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학습에서 교차양상 및 자기조절학습 수준이 지식습득에 미치는 영향

        이혜연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한 기술의 발달은 스마트시대를 이끌었고 이러한 기술적 진보는 교수매체의 형태와 교수방법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다양한 매체의 등장과 그래픽 기술의 진보는 학습자의 이해 증진을 위한 멀티미디어 활용수업을 활성화시키고 있다.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가 다중 감각적 요소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고, 다수의 선행연구를 통해 시각자료와 청각자료, 그리고 촉각자료 역시 그 효과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수업은 면대면 환경에서 뿐만 아니라 웹과 모바일 웹 환경에서도 그 효과성이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교수기술의 발달을 고려하여 새로운 교수·학습 환경에서 다양한 교수매체와 자료를 이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매체 간의 상호작용을 증진시켜 학습효과성을 높이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실제 그 효과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으로 지속적이고 세밀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교육과학기술부(2011)는 교수·학습 환경을 개선하고자 새로운 교수·학습 자료로써 디지털교과서를 학교교육에 적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고, 국내뿐만 아니라 국외에서도 디지털교과서의 설계, 활용 및 매체와 관련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데스크톱 PC환경에서 구현되던 디지털교과서를 최근에는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스마트패드(혹은 태블릿 PC)환경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디지털교과서는 기존 교과 내용에 멀티미디어 자료와 학습지원 기능을 갖춘 학습교재이다. 현재 디지털교과서와 관련한 대부분의 연구는 디지털교과서에 포함된 멀티미디어 자료와 학습지원 기능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연구는 디지털교과서가 본질적으로 교과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동시에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책형 교과서의 기존 교과 내용을 디지털교과서에서 어떻게 구현하는 것이 지식습득에 효과적인지에 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마우스 클릭을 통해 물리적 조작을 했던 컴퓨터 환경과는 다르게 스마트패드는 터치 기반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였고, 이러한 기능은 터치를 통해 조작하거나 펜을 이용하여 노트필기를 하는 등 종이를 활용한 학습에서처럼 다양한 인지전략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터치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패드는 두 가지 이상의 감각양식을 이용하여 정보를 통합하는 교차양상을 통해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감각과 촉각감각을 활용한 교차양상을 구현하고자 하였고, 시각과 촉각정보가 통합되어 제공되는 새로운 방식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학습자가 촉각적 시지각(tactile vision)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였다. 또한 교차양상을 적용한 스마트패드 학습과정에서 학습자는 정보를 수용, 조직, 선택, 통합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자신의 학습을 조절해야 하므로, 자기조절학습 수준에 따라 학습양상의 활용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에 새로운 학습 환경으로 등장한 스마트패드에서 디지털교과서가 구현이 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학습에서 학습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교차양상과 자기조절학습 수준의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새로운 학습 환경에서도 학습자들이 이전 학습 환경에 비해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할 수 있는 지 그리고 시각적 요소를 활용한 학습에서 학습위계에 따른 지식습득의 체계적인 평가는 어느 수준에서 지식습득을 효과적으로 하였는지와 유의미한 학습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학습위계에 따른 지식습득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학습양상(종이양상, 스마트패드(단일양상), 스마트패드(교차양상))은 학습자의 지식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가? 2. 자기조절학습 수준은 학습자의 지식습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가? 3. 자기조절학습 수준에 따라 학습양상이 학습자의 지식습득에 유의미 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 세 가지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규명하기 위해 A대학의 전공 및 교양수업의 수강생 99명을 대상으로 자기조절학습 수준을 높음과 낮음으로 구분하고 세 가지 학습양상인 종이양상, 단일양상이 적용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학습, 교차양상이 적용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학습에 배치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차양상이 적용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집단과 단일양상만 적용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집단에서 식별지식과 이해지식 습득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차양상이 적용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집단의 식별지식과 이해지식의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용어지식에 대해서는 두 집단 간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종이양상을 활용한 집단과 단일양상이 적용된 스마트패드를 활용한 집단의 이해지식 점수에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종이양상을 활용한 집단의 점수가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나, 식별지식과 용어지식에서는 두 Rapid technological developments have brought about the smart era and substantial changes in the media and the methods used in education. Furthermore, advances in media and graphics technology have enabled multimedia-based instruction to promote learning. Multimedia instruction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learners can use multi-sensory elements, and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have demonstrated the effects of visual, auditory, and tactile learning. In addition, multimedia instruction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face-to-face learning as well as web and mobile web environments. At the same time, efforts have been made to increase the learning efficiency by enhancing the interactions among the instructor, students, and learning materials using a variety of methods and media in the instruc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However, there have been insufficient research on these topics, and sustainable and sophisticated studies are required. In this context,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2011) has sought to