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이혜란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47

        국문요약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분석 이혜란 교육상담학과 교육상담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다원화 시대의 필수 역량인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해 개발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교육현장에서 체계적으로 실행되었을 때 다문화수용성 증진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실험집단 S초등학교 중,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 설정한 프로그램모형에 기초하여 조사, 분석, 설계, 개발, 적용, 평가의 여섯단계에 걸쳐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여 다문화수용성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진행을 위해 양적도구로 다문화수용성 측정 질문지와 다문화수용성 척도(KMCI-A) 검사도구를 프로그램 실행 전후, 그 결과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효과를 비교 분석하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one-group pre sttest design)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질적 연구도구로 학습활동 소감문, 성찰일지, 교사 관찰, 수업일지, 인터뷰 등을 활용하여 양적평가를 보완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수용성 측정 질문지 분석 결과, 자문화 중심적인 낮음에서 타문화중심의 높음으로 나왔다. 둘째, 프로그램 실행 후, 다문화수용성의 대응표본 차이검증 분석 결과, 다양성, 관계성, 보편성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본 연구 프로그램의 실행이 학생들의 다문화수용성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효과 있음이 확인되었다. 셋째, 프로그램 평가문항별 분석 결과와 성찰일지, 소감문을 토대로 본 연구 프로그램 수업이 다문화수용성 증진에 효과가 있으며 타문화와 편견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바람직하게 전환시키는데 긍정적 효과 있음이 확인되었다. 넷째, 질적 분석에서 프로그램 실행 수업 후 학생들의 생각과 행동은 달라지게 되었다. 마사이족의 상대방 얼굴에 침을 뱉는 낯선 문화를 처음 접했을 때 ‘더럽고 이상한 사람들’ 이라는 표현은 불편한 감정이 인지적 준거항목에서 ‘표현하기’로 측정된 것이다. 또한 ‘침을 뱉는다면 더러워 도망갈 것 같다.’ 의 표현은 정서적 준거항목에서 ‘감정활성화’ 로 다문화수용성 발달단계의 부정에서 방어, 경시에 머물러 있음이 측정된 것이다. 한편, ‘그동안 친구를 이해하지 못해 무시하고 편견을 갖고 있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의 표현은 행동적 준거항목에서 ‘성찰하기’로 배웠던 내용의 교육적 효과로 측정된 것이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처음엔 낯설고 어려웠지만 차츰 이해, 수용하려고 애쓰는 인식의 변화 과정을 보여주는 본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생각, 태도, 인식의 변화를 줌으로써 현재 다문화교육의 한계를 극복해줄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이라고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학생을 포함한 일반 학생을 대상으로 정규교육과정시간에 체계적으로 개발된 다문화수용성 증진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다수학생들의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측면에서 교육적 효과성을 검증하고 다문화교육의 방법론적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주제어 : 다문화교육, 다문화수용성, 다문화핵심역량, 사회적 상호작용능력,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영역

      • 청소년의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혜란 원광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청소년의 가정폭력 실태 및 가정폭력 경험이 학교부적응에 미치 는 영향을 알아보고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을 낮출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정폭력 실태결과 정서폭력, 언어폭력, 신체폭력, 방임 순으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학교부적응 실태결과 학업부적응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규범부 적응, 선생님과의 관계 부적응, 교우관계 부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가정폭력의 학교부적응에 대한 영향 분석결과, 전반적으로 가정폭력이 학교 부적응에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나, 규범부적응에는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부적응에는 정서폭력, 방임만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 며, 규범부적응에는 신체폭력, 정서폭력이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교우관계 부적응에는 언어폭력, 정서폭력, 방임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선생님과의 관계부적응에는 신체폭력, 정서폭력, 방임이 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청소년의 가정폭력이 많을수록 학업부적응, 교우관계부적응, 선 생님과의 관계 부적응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학업부적응, 규범부적 응은 학년이 높을수록 높아지고, 선생님과의 관계부적응, 교우관계 부적응은 학년이 낮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교우 관계 부적응이 높고, 결손 가정일수록 규범부적응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학교부적응을 낮출 수 있는 몇 가지 대안을 제시 해보면, 첫째, 가정폭력을 예방할 수 있도록 ‘좋은 부모되기’의무 이수 교육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야 하며, 둘째, 학교부적응 청소년들을 위한 학교 사회복지사가 필요하고, 셋째, 학교부적응 학생들에게 다양한 욕구충족을 시켜 주어야 하며, 넷째, 청소년을 관리하는 학교관계자들의 긍정적이고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The present paper is aimed at exploring the actual situation of family violence that adolescents experience and effects of such experience on their school maladjustment, and, by thus, suggesting alternatives for them to better adapt to school environment. The outcomes of the study could be summed up as follows: Family violence was found to occur in the order of frequency by emotional violence, violence with language, physical violence and nonintervention. Maladjustment to classwork was rated as the biggest factor of school maladjustment, followed by maladjustments to rules, teachers and peer relations. The analysis into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school maladjustment showed that family violence has positive impacts on school maladjustment generally but negative impact on maladjustment to rules. Emotional violence and nonintervention only exercise positive influence upon maladjustment to classwork while physical and emotional violences affect the maladjustment to rules negatively. It was also revealed that vocal and emotional violences as well as nonintervention exert a positive influence on the maladjustment to peer relation, and physical and emotional violences as well as noninterven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aladjustment to relation with teachers. As a consequence, it became obvious that the more family violence adolescents experience, the heavier their maladjustment to classwork and relations with peers and teachers becomes. It was also evident that the higher grade adolescents advance to, the more serious their maladjustment to classwork and rules gets, while on the other hand, the lower grade they are in, the stronger their maladjustment to peer relation becomes. Male students tend to show higher maladjustment to peer relation than females and those from the parentless or one-parent families turn out to indicate more maladjustment to rules, according to th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uld be suggested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program 'Be better parents' should be applied more actively to prevent family violence; second, schools should employ welfare workers to help students who have troubles adapting to school environment; third, measures should be taken to fill the needs of the maladjusted students; and fourth, concerned people at schools should pay positive and sustaining attentions to those in need.

