’이 36%로 가장 선호되었다. 신체활동량의 판단기준이 될 신체활동 정보에 대한 선호도는 ‘하루 소모 칼로리량’이 39.25%로 가장 선호되었고, 신체활동에 따른 혜택의 종류에 대한 선호도는 ‘건강검진 시 10만원 보조’가 39.75%로 가장 선호되었다. 신체활동에 따른 차등화 지급제도, 신체활동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 그리고 기초건강상태 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는 모두 ‘찬성한다’가 많았으며, 신체활동량 평가 방식에 대한 선호도는 ‘개인의 건강상태를 반영한 권장 신체활동량 3개월 이상 지속적 도달 유지 여부’가 66%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반영한 권장신체활동량 1회 도달 여부’보다 선호되었다. 이러한 정책 세부사항의 선호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스마트기기의 신체활동 정보수집 기능 인지 여부조사 결과,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인지하는 경우보다 59.75%로 많았으며, 이러한 인지 여부조사 결과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혼인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질 효용값, 신체활동 준비도, 교육수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스마트기기 사용유무조사결과는 사용하고 있는 대상자가 86.50%으로 많았고, 이러한 사용 유무조사 결과는 일반적 특성 중 연령, 혼인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삶의질 효용값, 신체활동 준비도, 교육수준, 가족의 생활수준에 따라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장려 시, 강도별, 종류별, 그리고 유산소 신체활동 지속시간별로 경제적 효과추정 결과, 신체활동의 강도의 경우, 고강도 신체활동을 장려할 시, 31.40%의 의료비 지출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 가장 효과적인 의료비 지출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신체활동의 종류의 경우, 의료비 감소수준은 유산소신체활동만 장려할 시, 약제소비와 본인부담지출비용은 근력신체활동과 유산소신체활동을 함께 장려 시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유산소 신체활동의 지속 시간에 따른 의료비, 약제소비, 그리고 본인부담비용 지출 절약효과는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넷째, 2014년 기준으로 향후 10년간,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을 장려할 시, 2023년 전체 의료비용 지출기준으로 고혈압의 경우 약 3,347억원, 비만의 경우 약 3백만원, 제 2형 당뇨의 경우 약 1,717억원, 우울증의 경우 약 25억원의 의료비용 지출 절약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마트기기의 신체활동 정보 수집기능 인지 유무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을 시행하기 위해서는 해당 특성에 따라 스마트기기의 신체활동 정보수집 기능 사용법에 대한 사전 교육이 이루어 져야 할 필요성이 있으므로, 사전에 보다 정확한 국가단위의 재조사가 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인식이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 특성 중에서도 사회적 문제와 직결 가능한 특성들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정책의 인식이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문제와 직결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알아보기 위하여, 해당 사항을 보다 정확하고 자세하게 국가단위의 조사로 연구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세부사항에 대한 선호도 중 몇몇 세부사항의 선호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이에, 정책수행 결과로 단기간에 국민들을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신체활동 실천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을 시행 전에 본 조사와 같이 일반적 특성에 따라 정책 세부사항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국가단위의 조사로 재조사 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도출한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체활동 장려 정책의 긍정적인 경제적 효과 추정 결과를 토대로, 보다 구체적인 경제성평가의 연구가 후속 연구로 수행되어 질 필요가 있다.

      • 경험과 특성이 유사한 타인에 대한 호감의 상대성

        이화령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One of the basic principle of attraction is similarity of self-concept. Pinel, Long, Landau, Alexander and Pyszczynski(2006) have recently introduced the concept of I-sharing - the subjective sense of sharing an identical inner feeling with another person - and found that this phenomenon tend to increase people's attraction to others more than me-sharing - sharing a similarity with the another person. Two studies were conducted in a face-to-face situation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sex-pairing and of individual's collectivism on attraction. In Study 1, participants interacting with an opposite-sex partner preferred I-sharers, whereas interacting participants with a same-sex partner preferred me-sharers. In Study 2, highly collective people reported more attraction to a me-sharer than an I-sharer. This research implies that the more attractive aspect of self sharing with others can be moderated by interpersonal contexts and individual differences.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the link between I-sharing and me-sharing in interpersonal attraction are discussed. 주체적 자아 공유(I-sharing)는 유사한 경험을 통해 타인과 순간적으로 같은 내적 경험을 한다는 믿음을 가지는 현상으로써, 단순히 같은 특성을 공유하는 객체적 자아 공유(me-sharing)보다 더 큰 호감을 느끼게 하는 경향이 있다(Pinel, Long, Landau, Alexander, & Pyszczynski, 2006). 본 연구는 주체적 자아 공유와 객체적 자아 공유의 호감 유발 효과를 확장하여, 이를 조절하는 변인을 탐구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 1에서는, 타인과 이성 관계인 경우에는 경험이 유사한 경우 상대에 대해 더 높은 호감을 느끼는 반면, 동성 관계인 경우에는 특성이 유사할 때 더 높은 호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 2에서는 집합주의 수준이 높은 개인의 경우, 자신과 경험 유사성보다 특성 유사성을 공유하는 타인에게 더 호감을 느끼는 경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대인관계에서의 상황 맥락과 개인차라는 변인이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자아의 측면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