use digital textbooks as new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in schools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and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the design and the use of digital textbooks. In recent years, digital textbooks have made a transition from the desktop PC environment to smartpads (or tablet PCs). Digital textbooks consist of educational contents and multimedia materials as well as tools for course management. However, most of the research on digital textbooks has addressed multimedia materials and tools for course management. Thus, this study examines how educational contents are applied for effective knowledge acquisition in digital textbooks. Whereas computer-based learning is based on mouse clicks, smartpad learning is touch-based and involves various cognitive strategies, such as touch operation and note taking. The smartpad provides an effective cross-modality learning environment by integrating information using multiple senses. This study employs tactile vision to provide a new interface system and to implement cross-modality by integrating visual and tactile senses.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is another factor for effective learning and knowledge acquisition, which has been reported in a number of previous studies. When learning with a cross-modality smartpad, the learner should regulate the learning process, including the reception, organization, selection, and integration of information, which means that the learning environment can vary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cross-modality and self-regulated learning on knowledge acquisition in learning with smartpad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on the new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factors influencing learning is to analyze whether the new environment provides a more effective platform. In particular, a systematic evaluation of knowledge acquisition according to the learning hierarchy in visual learning can determine whether meaningful learning and effective knowledge acquisition can be achieved, and also provides sophisticated design guidelines in visual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 different learning environments based on paper and the smartpad (unimodality and cross-modaltiy) significantly affect learners’ knowledge acquisition? 2. Does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significantly affect learners’ knowledge acquisition? 3. Is there an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learners’ knowledge acquisition? To answer these research questions,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mong 99 students in A University according to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and various learning environments (paper, smartpad with unimodality, and smartpad with cross-moda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martpads with cross-modality and unimodality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quiring identification knowledge and comprehension knowledge, with cross-modality smartpads showing higher test scor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erminology test. Likewise, smartpads with unimodality and paper-based learning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quiring comprehension knowledge, the score for which was higher in paper-based learning. The difference between paper-based learning and smartpads with cross-modality showed no significance in all types of knowledge acquisition. Second, the impact of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on knowledge acquisi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dentification, terminology, and comprehension tests. In addition, the level of achievement was proportional to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Third, the impact of the learning environment, which was affected by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knowledge acquisition. In other word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level of self-regulated learning had no effec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were drawn. First, the effectiveness of the new teaching media appears to be not unique attributes but a teaching method inherent in the teaching media (Reiser, 1994), which means that learning with smartpads allows learners to pay closer attention to visual cues and to use cross-modality to effectively integrate text and image. Smartpads with cross-modality can facilitate learners’ cognitive activity and cognitive engagement can promote effective knowledge acquisition. In other words,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martpad as a new learning platform should take into account cognitive interaction factors between the learner and the learning material. Second, although learner’s cognitive engagement was implemented through tactile vision, functions of

      •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 흑요석제 석기연구