      • 수학사를 활용한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 : 고등학교 미적분학을 중심으로

        이혜란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proposes the teaching method that focuses on the history of mathematics which is an effective way of teaching Calculus. Ironically, the present school curriculum more emphasizes on the ability to calculate automatically than the ability to understand mathematical knowledge itself in the mathematics classes. However, the teaching method us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encourages students to enjoy studying mathematics, and stimulates their curiosity with 'why' questions. Teaching the history of mathematics would be an innovative method because it can give students the opportunity to reflect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history of mathematics. Moreover, it makes students understand the mathematical way of thinking and motivates them to study mathematics. Also, the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mathematics can help students to understand mathematical concepts and theories.

      • SNS 브랜드페이지(브랜드커뮤니티)특성이 구전메세지 형태에 미치는 영향

        이혜란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Companies have begun to realize that brand page(e.g., brand pages on Facebook : BP) on SNS are vital tools for building brand–consumer relationships and nurturing customer loyalty. Customer engagement has been the main objective of brand pages in their marketing through SNS. As a result, a brand page is an important means for developing brand–customer relationships. Facebook is the most popular platform for SNS marketing, especially for companies that try to engage with their customers by providing various values through their brand pages. Although brand pages have been the main channel for the development of engagement between customers and brands, there is a lack of in-depth understanding regarding how brand page characteristics had effected on the type of word-of-mouth messages. Previous research on customer engagement in SNS marketing has mainly addressed the conceptualization of type of word-of-mouth messag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es about the effect of the brand-page characteristics on the type of word-of-mouth messages.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brand-pag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type of word-of-mouth messages as the main objective and the effect of the type of word-of-mouth messages in terms of the brand loyalty as the secondary objective in the context of Facebook. Considering these facts, this study introduced the BP-information provision, the BP-reliability, the BP-entertainment and the BP-interaction as the BP characteristics. Moreover, this study modeled the factual word-of-mouth message and the evaluative word-of-mouth message as the type of word-of-mouth messages. In addition, the BP characteristics are model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types of word-of-mouth messages are modeled as the mediating variables. The empirical research was based on a poll done through 400 research candidates in the Facebook and the final 342 responses were collected and used in statistical data analysis. The adaptability, trust, and validity to measurement model were verified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the research model was analyzed through these 342 respons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P-information provision had a non-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ual word-of-mouth message an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valuative word-of-mouth message. The BP-reliabil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ual word-of-mouth message and the evaluative word-of-mouth message. The BP-entertainmen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ual word-of-mouth message and the evaluative word-of-mouth effect. The BP-interaction had a non-significant effect on the factual word-of-mouth message and the evaluative word-of-mouth message. Finally, the factual word-of-mouth message and the evaluative word-of-mouth mess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rand loyalty. However, it is note that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from a restricted point of view,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combine more complicated factors of related fields like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sychological property.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by explaining the roles and effects of brand page characteristics in SNS marketing. This study further provides guidance to SNS providers and practitioners on SNS marketing strategies. 브랜드페이지(BrandPage: BP)는 온라인 가상공간에서 기업들이 자사의 브랜드를 홍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다. BP는 특정 브랜드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지리적 한계를 뛰어넘어 사회적인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만든 집합체로써, 기업과 고객 간의 관계를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운영된다. 기업들이 BP를 유용한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는 주된 이유는 가상공간에서 자사의 신제품을 홍보함으로써 소비자들과의 접점을 늘릴 수 있으며, 기존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피드백을 수렴하여 보다 나은 방향으로 제품을 기획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신규고객을 창출하고 기존고객들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하여 기업들은 BP를 이용하여 자사의 브랜드력을 강화하고 수익창출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기업에서는 온라인 BP와 브랜드 블로그 기능을 통합, 운영할 수 있는 페이스북의 BP기능을 이용하여 자사의 소비자와 소통할 수 있다. 기업에서는 자사 SNS-BP에 소비자들이 원하는 온라인 콘텐츠를 게재하여 이를 공유, 확산시키는 방법으로 고객-브랜드의 관계를 발전시키고 고객들로부터 브랜드 신뢰, 애정, 몰입, 충성 및 재구매 의도 등을 유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SNS 플랫폼 중에서 이용자가 상대적으로 많은 페이스북의 팬 페이지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SNS-BP의 특징과 소비자 구전메세지와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선 SNS-BP의 주요 특성들을 도출하고, 이 특성들이 구전메세지 형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구전메세지 형태가 브랜드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과제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SNS-BP에 관한 이론적 토대와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SNS-BP특성, 구전메세지 형태 및 브랜드충성도로 구성된 연구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SNS-BP 중 가장 일반적이며 대중적으로 알려진 페이스북 팬 페이지 혹은 브랜드페이지 이용 경험이 있는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SNS-BP 특성이 구전메세지 형태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의 표본은 만 20세 이상의 성인으로 최근 1년 이내에 페이스북 팬 페이지 혹은 브랜드페이지를 방문하여 정보를 검색한 경험이 있는 사람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는 약 2달간 실시하였으며, Google 온라인, SNS 발송 및 직접 방문을 통한 조사 방법을 사용하였다. 전체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이 중 365부를 회수하였다. 회수한 365부 중 불성실한 응답 및 결측값 등을 제외하고, 총 342부의 설문지를 통계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BP정보제공성은 사실적 구전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평가적 구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P신뢰성은 사실적 구전 및 평가적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P유희성은 사실적 구전 및 평가적 구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BP상호작용성은 사실적 구전 및 평가적 구전에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실적구전 및 평가적 구전은 브랜드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NS-BP특성이 구전메시지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BP특성을 오직 네 가지 요인으로 제한하였으나, SNS-BP특성은 매우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인의 특성과 심리적 특성을 고려하여 보다 더 다양한 동기요인을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SNS-BP의 특성, 구전메세지 형태 및 브랜드이미지에 관한 실증적 연구를 진행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측정 항목을 제시함으로써 후속 연구를 위한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보다 진일보된 SNS 마케팅 연구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해 볼 수 있다.