        이혜연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Recently there are a wide range of researches on obsidian of upper paleolithic in Korea. However, since obsidian tools are excavated only in limited areas in Korea while the quantity of the stone implements is small, and there is no place where obsidian may be mined to be used for stone instrument manufacturing, the researches are liable to be limited in reality. Nevertheless, such limitations rather may stimulate researches on several topics necessary for the analysis on upper paleolithic culture in Korea. The first topic of them is about the movement of the residents and the second one is understanding the diversity of behavioral style of human race and stone material adaptation strategy. Therefore, this thesis intended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obsidian in paleolithic and to attempt techno-morphological analysis and spatial analysis. So far there are only 18 locations of sites at which obsidian was excavated in Korean peninsula. Not many as it may b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meaning obsidian has in the culture of upper paleolithic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utilization of obsidian was very high. In most of the sites, no core that may additionally produce flakes nor any relatively large flakes were found.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tone instruments is that there are rarely any stone instruments manufactured by deliberate plan from the beginning of manufacturing, so call 'well produced' stone instruments. Also, even the fragments or small flakes discarded when manufacturing flake stone instruments were utilized as core. It appears it is out of their attempts to economically use the limited stone materials as far as they could. Secondly, among the stone materials to replace obsidian, volcanic stones were actively used. First of all, as the time merges into the upper paleolithic, volcanic rocks like tuff, andesite, and rhyolite, etc were more frequently utilized. In the most of the relics where obsidians were exhumed, instruments of the above stone materials are included. In addition, rocks of obsidian series like pitchstone and perlite also were used as the materials. Such trends may be some clues with which to understand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e paleolithic people who had been recognizing about various volcanic stone materials from the stage where they were already using obsidians. Also, they seems to have discovered alternative minerals, stone materials similar to obsidian. As for rock crystals, they were not discovered often, however it appears they picked up glassy materials similar to obsidians and utilized them as stone materials. The people of lower paleolithic age overcame the limitation of stones by using alternative stones with similar properties to obsidians. It seems that also deterred active use of obsidians. Thirdly, the places where obsidian stone instruments are concentrated are located within limited area among the entire sites. Since obsidians were not easily obtained near sites, they might have been economically used. When producing stone instruments with one stone material, especially in case of stone that is not found near the site, they might have to come up with a maximum result with the available stone to make stone instruments. It is presumed that is why fragments and flakes of obsidians were concentrated in certain zone. In the forth, it seems obsidians were distributed in Korea Peninsula as a result of movement and expansion of narrow stone blade culture. As for the relics of the most earliest stages where they produced stone instruments utilizing obsidians, Jangheungri, Hopyongdong, Shinbuk, and Seokjangri, etc can be mentioned, and it is presumed they were the remains the people of paleolithic age between BC 24,000~21,000 left behind as they first moved to Korea peninsula. And lastly, the places where obsidians are concentratedly found are in the whole middle region of Korea peninsula, and as the place further moves to the southwestern region, not only the obsidian discovery dwindles, but also the quantity is small. As for the relics of the southwestern region from the paleolithic age, the site of Hwasun of Daejeon, that of Jangheung of Shinbuk, and that of Hwasun of Sachang, and only small quantity of two articles were exhumed from each of these sites. Such facts may be seen as an evidence of the limitation of obsidian ulitization and the movement out of it. <국문초록> 최근 들어 우리나라 후기구석기시대의 흑요석 연구가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흑요석기의 출토 범위가 제한적이고 석기의 수량이 많지 않으며, 석기제작에 활용할 만한 흑요석 산지도 한반도 내에 부재하기 때문에 연구가 제한될 수밖에 없는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한계는 오히려 우리나라의 후기구석기문화 해석을 위해 필요한 몇 가지 주제를 연구하는데 원활하게 해 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 첫 번째는 주민의 이동에 대한 것이며 둘째는 인류의 행동양식의 다양성과 석재적응전략을 파악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구석기시대 흑요석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고, 기술형태학적인 분석과 공간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현재까지 한반도에서 흑요석이 출토된 구석기시대 유적은 17지점에 불과하다. 비록 많은 양은 아니지만 후기구석기시대 문화에서 흑요석이 갖는 문화적 성격과 그 의미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흑요석을 활용하는 활용도가 매우 높다. 대부분의 유적에서 추가로 격지를 생산해 낼 수 있는 몸돌이나 비교적 크기가 큰 격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석기들의 특징적인 점은 제작을 시작하는 시점부터 치밀한 계획에 의해 제작된, 소위 “잘 만들어진”석기가 드물다는 것이다. 또한 석기를 제작함에 있어서 격지석기를 제작할 때 버려지는 부스러기나 소형의 격지까지도 몸체로 활용하였다. 이는 한정된 석재를 최대한 경제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흑요석을 대신할 석재 가운데 화산암제의 석재를 적극 활용하였다. 우선 후기구석기시대에 접어들면 응회암, 안산암, 유문암 등과 같은 화산암제의 암석의 활용빈도가 높아진다. 흑요석이 출토된 대부분의 유적에서 위와 같은 암질의 석기들이 포함되어 있다. 그밖에 송지암, 진주암과 같은 흑요석 계열의 암석도 석재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이미 흑요석을 사용하는 단계에서 다양한 화산암제 석재에 대해 인식하고 있었던 구석기시대 사람들의 행동 패턴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흑요석과 유사한 대체 광물 즉 석재를 찾았던 것으로 보인다. 수정의 발견 예는 많은 것은 아니지만 흑요석과 유사한 유리질 및 그에 가까운 석재를 찾아 석재로 활용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후기구석기인들은 흑요석과 유사한 성질을 가진 대체석재 등을 사용하면서 석재의 제한성을 극복하였다. 이러한 점은 적극적으로 흑요석을 이용하지 않았던 이유로 작용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흑요석제 석기가 집중되어 나타나는 곳이 유적 전체에서도 제한된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흑요석은 유적 근처에서는 쉽게 구할 수 없는 석재이기 때문에 전략적이고 경제적으로 사용했을 것이다. 하나의 석재를 가지고 석기를 만들 때, 특히 유적부근에서 발견되지 않는 석재일 경우 석기를 만들기 위해 채택된 석재를 가지고 최대의 결과를 내야 했을 것이다. 때문에 일정구역에 흑요석제 부스러기와 격지가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넷째, 흑요석은 세형돌날문화의 이주 및 확산의 산물로서 한반도에 분포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흑요석을 활용하여 석기를 제작했던 가장 이른 단계의 유적으로는 장흥리유적, 호평동유적, 신북유적, 석장리유적 등이며, 약 24,000~21,000 경 구석기시대 사람들이 처음 한반도로 이동하면서 남겨 놓은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흑요석이 집중적으로 나타나는 곳은 한반도 중부권 일원이며 서남부 지역으로 내려올수록 흑요석 발견 예는 줄어들 뿐 아니라 그 양도 소량에 불과하다. 즉 흑요석제 석기가 집중되고 있는 지역은 주로 구석기시대 유적 들 가운데 가장 서남단에 위치한 유적으로는 화순 대전유적과 장흥 신북유적, 화순 사창유적이 있다. 이 유적들에서는 2점씩 소량만 출토될 뿐이다. 이러한 현상은 흑요석 활용의 한계와 그에 따른 이동의 증거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대구·경북지역 영유아 급식소의 위생수준 평가

        이혜연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ood safety management at preschool establishments in Daegu and Gyeongbuk province to provide data that could be used to improve food safety management. The study of a field assessment of 60 foodservice establishments was executed from July to October 2007 and the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of 4 foodservice establishments was conducted from May to June 2008. Statistical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package program(version 14.0 for windows). A total of 20 items of facilities, cooking utensils, and equipments were tested about total plate counts, coliforms, E. coli,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spp. and Listeria sp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Among the subjects, 93.3% of the preschool foodservice were self-operated, 24.1% of the child care centers and 96.7% of the kindergartens were hired dietitian. Holding rate of facilities, cooking utensils, and equipment in the kindergarten foodservice establishment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hild care cente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valuation of the food safety at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the evaluation scores for the kindergartens(80.7)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hild care centers(50.4), the scores for public centers(85.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private centers(54.3), the scores of facilities that employd a dietitian(73.6)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enters that did not employ a dietitian (52.7), and the scores of facilities that served meals in a dining room (80.8)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enters that served meals in a classroom (59.3). The evaluation scores of the food safety management items was high with󰡐Verifying the reports of health inspection of employees󰡑(1.87),󰡐Non-municipal water was utilized and water storage tank was routinely cleaned and well maintained󰡑(1.85),󰡐Disposing of small leftovers in the vat after distribution󰡑(1.83), and was low with󰡐Physical separation between the clean areas and the unclean areas to prevent cross-contamination󰡑(0.52),󰡐Physical separation between the staffs gate and food materials' gate󰡑(0.62). Evaluation of the food safety management levels of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was graded as follow: 85 points(above average), between 60 points and 85 points(average), less than 60 points(below average). The results of evaluation revealed that 57.0% of the kindergartens were above average, 33.0% of the kindergartens were average, 10.0% of hekindergartens were below average and 37.0% of the child care centers were average, and 63.0% of the child care centers were below average, respectively. The results of the microbiological hazard analysis at preschool foodservice establishments was higher than critical limits for knives, chopping boards, working tables, refrigerator(inside wall), bart, basket, and rubber gloves and indicated the items in need of urgent improvement. E. coli, Salmonella spp., and Listeria spp. were not detected in any of the that were tested sample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food safety management practices of all the kindergartens and child care centers evaluated in this study need improvement, and that the child care centers were in need of immediate attention. For the improvement of food safety management levels need to implement prerequisite food safety programmes.