      • 오존 전량의 시·공간 변동 및 대기 열적 상태와의 상관

        이혜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존 전량의 시·공간 변동 및 대기 열적 상태와의 상관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구 1979-92년 기간의 Nimbus 7/TOMS 오존 자료의 월평균값과 그 편차에 대하여 각각 경험직교함수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오존에 대한 해수면 온도, 위성관측 MSU 채널2(중간 대류권; ~600 hPa)와 채널4(하부 성층권; ~70 hPa) 밝기온도 등과의 상관을 각각 조사하였다. 오존과 하부 성층권 온도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서로 양의 상관(0.5-0.9)을 보여 오존 감소가 하부 성층권의 냉각과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중위도에서는 수직으로 전파되는 행성파로 인하여 높은 양의 상관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한편, 오존에 대한 해수면 또는 중간대류권 온도와의 관계에서는 음의 상관(-0.6)이 지배적으로, 이러한 원인은 대류권 온도가 상승할 때 대류권계면 고도의 상승과 함께 오존 농도가 적은 공기가 하부 성층권에 유입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승에 따른 하부 성층권의 냉각도 열적으로 오존 감소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추정된다(Kayano, 1997). 결과적으로 대류권 온도 상승은 하부 성층권의 냉각 및 오존 감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지역적으로 아마존강, 콩고강, 인도네시아 등과 같은 열대 우림 육지에서는 예외적으로 오존과 대류권 온도가 서로 양의 상관을 보이는데 이러한 원인은 부분적으로 강한 대류 활동 및 계절적인 생태계에서의 화재로 인한 대류권 오존의 증가에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오존 월평균값의 경험직교함수 분석에서 고유벡터의 공간 분포는 각 반구 봄에 중위도에서 최대 변동을 보인다. 특히, 우리나라 북쪽의 사할린 캄차카(55N, 140E)부근의 변동이 가장 크다. 오존 편차값의 모드1은 태평양 부근의 적도에 대하여 대칭인 공간 형태와 함께 주성분 시계열에서 약 28개월의 준2년 주기 진동(Quasi-Biennial Oscillation; QBO), 그리고 1991년 6월에 피나투보 화산 폭발에 의한 열대 지방에서의 오존 감소를 보인다. 모드3은 열대 지역에서 오존이 약 20개월 주기로 변동함을 보인다. 모드4는 엘니뇨 기간에 적도에 대하여 아령 모양인 대칭 공간 형태로 적도 동태평양(~150W)의 남(10S)·북(10N) 부근의 오존이 감소함을 기존 연구들과 비슷하게 보여준다. 한반도 주변과 열대 서태평양의 오존은 엘니뇨 기간동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위성관측 오존이 대류권 및 성층권의 열적 상태와 유의적인 상관을 보여 기후변동에 상당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In order to analyz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otal ozone, and its correlation with thermal condition, the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EOF) analysis has been performed on the monthly mean and its anomaly, derived from Nimbus 7/TOMS ozone data over the globe for the period of 1979-92. Temporal correlations between ozone and three thermal factors, for instances, the Microwave Sounding Unit(MSU) Ch2(~600 hPa) and Ch4(~70 hPa) brightness temperatures and sea surface temperature(SST) have been also investigated comprehensive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ozone and lower stratospheric temperature occur in most areas, implying that the ozone reduction is related with the stratospheric cooling. In particular, large positive values in the midlatitudes are inferred to result from vertical propagation of planetary waves. On the other hand, the ozone tends to negatively correlate with either SST or midtropospheric temperature over a wide area. Here the upwelling of the tropopause from warmer atmosphere leads to lower ozone concentration into the stratosphere. As a result, tropospheric warming relates with both reduction in total ozone and lower stratospheric cooling. However, the tropical land regions exceptionally show positive correlations, suggesting possibly the seasonal influx of enhanced tropospheric ozone due to deep convection and biomass burning. In the EOF analysis of monthly mean ozone over the globe, the first mode shows maximum variability over the midlatitude in spring of each hemisphere. Especially, variance near Sahalin-Kamchaka and north of Korea has been the largest. The first mode of ozone anomaly over the tropical Pacific indicates Quasi-Biennial Oscillation(QBO) in time series which has a spatial distribution symmetrical to the equator, and the ozone reduction around the equator caused by the volcanic eruption of Mt. Pinatubo in June 1991. The ozone variability in a period of 20 months is found in the third mode. The fourth mode appears in a dumbbell-shaped spatial pattern almost symmetrical to the equator during El Nio, and with two ozone minima which are located in the north(10N) and south(10S) areas of the tropical eastern(~150W) Pacific,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However, the ozone over both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equatorial western Pacific tends to increase during El Nio.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ozone data can be used as an indicator of climate change for lower stratosphere and troposphere because of their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rmal factors.

      • 말-언어 과제와 인지 과제 동시 수행이 정상 성인 및 말더듬 성인의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

        이혜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말더듬(stuttering)은 말의 유창성 및 리듬에 관한 문제이다. 요구-용량 모델(demand-capacity model)에 따르면 유전적으로 타고난 유창하게 말할 수 있는 능력에 비하여 운동, 사회성, 감정, 언어, 인지 측면에서 내적·환경적인 요구량이 증가하게 되면 비유창성이 발달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말을 산출하면서 동시에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외적인 요구량을 변화시키는 경우 요구-용량 사이의 관계가 변화하여 유창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말더듬 성인 집단 9명과 정상 성인 집단 10명을 대상으로 말-언어 과제(숫자 세기, 이야기 읽고 말하기)와 인지 과제(탐지 과제, 변별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여 동시 과제 수행이 유창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살펴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일 수행 조건에 비하여 동시 수행 조건에서 이야기 말하기의 유창성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이차 과제의 반응 시간 평균 및 범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반응 정확도 평균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2. 동시에 수행하는 이차 과제의 난이도가 증가함에 따라 발화 길이가 감소하였고, 이차 과제의 반응 시간 평균 및 범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반응 정확도 평균이 유의하게 감소하는 양상 나타났다. 3. 말-언어 과제 종류에 따른 영향이 나타났다. 이야기 말하기의 경우 동시 과제 도입 및 난이도의 증가에 따라 말 유창성, 유창한 말속도, 발화 길이가 변화하였다. 반면, 숫자 세기에서는 전체 말 오류 빈도가 변화하지 않았다. 또한 단일 수행 조건과 동시 수행 조건을 비교할 때 이야기 말하기는 이차 과제의 수행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숫자 세기에서는 유의한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리고 이야기 말하기의 경우 이차 과제의 난이도가 증가함에 따라 동시 수행의 효과가 증가한 반면 숫자 세기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4. 전반적으로 집단간 동시 과제 도입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반응 시간 범위 측정에서 집단간 차이를 보였다. 유창한 말속도의 경우 집단과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는 않았으나 집단 분석 및 개인 분석에서 두 집단이 서로 상반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본 논문에 따르면 인지적인 외적 요구량의 증가에 따른 요구-용량 사이의 불균형이 용구-용량 모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고 있는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 자발화(spontaneous utterance)의 유창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런데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인지적인 외적 요구량의 변화와 말더듬과 관련될 수 있는 심리적인 내적 요구량의 변화가 반하였다. 즉, 말더듬 집단의 경우 동시 과제 수행시 말 처리에 지나치게 초점을 맞추어 말속도를 조절하거나, 이차 과제 반응 시간을 조절하여 동시 수행 조건을 단일 수행의 방식으로 처리하는 태도를 더 보인다는 점에서 정상 집단과 차이를 보였다. 이는 성인 말더듬의 비유창성에 있어 심리적인 측면의 용량 및 요구 사이의 관계가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말-언어 과제 종류 및 이차 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영향도 나타나 동시 과제를 이용하여 요구-용량 사이의 관계를 살피는 추후 연구에서는 말-언어 과제의 종류 및 이차 과제의 난이도 수준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According to the demand and capacity model(DCM), stuttering develops when the internal and environmental demands exceed the capacities for fluency in motor, linguistic, social,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The hypothesis based on this model is that a change of environmental demands given by performing a concurrent task while speaking would altern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mand and capacity which would have and effect on the fluency of speech.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that concurrent cognitive task has on fluency. The subjects were composed of 9 adults who stutter and 10 those who do not. They were given an a speaking task (counting, story-telling) and a cognitive task(detection task, discrimination task 1·2).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fluency while concurrent performing the story retelling with the secondary task.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an and range of reaction time of secondary tasks and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accuracy of reaction of secondary tasks. 2. The level of difficulty in secondary tasks brought forth performance differences in the story retelling task and the cognitive tasks. In the mean length of utterance, the mean and range of the reaction time and accuracy of reaction of secondary tasks, the performance showed linear decrease as the level of task difficulty increased. 3. The type of speech task showed effect. The total speech errors of the counting, the mean and range of reaction time and the mean accuracy of reaction of secondary tasks was not affected by the presence of concurrent task and the level of task difficulty. 4. There were no over all group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the concurrent task on the performance of the speech task and the cognitive task.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in the range of reaction time. No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found in the fluent speech rate yet a different pattern was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when individual data analysis was done. In the non-stuttering group the fluent speech rate had rather increased in concurrent performing story retelling with the detection task and the discrimination task1 than in single performing story retelling and it showed statistical significance.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mismatch between the demand and capacity by the increase in external cognitive demand effects on the fl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of not only children focused on by DCM but adults. Also the increase in external cognitive demand accompanied with the internal psychological demand which would have and effect on fluency. That is, in the stuttering group they tended to focus over excessively on speech processing and controlled their speech rate while performing the concurrent cognitive task, or they tended to perform the concurrent task condition as if it had been an single task condition which was not the case in the non-stuttering group. This suggest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emand and capacity is important in adults who stutter. Also the results showed effects of the type of speech-language task and the level of difficulty of the secondary task. Following study using concurrent task condition should consider these effects.