      • 미디어와 여성혐오 : 실재의 사회적 구성을 중심으로 : focusing on the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이혜연 경북대학교 정책정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여성혐오와 페미니즘에 대한 개념과 다양한 해석, 사회적 사건 및 현상 등을 살펴보고 여성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사회적 저변확대에 미디어의 역할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오늘날 여성 혐오가 강력하게 발현되는 핵심적인 원인은 남성이 사회의 중심에서 주변인으로 밀려 날 것 이라는 두려움 때문이다. 순종적이고, 남성위주의 질서에 복종해야 했던 여성들의 사회적 역할과 정치적 위치가 높아짐으로써 여성혐오는 확장성을 더 가지게 되었고, 확장성의 기제로써 미디어는 핵심역할을 견인하고 있는 것이다.‘혐오',‘여성혐오’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미디어가 혐오의 사회적 확장에 미친 사례 등을 세 가지 논점으로 살펴보았다. 첫째, 여성혐오에 대한 역사와 혐오의 본질적인 측면에서 보면 동서양의 수많은 신화와 종교, 철학 그리고 예술과 의학 등 다방면의 기록에서 여성에 대한 차별적 인식론과 사회문화적 담론을 엿볼 수 있었다. 둘째, 여성혐오라는 감정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생긴 감정일까? 살펴본 바, 인간이 역사의 시대를 겪어오면서 사회문화와 제도의 틀 속에서 여성혐오가‘실재적 사회구성’의 논리로 고착화 되었고, 문자와 언어의 발명이 큰 역할을 하였다. 셋째, 오늘날 여성혐오와 저항운동에 대한 미디어의 역할은 여성들이 주장하는 다양한 담론들 중 특정 요소를 선택적으로 강조하고, 배제 혹은 주변화 시킴으로써 기존체제를 옹호하고 방어하는 의미를 만들어 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재를 살아가는 여성들의 외침은 남성보다 더 대우를 해달라거나, 동등한 대우를 해달라고만 하는 단순 평등의 이데올로기가 아닌 여성을 똑같은 인간으로 보고, 대상화, 타자화의 존재가 되지 않겠다는 여성의 자유 선언이라고 할 수 있다. 더 이상 여성은 사회에서 배제된 주체도 아니고, 혐오를 혐오에 대항하는 주체가 되지도 말아야 한다. 여성혐오와 페미니즘 담론에서 일상화된 여성혐오 사회를 어떻게 바꿔야 할지 끊임없이 함께 연구해야할 과제이다. his study deals the concept and various interpretation on feminism and misogyny while looking into social events and phenomena as it examines if the media plays any role on expanding the negative perception toward women. Fundamental cause of the strong manifestation of misogyny roots from the fear that men will be pushed out of the center of society and become a social outcast. Misogyny has expanded even more as women who supposed to be obedient to masculine order gain their social role and political status. And the media is leading a role as a mechanism for this expansion. This study leads three discussions to search for the fundamental cause of ‘hatred’ and ‘misogyny’ and look into the cases where the media influence to social expansion of the hatred. First, in essential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misogyny, many cases of discriminatory epistemology and socio-cultural discourse on women can be found from a number of records including mythology, religion, philosophy, art and medicine both in the eastern and the western culture. Second, while looking into the process of creation of such sensation called “misogyny”, it is found that misogyny was fixed as the logic of social construction of reality in the socio-culture and the framework of its system as humankind has experiences the ages of history. It is found that the role of media on misogyny and resistant movement today selectively emphasize a few particular elements while exclude and marginalize various discourses advocated by women, so they create its meaning that protect and defend the traditional social system. The cry of women living this world today is not only an ideology of simple equality wanting to be treated better than men nor equally but it is a declaration of women freedom to perceive women as an equally human being and not to become being of objectification and otherization. It demands that women should not be an excluded agent in this society, moreover they should not be the ones who fight with hate against a hate. It should be persistently studied together how this common misogynistic society can be changed in the discussion of misogyny and feminism.