      •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

        이혜란 충북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 및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점수를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으로 나누고, 각각의 집단이 성취동기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문제1>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는 관계가 있는가? <문제2>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은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소재한 3개의 초등학교 6학년 학생 342명이 참여했으며, 어머니가 없는 학생은 제외시켰다.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는 오성심·이종승(1982)의 부모양육태도 질문지를 임선화(1987)가 반복되는 문항을 간추려 4개의 하위영역에 각 10문항씩 40문항으로 재편성한 ‘부모 자녀 태도 지각검사 질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성취동기 검사도구는 중앙교육평가원에서 출판한 ‘정의적 특성검사 편란’에 실려 있는 성취동기 검사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검사도구는 Guglielmino(1977)가 개발한 자기 주도 학습 준비도 척도(SDLRS: Self-Directed Learning Readiness Scale)를 남역희(2003)가 초등학생에 맞게 수정한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4가지 유형(애정적-적대적, 자율적-통제적, 성취적-비성취적, 합리적-비합리적 양육태도)에 따라 성취동기,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하위요인 및 전체의 상 집단과 하 집단 간 성취동기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에 관한 가설을 SPSSWIN(Sta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Ver 12.0)을 이용해서 t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점수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성취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애정적·자율적·성취지향적·합리적으로 지각하는 아동일수록 성취동기가 높게 나타났다. 양육태도 하위요인별 성취동기의 차이에 있어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과업지향성, 정력적·혁신성, 자기 책임감, 결과에 대한 관심도 미래지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감, 적절한 모험성에서는 높지 않았다. 나.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율적 일수록 과업지향성, 자신감, 정력적·혁신성, 자기 책임감, 결과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적절한 모험성, 미래지향성에서는 높지 않았다. 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성취적일수록 과업지향성, 자신감, 정력적·혁신성, 자기 책임감, 적절한 모험성, 결과에 대한 관심도, 미래지향성 등 모든 요인이 높게 나타났다. 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합리적일수록 과업지향성, 자기책임감, 결과에 대한 관심도, 미래지향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감, 정력적·혁신성, 적절한 모험성에는 높지 않았다. 2.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 점수가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즉. 어머니의 양육태도를 애정적·자율적·성취지향적·합리적으로 지각하는 아동일수록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양육태도 하위요인별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의 차이에 있어서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가.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 일수록 기회에 대한 개방성, 자아개념, 독립성, 책임감, 흥미, 방법 등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나.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율적 일수록 기회에 대한 개방성, 자아개념, 독립성, 책임감, 흥미, 방법 등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다.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성취적일수록 기회에 대한 개방성, 자아개념, 독립성, 책임감, 흥미, 방법 등 모든 요인에서 높게 나타났다. 라.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합리적일수록 자아개념, 독립성, 책임감, 흥미, 방법 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기회에 대한 개방성에서는 높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자녀가 지각한 어머니의 양육태도는 자녀의 성취동기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과 매우 높은 상관을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부모는 최초의 교육자로써 삶의 모델로서 자녀의 인생 전영역의 삶이 죄우한다. 따라서, 아동의 학력을 높이기 위해 무조건 학원에만 의존할 것이 아니라, 아동의 학습에 대한 성취의욕을 북돋아 주거나, 애정을 가지고 대해 주며, 자율적으로 자기의 일을 처리하도록 허용해 주는 부모의 양육태도를 높여주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is to figure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nurtu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achievement motive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scores of mother's nurturing attitude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such as the higher and the lower. Based on that, this experiment tried to find out how each group affects achievement motive and autonomous learning behavior. <Problem 1> Is mother's nurtu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lated to their achievement motive? <Problem 2> Is mother's nurtu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connected with their autonomous learning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experiment consisted of 342 six-grade students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which are located in Seo San City, Choong Nam and the students who have no mother were excluded. The results from this experiment is as followings: 1. The group which got higher scores of mother's nurturing attitude perceived by a child showed higher achievement motive than those of lower ones. In other words, the more students perceived their mother's nurturing attitude as affectionate, flexible, achievement-oriented, and rational, the higher their achievement motive was. The variations of achievement motive by the subcategories for nurturing attitude are likewise: a. Higher task-oriented, vitality/innovation, personal responsibility, interest in the outcome, and future-oriented were relative to higher affection of mother's nurturing attitude, while confidence and proper risk-taking were not. b. The more flexible mother's nurturing attitude were, the higher task-oriented, confidence, vitality/innovation, personal responsibility, and interest in the outcome were, but not in proper risk-taking and future-oriented. c. When mother's nurturing attitude was achievement-oriented, all the factors were higher including task-oriented, confidence, vitality/innovation, personal responsibility, proper risk-taking, interest in the outcome, future-oriented. d. When mother's nurturing attitude was rational, task-oriented, personal responsibility, interest in the outcome, future-oriented were higher but not in confidence, vitality/innovation, and proper risk-taking. 2. The group which got higher scores of mother's nurturing attitude perceived by a child showed higher autonomous learning behavior than those of lower ones. Namely, the more students perceived their mother's nurturing attitude as affectionate, flexible, achievement-oriented, and rational, the higher their autonomous learning behavior was. The variations of autonomous learning behavior by the subcategories for nurturing attitude are likewise: a. The more affectionate mother's nurturing behavior was, all the factors were higher for openness toward opportunities, self-conception, independence, interest, and method wise. b. When mother's nurturing attitude was flexible, all the factors were higher for openness toward opportunities, self-conception, independence, interest, and method wise. c. When mother's nurturing attitude was achievement-oriented, all the factors were higher for openness toward opportunities, self-conception, independence, interest, and method wise. d. The more rational mother's nurturing attitude was, the higher in self-conception, independence, responsibility, interest, and method, however not in the openness toward opportunities. Considering all the outcomes above, it seems that mother's nurturing attitude perceived by a child highly correlated with achievement motive and autonomous learning behavior. Thus, it is important to make sure that in order to improve a child's academic ability, parents should try to enhance their achievement, treat with affection, and allow to handle things on their own, not in the way that depends on private institutes.

      • 저축은행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이혜란 경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 연구는 국내 저축은행의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 총자산이익률(ROA: return on assets) 등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전체분석 기간은 2000년부터 2021년까지 분기별 시계열 및 횡단면 자료를 이용하였다. 우리나라 전체 저축은행들의 주요 수익성 지표와 저축은행 내부변수 그리고 외부변수들에 대한 자료는 금융감독원 및 한국은행 등으로부터 구하였다. 저축은행들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저축은행 내부변수로는 전체 저축은행 총자산, 총대출,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부실자산비율을 사용하였고 동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변수로는 단기금리, 중장기금리, 경제성장률, 주식시장지표 등을 사용하였다. 다중회귀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 연구는 국내 저축은행들의 수익성 결정요인을 분석하는데 주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저축은행들의 수익성의 대용치로는 총자산이익률(ROA: return on assets)과 영업이익률(EBIT ratio: 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 ratio)을 사용하였다. 동 수익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저축은행 내부 변수(internal variables)로는 전체 저축은행 총자산, 총대출,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 부실자산비율을 사용하였다. 저축은행들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외부변수(external variables)로는 단기금리로는 양도성예금증성금리(CD rate), 중장기금리로는 10년물 국채금리, 경제성장률을 사용하였다. 저축은행의 수익성 지표를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로 다중회귀분석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결과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관관계(correlation analysis) 분석결과에 의하면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ROA)과 총자산변화율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과 부실여신비율 사이에는 예상한 바와 같이 부(-)의 상관관계, 총자산이익률과 판관비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두 변수 사이의 방향성은 예상과는 달리 플러스(+)관계, 장단기 금리의 대용치로 양도성예금증서금리(CD)와 10년물 국채금리와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 사이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과 경제성장률(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축은행 영업이익률(EBIT ratio)과 총자산변화율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영업이익률과 부실여신비율 사이에는 예상한 바와 같이 부(-)의 상관관계, 영업이익률과 판관비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두 변수 사이의 방향성은 예상과는 달리 플러스(+)관계, 장단기 금리의 대용치로 양도성예금증서금리(CD)와 10년물 국채금리와 저축은행 영업이익률 사이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영업이익률과 경제성장률(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ROA)과 총대출(toal loan)변화율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과 부실여신비율 사이에는 예상한 바와 같이 부(-)의 상관관계, 총자산이익률과 판관비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두 변수 사이의 방향성은 예상과는 달리 플러스(+)관계, 장단기 금리의 대용치로 양도성예금증서금리(CD)와 10년물 국채금리와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 사이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총자산이익률과 경제성장률(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저축은행 영업이익률(EBIT ratio)과 총대출(total loan) 변화율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영업이익률과 부실여신비율 사이에는 예상한 바와 같이 부(-)의 상관관계, 영업이익률과 판관비 사이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두 변수 사이의 방향성은 예상과는 달리 플러스(+)관계, 장단기 금리의 대용치로 양도성예금증서금리(CD)와 10년물 국채금리와 저축은행 영업이익률 사이 정(+)의 상관관계, 저축은행 영업이익률과 경제성장률(GDP: gross domestic production) 사이에는 정(+)의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중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 결과에 의하면 저축은행의 총자산(total assets)과 총대출(total loan) 변화량은 총자산이익률(ROA)에 대하여 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는 총자산이익률 10% 유의 수준에서 부(-)의 영향력을 주고 있다. 