      • VR 아바타 기반의 한국어 학습에 관한 연구 : 한국 문화체험 및 말하기 과제활동 중심으로

        이혜연 경희사이버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VR learning for Korean education - focusing on Korean speaking and culture class using avatars in VR chatting Lee, Haeyeon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struction design for VR avatar based chatting class model of Korean speaking in KFL context and suggests the role and function of each type of avatars during learning process. VR has its unique authenticity, presence, flow and immersion and is motivating learners with high-technique graphic and sound effect as well as its avatar interaction. VR avatar has interesting factors, interaction, low affective filter, performing teacher, learner, media’s roles instead of the roles of traditional class context. And speaking class emphasizes its presence(practice) and communication action among avatars. VR chatting offers various advantages such as feeling of real communication, real task likewise real life task and so on. VR is also possible for better interaction resulting continuous flow. This helps designing more efficient, effective and attractive Korean speaking class. Thus this is proper for students in overseas without enough target language and situation exposure and is good to use VR chatting with authentical situational interaction. This study searched learners’ needs and analyzed its result to reflect on the curriculum. It, therefore, consists of learners’ needs as contents and task activities which making more interests and motivating learners to keep their Korean learning. In this study, their needs are reflected as a storytelling for fun learning. The contents and activities during traveling Korea ar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survey result. Using avatar in VR chatting environment makes more practical interaction and task like real activities in real world. This interaction makes learners feeling fun and motivated well. Also real-like experiences make long-term memories for learning. In conclusion, there are many problems of learners in KFL context but with VR media using i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learners’ needs reflected curriculum, it is possible to continue learners’ motivation and their learning process. Moreover, this study suggests the role of teacher, learners and media in a new media system, VR learning environment. Also, it suggests the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new VR learning. And it reflects learners’ needs for organizing contents and activities. Especially, it offers real world experience to learners in KFL context by using VR and avatar interaction for effective and continuous learning. There are some limitation of this study. It does not develop real VR learning program and can’t evaluate the result nor reflect feedback. And the number of the research target learners was not small comparatively in the terms of the number and countries. This study, hence, suggests to develop real VR learning project for whole 12 lessons and to make more specific and systematic research data in the future. Key words: VR learning, speaking class, need analysis, Korean language learning instruction design for VR learning, Storytelling, Avatar, optimized interaction, Culture education, Task-based learning

      • 자기제시동기와 자기제시기대의 차이와 사회불안의 관계 :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긍정적인 사건에 대한 부정적 해석의 이중매개효과

        이혜연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resent study is based on self presentational model of social anxiety and exams the relationship of relatively new variables,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 Accordingly, this study predicts tha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roused from the large difference between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expectation makes it difficult to fit in accepting positive events and leads to social anxiety. For this study’s purpose, it is verified that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 between the difference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and social anxiety. Participants were 399 university students and completed questionnaires for Short Form of the Korean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K-SIAS) and the Korean Social Phobia Scale (K-SPS),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al Scale(SPMS),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Scale(SPES), Korean Version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K-FPES) and Interpretation of Positive Event Scale(IPES). The SPSS 21.0 and the PROCESS macro were used in this study for analysis program.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method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from participants. As expected, results indicated that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fference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and social anxiety. In addition, fear of positive evaluation(FPE) and interpretation bias of positive event(IPE) had partial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difference of self-presentational motivation and self-presentational expectancies and social anxiet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 ABCDE 이론을 활용한 정서 글쓰기 지도방안 연구 :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을 중심으로