부실자산비율은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도성예금금리와 10년물 국채금리 등 장단기 금리는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으며 예상과는 달리 경제 성장율은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축은행의 총자산(total assets)과 총대출(total loan) 변화량은 영업이익률(EBIT ratio)에 대하여 10%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정(+)의 영향을 미치고 판매비 및 일반관리비는 영업이익률에 정(+)의 영향력을 주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실자산비율은 저축은행의 영업이익률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도성예금금리와 10년물 국채금리 등 장단기 금리는 저축은행의 영업이익률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총자산이익률 및 영업이익률에 대한 경제성장율의 영향력 관련 회귀식의 계수 값은 마이너스(-)로 예상과는 달리 경제성장율은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과 영업입익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추론해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연구되었던 국내 저축은행들의 수익성 결정요인을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는데 의의를 가지며 저축은행의 수익성 결정 요인 중에서 총자산 변화량, 총대출 변화량, 판관비 변화량, 장·단기금리 변화량, 경제성장률이 총자산이익률(ROA)와 영업이익률((EBIT ratio)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므로 이들 중 내부요인인 총자산 변화량, 총대출 변화량을 증가시키는 영업활동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판관비 변화량의 경우 증가할 경우 수익성 악화를 예측하였으나 분석결과 통계적 유의성은 낮은 수준이나 정(+)의 관계가 나타나므로 적정 수준에서의 투입이 필요하다고 해석된다. 반면 부실여신비율은 저축은행의 수익성 결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므로 부실여신 최소화를 위한 관리를 강화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경제성장률은 저축은행의 총자산이익률과 상관관계 분석결과 정(+)의 관계이나 다중회귀분석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한계점은 다중회귀분석 조사대상 자료 중 총자산이익률(ROA)과 영업이익률(EBIT rate)에 대한 총대출, 저축은행 내부 및 외부변수들의 영향력 분석시 조사자료 수집의 한계로 2000년 1/4분기 ∼ 2008년 3/4분기까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는 점과 디지털 금융으로의 금융시장 변화가 가져오는 변화된 저축은행의 경영성과 결정요인이 외부요인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이다. 향후에는 조사대상 기간의 범위를 넓혀 최근 기간의 자료를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디지털, 비대면화, 간편인증 등을 이용한 수익수조 다양화 등 디지털 금융시장 변화를 반영한 저축은행 경영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paper tested the determinants on business performance such as ROE(“return on equity), EBIT ratio: earnings before interest and tax ratio) and ROA(return on assets) of savings and loan institutions(“S&Ls”). The whole sample period is covered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21 on a quarter basis. These time series quarterly data is coming from financial supervisor services(“FSS”) and bank of korea(“BOK”). For the empirical test we introduc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Data are separated into two categories; internal and external variables. Internal variables include total asset(“TA”), total loan(“TL”), general and administration expense(“G&AE”), non-performing loan(“NPL”) and external variables are short-term(“CD”) and mid-term interest rates(“KTB”), economic growth rate (“GDP”)and stock market index like Korea stock price index(“KOSPI”). The major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influence on the ROA and EBIT, TA and G&AE, CD and KTB rates and GDP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OA but NPLs has a negative rel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to test the influence on the ROA and EBIT, TL and G&AE, CD and KTB rates and GDP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ROA but NPLs has a negative relations. Third,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ROA, TA and T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OA with a 5 % significant level and G&AE has a negative influence on the ROA with a 10 % significant level. NPL and GDP have a positive impact but CD and KTB have a negative on the ROA respective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Fourth,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EBIT, TA and TL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BIT with a 10 % significant level and G&AE has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BIT, NPL and GDP have a positive impact, but CD and KTB have a negative on the EBIT respective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s paper’s empirical results are limited due to the sample data. We hope these results would be helpful for the S&Ls policy makers to set up the financial market policy.