        이혜연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서 표현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아동에게 정확한 정서 표현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다. 문학작품을 읽고 정서 어휘를 획득하고 독후 활동으로 정서 글쓰기를 완성하여 정서 표현의 다양성을 확립해 갈 수 있다. 최근 정서적·언어적 형태의 폭력이 늘고 있다. 물리적인 폭력보다는 언어폭력의 비율이 높아지며 정서적 형태의 폭력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언어폭력은 서로 모방하는 형태로 유행처럼 퍼지게 되어 정서적인 형태의 폭력으로 이어지고 있다. 언어폭력의 사용은 정확한 정서 표현까지 방해하고 있다. 강도가 높은 표현 혹은 거친 욕설 등을 사용하며 정서 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아동은 대인관계에도 문제를 겪는다. 자신의 정서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하며 적절한 상황에 알맞은 정서 표현을 찾아내지 못하기 때문이다. 정서 표현을 바로 잡고 올바른 어휘를 획득하게 하기 위해서는 먼저 정서 어휘와 인지·행동 어휘를 분리하도록 해야 한다. 인지·정서·행동을 분리하여 각각의 개념과 어휘를 익힌다면 적절한 상황에 알맞은 표현을 사용 할 수 있게 된다. 인지·정서·행동을 분리하기 위해 합리적정서행동치료(REBT) 중 ABCDE 이론은 활용한다. 사건이 일어난 후 개인의 정서적·행동적 결과에 어떤 신념이 영향을 미쳤는지 구분할 수 있기 때문에 인지·정서·행동을 분리하기에 적합한 이론이다. ABCDE 이론을 활용한 정서 글쓰기를 통해 정서 표현의 다양성을 만들어 준다. 정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3학년과 4학년의 발달단계 특성을 살폈다. 이 시기 아동은 규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시기이므로 또래관계와 관련된 규칙에 관심이 많다. 초등학교 3학년 4학년의 발달단계 특성에 맞는 문학작품을 선정하기 위하여 3학년 4학년 국어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국어 교과서 읽기 단원에서 선정한 문학작품은 『바위나리와 아기별』과 『양파의 왕따일기』이다. 위 문학작품은 또래관계와 규칙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어 대상 아동의 흥미를 끌기에 적합하다. 아동은 문학작품을 현실의 이야기로 인식하며 ABCDE 이론에서 ABC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사건과 정서를 분리하여 받아들일 수 있다. DE의 과정을 통해 새로운 효과를 얻게 되며 정서 변화와 정서 글쓰기 방법으로 갈 수 있도록 지도방안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정서 글쓰기 지도방안은 독서 감상문 형식의 글쓰기이다. 독서 감상문은 독서를 통한 내용이해와 정서 표현이 가능한 감상이 들어가 있으므로 독후 활동 글쓰기에 적절하다. 독서 감상문을 통하여 독서 후 감상을 서술하며 정서 표현이 나타날 것이다. 정서 표현의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자신의 감정을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해준다. 두 번째로 정확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의사소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렇듯 중요한 정서 표현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줄 수 있는 것은 글쓰기이다. 정서 글쓰기는 자신의 정서를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는 어휘를 인식하고 그 어휘를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앞으로도 독서 후 글쓰기 활동을 통해 정서 표현의 획득과 표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다양한 지도방안을 연구해야 한다.

      • 스마트폰 중독이 20대 여성의 신체정렬, 균형능력, 신체활동량 및 좌업생활시간에 미치는 영향

        이혜연 성신여자대학교 생애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마트폰 중독이 20대 여성의 신체정렬, 균형능력, 신체활동량 및 좌업생활시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95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대상자들의 스마트폰 중독 비율을 분석한 결과 일반 사용자군 57명(60%),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17명(17.9%), 고위험 사용자군 21명(22.1%)으로 스마트폰 중독 위험군은 총 38명(40%)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라 고위험 사용자군,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일반 사용자군으로 나누어 각 그룹의 신체정렬, 균형능력, 신체활동량 및 좌업생활시간을 비교 ․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20대 여성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신체정렬을 분석한 결과, Trunk Imbalance, Pelvic Position, Position of Scapulae, Lumbar Angle이 일반 사용자군보다 고위험 사용자군이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Thoracic Angle, Kyphotic Anlge은 고위험 사용자군과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일반 사용자군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p<.05). Trunk Inclination, Pelvic Torsion, Pelvic Rotation, Rotation of Scapulae, Lordotic Angle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20대 여성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균형능력 점수를 분석한 결과 동적 균형능력에서 고위험 사용자군이 일반 사용자군보다 균형능력의 수준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정적 균형능력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3. 20대 여성의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신체활동량과 좌업생활시간을 분석한 결과, 신체활동량은 고위험 사용자군과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이 일반 사용자군보다 유의하게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05), 좌업생활시간은 고위험 사용자군이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일반 사용자군보다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20대 여성의 스마트폰 중독 위험 비율은 40%로 분석되었으며, 스마트폰 중독 정도에 따른 신체정렬과 균형능력을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의 정도가 심한 고위험 사용자군, 중독의 정도가 경미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중독의 경향이 없는 일반 사용자군 순으로 신체의 정렬이 바르지 못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동적 균형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위험 사용자군은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 일반 사용자군에 비해 신체활동량은 적고 좌업생활시간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마트폰 중독은 20대 여성의 신체정렬, 균형능력, 신체활동량 및 좌업생활시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