      • 여자고등학교 방과 후 체대입시 프로그램에 관한 사례연구

        이혜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fter school physical education as the preparation program for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in particular, of girls’ high school. The practicing process, the remarkable aspects and the need of improvement of the program were analyzed through in-depth interview with teachers and the responses of the students as participants in the program. By taking the data into consideration, it is aim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activating the better afte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for Athletic College Applicants. To achieve these goals, qualitative methods including thematic analysis, in depth interviews and non-participant observations were employed and tw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ur students and two graduates were chosen from Sarang Girls’ high school in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transcription of in-depth interviews. Then, it was categorized in accordance with category, theme and code, resulting in 4, 14 and 44 respectively. The after school physical education programs of Sarang Girls’ High School are divided into two courses: a workout course and an admission guiding program. The responses of the teachers showed ‘the difficult process of introducing the after school athletic program for University Entrance preparation’ and ‘the hardship in teaching and guiding girls’ high school students as a non-expert in entrance examination’. The difficulties hindered the instructors from maintaining the course and they sent the students to private athletic institutes in the end.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s, the student respondents including the graduates pointed out‘the problems in finding resources for majors involving sports’, ‘the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entrance examination while taking the after school physical education at school’ ‘the inefficiency of admission guiding programs of girls’ high school’, ‘the unavoidable choice to go to private institutes’ and ‘the unpleasant cultural shock while attending private institutes’. It was found that the present after school physical education of girls’ high school was not compatible with the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ystem. This has raised the necessity of increasing class hours, the greater promotion and support of Education Department as well as individual schools from teachers’ point of view. Based on students’ perspectives, the findings urge the professionality development of teachers, the mor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 range of sports, the long maintenance of the programs, the increase of class hours, the intensive course for examinees and the attitude change regarding majoring in sports. 본 연구는 여자고등학교에서 방과 후 체대입시 프로그램을 지도한 교사와 참여 학생의 경험을 분석하여 여자고등학교 방과 후 체대입시 프로그램의 운영과정, 특징, 개선점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공교육에서의 체육계열 진학지도 활성화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유목적표집법으로 선정한 사랑여자고등학교 체육 교사 2명과 재학생 4명, 졸업생 2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자료 수집은 문서자료, 심층 면담, 비참여관찰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은 질적 사례연구를 통해서 진행되었으며 귀납적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심층 면담의 내용을 전사 작업하여 공통된 의미별로 범주화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8명의 연구 참여자들로부터 범주 4개, 주제 모음 14개, 코드 44개가 도출되었다. 사랑여자고등학교 방과 후 체대입시 프로그램은 운동 프로그램과 진학지도로 이루어졌다. 지도 교사의 경험을 살펴본 결과 여학교에 체대입시 프로그램을 만들기까지의 과정, 쉽지 않은 여학생 지도, 체대입시 전문가가 아닌 체육 교사로서 진학지도의 어려움, 입시 시즌까지 진학지도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결국 학원으로 보낼 수밖에 없는 현실로 나타났다. 재학생과 졸업생의 경험은 체육계열 진로를 선택하기까지의 과정, 학교에서 체대입시를 준비하는 이유, 여학교 방과 후 체대입시반의 의미, 결국 학원을 선택하는 이유, 사설 학원에서 경험한 사설 학원의 문화, 체대입시를 준비하면서 어려운 점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 교사가 생각하는 방과 후 체대입시 프로그램의 개선점은 수업 시간 증대, 교육청의 지원과 홍보, 학교 차원의 지원으로 나타났으며 졸업생과 재학생이 생각하는 개선점은 지도 교사의 전문성 향상, 다양한 종목 경험, 입시 시즌까지 유지, 장비 구매, 수업 시간 증대, 체대입시 인원만 집중 지도, 인식 변화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